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307B1 -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 Google Patents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307B1
KR102300307B1 KR1020210003988A KR20210003988A KR102300307B1 KR 102300307 B1 KR102300307 B1 KR 102300307B1 KR 1020210003988 A KR1020210003988 A KR 1020210003988A KR 20210003988 A KR20210003988 A KR 20210003988A KR 102300307 B1 KR102300307 B1 KR 10230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unit
checkout counter
shield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희
Original Assignee
안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은희 filed Critical 안은희
Priority to KR102021000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RFID 태그를 감지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모듈(400);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들이 매립되어 차폐 공간을 이루도록 함체(600)에서 내향 된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610); 안테나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여 물품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0); 및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가격을 정산 및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300); 를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UNMANNED CHECKOUT COUNTER OF RFID TYPE}
본 발명은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마트, 슈퍼마켓, 쇼핑센터, 편의점 등의 공간에서, 일반적으로는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여 계산대로 진입하면, 직원이 직접 상품의 바코드를 리더기로 스캔하고, 고객이 제시하는 결제 수단(예컨대 신용카드, 현금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금액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자판기의 경우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고 직접 결제 수단을 투입하여 상품 금액을 지불함으로써 직원 없이도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마트, 슈퍼마켓, 쇼핑센터, 편의점 등 한 명의 사용자가 다량의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무인 운영에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무인 계산대를 설치하여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바코드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에 선택 상품을 출력한 뒤에 고객으로부터 현금 또는 카드등 결제를 유도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계산대는 바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하나 스캐너 모듈을 구비해야 되며, 고객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캐너 모듈에 접촉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즉, 종래의 무인 계산대는 고객의 수고스러움이 수반되어야 하기에 사용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스캔 모듈에 의한 무인 계산대 방식을 개선하고자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는 차폐박스를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수납대에 올려진 물품을 감지하는 방식이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는 노출된 공간 내에 물품을 놓이게 됨에 따라 안테나의 감지를 위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물품에 부착된 태그의 지향 방향이 설정되었다. 따라서 고객이 RFID 태그의 위치를 지정된 방향과 다른 위치에 놓으면 안테나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의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는 고객이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위치를 지정된 방향에 놓이도록 물품을 정렬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별도의 차폐박스가 구비되지 않았기에 상대적으로 고성능의 안테나가 필요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와, 노출된 공간 내에서 RFID 태그를 감지함에 따라 주변의 전자기기 및 신호들과의 간섭에 의해 RFID 태그의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50315(2018.04.12 등록)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대상을 인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RFID 태그를 감지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모듈과,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들이 매립되어 차폐 공간을 이루도록 함체에서 내향 된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와, 안테나 모듈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여 물품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격을 정산 및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안테나는 차폐부의 바닥면과 벽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차폐부는 벽면에 이격되는 벽판들과, 차폐부의 바닥면에 이격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박스와, 차폐부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서 바닥판을 차폐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럭 및 바닥면에서 직립되어 물품 박스의 벽판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판 및 벽면에 직립되는 안테나들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차폐부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치구들이 연통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가이드판은 물품 박스의 모서리에 접하는 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블럭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물품 박스의 벽판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폐된 공간을 설치함에 따라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감지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의 위치나 방향에 상관없이 고객이 차폐된 공간 내에 물품을 수납하는 과정만으로 RFID 태그의 감지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 고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의 블럭도이다.
도 4는 차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차폐부에서 안테나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차폐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 및 가스 스프링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어부(100)와, 디스플레이(200)와, 결제부(300)와, 안테나 모듈(400)과, 스캔모듈(500)과 함체(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 내지 스캔모듈(200~500)은 직립된 함체(600) 내외측에 수용 및 설치된다.
함체(600)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되는 차폐부(610)와, 비품을 수용하는 비품 수납부(620)와, 보조 테이블(630) 및 반품 수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디스플레이(200)는 터치형 디스플레이(200)로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설정된 신호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한 물품 리스트 및 가격과, 결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안테나 모듈(400)로부터 인식된 물품 정보 및 가격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결제부(300)를 제어하여 결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안테나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해당 물품의 가격이 포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주기적으로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매장 내의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저장함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폐부(610) 내에 물품의 인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차폐부(610) 내에 물품의 인입 및/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00)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차폐부(610)에 물품 또는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200) 및 안테나 모듈(4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 본 발명은 무인 계산대가 사용 중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전광판 및/또는 조명장치가 더 추가됨도 가능하다.
전광판 및 조명장치는 무인 계산대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광판 및 조명장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감지신호에 의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즉, 전광판은 무인 계산대의 사용 중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조명장치는 차폐부(610) 주변을 조명한다.
결제부(300)는 카드 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된 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카드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된 물품 가격을 정산한다. 또한, 결제부(300)는 프린터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하여 가격 결제 후 정산 내역이 포함된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다. 영수증은 함체(600)의 외면에 설치되는 영수증 토출구(320)를 통하여 출력된다.
안테나 모듈(400)은 차폐부(610)의 내측에서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와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하는 RFID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복수의 안테나는 RFID 안테나로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안테나의 상세 설명은 차폐부(610)와 함께 후술한다.
스캔모듈(500)은 광신호를 통하여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스캔모듈(500)은 스캐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스캐너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체(600)(600)의 외면에 설치되는 스캐너 걸이(510)을 포함할 수 있다.
비품 수납부(620)는 복수의 판넬들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비품들을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품은 봉투, 박스와 같이 물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물건일 수 있다.
반품 수납부(700)는 내측에 반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회전 가능한 도어(710)와, 일면에서 절개된 반품 투입구(720)와, 이동을 위하여 하면에 회전 롤러(7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품 수납부(700)는 차폐부(610) 및 비품 수납부(6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은 반품들을 반품 투입구(720) 또는 도어(710)를 통하여 반품 수납부(700)로 집어넣고, 구매 결정한 물품들로만 차폐부(610)에 인입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보조 테이블(630)은 함체(600)의 외면에서 고정되는 보조판넬(631)과, 보조판넬(631)을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링크바(632)와, 링크바(6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633)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판넬(631)은 고객이 결제 완료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다. 여기서 보조판넬(631)은 링크바(6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될 수 있어 차폐부(610) 및/또는 비품 수납부(620)의 외면과 밀착되어 직립된 자세에서 회전되어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다.
지지 브라켓(633)은 비품 수납부(620) 및/또는 차폐부(610)의 외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 브라켓(633)은 벽면에 밀착된 일면의 양측에서 돌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단과, 링크바(632)와 지지단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바(632)는 보조판넬(631)의 하면과 지지 브라켓(63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링크바(632)의 한쪽 끝단은 보조판넬(631)의 하면, 반대쪽 끝단은 지지 브라켓(633)의 지지단 사이에서 회전핀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비품 수납부(620) 및 반품 수납부(700)의 하면에는 이동을 용이하도록, 예를 들면, 복수의 회전롤러(640)가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 및 안테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4는 차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안테나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폐부(610)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면에서 내측으로 내향되어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차폐부(610)는 벽면 및 바닥면에 RFID 방식의 안테나(이하 안테나로 총칭함)(411, 412, 413, 414)들이 매립되며, 직립된 벽면(611)의 내면에 차폐층이 형성되어 물품의 수납 및 차폐 공간을 형성한다.
안테나(411, 412, 413, 414)는 차폐부(610)로 인입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감지하는 RFID 방식의 안테나로서 바닥면과 벽면(611)에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411, 41, 413, 414)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411)와 제2 안테나(412), 일 벽면에 설치되는 제3 안테나(413)와, 제3 안테나(413)가 설치된 벽면의 반대 벽면에 설치되는 제4 안테나(4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폐부(610)는 바닥면과 벽면(611)에 각각 설치되는 안테나(411, 412, 413, 414)들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인입되는 물품을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폐부(610)는 물품 박스(612)와, 지지블럭(613)과, 가이드판(615)과, 고정판(614)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박스(612)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612a)의 각변으로부터 직립된 벽판(612b)으로 형성되어 물품을 수용하는 박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품 박스(612)의 바닥판(612a)은 차폐부(610)의 바닥면과 이격되고, 직립된 벽판(612b)은 벽면(611)에 이격되어 안테나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물품 박스(612)는 내향된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 및 안테나(411, 412, 413, 414)들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박스(612)의 바닥판(612a)은 제1 안테나(411)와 제2 안테나(412)를 보호하고, 물품 박스(612)의 벽판(612b)들은 제3 안테나(413)와 제4 안테나(414)를 보호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일체형의 박스 형태로 제공되는 물품 박스(612) 대신 분할된 복수의 판넬들이 차폐부(610)의 벽면과 바닥면에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안테나(411, 412, 413, 414)들의 보호 및 물품의 수납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지지블럭(613)는 복수로서 차폐부(610)의 바닥면에서 제1 안테나(411)와 제2 안테나(41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물품 박스(612)의 바닥판(612a)을 지지한다.도 4를 참조하여 설명자하면, 지지블럭(613)은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블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방향에서 직립된 벽면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공간이 구획되는 박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블럭(613)은 물품 박스(612)의 바닥판(612a)을 지지함에 따라 차폐부(610)의 바닥면 사이를 이격시켜 제1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매립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가이드판(615)은 지지블럭(613)의 양측 선단에서 직립되어 물품 박스(612)의 벽판(612b)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가이드판(615)은 물품 박스(612)의 모서리에 접하는 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블럭(613)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물품 박스(612)의 벽판(612b)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고정판(614)은 제3 안테나(413)와 제4 안테나(414)의 배면에 각각 고정되어 차폐부의 벽면 내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판(614)은 나사 또는 피스와 같은 치구들이 연통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홀(614a)이 형성된다.
또한, 차폐부(610)는 배면에서 안테나의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위하여 배면에서 탈착 가능한 커버(6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610)는 직립된 벽면(61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단(611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물품 박스(612)의 상단은 절곡단(611a)의 하측에 걸림 및 지지 될 수 있다. 물품 박스(612)는 상방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함체(6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커버(650)에 의해 개방된 공간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고객은 매장에서 선택한 물품들을 차폐부(610)에서 내향 된 공간을 형성하는 물품 박스(612)의 내측으로 인입하고,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조작 메뉴를 선택한다.
안테나(411, 412, 413, 414)들은 물품들에 부착된 RFID 태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폐부(610)는 바닥면과 상호 대향되는 벽면에 각각 안테나들이 매립되고, 천정이 개방되거 바닥면과 전후좌우측이 모두 차폐되는 공간을 이룸에 따라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방향에 걸쳐 감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RFID 태그의 위치를 고려하여 물품을 인입하거나 정렬시킬 필요가 없다.
제어부(100)는 안테나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통하여 물품 정보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RFID 태그에서 감지된 정보와 일치한 물품 가격 및 명칭이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자체 DB를 구성하여 물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200)에 물품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각 물품들의 가격이 합산된 비용의 결제를 안내하는 문자 및/또는 음성 메세지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고객은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된 물품정보를 확인하여 카드 투입구(310)에 카드를 투입하거나, 현금 투입구(도시되지 않음)에 현금을 투입하여 물품 가격을 결제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결제부(300)를 제어하여 가격을 정산한 후 완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고객은 물품들을 물품 박스(612)에서 인출한 후 비품 수납부(620)에 수납된 포장 봉투 및/또는 포장 박스에 물품을 보관한 뒤에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고객은 가격 결제 이전에 자신이 선택한 물품들 중에 구매를 포기한 물품들을 반품 수납부(700)의 반품 투입구(720)로 투입할 수 있고, 물품들의 결제 이전 또는 이후에서 보조 테이블(630)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계산대에서 안테나들이 매립된 차폐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RFID 태그의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며, 고성능의 안테나가 아니더라도 안테나의 성능을 올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600)의 배면에서 탈착 가능한 커버(650)를 구비함에 따라 함체(600)의 내면에 매립된 안테나(411, 412, 413, 414)와 물품 박스(612) 및 그외 구성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물품이 수납되는 차폐부(610) 내에 승강부를 구비하여 인입된 물품을 자동으로 차폐부(610)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어 고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차폐부(610)의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 및 가스 스프링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호판(830), 승강판(820), 승강축(811) 및 구동수단 및 탄성수단(840)을 구비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610)는 제1 안테나(411) 및 제2 안테나(412)가 설치되는 제1공간(610a)의 하측에서 층을 이루어 승강수단(810)이 설치되는 제2공간(61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물품 및/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승강판(8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승강판(82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830)은 지지블럭(613)에 의해 차폐부(610)의 내면과 이격된 위치에 직립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보호판(830)은 벽면에 설치되는 제3 안테나(413)와 제4 안테나(414)를 보호한다. 여기서 보호판(830)은 아크릴과 같이 내측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승강판(820)은 보호판(830)들 사이의 바닥면 역할을 수행하며, 인입되는 물품의 지지 및 차폐부(6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1 안테나(411)와 제2 안테나(412)의 노출을 방지한다. 여기서 승강판(820)은 보호판(830)들 사이에서 승강축(811) 및 승강수단(810)에 의해 승하강되고, 하면에 접촉되는 탄성수단(84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승강축(811)은 신장 및/또는 신축 가능하여 승강판(820)의 하면에 고정된다.
승강수단(810)은 제2공간(610b)에 설치되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승강축(811)을 신장 또는 신축시킨다.
탄성수단(840)은 복수로서 승강판(82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수단(840)은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제1공간(610a)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탄성수단(840)은 가스 스프링으로서 제2공간(610b)에 설치된 본체로부터 신장 또는 신축되는 선단이 제1공간(610a)으로 인출되어 승강판(82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스 스프링을 도시하였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하중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가스 스프링의 선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환시켜 승강판(8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탄성수단(840)은 가스 스프링을 적용할 경우에 승강판(820)에 의해 지지되는 물품의 하중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압력이 가변되어 선단을 신장 또는 신축시켜 지지 하중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가격 정산 후 영수증의 출력 명령과 함께 승강수단(810)을 구동시켜 승강판(820)을 승강시켜 내부에 인입된 물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내향된 공간으로 인입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제어부 200 : 디스플레이
300 : 결제부 310 : 카드 투입구
320 : 영수증 토출구 400 : 안테나 모듈
411, 412, 413, 414 : 안테나 500 : 스캔모듈
510 : 스캐너 걸이 600 : 함체
610 : 차폐부 610a : 제1공간
610b : 제2공간 611 : 벽면
612 : 물품 박스 612a : 바닥판
612b : 벽판 613 : 지지블럭
614 : 고정판 615 : 가이드판
620 : 비품 수납부 630 : 보조 테이블
631 : 보조판넬 632 : 링크바
633 : 지지 브라켓 640, 730 : 회전롤러
650 : 커버 700 : 반품 수납부
710 : 도어 711 : 힌지
720 : 반품 투입구 810 : 승강수단
811 : 승강축 820 : 승강판
830 : 보호판 840 : 탄성수단

Claims (9)

  1.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에 있어서,
    RFID 태그를 감지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모듈(400);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들이 매립되어 차폐 공간을 이루도록 함체(600)에서 내향 된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610);
    안테나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여 물품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0); 및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가격을 정산 및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300); 를 포함하고,
    안테나는 차폐부(610)의 바닥면과 벽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차폐부(610)는
    벽면에 이격되는 벽판(612b)들과, 차폐부(610)의 바닥면에 이격되는 바닥판(612a)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박스(612);
    차폐부(610)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서 바닥판(612a)을 차폐부(610)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럭(613, 613'); 및
    바닥면에서 직립되어 물품 박스(612)의 벽판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판(615); 및
    벽면에 직립되는 안테나들의 배면에 각각 고정되고, 차폐부(610)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치구들이 연통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된 고정판(614); 을 포함하고,
    가이드판(615)은
    물품 박스(612)의 모서리에 접하는 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블럭(613, 613')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물품 박스(612)의 벽판(612b)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판넬들에 의해 비품들이 수납되는 공간이 구획되는 비품 수납부(620);를 더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폐부(610)는
    탈착 가능하여 안테나들이 매립된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650); 를 더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도어(7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반품된 물품들이 인입되는 반품 투입구(720)가 형성되는 반품 수납부(700); 를 더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체(600)의 일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테이블(630);을 더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차폐부(610) 내에 물품의 진입과 인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사용 중을 표시할 수 있는 전광판 또는 조명장치; 를 더 포함하는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KR1020210003988A 2021-01-12 2021-01-12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KR10230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88A KR102300307B1 (ko) 2021-01-12 2021-01-12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88A KR102300307B1 (ko) 2021-01-12 2021-01-12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307B1 true KR102300307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988A KR102300307B1 (ko) 2021-01-12 2021-01-12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614B1 (ko) * 2023-03-09 2024-01-25 (주)한국아이지에이 Rfid 무인 계산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792A (ja) * 2008-05-22 2009-12-03 Toshiba Tec Corp チェックアウトカウンタ及び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KR20110134182A (ko) * 2010-06-08 2011-1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장치
KR101850315B1 (ko) 2018-01-22 2018-05-31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하이브리드 상품 인식 기술이 적용된 셀프 체크 아웃 기기
KR20190019453A (ko) *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1998525B1 (ko) * 2018-09-20 2019-07-09 (주) 한국아이지에이 무인 계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792A (ja) * 2008-05-22 2009-12-03 Toshiba Tec Corp チェックアウトカウンタ及び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KR20110134182A (ko) * 2010-06-08 2011-1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장치
KR20190019453A (ko) *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1850315B1 (ko) 2018-01-22 2018-05-31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하이브리드 상품 인식 기술이 적용된 셀프 체크 아웃 기기
KR101998525B1 (ko) * 2018-09-20 2019-07-09 (주) 한국아이지에이 무인 계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614B1 (ko) * 2023-03-09 2024-01-25 (주)한국아이지에이 Rfid 무인 계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8570B1 (en) Vending machine
EP2645343B1 (en) POS terminal and PO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JP4028773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US11599762B2 (en) Reading apparatus
US9916737B2 (en) Modularizable register
CN108171876B (zh) 无人售货货柜、系统及其售货方法
US20230214812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KR20090078284A (ko)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KR102300307B1 (ko) Rfid 방식의 무인 계산대
KR20180037553A (ko) 무선태그 판독방법 및 시스템
CN209785129U (zh) 自动售货机
US20040000591A1 (en) Checkout device including integrated barcode reader and EAS system
GB2543907A (en) Systems and methods of object identification and database creation
US20040050855A1 (en) Vending machine
JP7214398B2 (ja) 読取装置
JP7340754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読取システム、収容庫システム及びアンテナ設置方法
WO2017209627A1 (en) Vending machine system for facilitating consumer interactions
KR101562277B1 (ko) 자가 소액결제를 위한 스마트 결제대
CN208673467U (zh) 具有称重功能的rfid自助购智能收银系统
CN207742732U (zh) 一种小型盒装商品自动售卖箱
US2019018842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ing apparatus
JP2022043709A (ja) チェックアウト装置
KR102628614B1 (ko) Rfid 무인 계산대
KR102227368B1 (ko) 다차원 rf 인식을 이용한 셀프 계산 장치
US20230004733A1 (en) Wireless tag rea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