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117B1 - 가설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17B1
KR101605117B1 KR1020140048515A KR20140048515A KR101605117B1 KR 101605117 B1 KR101605117 B1 KR 101605117B1 KR 1020140048515 A KR1020140048515 A KR 1020140048515A KR 20140048515 A KR20140048515 A KR 20140048515A KR 101605117 B1 KR101605117 B1 KR 10160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vertical
shape
temporary structure
out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397A (ko
Inventor
히로시 오히라
카츠야 오오타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4004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휴대가 용이해지는 가설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횡방향으로 놓인 철 코일의 틈새 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판을 형성하는 것이며, 철 코일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외부 테두리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 걸쳐 놓여 작업자의 하중을 직접 받치는 평판인 바닥면(10)과, 바닥면(10)의 철 코일과 접촉하는 각 측부에 연결되어 이 바닥면(10)과 함께 외부 테두리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이 외부 테두리 형상 내에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2개의 중공형 삼각 기둥을 구비하고, 2개의 삼각형 모양의 격자는, 외부 테두리 형상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설 구조물{Temporary Structure}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 내에 복수개 배치된 원통형 물품 상에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해 이용하는 가설 구조물(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무게나 사이즈에 대하여 큰 제한을 받지 않고 운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 코일(coil)이나 광석 등 대형이며 무게가 있는 물품의 장거리 운송에는 선박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선저(船底)의 화물창은 고강도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철 코일이나 광석 등 중량물은 이 선저에 설치된 화물창 내에 수용되어 운송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선저의 화물창 내에 수용하는 물품이 철 코일인 경우, 원통 형상의 철 코일이 운송 중에 이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묶여서 쌓아올려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 코일의 원주면 측이 화물창의 바닥 측이 되는 자세로, 바꾸어 말하면 원형의 상면과 하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자세로 화물창 내에 배치되고, 각 철 코일은 무너지지 않게 인접한 철 코일끼리가 철대(鐵帶) 등으로 결속된다. 도 8은, 화물창 내에 있어서 철 코일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런데, 철 코일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 등 중요한 부재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항해 중에 손상 등이 발생해 있지 않은지 작업자에 의해 체크할 필요가 있다. 선저의 화물창 내에서 이러한 체크를 실시할 경우, 작업자는 철 코일 상에, 혹은 인접한 철 코일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드나들며 걷게 된다. 하지만 원통 형상의 철 코일의 만곡된 원주면, 혹은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서는 충분히 발판을 확보할 수 없어 작업자가 떨어지거나 넘어질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작업자가 화물창 내에 수용된 철 코일 상을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는, 철 코일 사이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이면서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서 수평면을 얻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티로폼(styrofoam)을 발판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한 스티로폼을 발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스티로폼은 크게 되어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진 것이 되기 때문에 운반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티로폼은 접어 작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납 장소가 커진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선내 등 수용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화물 이외의 물품이 그 공간에 있어서 큰 장소를 차지해 버리는 것은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반이 쉬운 가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반이 쉽고 큰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횡으로 놓인 원통형 물품 사이의 틈새 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판을 형성하는 가설 구조물로서, 상기 원통형 물품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외부 테두리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인접한 상기 원통형 물품 사이에 걸쳐 놓여 상기 작업자의 하중을 직접 받치는 평판인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기 원통형 물품과 접촉하는 각 측부에 연결되어 그 바닥면과 함께 상기 외부 테두리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이 외부 테두리 형상 내에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2개의 중공형 삼각 기둥을 구비하며, 2개의 상기 삼각형 모양의 격자는, 상기 외부 테두리 형상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바닥면이 인접한 원통형 물품 사이에 걸쳐 놓여 있기 때문에, 그 바닥면에 의해 작업자는 발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가설 구조물의 상기한 외부 테두리 형상 내에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2개의 중공형 삼각 기둥을 구비하고, 이러한 삼각형 모양의 격자가, 바닥면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된 구조, 즉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가설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설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라스틱 골판지 등 얇은 평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운반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삼각 기둥은, 상기 바닥면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물품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이 바닥면의 측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이 원통형 물품의 원주면과 접하는 평판인 측부 경사면과, 상기 측부 경사면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평판인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한쪽의 측부에서 힌지 연결됨과 함께 다른 쪽의 측부에서 상기 측부 경사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바닥면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평판인 상현면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 및 2개의 상기 삼각 기둥은,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삼각 기둥은, 상기 측부 경사면이 바닥면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이 때문에 측부 경사면은 바닥면에서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면은 상기 측부 경사면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측부 경사면을 통해 수직면도 바닥면에서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현면은 수직면과 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측부 경사면 및 수직면을 통해 지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삼각 기둥으로 형성된 삼각 격자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은 측부 경사면이 연결되어 있는 각 측부에서 원통형 물품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그 바닥면의 이 측부 사이에서의 중앙 부분이 아래로 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이 중앙 부분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수직면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삼각 기둥 각각의 수직면에 의해 바닥면의 중앙 부분을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고, 이로써 중앙 부분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삼각 기둥으로 형성된 삼각 격자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현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직면이 측부 경사면의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직면이 측부 경사면의 쪽으로 쓰러져 삼각 기둥으로 형성된 삼각 격자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현면은 바닥면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바닥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 측부 경사면, 상기 수직면 및 상기 상현면으로 구성된 삼각 기둥의 측면 형상, 즉 삼각 격자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가설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얇은 평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바닥면과 2개의 삼각 기둥이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설 구조물은 1장의 평판으로 조립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설 구조물의 보관 시에는 해체하여 한 장의 평판으로 하고, 이 한 장의 평판을 각 힌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서 접은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큰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삼각 기둥은, 상기 측부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어 그 수직면을 지지하는 판 부재인 지지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부의 상기 중앙 부분에 생기는 휨으로 인하여 상기 수직면이 아래쪽으로 눌려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에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경사면에 있어서 일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잘라내어지고, 그 연결 부분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측부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는 측부 경사면의 일부에서 잘라낸 지지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립 시에 있어서 측부 경사면에서 지지편 부분을 절곡하여 수직면의 삽입구에 그 선단부를 삽입하기만 하면 지지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쉽게 지지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은 측부 경사면에서 잘라낸 일부이기 때문에 해체 시에 측부 경사면에 끼워 넣어 평판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별도로 지지 부재를 측부 경사면에 설치한 구성과 비교하여 부피가 커지지 않고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바닥면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되어 있는 부분과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미끄럼방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매달기용 구멍을 형성하는 1 이상의 환상부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환상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단에 후크(hook)가 설치된 로프(rope) 등을 이용하여 떨어진 장소에서 가설 구조물을 끌어올려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골판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설 구조물은, 운반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 올려놓인 가설 구조물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개도로 도시한 가설 구조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화물창 내에 있어서 철 코일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횡방향으로 놓인 철 코일(원통형 물품) 사이의 틈새 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판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1)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있어서 A 방향을 따라 본 가설 구조물(1)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측면 형상은 횡방향으로 놓인 철 코일 사이의 틈새에 가설 구조물(1)이 설치되었을 때에, 이 가설 구조물(1)을 철 코일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형상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 테두리 형상은 역삼각형이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1)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설 구조물의 구성)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 구조물(1)은, 바닥면(10), 우측 경사면(측부 경사면)(11), 좌측 경사면(측부 경사면)(12), 우측 수직면(수직면)(13), 좌측 수직면(수직면)(14), 우측 상현면(상현면)(15), 좌측 상현면(상현면)(16), 우측 지지부(지지부, 지지편)(17), 및 좌측 지지부(지지부, 지지편)(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바닥면(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 발을 올려놓는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면(10)은, 횡방향으로 놓인 철 코일의 축 방향에 따른 방향이 장변이 되고, 이 장변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이며,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서 횡가(橫架)하는 방향이 단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10)에 있어서 장변 방향을 길이 방향(C)이라고 칭하고, 단변 방향을 폭 방향(B)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바닥면(10)은, 도 2의 지면 상의 폭 방향(B)에서의 우단부에서 이 바닥면(1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 경사면(11)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10)은, 이 반대 측인 좌단부에서 이 바닥면(1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 경사면(12)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에는, 그 길이 방향(C)을 향해 복수의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0)에 의해 바닥면(10)에서 그 바닥면(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좌측 상현면(16) 및 우측 상현면(15)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바닥면(10) 부분과 좌측 상현면(16) 및 우측 상현면(15)의 노출되어 있는 부분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미끄럼방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의 폭 방향(B)을 장변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측면은 만곡되어 있다. 하지만, 개구부(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 형상이어도 좋고, 직사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10)에서 5개의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5개 이상이어도 좋고, 5개보다 적어도 좋다. 즉, 작업자가 보행하는 위치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개구부(20)는 어떤 개수 어떤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10)에 미끄럼방지 테이프 등 미끄럼방지 부재가 덧붙여져 있는 경우는 상술한 개구부(20)를 바닥면(10)에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다만, 미끄럼방지 부재를 덧붙이는 구성의 경우, 상술한 개구부(20)를 바닥면(10)에 마련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별도로 미끄럼방지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든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0)를 바닥면(10)에 마련하는 구성 쪽이 가설 구조물(1)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우측 경사면(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원통형 철 코일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우측 경사면(11)은, 바닥면(10)의 우단부와, 폭 방향(B)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세워진 우측 수직면(13)의 하단 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좌측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좌측 경사면(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경사면(11)과 마찬가지로 사용 시에 원통형 코일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면이다. 좌측 경사면(12)은, 바닥면(10)의 좌단부와, 폭 방향(B)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세워진 좌측 수직면(14)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우측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우측 수직면(13)(수직면)은, 우측 경사면(11)의 측부와 힌지 연결되고, 폭 방향(B)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평판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이 우측 수직면(13)은, 폭 방향(B)에서의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수직면(14)은, 좌측 경사면(12)의 측부와 힌지 연결되고, 우측 수직면(13)과 인접하여 배치된 평판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이 좌측 수직면(14)도 우측 수직면(13)과 마찬가지로, 폭 방향(B)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우측 수직면(13)과 좌측 수직면(14)으로 수직재(9)(도 1 참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직재(9)에 의해, 바닥면(10)의 폭 방향(B)에서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이 중앙 부분에서 발생하는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우측 상현면(15)은, 우측 수직면(13)과 한 쪽의 측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측부에서 우측 경사면(11)에 접촉하고 또한 바닥면(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평판으로 형성된 면이다. 우측 상현면(15)은, 바닥면(10)과 중첩함으로써 바닥면(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측부에서 우측 경사면(11)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우측 수직면(13)이, 우측 경사면(11) 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우측 수직면(13)과 인접한 후술하는 좌측 수직면(14)이, 우측 경사면(11) 측으로 쓰러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좌측 상현면(16)은, 좌측 수직면(14)과 한 쪽의 측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측부에서 좌측 경사면(12)에 접촉하고, 또한 바닥면(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평판으로 형성된 면이다. 좌측 상현면(16)도 우측 상현면(15)과 마찬가지로 바닥면(10)과 중첩함으로써 바닥면(1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다른 쪽의 측부에서 좌측 경사면(12)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좌측 수직면(14)이 좌측 경사면(12) 측으로 쓰러지는 등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좌측 수직면(14)과 인접한 우측 수직면(13)이, 좌측 경사면(12) 측으로 쓰러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면이 서로 힌지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설 구조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 물품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측면의 외부 테두리 형상은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부 테두리 형상 내에 삼각형 모양의 격자로서 2개의 중공형 삼각 기둥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2개의 삼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모양의 격자는, 외부 테두리 형상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가설 구조물(1)은, 우측 상현면(15)을 상현재, 우측 경사면(11)을 경사재, 우측 수직면(13)을 수직재(9)로 하는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중공형 삼각 기둥(제1 삼각 기둥)과, 좌측 상현면(16)을 상현재, 좌측 경사면(12)을 경사재, 좌측 수직면(14)을 수직재(9)로 하는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중공형 삼각 기둥(제2 삼각 기둥)을 결합한 이른바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가설 구조물(1)의 구조는, 사용 시에 있어서는, 바닥면(10)과 우측 경사면(11)의 연결 부분인 우절점(30)과, 바닥면(10)과 좌측 경사면(12)의 연결 부분인 좌절점(31)에, 주로 수직 방향 하향 하중이 걸려 바닥면(10) 상을 보행하는 작업자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 올려놓인 가설 구조물(1)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가설 구조물(1)에 주로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가설 구조물(1)은,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져 우절점(30)과 좌절점(31) 사이에서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설 구조물(1)은,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얇은 플라스틱 골판지 등의 소재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볍고 또한 그 분해 시에 있어서 큰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 구조물(1)은, 사용 시에 있어서 우측 경사면(11)은 우절점(30)을 지점으로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고, 또한 우측 수직면(13)도 이 우측 경사면(11) 통해 소정 위치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경사면(12)은 좌절점(31)을 지점으로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고, 또한 좌측 수직면(14)도 이 좌측 경사면(12)을 통해 소정 위치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우측 수직면(13) 및 좌측 수직면(14)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재(9)가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쑥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 시에 있어서, 수직재(9)가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쑥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수직재(9)에 의해, 바닥면(10)의 폭 방향(B)에서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이 중앙 부분에서 발생하는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측면 형상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치수가 약 350mm, 우측 경사면(11) 및 좌측 경사면(12)의 치수가 약 400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각 치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면 형상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치수가 약 300mm, 우측 경사면(11) 및 좌측 경사면(12)의 치수가 약 300mm이어도 좋다. 이러한 측면 형상에서의 치수는 선저의 화물창 등에 수용되어 있는 철 코일의 치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설 구조물(1)의 길이 치수, 즉 바닥면(10)의 길이 방향(C)의 치수는 약 1m이다. 하지만, 이 치수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면(10)의 길이 방향(C)의 치수가 길어질수록 필요로 하는 가설 구조물(1)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반면, 각 가설 구조물(1)의 사이즈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거리와, 가설 구조물(1)을 전개하여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데 적절한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폭 방향(B)에서의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의 휨으로 인한 힘이 작용하여 수직재(9)가 좌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를 더 구비한다. 우측 지지부(17)는, 우측 경사면(11)과 수직재(9)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재(9)가 우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좌측 지지부(18)는, 좌측 경사면(12)과 수직재(9)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재(9)가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경사면(11)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한 우측 지지부(17)를 바닥면(10)과 우측 경사면(11)의 힌지 연결 부분에서 절곡하여 수직재(9)를 향해 연장시키도록 배치한다. 이로써 수직재(9)가 우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지지부(18)는, 우측 지지부(17)와 마찬가지로, 좌측 경사면(12)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한 좌측 지지부(18)를 바닥면(10)과 좌측 경사면(12)의 힌지 연결 부분에서 절곡하여 수직재(9)를 향해 연장시키도록 배치한다. 이로써 수직재(9)가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가설 구조물(1)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에서는, 바닥면(10)의 길이 방향(C)에서의 단부 근방에 작업자가 섰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수직재(9)의 좌굴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도 4에서는, 바닥면(10)의 휨과 수직재(9)의 좌굴의 예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의 길이 방향(C)에서의 양단부 근방 각각에,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의 쌍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 각각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한 지지편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 각각은, 도 5에 있어서 바닥면(10)과 우측 경사면(11)의 힌지 연결 부분, 바닥면(10)과 좌측 경사면(12)의 힌지 연결 부분 각각과 접하는 부근을 남기고 우측 경사면(11) 및 좌측 경사면(12)에서 잘라내어져 있다.
이 때문에,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는, 도 5에 있어서 바닥 (10)과의 힌지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우측 경사면(11)에서 바닥면(10) 측으로, 아울러 좌측 경사면(12)에서 바닥면(10) 측으로 각각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를 형성하는 지지편의 선단부에는, 볼록부(17a,1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수직면(13)에는, 폭 방향(B)에 있어서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 각각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가설 구조물(1)의 전개 상태에서 이 가설 구조물(1)을 조립할 때에, 우측 지지부(17)의 볼록부(17a) 및 좌측 지지부(18)의 볼록부(18a)를 이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설 구조물(1)의 수직재(9)가 좌굴하는 때가 없는 경우는, 상술한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
(조립 방법)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상술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삼각 기둥 중 제1 삼각 기둥의 조립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전개 상태에서, 바닥면(10)과 우측 경사면(11)의 힌지 연결 부분에서 우측 경사면(11)을 바닥면(10)을 향해 접는다. 또한, 우측 경사면(11)과 우측 수직면(13)의 힌지 연결 부분에서 우측 수직면(13)을 우측 경사면(11)을 향해 접는다. 이때, 우측 수직면(13)과 우측 상현면(15)의 힌지 연결 부분이 폭 방향(B)에 있어서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에 접촉하고 또한 그 바닥면(1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우측 상현면(15)과 우측 수직면(13)의 힌지 연결 부분에서 우측 상현면(15)을 우측 수직면(13)을 향해 접어 우측 상현면(15)이 바닥면(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우측 상현면(15)의 단부는 우측 경사면(11)과 접촉한다.
좌측에 배치된 제2 삼각 기둥에 대해서도 제1 삼각 기둥과 마찬가지로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1,2 삼각 기둥 각각을 조립하면 우측 수직면(13)에 형성된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수직면(14)에 형성된 좌측 삽입구(22)를 중첩하고, 우측 지지부(17)의 볼록부(17a) 및 좌측 지지부(18)의 볼록부(18a)를 이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에 끼워 넣는다.
볼록부(17a) 및 볼록부(18a)는, 서로가 교차하는 것과 같은 위치 관계로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에 삽입할 수 있도록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7a)의 폭 치수와 볼록부(18a)의 폭 치수를 더한 치수가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의 치수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17a)와 볼록부(18a)를 함께 우측 삽입구(21) 및 좌측 삽입구(22)에 끼워 넣음으로써 우측 지지부(17) 및 좌측 지지부(18)를 수직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 삼각 기둥 내에 있어서 우측 지지부(17)를 고정하고, 제2 삼각 기둥 내에 있어서 좌측 지지부(18)를 고정시켜 수직재(9)가 폭 방향(B)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복수의 평판을 접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의 네 모서리 근방에, 이 가설 구조물(1)을 후크로 걸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매달기용 구멍을 형성하는 환상부(19)가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개도에서 나타낸 가설 구조물(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상부(19)는 다음과 같이 하여 마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10)의 네 모서리 근방에 U자 모양으로 홈을 낸다. 이 U자 모양의 홈 부분에서는, U자형 모양의 개구 측이 바닥면(10)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U자형 모양의 홈 부분을 바닥면(10)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세운다. 이렇게 하여 바닥면의 네 모서리에 환상부(19)를 각각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환상부(19)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가설 구조물(1)에서 떨어진 장소이어도 선단에 후크를 장착한 로프를 던져 이 환상부(19)의 구멍에 걸고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이 가설 구조물(1)을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환상부(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면(10)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부재로 형성된 환상부(19)를 바닥면(10)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환상부(19)의 개수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 이상이면 된다. 또한, 환상부(19)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면(10)의 네 모서리 근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이고 또한 예를 들면 후크 등을 걸기 쉬운 임의의 위치이면 족하다. 또한, 환상부(19)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U자형 모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사각형 모양이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후크 등을 걸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진 골판지(플라스틱 골판지)로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골판지는, 판지로 만든 골판지에 비해 강도와 내구성, 내수성이 강하여 반복 이용에 견딜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인접한 철 코일 사이에 있어서 형성된 틈새의 형상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설 구조물(1)은 이 틈새에 빈틈없이 끼워 넣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을 형성하는 부재는, 이 플라스틱 골판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가설 구조물(1)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는 임의의 평판 부재이면 족하다.
또한, 가설 구조물(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면끼리는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절곡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 힌지 연결 부분은, 플라스틱 골판지에서의 절곡 위치에 홈을 냄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홈의 에지(edge) 부분에는 라운드(round) 처리되어 있으며, 절곡 부분에 접촉하여 근로자가 부상 등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힌지 연결 부분은 상술한 홈으로 실현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평판끼리를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2개의 삼각 기둥으로 구성된 트러스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골판지 등 얇은 시트 모양의 소재로 조립해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골판지 등 박판 소재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설 구조물(1)을 해체하면 1장의 시트 모양이 되기 때문에 그 보관 시 에는 큰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예가 분명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양태를 당업자에게 교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에 대해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1)은, 복수의 철 코일 등 원통형 물품이 수납된 공간에 있어서 작업자가 그 원통형 물품 위를 이동할 때의 발판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운반이 쉽고 또한 큰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이 효과의 중요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다양한 발판으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가설 구조물
10: 바닥면
11: 우측 경사면
12: 좌측 경사면
13: 우측 수직면
14: 좌측 수직면
15: 우측 상현면
16: 좌측 상현면
17: 우측 지지부
17a: 볼록부
18: 좌측 지지부
18a: 볼록부
19: 환상부
30: 우절점
31: 좌절점

Claims (7)

  1. 횡방향으로 놓인 원통형 물품 사이의 틈새 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판을 형성하는 가설 구조물로서,
    상기 원통형 물품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외부 테두리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인접한 상기 원통형 물품 사이에 걸쳐 놓여 상기 작업자의 하중을 직접 받치는 평판인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기 원통형 물품과 접촉하는 각 측부에 연결되어 그 바닥면과 함께 상기 외부 테두리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외부 테두리 형상 내에 삼각형 모양의 격자를 형성하는 2개의 중공형 삼각 기둥을 구비하며,
    2개의 상기 삼각형 모양의 격자는, 상기 외부 테두리 형상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이 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기둥은,
    상기 바닥면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물품의 축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바닥면의 측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원통형 물품의 원주면과 접하는 평판인 측부 경사면과,
    상기 측부 경사면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평판인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한쪽의 측부에서 힌지 연결됨과 함께 다른 쪽의 측부에서 상기 측부 경사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바닥면과 중첩하도록 배치된 평판인 상현면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 및 2개의 상기 삼각 기둥은, 전체로서 평면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기둥은, 상기 측부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면을 지지하는 판 부재인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에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경사면에서 일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잘라내어지고, 그 연결 부분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측부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달기용 구멍을 형성하는 1 이상의 환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골판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KR1020140048515A 2014-04-23 2014-04-23 가설 구조물 KR10160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5A KR101605117B1 (ko) 2014-04-23 2014-04-23 가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5A KR101605117B1 (ko) 2014-04-23 2014-04-23 가설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97A KR20150122397A (ko) 2015-11-02
KR101605117B1 true KR101605117B1 (ko) 2016-03-21

Family

ID=5459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15A KR101605117B1 (ko) 2014-04-23 2014-04-23 가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943A (ja) 1998-05-14 2000-02-02 Ecology Kaihatsu:Kk 円筒状製品搬送用支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943A (ja) 1998-05-14 2000-02-02 Ecology Kaihatsu:Kk 円筒状製品搬送用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97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221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securing items in a cargo bed
US20050242141A1 (en) Cargo platform with foldable walls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EP3290346B1 (en) Cargo layer for a pallet
KR101605117B1 (ko) 가설 구조물
US3115105A (en) Pallet and support station useful in pallets and the like
JP6650255B2 (ja) 段ボール組立構造体、コンテナによる輸送方法、及び、コンテナによる海上輸送方法
KR100790343B1 (ko) 접철식 파렛트
US20180290789A1 (en) Drum stacking assembly
EP2733081A1 (en) A corner post
JP5952688B2 (ja) パレット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JP2010168898A (ja) 注意喚起用具および注意喚起用具の折りたたみ方法
JP2006021784A (ja) 重量物用パレット
JP6018558B2 (ja) 仮設構造物
JP6313099B2 (ja) 仮設構造物
EP3819226B1 (en) Pallet
JP6264369B2 (ja) 荷物積載用敷台
JP5773427B2 (ja) 樹脂パレット
KR101110857B1 (ko) 블록 지지장치용 지지캡
JP6689141B2 (ja) 移動式足場台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JP2008162694A (ja) パレット
CN103101829B (zh) 乘客输送机的输送用夹具及乘客输送机的输送方法
KR200414203Y1 (ko) 접이식 저장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