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63B1 -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63B1
KR102257463B1 KR1020200160580A KR20200160580A KR102257463B1 KR 102257463 B1 KR102257463 B1 KR 102257463B1 KR 1020200160580 A KR1020200160580 A KR 1020200160580A KR 20200160580 A KR20200160580 A KR 20200160580A KR 102257463 B1 KR102257463 B1 KR 10225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product
aid box
a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로드
권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로드, 권대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로드
Priority to KR102020016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63B1/ko
Priority to US17/505,938 priority patent/US202201806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판매되는 구급박스의 상품 정보를 관리하여 구급박스 자판기들 각각에 대한 매출, 재고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 관리자 단말기, 상품 공급자 시스템 및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통합 관리 서버는 구급박스가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시, 해당 구급박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상품 공급자에게 발주 요청하여, 구급박스를 공급하도록 처리하고, 구급박스 자판기에 대한 전산 관리, 결제 관리, 유통 관리 및 상품 공급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상품 품절 시, 관리자에게 재고 상태를 알려주거나, 상품 공급자에게 자동으로 발주 요청하여 신속하게 상품 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 품절없이 구매자가 응급 상황에 필요로 하는 구급박스를 원하는 시점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IRST AID KIT VENDING MACHIN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의 구급박스를 무인으로 자동 판매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의 상품의 입고, 판매, 재고 등을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상품 품절 시, 관리자에게 재고 상태를 알려주거나, 상품 공급자에게 자동으로 발주 처리하여 구급박스 자판기에 대한 전산 관리, 결제 관리, 유통 관리 및 상품 공급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는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다양한 상품들을 무인으로 자동 판매하기 위해 구매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 자동 판매기는 구매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고, 또한 판매자가 점포를 임대하지 않고 판매 가능하기 때문에 점포 임대 보다 저렴한 유지 비용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어 동일한 상품을 보다 저렴하게 판매 가능하므로 높은 수익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는 판매자가 상주하지 않고서도 구매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을 지불하면, 해당 상품이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자동 판매기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상품의 재고량을 파악하지 못함에 따라 재고가 부족하여 판매가 중지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판매 중지 중인 상태를 알 수 없다. 이에 관리자나 상품 공급자가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자동 판매기의 위치로 방문하여 자동 판매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관리자나 상품 공급자가 확인되지 않은 기간 동안에는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이 품절된 상태가 지속되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시점에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급박스(first aid)는 구급 약품이나 응급 키트 등과 같이, 처방전없이 사용자가 구매 가능한 의약외품으로, 예를 들어, 상처, 화상, 골절, 전염병 등으로 인한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위해 용도에 따라 다양한 의약외품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급박스를 무인으로 자동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 즉, 구급박스 자판기는 병원과 약국의 업무 시간이 지난 경우에도 의약외품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 발생 시에 처방전없이 의약외품을 구매하여 응급 상황에 대해 신속한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매자가 구급박스 자판기의 설치 장소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장시간에 걸쳐서 설치 장소를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고, 어렵게 구급박스 자판기를 찾더라도 원하는 상품이 품절된 경우, 상품을 구매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응급 상황이 발생되어도 구매자가 위치하는 그 주변에서 구급박스를 확보할 수 없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의 구급박스 자판기에서 구급박스를 확보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663호(공고일 2016년 06월 24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7709호(공고일 2011년 11월 30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455호(공개일 2020년 01월 30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2845호(공개일 2017년 08월 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 단말기와 물품 공급자 시스템과 연동해서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시, 상품 판매가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상품을 공급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구급박스 자판기의 제반 관리 과정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매자에게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를 안내하여 상품의 구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기기 상태, 상품의 재고 유무를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의 입고, 판매, 재고 및 통계 등의 제반 사항을 온라인으로 통합 관리가 가능하며, 구매자가 구급박스 자판기의 설치 장소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상품 품절로 인한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수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의 구급박스를 자동 판매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담당하는 관리자가 구비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구급박스에 대한 상품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 시스템;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식별하여 설치 장소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추출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일정 기준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상태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려주고, 상기 상품 공급자 시스템으로 일정 기준 이하이거나 품절된 상품을 발주 요청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설치 장소의 주소가 포함된 리스트로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통신 불량, 전원 차단 및 오동작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기 상태를 더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려준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유통 기한을 설정하고,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경과되면,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해당 상품의 판매를 중지시킨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재고 정보가 제1 기준 재고 이하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재고 정보가 상기 제1 기준 재고 보다 낮은 제2 기준 재고 이하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상품 공급자 시스템으로 해당 상품을 자동 발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재고 상태를 실시간으로 온라인 모니터링함으로써,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상품 품절 시, 관리자에게 재고 상태를 알려주거나, 상품 공급자에게 자동으로 발주 요청하여 신속하게 상품 공급이 가능하고, 상품 품절없이 구매자가 응급 상황에 필요로 하는 구급박스를 원하는 시점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구급박스 자판기들에 대한 전산 관리, 결제 관리, 유통 관리 및 상품 공급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4시간 연중 무휴로 상품 판매 및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에게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자신이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소액 투자로 창업이 가능하고, 생활 밀착형의 상품들로 구성되어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유지 비용으로 약국, 편의점 대비 보다 저렴한 판매가 가능하며, 이로 인한 매출 증가로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구매자에게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편리하게 상품 구매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을 실시간으로 온라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별화된 시스템 구축으로 독점권을 보장하고,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untact) 시대에 적합한 전문화된 의약외품 자판기를 확산시킬 수 있으며, 경쟁자가 없는 전문화된 의약외품 시장의 블루오션 시스템으로 구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박스 자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급박스 자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에 따른 자동 발주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및 상품 안내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유통 기한에 따른 판매 여부 결정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급박스 자판기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판매되는 구급박스의 상품 정보를 관리하여 구급박스 자판기들 각각에 대한 매출, 재고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구급박스가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시, 해당 구급박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상품 공급자에게 발주 요청하여, 구급박스를 공급하도록 처리하고, 구급박스 자판기에 대한 전산 관리, 결제 관리, 유통 관리 및 상품 공급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한다.
여기서 구급박스는 별도 처방 없이 약국, 편의점 등에서 살 수 있는 간단한 의약품, 처치 도구, 응급 키트 등을 포함하는 의약외품들로서, 예를 들어, 소독약, 상처 연고, 반창고, 파스, 마스크, 손소독제, 위생 가위, 생리대 등 다양한 생활 밀착형의 제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들과 통합 관리 서버가 연결되고, 통합 관리 서버가 관리자 단말기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과 연동해서 구급박스 자판기들을 통합 관리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가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에 대한 통합 관리가 실시간 온라인으로 가능하고, 구매자가 쉽게 구급박스 자판기를 찾아서 필요로 하는 구급박스의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며, 다양한 용도의 구급박스(이하 상품이라 한다)들을 자동 판매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 입고, 판매, 재고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관리자에게 알려주어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상품의 일정 재고 기준 이하이거나 품절 시, 해당 상품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에게 자동 발주하여 해당 상품을 판매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공급 요청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실시간으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품이 일정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시, 신속하게 조치가 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와,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 및 통합 관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구매자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급박스 자판기(200), 관리자 단말기(300),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 구매자 단말기(500)들 각각은 통신망(4)을 통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망(4)은 예컨대,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어 구급박스 자판기(200)와 통합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기(300)와 통합 관리 서버(100),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과 통합 관리 서버(100), 구매자 단말기(500)와 통합 관리 서버(100)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다양한 용도의 상품들을 자동 판매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예컨대, 자판기 코드 등의 식별 정보를 구비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가 식별 가능하고 이를 통해 설치 장소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다. 즉,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시간, 장소 등의 제약에 관계없이 구매자가 상품을 필요로 할 때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거나 왕래하는 건물, 현장, 야외 등의 공공 장소나 시설 등 쉽게 접근이 가능한 다양한 장소들 예를 들어, 아파트, 학교, 편의점, 교회, 공원, 관공서, 도로 휴게소, 놀이 시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예를 들어, 상처, 화상, 골절, 전염 예방 등 용도별 세트 제품과, 손소독제, 마스크, 위생 장갑, 위생 가위, 상처 연고, 화상 연고, 반창고, 소독약, 탄력 보호대, 에어 파스, 멸균 거즈 등 단일 제품의 상품들을 구비한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설치 장소를 판별하도록 통합 관리 서버(100)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상품의 종류, 수량 등의 입고 정보와 판매 정보 및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예컨대,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상품의 입고 및 판매에 따른 상품의 수량을 산출하여 상품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품별 재고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1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가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상품별 입고 및 판매에 따른 재고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재고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고 정보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진열된 상품의 수량과 관리자가 별도로 보관 중인 상품의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기존의 다양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의 구성 예를 들어, 상품을 수용하는 구성,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구성, 상품을 배출하는 구성 등을 가지며, 여기서 이들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담당하는 관리자(또는 운영자)가 구비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관리자의 개인 정보 즉, 관리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자 정보에 매칭시켜서 관리자 자신이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대한 자판기 정보를 등록한다. 즉,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합 관리 서버(100)의 회원으로 가입하고, 회원 아이디(ID)에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식별 정보를 매칭되게 입력하여 관리자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통합 관리 서버(100)에 등록한다.
여기서 관리자 정보에는 관리자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관리자 자신이 담당하는 자판기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자판기 정보에는 자판기 코드, 주소 등 설치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판매되는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 상품의 당일 판매량, 누적 판매량 등 상품의 판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자판기 코드는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와 링크되고, 위치 정보는 전자 지도 상에 매칭되어 설치 장소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 장소의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품 정보에는 자판기 코드, 자판기 내의 상품 일련 번호, 상품 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자판기 내의 남은 수량, 재고 수량, 기준 재고, 유통 기한, 상품 가격, 상품 공급자, 사용 설명서, 등록일, 판매 및 판매 중지 여부, 편집 여부 등이 포함된다. 판매 정보에는 상품 코드, 판매 금액, 판매 수량 등이 포함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관리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앱을 이용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관리자 자신이 담담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 정보를 검색, 선택 및 확인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과 각각의 상품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입고 정보, 판매 정보 및 재고 정보 등을 전송받아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구급박스 자판기 앱을 이용하여 하나의 상품 정보를 선택하면,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자판기 정보와 상품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재고 정보가 일정 기준 이하이거나 품절된 경우, 이메일, 문자 메시지, 팝업 화면 등을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물론 관리자 단말기(300)는 새로이 필요한 상품이나 재고가 부족한 상품들에 대해 통합 관리 서버(100)로 상품을 발주 요청할 수도 있다.
또 관리자 단말기(30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른 통계 처리된 판매 정보를 구급박스 자판기별, 일자별, 기간별, 요일별, 상품별 등으로 분류 및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는 판매 정보를 확인하고, 예를 들어, 반품, 불량품 등 필요에 따라 통합 관리 서버(100)로 판매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작동 여부와 판매 정보를 확인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각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 정보와 판매 정보 및 재고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정 재고량에 따라 상품 공급자로부터 공급된 상품들을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입고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상품 공급자들 각각에 구비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등의 통신 가능한 단말기 뿐만 아니라, 서버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상품 정보에 매칭되고,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상품의 재고 정보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일정 기준 이하 또는 품절된 복수 개의 상품들에 대한 발주를 요청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하나의 상품의 재고량이 제1 기준 재고 이하 예를 들어, 적정 재고량의 약 50 ~ 60 % 범위 내의 재고량이면, 알림 서비스를 받고, 제1 기준 재고 보다 낮은 제2 기준 재고 이하 예를 들어, 적정 재고량의 약 30 ~ 40 % 범위 내의 재고량이면, 해당 상품에 대한 발주를 요청받는다. 이 때,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상품명, 수량, 배송 주소, 담당 관리자의 인적 사항 등을 이메일,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송받는다. 이러한 기준 재고량은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설정, 저장되며,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 상품의 판매량 등에 따라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가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 장소이거나, 특정 상품의 판매량이 많은 경우 등에는 기준 재고량의 범위를 보다 크기 설정하여 재고 부족 시, 신속하게 해당 상품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발주 요청이 전송되면, 이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을 관리자에게 발송하도록 처리한다.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상품이 발송되면, 관리자 단말기(300)와 통합 관리 서버(100)로 상품이 발송되었음을 알려주고,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상품의 수령을 확인한다. 또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은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상품 수령이 확인되면, 통합 관리 서버(100)로 상품이 관리자에게 수령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5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구비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된다. 구매자 단말기(500)는 구급박스 자판기 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구매자 단말기(50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에 구매자 단말기(5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와 판매 상품을 확인하여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이 있는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에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작동 여부와 판매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예를 들어,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전원 공급 상태, 통신 상태, 오동작 등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전산 관리를 위하여,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와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기(300) 및 복수 개의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에 대한 자판기 정보, 관리자 정보 및 상품 공급자 정보들을 등록, 관리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자판기 정보, 관리자 정보, 상품 공급자 정보, 상품 정보 등을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로 상품 정보와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 설명서 및 상품에 대한 광고 정보 등을 전송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서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위치 즉, 설치 장소를 판별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들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관리자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들 각각으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와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를 관리자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들 각각으로 전자 지도 상에 표시하도록 제공하거나, 주소가 포함된 리스트 형태로 제공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상품들 각각의 입고 정보, 판매 정보 및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재고 정보가 기준 재고 정보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물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부족한 상품을 발주 요청한다. 여기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하나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상품 정보에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재고량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적정 재고량의 약 50 ~ 60 % 범위 내의 제1 기준 재고 이하이면, 관리자 단말기(300)와, 해당 상품 정보에 매칭된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이메일, 문자 메시지, 팝업 화면 등을 전송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재고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예를 들어 적정 재고량의 약 30 ~ 40 % 범위 내의 제2 기준 재고량 이하이면,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이메일 등을 전송하여 해당 상품을 발주 요청한다. 이 때,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명, 수량, 배송 주소, 관리자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시켜서 발주 요청하고, 이메일, 문자 메시지, 팝업 화면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상품 발주를 알려주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재고가 부족한 구급박스 자판기(200)로 상품이 공급 및 수령되면,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상품이 공급 및 수령되었음을 전달받는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 정보의 유통 기한을 판별하거나 필요에 따라 임의로 해당 상품의 판매 및 판매 중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구급박스 자판기(200)로 전송하거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른 신용 카드, 체크 카드 등의 결제 정보를 전송받아서 외부의 결제 시스템(미도시됨)과 연동하여 결제를 요청, 승인 처리할 수 있다. 이에 통합 관리 서버(100)는 판매 내역을 확인하거나 판매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결제 처리된 상품에 대한 환불 요청이 전송되면, 이를 결제 시스템과 연동해서 결제를 취소 및 환불 처리하고, 환불 처리된 내역의 환불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와 통합 관리 서버(100)가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들과 연동해서 구급박스 자판기(200) 및 판매 상품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모니터링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와 통합 관리 서버 각각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급박스 자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급박스 자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내부 공간에 다양한 용도의 상품 즉, 구급박스(10)들을 수용한다. 이 때, 구급박스(10)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른 서로 다른 용도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구급박스(10)는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용도를 갖는 구급 약품, 응급 키트 등을 포함한다. 또 구급박스(10)는 용도에 따라 세트 제품과 단일 제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구성과 관련된 기술은 이미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본체(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선택부(240), 배출부(250) 및 표시부(26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구급박스(10)들이 복수 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된다. 본체부(210)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급박스(10)들 각각을 배출구(252)로 배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본체(210)는 전면 일측에 내부 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도어(212)가 구비되고, 도어(212)의 일부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급박스(1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윈도우(214)가 형성된다. 또 도어(214)의 하부에는 구급박스(10)를 배출하는 배출구(252)가 구비된다.
또 본체(210)의 전면 타측에는 터치 패널(280), 카드 리더기(222), 영수증 프린터(224)가 구비된다. 또 본체(210)의 전면 타측에는 도어(212)를 잠그거나 개방시키는 도어락(213)이 구비된다. 도어락(213)은 예를 들어, 스크류 키 등을 포함하여 도어(212)의 손잡이과 도어키의 기능을 처리하고, 터치 패널(280)은 도 3의 선택부(240)와 표시부(260)의 기능을 처리한다. 카드 리더기(222)는 예를 들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체크 카드 등을 인식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통합형의 단말기로, 선택된 구급박스(10)에 대한 비용을 결제 처리한다. 영수증 프린터(224)는 카드 리더기(222)에 의해 결제 처리된 영수증을 출력한다.
또 본체(210)의 하부에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고정되도록 고정 레버가 구비된 복수 개의 바퀴(290)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210)는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의 형태 예컨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본체(210)는 대체로 사용자의 눈높이, 시선, 터치 등을 고려하여 터치 패널(280)의 위치가 설정되고, 윈도우(214), 측면 등에는 구급박스(10)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임을 빠르고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십자가, 구급박스 등의 이미지(215)를 표시한다. 또 영수증 프린터(224)의 하부에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임을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급박스(10)의 대표적인 제품들을 나타내는 시각적인 디자인의 픽토그램(216)이 표시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4)에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기(300) 및 통합 관리 서버(100)과 통신 가능하고, 통합 관리 서버(100)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외부의 결제 시스템(미도시됨) 예를 들어, 카드 결제 시스템 등과 연동되는 통합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10)에 대한 비용을 결제 요청, 승인 등을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물론 통신부(220)는 통신망(4)을 통해 외부의 결제 시스템(미도시됨)에 직접 연결되어 구급박스(10)에 대한 비용을 결제 처리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구급박스(10)에 대한 상품 정보, 사용 설명서, 광고 정보 등을 전송받는다.
선택부(240)는 예를 들어, 입력 버튼, 터치 패드 등으로 구비되고, 구급박스(10)의 용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체(2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거나, 구급박스(10)들 각각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하나의 구급박스(10)를 선택한다.
배출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서 선택부(240)에 의해 선택된 구급박스(10)를 본체(2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된다. 배출부(250)는 복수 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구급박스(10)를 배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들 예를 들어, 로봇암, 컨베이어 벨트, 훅크 홀, 스파이럴, 기어, 모터, 가이드 레일 등이 각각의 구급박스(10)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이를 통해 본체(210)로부터 결제 처리된 구급박스(10)를 배출시킨다. 이러한 구동 장치들은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의 구조, 구성 및 작용 등에 대한 내용은 이미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배출부(250)는 몸체부(210)의 전면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252)를 통해 구급박스(10)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표시부(260)는 구매자가 응급 상황에 적합한 구급박스(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 정보와, 사용 설명서, 상품과 관련된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260)는 예를 들어, 구급박스(10)의 상품 이미지, 구급박스(10)의 사용 설명서, 구급박스(10)의 구성품 안내, 구급박스(10)의 기능 설명, 구급박스(10)의 선택 방법,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사용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를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통신부(220), 선택부(240), 배출부(250) 및 표시부(260)를 제어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30)는 표시부(260)를 통해 구급박스(10)들과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표시하고, 선택부(240)와 배출부(250)를 제어하여 선택된 구급박스(10)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배출하며,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로 식별 정보 및 판매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부(23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기기 상태 예를 들어, 통신 불량, 전원 차단 및 오동작 등의 기기 상태를 판별하여 이상 발생 시,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품 정보와 사용 설명서 및 광고 정보 등을 전송받아서 터치 패널(280)을 이용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 및 결제 처리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이 판매되면, 판매 정보 또는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10)는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통신망(4)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전산 관리, 원격 관리, 정보 조회 및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결제 관리, 유통 관리, 상품 공급 관리 등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서버부(102)와 데이터베이스부(104)를 포함한다. 서버부(102)는 제어부(110), 통신부(112), 자판기 관리부(114), 상품 관리부(116), 판매 관리부(118), 발주 처리부(120) 및 통계 처리부(122)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통합 관리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통신부(112), 자판기 관리부(114), 상품 관리부(116), 판매 관리부(118), 발주 처리부(120), 통계 처리부(122) 및 데이터베이스부(104)를 제어하여 각각의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112)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해 구급박스 자판기(200), 관리자 단말기(300),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 및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과 연결되어, 각각이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자판기 관리부(114)는 식별 가능한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자판기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즉, 자판기 관리부(114)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식별 정보와,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관리자를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서 저장, 관리한다. 자판기 관리부(114)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서 저장, 관리한다. 자판기 관리부(114)는 구급박스 자판기(200)가 추가, 제거, 관리자 변경 등에 따라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식별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한다. 자판기 관리부(114)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관리자가 담당하는 자판기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자판기 관리부(114)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관리자 및 구매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로 자판기 정보와 상품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에 대응하여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상품 정보를 상품들 각각을 공급하는 발주처 즉, 상품 공급자와 매칭시켜서 저장, 관리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 및 구매자 단말기(500)로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리스트에서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알림 서비스 및 발주 요청을 위한 상품들 각각에 대한 기준 재고 정보를 설정한다. 상품 관리부(116)는 상품 정보를 통해 상품들 각각의 유통 기한을 설정한다.
판매 관리부(118)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이 판매하는 상품들의 입고 및 판매에 따른 재고 정보를 산출한다. 판매 관리부(118)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매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전송받아서 각각의 구급박스 자판기(200) 및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산출한다. 판매 관리부(116)는 상품 정보를 통해 상품의 설정된 유통 기한을 판별하여 상품의 판매 및 판매 중지 여부를 결정한다. 판매 관리부(118)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른 결제 등을 처리하고,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결제 취소 요청이 전송되면, 해당 상품의 판매를 환불 처리한다.
발주 처리부(120)는 기준 재고 정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하거나,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상품을 자동 발주 요청을 처리한다. 발주 처리부(120)는 예컨대, 제1 기준 재고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기준 재고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해당 상품을 발주 요청한다. 이 때, 발주 처리부(120)는 제2 기준 재고 이하인 상품의 상품명, 상품 수량, 배송 주소, 관리자 이름, 연락처 등을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이메일 전송하여 발주를 요청한다. 발주 처리부(120)는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상품 공급 및 수령 확인,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상품 수령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송받는다.
통계 처리부(122)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상품 판매에 따른 판매 정보를 구급박스 자판기별, 일자별, 기간별, 요일별, 상품별 등으로 판매 정보를 통계 처리한다. 통계 처리부(122)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통계 처리된 판매 정보를 분류 및 추출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104)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서 자판기 정보(150), 관리자 정보(152), 상품 공급자 정보(154), 상품 정보(156), 결제 정보(158), 입고 정보(160), 판매 정보(162), 재고 정보(164), 통계 정보(166) 및 광고 정보(168)를 적어도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04)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서 통합 관리 서버(1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 따라 수집 및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04)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포함되어 있으나,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자판기 정보(150)는 구급박스 자판기들 각각의 식별 정보(예컨대, 자판기 코드)와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담당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정보,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 등이 포함된다. 관리자 정보(152)는 관리자의 이름, 연락처, 아이디, 이메일 등의 인적 사항, 관리자가 담당하는 자판기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품 공급자 정보(154)는 상품 공급자의 회사명, 담당자명, 연락처, 이메일 등의 인적 사항과, 구급박스 자판기(200)들로 공급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품 정보(156)는 자판기 코드, 자판기 내의 상품 일련 번호, 상품 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자판기 내의 남은 수량, 재고 수량, 기준 재고, 유통 기한, 상품 가격, 상품 공급자명, 사용 설명서, 등록일, 판매 및 판매 중지 여부, 편집 여부 등이 포함된다. 결제 정보(158)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상품 판매에 따른 결제 일자, 결제 금액, 환불 여부 등이 포함된다. 입고 정보(160)는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부터 공급된 상품들 각각에 대한 상품명, 입고 수량, 입고 일자 등이 포함된다. 판매 정보(162)는 상품 코드, 판매 금액, 판매 수량 등이 포함된다. 재고 정보(164)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상품들에 대한 재고 수량 등을 포함한다. 통계 정보(166)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의 판매 정보를통계 처리하여 구급박스 자판기별, 일자별, 기간별, 요일별, 상품별 등으로 분류 및 추출된 판매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고 정보(168)는 상품들에 대한 광고 이미지, 광고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식별하고,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설치에서부터 입고, 판매, 재고, 발주 및 통계 등을 처리하여 온라인을 통해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한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수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에 따른 자동 발주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600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가 구급박스 자판기(200)로부터 상품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 판매에 따른 판매 정보를 전송받아서 재고 정보를 산출하거나, 구급박스 자판기(200)가 직접 재고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물론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담당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각각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재고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단계 S602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재고 정보가 전송된 구급박스 자판기(200)와 해당 상품을 식별한다. 단계 S604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재고 정보가 설정된 제1 기준 재고 이하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제1 기준 재고 이하인 경우, 통합 관리 서버(100)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해당 상품의 재고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계 S608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1 기준 재고 이하가 아니면, 이 수순은 단계 S608로 진행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제1 기준 재고 보다 낮은 제2 기준 재고 이하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제2 기준 재고 이하이면, 단계 S610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해당 상품의 재고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단계 S612에서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 해당 상품을 발주 요청한다. 즉, 해당 상품이 제2 기준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된 상태이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해당 상품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에게 해당 상품의 상품명, 상품 수량, 배송지, 관리자 연락처 등을 이메일로 전송하여 발주 요청한다.
단계 S614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품 공급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상품이 공급 및 수령 완료되면, 단계 S616으로 진행하여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입고, 재고에 따른 상품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및 상품 안내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620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가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622에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624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의 위치 정보와 인접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 때,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로 추출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또는 설치 장소의 주소별 리스트로 전송한다.
단계 S626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가 전자 지도 상 또는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선택하면, 단계 S628에서 선택한 단말기가 관리자 단말기(300)인지 구매자 단말기(500)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관리자 단말기(300)이면, 이 수순은 단계 S630으로 진행하여 상품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구매자 단말기(500)이면, 이 수순은 단계 S632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632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가 상품 정보를 확인하도록 안내한다. 이 때,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300)인 경우, 상품 정보를 확인 및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구매자 단말기(500)인 경우, 선택된 구급박스 자판기(200)가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확인하도록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유통 기한에 따른 판매 여부 결정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640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가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유통 기한을 설정한다.
단계 S642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644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의 재고가 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상품의 재고가 있으면, 단계 S646에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들 각각의 유통 기한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경과되었으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단계 S648에서 해당 상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설정하여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는 유통 기한이 경과된 상품의 판매를 중지시킨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급박스 자판기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즉,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가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및 상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앱 화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2)은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에 구급박스 자판기 앱을 설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급박스 자판기 앱은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에 설치된 후,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관리자 단말기(300)는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한다. 물론 구매자 단말기(500) 또한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할 수도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의 현재 위치(702)에 대응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714, 716)를 전자 지도 상에 표시(710)하거나,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설치 장소들에 대한 주소별 리스트(70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급박스 자판기 앱은 전자 지도로 보기(704)를 선택하면, 현재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의 위치(71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위치(714, 716)를 전자 지도 상에 표시(710)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은 전자 지도 상(710) 또는 리스트 상(706)에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구급박스 자판기 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도 상(720)에서 어느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선택(722)하면, 일측에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724)가 표시되고, 상품 리스트(724)에서 어느 하나의 상품(726)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726)에 대한 상품 이미지(728)를 팝업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 때, 상품 리스트(724)에는 판매 가능한 상품명과 상품 수량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품 이미지(728)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한 상품 정보(예를 들어, 용도, 가격, 사용 설명서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품 정보를 확인 및 편집하고, 구매자 단말기(500)는 자신이 필요한 상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구급박스 자판기 및 상품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급박스 자판기 앱 화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기(300)는 구급박스 자판기 앱을 이용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관리자(734)가 담당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에 대한 자판기 정보, 상품 정보, 통계 정보 및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판기 정보 화면(730)이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자판기 정보 화면(73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자판기 정보 메뉴(732)를 선택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734)가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 각각에 대한 자판기 코드(736), 위치 정보(738), 당일 및 누적의 판매 정보(739) 등을 포함하는 자판기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관리자 단말기(300)에 표시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하나의 자판기 코드(736)를 선택하면,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상품 정보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며, 하나의 위치 정보(738)를 선택하면,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가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된다.
또 자판기 정보 화면(73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품 정보 메뉴(742)를 선택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 별로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품 정보 화면(740)이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상품 정보 화면(740)에는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자판기 코드를 선택하거나 검색(744)하면, 구급박스 자판기(200) 별로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746)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상품 정보(746)에는 상품명, 상품 이미지, 자판기 내에 남은 수량, 관리자가 가지고 있는 재고 수량, 유통 기한 및 가격 등이 표시된다. 상품 정보(746)에서 하나의 상품명 또는 상품 이미지(748)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자세한 상품 정보를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상품 정보 확인 및 수정 화면(750)이 제공된다.
상품 정보 확인 및 수정 화면(75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 형태로 제공되고, 상품 정보의 자판기 코드, 자판기 내의 일련 번호, 상품명과 상품 이미지, 상품 코드, 상품 가격, 남은 수량, 재고 수량, 유통 기한, 등록일, 판매 중지 여부, 편집 여부(잠금) 등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정 완료되어 저장되면, 통합 관리 서버(100)로 해당 구급박스 자판기(200)에 대한 상품 정보가 전송된다.
상품 정보 화면(74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품 정보(746)에서 재고가 없는 상품을 주문 요청하면(749), 통합 관리 서버(100)로 해당 상품에 대한 발주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 자판기 정보 화면(730) 또는 상품 정보 화면(74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통계 정보 메뉴(762)를 선택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판매 정보를 자판기별, 일자별, 기간별, 상품별, 요일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고, 통계 처리된 판매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가 원하는 항목으로 분류 및 추출하여 관리자가 해당 항목별로 판매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정보 화면(760)이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통계 정보 화면(760)은 관리자가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자판기 코드를 선택하거나, 판매 날짜와 월간, 주간 및 년간 등의 기간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별로 판매 통계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 자판기 정보 화면(730), 상품 정보 화면(740) 및 통계 정보 화면(760) 중 어느 하나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판매 정보 메뉴(772)를 선택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가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판매 정보를 자판기별(774), 판매 날짜별(776) 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판매 정보 화면(770)이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판매 정보 화면(770)에는 상품이 판매된 자판기 코드, 상품명, 상품 코드, 자판기 내의 일련 번호, 판매 수량, 판매 날짜, 취소 요청 여부 등이 포함되고, 구급박스 자판기별, 판매 날짜별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취소 요청 메뉴(778)를 선택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로 해당 상품의 판매를 취소 요청한다. 이에 통합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가 담당하는 구급박스 자판기(200)에서 판매된 상품이 판매 취소되면,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 승인을 취소 요청하고, 환불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환불 처리된 환불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화면(800)은 도 8 및 도 9의 구급박스 자판기 앱의 변형예로, 하나의 화면에 전자 지도 화면(804)과 주소별 리스트 화면(806)이 표시된다. 이 때, 전자 지도 화면(804)과 주소별 리스트 화면(806) 각각에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매자 단말기(500)의 현재 위치(802, 810)에서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812)들을 순서대로 정렬시켜 표시된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은 전자 지도 화면(804) 또는 주소별 리스트 화면(806)에서 구급박스 자판기(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와 구매자 단말기(500) 각각은 도 8 및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화면들을 통해 선택한 구급박스 자판기(200)에서 판매되는 상품, 상품들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 등을 확인하거나, 관리자 단말기(300)가 구급박스 자판기(200) 및 상품들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도 8 및 도 9 또는 도 16에 도시된 전자 지도, 주소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200)들의 위치를 제공하고, 관리자 또는 구매자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급박스 자판기(200)를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4 : 통신망
100 : 통합 관리 서버
200 : 구급박스 자판기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상품 공급자 시스템
500 : 구매자 단말기

Claims (5)

  1.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의 구급박스를 자동 판매하고, 구급박스들 각각에 대한 상품의 재고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구급박스 자판기;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담당하는 관리자가 구비하여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 및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구급박스에 대한 상품의 입고, 판매 및 재고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구급박스에 대한 상품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 시스템;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식별하여 설치 장소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추출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로부터 재고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에 대한 기준 재고량을 설정하여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 재고가 일정 기준 재고 이하이거나 품절 상태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려주고, 상기 상품 공급자 시스템으로 일정 기준 이하이거나 품절된 상품을 발주 요청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설치 장소의 주소가 포함된 리스트로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재고 정보가 설정된 제1 기준 재고 이하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재고 정보가 상기 제1 기준 재고 보다 낮은 제2 기준 재고 이하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상품 공급자 시스템으로 해당 상품을 자동 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통신 불량, 전원 차단 및 오동작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기 상태를 더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유통 기한을 설정하고,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경과되면, 상기 구급박스 자판기의 해당 상품의 판매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5. 삭제
KR1020200160580A 2020-11-26 2020-11-26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0A KR102257463B1 (ko) 2020-11-26 2020-11-26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505,938 US20220180689A1 (en) 2020-11-26 2021-10-20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irst aid kit vending machin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0A KR102257463B1 (ko) 2020-11-26 2020-11-26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463B1 true KR102257463B1 (ko) 2021-05-31

Family

ID=7615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80A KR102257463B1 (ko) 2020-11-26 2020-11-26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80689A1 (ko)
KR (1) KR1022574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14B1 (ko) * 2022-03-28 2023-02-17 현대카드 주식회사 신용카드 발급을 위한 무인 단말기, 서버 및 방법
KR102624981B1 (ko) * 2023-04-05 2024-01-12 채형석 비정량 상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 시스템
KR102653263B1 (ko) 2023-09-12 2024-04-01 주식회사 쓰리알코리아 원격 화상 투약 서비스를 위한 약사 호출 방법 및 그에 따른 원격 화상 투약 서비스 시스템
KR102660043B1 (ko) 2022-01-13 2024-04-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성 인식 자판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48A (ko) * 1999-12-23 2001-07-05 손영석 비상 구급약 자동 판매기
KR101087709B1 (ko) 2010-05-03 2011-11-30 주식회사 코아에스엠티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1663B1 (ko)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KR20170092845A (ko)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8519609A (ja) * 2015-07-01 2018-07-19 ハンスン イ 流通期限管理機能及び割引機能を有する自動販売機
KR20200009455A (ko) 2018-07-19 2020-01-3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36338B1 (ko) * 2019-08-23 2020-07-21 강상호 제품 재고량에 따른 자동 발주 기능이 구비된 자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8200A (ja) * 2012-02-02 2015-03-16 ネオ エコ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製品を販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4138040A1 (en) * 2013-03-04 2014-09-12 In-Vehicle Vending System Llc. Vehicle vending system
US9349238B2 (en) * 2013-03-13 2016-05-24 Pantry Retail, Inc. Vending kit and method
US10134218B2 (en) * 2016-05-31 2018-11-20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Network connected dispensing device
US11250375B2 (en) * 2019-05-31 2022-02-15 Romaine Empi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inventory management across network of vend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48A (ko) * 1999-12-23 2001-07-05 손영석 비상 구급약 자동 판매기
KR101087709B1 (ko) 2010-05-03 2011-11-30 주식회사 코아에스엠티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1663B1 (ko)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JP2018519609A (ja) * 2015-07-01 2018-07-19 ハンスン イ 流通期限管理機能及び割引機能を有する自動販売機
KR20170092845A (ko)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09455A (ko) 2018-07-19 2020-01-3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36338B1 (ko) * 2019-08-23 2020-07-21 강상호 제품 재고량에 따른 자동 발주 기능이 구비된 자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043B1 (ko) 2022-01-13 2024-04-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성 인식 자판기
KR102501114B1 (ko) * 2022-03-28 2023-02-17 현대카드 주식회사 신용카드 발급을 위한 무인 단말기, 서버 및 방법
KR102624981B1 (ko) * 2023-04-05 2024-01-12 채형석 비정량 상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 시스템
KR102653263B1 (ko) 2023-09-12 2024-04-01 주식회사 쓰리알코리아 원격 화상 투약 서비스를 위한 약사 호출 방법 및 그에 따른 원격 화상 투약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0689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463B1 (ko)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74083B2 (en) Retail convenience market technology with enhanced vendor administration and user mobile app functionality
US20160098882A1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ules-restricted vending machine purchases
US7252227B2 (en) System for automatic check-in and check-out for space occupancy
CN106997637A (zh) 一种用于酒店房间内商品管理的系统和方法
US11258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connected and secure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CN110097689A (zh) 用于无人零售柜的卖家管理系统、支付管理方法
US20120130920A1 (en)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system and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method
KR102146766B1 (ko) 공유주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904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ntal inventory available for sale
KR20000030864A (ko) 무선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와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관리 방법,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전자결재 시스템
KR20130116556A (ko) 위탁 자동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6723553B2 (ja) マー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マーケット管理方法
CN108022073A (zh) 一种基于c2f的互联网鲜花配送系统和方法
KR20180088062A (ko) 중고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KR102294061B1 (ko) 다양한 영업 방식이 적용된 구급박스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182799A (ja) ガスステーションとコンビニエンスストアとのコンバインビジネスにおけるインテグレート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JP2007011510A (ja) 無人フリーマーケットシステム
RU2368014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KR102247158B1 (ko) 복지물품 보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463020A (zh) 一种家具安装维修服务管理系统
KR20220059123A (ko)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US20210365915A1 (en) Self-serve product dispenser system with associated dynamically modifiable tiered menu
KR20240043221A (ko) 후불 결제 방식이 적용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40043220A (ko) 의료진과의 원격 상담이 가능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