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342Y1 -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 Google Patents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342Y1
KR200433342Y1 KR2020060026175U KR20060026175U KR200433342Y1 KR 200433342 Y1 KR200433342 Y1 KR 200433342Y1 KR 2020060026175 U KR2020060026175 U KR 2020060026175U KR 20060026175 U KR20060026175 U KR 20060026175U KR 200433342 Y1 KR200433342 Y1 KR 200433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frame
wall portion
circumferential
c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진
Original Assignee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캡스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26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재가 가능하고, 회수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새로운 형태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저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단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단변측 둘레벽부 및 장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장변측 둘레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인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 끝단에는 다른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끝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가 제공된다.
크레이트, 둘레벽부, 접힘, 적층

Description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a crat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장변측 둘레벽부 중 어느 하나의 장변측 둘레벽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장변측 둘레벽부가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둘레벽부 중 장변측 둘레벽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둘레벽부 중 단변측 둘레벽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둘 이상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프레임부 111,112. 둘레 프레임
120. 연결 프레임 200. 단변측 둘레벽부
300. 장변측 둘레벽부 210,310. 하단 프레임
211,311. 연결부 220,320. 연결 프레임
230,330. 상단 프레임 400. 결합부
본 고안은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재가 가능하고, 회수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새로운 형태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이트(crate)는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상자로써, 그 내부에 각종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적재 공간을 갖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통상 무거운 물품의 안정적인 적재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크레이트는 서로 간의 안정적인 적재를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음에 따라 대규모로 적재하였을 경우 어느 한 측으로 쓰러질 수 있다는 안전상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그 형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물품의 배송 이후 회수시에도 물품의 배송시와 동일한 공간이 필요시됨에 따라 운송비로 소요되는 비용이 큼으로써 제대로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크레이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가 가능하고, 회수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새로운 형태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저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단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단변측 둘레벽부 및 장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장변측 둘레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인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 끝단에는 다른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끝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은 그의 둘레를 이루는 각 둘레 프레임과, 상기 각 둘레 프레임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둘레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는 상기 둘레 프레임에 접힘, 세워짐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로 결합되는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과는 별도의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되면서 그의 세워짐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연결부는 경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와 단변측 둘레벽부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은 다른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힘 위치가 높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각 프레임과 상기 둘레벽부의 각 프레임은 내부가 빈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그의 둘레를 이루는 각 둘레 프레임과, 상기 각 둘레 프레임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둘레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 프레임은 상기 각 둘레벽부의 상단 내부에 요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그 적층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크게 저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둘레 벽을 형성하는 둘레벽부(200,30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저부를 이루는 부위로써, 그의 둘레를 이루는 두 쌍의 둘레 프레임(111,112)과, 상기 각 둘레 프레임(111,112)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둘레 프레임(111,112)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둘레 프레임(111,112) 중 한 쌍의 단변측 둘레 프레임(112)은 한 쌍의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에 비해 그 상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한 쌍의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의 양 끝단 상면에 상기 한 쌍의 단변측 둘 레 프레임(112)의 양 끝단이 얹히도록 형성하면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중앙측에 별도의 중앙측 프레임(113)을 추가로 설치하여, 각 단변측 둘레 프레임(112)의 중앙 부위 및 각 연결 프레임(120)의 중앙 부위가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둘레벽부(200,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둘레벽부(200,300)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둘레 벽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각 둘레 프레임(111,1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을 향해 선택적인 접힘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둘레벽부(200,300)는 단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단변측 둘레벽부(200) 및 장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장변측 둘레벽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각 둘레벽부(200,300)들은 하단 프레임(210,310)과 연결 프레임(220,320) 및 상단 프레임(230,33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두 장변측 둘레벽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한 장변측 둘레벽부(30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인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내부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혹은, 적재된 물품을 반출하는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첨부된 도 3과 같이 두 장변측 둘레벽부(300) 모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인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단 프레임(210,3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둘레 프레임(111,112)의 상면에 접힘이나 세워짐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211,311)로 결합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211,311)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1,311)가 경첩으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상단 프레임(220,320)은 상기 연결 프레임(230,330)에 의해 상기 하단 프레임(210,310)과 일체형을 이루면서 그의 세워짐이 이루어졌을 경우 해당 둘레벽부(200,300)의 상단을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상기 각 둘레벽부(200,300)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 끝단(상단 프레임의 양 끝단)에는 다른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끝단(상단 프레임의 양 끝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4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어느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 끝단에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400)가 단변측 둘레벽부(200)를 이루는 상단 프레임(230)의 양 끝단에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내부로 장변측 둘레벽부(300)를 이루는 상단 프레임(330)의 양 끝단이 결합될 경우 볼트 체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서로 간이 결합된 이후에는 모든 둘레벽부(200,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장변측 둘레벽부(300)와 단변측 둘레벽부(200)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210,310)은 다른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210,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힘 위치가 높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 기 단변측 둘레벽부(200)의 하단 프레임(210)이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300)의 하단 프레임(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힘 위치가 높게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각 둘레벽부(200,300)를 접을 경우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300)가 먼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접혀진 장변측 둘레벽부(300)의 상단으로 단변측 둘레벽부(200)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기 전술된 바와 같이 각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의 양 끝단 상면에 각 단변측 둘레 프레임(112)의 양 끝단을 얹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둘레 프레임(111,112) 간의 높이차에 의해 각 둘레벽부(200,300)의 접힘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은 회수 등과 같이 물품 적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운반시 전체적인 부피를 최대한 축소함으로써 보관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각 프레임(111,112,120)들과 상기 각 둘레벽부(200,300)의 각 프레임(210,220,230,310,320,330)들은 내부가 빈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체적인 무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이 추가로 제시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각 둘레 프레임(111,112) 중의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이 상기 각 둘레벽부(200,300)의 상단 내부에 요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의 양 끝단은 단변측 둘레벽부(200)의 상단 프레임(230) 내면에 받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의 외측면은 장변측 둘레벽부(300)의 상단 프레임(330) 내면에 받쳐지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사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둘레벽부(200,300) 중 두 장변측 둘레벽부(3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물품을 적재하고, 상기 물품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각 둘레벽부(200,300) 중 한 쌍의 장변측 둘레벽부(300)를 각각 세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장변측 둘레벽부(300)를 이루는 상단 프레임(330)의 양 끝단은 상기 한 쌍의 단변측 둘레벽부(200)를 이루는 상단 프레임(230)의 양 끝단에 설치된 결합부(400) 내에 요입된다. 이후 볼트로써 상기 결합부(400)와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300)를 이루는 상단 프레임(330)의 양 끝단을 서로 고정함으로써 결국, 한 쌍의 장변측 둘레벽부(030)와 한 쌍의 단변측 둘레벽부(200)는 상호 지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에 적재된 물품을 모두 내린 이후에 상기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회수하여 반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둘레벽부(200,300)를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으로 접는다.
이는, 첨부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각 둘레벽부(200,300) 간을 결합하는 결 합부(400)를 제거한 후 첨부된 도 4와 같이 각 둘레벽부(200,300) 중 한 쌍의 장변측 둘레벽부(300)를 먼저 접은 후 첨부된 도 5와 같이 한 쌍의 단변측 둘레벽부(200)를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30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접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회수시에는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배송 공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를 둘 이상 적층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하단에 위치된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둘레벽부(200,300) 내로 상단에 위치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의 각 장변측 둘레 프레임(111)을 요입함으로써 상기 상단에 위치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각 둘레벽부가 완전히 펼쳐지거나 세워지거나 혹은, 완전히 접힐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각 둘레벽부를 세웠을 경우 각 둘레벽부 서로 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는 적어도 둘 이상을 적층하더라도 해당 적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저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단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단변측 둘레벽부 및 장변측 둘레 벽을 형성하는 장변측 둘레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벽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인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 끝단에는 다른 한 둘레벽부의 상측 양끝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은 그의 둘레를 이루는 각 둘레 프레임과, 상기 각 둘레 프레임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둘레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벽부는 상기 둘레 프레임에 접힘, 세워짐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로 결합되는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과는 별도의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되면서 그의 세워짐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경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측 둘레벽부와 단변측 둘레벽부 중 어느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은 다른 한 둘레벽부의 하단 프레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힘 위치가 높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각 프레임과 상기 둘레벽부의 각 프레임은 내부가 빈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그의 둘레를 이루는 각 둘레 프레임과, 상기 각 둘레 프레임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둘레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둘레 프레임은 상기 각 둘레벽부의 상단 내부에 요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그 적층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KR2020060026175U 2006-09-27 2006-09-27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KR200433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75U KR200433342Y1 (ko) 2006-09-27 2006-09-27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75U KR200433342Y1 (ko) 2006-09-27 2006-09-27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746A Division KR20080028734A (ko) 2006-12-28 2006-12-28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342Y1 true KR200433342Y1 (ko) 2006-12-11

Family

ID=4178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75U KR200433342Y1 (ko) 2006-09-27 2006-09-27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3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06B1 (ko) 2016-04-21 2016-07-22 김일태 안정 고정 크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06B1 (ko) 2016-04-21 2016-07-22 김일태 안정 고정 크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6232B1 (en) Collapsible container
WO2011071076A1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US11040800B2 (en) Collapsible dunnage box
KR200431994Y1 (ko)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829160B1 (ko) 부품 운반용 카트
CN110641849A (zh) 托盘箱
CN113329956A (zh) 具有角部锁定结构的折叠式集装箱
US20210331832A1 (en) Collapsible storage and transportation unit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JP2002145368A (ja) 通い箱
KR102268567B1 (ko) 확장형 파렛트
JP2500245B2 (ja) パレット容器
KR101541468B1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KR20080028734A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JP4373302B2 (ja) 平台車
KR102390994B1 (ko) 적재용 파렛트
KR102328833B1 (ko) 조립식 파레트
CN113365927B (zh) 折叠式集装箱的前板和后板旋转支撑部件
KR200414203Y1 (ko) 접이식 저장랙
KR200498141Y1 (ko)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JP2012041159A (ja) パレットラック
JP7220496B1 (ja) 組立式物品棚
JP2005041545A (ja) 組立式物品収納容器
US20050230283A1 (en) Foldable accommodat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