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802A -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 Google Patents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802A
KR20190013802A KR1020187034891A KR20187034891A KR20190013802A KR 20190013802 A KR20190013802 A KR 20190013802A KR 1020187034891 A KR1020187034891 A KR 1020187034891A KR 20187034891 A KR20187034891 A KR 20187034891A KR 20190013802 A KR20190013802 A KR 2019001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shock absorber
pole
inser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214B1 (ko
Inventor
에버하르트 하임
토비아스 보잉
Original Assignee
레키스포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키스포르트 아게 filed Critical 레키스포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1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 A45B2200/055Walking sticks for Nordic walking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르딕 워킹 폴에 관한 것으로서, 폴 관(2)을 포함하고, 폴 관(2)의 하단에 부착물(3)이 제공되며, 부착물(3)에는 고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완충기(4)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중앙 절개부에 경성 재료의 인서트(5)를 구비한다. 이러한 인서트는 완충기를 폴에 연결하도록 부착물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본 발명은 스포츠 장비로 이용되는 폴,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른 노르딕 워킹 폴로 사용되는 폴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유형의 노르딕 워킹 폴을 위한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노르딕 워킹 폴이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고무 탄성 완충기의 마모로 인하여 이미 교체가능한 완충기를 가진 폴의 다양한 변이 형태가 있으며, 예를 들면 DE 20 2007 013 027 U1에서는 완충기가 볼 잠금 장치에 의해 최하측 관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는 DE 103 40 135 A1에서는 스크류 연결 또는 래칭 연결을 제시한다.
부가적으로, 폴이 변화하는 지형에 적응될 수 있도록 연장가능한 팁부를 갖는 폴이 요구된다.
WO 2008/037098에는 하단에 팁 본체와 완충기가 제공되는 폴 본체를 포함하는 노르딕 워킹 폴이 개시되어 있다. 완충기는 축방향으로 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완충기는 폴 본체에 대하여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팁 본체 및/또는 폴 본체의 최하측 부분은 완충기의 중앙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열되고 완충기는 이러한 중앙 개구부에서 폴 본체에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WO 2011/128231 A1에 개시된 완충기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팁부를 숨길 수 있는 래칭 레버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기는 교체가능하도록 디자인되지 않는다. DE 10 2010 022 042 A1 및 EP 1 814 419에는 연장가능한 팁 본체와 조합하여 교체가능한 고무 완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고무 완충기는 단순히 폴의 단부 상에서 부착물의 하단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끼워맞춰진다.
종래 기술의 폴의 단점은, 특히 연장가능한 팁부 또는 높이 조절가능한 완충기를 갖는 모델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완충기와 폴 사이의 불안정한 연결이다. 순전히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을 이용한 모델의 숨겨진 단점은, 완충기가 폴의 단부에서 뒤틀릴 수가 있다는 점이고, 이는 특히 비대칭 완충기의 경우 문제되는데, 사용을 위해 폴 상에서의 특정 회전 위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조절가능한 폴 팁부는 흙먼지에 취약할 수 있다. 나아가, 특히 축축한 길의 경우에, 흙먼지가 폴 팁부와 폴 관 사이에 쌓일 수 있다. 폴 팁부와 폴 관 사이에는 단지 작은 양의 유격만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흙먼지가 침투하면 폴 팁부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이러한 움직임을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의 경우, 완충기는 도구의 도움 없이는 교체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소하고자 하는 문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한 폴, 특히 노르딕 워킹 폴을 위한 개선된 교체가능한 완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해소하고자 하는 문제는 노르딕 워킹 폴에 교체가능한 완충기를 부착하기 위한 단순하고도 신뢰할만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폴의 완충기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폴 상에 장착되거나 이러한 완충기에 의해 동시에 팁부가 연장된 위치와 팁부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교체가능한 완충기를 구비한 이러한 유형의 폴을 제시한다. 요구사항에 따라, 사용자는 완충기, 예를 들면 상이한 정도의 경도를 갖는 완충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또는 고무 탄성 재료의 마모로 인하여 완충기가 교체되는 경우 그러하다. 부가적으로, 완충기 교체의 제안된 시스템에 의해 교체될 완충기의 생산이 단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 특히 노르딕 워킹 폴은 폴 관을 포함하고, 폴 관의 하단에 부착물이 제공되며, 부착물에는 고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완충기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된다. 이러한 교체가능한 완충기는 완충기의 중앙 리세스에 고정되는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를 구비하고, 중앙 리세스는 폴의 부착물로의 방향으로 상향 개방되도록 디자인된다.
그러므로 완충기는 실질적으로 연성이 없는 경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고정 영역과 롤링 표면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영역을 갖는 2-부분 컴포넌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고무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TPE, TPU 등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예컨대 (TPU = 우레탄-기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실리콘, 또는 가황 고무로 만들어진다. WO 2006/1283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가 또한 완충 부착물의 롤링 표면 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노르딕 워킹 폴은 비대칭으로 구성된 완충기를 구비한다. 이는, 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측정되고 운동 방향으로 전방 영역에서 볼 때, 후방 영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는다.
완충기의 탄성중합체 영역 내의 리세스에 수용되는 고정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성이 없는 경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인서트는 예컨대, 섬유유리-강화 플라스틱 및/또는 압출 성형으로 생성된 플라스틱일 수 있다. 주조 재료(금속 포함) 또는 기계가공 재료로 만들어지는 형성된 부분이 가능하다. 인서트는 억지 끼워맞춤 또는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가능하다면 물질 결합 방식으로, 완충기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순수하게 물질 결합 연결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는 통상적으로 고무 탄성 완충기에 삽입, 주입, 탄성중합체에 의해 압출 코팅 및/또는 부착된다.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실린더로 디자인된다.
완충기 내의 중앙 리세스는 롤링 표면에 이르는 관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중앙 리세스의 상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롤링 표면에 면하는 하측 영역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영역과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영역 사이의 경계 표면 상에 인서트를 위한 하측 접촉 표면 또는 맞댐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중앙 리세스는 또한 기저부에 의해 하향으로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고, 즉 팁부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단순한 완충기의 경우 실질적으로 포트(pot) 형태의 디자인을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완충기 내의 중앙 리세스는 하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기저부를 갖는 블라인드 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착물에 면하는 중앙 리세스의 상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디자인이 원형이다. 고무 탄성 완충기의 바닥측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을 갖는 롤링 표면을 형성한다. 롤링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비대칭으로 구성되고, 특히 노르딕 워킹을 위한 달리기 운동에 최적화되도록 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더 올라가는 형태가 된다. 팁부는 이러한 롤링 표면을 관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후방 1/3 부분에서 관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로파일링은 바람직하게는 측면 연장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의 경우, 완충기는 인서트와 부착물 사이의 베이오넷 캐치에 의해 폴의 부착물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구조적으로는 단순하지만 가능한 안정된 고정이 보장되고, 이는 흙먼지에 거의 취약하지 않다.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기는 폴의 부착물 상에 단지 하나의 회전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부착물 및/또는 완충기는 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부착물에 대한 완충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뒤틀림 잠금부를 구비한다. 폴은 유리하게는 부착물과 인서트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폴은 부착물과 완충기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물질 결합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물은 완충기에 면하는 하측 부분을 구비하고, 하측 부분의 단면은 비원형이다. 이러한 하측 부분은 유리하게는 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보다 운동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의 하측 부분이 평탄한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는, 제1 우측 벽, 이러한 제1 우측 벽 반대 측의 제2 좌측 벽, 제3 전방 벽, 이러한 제3 전방 벽 반대 측의 제4 후방 벽을 가진다. 이 경우, 제1 벽 및 제2 벽은 바람직하게는 평탄하고 제3 벽 및 제4 벽은 디자인이 곡면이다. 완충기가 장착될 때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이 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보다 운동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가지고, 내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도 마찬가지이며, 이러한 하측 부분들은 모두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실린더로 구성된다. 내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의 형상은 외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내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이 외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에 정확히 매칭된다.
완충기의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실린더로서 구성되는데 인서트의 내벽 상에 적어도 제1 리세스를 가지며, 예를 들면 완충기에 면하는 부착물의 하측 부분 상에 배열되는 제1 반경방향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홈 또는 절개부를 가진다. 인서트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의 반경방향 반대 측의 부착물의 제2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1 리세스의 반경방향 반대 측에 제2 리세스를 가진다.
서로 반대 측에 놓여 있는 2개의 반경방향 리세스는 각각, 인서트의 원주의 단지 일부를 넘어 그리고 단지 한 영역에서만 인서트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리세스들은 인서트의 나머지 원주 영역에 비하여 더 작은 벽 두께 또는 인서트 두께를 갖는 영역을 구성한다.
반경방향 리세스 중 하나는 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에 의해 중단되거나 2개의 반부로 나뉜다. 그러나 이러한 리브는 단지 인서트의 제1 축방향 부분을 넘어 연장되어, 부착물 상의 돌출부들이 인서트의 이러한 영역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완충기가 부착물의 하측 부분에 끼워맞춰질 때, 이러한 리브는 부착물의 하측 부분의 돌출부 상에서 반경방향 리세스 내로 돌출되고, 따라서 부착물 상으로의 부착물의 슬라이드-온 위치를 고정한다. 제2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종류의 축방향 리브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2등분되고 축방향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의 내벽 상에서 인서트의 축방향 길이의 단지 일부에 걸쳐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부착물의 제2 돌출부는 인서트의 축방향 리브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축방향 간극에 의해 중단된다.
완충기가 부착물 또는 폴 상에서 고정된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반경방향 돌출부를 통해 이어지고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부착물의 2등분 단면은, 서로 반대 측에 놓여 있는 2개의 리세스를 통해 이어지고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어지는 인서트의 2등분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뒤틀린다. 이 경우,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어지는 부착물의 2등분 단면은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부착물의 하측 부분 상의 각각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부착물에 고정된 완충기의 인서트의 내벽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어지는 숄더부 아래에 이른다. 이 경우, 개개의 숄더부는 인서트의 내벽 상에서 부착물의 개개의 돌출부를 위한 상측 맞댐부를 형성한다.
인서트의 내측의 반경방향 리세스들은 개략적으로 L-자형이며 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넓은 네크부와 원주 방향으로 더 얇은 레그부를 가진다. 리세스들은,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볼 때, 인서트의 하측 에지 상에 접하는 하측 부분(레그부)에서, 상측 영역(네크부)보다 인서트의 더 긴 원주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하지만 각각의 경우 L-자형 반경방향 리세스의 레그부는 다음 리세스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이런 식으로, 인서트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인서트의 원주 방향으로 2개의 포인트에서 맞댐부가 연장되는데, 이러한 맞댐부는 위에서 볼 때, 원주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각각의 경우 제1 리세스의 하측 부분의 좌측 및 제2의 또는 다음 리세스의 좌측에 접한다. 그 결과, 부착물의 하측 부분 상의 돌출부들은 일단 인서트 내의 리세스들에 매칭되도록 도입되면, 부착물이 인서트나 완충기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뒤틀릴 때, 2개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댐부들 각각이 리세스의 각 레그부에서(어느 정도 "레일"로서 기능함) 서로 반경방향 반대 측에 놓이게 될 때까지 이동가능하다. 그러므로 부착물의 하단에서 돌출부들은 뒤틀릴 때 반경방향 리세스의 이러한 신장된 원주 부분과 맞물린다. 신장된 원주 부분(L의 레그부)에 인접하는 더 큰 벽 두께를 갖는 중공의 실린더의 각 부분 상에 돌출부들이 맞댐으로써 인서트로부터 부착물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완충기는 플러그-인/회전 이동을 통해 폴에 고정되거나 인서트가 부착물에 고정된다. 연결될 두 부분은 올바른 위치에 서로 삽입되며, 즉 인서트와 함께 완충기는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플러그-인 방향으로 부착물의 하측 부분에 끼워맞워진 후 그 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부착물에 대한 인서트의 회전 이동을 수반하며, 또는 그 역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완충기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폴이 부착물이 체결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부착물이 고정되면서 인서트와 함께 완충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는 점에서 그 역도 가능하다. 완충기를 폴 또는 부착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완충기 또는 부착물이 그에 대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폴에 대한 완충기의 고정은, 예를 들면 마모 또는 완충기 타입의 변경으로 인하여 고무 완충기가 교체되어야 할 때에만 릴리스될 필요가 있다.
부가적으로, 끼워맞춤 위치 및/또는 잠금 단부 위치가 고무 완충기 및/또는 외측 슬리브 상에 (예를 들면, 임프린트 및/또는 몰딩된 심볼에 의해) 마킹될 수 있다.
완충기가 부착물 상에 끼워맞춰질 때,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 측에 놓이는 2개의 리세스를 2등분하는 인서트의 제1 단면과,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 측에 놓이는 부착물의 2개의 돌출부를 2등분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축방향 리브를 통해 이어지는 부착물의 제2 단면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여기서 2개의 축은 운동 방향(V), 또는 단면, 또는 대칭 축 평면(도 1f에서 A-A 또는 도면 2f에서 B-B)에 평행하지 않게 배열되고 45 내지 90도의 각도로 뒤틀린다. 한편 완충기가 고정될 때에는 2개의 단면이 서로에 대해 뒤틀리고, 부착물의 제2 단면이 운동 방향(V)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완충기는 바람직하게는 내벽 상에 원주 방향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완충기의 중앙 리세스의 상측 부분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축방향 위치들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세스를 가진다. 고무 탄성 영역 내의 이러한 리세스는 각각 인서트의 외벽 상에 배열된 반경방향 플랜지를 수용하는 데 이용되고, 반경방향 플랜지는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완충기 내의 실질적으로 중공의 실린더형 인서트는 그 외측에, 2개의 반경방향 플랜지를 가지는데, 이러한 2개의 반경방향 플랜지는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상이한 축방향 위치들에 배열되고, 서로 이격되어 서로의 반대 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플랜지는 완충기의 내벽 상에서 대응하는 리세스와 맞물리고, 특히 완충기가 부착물 상에 끼워맞춰질 때 그리고 완충기가 부착물에 대해 뒤틀릴 때 인서트가 완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완충기 내에서의 인서트의 회전 위치를 잠금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부착물은 완충기에 면하는 그 하단에 돌출부를 갖는데, 이러한 돌출부는 폴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완충기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러그의 형태이다. 이러한 축방향 돌출부는 부착물에 고정된 완충기의 외측에서, 즉 고무 탄성 영역에서, 대응하는 제3 리세스와 맞물린다. 이는 마찬가지로, 부착물 상에서의 완충기의 회전 위치의 고정에 기여하며 완충기와 부착물 사이의 회전 잠금에 기여한다. 이러한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폴이 사용 중인 경우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영역에 배열된다.
완충기와 부착물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캐치부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인서트와 부착물 사이 또는 인서트와 완충기 사이를 포함하여, 이와 다른 상호 대응되거나 매칭되는 형태, 즉 한 편에는 리세스 또는 노치부와 다른 편에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돌출부 등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폴은 교체가능한 완충기를 가지는데, 완충기의 위치는 폴 팁부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착물은 인서트와 완충기의 중앙 리세스를 관통하여 배열되는 팁부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폴에서는, 팁부가 완충기에 대해 높이 조절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이와 역으로 배열될 수 있다. 팁부 또는 완충기는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잠금될 수 있다.
높이 조절가능한 팁부를 갖는 폴의 경우에 인서트는 팁부가 통과하도록 홀을 갖거나 또는 중공의 실린더로서 구성된다. 완충기 내에 팁부가 통과되지 않는 폴의 경우에는 인서트가 마찬가지로 포트-형상일 수 있고, 즉 폐쇄된 기저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폴이 팁부로부터 완충기까지 어떠한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가능성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완충기가 부착물의 하단에 릴리스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는 외측 슬리브 또는 내측 슬리브로부터가 아니라 단지 (최하측) 폴 관부의 하단에 고정된 단일의 슬리브로부터 또는 더 하측의 폴 단부에 제공되는 다른 고정 요소로부터 형성된다.
매우 단순한 실시예로서, 부착물은 최하측 폴 관부에 직접 고정되고, 단순한 완충기가 교체의 목적으로 베이요넷 잠금에 의해 이러한 부착물의 하측 부분에 고정된다. 완충기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완충기 내에 배열된 인서트가 베이요넷 잠금에 의해 부착물의 더 하측의 부분에 바로 고정된다. 부착물이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경우, 팁부를 노출시키거나 숨기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부착물은 2개의 부분으로 내측 슬리브와 외측 슬리브로서 구성되며, 팁부는 내측 슬리브에 고정되고 외측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또는 래칭 레버를 통해 그에 체결된다.
이러한 종류의 내측 슬리브는 또한 교체가능한 디자인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중앙 리세스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가적인 연결 요소에 대해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 연결을 가지며, 연결 요소는 최하측 폴 관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류의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 연결은 나사산 또는 래칭 연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팁부는 바람직하게는 마모 내성 재료, 예컨대 금속, 경성 금속, 세라믹 또는 이러한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고, 팁부는 통상적으로 금속 또는 경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고정 요소를 통해 내측 슬리브에 고정된다.
높이 조절가능한 완충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폴에 실현되는데, 그 부착물은 폴 관에 고정된 내측 슬리브 및 내측 슬리브를 둘러싸고 내측 슬리브 상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 슬리브를 포함한다. 이 경우, 부착물에는 팁부가 구비되고, 팁부 및/또는 내측 슬리브의 최하측 부분은 완충기 내의 중앙 리세스 및 인서트 내의 중앙 리세스를 관통하여 배열된다. 완충기는 중앙 리세스 내에서 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변위가능하게 장착되고, 완충기는 폴 관에 대하여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잠금될 수 있다. 축방향 높이 조절을 위해, 래칭 레버가 완충기의 롤링 표면에 면하는 하단에서 외측 슬리브의 외측에 관절식 연결된다. 그 상단에서는 완충기의 고정된 위치에서 래칭 레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으로 폴 관 및/또는 내측 슬리브 주위로 맞물린다. 래칭 레버는 외측 슬리브로부터 멀어지도록 선회함으로써 릴리스될 수 있다.
고무 탄성 완충기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베이요넷 연결로 대체될 수 있다. 단순한 부착물의 하단보다는, 이 경우 팁부를 위한 관통공을 갖는 교체가능한 완충기가 외측 슬리브의 하측 부분에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폴을 위한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능한 완충기 또는 대체 완충기는 고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을 가지며, 상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중앙 리세스를 가진다. 중앙 리세스에서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가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완충기는 인서트와 부착물 사이의 베이오넷 잠금에 의해 폴의 부착물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완충기는 바람직하게는 폴의 부착물 상에 단지 하나의 회전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완충기는 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부착물에 대한 완충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완충기는 부착물과 인서트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완충기는 부착물과 완충기의 고무 탄성 영역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완충기는 폴 팁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의 형태로 구성된 중앙 리세스를 구비한다. 인서트가 고정되는 관통공의 상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완충기의 롤링 표면에 면하는 관통공의 하측 부분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즉, 인서트는 중앙 리세스 중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상측 부분과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는 하측 부분 사이에 완충기의 경계 표면 또는 기저부 상에 하측 맞댐부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서트는 완충기의 중앙 리세스 내의 회전 위치에서 스냅결합된(snapped-in) 위치에 배치되고, 인서트의 서로 반경방향 반대 측인 2개의 리세스는, 운동 방향에 대하여 틀어져,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90도 틀어져, 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반대 측에 놓이게 된다. 달리 말하면, 서로 반대 측에 놓이는 인서트 내의 2개의 리세스를 통하는 축방향으로 2등분하는 단면이 운동 방향에 대해 뒤틀려 배열된다.
부착물 또는 부착물의 2개의 돌출부를 통하는 폴 축에 평행한 제2의 2등분 평면은 하측 부분에서 부착물의 제1 좌측 벽 및 제2 우측 벽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완충기의 체결 상태에서, 이러한 평면은 완충기의 대칭 축 평면 또는 단면에 평행하게 또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그러나 완충기가 부착물 상에 끼워맞춰질 때 평면은 완충기의 대칭 평면에 대해 뒤틀린 방식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도 운동 방향에 대해 뒤틀린다.
완충기의 경성 인서트와 부착물 또는 외측 슬리브 사이의 베이요넷 잠금은, 위에서 기술된 변형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부착물의 하측 부분 상의 다른 형태의 돌출부 및 인서트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며, 또는 예를 들면 부착물의 하측 부분 내의 대응하는 가이드 리세스 안으로 도입되어 회전되는 인서트의 내측 표면 상의 반경방향 핀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거나, 그 역도 가능하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각진 기다란 홀이 부착물 내에 배열될 수 있고, 그 축방향 부분에서 인서트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핀이 완충기 상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축방향으로 도입되고 그 다음에 핀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기다란 홀의 각진 부분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완충기는 가능하다면 뒤틀림 잠금부를 따라 축방향 위치 및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완충기의 높이 조절 메커니즘과 관련하거나 완충기와 팁부 사이의 교체 메커니즘에 대한 WO 2011/128231 A1의 내용은 본 출원의 개시내용에 포함된다.
추가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할 것이고, 이러한 도면은 단지 예시를 의도한 것이며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팁부가 롤링 표면을 넘어 하향 돌출한 고정된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상이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나타낸 것인데, 도 1a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b는 운동 방향으로 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c는 운동 방향으로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d는 운동 방향으로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e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f는 대칭 단면/평면 A-A를 갖는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g는 도 1f에서 A-A를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도 1f와 도 1g에는 최하측 폴 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팁부가 숨겨져 있는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상이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b는 운동 방향으로 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c는 운동 방향으로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2d는 측면도이며, 도 2e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2f는 대칭 단면/평면 B-B를 갖는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2g는 도 2f에서 B-B를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도 2f와 도 2g에는 최하측 폴 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2개의 상이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a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 우측에서 본 확대도이고, 도 3b는 운동 방향으로 전방 우측에서 본 확대도이며, 도 3c는 운동 방향에 대해 우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4는 돌출된 폴 팁부와 함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구비한 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1), 이 경우 노르딕 워킹 폴을 예시하는데, 폴 손잡이(48)와 함께 상측의 폴 관부(2a)와 하측의 폴 관부(2)를 나타낸다. 완충기(4)가 고정되어 있는 부착물(3)은 하측의 폴 관부(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폴이 단지 하나의 폴 관을 갖는 경우, 부착물(3)은 그 하단에 체결된다. 폴(1)이 복수 개의 폴 관부(2, 2a)를 갖는 경우, 부착물은 각 경우 최하측 폴 관부(2)에 고정된다.
모든 도면에서,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물(3)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 고무 탄성 완충기(4)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완충기가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탄성 지지 표면 또는 롤링 표면(43)을 넘어 팁부(30)가 돌출된 제1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탄성 지지 표면을 갖거나 팁부(30)가 완충기 안에 숨겨져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a-1g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그 상측 위치에서 완충기(4)가 폴(1)을 위한 부착물(3)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팁부(30)는 롤링 표면(43)을 넘어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고무 탄성 완충기(4)는 비대칭 디자인을 가지며, 롤링 표면(43)은 노르딕 워킹 도중 운동 방향에 최적화되도록 운동 방향(V)으로 전방으로 끌어올려져 있다. 팁부(30)는 이러한 롤링 표면(43)을 대략 후방 1/3 부분에서 관통한다. 부가적으로 프로파일링(44)은 측방향 연장부(46)를 가진다.
이 경우 완충기(4)는 폴(1)을 위한 부착물(3)에 끼워맞춰져 있으며, 이러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착물(3)은 폴 관(2)의 하단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내측 슬리브(26) 및 이러한 내측 슬리브 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외측 슬리브(28)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31)가 내측 슬리브(26) 상에 장착되고, 그 하측의 체결 러그(31b) 상에 팁부(30)가 들어가 고정된다. 팁부가 관통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지 않은 단순한 대체 완충기를 갖는 폴의 경우에는, 완충기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착물(3)의 하측 부분이 여기에 도시된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의 기능을 맡게 되고 그에 따라 구성된다.
부착물(3)의 조성과 그 구성부분의 실시예가 특히 도 3에서 확대도로 명확히 나타나 있다. 내측 슬리브(26)는 중앙 축방향 리세스(27)를 가지며, 그 안에 도 1g, 2g, 및 도 4에 도시된 원추형으로 테이퍼링된 폴 관(2)의 하단이 가압 및/또는 부착된다. 이러한 내측 슬리브(26)의 상측 영역은 폴 관(2)을 둘러싸는 슬리브를 어느 정도 형성하게 된다. 내측 슬리브(26)는 이러한 슬리브를 생성하는 상측 부분(26a)을 가지며, 이는 폴 관(2)을 수용하고 외측 슬리브(28)의 2개의 위치에서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부가적으로, 상측 부분(26a)과 통합되어 하향 구성되는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이 뒤따른다. 이러한 하측 부분(26b) 상에서는, 마모 내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 경성 금속, 세라믹 또는 이러한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실제 팁부(30)가 하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직접적인 것이 아니고, 통상 금속 또는 경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고정 요소(31)를 통해 이루어진다.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은 축방향 리세스(33)를 가지며, 그 안에 고정 요소(31)의 고정 스터브(31a)가 들어가거나 고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 고정 스터브(31a)와 통합 구성되면서도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에 체결되는 6각형 플랜지(32)는, 관통공(6)에 의해 완충기(4)를 관통하는 고정 요소(31)의 하측의 고정 스터브(31b)로부터 상측의 고정 스터브(31a)를 분리하게 된다. 플랜지(32)의 6각형 형상은 내측 슬리브(26) 내에서 고정 요소(31)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내측 슬리브(26) 내에서 고정 요소(31)의 뒤틀림 없는 고정이 플랜지(32)의 또다른 비원형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측 고정 스터브(31a)의 고정이 샤프트의 널링, 압입, 사출 성형, 또는 이러한 수단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의 하단에는 플랜지(3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9)가 존재하는데, 플랜지(32)는 이 경우 6각형의 기하학적인 프로파일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은 그 외측 측방향 표면 상에, 이 경우 실질적으로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의 내측의 매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이러한 형상은 단지 약간 작은 치수를 가지며, 이로써 외측 슬리브(28)는 내측 슬리브 상에서 축방향으로 길이방향 폴 축(S)을 따라 반경방향 유격 없이 변위가능하다.
외측 슬리브(28b)의 하측 부분(28b)과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에 끼워맞춰지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됨)은 양자 모두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자인상 원형이 아니고, 그 대신 원래의 실린더 형상에 측면이 평탄화된 영역으로 구성되어 어느 정도 평탄한 실린더가 되고, 이는 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보다 운동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하측 부분(28b)은 평탄한 제1 우측 벽(20)과 평탄한 제2 좌측 벽, 그리고 곡면인 제3 전방 벽(22)과 곡면인 제4 후방 벽(23)을 가진다.
플랜지(32)는, 팁부(30)가 롤링 표면(43)을 넘어 하향 돌출된 위치를 위해 규정된 하측의 맞댐 포인트를 구성하고(특히, 도 3b에 따른 단면도 참조), 그 바닥측이 완충기(4)의 중앙 리세스(6)의 기저부(6c) 상의 접촉 표면상에 위치한 채로 팁부(30)의 연장된 위치에 놓인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실제의 별개 팁부(30)는, 하향으로 향하는 리세스(31c)를 갖는 하측의 고정 스터브(31b) 내에 압입 및/또는 부착 또는 몇몇의 다른 방식으로(납땜, 나사결합 등) 고정된다. 이 경우 전체 하측 고정 스터브(31b) 및 팁부(30)는 연성의 완충기(4)에 제공되는 관통공에 적합화된 단면 형상을 가져, 내측 슬리브(26)에 대한 외측 슬리브(28)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팁부(30)는 이러한 관통공(6)을 통해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완충기(4) 내의 관통공(6)은 팁부(30)를 수용하도록 디자인되는 하측 부분(6b)에서보다 인서트(5)를 수용하도록 디자인되는 상측 부분(6a)에서 더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관통공(6)은 아래쪽으로 롤링 표면을 향해 테이퍼링되도록 디자인된다.
외측 슬리브(28)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 상에 배열된다. 래칭 레버(34)는 이러한 외측 슬리브(28)의 외측에 관절식 연결되고, 이러한 레버는 운동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외측 슬리브(28)의 2개의 지지 연장부(35)를 가지며 이는 2개의 정렬된 축방향 홀(36a, 36b)을 갖는다. 래칭 레버(34)는 이러한 2개의 지지 연장부(35)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래칭 레버(34)의 테이퍼링된 영역(34a)은 2개의 지지 연장부(35) 사이에 맞물리고, 이러한 영역은 관통공(34c)을 가진다. 회전 축(37), 통상적으로 금속 핀은 2개의 축방향 홀(10)과 이러한 관통공(34c)을 통해 삽입되어, 래칭 레버(34)가 외측 슬리브(28) 상에서 이러한 회전 축(37)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상단에서 이러한 래칭 레버(34)는 클램프 영역(34b)을 가진다. 이러한 클램프 영역(34b)을 이용하여 래칭 레버(34)는 완충기(4)의 고정된 위치에서 자체 래칭 방식으로 내측 슬리브(26)의 상측 부분(26a)을 감싼다. 이러한 클램프 영역(34b)의 내측에는, 두 위치에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의 정확한 고정을 위하여, 한편으로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38)이 원주 상의 내측에 배열되고 절개부(39)가 바로 아래에 뒤따르는 유사한 원주방향 홈에 배열된다.
외측 슬리브(28)의 축방향 변위가능성은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영역(26b)에 제공되는 가이드 리세스(40)에 의해 추가 보장되는데, 이는 축방향으로 기다란 디자인을 가진다. 외측 슬리브(28) 내에 고정되는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가이드 핀(41)은 이러한 가이드 리세스(40)와 맞물리고, 이러한 리세스는 어느 정도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26b)의 절개부로서 형성되고 외측 슬리브(28) 안으로의 삽입을 따르는 기다란 홀을 단지 형성하게 된다. 특히 도 2g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위치에서, 이러한 가이드 핀(41)은 가이드 리세스(40)의 하측의 맞댐 포인트 상에 안착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래칭 레버(34)의 지지 영역(34b)이 아래로부터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내측 슬리브(26)의 상측 부분(26a) 내의 원주방향 래칭 연장부(42)와 맞물린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위치에서, 외측 슬리브(28)는 이 위치에 고정되고, 이로써 하측의 맞댐부 상에서 가이드 리세스(40) 내의 가이드 핀(41)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하나의 맞댐이 생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래칭 연장부(42)의 하측 표면 상에서 래칭 레버(34)의 지지 영역(34b)의 지지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디자인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완충기(4)가 외측 슬리브(28)의 바닥측에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는 내측 슬리브(26)에 대한 외측 슬리브(28)의 더 낮은 위치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완충기(4)가 도 1에 따른 연장된 팁부(30)를 갖는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이로써 래칭 레버(34)는 측방향으로 외향으로 선회하여, 지지 부분(34b)이 래칭 연장부(42)를 릴리스하게 된다. 그러면 외측 슬리브(28)는 가이드 리세스(40) 내에서의 가이드 핀(41)의 이동가능성의 틀 안에서 상향으로 (뒤이어) 변위될 수 있다.
도 1은 가이드 핀(41) 또는 리세스(27)에 의해 미리규정된 축방향 이동가능성을 갖는 맞댐을 통해 외측 슬리브(28)가 가압되고 래칭 레버(34)가 다시 내측 슬리브(27) 상에 배치되어 어느 정도 자체 래칭 방식으로 내측 슬리브(26) 주위에 스냅 결합된 위치를 나타낸다. 외측 슬리브(28)의 이러한 상측 위치에서, 지지 영역(34b)은 이제 래칭 연장부(42) 위에 놓이고 래칭 연장부(42)는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절개부(39)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치에서 래칭 레버(34)의 상측 영역은 완전한 형상 끼워맞춤 고정을 형성하게 되고, 가이드 리세스(40) 또는 가이드 핀(41)에 의해 미리규정된 하측의 맞댐은 완전히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능하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완충기(4)는 베이요넷 잠금에 의해 부착물(3)에 고정된다. 팁부(30)에 걸쳐 슬라이드될 수 있는 완충기(4)의 축방향 변위가능성을 갖는 변형예의 경우, 완충기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 상에 고정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완충기(4)는 부착물(3)의 하측 부분 상으로 또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 상에서 슬립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에 대한 완충기(4)의 회전에 의해 맞댐/래칭 위치로 돌려져 폴(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경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완충기(4) 내에 도입된 인서트(5)와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 사이에 베이요넷 연결이 이루어진다.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 상의 전방 반경방향 돌출부(16)와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17)에 의해서, 특히 인서트(5)의 축방향 리브(9)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17) 상의 축방향 간극(18)에 의해서 슬립-온 위치가 규정된다. 완충기(4)가 이러한 슬립-온 위치에 끼워맞춰진 후에 완충기(4)가 잠금되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착물(3)을 갖는 폴 관(2)이 원주 방향(U)으로 90 내지 120도의 각도 범위를 통해 시계방향 회전되어, 인서트(5) 내의 제1 리세스(7)의 우측 맞댐부(25) 상의 전방 반경방향 돌출부(16)와 인서트(5) 내의 제2 리세스(8)의 우측 맞댐부 상의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17)의 맞댐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3)의 하측 부분(28b)의 반경방향 돌출부(16, 17)는 각각 완충기(4)의 인서트(5) 내에서, 실린더형 인서트(5)의 내벽(5a) 내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세스 또는 노치부 또는 홈에 의해 생성되는 어느 정도의 레일 내에서 이어진다. 이러한 노치부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5)의 원주 방향(U)으로 이어지는 L-자형 리세스의 레그부에 의해 형성된다.
어떠한 팁부도 갖지 않고 단지 고무 탄성 완충기만을 갖는 (그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팁 본체가 있거나 또는 그러한 팁 본체가 없음) 폴의 예시적인 대안 실시예의 경우에는, 부착물이 단순히 완충기에 대한 최하측 폴 관부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물은 또한 그 위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거나 교체가능하게 장착된 팁 본체를 가지며, 이러한 팁 본체 위에서 분리가능하게 고정가능한 완충기가 슬립될 수 있다. 다부품 부착물의 경우, 부착물의 상측 부분에 대해 부착물의 하측 부분과 함께 완충기가 축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팁 본체가 노출될 수 있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표면을 넘어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기의 내측에 숨겨질 수 있다.
1 폴
2 최하측 폴 관부
2a 상측 폴 관부
3 부착물
4 완충기
4a 완충기(4)의 내벽
5 완충기(4) 내의 인서트
5a 인서트(5)의 내벽
5b 인서트(5)의 외벽
6 완충기(4) 내의 중앙 리세스
6a 중앙 리세스(6)의 상측 부분
6b 중앙 리세스(6)의 하측 부분
6c 중앙 리세스(6)의 기저부
7 인서트(5) 내의 제1 리세스
7a 제1 리세스(7)의 제1 반부
7b 제1 리세스(7)의 제2 반부
8 인서트(5) 내의 제2 리세스
9 제1 리세스(7)에서 인서트(5)의 축방향 리브
10 인서트(5) 상의 전방 플랜지
11 인서트(5) 상의 후방 플랜지
12 전방 플랜지(10)를 위한 내벽(4a) 내의 제1 리세스
13 후방 플랜지(11)를 위한 내벽(4a) 내의 제2 리세스
14 축방향 러그(15)를 위한 완충기(4) 내의 제3 리세스
15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 상의 축방향 러그
16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 상의 전방 반경방향 돌출부
16a 전방 반경방향 돌출부(16)의 상측 에지
17 부착물(3) 또는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28b) 상의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
17a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17)의 상측 에지
18 축방향 리브(9)를 위한 후방 반경방향 돌출부(17) 내의 축방향 간극
19 인서트(5) 내의 관통공
20 부착물(3)의 제1 우측 벽
22 부착물(3)의 제3 전방 벽
23 부착물(3)의 제4 후방 벽
24 제1 리세스(7)의 좌측 맞댐부
25 제2 리세스(8)의 우측 맞댐부
26 내측 슬리브
26a 내측 슬리브(26)의 상측 부분
26b 내측 슬리브(26)의 하측 부분
27 최하측 폴 관부(2)를 위한 내측 슬리브(26) 내의 상측 중앙 축방향 리세스
28 외측 슬리브
28a 외측 슬리브(28)의 상측 부분
28b 외측 슬리브(28)의 하측 부분
29 외측 슬리브(28)의 중앙 축방향 리세스
30 팁부
31 팁부(30)를 위한 고정 요소
31a 고정 요소(31)의 상측 체결 스터브
31b 고정 요소(31)의 하측 체결 스터브
31c 고정 요소(31) 내의 하측 중앙 축방향 리세스
32 고정 요소(31) 상의 원주방향 플랜지
33 상측 체결 스터브(31a)를 위한 하측 부분(26b) 내의 축방향 리세스
34 래칭 레버
34a 래칭 레버(34)의 테이퍼링된 영역
34b 래칭 레버(34)의 클램프 영역
34c 테이퍼링된 영역(34a)의 관통공
35 외측 슬리브(28)의 지지 연장부
36a 외측 슬리브(28) 내의 좌측 축 홀
36b 외측 슬리브(28) 내의 우측 축 홀
37 외측 슬리브(28) 내의 회전 축, 관통공(34c)을 통한 크로스 핀
38 클램프 영역(34b)의 연장된 지지 영역
39 클램프 영역(34b) 내의 절개부, 홈
40 가이드 리세스
41 외측 슬리브(28) 내의 가이드 핀
42 내측 슬리브(26)의 래칭 연장부
43 완충기(4)의 롤링 표면
44 롤링 표면(43) 내의 프로파일링
45a 외측 슬리브(28) 내의 가이드 핀(41)을 위한 좌측 관통공
45b 외측 슬리브(28) 내의 가이드 핀(41)을 위한 우측 관통공
46 프로파일링(44)의 측방향 연장부
47 상측 부분(26a)과 하측 부분(26b) 사이의 숄더부
48 폴 손잡이
49 원주방향 플랜지(32)를 위한 상측 부분(26b) 내의 리세스
A-A 도 1f에서의 단면, 완충기(4)의 대칭 축 평면
B-B 도 2f에서의 단면, 완충기(4)의 대칭 축 평면
E1 인서트(5)의 2등분 평면
E2 부착물(3)의 2등분 평면
H 운동 방향의 반대 방향, 후방
L 하측 부분(28b)의 길이방향
l6 상측 부분(6a)의 길이
S 폴의 길이방향 축
U 원주 방향
V 운동 방향, 전방

Claims (15)

  1. 폴(1), 특히 노르딕 워킹 폴로서,
    폴 관(2)을 포함하고, 상기 폴 관(2)의 하단에 부착물(3)이 제공되며, 상기 부착물(3)에는 고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완충기(4)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완충기(4)는 완충기(4)의 중앙 리세스(6)에 고정되는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5)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리세스(6)는 상기 폴(1)의 부착물(3)로의 방향으로 상향 개방되어 있고,
    상기 완충기(4)는 상기 인서트(5)와 상기 부착물(4) 사이의 베이오넷 캐치에 의해 상기 폴(1)의 부착물(3)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폴(1)의 부착물(3) 상에 단지 하나의 회전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부착물(3) 및/또는 완충기(4)는 상기 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물(3)에 대한 상기 완충기(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뒤틀림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물(3)과 인서트(5)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폴(1)은 상기 부착물(3)과 완충기(4)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은 상기 완충기(4)에 면하는 하측 부분(28b)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부분(28b)의 단면은 비원형이며,
    상기 하측 부분(28b)은 유리하게는 운동 방향(V)에 수직한 방향보다 운동 방향(V)으로 더 큰 폭을 갖는, 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4)의 인서트(5)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실린더로서 구성되고, 제1 반경방향 돌출부(16)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5)의 내벽(5a) 상에 적어도 제1 리세스(7)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반경방향 돌출부(16)는 상기 완충기(4)에 면하는 상기 부착물(3)의 하측 부분(28b) 상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출부(16)의 반경방향 반대 측의 제2 돌출부(17)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리세스(7)의 반경방향 반대 측에 제2 리세스(8)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세스(8)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리브(9)에 의해 원주 방향(U)으로 2등분되고 상기 축방향 리브(9)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5a) 상에서 상기 인서트(5)의 축방향 길이의 단지 일부에 걸쳐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부착물의 제2 돌출부(17)는 상기 인서트(5)의 축방향 리브(9)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축방향 간극(18)에 의해 중단되는, 폴(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 상에서의 상기 완충기(4)의 고정된 위치에서, 2개의 반경방향 돌출부(16, 17)를 통해 이어지고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부착물(3)의 2등분 단면(E2)은, 서로 반대 측에 놓여 있는 2개의 리세스(7, 8)를 통해 이어지고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어지는 인서트(5)의 2등분 단면(E1)에 대해 원주 방향(U)으로 뒤틀려 있고,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어지는 상기 부착물(3)의 2등분 단면(E2)은 상기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폴(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의 하측 부분(28b) 상의 각각의 반경방향 돌출부(16, 17)는, 상기 부착물(3)에 고정된 완충기(4)의 인서트(5)의 내벽 상에서 원주 방향(U)으로 이어지는 숄더부 아래에 이르고, 개개의 숄더부는 상기 인서트(5)의 내벽(5a) 상에서 상기 부착물(3)의 개개의 돌출부(16, 17)를 위한 상측 맞댐부를 형성하는, 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은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상기 완충기(4)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러그(15)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 러그(15)는 상기 부착물(3)에 고정되는 상기 완충기(4)의 외측 상에서 대응하는 제3 리세스(14)와 맞물리는, 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4) 내의 중앙 리세스는 블라인드 홀이고, 상기 중앙 리세스(6)의 상측 부분(6a)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완충기(4)는 바람직하게는 내벽(4a) 상에 원주 방향(U)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서트(5)의 외벽(5b) 상에 배열된 반경방향 플랜지(10, 11)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완충기(4)의 중앙 리세스(6)의 상측 부분(6a)의 길이(16)를 따라 상이한 축방향 위치들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세스(12, 13)를 가지며,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10, 11)는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U)으로 연장되는, 폴(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4)는 비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기(4)는,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측정되고 상기 운동 방향(V)으로 전방 영역에서 볼 때, 후방 영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폴(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은 상기 인서트(5) 및 상기 완충기(4)의 중앙 리세스(6)를 관통하여 배열되는 팁부(30)를 가지고, 상기 팁부(30) 또는 완충기(4)는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잠금될 수 있는, 폴(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3)은 상기 폴 관(2)에 고정된 내측 슬리브(26) 및 상기 내측 슬리브(26)를 둘러싸고 내측 슬리브(26) 상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 슬리브(28)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3)에는 팁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팁부(30) 및/또는 상기 내측 슬리브(26b)의 최하측 부분은 상기 완충기(4) 내의 중앙 리세스(6) 및 상기 인서트(5) 내의 중앙 리세스(5a)를 관통하여 배열되고, 상기 완충기(4)는 중앙 리세스(6) 내에서 상기 폴(S)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변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완충기(4)는 상기 내측 슬리브(26) 또는 상기 폴 관(2)에 대하여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통해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들에 잠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래칭 레버(34)가 상기 완충기(4)의 롤링 표면(43)에 면하는 하단(34a)에서 상기 외측 슬리브(28)의 외측에 관절식 연결되고 상단(34b)에서는 상기 완충기(4)의 고정된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으로 상기 폴 관(2) 및/또는 내측 슬리브(26) 주위로 맞물리고 상기 외측 슬리브(28)로부터 멀어지도록 선회함으로써 릴리스될 수 있는, 폴(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을 위한 완충기로서,
    상기 완충기는 고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영역을 가지며, 상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중앙 리세스를 가지고, 상기 중앙 리세스(6)에서는 경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5)가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완충기(4)는 상기 인서트(5)와 상기 부착물(4) 사이의 베이오넷 잠금에 의해 상기 폴(1)의 부착물(3)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완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폴(1)의 부착물(3) 상에 단지 하나의 회전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완충기(4)는 상기 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물(3)에 대한 상기 완충기(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기(4)는 상기 부착물(3)과 인서트(5)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완충기(4)는 상기 부착물(3)과 완충기(4)의 고무 탄성 영역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뒤틀림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완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리세스(6)는 폴 팁부(30)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이며, 상기 인서트(5)가 고정되는 상기 중앙 리세스(6)의 상측 부분(6a)은 상기 완충기(4)의 롤링 표면(43)에 면하는 리세스의 하측 영역(6b)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중앙 리세스의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상측 부분(6a)과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하측 부분(6b) 사이에 상기 완충기(4)의 경계 표면 상에 하측 맞댐부를 가지는, 완충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5)는 상기 완충기(4)의 중앙 리세스 내의 회전 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5)의 2개의 서로 반경방향 반대 측인 리세스(7, 8)는, 운동 방향에 대하여 틀어져,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90도 틀어져, 상기 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반대 측에 놓이게 되는, 완충기.
KR1020187034891A 2016-07-08 2017-06-19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KR102018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782016 2016-07-08
CH00878/16 2016-07-08
PCT/EP2017/064870 WO2018007135A1 (de) 2016-07-08 2017-06-19 Nordic walking stock mit puf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802A true KR20190013802A (ko) 2019-02-11
KR102018214B1 KR102018214B1 (ko) 2019-09-04

Family

ID=5695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891A KR102018214B1 (ko) 2016-07-08 2017-06-19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9000B2 (ko)
EP (1) EP3405065B1 (ko)
JP (1) JP6848042B2 (ko)
KR (1) KR102018214B1 (ko)
CN (1) CN109414096B (ko)
RU (1) RU2697038C1 (ko)
WO (1) WO2018007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4931A1 (de) 2022-01-13 2023-07-20 Lekisport Ag Puffer und stock mit derartigem puffer
USD1002176S1 (en) 2022-01-19 2023-10-24 John Harrison Tip for a walking can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11A (en) * 1889-11-19 Crutch
US3901258A (en) * 1972-05-01 1975-08-26 Brandl Ben Adapter attachment for crutches, canes and walkers
US6216713B1 (en) * 2000-01-07 2001-04-17 Sean A. Kennan Support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tips
WO2006047803A1 (de) * 2004-11-08 2006-05-11 Komperdell Sportartikel Gesellschaft M.B.H. Stockspitze
WO2008037098A1 (de) * 2006-09-25 2008-04-03 Lekisport Ag Nordic walking stock mit gummipuffer
WO2011128231A1 (de) * 2010-04-14 2011-10-20 Lekisport Ag Nordic walking stock mit puffer
JP2014147613A (ja) * 2013-02-04 2014-08-21 Hatachi Kogyo Kk 歩行補助用ポールのキャップ
JP2016036623A (ja) * 2014-08-08 2016-03-22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杖先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5A (en) * 1865-04-18 Improvement in crutches
GB371766A (en) 1931-10-28 1932-04-28 Janet Bovell Improvements relating to walking sticks and the like
DE694731C (de) 1939-02-19 1940-08-07 Otto Friedrich Heinrich Stockzwinge mit zwei auswechselbar vereinigten Gleitschutzvorrichtungen
FR1002013A (fr) 1946-07-12 1952-03-03 Dispositif pour empêcher le glissement ou le dérapage des cannes de promenade, cannes de malades, béquilles et similaires
JPS5231031Y2 (ko) * 1973-12-12 1977-07-15
US4669752A (en) * 1986-04-09 1987-06-02 Randy D. Jackson Cross country ski pole with interchangeable baskets
DE9104950U1 (de) * 1990-05-07 1991-07-18 Hemmerling, Josef, 6640 Merzig Zur Gehhilfe dienender Stock
CN2170666Y (zh) * 1993-09-21 1994-07-06 陈玉堂 拐杖底座
JPH0965915A (ja) * 1995-08-31 1997-03-11 Daimee Gomme:Kk 傘の石突き
DE29807586U1 (de) 1997-04-25 1998-08-20 Zengerer, Johannes, Wildon Stock, insbesondere Rehabilitations-, Krück-, Spazier-, Geh-, Wander-, Berg- oder Jagdstock und Stockspitzen-Ensemble für denselben
IT238564Y1 (it) * 1997-10-03 2000-11-13 Masters S R L Bastoncino perfezionato per sci e trekking
JP2002034623A (ja) * 2000-07-24 2002-02-05 Hisatoshi Otani 歩行用ステッキ
KR100441862B1 (ko) * 2001-11-07 2004-07-27 허무회 지팡이
JP2003164309A (ja) * 2001-11-30 2003-06-10 Hyogo Prefectural Social Walfare Corp 杖用石突
JP3695418B2 (ja) * 2002-04-30 2005-09-14 紀生 小泉 寒冷地用杖
DE10340135B4 (de) 2003-09-01 2005-11-10 Klaus Blessing Stock
ATE508655T1 (de) 2005-06-03 2011-05-15 Lekisport Ag Puffer für trekking- oder nordic-walking stock
FR2887125A1 (fr) * 2005-06-21 2006-12-22 Tsl Sport Equipment Sa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patin d'appui au sol sur un baton de marche
DE202007013027U1 (de) 2007-09-17 2007-11-22 Neubauer, Norbert Mehrzweckstab oder Mehrzweckstock
DE102010022042A1 (de) 2010-05-26 2011-12-01 Heinz Giljohann Nordic-Walkingstock mit Gummipuffer + Metallspitze
JP4612115B1 (ja) * 2010-06-11 2011-01-12 株式会社丸冨士 杖用ゴムチップ及びそれが取り付けられた杖
KR101237382B1 (ko) * 2010-09-27 2013-02-26 주식회사 지앤드에이엠티 등산용 지팡이 완충장치
JP6071210B2 (ja) * 2011-08-01 2017-02-01 伸也 佐藤 杖先及び杖
JP2013188276A (ja) * 2012-03-13 2013-09-26 Kosuge:Kk 杖と杖用石突き
TWM473731U (zh) * 2013-10-25 2014-03-11 Hl Corp Shenzhen Co Ltd 萬向拐扙結構
CN203934764U (zh) * 2014-07-22 2014-11-12 平湖伟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防滑拐杖
US10045905B1 (en) * 2017-06-22 2018-08-14 Steve Ayre Aesthetic glider for walker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11A (en) * 1889-11-19 Crutch
US3901258A (en) * 1972-05-01 1975-08-26 Brandl Ben Adapter attachment for crutches, canes and walkers
US6216713B1 (en) * 2000-01-07 2001-04-17 Sean A. Kennan Support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tips
WO2006047803A1 (de) * 2004-11-08 2006-05-11 Komperdell Sportartikel Gesellschaft M.B.H. Stockspitze
WO2008037098A1 (de) * 2006-09-25 2008-04-03 Lekisport Ag Nordic walking stock mit gummipuffer
WO2011128231A1 (de) * 2010-04-14 2011-10-20 Lekisport Ag Nordic walking stock mit puffer
JP2014147613A (ja) * 2013-02-04 2014-08-21 Hatachi Kogyo Kk 歩行補助用ポールのキャップ
JP2016036623A (ja) * 2014-08-08 2016-03-22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杖先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9000B2 (en) 2020-10-13
JP2019523044A (ja) 2019-08-22
CN109414096A (zh) 2019-03-01
RU2697038C1 (ru) 2019-08-08
EP3405065A1 (de) 2018-11-28
WO2018007135A1 (de) 2018-01-11
CN109414096B (zh) 2020-07-10
EP3405065B1 (de) 2020-08-19
JP6848042B2 (ja) 2021-03-24
KR102018214B1 (ko) 2019-09-04
US20190125045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580B2 (en) Nordic walking pole with buffer
AU671264B2 (en) Tooth brush
US8166989B2 (en) Nordic walking pole with rubber buffer
KR101945337B1 (ko) 특히 노르딕 워킹을 위한 접힘식 폴
KR20190013802A (ko)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DE102006060132A1 (de) Zahnbürste sowie Aufsatzteil hierfür
JP2007531590A5 (ko)
US6644328B1 (en) Stick similar to a ski stick or walking stick
RU2712379C2 (ru) Сменная упорная система спортивной палки
KR20200135536A (ko) 폴 손잡이 및 폴 손잡이를 포함하는 폴
KR20190126084A (ko) 폴 핸들
WO2008064386A1 (de) Schreibgerät mit elastischen lamellen als verdrehsicherung
KR200198351Y1 (ko) 신축 가변형 빗자루
WO2023134931A1 (de) Puffer und stock mit derartigem puffer
KR200268087Y1 (ko) 모자부착 선글래스의 고정클립
DE4409817C1 (de) Zahnbürste
KR200282045Y1 (ko) 낚싯대용 릴 시트
RU2274980C2 (ru) Инструмент со сменной насадкой
FI119725B (fi) Kävelysauvan tassu
CA2354676A1 (en) Improved crutch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