KR101232212B1 -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 Google Patents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212B1
KR101232212B1 KR1020120032143A KR20120032143A KR101232212B1 KR 101232212 B1 KR101232212 B1 KR 101232212B1 KR 1020120032143 A KR1020120032143 A KR 1020120032143A KR 20120032143 A KR20120032143 A KR 20120032143A KR 101232212 B1 KR101232212 B1 KR 10123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nd
bag
shape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종
박보현
김준철
Original Assignee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3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1Devices for applying linings on banks or the water bottom

Abstract

본 발명은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고,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덮개부를 갖는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형성된 침하저감부 및 트러스 밴드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부 단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연약한 지반에 적재되더라도 침하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내부에 담긴 채움재 양에 따른 중량에 맞게 보다 향상된 내부결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형상유지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Bag for reduction of subsidence and keep of form}
본 발명은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관개나 치수공사, 법면 보강이나 옹벽공사, 도로나 건물의 지반 보강, 매립공사 자연재해의 복구 공사 등에 사용되는 초대형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나 치수공사,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재해의 복구공사 등에서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리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모래주머니는, 마대나 폴리에틸렌제, 폴리프로필렌제 등의 자루형, 망형 등 내구성이 우수한 모래주머니에 흙을 채우고, 테이프 등으로 그 입구를 막은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래주머니 형상은 통상 원주형이나 풍선을 거꾸로 한 모양(염낭 모양)이어서 사이에 빈틈이 있고,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운반,하역을 위하여 들어 올릴 경우에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모래주머니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적재시 빈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인하여 위로 들어 올릴 경우, 하부 중앙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터질 우려가 있었는바, 소형의 모래주머니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1m를 초과하는 초대형의 편형한 직육면체 백을 구비하고, 이 직육면체 백에 다량의 흙을 채워 넣은 후, 내부 결속수단을 부가함으로써, 그 중량이 크더라도 하중집중 현상을 해소함과 아울러 그 형상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비교적 넓은 면적에 빈틈이 없이 손쉽게 쌓을 수 있는 모래주머니인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공개특허 2010-0058489호)이 선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한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전체적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10)과, 상기 직육면체 백(10)의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30)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38)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34)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복수의 고정 밴드(36)와, 각 고정 밴드마다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상기 리프트 밴드와 상기 고정 밴드 사이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은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32)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에 의하면, 복수의 트러스 밴드(32)를 사용함으로써, 직육면체 백 내부의 트러스 밴드 주위의 흙의 압축범위를 중앙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12)는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 (14a,14b)는 덮개부, (16)은 벨트, (18)은 로킹부, (20)은 홈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직육면체 백의 덮개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은, 트러스 밴드에 의한 내부결속으로 많은 양의 흙을 담을 수 있어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는 하나, 대형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그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관개나 치수공사, 법면 보강이나 옹벽공사, 도로나 건물의 지반 보강, 매립공사 자연재해의 복구공사 등에 사용될 때, 연약한 지반에 장,단기적으로 침하가 발생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직육면체 백 저면부에 침하저감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약한 지반에 장,단기적으로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 밴드의 장력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담긴 채움재의 양에 따라 보다 향상된 내부결속에 의한 형상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고,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덮개부를 갖는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형성된 침하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침하저감부는, 상기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일정간격만큼 아래로 돌출된 돌기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뿔 형태의 돌기부이거나 또는,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의 돌기부이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둑판 형태로 교차되게 이루어진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그 하부 중앙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내부 단속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단속수단은, 상기 직육면체 백의 바닥 안쪽면에는 대각선상으로 교차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의 교차점인 중앙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대략 사각 기둥형태로 고정설치되는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과, 상기 베이스 밴드의 각 모서리 부위에 걸쳐 각각 고정설치되는 트러스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일면과 트러스 밴드의 일면의 결합면 바깥쪽으로 일정간격만큼 돌출되는 복수단의 돌출핀 및; 상기 돌출핀과 대응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과 끼움홈의 끼워 맞춤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트러스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를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트러스 밴드의 타단은 베이스 밴드에 더하여 상기 침하저감부의 플레이트부와도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 의하면, 직육면체 백 저면부에 침하저감부가 형성됨으로써, 연약한 지반에 적재되더라도 장,단기 침하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 밴드의 장력이 다단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내부에 담긴 채움재의 양에 따른 중량에 맞게 보다 향상된 내부결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형상유지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직육면체 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서 내부에 흙 등의 채움재가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덮개부가 덮인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이 호이스트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침하저감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다른 형태의 침하저감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또 다른 형태의 침하저감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서 장력조절부의 승강에 따라 트러스 밴드의 장력이 조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서 내부에 채움재인 흙이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덮개부가 덮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이 호이스트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은, 내부에 채움재(흙, 쇄석, 순환골재 등)를 담을 수 있는 일정공간(102)을 갖는 직육면체 백(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직육면체 백(100)은 내구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 예컨대 마 등의 천연소재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화학섬유소재 외에 자루 모양을 제작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직육면체 백(100)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부에 전후좌우의 덮개부(104a,104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중 서로 마주보는 전후의 덮개부(104b) 중 어느 하나의 덮개부에는 벨트(106)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덮개부(에는 로킹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덮개부(104a) 중 어느 하나의 덮개부에도 벨트(106)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덮개부에는 로킹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전후의 덮개부(104b) 중간에 형성된 홈(110)은, 덮개부를 덮었을 때, 후술되는 리프트 밴드와 연결된 매달음부(140)가 노출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홈(110)은 좌우의 덮개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육면체 백(100)의 내부공간(102)에 흙 등의 채움재를 채워 넣고, 전후좌우의 덮개부(104a,104b)를 덮은 후, 벨트(106)와 로킹부(108)로 고정시키게 되면, 직육면체 형상의 백이 완성된다.
이때, 전후의 덮개부(104b) 중앙에 형성된 홈(110)에 의해 매달음부(140)가 상부 중앙으로 노출되는바, 이 매달음부(140)를 이용하여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운반,적재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은, 그 저면부에 침하저감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하저감부(200)는 연질 또는 경질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직육면체 백(100)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202)와, 이 플레이트부(202)에 대하여 일정간격만큼 아래로 돌출된 돌기부(204)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백(100)은, 그 상부 중앙에 노출된 매달음부(140)를 이용하여 호이스트 등으로 운반,적재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형성된 침하저감부(200)에 의해 연약한 지반으로 침하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백(100)은, 대량의 채움재가 채워짐으로써, 그 중량이 매우 무겁게 되는데, 이러한 중량의 직육면체 백(100)은 물이 많은 연약한 지반에 쌓이게 됨으로써, 쉽게 그 중량에 의해 지반침하가 이루어질 수 있는바, 상기 침하저감부(200)에 의한 침하가 예방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서, 침하저감부의 형태를 각각 도시한 저면사시도로서,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저감부(200)는 직육면체 백(100)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202)와, 이 플레이트부(202)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뿔 형태의 돌기부(2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저감부(200)는 직육면체 백(100)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202)와, 이 플레이트부(202)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의 돌기부(204-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저감부(200)는 직육면체 백(100)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202)와, 이 플레이트부(202)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둑판 형태로 교차되게 이루어진 돌기부(204-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서, 상기 침하저감부(200)의 돌기부(204,204-1,204-2)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 일정길이의 삼각뿔형, 바둑판 형태의 삼각뿔 형태인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 및 배열방식은 다양한 형태 및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에 대량의 채움재를 채워 넣은 후, 이를 상부에서 들어 올려 운반 적재할 경우, 하부 중앙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내부 단속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리프트 밴드를 따라 승강됨에 따라 트러스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은 내부공간(102)에 내부 단속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내부공간(102)에 흙 등의 채움재가 담겨진 상태에서 이를 위로 들어 올렸을 경우, 하중에 의해 직육면체 백(1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내부 단속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단속수단은, 베이스 밴드(130), 리프트 밴드(134), 트러스 밴드(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육면체 백(100)의 바닥 안쪽면에는 대각선상으로 베이스 밴드(130)가 교차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의(130) 교차점은 직육면체 백(100)의 중앙부위가 된다.
베이스 밴드(130)의 교차점인 중앙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대략 사각 기둥형태의 리프트 밴드(13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리프트 밴드(134)의 각 면과, 베이스 밴드(13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걸쳐 트러스 밴드(1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트러스 밴드(132)의 일단은 리프트 밴드(134)의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트러스 밴드(132)의 타단은 베이스 밴드(13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트러스 밴드(132)의 타단은 베이스 밴드(130)에 더하여 상기 침하저감부(200)의 플레이트부(202)와도 고정,설치시킴으로써, 그 고정됨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트러스 밴드(132)의 일단은 리프트 밴드(134)의 일면에 대하여 고정결합될 때, 박음질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리프트 밴드(134)의 일면과 트러스 밴드(132)의 일면은 바깥쪽으로 일정간격만큼 돌출되는 돌출핀(136)에 의해서도 결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출핀(136)은 일정간격을 두고 3단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단 수에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리프트 밴드(134)를 따라 승강되면서, 돌출핀(136)과의 결합에 의해 트러스 밴드(13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재(138)가 구비되어 있다.
장력조절부재(138)는, 리프트 밴드(134)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에는 상기 돌출핀(136)과 대응하는 끼움홈(13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재(138)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인 것을 적용함으로써, 트러스 밴드(132)에 압력을 가하여 그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에서 트러스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밴드(134)의 각 면에 돌출된 돌출핀(136)들에 대하여 장력조절부재(138)의 끼움홈(139)이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트러스 밴드(132)가 비교적 큰 각도를 이루면서 장력이 다소 느슨해지게 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밴드(134)의 각 면에 돌출된 돌출핀(136)들에 대하여 장력조절부재(138)를 한 단 내려서 끼움홈(139)에 끼워 맞추게 되면, 트러스 밴드(132)가 아래로 압력을 받게 되면서 작은 각도를 이루어 장력이 조금 커지게 된다.
또,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밴드(134)의 각 면에 돌출된 돌출핀(136)들에 대하여 장력조절부재(138)를 한 단 더 내려서 끼움홈(139)에 끼워 맞추게 되면, 트러스 밴드(132)가 아래로 더 압력을 받게 되면서 더욱 작은 각도를 이루어 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핀(136)들에 대한 장력조절부재(138)의 끼움홈(139)을 끼워 맞춤에 따라 장력조절부재(138)를 승강시키게 됨으로써, 트러스 밴드(13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102)에 많은 양의 채움재를 담을 때, 그 양이 많아서 중량이 크게 나갈 경우에는, 도 10c와 같이 트러스 밴드(132)의 장력을 키워 양쪽 모서리 부위를 보다 강한 힘으로 잡아주도록 하고, 반대로 그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중량이 크게 나가지 않을 경우에는, 도 10a와 같이 트러스 밴드(132)의 장력을 원 상태로 하여 모서리 부위를 강한 힘으로 잡아주지 않도록 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중량에 따라 트러스 밴드(132)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형상유지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여기서 리프트 밴드(134) 및 트러스 밴드(132)의 결합부위에 돌출된 돌출핀(136)에 대하여 장력조절부재(138)의 끼움홈(139)을 끼워 맞추는 것은, 상기 리프트 밴드(134)가 연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단을 조절할 경우, 리프트 밴드(134)를 오므림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 밴드(134)의 선단에는 매달음부(140)를 별도로 고정,설치하거나 또는, 트러스 밴드(132)를 상부로 더 연장하여 매달음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직육면체 백 102 : 내부공간
104a,b : 덮개부 106 : 벨트
108 : 로킹부 110 : 홈
130 : 베이스 밴드 132 : 트러스 밴드
134 : 리프트 밴드 136 : 돌출핀
138 : 장력조절부 139 : 끼움홈
140 : 매달음부 200 : 침하저감부
202 : 플레이트부 204, 204-1, 204-2 : 돌기부

Claims (6)

  1.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고,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덮개부를 갖는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형성된 침하저감부와;
    상기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그 하부 중앙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내부 단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단속수단은,
    상기 직육면체 백의 바닥 안쪽면에는 대각선상으로 교차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의 교차점인 중앙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사각 기둥형태로 고정설치되는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과, 상기 베이스 밴드의 각 모서리 부위에 걸쳐 각각 고정설치되는 트러스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일면과 트러스 밴드의 일면의 결합면 바깥쪽으로 일정간격만큼 돌출되는 복수단의 돌출핀 및;
    상기 돌출핀과 대응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과 끼움홈의 끼워 맞춤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트러스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저감부는,
    상기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일정두께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일정간격만큼 아래로 돌출된 돌기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뿔 형태의 돌기부이거나 또는,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의 돌기부이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일정길이 및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둑판 형태로 교차되게 이루어진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밴드의 타단은 베이스 밴드에 더하여 상기 침하저감부의 플레이트부와도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20120032143A 2012-03-29 2012-03-29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23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43A KR101232212B1 (ko) 2012-03-29 2012-03-29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43A KR101232212B1 (ko) 2012-03-29 2012-03-29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12B1 true KR101232212B1 (ko) 2013-02-12

Family

ID=4789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143A KR101232212B1 (ko) 2012-03-29 2012-03-29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2038086B1 (ko) 2018-10-16 2019-10-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849B1 (ko) 1998-01-21 2000-04-15 이근희 호안구조물의 기초보강을 위한 단위부재 및 블럭매트와 그 시공방법
WO2005064086A1 (ja) * 2003-12-25 2005-07-14 Hiroyuki Kida 土嚢袋及び防水堤
JP2007239274A (ja) 2006-03-07 2007-09-20 Maeda Kosen Co Ltd 編み目の崩れない編地、及びそれよりなる土嚢袋材
KR20100058489A (ko) * 2007-08-21 2010-06-03 후토시 노모토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849B1 (ko) 1998-01-21 2000-04-15 이근희 호안구조물의 기초보강을 위한 단위부재 및 블럭매트와 그 시공방법
WO2005064086A1 (ja) * 2003-12-25 2005-07-14 Hiroyuki Kida 土嚢袋及び防水堤
JP2007239274A (ja) 2006-03-07 2007-09-20 Maeda Kosen Co Ltd 編み目の崩れない編地、及びそれよりなる土嚢袋材
KR20100058489A (ko) * 2007-08-21 2010-06-03 후토시 노모토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2038086B1 (ko) 2018-10-16 2019-10-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553A (ko) 스톤백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시공방법
KR101232212B1 (ko)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WO2012037889A1 (zh) 一种容物袋组及其制作方法和构成的挡墙
KR101327166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CN108999142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深水防波堤的施工方法
KR101386913B1 (ko)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KR101232214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232213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CN211312554U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KR102067784B1 (ko) 격막식 기초 보강 백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CN208965494U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US20130091798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CN208430481U (zh) 反滤层结构以及堤坝
CN209723025U (zh) 一种具有生态孔的挡土墙砌块
KR200410540Y1 (ko)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KR101327171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20120022532A (ko) 철근 콘크리트 단위 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시공방법
KR101217876B1 (ko) 구분선이 구비되는 돌망태 및 그 설치 방법
CN109024470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CN110747870A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垒砌方法、平铺方法
TW202223205A (zh) 擋土牆結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