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667A -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667A
KR20190020667A KR1020187035822A KR20187035822A KR20190020667A KR 20190020667 A KR20190020667 A KR 20190020667A KR 1020187035822 A KR1020187035822 A KR 1020187035822A KR 20187035822 A KR20187035822 A KR 20187035822A KR 20190020667 A KR20190020667 A KR 2019002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signed
marking device
marking
ste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트 가르트너
토마스 노파첵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2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수송 시스템 (1) 및 기존의 승객 수송 시스템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객 수송 시스템은 복수의 계단 유닛들 (17), 콤 플레이트 (27),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및 마킹 디바이스 (45) 를 갖는다. 계단 유닛들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잇달아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마킹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도록 설계된다. 활성화될 때에, 마킹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및/또는 규정된 방식으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에 마킹 (57) 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의 충돌들이 방지될 수 있고, 계단 유닛들의 충돌의 위험성은 마킹 디바이스에 의해 유닛들에 부착된 마킹을 사용하여 보수 유지 직원들에 의해 빠르고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와 같은 승객 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객 수송 시스템들은 예를 들면 빌딩들에서 상이한 레벨들 사이에서 또는 일정한 레벨 내로 승객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종종 또한 이동하는 계단들로 칭해지는 에스컬레이터들은 예를 들면, 하나의 플로어로부터 또 다른 플로어로 빌딩에서 승객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무빙 워크웨이들은 수평의 평면 또는 단지 약간 경사진 평면에서 플로어 내에 승객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승객 수송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승객들이 서있을 수 있고 승객 수송 시스템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복수의 계단 유닛들을 가질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들의 경우에, 계단 유닛들은 또한 계단들로서 칭해진다. 무빙 워크웨이들의 경우에, 계단 유닛들은 전형적으로 팔레트들로서 칭해진다. 계단 유닛들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주조 부품들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향으로 향하는 계단 유닛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트레블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의 리브들 및 그 사이에서 종방향의 그루브들에 의해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계단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그리고 잇달아 존재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계단 유닛들은 예를 들면, 승객 수송 시스템의 정상 작동 중에 컨베이어 체인과 같은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규칙적인 간격들로 상호 연결된다.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잇달아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는 예를 들면, 계단 유닛들이 일반적으로 가이드 롤 요소들 또는 가이드 슬라이드 요소들에서 롤링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또는 레일에 의해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들은 일반적으로 이동 경로의 단부들 근처에서 승객 수송 시스템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콤 플레이트들은 이동 경로에 대해 그리고 따라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계단 유닛들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콤 플레이트들은 승객 수송 시스템의 움직이지 않는 구조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계단 유닛들 사이의 전이부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콤 플레이트의 치형부들은 계단 유닛의 종방향의 리브들 사이에서 종방향의 그루브들과 맞물린다. 승객 수송 시스템이 정상적인 작동일 때에, 계단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콤 플레이트들 바로 아래에 연이어 이동된다. 각각의 계단 유닛의 상부 면과 하부 면 또는 콤 플레이트의 치형부들 사이의 갭은 이러한 경우에 가능한 한 작아야 하고, 예를 들면 2 mm 보다 작아야하고, 따라서 예를 들면 대상들이 콤 플레이트와 계단 유닛 사이로 떨어지거고 대상들 또는 신체 부분들이 갭에서 포획되는 것이 불가능해야 한다.
승객 수송 시스템들의 예들 및 그 구성 요소들의 상세들은 WO 2009047146 A1 및 EP 0 924 157 B1 에 상술되어 있다.
특정한 배치들에서, 이동하는 계단 유닛들과 움직이지 않는 계단 유닛들 사이의 충돌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된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계단 유닛들의 가이드 롤 요소들 또는 가이드 슬라이드 요소들에서 마모는 그것들이 변위될 때에 상기 계단 유닛들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안내되지 못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의 약간의 편차는 특히 계단 유닛이 콤 플레이트 아래로 안내되어야 할 경우, 계단 유닛이 갭을 통해 콤 플레이트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지 않고, 대신에 직접적으로 상기 콤 플레이트에 대해 마찰될 수 있거나 또는 최악에는, 상기 계단 유닛의 전방 면이 콤 플레이트와 충돌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계단 유닛이 예를 들면 백래시로 인해, 수평의 축선 주위로 팁핑되고, 그후 콤 플레이트 아래로 통과하기 직전에, 승객에 의한 부하를 받아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전방 에지가 상향으로 푸시되고 그후 콤 플레이트와 충돌하는 경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계단 유닛들과 콤 플레이트들 사이의 충돌들은 승객 수송 시스템에 대한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객 수송 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되어야 하고 승객 수송 시스템은 서비스를 받아야 하며, 이는 긴 작업 중단 기간을 발생시킨다. 보수 유지 중에, 충돌을 발생시키는 계단 유닛에서는 마모된 또는 손상된 구성 요소들을 수리하거나 또는 교체함으로써 승객 수송 시스템을 다시 작동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지가 확인되어야만 한다.
그 중에서도,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의 충돌들로 인한 승객 수송 시스템의 손상 위험성이 감소되고 및/또는 이러한 종류의 충돌들에 의해 발생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의 작업 중단 기간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짧아질 수 있는 승객 수송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요구는 독립항에 따른 승객 수송 시스템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요구는 또한 독립항에 따른 기존의 승객 수송 시스템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에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승객 수송 시스템은 복수의 계단 유닛들, 콤 플레이트,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마킹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제안된다. 계단 유닛들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잇달아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마킹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도록 설계된다. 활성화될 때에, 마킹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및/또는 규정된 방식으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과 공간적으로 관련된 계단 유닛에 마킹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마킹 디바이스는 또한 이미 계단 유닛에 존재하는 독특한 마킹을 확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기존의 승객 수송 시스템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승객 수송 시스템은 복수의 계단 유닛들 및 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계단 유닛들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잇달아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는 이동 경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된다. 방법은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마킹 디바이스를 승객 수송 시스템에 개량 장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의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마킹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계된다. 활성화될 때에, 마킹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및/또는 규정된 방식으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에 마킹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무엇보다도 그리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아래에 설명된 사상 및 결과에 기초하여 고려될 수 있다.
도입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객 수송 시스템들의 경우에, 이동하는 계단 유닛들과 움직이지 않는 콤 플레이트들 사이에 충돌 위험성들이 존재한다. 최대한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의 수리 또는 서비스 비용을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특정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승객 수송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결함있거나 또는 마모되어 승객 수송 시스템의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더이상 정확하게 이동하지 않는 계단 유닛들을 확인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각각의 계단 유닛에 대해 개별적인 기간 중에 또는 상기 계단 유닛이 이동 경로의 특정한 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 또는 실제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가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 또는 실제 이동 경로가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와 상응하는 지 또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 사이에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 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전 결정된 허용오차 값을 초과하는 편차들이 존재한다면, 이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고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더이상 충분히 정확하게 안내되지 않고, 대신에 그로부터 위험하게 벗어날 수 있어서, 콤 플레이트와 충돌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로 간주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검출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결과로서 승객 수송 시스템은 충돌 위험이 있을 때에 계단 유닛의 적절한 보수 유지 또는 수리가 행해질 때까지 완전한 중단 또는 적어도 그 작동을 변경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종종 보수 유지 또는 수리 직원이 충돌 위험이 있는 계단 유닛을 신뢰성있게 확인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계단 유닛들이 예를 들면 마모로 인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도록 모든 계단 유닛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체크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또한 승객 수송 시스템을 위해 마킹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마킹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마킹들은 하나 이상의 계단 유닛들에 적용될 수 있고 및/또는 기존의 독특한 마킹들이 확인될 수 있다. 이들 마킹들은 그후 보수 유지 또는 수리 직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마킹 디바이스는 그후 상호 작용하여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이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난 것을 검출하는 순간 마킹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로서 마킹 디바이스는 적절하게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에 마킹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계단 유닛을 확인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마킹 디바이스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이 아니라 규정된 방식으로 상기 계단 유닛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을 마킹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계단 유닛 뿐만 아니라, 규정된 방식으로 상기 계단 유닛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을 마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차후의 하나의, 두개의 또는 더 많은 계단 유닛들이 마킹 디바이스에 의해 마킹될 수 있다.
적용된 마킹들을 기초로 하여, 보수 유지 또는 수리 직원은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계단 유닛들 중 어느 것이 잠재적인 충돌의 위험성을 갖는 것으로서 확인되는 지를 매우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고, 그후 긴 시간 동안의 조사 없이 상기 계단 유닛을 서비스,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킹 디바이스는 광학적으로 지각 가능한 마킹으로서 마킹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광학적으로 지각 가능한 마킹"은 육안으로 서비스 직원에 의해 보여질 수 있는 마킹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마킹된 계단 유닛이 부가적인 지원들 없이, 즉 특히 공구들 없이, 및 따라서 매우 간단하게 확인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또한 마킹이 광학적으로 지각 불가능하도록 마킹을 설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킹들은 예를 들면 육안으로 볼 수 없지만, 대신에 단지 적절한 공구들에 의해서만 보여질 수 있는 계단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킹은 단지 UV 램프로부터의 UV 라이트 하에서만 보여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킹 디바이스는 무접촉으로 계단 유닛에 마킹을 적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무접촉으로"는 마킹 디바이스가 마킹 중에 계단 유닛을 터치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마킹 중에 마찰이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마모도 존재하지 않는다. 추가로,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마킹 디바이스가 접촉에 기초된 방식으로 계단 유닛들에 마킹할 수 있는 경우에서와 같이, 정확하게 계단 유닛들의 이동 경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몇 밀리미터로 마킹 디바이스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승객 수송 시스템은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는 페인트가 마킹될 계단 유닛에 분사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는 계단 유닛을 터치할 필요없고 그 위치 및/또는 배향에 관해 단지 개략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임의의 원하는 물질들은, 그것들이 마킹될 계단 유닛에 신뢰성있게 접착되고 바람직하게 또한 광학적으로 지각 가능한 한, 분사될 페인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페인트는 상이한 타입의 마킹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된 마킹 디바이스는 펜 타입을 마킹될 계단 유닛에 가깝게 이동시킬 수 있다. 칼라형 접착제 스트립들이 또한 마킹될 계단 유닛에 가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킹 디바이스는 하부 면 및/또는 그 측방향의 플랭크에서 마킹을 계단 유닛에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계단 유닛의 하부 면은 그 상부 측에서 계단 유닛의 계단 표면에 대향되고, 상기 계단 표면에서 승객 수송 시스템의 유저는 서 있을 수 있다. 측방향의 플랭크들은 계단 유닛의 하부 면과 계단 표면 사이로 연장된다. 계단 유닛의 양쪽 하부 측 및 측방향의 플랭크들은 전형적으로 승객 수송 시스템의 유저에게 보여질 수 없어서, 그에 적용된 마킹들은 상기 유저에 의해 보여질 수 없고 따라서 유저를 방해하거나 거슬리게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마킹들은 보수 유지 또는 수리 절차의 일부로서 서비스 직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측으로부터 또는 아래로부터의 마킹을 위해 제공된 마킹 디바이스는 계단 유닛들의 이동 경로 아래에 또는, 예를 들면 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개별적인 계단 유닛들은 이미 제조 프로세스로 인해 명확히 구별 가능한 마킹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마킹은 예를 들면 시리얼 프로덕션 넘버, 바코드, 통합형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킹 디바이스는 독특하게 각각의 계단 유닛에 할당될 수 있는 기존의 마킹을 검출하고 확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킹 디바이스는 카메라, RFID 판독 디바이스 등과 같은 검출 디바이스이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기계적으로 액츄에이팅되는 위치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의 편차가 존재한다면 기계적으로 액츄에이팅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환언하면, 예를 들면 버튼, 감지 수단, 스위치 또는 다른 타입의 기계적 센서의 형태의 위치 검출기가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승객 수송 시스템 내측에 배열될 수 있어서 상기 센서는 단지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이 그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날 때에만 액츄에이팅된다.
"위치 검출기를 액츄에이팅하는 것"은 위치 센서가 상태의 변경을 검출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환언하면, 위치 센서를 형성하는 버튼은 액츄에이팅되지 않을 때 눌려지지 않을 수 있고 눌러짐으로써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반대로, 그러나, 버튼은 역시 액츄에이팅되지 않을 때에 눌려질 수 있고, 해제됨으로써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환언하면, 위치 검출기는 "정상적으로 개방된" 종류 또는 "정상적으로 폐쇄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승객 수송 시스템은 컨베이어 체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계단 유닛은 컨베이어 체인에 그리고 컨베이어 체인에 의해 이동되도록 기계적으로 규정된 위치에 연결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그후 컨베이어 체인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된다.
환언하면, 모든 계단 유닛들은 이동 경로를 따라 함께 계단 유닛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통의 컨베이어 체인에서 그들 각각의 위치들에 부착된다. 직접적으로 이러한 계단 유닛에서 개별적인 계단 유닛의 위치가 검출되는 대신에, 상기 위치는 모니터링된 컨베이어 체인의 현재 위치에 의해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의 위치가 상기 컨베이어 체인에 부착된 계단 유닛의 위치와 직접적으로 상관되기 때문에, 논의되는 계단 유닛의 정확한 위치가 따라서 검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련된 계단 유닛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것보다 컨베이어 체인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의 형태의 위치 센서는, 컨베이어 체인이 정상적인 작동에서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거나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버튼을 지나 안내되어, 그 정상적인 이동 경로로부터 컨베이어 체인의 편차 및, 연관되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체인에 부착된 계단 유닛의 편차가 위치 센서의 기계적인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무접촉으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된다.
환언하면, 계단 유닛의 위치에 종속되는 무접촉으로 측정 가능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적, 자기적, 전기 용량성, 유도성 또는 유사한 파라미터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계단 유닛의 위치의 무접촉의 모니터링의 경우에, 마찰 및 동반하는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검출기 또는 센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기계적 동작에 기초하는 모니터링 방법들에서의 전형적인 경우에서보다 더 부정확하게 그 위치에 관해 조정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광학적으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계단 유닛의 위치는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위치 검출기에 의해 용이하게, 무접촉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위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의 편차가 존재한다면 액츄에이팅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이러한 종류의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위치 검출기는 예를 들면 단일-스테이지 또는 멀티-스테이지 라이트 배리어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위치 검출기는 다양한 위치들에서 승객 수송 시스템 및/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배열될 수 있고 및/또는 현재 모니터링될 계단 유닛 또는 그 현재 위치에 관해 그에 연결되는 구성 요소들의 다양한 영역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향으로 향하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계단 표면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이를 위해 위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출기는 예를 들면 상기 검출기를 지나 안내되는 계단 유닛들 다음에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위치 검출기는 승객 수송 시스템의 측방향의 발러스트레드 상에 또는 그 안에 배열될 수 있고, 그로부터 상기 검출기를 지나 안내되는 계단 유닛들의 계단 표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승객 수송 시스템은 그것들이 이동되는 동안 가이드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는 콤 플레이트로부터 충분한 스페이싱으로 계단 유닛들을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환언하면, 가이드 디바이스는 승객 수송 시스템의 상기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부가되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는 특히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의 충돌이 방지되고, 대신에 계단 유닛이 그로부터 충분한 스페이싱으로 콤 플레이트를 지나 지속적으로 안내되도록 승객 수송 시스템의 작동 중에 계단 유닛들을 안내한다.
이러한 경우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또한 계단 유닛이 예를 들면 마모로 인해 그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과도하게 멀리 이동하는 경우를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고 그후 예를 들면 서비스 또는 수리들이 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심지어 즉각적인 서비스 또는 수리가 없더라도,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의 충돌은 가이드 디바이스에 의한 적절한 안내로 인해 즉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수적인 서비스 또는 수리는 예를 들면 계단 유닛 및/또는 특히 가이드 유닛과 같은 승객 수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추가적인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가이드 디바이스가 계단 유닛들 영구적으로 안내하지 않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신에, 가이드 디바이스는 단지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에 충돌의 위험성이 실제적으로 검출될 때에, 즉 활성화 신호가 예를 들면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될 때에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가이드 디바이스에 대한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승객 수송 시스템이 그 정상적인 작동을 중단시키게 하고 및/또는 경고 신호를 전달하게 하도록 추가로 설계된다.
환언하면,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된 마킹 디바이스의 활성화는 바람직하게 단지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에 대한 마킹을 발생시켜서는 안된다. 대신에, 그것은 상기 시스템이 그 정상적인 작동을 중단하도록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활성화 신호를 실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승객 수송 시스템의 작동이 완전히 정지되거나 또는 예를 들면 계단 유닛들이 보다 느리게 이동되거나 및/또는 가이드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는 특정한 작동 타입으로 승객 수송 시스템이 전이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경고 신호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활성화 신호의 결과로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경고 신호는 예를 들면 승객 수송 시스템의 유저들에게 지각 가능할 수 있고, 특히 광학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고 신호는 승객 수송 시스템이 즉각 서비스되거나 수리되어야 하는 상기 모니터링 오피스 또는 센터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예를 들면 전기 신호로서 중앙의 모니터링 오피스 또는 보수 유지 센터로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허용오차 값은 하향으로 향하는 콤 플레이트의 프로파일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되고 상향으로 향하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표면 사이에 스페이싱이 0.3 mm 초과, 바람직하게 0.7 mm 초과, 및 3 mm 미만, 바람직하게 2 mm 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 1.6 mm 미만이 되도록 선택된다.
정상적인 작동 중에, 즉 계단 유닛들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한, 그러한 스페이싱, 즉 콤 플레이트 아래로 안내되는 계단 유닛들의 상부 면과 콤 플레이트의 하부 면 사이의 갭은 1 내지 2 mm, 예를 들면 거의 1.5 mm 로 균일해야만 한다.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마모와 관련된 편차들이 존재한다면, 그러나 이러한 스페이싱은 감소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고려될 수 있는 허용오차 값은 상기 언급된 스페이싱이 0.7 mm 보다 작지 않지만, 적어도 0.3 mm 보다 작지 않게 바람직하게 감소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향으로 향하는 계단 유닛의 표면이 0.3 mm 보다 하향으로 향하는 콤 플레이트의 프로파일의 표면에 임의로 더 가까워지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0.7 mm 보다 가까워지지 않도록 초과되어서는 안되는 허용오차 값을 취해야 하고, 허용오차 값이 초과될 때에 마킹 디바이스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허용오차 값이 특정한 사용 경우에서 치수 설정되는 방식은 모니터링 유닛의 실제 실시에서 크게 종속된다. 예를 들면, 허용오차 값은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의 위치가 계단 유닛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계단에 연결된 구성 요소들에서 간접적으로 측정되는 지에 따라 상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의 일부는 승객 수송 시스템과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그리고 승객 수송 시스템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부분적으로 본원에 설명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들을 달성하는 데 적절하다면 조합되거나, 이전되거나, 조정되거나 또는 대체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고, 도면들 또는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바와 같이 해석되도록 의도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에스컬레이터의 형태의 승객 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에스컬레이터에 이웃한 콤 플레이트의 단부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단부 영역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단부 영역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축척이 아니다.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비슷하거나 또는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에스컬레이터 (3) 로서 설계된 승객 수송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에스컬레이터 (3) 는 레벨들 (E1 및 E2) 사이로 승객들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에스컬레이터 (3) 는 하부 액세스 영역 (5) 및 상부 액세스 영역 (7) 을 포함한다. 수평에 대해 경사진 영역 (9) 은 양쪽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및 상부 액세스 영역들 (5, 7) 사이로 진행한다. 에스컬레이터 (3) 는 측방향의 발러스트레드들 (11) 및 스커팅 패널들 (13) 을 포함한다. 무한 핸드레일들 (15) 은 각각의 발러스트레드 (11) 를 따라 제공된다.
서있는 상태로 승객들을 운송할 수 있도록, 승객 수송 시스템 (1) 은 복수의 계단 유닛들 (17)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단 유닛들 (17) 은 에스컬레이터 (3) 의 경우에 계단들로서 설계된다. 계단 유닛들 (17) 은 에스컬레이터 (3) 의 트레블 방향 (19) 에 대해 잇달아 배열되고 서로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이웃한다. 이러한 경우에, 계단 유닛들 (17) 은 컨베이어 체인 (21) (때때로 또한 계단 체인으로서 칭함) 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을 사용하여 계단 유닛들 (17) 은 이동 경로를 따라 트레블 방향 (19) 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정상적인 작동 중에, 계단 유닛들 (17) 은 예를 들면, 레일들 또는 유사한 가이드 요소들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들 또는 가이드 슬라이드 요소들에 의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컨베이어 체인 (21) 및 그에 패스닝된 계단 유닛들 (17) 은 상부 편향 유닛 (25) 및 하부 편향 유닛 (23) 에 의해 두개의 액세스 영역들 (5, 7) 근처에서 편향된다.
두개의 액세스 영역들 (5, 7) 에서, 컨베이어 체인 (21) 에 의해 이동되는 계단 유닛들 (17) 은 콤 플레이트 (27) 아래를 통해 각각 통과한다. 도 2 는 이러한 영역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계단 유닛들 (17) 은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이동하는 반면, 콤 플레이트 (27) 는 예를 들면 액세스 영역 (7) 의 콤 플레이트 수용기 (31) 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따라서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존재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향으로 향하는 계단 유닛 (17) 의 표면 (33) 은 리브들 (35) 및 그 사이에 위치된 그루브들을 갖고, 상기 그루브들은 트레블 방향 (19) 과 평행하게 각각 배향된다. 복수의 치형부들 (39) 은 하향으로 향하고 따라서 그아래를 통과하는 계단 유닛 (17) 을 향하는 그 표면 (37) 의 콤 플레이트 (27) 에 위치되고, 상기 치형부들은 계단 유닛 (17) 의 그루브들과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콤 플레이트 (27) 는 복수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상부 액세스 영역 (7) 근처에서 에스컬레이터 (3) 의 섹션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단지 하나의 개별적인 계단 유닛 (17) 만이 도시되고, 이는 컨베이어 체인 (21) 에 의해 트레블 방향 (19) 으로 콤 플레이트 (27) 아래로 이동한다. 계단 유닛 (17) 은 핀 (40) 을 통해 컨베이어 체인 (21) 에 그 전방 단부 근처에서 연결된다. 컨베이어 체인 (21) 은 가이드 롤러들 (41) 를 통해 가이드 레일 (43) 을 따라 진행된다.
승객 수송 시스템 (1) 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올바르게 기능한다면, 즉 구성 요소들 중 어떤 것도 예를 들면 손상 또는 마모로 인해 사전 규정된 상태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계단 유닛들 (17) 은 컨베이어 체인 (21) 에 의해 당겨지고 그리고 가이드 레일 (43) 상으로 진행하는 가이드 롤러들 (41) 및 선택적으로 아이들링 롤러들과 같은 부가적인 가이드 롤러들 또는 가이드 슬라이드 요소들 (도시 생략) 에 의해 안내되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정상적인 작동 중에 이동한다. 상부 액세스 영역 (7) 에 접근할 때에, 계단 유닛들 (17) 은 예를 들면 1.5 mm 의 사전 결정된 스페이싱으로 콤 플레이트 (27) 아래로 이동하고, 즉 갭 (42) 에 의해 이격된다. 그러한 작은 스페이싱은 계단 유닛 (17) 이 콤 플레이트 (27) 과 충돌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그것은 또한 대상들 또는 심지어 승객들의 신체 부분들이 과도한 갭 (42) 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무거운 개별적인 가이드 롤러들 (41') 의 사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의 경우에 사전 규정된 상태로부터 편차들이 존재한다면, 또는 가이드 롤러 (41) 가 파괴된다면, 또는 샤프트 (40) 가 파괴된다면, 또는 가이드 레일 (43) 이 변형되는 경우 등이라면, 이는 계단들 (17) 이 이동할 때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편차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가이드 롤러 (41') 의 직경은 국지적으로 과도한 사용 또는 마모로 인해 감소되거나 또는 먼지의 집적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어서 핀 (40) 을 통해 상기 가이드 롤러에 연결된 계단 유닛 (17) 은 더이상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대신에 콤 플레이트 (27) 아래에서 약간 보다 낮거나 또는 보다 높게 이동된다.
특히, 계단 유닛 (17) 이 보다 높게 상승한다면, 즉 갭 (42) 이 감소된다면, 이는 콤 플레이트 (27) 와 충돌의 위험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감소된 가이드 롤러 (41') 로 인해 계단 유닛 (17) 의 전방 단부가 보다 낮게 이동되고 콤 플레이트 (27) 아래로 보다 큰 갭 (42) 을 가질지라도, 충돌의 위험성을 가질 수 있는 데, 이는 심지어, 계단 유닛 (17) 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을 따라 더 이상 정확하게 안내되지 않고, 대신에 특정한 백래시를 가질 수 있어서, 승객으로부터의 상응하게 바람직하지 못한 부하의 경우에, 계단 유닛 (17) 의 전방 단부가 상향으로 틸팅되고 그후 콤 플레이트 (27) 와 충돌할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한 충돌 위험성을 최소화하도록,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가 승객 수송 시스템 (1) 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실제 위치를 판별할 수 있고, 이로써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사전 결정된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보다 큰 편차들이 검출된다면,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과 콤 플레이트 (27) 사이에 증가된 충돌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간주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그후 적절한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 수송 시스템 (1) 의 작동이 조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변경되고, 예를 들면 감속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경고 신호가 승객 수송 시스템 (1) 의 센터럴 보수 유지 오피스 및/또는 유저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충돌의 위험이 있는 마모된 또는 손상된 계단 유닛 (17) 을 보수 유지 직원이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마킹 디바이스 (45) 가 또한 승객 수송 시스템 (1) 을 위해 제공된다. 활성화될 때에, 이러한 마킹 디바이스 (45) 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및/또는 이러한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과 고정된 위치적 관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계단 유닛들 (17) 에 마킹 (57) 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마킹 (57) 은 부가적인 공구들 없이 그리고 용이하게 보수 유지 직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광학적으로 지각 가능해야만 한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에는 기계적으로 액츄에이팅되는 위치 검출기 (54) 가 구비된다. 위치 검출기 (54) 는 액츄에이팅 아암 (56) 이 스위치 캠 (55) 에 대해 놓여진 스위치 (53) 를 포함한다. 스위치 캠 (55) 은 감지 수단 (59) 를 통해 컨베이어 체인 (21) 에 차례로 놓여진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또는 그 스위치 (53) 는 컨베이어 체인 (21) 이 그 정상적인 이동 방향으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는 순간 활성화된다. 컨베이어 체인 (21) 이 핀들 (40) 을 통해 각각의 계단 유닛 (17) 에 강성 연결되기 때문에,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위치는 모니터링 컨베이어 체인 (21) 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러한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계단 유닛 (17) 의 허용 불가능한 편차가 이러한 방식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에 의해 검출되는 순간,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제어 수단 (51) 을 통해 마킹 디바이스 (45) 에 활성화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성화된 마킹 디바이스 (45) 는 따라서 계단 유닛 (17) 의 측방향의 플랭크들의 하나 또는 계단 유닛 (17) 의 하부 면 (61) 에 마킹 (57) 을 적용한다.
도시된 예에서, 마킹 디바이스 (45) 는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 (47) 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 (47) 는 활성화될 때에, 계단 유닛 (17) 의 하부 면 (61) 을 향해 페인트 (63) 의 제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 (47) 그자체는 이러한 경우에 계단 유닛 (17) 를 터치하지 않고, 즉 마킹 (57) 은 무접촉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계단 유닛들 (17) 은 이미 제조 프로세스로 인해 명확히 구별 가능한 마킹 (57)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마킹 (57) 은 예를 들면 시리얼 프로덕션 넘버, 바코드, 통합형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페인트의 스폿에 의해 능동적으로 상응하는 계단 유닛 (17) 을 마킹하지 않지만, 수동적으로 독특하게 확인 가능한 마킹 (57) 을 검출하고 저장한다는 점에서 마킹 디바이스 (45) 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마킹 디바이스 (45) 는 각각의 계단 유닛 (17) 에 독특하게 할당될 수 있는 기존의 마킹 (57) 을 검출하고 확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킹 디바이스 (45) 는 카메라, RFID 판독 디바이스 등과 같은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해야만 한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실제 위치가 기계적으로 액츄에이팅되는 위치 센서 (54) 를 갖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한편,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러한 위치를 무접촉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위치 검출기 (65) 를 사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제안된다.
위치 검출기 (65) 는 예를 들면 계단 유닛 (17) 의 상부 면 (33) 과 콤 플레이트 (27) 의 하부 면 (37) 사이의 갭 (42) 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검출기 (65) 는 단일-스테이지 또는 멀티-스테이지 라이트 배리어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갭 (42) 이 그 크기를 변경하는 순간, 즉 보다 협소해지거나 또는 보다 넓어지는 순간, 이는 증가된 충돌 위험성에 대한 증거로 간주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마킹 디바이스 (45) 는 위치 검출기 (65) 에 연결된 제어 수단 (51) 을 재활성화할 수 있다.
위치 검출기 (65) 는 스커팅 패널 (13) 의 하나의 구멍에 배열될 수 있고 (도 1 을 참조), 예를 들면 상기 구멍을 통해 갭 (42) 또는 대안적으로 계단 유닛 (17) 의 또 다른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계단 유닛 (17) 의 상기 설명된 독특한 마킹 (57) 이 위치 검출기 (65) 의 검출 영역에 배열된다면, 상기 검출기는 또한 독특하게 구별 가능한, 기존의 마킹 (57) 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인 특징으로서, 승객 수송 시스템 (1) 에는 또한 가이드 디바이스 (67) 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그것들이 이동되는 동안 콤 플레이트 (27) 로부터 충분한 스페이싱으로 계단 유닛들 (17) 을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 디바이스 (67) 가 반드시 상기 디바이스를 지나 진행하는 계단 유닛들 (17) 을 안내할 필요는 없다. 계단 유닛 (17) 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올바르게 이동한다면, 상기 유닛은 가이드 유닛 (67) 에 의해 안내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이러한 경우에 수동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계단 유닛 (17) 이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허용 불가능하게 멀리 떨어진다면, 따라서 콤 플레이트 (27) 와 충돌 위험성이 존재한다면,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이러한 종류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적절하게 상응하는 계단 유닛 (17) 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콤 플레이트 (27) 측방향의 에지에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콤 플레이트 (27) 에 너무 가까워지는 계단 유닛 (17) 의 영역이 하향으로 그리고 따라서 콤 플레이트 (27) 의 하부 면 (37) 으로부터 멀리 푸시되도록 하부 면 (71) 이 설계되고 배열되는, 돌출되고 적절하게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69) 로서 그곳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의 기능들은 가이드 디바이스 (67) 의 기능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에조 요소의 형태의 스위치가 예를 들면, 가이드 디바이스 (67) 의 하부 면 (71) 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는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벗어난 계단 유닛 (17) 에 의해 액츄에이팅될 수 있고, 마킹 디바이스 (45) 는 그결과로서 활성화된다.
여기에 제안된 승객 수송 시스템 (1) 또는 현대화의 상황에서 개량 장착된 승객 수송 시스템의 경우에, 계단 유닛과 콤 플레이트 사이의 충돌들은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마킹 디바이스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계단 유닛들에서 충돌 위험성은 마킹 디바이스에 의해 유닛들에 적용되는 마킹을 사용하여 보수 유지 직원들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갖는" 등과 같은 용어들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단수와 같은 용어들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들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다른 특징들 또는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단계들 또는 다른 특징들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에서 도면 부호들은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1 승객 수송 시스템
3 에스컬레이터
5 하부 액세스 영역
7 상부 액세스 영역
9 경사진 영역
11 발러스트레드
13 스커팅 패널
15 핸드레일
17 계단 유닛
19 트레블 방향
21 컨베이어 체인
23 하부 편향 유닛
25 상부 편향 유닛
27 콤 플레이트
29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31 콤 플레이트 수용기
33 계단 유닛의 상부 면
35 리브들
37 콤 플레이트의 하부 면
39 콤 플레이트의 치형부들
40 핀
41 가이드 롤러
42 갭
43 가이드 레일
45 마킹 디바이스
47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
49 모니터링 디바이스
51 제어 수단
53 스위치
54 위치 검출기
55 스위치 캠
56 액츄에이팅 아암
57 마킹
59 감지 수단
61 계단 유닛의 하부 면
63 페인트의 제트
65 위치 검출기
67 가이드 디바이스
69 금속 플레이트
71 가이드 디바이스의 하부 면

Claims (16)

  1. 승객 수송 시스템 (1) 으로서:
    복수의 계단 유닛들 (17);
    콤 플레이트 (27);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마킹 디바이스 (45) 를 포함하고;
    상기 계단 유닛들 (17) 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연속적으로 잇달아 이동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콤 플레이트 (27) 는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의 상기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를 활성화시키도록 설계되고;
    활성화될 때에,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및/또는 규정된 방식으로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 (17) 에 마킹 (57) 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광학적으로 지각 가능한 마킹 (57) 으로서 상기 마킹 (57) 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무접촉으로 상기 계단 유닛 (17) 에 상기 마킹 (57) 을 적용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페인트 스프레이 디바이스 (47) 를 포함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하부 면 (61) 및/또는 그 측면에서 상기 마킹 (57) 을 상기 계단 유닛 (17) 에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각각의 계단 유닛에 독특하게 할당될 수 있는 유용한 마킹 (57) 을 검출 및 확인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위치 검출기 (54)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 (54) 는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의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상기 실제 위치의 편차가 존재한다면 기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체인 (21) 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계단 유닛 (17) 은 규정된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 (21) 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 (21) 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상기 컨베이어 체인 (21) 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9) 는 무접촉으로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상기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9) 는 광학적으로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상기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위치 검출기 (65)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 (65) 는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49) 로부터의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상기 실제 위치의 편차가 존재한다면 작동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디바이스 (49) 는 상향으로 향하는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계단 표면 (33) 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디바이스 (67)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 (67) 는 상기 계단 유닛들 (17) 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콤 플레이트 (27) 로부터 충분한 스페이싱으로 상기 계단 유닛들 (17) 을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 (49) 은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의 활성화 시에, 상기 승객 수송 시스템 (1) 이 그 정상적인 작동을 중단하게 하고 및/또는 경고 신호를 전송하게 하도록 추가로 설계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오차 값이 하향으로 향하는 상기 콤 플레이트 (27) 의 프로파일의 표면 (37) 과 상기 표면에 대향되고 상향으로 향하는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표면 (33) 사이의 스페이싱 (42) 이 0.3 mm 초과, 바람직하게 1 mm 초과, 및 3 mm 미만, 바람직하게 1.6 mm 미만으로 되도록 선택되는, 승객 수송 시스템 (1).
  16. 기존의 승객 수송 시스템 (1) 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승객 수송 시스템 (1) 은 복수의 계단 유닛들 (17) 및 콤 플레이트 (27) 를 갖고,
    상기 계단 유닛들 (17) 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를 따라 연속적으로 잇달아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콤 플레이트 (27) 는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승객 수송 시스템 (1) 에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및 마킹 디바이스 (45) 를 개량 장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49) 는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에 대해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의 실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허용 가능한 허용오차 값 초과만큼 상기 사전 규정된 이동 경로 (29) 로부터 상기 실제 위치의 편차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를 활성화시키도록 설계되고;
    활성화될 때에, 상기 마킹 디바이스 (45) 는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및/또는 규정된 방식으로 상기 현재 모니터링된 계단 유닛 (17) 과 공간적으로 상관된 계단 유닛 (17) 에 마킹 (57) 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기존의 승객 수송 시스템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5822A 2016-06-21 2017-06-21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KR20190020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5487 2016-06-21
EP16175487.4 2016-06-21
PCT/EP2017/065222 WO2017220648A1 (de) 2016-06-21 2017-06-21 Personentransportanlage mit überwachungs- und markiereinrichtung zum kennzeichnen schadhafter tritteinh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67A true KR20190020667A (ko) 2019-03-04

Family

ID=561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822A KR20190020667A (ko) 2016-06-21 2017-06-21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336582B2 (ko)
EP (1) EP3472085B1 (ko)
KR (1) KR20190020667A (ko)
CN (1) CN109311636B (ko)
AU (1) AU2017281562B2 (ko)
BR (1) BR112018072007B1 (ko)
CL (1) CL2018003413A1 (ko)
ES (1) ES2778834T3 (ko)
MX (1) MX2018015895A (ko)
PH (1) PH12018502255A1 (ko)
PL (1) PL3472085T3 (ko)
RU (1) RU2736242C2 (ko)
SG (1) SG11201810538PA (ko)
TW (1) TW201803798A (ko)
WO (1) WO201722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632B1 (en) * 2019-05-13 2019-09-17 Constanza Terry Escalator system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goods
JP6786666B1 (ja) * 2019-06-12 2020-11-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及び点検方法
JP6892899B2 (ja) * 2019-06-21 2021-06-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及び点検方法
CN111924694B (zh) * 2020-10-12 2021-01-05 南京安诺电梯有限公司 一种扶梯振动信号检测传输系统
DE102021123589A1 (de) 2021-09-13 2023-03-16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Fahrtreppenstufeneinheit für eine Fahrtreppenanordnung sowie entsprechende Fahrtrepp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4548A5 (de) * 1984-08-22 1988-03-15 Inventio Ag Stufe einer fahrtreppe.
KR900002280Y1 (ko) * 1985-04-23 1990-03-17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승객 콘베이어 장치
SU1399246A1 (ru) * 1986-12-03 1988-05-30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Эскалаторостроени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скалатора
US4805757A (en) * 1986-12-31 1989-02-21 Wilcox John R Escalator step side plate
ES2024592B3 (es) * 1987-09-01 1992-03-01 Inventio Ag Dispositivo de desconectador para una escalera mecanica
KR920007689Y1 (ko) 1990-08-30 1992-10-16 금성기전 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US5467658A (en) * 1994-12-19 1995-11-21 Buckalew; Robert D. Escalator defective roller detector
US6049189A (en) * 1996-10-29 2000-04-11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speed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on
US5785165A (en) * 1996-10-30 1998-07-28 Otis Elevator Compan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s
EP0924157B1 (de) 1997-12-17 2003-07-02 Inventio Ag Verbindungseinrichtung zwischen Tragrollenachsen und Ketten-Verbindungsrohren
JP2001002358A (ja) 1999-06-24 2001-01-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ヤの踏段装置
US6601688B1 (en) * 1999-10-21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gap monitoring device
WO2007144954A1 (ja)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乗客コンベア
US7407048B2 (en) * 2006-08-21 2008-08-05 Kone Corporation Safety switch and method of checked redundancy
WO2008032352A1 (fr) 2006-09-11 2008-03-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scalier roulant
JP2008222357A (ja) *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
EP2200925B1 (de) 2007-10-01 2016-04-13 Inventio AG Stufenunterbau bzw. palettenunterbau für tritteinheiten einer fahreinrichtung, tritteinheiten und fahreinrichtung
BRPI0924913A2 (pt) * 2009-04-20 2015-07-07 Otis Elevator Co Aparelho e método para detectar um degrau perdido ou desalinhado de um transportador
RU2493094C2 (ru) * 2009-04-20 2013-09-2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регулирование параметров устройства безопасности
US8950568B2 (en) * 2011-05-25 2015-02-10 Thyssenkrupp Norte, S.A. Support, module, transport system for displacement of people/goods and modernization method of people/goods transport systems
CN102267659A (zh) * 2011-05-31 2011-12-07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控制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梯路的装置
CN103648950B (zh) * 2011-08-11 2016-04-13 因温特奥股份公司 安全元件的功能监测
CN202296792U (zh) * 2011-09-28 2012-07-04 快意电梯有限公司 一种扶梯前沿板安全装置
DE102012003178B4 (de) * 2012-02-17 2018-03-22 Kone Corp.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 einer Rolltreppe oder eines Rollsteiges
US9850100B2 (en) * 2013-12-20 2017-12-26 Invento Ag Arrangement of a monitoring sensor in an escalator or in a moving walkway
JP5902283B1 (ja) 2014-11-26 2016-04-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JP6429195B2 (ja) * 2015-04-23 2018-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異常診断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異常診断方法
CN205045689U (zh) * 2015-09-11 2016-02-24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检测梳齿踏板垂直方向位移的安全保护装置
CN107662867B (zh) * 2016-07-29 2021-03-30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机的梯级滚轮监测和维修操作人员监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1324A1 (en) 2019-05-30
AU2017281562B2 (en) 2020-03-12
MX2018015895A (es) 2019-05-27
SG11201810538PA (en) 2019-01-30
CN109311636B (zh) 2020-04-21
RU2736242C2 (ru) 2020-11-12
RU2019100522A (ru) 2020-07-14
PH12018502255A1 (en) 2019-08-19
CL2018003413A1 (es) 2019-02-01
BR112018072007A2 (pt) 2019-02-12
CN109311636A (zh) 2019-02-05
TW201803798A (zh) 2018-02-01
ES2778834T3 (es) 2020-08-12
WO2017220648A1 (de) 2017-12-28
US10336582B2 (en) 2019-07-02
AU2017281562A1 (en) 2018-11-22
EP3472085A1 (de) 2019-04-24
EP3472085B1 (de) 2020-02-26
RU2019100522A3 (ko) 2020-09-07
PL3472085T3 (pl) 2020-07-27
BR112018072007B1 (pt)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667A (ko) 결함있는 계단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마킹 디바이스를 갖는 승객 수송 시스템
AU2013322869B2 (en) Guide rail for a runner of an escalator or of a moving pavement
US20080135342A1 (en) Elevator Unit and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Unit
JP2010247948A (ja) 乗客コンベアのインレット安全装置
CN110891891B (zh) 乘客输送机的异常检测装置
US20180237270A1 (en) Human transport device having a monitoring apparatus
JP6825072B1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システム
JP2015051836A (ja) 乗客コンベア
US10954104B2 (en) Chain defect monitoring in a people conveyor
JP5660624B2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US20150107958A1 (en)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JP6655488B2 (ja) 乗客コンベアまたは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の異常検出装置
KR101685647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246002B2 (ja) 乗客コンベア
JP5567090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3512273A (ja) 乗員搬送装置のギャップ監視装置
JP2022134473A (ja) 乗客コンベア
JP2023004417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の安全スイッチの調整器具
WO2011080376A1 (en) People mover
JP2006306589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2005231834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