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123A -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123A
KR20220059123A KR1020200144340A KR20200144340A KR20220059123A KR 20220059123 A KR20220059123 A KR 20220059123A KR 1020200144340 A KR1020200144340 A KR 1020200144340A KR 20200144340 A KR20200144340 A KR 20200144340A KR 20220059123 A KR20220059123 A KR 2022005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roduct
user
bending machin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972B1 (ko
Inventor
손장훈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원더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더브로스 filed Critical (주)원더브로스
Priority to KR102020014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Abstract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벤딩머신에 저장된 상품의 재고,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과 관련된 데이터 로그 및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 벤딩머신에 입출고되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모니터링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관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SMART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관리 서버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의 재고, 광고 및 데이터 로그를 관리함으로써 관리자, 스마트 벤딩머신 가맹점주, 광고주 모두가 실시간으로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스마트 벤딩머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는 커피, 음료수 및 담배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뿐 아니라 신용 및 현금카드를 사용하여 투입 및 결제 금액에 따른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상주하는 판매인력 없이도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전기가 원활히 공급되는 한 매점과 비교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최근 대중화 및 기술화에 따라 완구, 성인용품, 다양한 포장식품 및 즉석식품까지 다양한 제품의 판매가 가능하다.
통상적인 자동판매기는 별도의 판매 인력이 없는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기계를 통해 동일 내지는 유사품목에 속하는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진열 또는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없는 상품을 다수 비치할 경우 판매실적이 상당히 낮아질 수도 있다.
더불어 종래의 자동판매기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운영하는 자동판매기 관리를 위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상태를 확인하거나, 주기적인 관리를 위한 별도의 관리자를 고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적지않게 소요되었다.
KR 10-2017-00928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고 출력, 상품 재고 확인, 데이터 로그를 통한 스마트 벤딩머신 상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벤딩머신 현황 제공 등을 갖춤으로써, 스마트 벤딩머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로그를 분석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등록 및 관리, 정보 인식 문자(QR 코드, 바코드) 통한 재고 관리,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 정보 확인, 판매 상품 정보 확인, 상품 재고 정보 확인 및 사전 결제와 현장 수령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벤딩머신에 저장된 상품의 재고,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과 관련된 데이터 로그 및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 벤딩머신에 입출고되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며, 상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 현황과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는 로그 모니터링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관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가맹점주, 광고주 모두 관리 서버를 통해 스마트 벤딩머신의 운영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벤딩머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로그를 활용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최적의 운영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벤딩머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광고주에게 광고 효과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주의 광고 의뢰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스마트 벤딩머신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가 스마트 벤딩머신(200, Smart Vending Machine)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이용 고객)의 각종 정보(성별, 나이, 구매성향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만한 상품을 예상하여 추천해주고, 영상 광고 출력, 상품 재고 확인, 자동판매기 상태 모니터링, 광고 효과 분석, 다양한 결제 방식 등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스마트 벤딩머신(200) 및 사용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를 통하여 설치가 완료된 모든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원격으로 조회, 제어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가 가능한 항목은 재고, 상품, 매출,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실시간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터치를 통한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벤딩머신의 터치란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또는 구매 버튼 등을 누르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데이터 로그는 오류 로그, 결제 관련 로그(현금/카드/카드사 등), 매출 로그, 사용자 활동 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광고 등록을 통한 스마트 벤딩머신별 광고 노출 관리 및 효과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관리 서버(1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에서 관리 또는 수정하는 모든 내용들이 실시간으로 특정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코드 등록 시, 해당 할인 코드(바코드 or QR)을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인식할 경우, 자동으로 할인 등의 키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벤딩머신(200) 자체 프로그램에서도 스마트 벤딩머신(200) 별 재고 수정이 가능하며, 결제 확인 및 취소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200)는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200)들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예: 광고 데이터)를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전송하며,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동작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제어부(110), 데이터베이스(120), 재고 관리부(130), 로그 모니터링부(140), 광고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관리서버(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가맹점주, 사용자 장치(300)의 사용자 등을 회원으로 가입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로그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 로그를 통해 사용자 성향, 사용자 추천 상품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품들의 출고시 사용자의 성멸 및 연령대를 분석하여, 상품별 사용자의 소비 패턴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회원관리DB, 광고DB,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작성되는 지도 DB, 스마트 벤딩머신(200)과 사용자 장치(300)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관리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200) D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벤딩머신 식별정보는 도시 코드 필드, 지역 코드 필드, 설치 일자 필드, 상세 주소 필드, 연락처 필드, 자판기 코드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재고 관리부(130)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입출고되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부(130)는 실시간 상품의 입출고량 분석을 통해 실시간 매출분석(pos)을 전국 즉,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스마트 밴딩머신(200)으로부터 취합하여, 분석, 취합, 결산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부(130)는 지점 별 상품, 광고 등 선택할 수 있는 지점/매장 관리, 관리자/가맹점주 계정 생성 및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회원 관리, 광고주 등록, 지점별 광고, 광고 상품 선택 등을 할 수 있는 광고 관리, 카테고리 및 상품 상세 정보 등록을 할 수 있는 상품 관리, 지점 별 매출 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매출 관리, QR/바코드 활용 프로모션 등록을 할 수 있는 프로모션 관리, 지점 별 사용자 이용 수치를 분석할 수 있는 로그 조회 기능이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점이란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맹점주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운영하여 수익을 얻는 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모니터링부(140)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며, 데이터 로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 관리부(150)는 광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관리하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는 광고를 이루는 콘텐츠 및 광고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관리부(15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고 관리부(150)는 바코드 또는 사용자 얼굴의 스캔이나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하여 얻어진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0)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이전 구매 내역 정보를 획득하고, 이전 구매 내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품들로 광고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품들이란, 사용자의 이전 구매 상품과 동일한 상품 분류에 속하는 상품, 이전 구매 상품과 동일한 판매자의 상품, 이전 구매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이 높은 빈도로 구매한 상품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 벤딩머신(100)의 위치 정보, 판매 상품 정보, 상품 재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제/찜 및 현장 수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200)들의 위치 및 사용자 장치(300)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200)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지도 및 지도에 표시된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스마트 벤딩머신 상세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 표시된 지도 위에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200)들의 위치가 노출될 수 있고, 위치기반으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자동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클릭할 경우, 클릭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대한 상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들이 표시되며 각 상품들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판매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실시간으로 판매중인 상품들이 온라인 쇼핑몰 형태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와 어플리케이션이 API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자동으로 판매 상품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의 재고 리스트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상품 재고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관리 서버(100)를 통해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판매 중인 상품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고 확인 기능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전 결제한 상품을 미리 재고 리스트에서 제외하며 사전 결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확인할 경우에 사전 결제한 상품이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전 결제 및 현장 수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사전 등록한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면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해당 상품은 찜 기능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구매할 수 없도록 해당 상품의 구매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인기 상품의 경우 현장에서 다른 사람이 미리 구매하여 매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상품 상세 이미지, 상품 상세 동영상, 상품 상세 설명, 상품 해시태그, 상품 가격, 상품 할인 가격, 추천 상품, 스마트 벤딩머신의 노출 순서 및 노출 여부 및 신분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설정하는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는 카테고리, 브랜드, 코드 상품 이름, 재고 수량, 공급가, 판매가, 정상가, 썸네일, 추천 상품, 성인 인증 및 노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가 최초로 설정되거나 수정될 경우 해당 설정 내용 또는 수정 내용을 실시간으로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를 통해 획득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개별 상품별로 정보 인식 문자(예: 바코트 QR코드)가 부착된 경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정보 인식 리더기를 통해 상품에 부착된 정보 인식 문자를 해당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마다 스캔하고, 스캔한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는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수신할 경우 해당 상품의 재고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재고 적재 시 미리 설치된 QR/바코드 리더기 또는 별로의 스캐너를 통해 상품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관리 서버(100)가 해당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재고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관리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상품의 재고가 관리되며 광고가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며 데이터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공공장소나 상업 시설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품이 수납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특정 상품을 인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제어부(210), 상태수집모듈(220), 통신모듈(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근거리 통신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수집부(220)는 기본적으로 온도, 전원, 상품 및 잔돈의 재고량을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한 다양한 센서가 함께 설치되어 신호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원활한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상태확인을 위한 수집정보로는 스마트 벤딩머신(2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와, 상품의 입출고 여부, 돈 투입 여부, 버튼 눌림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공지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의 수집이 이루어져 신호의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30)는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태수집부(220)에서 수집된 운용상태를 관리 서버(100)로 송신하고, 사용자 장치(3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나,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광고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공지의 다양한 유무선의 통신수단 적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용이동전화 통신망과 같은 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상품 정보 및 광고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터치스크린 LCD 또는 OLED 등을 스마트 벤딩머신(200) 전면에 설치함으로 상품 판매 시 구매 페이지, 상품 상세 정보 등을 출력하고, 상품과 관련된 각종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250)은 사용자 장치(300)에 인증요청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인증신호(식별자)를 통해 사용자 또는 프로모션 코드 등을 인식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 가능한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4.0 비콘의 신호를 활용하여 인증요청신호를 설정된 주기로 송출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상태수집부(220)에서 수집되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재래식 자동판매기를 스마트 자동판매기로 변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태수집부(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부(240), 근거리 통신부(25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주기적인 운용상태의 송신과 광고 수신에 따른 광고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근거리 통신부(250)를 제어함으로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온도와 상품 및 잔돈의 재고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사용하여 스마트 벤딩머신(200)를 제어하게 되며,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 로그로 저장하고, 데이터 로그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오류 로그, 결제 관련 로그, 매출 로그 및 센서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활동 로그를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품들의 입출고량을 통신부(230)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고량은, 제품들 각각의 입고량 및 출고량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관리 서버(100)를 통해 수신한 광고 데이터에 따라 미리 준비한 다양한 형식의 텍스트 또는 동영상 광고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로 표시하거나, 상품 구매버튼이 조작될 때 해당 제품의 텍스트 또는 동영상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28)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본체(21), 터치스크린(22), 입출력 인터페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22)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페이지, 광고 정보가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터치 영역에는 다수의 선택 영역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선택 영역은 상품들 각각을 터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영역 및 광고의 상세 페이지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영역과 터치 영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모든 영역이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을 터치하면 바로 광고 상세 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2)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인트로 페이지, 상품 상세 페이지, 장바구니 페이지 및 결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인트로 페이지는 실제 스마트 벤딩머신의 상품 진열과 유사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상품 상세 페이지는 상품 실제 사진과 상세한 사용 방법 및 관련 추천 상품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바구니 페이지는 구매 희망 상품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사용자가 최종 구매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이다. 결제 페이지는 최종 결제 수단 선택 및 결제 진행이 가능한 페이지이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2)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광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 광고는 초기 스플래시, 커스텀 배너, 추천제품 설명 영역, 동영상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스플래시는 스마트 벤딩머신(200) 이용 초기에 고정 노출되는 2~3초의 노출 광고일 수 있고, 커스텀 배너는 커스텀된 제품 이미지가 삽입되어 클릭을 유도하는 메뉴일 수 있다. 추천 제품은 타 상품 열람 시, 추천 제품 형태로 터치스크린(22) 일부 영역에 나타날 수 있다. 동영상 광고는 결제 단계 또는 구매 도중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2)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특정 상품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210)는 내부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품 토출구(30)를 통해 상품을 외부로 출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터치스크린(22)을 통해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품에 해당되는 고유 정보를 터치스크린(22)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정보에는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를 비롯한 성분, 효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26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는 카드 리더기(24), 신분증 스캐너(23), 지폐 리더기(25), 바코드 리더기(26)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센서 모듈(27), 스피커(28), 지폐토출기(28) 및 상품 토출구(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들은 기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28)은 다수의 센서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예를들면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상품 잔여량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화폐량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반품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상품토출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수단, 외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수단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 잔여량이 설정된 기준 이하에 도달할 경우, 외부의 충격 등으로 말미암아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화폐량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반품 및 상품토출 이상 등을 포함하는 관리 상태정보들을 감지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기(24), 지폐 리더기(25) 또는 바코드 리더기(26)는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통해 주문한 상품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카드 리더기(24)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로부터 결제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는, 바코드 리더기(26)는 사용자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를 통하여 결제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결제정보란, 사용자의 신용카드 번호, 직불카드 번호 또는 계좌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폐 리더기(25)는 사용자로부터 투입된 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1)는 상품을 정리하여 비치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되고, 각 수납부로부터 상품 토출구(30)로의 제품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제어부(210)로 전송하는 카메라(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장치(300)는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되며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구매 기능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벤딩머신(200)과 통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장치(300)상에서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300)에 개인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에 대응되는 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의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와 구별하여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로서, 예컨대, 아이디(ID) 또는 회원 번호일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사용자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하여 동작하는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00)는 스마트 벤딩머신(200)과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은, 사용자 장치(300)와 스마트 벤딩머신(200)이 다른 하드웨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의 동작들은 도 1에 개시된 관리 서버(100), 스마트 벤딩머신(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31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통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는 상품과 관련된 컨텐츠 또는 상품과 관계 없이 광고주의 의뢰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동작 32에서, 데이터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로그는 오류 로그, 결제 관련 로그, 매출 로그 및 사용자 활동 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활동 로그는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검출한 사용자 터치,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횟수,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및 사용자의 구매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33에서, 데이터 로그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에 따라 광고 노출도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광고 노출도 = (W1*D1) + (W2*D2) + (W3*D3) + (W4*D4) + (W5*D5)
수학식 1에서, D1은 광고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 비율, D2는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D3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기기 터치 횟수, D4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된 횟수, D5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이고, W1, W2, W3, W4 및 W5는 가중치이다.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광고 노출도는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이용할 때 광고에 얼마나 노출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광고를 볼 확률을 기초로 광고 노출도를 연산할 수 있다. 즉, D1의 경우, 실제로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구매한 상품들 중 광고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 비율이 높다면 광고가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D2의 경우, 광고를 실제로 터치한 횟수가 높다면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이 잘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D3, D4, D5는 모두 사용자가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터치하거나 머신 앞에서 머무르는 횟수/시간에 기초하므로 이는 모두 광고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 D1 내지 D5는 모두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1의 W1, W2, W3, W4, W5는 각각의 변수(D1 내지 D5)에 대한 가중치이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변수와 곱해지는 가중치들은 실질적인 광고 노출량 미치는 영향력에 비례하여 각각의 가중치가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실질적인 노출량에 기여하는 변수 D1 내지 D5 각각의 변수에 대한 가중치 크기가 W1>W2>W3>W4=W5를 만족시키도록 산출될 수 있다. 가중치가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이유는, 실제로 광고에 의해 구매되거나 사용자가 클릭하는 것이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벤딩머신을 터치하거나 노출되는 것보다 노출량의 질이 더 높기 때문이다. 즉, D1과 D2의 경우는 사용자가 광고에 집중하여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히 벤딩머신에 노출되는 횟수나 시간보다는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벤딩머신을 터치한 것이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한 것이 되므로 광고를 보았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중치들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중치들은 모두 퍼센트로 표현될 수 있고, 변수 및 관리자 설정에 따라 변화하거나,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 의해 자동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34에서, 광고 노출도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노출도 값이 높을수록 광고 효과가 높다고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터치를 몇 명이 했고, 구매 전환률은 어떻고 등등을 알 수 있으며, 센서 모듈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노출 빈도, 머무는 시간 등도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광고를 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로그를 활용하여 광고 노출도를 연산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하여 광고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동작들은 도 1에 개시된 관리 서버(100), 스마트 벤딩머신(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41에서, 사용자 장치(300)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자는 사용자의 ID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42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식별자를 수신할 경우, 식별자가 유효한 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기 저장된 식별자와 수신한 식별자를 비교하여 식별자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43에서, 식별자가 유효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300)에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동작 44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프로모션 코드를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획득할 경우, 자동으로 프로모션 코드에 대응하는 키(key) 값을 적용하고 관련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2)은 구매 페이지 또는 결제 페이지에서 프로모션 코드가 적용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스마트 벤딩머신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동작들은 도 1에 개시된 관리 서버(100), 스마트 벤딩머신(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1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활성화 중인 스마트 벤딩머신이 표시된 지도를 사용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는 사용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300) 위치 주변의 영역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2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지도에서 어느 한 스마트 벤딩머신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3에서, 수신한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스마트 벤딩머신(200)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들의 리스트, 상세 정보 및 재고 현황을 사용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4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품 리스트 중 어느 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5에서, 재고 관리부(130)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의 재고 현황을 확인하여 요청에 대응하는 상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6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와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동작 57에서, 비교 결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 중 사용자 장치(300)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200)을 지도에 표시하거나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알람이나 별도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100) 및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동작 58에서, 구매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사용자의 구매정보에 상응하는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처리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등 지불수단을 스마트 벤딩머신(200)에 스캔하여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4)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수단을 스캔하면, 제어부(210)에서 스캔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스마트 벤딩머신(200)은 관리 서버(1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연동되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될 경우, 결제가 완료된 상품의 재고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벤딩머신에 저장된 상품의 재고,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과 관련된 데이터 로그 및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 벤딩머신에 입출고되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모니터링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관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로그는 오류 로그, 결제 관련 로그, 매출 로그 및 사용자 활동 로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활동 로그는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한 사용자 터치,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횟수,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및 사용자의 구매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관리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된 광고 노출도에 따라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 광고 노출도 = (W1*D1) + (W2*D2) + (W3*D3) + (W4*D4) + (W5*D5), 여기서 D1은 광고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 비율, D2는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D3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기기 터치 횟수, D4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된 횟수, D5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이고, W1, W2, W3, W4 및 W5는 가중치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며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구매 기능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장치; 및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들이 저장되고, 상기 물품들의 입출고가 가능하고, 상기 광고가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며, 상기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는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식별자를 수신할 경우, 상기 식별자가 유효한 지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식별자가 유효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모션 코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응하는 키(key) 값을 적용하고 관련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활성화 중인 스마트 벤딩머신이 표시된 지도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물품들의 리스트, 상세 정보 및 재고 현황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물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재고 관리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의 재고 현황을 확인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 중 상기 사용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은,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연동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될 경우, 결제가 완료된 물품의 재고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지도 및 상기 지도에 표시된 스마트 벤딩머신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스마트 벤딩머신 상세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들이 표시되며 각 상품들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판매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의 재고 리스트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상품 재고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및 사용자가 사전 결제한 상품을 미리 상기 재고 리스트에서 제외하며 상기 사전 결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확인할 경우에 상기 사전 결제한 상품이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전 결제 및 현장 수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상품 상세 이미지, 상품 상세 동영상, 상품 상세 설명, 상품 해시태크, 상품 가격, 상품 할인 가격, 추천 상품, 스마트 벤딩머신의 노출 순서 및 노출 여부 및 신분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설정하는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가 최초로 설정되거나 수정될 경우 해당 설정 내용 또는 수정 내용을 실시간으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은 정보 인식 리더기를 통해 상품에 부착된 정보 인식 문자를 해당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마다 스캔하고, 스캔한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해당 상품의 재고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관리 서버
200 : 스마트 벤딩머신
300 : 사용자 장치

Claims (10)

  1. 스마트 벤딩머신에 저장된 상품의 재고,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과 관련된 데이터 로그 및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 벤딩머신에 입출고되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모니터링부;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로그에 기반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그는 오류 로그, 결제 관련 로그, 매출 로그 및 사용자 활동 로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활동 로그는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검출한 사용자 터치,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횟수,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및 사용자의 구매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관리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된 광고 노출도에 따라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수학식
    광고 노출도 = (W1*D1) + (W2*D2) + (W3*D3) + (W4*D4) + (W5*D5)
    여기서 D1은 광고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 비율, D2는 사용자의 광고 터치 횟수, D3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발생한 사용자의 기기 터치 횟수, D4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된 횟수, D5는 광고가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노출되는 동안 사용자가 노출된 시간이고, W1, W2, W3, W4 및 W5는 가중치이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며 상기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구매 기능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장치; 및
    서로 다른 종류의 상품들이 저장되고, 상기 상품들의 입출고가 가능하고, 상기 광고가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며, 상기 데이터 로그를 수집하는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식별자를 수신할 경우, 상기 식별자가 유효한 지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식별자가 유효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모션 코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응하는 키(key) 값을 적용하고 관련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활성화 중인 스마트 벤딩머신이 표시된 지도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들의 리스트, 상세 정보 및 재고 현황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재고 관리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의 재고 현황을 확인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벤딩머신 중 상기 사용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들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스마트 벤딩머신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지도 및 상기 지도에 표시된 스마트 벤딩머신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스마트 벤딩머신 상세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들이 표시되며 각 상품들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페이지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판매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에서 실시간으로 판매 중인 상품의 재고 리스트에 기반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상품 재고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및
    사용자가 사전 결제한 상품을 미리 상기 재고 리스트에서 제외하며 상기 사전 결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확인할 경우에 상기 사전 결제한 상품이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전 결제 및 현장 수령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상품 상세 이미지, 상품 상세 동영상, 상품 상세 설명, 상품 해시태그, 상품 가격, 상품 할인 가격, 추천 상품, 스마트 벤딩머신의 노출 순서 및 노출 여부 및 신분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설정하는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 등록 및 관리 페이지가 최초로 설정되거나 수정될 경우 해당 설정 내용 또는 수정 내용을 실시간으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벤딩머신은 정보 인식 리더기를 통해 상품에 부착된 정보 인식 문자를 해당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마다 스캔하고, 스캔한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의 입출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해당 상품의 재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0200144340A 2020-11-02 2020-11-02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56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40A KR102568972B1 (ko) 2020-11-02 2020-11-02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40A KR102568972B1 (ko) 2020-11-02 2020-11-02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23A true KR20220059123A (ko) 2022-05-10
KR102568972B1 KR102568972B1 (ko) 2023-08-22

Family

ID=8159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40A KR102568972B1 (ko) 2020-11-02 2020-11-02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174A1 (ko)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배달 서비스의 연동이 가능한 밴딩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041A (ja) * 2001-07-10 2003-01-24 Fuji Electric Co Ltd 広告宣伝システム、広告宣伝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20100006802A (ko) * 2008-07-10 2010-01-22 박찬용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무인 점포 시스템
JP2012141908A (ja) * 2011-01-06 2012-07-26 Hitachi Ltd 自動販売機への商品購入者誘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20170092845A (ko)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80092503A (ko) * 2017-02-09 2018-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자동판매기 시스템
KR20190128293A (ko) * 2018-05-08 2019-11-18 김성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고 상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041A (ja) * 2001-07-10 2003-01-24 Fuji Electric Co Ltd 広告宣伝システム、広告宣伝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20100006802A (ko) * 2008-07-10 2010-01-22 박찬용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무인 점포 시스템
JP2012141908A (ja) * 2011-01-06 2012-07-26 Hitachi Ltd 自動販売機への商品購入者誘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20170092845A (ko) 2016-02-04 2017-08-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80092503A (ko) * 2017-02-09 2018-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자동판매기 시스템
KR20190128293A (ko) * 2018-05-08 2019-11-18 김성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고 상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174A1 (ko)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배달 서비스의 연동이 가능한 밴딩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972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2793B2 (en) Point of sale system, invento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8418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heckout
KR101486513B1 (ko) 푸드 코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352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shless transactions at vending machines
US10902400B2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090125442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nfigured for automated returns
KR20160060441A (ko) 계좌 이체를 이용한 결제처리 시스템
KR101544132B1 (ko) 현장 거래용 스마트 중고물품 거래자판기를 통한 중고물품거래장치 및 방법
KR101721006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커머스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66232A (zh) 一种自动售货机控制方法及系统
KR20160124763A (ko) 시간을 단위로 하는 판촉 포인트의 유통 방법
WO2019139127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20180092503A (ko) 스마트 자동판매기 시스템
KR101907597B1 (ko) 네트워크 접속단말을 이용한 매장정보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의 업데이트 방법
KR102568972B1 (ko)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1091065B1 (ko) 신용카드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가맹점 관리방법
WO2019139124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101794068B1 (ko) 차량을 통한 상품 결제 시스템
KR101845193B1 (ko)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190068028A (ko) 통합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9139120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20170001787A (ko) 비콘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시스템
KR102229903B1 (ko) 보상구매 콘텐츠를 활용한 자동판매장치의 관리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자동판매장치의 관리방법
KR100377385B1 (ko) 통신망을 통한 자판기 판매관리 및 판매성향 분석방법
KR20190054860A (ko) 사업자 번호 및 각종 번호 인식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캐쉬페이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