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33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336A
KR20190011336A KR1020197002444A KR20197002444A KR20190011336A KR 20190011336 A KR20190011336 A KR 20190011336A KR 1020197002444 A KR1020197002444 A KR 1020197002444A KR 20197002444 A KR20197002444 A KR 20197002444A KR 20190011336 A KR20190011336 A KR 2019001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ver
hinge
connection line
commun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121B1 (ko
Inventor
히데오 우에야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수단이나 배선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1)는 저장실을 갖는 하우징체(2)와, 이 하우징체에 힌지부(16)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에 의해 저장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7A, 7B)과, 힌지부(16) 주변에서 인출된 접속선(18)과, 무선통신부(35)를 갖고 상기 접속선(18)에 접속된 무선통신수단(2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실시형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서 예를 들어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수단(무선어댑터)를, 하우징체의 천장부의 상면에서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무선통신수단에 접속되는 접속선의 배선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개시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64320호)
실시형태는 무선통신수단이나 배선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에 의해 저장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과, 힌지부 주변에서 인출된 접속선과,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선에 접속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평면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의 통신수단용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a 중 X6-X6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접속선의 커넥터와 커넥터 커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 중 X8-X8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IT 어댑터에 관계한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6 상당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12는 도 11(a) 중 X12-X12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6 상당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냉장고의 좌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냉장고의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5 상당도이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7 상당도이다.
도 19는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IT 어댑터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인출부용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IT 어댑터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 부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통신수단용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냉장고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하우징체(2)는 전방면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강판제의 외부상자(3)와 합성수지제의 내부상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재(4)(도 6 참조)를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체(2)는 내부에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있다. 저장실로서는 최상부에 냉장실(5)이 설치되고, 그 아래에 야채실(6)이 설치되며, 그 야채실(6) 아래에, 도시하지 않지만 제빙실 및 냉동실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5)의 전방면 개구부는 이 경우 좌우 여닫이식의 2매의 문(7A,7B)에 의해 개폐된다. 2매의 문(7A, 7B) 중,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문(7A)은 이들의 좌측단부가 힌지 유닛(8)에 의해 하우징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우측의 문(7B)은 이들 우측단부가 힌지 유닛(9)에 의해 하우징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의 문(7A)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L1)는 우측의 문(7B)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L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L1<L2). 좌측의 문(7A)의 자유단부측인 우단부의 후방면측에는, 세로 칸막이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세로 칸막이 부재(10)는 문(7A)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문(7A)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세로 칸막이 부재(10)의 일부가 우측으로 뻗어, 우측의 문(7B)의 좌단부를 받게 되고, 또한 좌측의 문(7A)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세로 칸막이 부재(10)는 뒤쪽으로 회전한다. 또한, 좌측의 문(7A)의 전방면측에는 터치패널식의 조작패널(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패널(11)에는 정전 스위치(12)나 표시용 LED(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6)의 전방면 개구부는 인출식 문(14)에 의해 개폐된다. 문(14)의 이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냉장실(5)에서의 좌우의 문(7A) 및 문(7B) 중, 우측의 문(7B)에서의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9) 부근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힌지 유닛(9)에서의 힌지부(16)(도 3, 도 6 참조)는 금속, 예를 들어 강판제의 것으로, 후부가 하우징체(2)의 천장부에서의 상면의 우측 전방부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고, 전방부의 힌지축(17)이 문(7B)의 우측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17)은 하방향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체(2)의 천장부에서 힌지부(16)의 후방에는 접속선 인출용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선 인출용 부재(1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에서,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우징체(2)에서의 외부상자(3)의 천장부에 형성된 개구부(19)(도 6 참조)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짐으로써, 하부가 단열재(4) 내에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용 부재(18)에는 인출구(20)와, 수용 오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구(20)와 수용 오목부(21)는 접속선 인출부(22)를 구성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21)의 내면에는 금속부재, 이 경우 알루미늄박(15)(도 6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알루미늄박(15)은 단열재(4)의 보호용 및 결로 방지용이다. 접속선 인출용 부재(18)의 주위벽(18a)의 상단부는, 하우징체(2)(외부상자(3))의 상면보다 예를 들어 2㎜ 이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위벽(18a)은 접속선 인출부(22)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물 침입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힌지 유닛(9)의 근방의 하우징체(2)의 벽 중에는, 복수개의 접속선(23)이 배선되어 있다. 이 접속선(23)은 일단부가 하우징체(2)의 배면부에 설치된 제어장치(24)(도 1a 참조)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인출구(20)를 통하여 접속선 인출부(22)에 인출되어 있다. 제어장치(24)는 냉장고(1)의 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장치이고,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 인출된 접속선(23) 중, 일부의 접속선(23A)은 힌지부(16)측에 배선되고, 상기 힌지축(17)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접속선(23A)으로서는 예를 들어 습도 센서(13)(도 1b 참조) 등의 접속용이다. 습도 센서(13)는 예를 들어 야채실(6)의 습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된다. 접속선 인출부(22)에 인출된 접속선(23) 중, 나머지 접속선(23B)은 후술하는 무선통신수단으로서의 IT 어댑터(25)와의 접속용이고, 선단부에 커넥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26)에는 도 7에 도시한 커넥터 커버(2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IT 어댑터(25)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넥터(26)에 커넥터 커버(27)를 장착한 상태에서, 접속선(23B) 및 커넥터(26)를 수용 오목부(21) 내에 수용해 둔다.
IT 어댑터(25) 접속용 접속선(23B)의 주위에는, 상기 접속선(23B)에 실리는 노이즈를 시일하기 위한 금속선(28)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금속선(28)에 어스선(28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 어스선(28a)의 타단부가, 금속제의 상기 힌지부(16)에 나사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힌지부(16)의 상면에는 힌지 커버(30)가 나사 고정된다. 이 힌지 커버(3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6)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힌지 커버부(31)와, 상기 접속선 인출용 부재(18)를 둘러싸는 위요부(울타리부, 포위부?)(32)와, 얕은 바닥 용기 형상의 수납부(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33)는 위요부(3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 커버부(31)는 힌지부(16)측에 배선되는 접속선(23A)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위요부(32)의 높이는 접속선 인출용 부재(18)의 주위벽(18a)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이 위요부(32)도 접속선 인출부(22)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물 침입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위요부(32)는 접속선 인출부(2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납부(33)에는 무선통신수단을 구성하는 IT 어댑터(25)가 수납되어 있다. 수납부(33)는 IT 어댑터(25)를 부착하는 부착부로서도 기능한다. 수납부(33)에 수납된 IT 어댑터(25)는 전방면부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커넥터(34)를 갖고, 내부에 무선통신부(35)(도 6 참조)를 갖고 있다. 무선통신부(35)는 프린트 배선기판으로 이루어진 배선기판(35a)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기판(35a)의 상면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안테나로서 가늘고 긴 F자 형상의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기판(35a) 및 안테나는 IT 어댑터(25)의 하면, 더 나아가서는 하우징체(2)의 상면과 평행으로 위치하고 있다.
IT 어댑터(25)의 상면부에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군데의 모퉁이부에는 주위보다 낮아지는 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33)측에는 이들 단부(36)에 대응하는 부위의 위치에,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맞춤조(손톱)(3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있어 정규의 위치에 수납한 상태에서, 이들 맞춤조(37)가 대응하는 단부(36)에 걸어 맞춤으로써, IT 어댑터(25)가 수납부(33)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의 정규의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무선통신부(35)가 상 방향이 되고, 또한 커넥터(34)가 전방을 향하고 있으며, 이 커넥터(34)에 상기 접속선(23B)의 커넥터(26)가 전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경우,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의 정규의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무선통신부(35)의 안테나와 하우징체(2)의 상면 사이의 거리(H1)(도 6 참조)는 예를 들어 10㎜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부착할 때, 예를 들어 상하 역방향으로 하여 수납부(33)에 부착하고자 한 경우, 단부(36)와 걸어맞춤조(37)를 걸어맞출 수 없으므로,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부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단부(36)와 걸어맞춤조(37)는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부착할 때, 상기 무선통신부(35)를 상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부착규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수납부(33)의 주위의 측벽(33a)은, 수납부(33)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침입 방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커버(30)에서 힌지 커버부(31)와 위요부(32) 사이에는 접속부(3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39)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 형상을 이루고 있고, 좌우 방향의 중앙부(39a)가 높고, 이 중앙부(39a)로부터 좌우 양단부를 향하여 하강 경사지는 경사부(39b, 39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9b)의 수평면으로부터의 경사각도 α는 5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접속부(39)에 대해서 위로부터 물이 튀었다고 해도, 그 물은 경사부(39b)를 따라서 단부측으로 빠르게 흐를 수 있어, 접속부(39)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산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39)도, 접속선 인출부(22)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물 침입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커버부(31)의 후방면부에는 접속부(39)의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걸어맞춤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커버(30)의 상면에서 힌지 커버부(31)의 후방에 위치시켜 통신수단용 커버(4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통신 수단용 커버(41)는 합성수지제로, 위요부(32) 및 접속선 인출부(22)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인출부용 커버부(42)와, IT 어댑터(25)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어댑터 커버부(43)를 일체로 갖고 있다. 어댑터 커버부(43)는 IT 어댑터(25)에 대응하는 부분이 1단 높아져 있다. 어댑터 커버부(43)의 상면에는 문자 A, 이 경우 「무선」이라고 문자로 표시된 표시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44)는 내부에 IT 어댑터(25)(무선통신수단)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러스트 등으로 해도 좋다. 문자나 일러스트의 표시는 어댑터 커버부(43)에의 인쇄이어도 좋고, 희망에 따라 전기적으로 표시해도 좋다.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조(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조(45)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걸어맞춤구멍(40)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빠짐방지 상태로 걸어 맞춘다. 통신수단용 커버(41)에서의 인출부용 커버부(42)의 좌우 양측벽의 내면에는 내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요부(32)의 좌우 양측벽의 외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7)(도 3, 도 4에 한쪽에만 나타냄)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46)와 볼록부(47)는 대응하는 위치에서, 또한 상하로 약간씩 어긋나 설치되어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41)에서의 어댑터 커버부(43)의 후벽부(33)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8)가 예를 들어 2개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33)의 후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면측이 개구한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커버(30)의 상면에 장착할 때에는 통신수단용 커버(41)를, 위요부(32) 및 수납부(33)의 상면의 약간 뒤에 위치시킨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통신수단용 커버(41)의 볼록부(46)를 위요부(32)의 볼록부(47)의 하방에 들어가게 하고, 또한 통신수단용 커버(41)의 볼록부(48)를 수납부(33)의 후방부의 오목부(49)에 후방으로부터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전방부에서의 좌우 양측의 걸어맞춤조(45)를, 힌지커버부(31)의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 맞춘다. 이에 의해, 힌지커버(30)에 대해서 통신수단용 커버(41)는 상방으로 들뜨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힌지커버(30)에 부착된다.
이 경우, 힌지커버(30)측의 걸어맞춤구멍(40), 볼록부(47), 오목부(49)와, 통신수단용 커버(41)측의 걸어맞춤조(45), 볼록부(46), 볼록부(48)는, 힌지커버(30)에 대해서 통신수단용 커버(41)의 들뜸을 방지하는 들뜸 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커버(30)의 상면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전방부가, 상기 접속부(39)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위치하고 있다(도 6 참조).
힌지부(16)를 덮는 힌지커버부(31), 접속선 인출부(22), 및 수납부(33)에 수납된 IT 어댑터(25)를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41)는 전방부의 힌지부(16)측으로부터 후방부의 IT 어댑터(25)측을 향하여 폭방향(횡방향)으로 서서히 확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수납부(33)에 수납된 IT 어댑터(25)의 무선통신부(35)는 하우징체(2)의 상면(외부상자(3)의 상면)보다 높고, 또한 힌지부(16)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서의 수용 오목부(21)의 내면에 설치된 알루미늄박(15)은 IT 어댑터(25)의 무선통신부(35)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좌우 양측의 외측면의 전방부에는 걸어맞춤조(45)의 근방의 위치에 착탈 조작용 미끄럼 방지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 방지부(51)는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비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비드부의 하단부는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좌우 양측벽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 커버(30)의 상면에 부착할 때에는, 작업자는 손가락을 그 좌우의 미끄럼 방지부(51)에 꼭 대면서 통신수단용 커버(41)를 쥐고, 이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 커버(30)에 대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우의 걸어맞춤조(45)를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또한,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 커버(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손가락을 좌우의 미끄럼 방지부(51)에 꼭 댄 상태에서, 그 미끄럼 방지부(51)를 내측방향으로 억압하여 걸어맞춤조(45)를 내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걸어맞춤조(45)와 걸어맞춤구멍(40)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51)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힌지 커버(30)에 대해서 착탈 조작할 때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냉장실(5)의 좌측의 문(7A)을 지지하는 좌측 상부의 힌지 유닛(8)에는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힌지부(16)와 동일한 힌지부(16)와, 접속선 인출부(22)와, 힌지 커버(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힌지 커버(52)는 힌지부(16)를 덮는 힌지 커버부(53)와, 접속선 인출부(22)를 덮는 인출부용 커버부(54)를 일체로 갖고 있다. 상기 힌지 유닛(8)측에는 IT 어댑터(25)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어장치(24)로부터 힌지 유닛(8)측에 도출된 접속선(23)은 하우징체(2)의 벽내를 통과되어 접속선 인출부(22)에서 인출되고, 힌지축(17)으로부터 문(7A)측에 배선되어 있다. 그 접속선(23)으로서는 이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1)용 접속선(23C)과, 히터 접속선(23D)이 포함되어 있다. 조작 패널(11)용 접속선(23C)에는 정전 스위치(12)나 LED 제어용이 포함된다. 또한, 히터 접속선(23D)은 세로 칸막이 부재(10)에 설치된 결로 방지용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 접속선(23D)은 100V용이고, 다른 접속선보다 굵게 되어 있다.
도 9에는 IT 어댑터(25)에 관계된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1)에 설치된 IT 어댑터(25)는 접속선(23B)에 의해 냉장고(1)의 제어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1)의 조작패널(11)은 접속선(23C)에 의해 제어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IT 어댑터(25)는 무선통신부(35)를 통하여 외부기기, 이 경우, 가정내에 설치된 라우터(56)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라우터(56)는 인터넷(57)을 통하여 정보서버(58)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서버(58)에는 인터넷(57)을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59)로부터 액세스 가능해져 있다. 무선통신부(35)에 의한 무선통신의 전파의 파장(λ)은, 이 경우 120㎜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부터 냉장고에서는 문의 힌지부의 근방에, 냉장고의 제어장치에 접속되는 접속선이 인출되고, 이로부터 힌지축을 통하여 문측에 배선이 실시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통신수단을 구성하는 IT 어댑터(25)를, 냉장고(1)에서의 문(7B)의 힌지부(16)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IT 어댑터(25)에 접속되는 접속선(23B)과, 힌지축(17)을 통하여 문측에 배선되는 다른 접속선(23A)은, 접속선 인출부(22)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IT 어댑터(25) 및 접속선(23B)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IT 어댑터(25)에 접속되는 접속선(23B)을, 문(7B)측에 배선되는 다른 접속선(23A)과 동일하게, 하우징체(2)의 벽(단열재)(4) 내를 통과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접속선(23B)을 하우징체(2)의 상면상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T 어댑터(25)를, 문(7B)의 힌지부(16)의 근방에 설치했으므로, 문(7B)의 폐쇄시의 충격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가령, IT 어댑터(25)를, 문(7B)에서 힌지부(16)와는 반대측의 자유단부측(하우징체(2)의 상면이고,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한 경우, IT 어댑터(25)는 문(7A) 및 문(7B)의 폐쇄시의 충격을 받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착탈식의 IT 어댑터(25)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커넥터(26, 34)가 분리될 우려가 적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5)의 문은 좌우 여닫이식의 2매의 문(7A, 7B)에서, 이 중 우측의 문(7B)의 힌지부(16)의 근방에 IT 어댑터(25)를 설치한 경우에서 설명했지만, 문이 1매인 경우에도 IT 어댑터(25)를 힌지부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힌지부(16)를 덮는 힌지 커버(30)에, IT 어댑터(25)를 부착하는 수납부(3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IT 어댑터(25)를 힌지부(16)의 근방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커버(30)의 위요부(32)에 접속선(23A, 23B)을 인출하고 있고, 그 중 접속선(23B)과 IT 어댑터(25)를, 이들 커넥터(26)와 커넥터(34)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속선(23B)과 IT 어댑터(25)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IT 어댑터(25)는 하우징체(2)의 상면에 직접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힌지부(16)를 덮는 힌지 커버(30)와, 이 힌지 커버(30)에 설치되고 IT 어댑터(25)를 수납하는 수납부(33)와, 상기 수납부(33)에 수납한 IT 어댑터(25)를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41)를 구비함으로써, 힌지부(16) 및 IT 어댑터(25)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이것들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41)는 접속선(23)을 인출하는 접속선 인출부(22)도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접속선(23)이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커버(30)에 수납부(33)를 설치하지 않고, IT 어댑터(25)를, 하우징체(2)의 상면에 양면 접착 테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힌지 커버에 의해 접속선 인출부(22) 및 IT 어댑터(25)도 함께 덮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IT 어댑터(25)는 힌지부(16)의 후방에 위치시켰다. 이에 의해, IT 어댑터(25)가 있는 것이, 전방으로부터는 보기 어렵고,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IT 어댑터(25)를, 하우징체(2)의 상면에서 힌지부(16)의 좌측 옆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IT 어댑터(25)가 힌지 커버(30)로 감추기 어려워지고, 두드러지기 쉬워진다.
접속선 인출부(22)는 힌지부(16)와 IT 어댑터(25)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접속선 인출부(22)는 하우징체(2)의 상면에 개구부(19)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되므로, 힌지부(16)의 후방에서, 하우징체(2)의 상면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유닛(9)측의 접속선(23)에는 IT 어댑터(25)에 접속되는 접속선(23B)과 문(7B)측에 도출되는 접속선(23A)이 있고, 이들 접속선(23A, 23B)은 힌지부(16)와 IT 어댑터(25) 사이의 접속선 인출부(22)에서 IT 어댑터(25)측과 힌지부(16)측으로 앞뒤로 나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접속선 인출부(22)에 인출된 접속선(23A, 23B)을 앞뒤에 양호하게 배선할 수 있다.
IT 어댑터(25)가 갖는 무선통신부(35)는 하우징체(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무선통신부(35)에 의한 무선통신이 하우징체(2)에 의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선 인출부(22)의 수용 오목부(21)에는 금속부재인 알루미늄박(15)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 알루미늄박(15)은 상기 무선통신부(35)보다 하측이고, 또한 무선통신부(35)를 덮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무선통신부(35)에 의한 무선통신이 금속제의 알루미늄박(15)에 의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T 어댑터(25)에서의 무선통신부(35)는 힌지부(16)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역시 무선통신부(35)에 의한 무선통신이, 금속제의 힌지부(16)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T 어댑터(25)를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어댑터 커버부(43)는 힌지부(16)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IT 어댑터(25)의 무선통신부(35)를, 힌지부(16)보다 높은 위치로 하는 것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T어댑터(25)를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어댑터 커버부(43)의 상면에는 IT어댑터(25)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4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 표시부(44)를 봄으로써, 작업자도, 또한 사용자도 알기 쉽다.
IT 어댑터(25)가 갖는 커넥터(34)는 하우징체(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령 하우징체(2)의 상면에 물이 흐르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그 물이 커넥터(3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부착하는 경우에, IT 어댑터(25)가 갖는 무선통신부(35)를 상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부착 규제 수단으로서, 단부(36)와 걸어맞춤조(3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IT 어댑터(25)는 무선통신부(35)를 확실하게 상방향으로 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통신부(35)가 하방향으로 한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무선통신부(35)에 의한 통신을 양호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T 어댑터(25) 접속용 접속선(23B)의 커넥터(26)에는 착탈 가능한 커넥터 커버(27)가 구비되어 있다. 냉장고(1)에 IT 어댑터(25)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선(23B)의 커넥터(26)는 수용 오목부(21) 내에 수용해 두게 되지만, 이 경우 커넥터(26)에 커넥터 커버(27)를 장착해 둠으로써, 커넥터(26)의 단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26)의 단자가 금속제의 알루미늄박(15)이나 힌지부(16)에 접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T 어댑터(25) 접속용 접속선(23B)에 노이즈 방지용 금속선(28)을 설치하고, 또한 이 금속선(28)에 접속된 어스선(28a)을, 금속제의 힌지부(16)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접속선(23B)에 노이즈가 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IT 어댑터(25)를 힌지부(16)의 근방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선은 접속선(23B)의 피복선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 커넥터(26)에 어스선(28a)을 접속하면 좋다.
접속선 인출부(22)에 대한 물 침입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의 물 침입 방지 수단으로서는 접속선 인출용 부재(18)에서 접속선 인출부(22)를 둘러싸는 주위벽(18a)과, 이 주위벽(18a)을 둘러싸는 위요부(32)와, 산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39)가 있다. 이에 의해, 접속선 인출부(22)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IT 어댑터(25)를 수납하는 수납부(33)는 용기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주위의 측벽(33a)이 IT 어댑터(25)에 대한 물 침입방지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냉장실(5)의 문은 좌우 여닫이식의 2매의 문(7A), 문(7B)이고, 이들 2매의 문(7A), 문(7B) 중, 좌측의 문(7A)의 힌지유닛(8)에는 히터 접속선(23D)이 통과되고 있고, IT 어댑터(25)는 히터 접속선(23D)이 통과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문(7B)의 힌지 유닛(9)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IT 어댑터(25)가 히터 접속선(23D)으로부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장실(5)의 2매의 문(7A), 문(7B) 중, 좌측의 문(7A)에는 정전 스위치(12)를 구비한 조작패널(11)이 설치되고, IT 어댑터(25)는 정전 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문(7B)의 힌지 유닛(9)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IT 어댑터(25)에 의한 통신이 정전 스위치(12)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극히 방지할 수 있다.
힌지 커버(30)와 통신수단용 커버(41) 사이에는, 힌지 커버(30)에 대해서 통신수단용 커버(41)의 들뜸을 방지하는 들뜸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들뜸방지수단으로서는 힌지 커버(30)측의 걸어맞춤구멍(40), 볼록부(47), 오목부(49)와, 통신수단용 커버(41)측의 걸어맞춤조(45), 볼록부(46), 볼록부(48)이다. 통신수단용 커버(41)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이고, 장착시에 들뜸이 발생하기 쉽지만,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전후의 3군데에 들뜸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통신수단용 커버(41)가 들뜨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41)는 그 외측면에 착탈조작용 미끄럼 방지부(51)를 갖고 있고, 그 미끄럼 방지부(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비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외측면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들에 따르면, 통신수단용 커버(41)를 틀 성형으로 성형할 때, 상부틀과 하부틀의 맞춤면을, 미끄럼 방지부(51)의 하단부, 즉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좌우측벽의 하단부에 설정함으로써, 통신수단용 커버(41)의 좌우측벽의 외부면의 중간부에 틀의 맞춤면이 되는, 소위 퍼팅 라인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힌지부(16)를 덮는 힌지 커버(30)와, 접속선 인출부(22) 및 IT 어댑터(25)를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41)를 구비하고, 이들 두 커버는 힌지부(16)측으로부터 IT 어댑터(25)측을 향하여, 폭방향으로 서서히 확대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힌지 커버(30) 및 통신수단용 커버(41)에, 극단적인 단부(段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로서는 힌지부(16)로부터 IT 어댑터(25)까지를 일괄하여 덮는 하나의 커버로 해도 좋다. 또한, 커버에서 힌지부(16)측으로부터 IT 어댑터(25)측을 향하여 확대하는 방향은, 폭방향(횡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높이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IT 어댑터(25)는 이들 무선통신부(35)(안테나)와 하우징체(2)의 상면이 되는 금속제의 외부상자(3)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H1)가 10㎜가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무선통신부(35)와 금속(외부상자(3)) 사이의 거리가, 무선통신부(35)가 취급하는 무선전파(2.5㎓대)의 파장λ(약 120㎜)의 1/2의 배수의 거리, 즉 60㎜, 120㎜, 180㎜ 등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전파의 입사파와 반사파가 상쇄되어, 전파가 도달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통신부(35)와 하우징체(2)의 상면 사이의 거리(H1)를 10㎜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수치에는 해당하지 않고, 무선전파가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거리(H1)를, 파장λ의 1/2미만이 되는 10㎜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IT 어댑터(25)가 상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상에서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H1)를, 파장 λ의 1/4이 되는 30㎜로 설정하면, 전파의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이 모여 전파가 배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통신성능이 한층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무선전파를 이용한 경우에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2.4㎓(파장: 125㎜)대, 5㎓(파장: 60㎜)대 등도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IT 어댑터(25)를 수납부(33)에 부착하는 구조에서, IT 어댑터(25)가 갖는 무선통신부(35)를 상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부착규제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걸어맞춤조(37)가 없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IT 어댑터(25)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무선통신부(35)가 하방향이 되는 상태에서 수납부(33)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가령, 이와 같이 IT 어댑터(25)가 상하 역방향으로 부착되었다고 해도, 전방면부의 커넥터(34)는 하우징체(2)의 상방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체(2)의 상방면에 물이 흐르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그 물이 커넥터(3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수납부(33)가 없고 IT 어댑터(25)를 하우징체(2)의 상방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무선통신수단을 구성하는 IT 어댑터(25)를,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9)측에는 설치하고 있지 않고, 대신 좌측 상부의 힌지 유닛(8) 부근에 설치하고 있다. 좌측 상부의 힌지 유닛(8)은 좌우 2매의 문(7A) 및 문(7B) 중, 폭 치수가 작은 쪽의 좌측의 문(7A)을 지지한다. 힌지 커버(30)에는 제1 실시형태의 힌지 커버(30)와 동일하게, 힌지 커버부(31)와, 접속선 인출부(22)를 둘러싸는 위요부(32)와, IT 어댑터(25)를 수납하는 수납부(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는 일단부가 제어장치(24)에 접속된 접속선(23)이 인출되어 있다. 접속선(23)에는 이 경우, IT어댑터(25) 접속용의 접속선(23B), 조작패널(11)용 접속선(23C), 히터 접속선(23D)이 포함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서 IT 어댑터(25) 접속용 접속선(23B)은 IT어댑터(25)측을 향하고, 선단부의 커넥터(26)가 IT 어댑터(25)의 커넥터(34)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접속선(23)(조작패널(11)용 접속선(23C), 히터접속선(23D))은 힌지부(16)측으로 향하여 힌지축(17)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수용 오목부(21)에서, 상기 수용 오목부(21)의 내면에 설치된 알루미늄박(15)은 히터 접속선(23D)과 단열재(4)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우측의 힌지 유닛(9)의 힌지부(16) 및 접속선 인출부(22)는, 제1 실시형태의 좌측의 힌지 유닛(8)과 동일하게 힌지 커버(52)에 의해 덮인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히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IT 어댑터(25)는 좌우 여닫이식의 2매의 문(7A, 7B) 중 폭 치수가 작은 좌측의 문(7A)의 힌지 유닛(8)의 근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폭 치수가 작은 좌측의 문(7A)은, 우측의 문(7B)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문(7A)의 폐쇄시에 IT어댑터(25)가 받는 충격을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서 여기에 인출된 접속선(23)에는 100V 통전용 히터 접속선(23D)이 포함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21)의 내면에는 발포 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재(4)의 연소(延燒)방지를 위한 알루미늄박(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알루미늄박(15)은 하우징체(2)의 상면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금속제의 알루미늄박(15)이 무선통신부(35)의 무선통신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4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접속선 인출용 부재(18)의 후방부에, 용기형상의 수납부(61)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고, 이 수납부(61)도, 외부상자(3)의 개구부(19)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고 있다. 따라서, 수납부(61)의 저면은 외부상자(3)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수납부(61)에 IT어댑터(25)를 수납 배치하고, 상기 IT 어댑터(25)의 커넥터(34)와 접속선(23B)의 커넥터(26)를 접속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는 IT어댑터(25)를, 좌측 문(7A)의 힌지부(16)의 근방에 설치한 예가 간략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체(2)의 상면에서 접속선(23)을 인출하는 접속선 인출부(62)는 힌지부(16)의 후방에서 또한 전방에서 보아 힌지부(16)보다 내측(이 경우, 우측)에 위치하도록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IT어댑터(25)는 접속선 인출부(62)의 후방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IT 어댑터(25)는 힌지부(16)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히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부(62)에 인출된 접속선(23) 중, 문(7A)측의 접속선(23)은 힌지부(16)측에 도출되어 힌지축(17)에 삽입되고, IT어댑터(25)용 접속선(23B)은 IT어댑터(25)측으로 향하고, 커넥터(26, 34)를 통하여 IT어댑터(2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22), 및 IT어댑터(25)는, 이들을 일괄하여 덮는 커버(63)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커버(63)로서는 둘로 나누어도 좋다.
(제6 실시형태)
제6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IT어댑터(25)를, 우측 문(7B)의 힌지부(16)의 근방에 설치한 예가 간략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체(2)의 상면에서 접속선 인출부(62)는 힌지부(16)의 좌측 옆에 설치되어 있다. IT어댑터(25)는 접속선 인출부(62)의 좌측 옆의 위치에, 문(7B)에 병행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34)는 우측으로 향하고 있다. 접속선 인출부(62)에 인출된 접속선(23) 중, 문(7A)측의 접속선(23)은 힌지부(16)측에 도출되어 힌지축(17)에 삽입되고, IT 어댑터(25)용 접속선(23B)은 IT 어댑터(25)측을 향하고, 커넥터(26, 34)를 통하여 IT어댑터(2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및 IT 어댑터(25)는 이들을 일괄하여 덮는 커버(6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64)는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22), 및 IT 어댑터(25)의 배치에 따르도록, 위에서 보아 L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체(2)의 천장부의 후방부에는 냉동 사이클의 컴프레서(6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선 인출부(62) 및 IT 어댑터(25)는 하우징체(2)의 천장부의 오목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접속선 인출부(62) 및 IT어댑터(25)를 일체의 오목부 내에 배치해도 좋다.
(제7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7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6 실시형태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하우징체(2)의 상면에서 IT 어댑터(25)를, 힌지부(16) 및 접속선 인출부(62)의 후방의 위치에, 전방에서 보아 이들 힌지부(16) 및 접속선 인출부(62)에 겹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IT어댑터(25)는 커넥터(34)를 좌측을 향한 가로 방향으로, 문(7B)에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및 IT어댑터(25)는 이들을 일괄하여 덮는 커버(66)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커버(66)는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및 IT 어댑터(25)의 배치를 따르도록 위에서 보아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8 실시형태)
제8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8 실시형태는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체(2)의 상면에서, 우측의 문(7B)의 힌지부(16)의 후방에, 접속선 인출부(62)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부착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부재(6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이고, 접속선 인출부(62)와 수납부(69)를 갖고 있다. 수납부(69)는 접속선 인출부(62)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수납부(69)에 배선기판(70)과 IT어댑터(25)가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 IT어댑터(25)는 배선기판(70)의 후방의 위치에, 커넥터(34)를 전방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힌지부(16)와, 접속선 인출부(62)와, 배선기판(70)과, IT어댑터(25)가,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배선기판(70), 및 IT어댑터(25)는 이들을 일괄하여 덮는 커버(71)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71)는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배선기판(70), IT어댑터(25)의 배치를 따르도록, 위에서 보아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배선기판(70)에는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고내의 제어를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검출값에 의해, IT어댑터(25)가 동작하기 위한 주위 환경을 알리도록 해도 좋다.
(제9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9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8 실시형태와는 다음의 점이 달라져 있다. 즉, 접속선 인출부(62)를 형성하는 부착부재(72)는 접속선 인출부(62)의 둘레에 수납부(73)를 갖고 있다. 이 수납부(73)에서 배선기판(70)은 접속선 인출부(62)의 후방에 배치되고, IT어댑터(25)는 접속선 인출부(62)와 배선기판(70)의 좌측 옆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IT 어댑터(25)는 전방으로부터 보아 배선기판(7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배선기판(70), 및 IT어댑터(25)는 이들을 일괄하여 덮는 커버(7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74)는 힌지부(16), 접속선 인출부(62), 배선기판(70), IT 어댑터(25)의 배치를 따드르도록 위에서 보아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0 실시형태)
제10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2 중, 도 19 및 도 20은 우측 상부의 힌지 유닛(9)의 근방에 IT 어댑터(25)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21 및 도 22는 IT어댑터(25)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2에서 2매의 문(7A, 7B)은 생략되어 있다.
우선, 도 19 및 도 20에서 힌지 커버(30)에는 힌지부(16)(도 3 참조)를 덮는 힌지 커버부(31)의 후방에, 접속부(39)를 통하여 위요부(32)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수납부(33)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위요부(32) 내의 접속선 인출부(22)에는 접속선(23)이 인출되어 있다. 접속선(23) 중, 도시되어 있지 않은 문(7B)측의 접속선(23A)은 힌지 커버부(31)측에 도출되어 있다. 그리고, IT 어댑터(25)용 접속선(23B)은 수용 오목부(21)에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위요부(32)의 후방면의 2군데에 구멍부(75)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 커버부(31)의 후방면에는 접속부(39)의 좌우 양측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걸어맞춤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요부(32)의 좌우 양측면에는 볼록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 인출부(22)에는 인출부용 커버(7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인출부용 커버(76)는 접속선 인출부(22)를 덮는 제1 커버이다. 인출부용 커버(76)에는 전방부에 상기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조(45)가 설치되고, 좌우측벽의 내면에, 상기 볼록부(47)에 대응하는 볼록부(46)가 설치되고, 후방부에 상기 구멍부(75)에 대응하는 전방을 향한 볼록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용 커버(76)의 좌우 두 외측면의 전방부에는 미끄럼 방지부(51)도 설치되어 있다.
인출부용 커버(76)를 힌지 커버(30)의 상면에 부착할 때에는 작업자는 손가락을 좌우 미끄럼 방지부(51)에 꼭 대면서 인출부용 커버(76)를 쥐고, 이 인출부용 커버(76)를 힌지커버(30)에 대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우의 걸어맞춤조(45)를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맞추고, 또한 후부의 각 볼록부(77)를 대응하는 구멍부(75)에 삽입한다. 이 때, 인출부용 커버(76)의 좌우의 볼록부(46)가 위요부(32)의 볼록부(47)의 하방으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인출부용 커버(76)를 힌지 커버(30)의 상면에, 들뜸을 방지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용 커버(76)를 힌지 커버(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의 상기 통신수단용 커버(41)의 경우와 동일하게, 작업자는 손가락을 좌우의 미끄럼 방지부(51)에 꼭 댄 상태에서, 이들 미끄럼 방지부(51)를 내방으로 억압하여 걸어맞춤조(45)를 내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인출부용 커버(76)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걸어맞춤조(45)와 걸어맞춤구멍(40)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출부용 커버(76)를 힌지커버(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힌지 유닛(9)에 대해서 IT 어댑터(2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T 어댑터(25)와, 이 IT어댑터(25)를 수납하는 어댑터 고정구(78)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통신수단용 커버(80)를 준비한다. 어댑터 고정구(7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로, 직사각형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부에 수납부(81)를 구비하고 있다. IT 어댑터(25)를 그 수납부(81)에 수납 고정한다. IT어댑터(25)를 고정한 어댑터 고정구(78)는 힌지 커버(30)를 기준으로 하여, 위요부(32)의 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체(2)(외부상자(3))의 상면에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로 고정 상태로 부착한다. 어댑터 고정구(78)의 후방부에는 후방면이 개구된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통신 수단용 커버(80)는 제1 실시형태의 통신수단용 커버(41)와는 상면의 형태가 약간 달라져 있지만,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통신수단용 커버(80)는 접속선 인출부(22)(위요부(32)) 및 IT어댑터(25)를 동시에 덮는 제2 커버를 구성한다. 이 통신수단용 커버(80)는 좌우 양측벽의 전방부에 걸어맞춤조(45)를 구비하고, 좌우 양측면의 전방부에 미끄럼 방지부(51)를 갖고, 좌우 양측벽의 내면에 볼록부(46)를 갖고, 후방부에 전방을 향한 볼록부(48)를 갖고 있다. 통신수단용 커버(80)의 상면에는 힌지부(16)측으로부터 IT어댑터(25)측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80a)를 갖고 있고, IT 어댑터(25)측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통신수단용 커버(80)의 상면에는, IT 어댑터(25)의 상방의 위치에, 「무선」의 표시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신수단용 커버(80)는 힌지 커버(30)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하여 부착된다. 통신수단용 커버(80)를, 위요부(32) 및 IT 어댑터(25)의 상면의 약간 뒤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 때, 통신수단용 커버(80)의 볼록부(46)를 위요부(32)의 볼록부(47)의 하방에 들어가게 하고, 또한 통신수단용 커버(80)의 볼록부(48)를 어댑터 고정구(78)의 후방부의 오목부(49)에 후방으로부터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통신수단용 커버(80)의 전방부에서의 좌우 양측의 걸어맞춤조(45)를, 힌지 커버부(31)의 걸어맞춤구멍(40)에 걸어 맞추게 한다. 이에 의해, 힌지 커버(30)에 대해서 통신수단용 커버(80)는 상방으로 들뜨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힌지 커버(30)에 부착된다(도 21).
이 경우, 힌지 커버(30)의 걸어맞춤구멍(40)은 접속선 인출부(22)를 덮는 인출부용 커버(76)(제1 커버)와, 접속선 인출부(22)와 IT어댑터(25)를 동시에 덮는 통신수단용 커버(80)(제2 커버)의 쌍방의 부착이 가능한 커버 부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선(23B)에 노이즈 방지용 금속선(28) 및 어스선(28a)이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형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5)의 문으로서 좌우 여닫이식의 2매의 문(7A, 7B)을 구비한 것을 예시했지만, 1매의 문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IT 어댑터(25)는 그 문을 지지하는 힌지부의 근방에 설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따르면, 무선통신수단을 힌지부 주변에서 인출된 접속선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무선통신수단이나 배선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냉장고 2: 하우징체
3: 외부상자 4: 단열재(발포단열재)
5: 냉장실(저장실) 7A, 7B: 문(좌우 여닫이식 문)
8, 9: 힌지 유닛 11: 조작패널
12: 정전 스위치 15: 알루미늄박(금속부재)
16: 힌지부 17: 힌지축
18: 접속선 인출용 부재 18a: 주위벽(물 침입 방지 수단)
22: 접속선 인출부 23: 접속선
24: 제어장치 25: IT 어댑터(무선통신수단)
26: 커넥터 27: 커넥터 커버
28a: 어스선 30: 힌지 커버
32: 위요부(접속선 인출부, 물 침입 방지 수단)
33: 수납부(부착부) 33a: 측벽(물 침입 방지 수단)
34: 커넥터 35: 무선통신부
35a: 배선기판 36: 단부(부착규제수단)
37: 걸어맞춤조(부착규제수단) 39b: 경사부(물 침입 방지 수단)
40: 걸어맞춤구멍(들뜸방지수단, 커버 부착부)
41: 통신수단용 커버 44: 표시부
45: 걸어맞춤조(들뜸방지수단)
46, 47, 48은 볼록부(들뜸방지수단) 49: 오목부(들뜸방지수단)
51: 미끄럼 방지부 52: 힌지 커버
56: 라우터 57: 인터넷
59: 휴대단말기 61: 수납부
62: 접속선 인출부 63: 커버
64: 커버 65: 컴프레서
66: 커버 68: 부착부재(부재)
69: 수납부 70: 배선기판
71: 커버 73: 수납부
74: 커버 76: 인출부용 커버(제1 커버)
78: 어댑터 고정구 80: 통신수단용 커버(제2 커버)
81: 수납부

Claims (3)

  1. 저장실을 갖는 하우징체,
    상기 하우징체 상에서 인출되는 접속선, 및
    무선 통신부를 갖고, 상기 접속선에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선을 인출하는 접속선 인출부에는 금속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덮지 않도록 위치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무선 통신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선은 히터 접속선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히터 접속선과 상기 하우징체의 발포 단열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고.
KR1020197002444A 2013-07-12 2014-07-10 냉장고 KR102072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6435A JP6092027B2 (ja) 2013-07-12 2013-07-12 冷蔵庫
JPJP-P-2013-146435 2013-07-12
PCT/JP2014/003661 WO2015004918A1 (ja) 2013-07-12 2014-07-10 冷蔵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554A Division KR101948551B1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336A true KR20190011336A (ko) 2019-02-01
KR102072121B1 KR102072121B1 (ko) 2020-01-31

Family

ID=522796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44A KR102072121B1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KR1020187018554A KR101948551B1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KR1020167001319A KR20160022877A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554A KR101948551B1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KR1020167001319A KR20160022877A (ko) 2013-07-12 2014-07-10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9790721B2 (ko)
EP (1) EP3021062A4 (ko)
JP (1) JP6092027B2 (ko)
KR (3) KR102072121B1 (ko)
CN (4) CN105452788B (ko)
TW (1) TWI580914B (ko)
WO (1) WO2015004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1210B2 (en) 2012-04-11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vacuum insulated cabinets for refrigerators
US9071907B2 (en) 2012-04-02 2015-06-30 Whir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ubular cabinet construction
US10052819B2 (en) 2014-02-24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packaged 3D vacuum insulated door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using a tooling fixture
US9689604B2 (en) 2014-02-24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Multi-section core vacuum insulation panels with hybrid barrier film envelope
DE102015203150A1 (de) * 2015-02-23 2016-08-2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kältegerätes
US9476633B2 (en) 2015-03-02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3D vacuum panel and a folding approach to create the 3D vacuum panel from a 2D vacuum panel of non-uniform thickness
US10161669B2 (en) 2015-03-05 2018-12-25 Whirlpool Corporation Attachment arrangement for vacuum insulated door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US9441779B1 (en) 2015-07-01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Split hybrid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CN105115221B (zh) * 2015-07-23 2018-09-04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铰链盖及冰箱
US10429125B2 (en) 2015-12-08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222116B2 (en) 2015-12-08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pressing mechanism incorporated within an insulation delivery system
US10422573B2 (en) 2015-12-08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041724B2 (en) 2015-12-08 2018-08-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mpacting insulation materials into a vacuum sealed structure
US11052579B2 (en) 2015-12-08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densified insulation material for use in appliance insulated structure
WO2017100037A1 (en) 2015-12-09 2017-06-15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tructures with multiple insulators
US10422569B2 (en) 2015-12-21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door construction
US10018406B2 (en) 2015-12-28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gas barrier material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610985B2 (en) 2015-12-28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materials with PVD or plasma coating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030905B2 (en) 2015-12-29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structure
US10807298B2 (en) 2015-12-29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Molded gas barrier part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1247369B2 (en) 2015-12-30 2022-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3D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having core material
WO2017180145A1 (en) 2016-04-15 2017-10-19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with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7180147A1 (en) 2016-04-15 2017-10-19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WO2018022007A1 (en) 2016-07-26 2018-02-0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KR102573782B1 (ko) 2016-07-28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9045B1 (ko) 2016-07-28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500804B1 (en) 2016-08-18 2022-06-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abinet
EP3548813B1 (en) 2016-12-02 2023-05-31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US10352613B2 (en) 2016-12-05 2019-07-16 Whirlpool Corporation Pigmented monolayer liner for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8252600B (zh) * 2016-12-29 2021-03-3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US10544983B2 (en)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53487B1 (ko) * 2017-01-03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선커버유닛을 포함하는 빌트인 냉장고
JP6740146B2 (ja) * 2017-01-31 2020-08-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18158977A1 (ja) * 2017-03-03 2018-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冷蔵庫扉の製造方法
KR102412060B1 (ko)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G11201910971QA (en) * 2017-07-21 2020-02-27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CN107508585A (zh) * 2017-08-22 2017-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开关器件封装结构、空调器的电控板以及空调器
CN107543358B (zh) * 2017-09-22 2020-03-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底端的过线结构及具有其的冰箱
CN109931742B (zh) * 2017-12-15 2022-04-0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CN109959212A (zh) * 2017-12-22 2019-07-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JP6906455B2 (ja) * 2018-01-31 2021-07-2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N108798324A (zh) * 2018-04-25 2018-11-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铰链装置、安装方法及冰箱
US10907888B2 (en) 2018-06-25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ybrid pigmented hot stitched color liner system
JP7194879B2 (ja) * 2018-07-19 2022-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11091943B2 (en) * 2018-12-29 2021-08-17 Whirlpool Corporation Articulating wire chase for use with an articulating hinge for an appliance door
CN209893774U (zh) * 2019-01-04 2020-01-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US10907891B2 (en) 2019-02-18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Trim breaker for a structural cabinet that incorporates a structural glass contact surface
JP7301137B2 (ja) * 2019-08-02 2023-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12524861A (zh) * 2019-09-18 2021-03-1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制冷设备
JP2021067412A (ja) * 2019-10-24 2021-04-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0995318B (zh) * 2019-12-16 2021-10-0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主控板与显控板的供电和通信的连接方法
CN111023686A (zh) * 2019-12-27 2020-04-17 周少卫 一种冰箱光感应节能降噪系统
JP2021143801A (ja) * 2020-03-13 2021-09-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N111457641A (zh) * 2020-04-20 2020-07-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用于制冷设备的专区模块
US11598574B2 (en) *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JP2022148894A (ja) * 2021-03-24 2022-10-06 アクア株式会社 ヒンジアッセンブリ及びヒンジアッセンブリが取り付けられた冷蔵庫
JP7485640B2 (ja) 2021-07-30 2024-05-1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WO2023057211A1 (en) * 2021-10-06 2023-04-13 BSH Hausgeräte GmbH A power switch arrangement for cool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363Y1 (ko) * 1988-02-10 1992-10-12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상부힌지 결합구조
JP2004085071A (ja) *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5140345A (ja) * 2003-11-04 2005-06-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578A (ja) * 1982-09-14 1984-03-19 株式会社東芝 貯蔵庫の扉枢支装置
KR970011725B1 (en) 1990-09-28 1997-07-14 Lg Electronics Inc Syndrome circuit for bch decoder
KR0136595Y1 (ko) * 1996-10-01 1999-03-20 구자홍 커버 일체형 기판 고정장치
KR100214624B1 (ko) * 1996-12-03 1999-08-02 구자홍 냉장고의 외부 표시장치
US5787724A (en) * 1997-06-04 1998-08-04 Maytag Corporation Dispensing assembly for top mount refrigerator
JP2001311108A (ja) * 2000-05-01 2001-11-09 Takenaka Komuten Co Ltd 舗装構造
US6927871B1 (en) * 2000-11-25 2005-08-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a network computer system
JP2003224891A (ja) * 2002-01-28 2003-08-08 Toshiba Corp 調理システムと冷蔵庫
KR20040038360A (ko) * 2002-10-31 200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피시비 고정 장치
BR0205050A (pt) * 2002-11-25 2004-06-29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Sistema de alimentação elétrica para porta de refrigeradores e freezers
US7404298B2 (en) * 2003-03-10 2008-07-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04013431B4 (de) * 2003-03-20 2018-06-21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tür
JP4263018B2 (ja) * 2003-05-09 2009-05-13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0656391B1 (ko) * 2003-12-31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병합제품의 전원스위치어셈블리
JP2005315479A (ja) * 2004-04-28 2005-11-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KR20060000340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06064320A (ja) 2004-08-27 2006-03-09 Toshiba Corp 冷蔵庫
US7207181B2 (en) * 2005-03-01 2007-04-24 Bradley W. Geuke Refrigeration unit condensation prevention
JP2006329459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Corp 冷蔵庫
EP1899668B1 (en) * 2005-06-23 2016-10-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07056515A (ja) * 2005-08-24 2007-03-08 Takigen Mfg Co Ltd 二軸ヒンジ装置
JP4191723B2 (ja) * 2005-11-10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通信装置
JP3824018B2 (ja) * 2005-11-17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蔵庫
US7578141B2 (en) * 2006-03-03 2009-08-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routing system for reversible door refrigerator with dispenser
US20070251261A1 (en) * 2006-04-27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t water supply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06345796B2 (en) * 2006-07-04 2010-12-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X2009000127A (es) * 2006-07-06 2009-01-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dor.
US8154857B2 (en) 2007-01-04 2012-04-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host with multiple service interfaces for coupling multip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KR101349986B1 (ko) * 2007-05-23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리드와이어 연결구조
KR101469980B1 (ko) * 2008-04-02 201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어셈블리
US8011203B1 (en) * 2010-02-26 2011-09-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idden user interface
KR20120015247A (ko) * 2010-08-11 201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20242207A1 (en) * 2011-03-22 2012-09-27 Martin Mershon Connection point for communication device on appliance
KR101849106B1 (ko) * 2011-08-23 2018-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129021B2 (ja) * 2013-08-09 2017-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家電連携システム
ITTO20130710A1 (it) * 2013-09-02 2015-03-03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con passaggio per elemento tubolare flessibile tra armadio e por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363Y1 (ko) * 1988-02-10 1992-10-12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상부힌지 결합구조
JP2004085071A (ja) *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5140345A (ja) * 2003-11-04 2005-06-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0914B (zh) 2017-05-01
JP2015017781A (ja) 2015-01-29
CN107270607B (zh) 2021-08-17
US10214949B2 (en) 2019-02-26
CN107255390A (zh) 2017-10-17
US20190153758A1 (en) 2019-05-23
CN105452788A (zh) 2016-03-30
TW201512615A (zh) 2015-04-01
US10081973B2 (en) 2018-09-25
JP6092027B2 (ja) 2017-03-08
KR20180081148A (ko) 2018-07-13
US20160123055A1 (en) 2016-05-05
US9790721B2 (en) 2017-10-17
US20170370137A1 (en) 2017-12-28
CN107255390B (zh) 2021-06-08
KR102072121B1 (ko) 2020-01-31
WO2015004918A1 (ja) 2015-01-15
CN107255384A (zh) 2017-10-17
EP3021062A1 (en) 2016-05-18
KR101948551B1 (ko) 2019-02-15
CN105452788B (zh) 2017-08-11
CN107255384B (zh) 2021-02-26
EP3021062A4 (en) 2017-03-15
US20180355647A1 (en) 2018-12-13
CN107270607A (zh) 2017-10-20
KR20160022877A (ko) 2016-03-02
US10526828B2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551B1 (ko) 냉장고
KR102246516B1 (ko) 냉장고
US10907884B1 (en) Door end closure assembly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KR102472788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JP6936899B2 (ja) 冷蔵庫
KR102338781B1 (ko) 냉장고
JP2012063031A (ja) 冷蔵庫
JP6740146B2 (ja) 冷蔵庫
KR101201511B1 (ko) 아웃도어의 디스플레이유닛 장착장치
CN219344417U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JP6982596B2 (ja) 冷蔵庫
CN213039095U (zh) 铰链盖及具有其的冷藏冷冻装置
JP7248712B2 (ja) 冷蔵庫
KR102428160B1 (ko) 냉장고
KR102354149B1 (ko) 냉장고
KR20220142907A (ko) 냉장고
CN114659334A (zh) 冰箱
JP5606135B2 (ja) コンセント設置用ポール
CN117780203A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