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94B1 -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94B1
KR102263194B1 KR1020200055757A KR20200055757A KR102263194B1 KR 102263194 B1 KR102263194 B1 KR 102263194B1 KR 1020200055757 A KR1020200055757 A KR 1020200055757A KR 20200055757 A KR20200055757 A KR 20200055757A KR 102263194 B1 KR102263194 B1 KR 10226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smetics
management module
cosmetic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령
Original Assignee
이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령 filed Critical 이령
Priority to KR102020005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이 진열된 진열대 및 화장품을 결제하는 결제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진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진열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SYSTEM FOR SELLING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화장품을 진열 및 판매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피부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피부미용을 하고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남성들도 피부미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피부미용을 위한 화장품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이라 함은 피부를 청정, 보호, 미화시키기 위해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피부에 촉촉한 윤기가 오래도록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촉진, 피부노화방지, 이상세포억제, 혈액순환촉진, 건성피부 조절, 거친 피부 개선, 피부 노폐물 제거, 추위피부보호, 제습, 피부 곰팡이 억제, 기미방지, 피부 윤택, 피부영양공급 원활, 피부탄력강화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부미용을 행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강한 햇볕을 방지하여 피부를 곱게 태워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및 자외선을 차단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말한다.
그러나, 매장에서 화장품을 구매 시,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직관적으로 찾거나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안내받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62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으로 화장품을 진열 및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원하는 화장품을 용이하게 구매하고,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안내받는 것이 가능한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품이 수납된 진열대를 수납 및 보호할 수 있는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진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진열대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내측에 상기 진열대를 수용하여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진열대에 수용된 화장품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보호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함은, 내측에 상기 진열대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고, 일 측에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측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커버;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의 구동 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벨트, 일 측은 상기 구동벨트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선형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도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커버를 지지하고,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커버 지지 프레임; 상기 진열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커버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경사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상기 화장품을 결제하는 결제대,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결제 관리 모듈 및 매장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화장품이 진열된 매장에서 운영되고, 상기 매장은 입구 공간, 진열대 공간 및 결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공간, 진열대 공간 및 결제 공간 각각은 사용자 및 화장품 관리용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관리 모듈은 상기 입구 공간을 관리하고, 개방 및 폐쇄 가능한 입구 측 도어를 제어하는 입구 제어부; 상기 입구를 통해 입장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와 동기화를 진행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를 입력 받는 서비스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은 상기 진열대 공간을 관리하고,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를 인식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화장품을 상기 진열대에 진열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화장품의 관리 환경을 제어하고, 상기 진열대에서 상기 화장품의 진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장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화장품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안내해주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 및 매장 내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기반으로 설정된 기본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선택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을 기반으로 한정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관리 모듈은 상기 결제 공간을 관리하고, 각종 신용카드, 체크카드, 앱카드, 각종 페이, 핀테크 페이, 웹 카드 및 현금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 및 사용자가 결제한 화장품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관리 모듈은,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결제 관리 모듈 및 외부 서버 각각과 통신하며,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및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를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및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 전송하는 처리부;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및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서 수신된 정보,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화장품의 도난, 화장품의 파손, 화재 및 무단 침입에 해당하는 보안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보안 이벤트를 기반으로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경찰서, 소방서, 관리자 단말 또는 보안 업체에 상기 보안 이벤트를 전송하는 보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는 식별가능한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 제공 장치, 식별가능한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 제공 장치 및 식별가능한 화면 및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는 스마트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사용자가 소지한 화면 제공 장치, 음성 제공 장치 및 스마트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화면 제공 장치, 음성 제공 장치 및 스마트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하고, 상기 서비스의 메뉴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해설해주는 해설 서비스,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진열 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 안내 서비스, 및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의 설정 권한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제어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는 피부적합성, 품질, 가격, 화장품 성분, 피부보호, 용량, 테스트 가능, 용기/포장 디자인 및 동물 실험 반대 유무를 포함하는 가치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는 제품명, 제조날짜, 유통기한 및 최적의 관리 환경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추가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화장품의 관리 정보, 화장품 사용 관련 정보 및 동시 사용 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는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고,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 용량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미리 결제 서비스 및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미리 결제 서비스 및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미리 결제 서비스는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을 장바구니 형태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한 후 사용자의 결제를 요구하고, 상기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는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에 해당하는 구매 사이트 링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 관리부는 진열대 앞에서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확인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진열대의 질량이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면, 사용자가 확인한 화장품을 진열대에서 가지고 간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화장품에 대해 사용자 소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부에서는 상기 사용자 소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지 정보에 해당되는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화장품 확인 유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하고, 매장 내에서 상기 해당 화장품의 존재를 검색한 후, 해당 화장품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화장품을 사용자가 절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보안 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가 확인하고 관심있어 하는 특정 화장품에 대한 링크를 사용자 및 사용자의 지인에게 사진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으로 화장품을 진열 및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원하는 화장품을 용이하게 구매하고,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안내받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매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입구 관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 관리 모듈에서 사용되는 로봇 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의 보호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호함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의 보호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매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입구 관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에서 진열대 관리 모듈에서 사용되는 로봇 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1000)은 입구 관리 모듈(100), 진열대 관리 모듈(200), 결제 관리 모듈(300) 및 매장 관리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은 입구 공간(1), 진열대 공간(2) 및 결제 공간(3)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 공간(1), 진열대 공간(2) 및 결제 공간(3)은 구획 없이 연결된 공간일 수 있으며, 개념적으로만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 공간(1), 진열대 공간(2) 및 결제 공간(3) 각각에는 사용자, 침입자 또는 화재 등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15, 25, 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매장에는 단일 사용자가 입장한 후 화장품 구매 후 퇴장한 이후, 다른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형태로 복수의 사용자가 임의로 입장 및 퇴장할 수도 있다.
입구 관리 모듈(100)은 입구 공간(1)을 관리하고, 입구 제어부(100a), 동기화부(100b) 및 서비스 선택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제어부(100a)는 매장 내 입구 측의 도어(11)를 제어할 수 있다.
입구 제어부(100a)는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하여,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고, 매장 관리 모듈(400)의 제어 신호를 받아 도어(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입구 공간(1)에는 입구 관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입구 관리 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입구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111) 및 매장 및 화장품 정보를 안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입출력 수단(112)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수단(111)은 RF 통신을 통한 사용자의 개인 단말을 식별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는 서버(2000) 또는 매장 관리 모듈(400)에 저장할 수 있고, 식별 이후 서버(2000) 또는 매장 관리 모듈(400)에서 이전에 방문 또는 구매 이력을 매칭하여 불러올 수 있다.
동기화부(100b)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입구 공간(1)에 진입한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A, B)를 검색하고, 매장 내 화장품 판매 시스템(1000)과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A, B)를 동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A, B)는 식별가능한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 제공 장치(미도시), 식별가능한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 제공 장치(B) 및 식별가능한 화면 및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는 스마트 단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100b)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사용자가 소지한 화면 제공 장치(미도시), 음성 제공 장치(B) 및 스마트 단말 장치(A)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동기화부(100b)는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화면 제공 장치(미도시), 음성 제공 장치(B) 및 스마트 단말 장치(A)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기화부(100b)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A)가 동기화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동기화부(100b)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A)가 동기화되면, 화장품 판매 시스템(1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음성 및 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매장 내에서는 복수의 음성 수신기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인식한 후, 이에 따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A)가 화장품 판매 시스템(1000)과 동기화 된 이후, 서비스 선택부(100c)는 사용자에게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의 메뉴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해설해주는 해설 서비스,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진열 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 안내 서비스, 및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의 설정 권한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제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비스는 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서비스의 등급을 달리하고, 사용자의 가입 등급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가입 등급은 사용자의 구매 내역 또는 별도의 회비를 통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는 피부적합성, 품질, 가격, 화장품 성분, 피부보호, 용량, 테스트 가능, 용기/포장 디자인 및 동물 실험 반대 유무를 포함하는 가치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선택부(100c)에서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옵션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답변)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선택부(100c)에서 제공되는 옵션은 질문 형태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답변)은 음성으로 수행될 수 있고 서비스 선택부(100c)는 음성 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음성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답변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진열대 관리 모듈(200)은 진열대 공간(2)을 관리하고, 화장품 관리부(200a), LED 제어부(200b) 및 서비스 관리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진열대 공간(2)에는 복수의 진열대(210)가 배치되고, 복수의 진열대(210)의 사이 바닥(201)에는 복수의 LED(2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진열대(210)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10)이 진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10)이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화장품(10)을 지지한다. 그리고, 진열대(210)는 화장품(10)이 삽입되는 삽입홈(210a), 화장품(10)이 놓인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LED(211) 및 삽입홈(210a)의 바닥에 배치되어 놓인 화장품(10)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 센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진열대(210)는 화장품(10)을 수용한다. 진열대(210)는 복수의 화장품(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장품(10) 및 서버(20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의 보호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보호함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의 보호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1000)은 보호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함(500)은 내측에 진열대(210)를 수용하여 외부공간으로부터 진열대(210)에 수용된 화장품을 보호한다.
보호함(500)은 커버(510), 개폐도어(520), 동력전달부(530), 커버 지지 프레임(570), 지지플레이트(540), 승강유닛(550) 및 경사조절유닛(56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510)는 내측에 진열대(210)가 수용 가능한 공간(510a)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510)의 일 측에는 공간(510a)과 연통되는 개구부(510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510)의 양 측부에는 각각 개폐도어(520)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521)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Г’형태의 가이드홈(511)이 마련되고, 커버(510)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동력전달부(530)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512)이 마련될 수 있다.
개폐도어(520)는 커버(510)에 결합되고, 동력전달부(530)에 의해 개구부(510b)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도어(520)는 가이드홈(511)에 배치되어 가이드홈(511)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의 롤러(521)와, 복수의 롤러(521)를 지지하고 개구부(510b)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명플레이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도어(520)는 동력전달부(53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홈(511)을 따라 커버(5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커버(51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커버(510)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개구부(510b)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개폐도어(520)는 동력전달부(5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홈(511)을 따라 커버(5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커버(5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커버(51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개구부(510b)를 폐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530)는 커버(5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폐도어(520)와 결합되고, 개폐도어(520)를 전후방향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켜 커버(501)의 개구부(510b)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530)는 커버(510)에 배치되는 모터(531)와, 모터(531)에 결합되고, 모터(531)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5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530)는 가이드레일(5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풀리(532)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종동풀리(533)와, 구동풀리(532) 및 종동풀리(533)에 결합되고, 구동풀리(532) 및 종동풀리(533)의 구동 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벨트(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530)는 일 측은 구동벨트(534)에 결합되고, 타 측은 개폐도어(520)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선형 이동되면서 개폐도어(52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부재(535)의 양 단부에는 결합을 위한 브라켓이 각각 마련되고, 복수의 브라켓 사이에는 각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타 부재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V’형태로 절곡된 연결바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530)는 이송부재(535)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서 각각 이송부재(535)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5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구동 제어부(5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송부재(535)는 감지센서 및 이의 신호를 감지하여 모터(5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지지 프레임(570)은 커버(510)를 지지하고, 내측에 승강유닛(55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지지 프레임(570)은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540)는 커버 지지 프레임(5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 지지 프레임(57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면으로 진열대(2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플레이트(540)의 전방측 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540)와 커버 지지 프레임(570)을 연결하고, 지지플레이트(54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형태의 결합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유닛(550)은 커버 지지 프레임(570)의 내측에 복수로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540)를 지지하고,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플레이트(5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승강유닛(550)은 진열대(210)를 커버(5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유닛(55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축부,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및 축부에 결합되어 상면으로 지지플레이트(540)를 지지하고, 축부의 회전 시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선형이동 되는 이동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조절유닛(560)은 일 측은 지지플레이트(54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 측은 커버 지지 프레임(570)의 저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54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진열대(2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진열대(210)로부터 화장품(10) 관련 정보 및 진열대(210)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화장품(10) 관련 정보 및 진열대(210) 관련 정보란 화장품(10)의 사용횟수 및 진열대(210) 또는 화장품(10)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정보, 화장품(10)의 무게정보, 화장품(10)이 진열대(210)로부터 인출되는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화장품(10)의 무게정보, 화장품(10)의 사용횟수 또는 화장품(10)이 진열대(210)로부터 인출되는 횟수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상품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자주 인출되는 화장품(10)나 화장품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소진되는 상품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이 상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출되는 회수가 낮거나 화장품의 소진 시간이 매우 더딘 상품은 광고 등이 추가로 필요한 상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사용자의 관심이 높은 상품과 사용자의 관심이 낮은 상품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 관리부(200a)는 매장에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를 인식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화장품을 진열대에 진열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화장품의 관리 환경을 제어하고, 진열대에서 화장품의 진열 여부를 판단하고, 화장품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화장품 관리부(200a)는 코드 인식유닛(51) 및 그립 유닛(52)을 갖는 로봇(50)을 제어하여, 입고된 화장품을 분류하고 이를 진열대(210)에 진열할 수 있다.
여기서,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는 제품명, 제조날짜, 유통기한 및 최적의 관리 환경을 포함할 수 있고, 화장품 관리부(200a)는 이를 기반으로 진열대(210) 상에 화장품(10)을 진열하고 각 화장품(10) 마다 상이한 관리 환경을 제공하여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관리부(200a)는 화장품(10) 진열 시, 유통기한을 기준으로 늦은 것을 뒤로하여 진열할 수 있고, 코드에 기록된 내용 기반으로 온도, 습도, 조도 및 배치 간격을 조절하여 관리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관리부(200a)는 재고 관리를 통해, 특정 화장품 판매 시 이를 재 진열하여 진열대(210) 상에 항상 최적의 상품이 진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관리부(200a)는 진열대에 설치된 카메라(210)를 통해 진열대(210) 앞에서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확인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진열대의 질량이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면, 사용자가 확인한 화장품을 진열대에서 가지고 간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화장품에 대해 사용자 소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소지 정보는 매장 관리 모듈(4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후 매장 내에서 해당 화장품이 검색되는 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LED 제어부(200b)는 진열대 공간(2) 및 진열대(210)에 배치된 복수의 LED(211, 22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LED 제어부(200b)는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안내해주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LED(211, 22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선택부(100c)에서 제공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화장품이 특정되거나 사용자가 특정 화장품의 위치를 문의하는 경우, 우선, LED 제어부(200b)는 바닥(201)에 설치된 복수의 LED(220)를 제어하여 특정 화장품이 진열된 진열대(210)의 위치를 안내해줄 수 있다.
이후, LED 제어부(200b)는 진열대(210)에 설치된 복수의 LED(211)를 제어하여 특정 화장품(10)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LED 제어부(200b)는 특정 화장품(10)에 인접하고, 유사한 성분을 갖는 다른 화장품에 대응되는 LED(211)를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00c)는 매장 내 사용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동선을 기반으로 설정된 기본 서비스 및 서비스 선택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을 기반으로 한정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서비스 관리부(200c)는 매장 내 사용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동선에 인접한 특정 화장품(10)의 기능, 성분 등의 내용을 담은 안내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관리부(200c)는 진열대에 설치된 카메라(210)를 통해 진열대(210) 앞에서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확인하면, 해당 화장품(10)의 기능, 성분 등의 내용을 담은 안내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관리부(200c)는 진열대에 설치된 카메라(210)를 통해 진열대(210) 앞에서 사용자가 특정 화장품을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확인하고, 본 판매 시스템(1000)에서 상세 설명을 듣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특정 화장품을 상용자의 관심 화장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200c)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가 확인하고 관심있어 하는 특정 화장품(10)에 대한 링크를 사용자 및 사용자의 지인에게 사진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200c)는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고,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 용량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미리 결제 서비스 및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미리 결제 서비스 및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미리 결제 서비스는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을 장바구니 형태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한 후 사용자의 결제를 요구하고,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는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에 해당하는 구매 사이트 링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300)은 결제 공간(3)을 관리하고, 결제부(300a) 및 정보 제공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부(300a)는 각종 신용카드, 체크카드, 앱카드, 각종 페이, 핀테크 페이, 웹 카드 및 현금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부(300a)는 무인 포스 단말 장치(point-of-sales terminal)로 구현되는 결제대(301)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결제부(300a)에서는 상술한 사용자 소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제 시 사용자 소지 정보에 해당되는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화장품 확인 유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하고, 매장 내에서 해당 화장품의 존재를 검색한 후, 해당 화장품이 검색되지 않으면 해당 화장품을 사용자가 절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경고 후 이를 보안 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300b)는 사용자가 결제한 화장품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과 관련된 추가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화장품의 관리 정보, 화장품 사용 관련 정보 및 동시 사용 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관리 모듈(400)은 처리부(400a), 저장부(400b) 및 보안 처리부(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400a)는 입구 관리 모듈(100), 진열대 관리 모듈(200), 결제 관리 모듈(300) 및 외부 서버(2000) 각각과 통신하며, 입구 관리 모듈(100), 진열대 관리 모듈(200) 및 결제 관리 모듈(300) 각각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를 입구 관리 모듈(100), 진열대 관리 모듈(200) 및 결제 관리 모듈(30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b)는 입구 관리 모듈(100), 진열대 관리 모듈(200) 및 결제 관리 모듈(300) 각각에서 수신된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처리부(400c)는 화장품의 도난, 화장품의 파손, 화재 및 무단 침입에 해당하는 보안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며, 보안 이벤트를 기반으로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된 도어(11, 12)의 개폐를 제어하고, 경찰서, 소방서, 관리자 단말 또는 보안 업체에 보안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100. 입구 관리 모듈
200. 진열대 관리 모듈
300. 결제 관리 모듈
400. 매장 관리 모듈
500. 보호함

Claims (2)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진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이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진열대를 포함하고,
    내측에 상기 진열대를 수용하여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진열대에 수용된 화장품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보호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함은,
    내측에 상기 진열대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고, 일 측에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측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커버;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의 구동 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벨트, 일 측은 상기 구동벨트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선형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도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커버를 지지하고,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커버 지지 프레임;
    상기 진열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커버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경사조절유닛을 포함하고,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상기 화장품을 결제하는 결제대, 입구 관리 모듈, 진열대 관리 모듈, 결제 관리 모듈 및 매장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은 화장품이 진열된 매장에서 운영되고,
    상기 매장은 입구 공간, 진열대 공간 및 결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공간, 진열대 공간 및 결제 공간 각각은 사용자 및 화장품 관리용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관리 모듈은 상기 입구 공간을 관리하고,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도어를 제어하는 입구 제어부;
    입구를 통해 입장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와 동기화를 진행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를 입력 받는 서비스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은 상기 진열대 공간을 관리하고,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를 인식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화장품을 상기 진열대에 진열하고, 화장품의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화장품의 관리 환경을 제어하고, 상기 진열대에서 상기 화장품의 진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장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화장품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안내해주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 및
    매장 내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기반으로 설정된 기본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선택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을 기반으로 한정된 부가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관리 모듈은 상기 결제 공간을 관리하고,
    각종 신용카드, 체크카드, 앱카드, 각종 페이, 핀테크 페이, 웹 카드 및 현금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사용자가 결제한 화장품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관리 모듈은,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 상기 결제 관리 모듈 및 외부 서버 각각과 통신하며,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를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 전송하는 처리부;
    상기 입구 관리 모듈, 상기 진열대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관리 모듈 각각에서 수신된 정보,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화장품의 도난, 화장품의 파손, 화재 및 무단 침입에 해당하는 보안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보안 이벤트를 기반으로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경찰서, 소방서, 관리자 단말 또는 보안 업체에 상기 보안 이벤트를 전송하는 보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는 식별가능한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 제공 장치, 식별가능한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 제공 장치 및 식별가능한 화면 및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는 스마트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화면 제공 장치, 상기 음성 제공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화면 제공 장치, 상기 음성 제공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동기화를 진행하고,
    상기 서비스의 메뉴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정보를 해설해주는 해설 서비스,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 화장품의 진열 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 안내 서비스, 및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의 설정 권한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제어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치 우선순위는
    피부적합성, 품질, 가격, 화장품 성분, 피부보호, 용량, 테스트 가능, 용기/포장 디자인 및 동물 실험 반대 유무를 포함하는 가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입고된 화장품에 기록된 코드는 제품명, 제조날짜, 유통기한 및 관리 환경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추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구매 화장품의 관리 정보, 화장품 사용 관련 정보 및 동시 사용 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 용량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미리 결제 서비스 및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상기 미리 결제 서비스 및 상기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미리 결제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을 장바구니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를 요구하고, 상기 구매 링크 전송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장 내에서 확인한 화장품에 해당하는 구매 사이트 링크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화장품 관리부는 상기 진열대 앞에서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 확인 제스처를 확인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진열대의 질량이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화장품을 상기 진열대에서 가지고 간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화장품에 대해 사용자 소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부에서는 상기 사용자 소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지 정보에 해당되는 화장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화장품 확인 유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하고, 상기 매장 내에서 상기 해당 화장품의 존재를 검색한 후, 상기 해당 화장품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화장품을 상기 사용자가 절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보안 처리부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고 관심있어 하는 특정 화장품에 대한 링크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에게 사진과 함께 전송하는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KR1020200055757A 2020-05-11 2020-05-11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KR10226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57A KR102263194B1 (ko) 2020-05-11 2020-05-11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57A KR102263194B1 (ko) 2020-05-11 2020-05-11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94B1 true KR102263194B1 (ko) 2021-06-08

Family

ID=7639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57A KR102263194B1 (ko) 2020-05-11 2020-05-11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3B1 (ko) * 2022-04-18 2023-01-19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288A (ko) 2005-07-08 2007-01-11 이용훈 카운슬링이 제공되는 맞춤 화장품 판매 시스템 및 그것의운용방법
JP2007265084A (ja) * 2006-03-29 2007-10-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店舗装置
KR20140107726A (ko) * 2013-02-26 2014-09-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2016513636A (ja) * 2013-03-11 2016-05-16 エイブ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品即席製造装置及びその使い捨て混合容器
KR20190019453A (ko) *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288A (ko) 2005-07-08 2007-01-11 이용훈 카운슬링이 제공되는 맞춤 화장품 판매 시스템 및 그것의운용방법
JP2007265084A (ja) * 2006-03-29 2007-10-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店舗装置
KR20140107726A (ko) * 2013-02-26 2014-09-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2016513636A (ja) * 2013-03-11 2016-05-16 エイブ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品即席製造装置及びその使い捨て混合容器
KR20190019453A (ko) *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3B1 (ko) * 2022-04-18 2023-01-19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WO2023204360A1 (ko) * 2022-04-18 2023-10-26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5668A1 (en)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system and related method
RU2597456C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дажи и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дажи контролируемых товаров
US9665690B2 (en) Secure cabinet for dispensing items
US10176469B2 (en) Interactive jewelry vending machine
US20120078413A1 (en) Secured electrical recharging facility method and apparatus
US20210073765A1 (en) Automatic vending store
CN111316301A (zh) 自动售货机
WO2016057381A1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ules-restricted vending machine purchases
KR20170028394A (ko) 컴퓨터-제어, 무인, 자동화 체크아웃 스토어 아웃렛 및 관련 방법
US20050035197A1 (en) Vending machine with electronic payment media
KR102136338B1 (ko) 제품 재고량에 따른 자동 발주 기능이 구비된 자판기
CN107730783A (zh) 基于自助收银机的无人便利店运营系统
KR102257463B1 (ko)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25284B2 (en) Automatic dispenser of portable terminals
CN104217496A (zh) 自动出货机构、售卖终端、公共交通工具及自助售卖方法
EP3716235A1 (en) Unstaffed store system
KR102263194B1 (ko) 화장품 제조 판매 시스템
EP3716190A1 (en) Store
EP3716189A1 (en) Store
CN212873646U (zh) 支持医保电子凭证的自动售药系统
JP7165860B2 (ja) 店舗管理方法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US20040143445A1 (en) Method of selling controlled items through vending machines
RU2368014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RU2737311C1 (ru) Система зарядк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CN207425032U (zh) 一种履带传输式自助收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