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453A -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453A
KR20190019453A KR1020170104360A KR20170104360A KR20190019453A KR 20190019453 A KR20190019453 A KR 20190019453A KR 1020170104360 A KR1020170104360 A KR 1020170104360A KR 20170104360 A KR20170104360 A KR 20170104360A KR 20190019453 A KR20190019453 A KR 20190019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unit
cosmetics
pay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332B1 (ko
Inventor
윤성업
Original Assignee
(주) 이니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니스프리 filed Critical (주) 이니스프리
Priority to KR102017010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지가 배치되는 화장품 투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결제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제공되어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포함하는 화장품 인식부; 사용자가 화장품을 포장지에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포장지를 배치하고, 배치된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공급부;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금융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결제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포장지 공급부를 제어하여 화장품이 담긴 포장지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매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AUTOMATIC PAYMENT APPARATUS FOR COSTMETIC AND UNMANNED COSMETIC SHOP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원이 없는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은 빠른 결제 처리가 필요하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품을 판매하여 포장에 대한 부담이 적고, 비교적 적은 개수의 물품을 구매하는 매장에 적합한데, 이러한 대표적인 예가 편의점이다.
일 예로, 일본의 편의점 로손(LAWSON)은 RFID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인 매장을 제안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매장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진열되어 있고,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들을 가져다 RFID 리더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 결제 장치에 위치시킨다. 자동 결제 장치는 제품들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품 목록 및 가격을 표시해주고, 사용자는 카드 등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함으로써 편의점에서의 구매 행위를 종료하게 된다. 이때, 자동 결제 장치는 장바구니에 담겨있던 제품들을 일괄적으로 낙하시켜 포장지(봉투)에 담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을 화장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화장품 매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화장품은 대부분 깨지거나 파손되기 쉬운 용기나 포장을 갖는데, 이러한 화장품을 자동 포장 시 소정 높이에서 떨어뜨리게 되면 제품이나 포장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특히, 일부 화장품은 굉장히 고가인데, 이러한 고가의 화장품을 다른 화장품들과 같이 일괄적으로 낙하시켜 포장하는 방법은 소비자의 만족도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과 같은 화장품은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의 특성 상 금속성의 포장재를 사용하는데, 구매 목록 중 마스크 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속성의 포장재가 RFID 신호를 교란시키거나 차단함으로써 자동 결제 장치에서 물품 리스트를 오인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비특허문헌: http://www.lawson.co.jp/company/news/detail/1286382_2504.htm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품 용기 및 그 포장의 품질을 유지한 상태로 구매할 수 있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은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스크 팩 등 금속성 포장재가 사용된 화장품을 구매할 때에도 오인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지가 배치되는 화장품 투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결제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제공되어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포함하는 화장품 인식부; 사용자가 화장품을 포장지에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포장지를 배치하고, 배치된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공급부;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금융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결제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포장지 공급부를 제어하여 화장품이 담긴 포장지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매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투입부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포장지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을 적어도 일 방향에서 둘러쌀 수 있는 차폐막이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RFID 리더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폐막의 내측에 상기 일 방향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리더 중 하나 이상은 손잡이를 제외한 포장지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의 일 측에는 포장지가 저장되는 포장지 저장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차폐막은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과 상기 포장지 저장 공간을 타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막은 상기 포장지 저장 공간의 상부를 차폐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 공급부는, 복수 개의 포장지를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 상기 포장지 저장부에 저장된 포장지를 낱개로 상기 화장품 투입부로 이송하는 포장지 이송부; 상기 화장품 투입부 내에서 사용자가 화장품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포장지의 상태를 변형하는 포장지 셋팅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고정부; 및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서 포장지가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포장지 인출 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지 인출 감지부에서 포장지의 인출이 감지된 후, 상기 화장품 투입부로 새로운 포장지를 이송하여 배치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새로운 포장지가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배치되면 상기 화장품 인식부를 통해 수집한 RFID 태그 정보를 리셋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결제 요청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화장품 인식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RFID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사은품 지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종업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기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상기 자동 결제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 정보를 전달받아 사은품을 지급하는 사은품 지급 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은품 지급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사은품 지급 요청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 결제 장치를 이용한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 상기 자동 결제 장치 및 서버와 통신하여 고객 정보와 상세 구매 정보를 전송 받는 통신부; 상기 고객 정보와 상기 상세 구매 정보를 기초로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지급할 사은품의 종류를 결정하는 사은품 선정부;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은품 지급 요청에 따라 결정된 사은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사은품 공급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결제 장치는 결제 완료 후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식별 정보가 담긴 영수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은품 지급 장치의 상기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수증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구매 사실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상세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정보는 고객 등급, 포인트, 기 구매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 구매 정보는 총 구매 금액, 구매 목록을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편리하고 신속하게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시스템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 및 그 포장의 품질을 유지한 상태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시스템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화장품도 손상 없이 구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 등 금속성 포장재가 사용된 화장품을 구매할 때에도 오인식에 따른 불편함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매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제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화장품 투입부 및 그 주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은품 지급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사은품 지급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사은품 지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매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1)은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종업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10)와, 자동 결제 장치(10)로부터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 정보를 전달받아 사은품을 지급하는 사은품 지급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1)은 화장품을 판매하는 매장(S)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매장(S)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화장품이 진열되어 있는 진열대(D)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매장(S) 내에서 구매를 원하는 화장품을 장바구니 등의 소정의 운반 수단(B)에 담은 후, 자동 결제 장치(10)에서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동 결제 장치(10)의 구매 결과에 따라 사은품 지급 장치(20)에서 소정의 사은품을 자동으로 지급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장(S)은 사용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행위에 있어서 종업원의 개입없이 운영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고, 화장품 제조사에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매장(S)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제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화장품 투입부 및 그 주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제 장치(10)는 포장지(P)가 배치되는 화장품 투입부(14)를 구비하는 본체(12)와, 본체(12)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와, 본체(12)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결제 인터페이스부(120)와, 화장품 투입부(14)에 제공되어 화장품(C)에 부착된 RFID 태그(T)를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RFID 리더(132, 134, 136, 138)를 포함하는 화장품 인식부(130)와, 사용자가 화장품(C)을 포장지(P)에 담을 수 있도록 화장품 투입부(14)에 포장지(P)를 배치하고 배치된 포장지(P)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공급부(140)와, 결제 정보에 따른 금융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150)와,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60)와, 결제 처리 결과에 따라 포장지 공급부(140)를 제어하여 화장품이 담긴 포장지(P)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고 통신부(160)를 통해 구매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2)의 상측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및 결제 인터페이스부(120)가 제공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화장품 투입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운반 수단(B)을 올려 놓고 물건을 꺼낼 수 있도록 운반 수단(B)을 위한 소정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운반 수단(B)을 위한 공간은 후술할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상측일 수 있다.
화장품 투입부(14)는 본체(12)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 수용 공간(143)에는 포장지 공급부(140)에 의해 이송된 포장지(P)가 정 위치에 셋팅될 수 있으며, 이때 포장지(P)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장품(C)을 투입할 수 있도록 입구가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상측 개구부는 화장품(C)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142)로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 및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 및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 키패드, 스피커 등 소정의 공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서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는 화장품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화장품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C)에 부착된 RFID 태그(T)에는 해당 화장품의 가격을 포함한 각종 정보가 기록될 수 있으며, 화장품 인식부(130)는 RFID 태그(T)로부터 그러한 정보를 읽어와 판독할 수 있다. 화장품 인식부(130)에서 읽은 정보는 메모리(102)에 저장되고 제어부(100)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을 모두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포장지(P)에 담은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결제 요청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스크린에는 화장품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화장품 목록과 함께 각각의 가격, 총 가격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결제 요청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요청 버튼을 터치하면, 신용 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이용한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절차의 진행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는 본체(12)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IC 카드 리더기, 영수증 출력부 등이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로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2)에 각각의 결제 행위 및 결제 완료 보고를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수단으로는 신용카드 외에 현금, NFC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결제 등의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는 각각을 위한 소정의 결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는 결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영수증 출력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시되는 정보에 따라 자기가 원하는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면, 결제 처리부(150)는 화장품 제조사의 서버 및 금융 기관의 서버 등과 통신하여 실제 금융 결제 업무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60)는 이러한 금융 결제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된 경우 포장지 공급부(140)를 제어하여 화장품이 담긴 포장지(P)의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비로소 포장지(P)를 꺼내 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결제 결과를 통신부(160)를 통해 화장품 제조사의 서버 또는 사은품 지급 장치 등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투입부(14)의 내측에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을 적어도 일 방향에서 둘러쌀 수 있는 차폐막(16)이 제공된다. 차폐막(16)은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내측의 RFID 신호가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외부의 RFID 신호가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막(16)은 화장품(C)의 투입을 위해 투입구(142)에 대응되는 부분은 생략되거나, 화장품(C)의 투입 및 포장지(P)의 인출을 간섭하지 않는 수준으로만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상측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a)에 도시된 것처럼, 포장지(P)의 전면(도면의 좌측)과 후면(도면의 우측), 바닥면을 둘러싸도록 차폐막(16)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리고 차폐막(16)의 내측에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에 투입되는 화장품(C), 보다 엄밀하게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내측에 배치된 포장지(P)에 투입되는 화장품(C)의 RFID 태그(T)를 인식하기 위한 화장품 인식부(130)로서 복수 개의 RFID 리더(132, 134, 136, 138)가 배치된다.
일 예로, 화장품 인식부(130)는 손잡이를 제외한 포장지(P)의 상단부(가상선)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1 RFID 리더(132)와, 포장지(P)의 중앙부 높이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제2 RFID 리더(134)와, 포장지(P)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포장지(P)를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제3 RFID 리더(136)와, 포장지(P)의 직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4 RFID 리더(1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RFID 리더(132)는 포장지(P)로 인입되거나 포장지(P)로부터 인출되는 화장품(C)의 RFID 태그(T)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RFID 리더(132)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입구(14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포장지(P)에 의한 영향도 최소화하기 위해 상술한 것처럼 포장지(P)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마스크 팩과 같이 금속성 포장재를 사용하는 화장품을 구매하더라도 화장품 인식부(130)는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팩과 같은 제품은 금속성 재질로 포장되기 때문에 다른 화장품과 함께 섞여 있으면 RFID 신호의 교란이 발생되거나 RFID 신호가 차단되어 마스크 팩 자체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신호를 RFID 리더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마스크 팩과 인접하게 위치된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신호를 RFID 리더가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팩이 다른 화장품들과 섞이기 전에, 즉 포장지 수용 공간(143) 또는 포장지(P)로 인입되거나 포장지 수용 공간(143) 또는 포장지(P)로부터 인출되는 순간에 제1 RFID 리더(132)가 마스크 팩 또는 다른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T)를 읽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RFID 리더(132, 134, 136, 138)는 차폐막(16)이 포장지 수용 공간(143)을 둘러싸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포장지(P)에 투입 및 수용되는 복수 개의 화장품(C)을 빠짐없이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화장품 인식부(130)로서 4개의 특정 위치에서 배치되는 RFID 리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RFID 리더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크기, 형상, 포장지(P)의 종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일 측에는 복수 개의 포장지(P)가 저장되는 포장지 저장 공간(141)이 제공된다. 이때,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내부에는 포장지(P)가 적재되어 있는 포장지 저장부(142) 및 포장지(P)를 포장지 저장 공간(141)으로부터 포장지 수용 공간(143)으로 이송하는 포장지 이송부(144) 등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포장지 수용 공간(143)과 포장지 저장 공간(141)은 포장지 이동 통로(144)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포장지(P)는 포장지 이동 통로(144)를 통해 포장지 저장 공간(141)으로부터 포장지 수용 공간(14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막(16)은 포장지 저장 공간(141)과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사이에서 포장지 이동 통로(144)를 제외한 부분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차폐막(16)은 포장지 수용 공간(143)과 포장지 저장 공간(141)을 상술한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타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차폐막(16)은 포장지 수용 공간(143)의 좌측(도면의 좌측)과 하측,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하측과 우측 공간을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차폐막(16)은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전방과 후방을 차폐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막(16)은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상부를 차폐할 수도 있다. 포장지 저장 공간(141)의 상부에는 운반 수단(B)이 놓여질 수 있는데, 이처럼 차폐막(16)으로 저장 공간(141)의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운반 수단(B)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C)의 RFID 태그(T)가 포장지 수용 공간(143)에 배치된 화장품 인식부(13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포장지 공급부(140)는 포장지 저장 공간(141) 내에서 복수 개의 포장지(P)를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142)와, 포장지 저장부(142)에 저장된 포장지(P)를 낱개로 화장품 투입부(14)로 이송하는 포장지 이송부(144)와, 화장품 투입부(14) 내에서 사용자가 화장품(C)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포장지(P)를 셋팅하는 포장지 셋팅부(146)와,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포장지(P)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고정부(148)와, 화장품 투입부(14)에서 포장지(P)가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포장지 인출 감지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 저장부(142)는 제어부(100)의 제어 또는 포장지 이송부(144)의 동작에 따라 포장지 이송부(144)로 포장지(P)를 낱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포장지(P)를 서로 구분하여 적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포장지 이송부(144)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포장지(P)를 포장지 저장부(142)로부터 포장지 수용 공간(143)으로 이동시키며, 포장지(P)를 기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새로운 포장지(P)를 이송할 준비를 할 수 있다.
포장지 셋팅부(146)는 포장지 고정부(148)가 포장지(P)를 정확하게 고정하고 구속할 수 있도록 포장지(P)를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포장지(P)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가 화장품(C)을 투입하기 편리하도록 포장지(P)를 셋팅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포장지 셋팅부(146)는 포장지 이송부(144) 및 포장지 고정부(148)에 의해 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포장지 고정부(148)는 정위치에 배치된 포장지(P)를 고정하며, 제어부(100)의 신호가 있기 전까지는 사용자가 포장지(P)를 빼가지 못하도록 포장지(P)를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지 고정부(148)는 전자식 클램핑 장치, 전자식 후크, 전자식 클립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포장지(P)의 일부 또는 손잡이 등을 구속할 수 있다.
포장지 인출 감지부(149)는 화장품 투입부(14)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포장지(P)가 배치된 상태인지, 인출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장지 인출 감지부(149)는 차폐막(16)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장지 인출 감지부(149)에 의해 포장지(P)의 인출이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가 포장지(P)를 꺼내 간 것으로 인식하고 새로운 포장지(P)를 포장지 저장부(142)로부터 화장품 투입부(14)로 이송시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새로운 포장지(P)가 화장품 투입부(14)에 배치되면 이를 새로운 사용자의 화장품 투입을 대기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화장품 인식부(130)를 통해 수집한 RFID 태그 정보를 리셋하고, 새롭게 RFID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새로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결제 요청이 입력될 때까지 화장품 인식부(130)를 통해 연속적으로 RFID 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자동 결제 장치(10)를 통해 구매된 구매 정보는 통신부(160)를 통해 화장품 제조사 서버 또는 사은품 지급 장치(2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은품 지급 장치(20)는 자동 결제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사은품의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 결제 장치(10)의 제어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2의 자동 결제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결제 장치(10)의 최초 동작 시 또는 이전 사용자의 결제 및 구매가 종료되면, 포장지 공급부(140)는 화장품 투입부(14)에 새로운 포장지(P)를 배치한다(S110). 구체적으로, 포장지 이송부(144)는 포장지 저장부(142)에 저장되어 있던 포장지(P)를 낱개로 꺼내어 포장지 수용 공간(143)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후, 포장지 셋팅부(146)는 포장지 고정부(148)가 포장지(P)를 정확하게 고정하고 구속할 수 있도록 포장지(P)를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포장지(P)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가 화장품(C)을 투입하기 편리하도록 셋팅한다(S120). 그리고, 포장지 고정부(148)는 정위치에 배치된 포장지(P)를 고정하며 제어부(100)의 신호가 있기 전까지 사용자가 포장지(P)를 빼가지 못하도록 포장지(P)를 구속한다(S130).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지(P)를 셋팅한 후 고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정 후 셋팅이 이뤄지거나 고정과 셋팅 작업이 동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그리고, 화장품 인식부(130)는 화장품(C)의 RFID 태그(T)의 리딩, 즉 화장품(C)의 인식 작업을 개시한다(S140).
사용자는 포장지(P)가 화장품 투입부(14)에 셋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화장품(C)을 운반 수단(B) 등으로부터 꺼내 하나씩 화장품 투입부(14) 내의 포장지(P)에 담을 수 있다. 이때, 화장품 인식부(130)는 화장품(C)이 투입구(142)를 통과하는 순간, 즉 화장품(C)이 낱개로서 존재하는 순간부터 RFID 태그 리딩을 하고 있으므로 화장품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RFID 리더(132, 134, 136, 138)가 차폐막(16) 내에서 포장지(P)를 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바, 포장지(P)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정보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각 RFID 리더(132, 134, 136, 138)로부터 수집되는 RFID 태그 정보의 인식 순서, 인식 횟수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포장지(P)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C)을 판독할 수 있다.
이때, 화장품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화장품 정보는 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C)을 모두 포장지(P)에 담은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서 결제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제 요청은 제어부(100)로 전달된다(S150).
제어부(100)는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소정의 결제 수단, 예를 들어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결제를 하고, 제어부(100)는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결제 정보를 수집하여(S160) 결제 처리부(150)를 통해 실제 결제 업무를 처리한다(S170).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결제 완료 정보를 출력하고,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장치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80). 이때, 외부 장치는 화장품 제조사의 서버이거나, 자동 결제 장치(10)와 동일한 매장에 위치한 사은품 지급 장치(20)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결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영수증 등 결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결제 처리 결과에는 사용자의 구매 행위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포장지 고정부(148)를 제어하여 포장지(P)의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S190),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포장지(P)를 꺼내 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S180 단계와 S190 단계는 서로 순서가 바뀌거나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은품 지급 장치(20)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은품 지급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사은품 지급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은품 지급 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2)와, 본체(22)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사은품 지급 요청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와, 본체(22)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설치되고 자동 결제 장치(10)를 이용한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와, 자동 결제 장치(20) 및 서버와 통신하여 고객 정보와 상세 구매 정보를 전송 받는 통신부(260)와, 고객 정보와 상세 구매 정보를 기초로 지급할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사은품의 종류를 결정하는 사은품 선정부(230)와, 본체(22)에 제공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한 사은품 지급 요청에 따라 결정된 사은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사은품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형 키오스크, 자판기 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 및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 및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 키패드, 스피커 등 소정의 공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서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사은품 지급 장치(20)의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사은품 지급을 위해 필요한 고객 정보, 구매 내역, 사은품 지급 가능여부, 지급 가능한 사은품의 종류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사은품 지급 명령을 받을 수도 있다.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는 자동 구매 장치(10)를 통해 물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사은품을 받기 위해 자신의 구매 정보를 사은품 지급 장치(20)에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카드 인식기, 바코드 리더기, NFC 리더기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 결제 장치(10)는 결제가 완료되면 바코드 등의 식별 정보가 인쇄된 영수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영수증을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의 바코드 리더기 등의 인식 장치에 대면,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의 구매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는 확인된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상세한 구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는 통신부(260)를 통해 자동 결제 장치(10)로부터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세 구매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고, 자동 결제 장치(10)로부터 이미 전달되어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상세 구매 정보들 중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읽어올 수도 있다. 여기서, 상세 구매 정보는 총 구매 금액, 구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세 구매 정보의 수집은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구매 사실 확인 및 식별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매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가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구매 영수증에 인쇄된 구매 번호/구매 코드 등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사은품 지급 장치(20)는 사용자의 자동 결제 장치(10)를 통한 구매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전달받은 구매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구매 행위를 한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화장품 제조사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고객 정보에는 고객 등급, 포인트, 기 구매 이력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사은품 선정부(230)는 위와 같이 수집된 고객 정보 및 상세 구매 정보를 기초로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지급될 사은품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은품 선정부(230)는 해당 구매 금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이거나, 고객 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사은품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은 품 선정부(230)는 구매 금액, 고객 등급에 따라 사은품을 차등 선정할 수도 있고, 당해 구매에서 구입한 화장품과 어울릴 수 있는 사은품 또는 해당 사용자가 기존에 구입했던 화장품의 샘플이나 그와 어울릴 수 있는 사은품을 선정할 수도 있다.
사은품 공급부(230)는 본체(22) 내부에 제공된 소정의 사은품 저장부로부터 특정의 사은품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공지의 자판기의 물품 공급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은품 지급 장치(20)의 제어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6의 사은품 지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하면,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220) 또는 제어부(200)는 해당 구매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 결제 장치(10)에서 이뤄진 구매인지 확인할 수 있다(S210).
수집된 구매 정보가 자동 결제 장치(10)에서 이뤄진 구매인 경우, 제어부(200)는 통신부(260)를 통해 해당 구매 행위를 한 사용자의 고객 정보 및 상세 구매 정보를 수집한다(S220).
그리고, 사은품 선정부(230)는 수집된 고객 정보 및 상세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사은품의 종류를 결정하고(S230),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집된 고객 정보 및 상세 구매 정보와 결정된 사은품 정보를 표시한다(S240).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사은품을 받고자 하는 경우 사은품 지급 요청 메뉴를 선택한다(S250).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은품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특정의 사은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며(S260), 사은품 지급 결과를 통신부(260)를 통하 화장품 제조사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7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RFID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수초 이내로 결제 과정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포장지(P)에 화장품(C)을 투입하므로, 화장품 및 그 포장의 품질을 유지한 상태로 구매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 팩 등 금속성 포장재가 사용된 화장품을 구매할 때에도 오인식 확률을 낮춰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10: 자동 결제 장치 12: 본체
14: 화장품 투입부 16: 차폐막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결제 인터페이스부
130: 화장품 인식부 140: 포장지 공급부
150: 결제 처리부 20: 사은품 지급 장치
22: 본체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 230: 사은품 선정부
240: 사은품 공급부

Claims (13)

  1. 포장지가 배치되는 화장품 투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결제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제공되어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포함하는 화장품 인식부;
    사용자가 화장품을 포장지에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포장지를 배치하고, 배치된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공급부;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금융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결제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포장지 공급부를 제어하여 화장품이 담긴 포장지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매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투입부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포장지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을 적어도 일 방향에서 둘러쌀 수 있는 차폐막이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RFID 리더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폐막의 내측에 상기 일 방향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 중 하나 이상은 손잡이를 제외한 포장지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의 일 측에는 포장지가 저장되는 포장지 저장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차폐막은 상기 포장지 수용 공간과 상기 포장지 저장 공간을 타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상기 포장지 저장 공간의 상부를 차폐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공급부는,
    복수 개의 포장지를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
    상기 포장지 저장부에 저장된 포장지를 낱개로 상기 화장품 투입부로 이송하는 포장지 이송부;
    상기 화장품 투입부 내에서 사용자가 화장품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포장지의 상태를 변형하는 포장지 셋팅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포장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포장지 고정부; 및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서 포장지가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포장지 인출 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지 인출 감지부에서 포장지의 인출이 감지된 후, 상기 화장품 투입부로 새로운 포장지를 이송하여 배치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새로운 포장지가 상기 화장품 투입부에 배치되면 상기 화장품 인식부를 통해 수집한 RFID 태그 정보를 리셋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결제 요청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화장품 인식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RFID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사은품 지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10. 화장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종업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상기 자동 결제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 정보를 전달받아 사은품을 지급하는 사은품 지급 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은품 지급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사은품 지급 요청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 결제 장치를 이용한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
    상기 자동 결제 장치 및 서버와 통신하여 고객 정보와 상세 구매 정보를 전송 받는 통신부;
    상기 고객 정보와 상기 상세 구매 정보를 기초로 사은품의 지급 여부 및 지급할 사은품의 종류를 결정하는 사은품 선정부;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은품 지급 요청에 따라 결정된 사은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사은품 공급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결제 장치는 결제 완료 후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식별 정보가 담긴 영수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은품 지급 장치의 상기 구매 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수증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구매 사실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상세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는 고객 등급, 포인트, 기 구매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 구매 정보는 총 구매 금액, 구매 목록을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20170104360A 2017-08-17 2017-08-17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238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60A KR102384332B1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60A KR102384332B1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53A true KR20190019453A (ko) 2019-02-27
KR102384332B1 KR102384332B1 (ko) 2022-04-20

Family

ID=6556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60A KR102384332B1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94B1 (ko) * 2020-05-11 2021-06-08 이령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KR102290397B1 (ko) * 2020-10-13 2021-08-18 (주)한국아이지에이 Rfid를 이용한 소매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307B1 (ko) * 2021-01-12 2021-09-09 안은희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KR20220096385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키오스크 및 립스틱 자판기를 통한 립스틱 제품 마케팅 시스템
KR20230001846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56A (ja) * 1992-07-01 1994-01-28 Omron Corp 無人店舗システム
KR20020077748A (ko) * 2001-04-03 2002-10-14 주식회사 효성 무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실적조회 및 사은품 신청방법
JP2005122420A (ja) * 2003-10-16 2005-05-12 Kunio Aso 購入商品収納カート及びレジスタシステム
KR20090132193A (ko) * 2008-06-20 2009-12-3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KR20120003997U (ko) * 2010-11-29 2012-06-07 박연희 셀프 계산대용 봉투 포장 장치
KR20140040549A (ko) * 2012-09-26 2014-04-03 장인수 박스포장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56A (ja) * 1992-07-01 1994-01-28 Omron Corp 無人店舗システム
KR20020077748A (ko) * 2001-04-03 2002-10-14 주식회사 효성 무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실적조회 및 사은품 신청방법
JP2005122420A (ja) * 2003-10-16 2005-05-12 Kunio Aso 購入商品収納カート及びレジスタシステム
KR20090132193A (ko) * 2008-06-20 2009-12-3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KR20120003997U (ko) * 2010-11-29 2012-06-07 박연희 셀프 계산대용 봉투 포장 장치
KR20140040549A (ko) * 2012-09-26 2014-04-03 장인수 박스포장 관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lawson.co.jp/company/news/detail/1286382_2504.htm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94B1 (ko) * 2020-05-11 2021-06-08 이령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KR102290397B1 (ko) * 2020-10-13 2021-08-18 (주)한국아이지에이 Rfid를 이용한 소매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6385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키오스크 및 립스틱 자판기를 통한 립스틱 제품 마케팅 시스템
KR102300307B1 (ko) * 2021-01-12 2021-09-09 안은희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KR20230001846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332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453A (ko)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CN107545665B (zh) 结算处理装置
US20190213572A1 (en) Wireless reading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with the same, wireless reading method and shopping assistance method
JP5591290B2 (ja) 貨幣入金装置および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2019164539A (ja) 袋詰システム、買物支援システム、袋詰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38406B1 (ko)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JP4212817B2 (ja) 包装硬貨処理システム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WO2015141076A1 (ja) 現金管理システム及び現金取扱装置
JP2014194627A (ja) 媒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19101507A (ja) 認識システム、それを用いた収容システム、及び買物支援システム、並びに収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8537B2 (ja) 硬貨回収用部材及び回収用部材付き硬貨処理装置
JP5696472B2 (ja) 自動販売機
CN115702432A (zh) 自动售货机系统和自动售货机
JP6770372B2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5375287B2 (ja) 自動販売機
JP6576687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674976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入出金機
JP7419812B2 (ja) 会計機、会計方法、及び、記録媒体
JP7363474B2 (ja) 会計機、会計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3030029A (ja) Posシステムおよび貨幣入出金装置
JP6522197B2 (ja) 決済装置
JP4743035B2 (ja) 自動販売機
JP5621247B2 (ja) 自動販売機
JP2021051587A (ja) 自動販売機
JP2021128426A (ja) 会計システム、会計機、会計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