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16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160B1
KR102428160B1 KR1020150114032A KR20150114032A KR102428160B1 KR 102428160 B1 KR102428160 B1 KR 102428160B1 KR 1020150114032 A KR1020150114032 A KR 1020150114032A KR 20150114032 A KR20150114032 A KR 20150114032A KR 102428160 B1 KR102428160 B1 KR 10242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lkhead
refrigerator
display module
dec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774A (ko
Inventor
조익제
박병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1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데코부재는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도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데코부재를 고정할 수 있고, 데코부재가 도어의 데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데코부재를 고정할 수 있고, 데코부재가 도어의 데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음식물 등이 상하지 않도록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온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97799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도어 라이너의 상측 공간을 밀폐하는 상측 캡 데코부와,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도어 라이너의 하측 공간을 밀폐하는 하측 캡 데코부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캡 데코부 및 상기 하측 캡 데코부를 고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도어 라이너의 사이 공간에 인입되는 발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용접 결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체결부의 정확한 위치에 상하측 캡 데코부를 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상하측 캡 데코부가 도어의 상하단을 데코하는 역할 밖에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4-0097799 A
본 발명은 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데코부재를 고정할 수 있고, 데코부재가 도어의 데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데코부재는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도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을 덮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데코부재를 통해 외부로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의 전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데코부재의 배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설치부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과 하면은 상기 데코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면은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는 상기 설치부의 후면과 상기 도어의 하면에 걸쳐 형성된 보스에 상기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의 배면에는 유색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도어의 전방측 하단과 상기 도어의 좌측 하단과 상기 도어의 우측 하단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데코부재의 전방측 상단과 상기 데코부재의 좌측 상단과 상기 데코부재의 우측 상단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와 연통하는 제1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데코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데코부재가 도어의 데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의 가이드홈에 데코부재의 가이드부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보아도 디스플레이모듈의 식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데코부재를 도어에 보다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데코부재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데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데코부재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데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된 본체(100)와, 저장실(미도시)을 개폐하는 도어(200)와, 도어(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데코부재(400)를 포함하되, 데코부재(400)는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411)가 도어(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30)에 삽입되고, 타측이 도어(200)에 스크류(S)로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저장실(미도시)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저장실(미도시)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0)에 힌지부재(미도시)로 연결된 도어(200) 또는 도어(200)의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딩도어(20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200)는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저장실(미도시)의 개방된 전면에 대응하도록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어(200)의 좌우측 상단 모서리는 라운드 지게 형성된다.
도어(200)의 우측 상부 및 우측 하부는 본체(100)의 우측 상부 및 우측 하부와 각각 힌지부재(미도시)로 연결된다.
도어(200)는 힌지부재(미도시)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저장실(미도시)을 개폐한다.
도어(200)의 내측 하부에는 보스(210)가 형성된다.
보스(210)는 도어(200)의 내측 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스(210)는 후술할 설치부(220)의 후면과 도어(200)의 하면(200b)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다.
보스(210)에는 스크류(S)가 삽입되기 위한 제1체결공(211)이 형성된다.
보스(21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보스(210)에는 도어(200)에 설치되는 후술할 데코부재(400)가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된다.
보스(210)는 후술할 데코부재(400)의 설치를 돕는 동시에 후술할 설치부(2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200)의 하부에는 설치부(220)가 형성된다.
설치부(220)는 도어(200)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다.
설치부(22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모듈(300)의 후면을 지지한다.
설치부(220)는 도어(200)의 전면(200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21)와, 돌출부(221)의 상단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제1격벽(222)과, 제1격벽(222)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격벽(223)과, 제2격벽(223)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제3격벽(224)과, 제3격벽(224)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4격벽(225)과, 제4격벽(225)의 상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제5격벽(226)과, 제5격벽(226)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도어(200)의 하면(200b)에 연결되는 제6격벽(227)과, 제3 내지 제6격벽(224,225,226,227)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벽(미도시)과 우측벽(미도시)을 포함한다.
돌출부(221), 제1격벽(222), 제2격벽(223), 제3격벽(224), 제4격벽(225), 제5격벽(226), 제6격벽(227), 좌측벽(미도시) 및 우측벽(미도시)은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부(221), 제1격벽(222) 및 제2격벽(223)은 도어(200)의 전면(200a)과 좌측면(200c)과 우측면(200d)에 걸쳐서 형성되고, 제3격벽(224), 제4격벽(225), 제5격벽(226), 제6격벽(227), 좌측벽(미도시) 및 우측벽(미도시)은 도어(200)의 전면(200a) 측에만 형성된다.
제1격벽(222)과 제2격벽(223)은 후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4격벽(225)는 후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설치부(220)는 제1격벽(222), 제2격벽(223), 제3격벽(224), 제4격벽(225), 제5격벽(226), 제6격벽(227), 좌측벽(미도시) 및 우측벽(미도시)으로 둘러싸인 설치공간(220a)을 갖는다.
설치공간(220a)은 도어(200)의 외면에 대해 함몰되어 있다.
설치공간(220a)은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설치공간(220a)의 개방된 전면과 하면은 후술할 데코부재(400)에 의해 폐쇄된다.
설치공간(220a)에는 디스플레이모듈(30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모듈(300)은 후술할 데코부재(400)의 배면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300)의 전면과 하면은 도어(200)에 설치된 데코부재(400)에 의해 지지되며, 디스플레이모듈(300)의 후면은 설치부(220)의 제6격벽(227)의 전면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플레이모듈(300)은 PCB기판(310), 디스플레이부(320),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PCB기판(310)에는 본체(100)에서 도어(200)로 인입된 하니스(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CB기판(310) 및 센서(미도시)에서의 전기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나타난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기기의 작동상태 및 작동모드 등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320)의 전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320)의 전면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돌출부(221)와 제2격벽(223) 사이에는 가이드홈(23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30)은 도어(200)의 전방측 하단과 도어(200)의 좌측 하단과 도어(200)의 우측 하단에 걸쳐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230)은 도어(200)의 전면(200a) 하단, 도어(200)의 좌측면(200c) 하단 및 도어(200)의 우측면(200d) 하단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다.
가이드홈(230)은 돌출부(221)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가이드홈(230)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홈(230)은 후술할 데코부재(400)의 가이드부(41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22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고, 가이드홈(2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커진다.
다시 말해서, 돌출부(221)는 상광하협 형태의 횡단면적을 가지고, 가이드홈(230)은 상협하광 형태의 횡단면적을 가진다.
도어(200)의 전방측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공간(220a)의 전방측에는 장착부(240)가 형성된다.
장착부(240)는 도어(200)의 외면에 대해 함몰되어 형성되며, 장착부(240)는 설치공간(220a) 및 가이드홈(230)과 연통되어 있다.
장착부(240)는 설치공간(220a)에 비해 좌우로 더 길게 형성된다.
장착부(240)는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전면 및 하면은 후술할 데코부재(400)에 의해 폐쇄된다.
장착부(240)에는 데코부재(400)가 장착된다.
데코부재(400)는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부(411)가 도어(200)의 가이드홈(230)에 삽입되고, 하측이 도어(200)의 하면(200b) 및 제6격벽(227)에 걸쳐 형성된 보스(210)에 스크류(S)로 고정되어 장착부(240)에 설치된다.
데코부재(400)는 도어(200)의 전면(200a) 하부, 좌측면(200c) 하부 및 우측면(200d) 하부를 이룬다.
데코부재(40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데코부재(400)의 후방측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으며, 데코부재(400)의 배면에는 유색도료가 도포되어 미려함이 부가된다.
데코부재(400)는 디스플레이모듈(300)이 설치공간(220a) 내에 설치되고 난 후 장착부(240)에 장착되어 도어(200)에 고정된다.
즉, 데코부재(400)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부(220)의 설치공간(220a)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300)을 덮은 채 도어(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스플레이모듈(300)은 데코부재(400)를 통해 외부로 보이게 되어 디스플레이모듈(300)에 표시된 정보가 데코부재(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데코부재(400)는 도어(200)의 하부를 장식하고, 디스플레이모듈(30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모듈(300)의 정보가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윈도우 역할을 한다.
데코부재(400)의 전면, 즉, 후술할 둘레부(4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데코부재(4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320)의 전면과 마찬가지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20)의 전면과 데코부재(400)의 전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유는 데코부재(400) 및 디스플레이모듈(3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보아도 디스플레이모듈(300)에 표시된 정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데코부재(400)의 전면 하부는 디스플레이모듈(300)의 전면 하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데코부재(400)는 둘레부(410)와 하면부(420)를 포함한다.
둘레부(410)는 데코부재(400)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을 이루며, 도어(200)의 전면(200a) 하단, 좌측면(200c) 하단, 우측면(200d) 하단에 연결된다.
둘레부(410)는 후면이 개방된 울타리
둘레부(410)는 설치공간(220a) 및 장착부(24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한다.
둘레부(41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패널의 좌우측이 후방측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형상이다.
둘레부(410)는 설치공간(220a)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300)의 전면을 덮는다.
둘레부(410)의 좌우측 모서리는 라운드 지게 형성된다.
둘레부(410)의 전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둘레부(410)의 상단에는 수용부(413)와 가이드부(411)가 형성된다.
수용부(413)는 둘레부(4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함몰되어 있다.
가이드부(411)는 둘레부(4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부(411)와 수용부(413)는 데코부재(400)의 전방측 상단과 데코부재(400)의 좌측 상단과 데코부재(400)의 우측 상단에 걸쳐 형성되며, 가이드부(411)는 수용부(413)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수용부(413)는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수용부(41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고, 가이드부(41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커진다.
다시 말해서, 수용부(413)는 상광하협 형태의 횡단면적을 가지고, 가이드부(411)는 상협하광 형태의 횡단면적을 가진다.
수용부(413)의 형상은 도어(200)의 돌출부(221)의 형상에 대응하고, 가이드부(411)의 형상은 가이드홈(230)의 형상에 대응한다.
수용부(413)에는 도어(200)의 돌출부(221)가 수용되고, 가이드홈(230)에는 데코부재(400)의 가이드부(411)가 삽입되어, 도어(200)의 정확한 위치에 데코부재(400)를 스크류(S)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411)의 전면(411a)은 가이드홈(230)의 전방측 내면(돌출부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가이드부(411)의 배면(411b)은 가이드홈(230)의 후방측 내면(제2격벽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부(411)의 상면(411c)은 가이드홈(230)의 내부 상면(제1격벽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둘레부(410)의 하단에는 하면부(420)가 형성된다.
하면부(420)는 설치공간(220a) 및 장착부(240)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한다.
하면부(420)는 둘레부(410)의 하단 테두리에 걸쳐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하면부(420)는 설치공간(220a)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300)의 하면을 덮은 채 지지한다.
하면부(420)의 좌측에는 도어(200)의 손잡이(미도시)와 연통되는 제1홈(421)이 형성되고, 하면부(420)의 우측에는 본체(100)와 도어(200)의 우측 하단에 연결되는 힌지부재(미도시)의 힌지축(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홈(423)이 형성된다.
제1홈(421)은 상하로 관통되고, 후방측이 개방되어 도어(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200) 하부에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제2홈(423)은 상하로 관통되고, 좌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면부(420)에는 복수 개의 제2체결공(425)이 형성되어 도어(200)의 내측에 형성된 보스(210)에 스크류(S)로 체결된다.
각각의 제2체결공(425)은 서로 대응하는 각각의 제1체결공(211)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하면부(420)를 거쳐 보스(210)에 스크류(S)가 삽입된다.
이때, 스크류(S)는 제2체결공(425)의 내주면과 제1체결공(211)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체결되어 데코부재(400)가 도어(200)에 고정되며, 가이드홈(230)에 삽입된 가이드부(411)는 가이드홈(230)의 내면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력이 가해져도 데코부재(400)가 도어(20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 200 : 도어
200a : 도어의 전면 200b : 도어의 하면
200c : 도어의 좌측면 200d : 도어의 우측면
200' : 슬라이딩도어 210 : 보스
211 : 제1체결공 220 : 설치부
220a : 설치공간 221 : 돌출부
222 : 제1격벽 223 : 제2격벽
224 : 제3격벽 225 : 제4격벽
226 : 제5격벽 227 : 제6격벽
230 : 가이드홈 240 : 장착부
300 : 디스플레이모듈 310 : PCB기판
320 : 디스플레이부 400 : 데코부재
410 : 둘레부 411 : 가이드부
411a : 가이드부의 전면 411b : 가이드부의 배면
411c : 가이드부의 상면 413 : 수용부
420 : 하면부 421 : 제1홈
423 : 제2홈 425 : 제2체결공
S : 스크류

Claims (10)

  1.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데코부재;
    상기 도어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코부재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제3격벽과, 상기 제3격벽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4격벽과, 상기 제4격벽의 상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제5격벽과, 상기 제5격벽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6격벽과, 상기 제3 내지 제6격벽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벽과 우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의 상단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커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가이드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격벽 사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커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가이드홈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면부가 상기 도어의 하면 및 상기 제6격벽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보스에 스크류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을 덮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데코부재를 통해 외부로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전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데코부재의 배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설치부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과 하면은 상기 데코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면은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배면에는 유색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도어의 전방측 하단과 상기 도어의 좌측 하단과 상기 도어의 우측 하단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데코부재의 전방측 상단과 상기 데코부재의 좌측 상단과 상기 데코부재의 우측 상단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와 연통하는 제1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14032A 2015-08-12 2015-08-12 냉장고 KR102428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32A KR102428160B1 (ko) 2015-08-12 2015-08-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32A KR102428160B1 (ko) 2015-08-12 2015-08-1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74A KR20170019774A (ko) 2017-02-22
KR102428160B1 true KR102428160B1 (ko) 2022-08-03

Family

ID=5831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032A KR102428160B1 (ko) 2015-08-12 2015-08-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8261A (zh) * 2018-08-17 2020-02-25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冰吧玻璃门及冰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980A (ja) * 2002-07-15 2004-02-12 Toshiba Corp 冷蔵庫扉
JP2005164190A (ja)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5326061A (ja) * 2004-05-13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100563347B1 (ko) * 2003-10-23 2006-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642B1 (ko) 2013-01-30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및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4980A (ja) * 2002-07-15 2004-02-12 Toshiba Corp 冷蔵庫扉
KR100563347B1 (ko) * 2003-10-23 2006-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 손잡이
JP2005164190A (ja)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5326061A (ja) * 2004-05-13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74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5559B2 (en) Refrigerator
CN107270607B (zh) 冰箱
EP2730869B1 (en) Refrigerator
US20100287843A1 (en)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and combining structure for door handle
EP1872070B1 (en) Door for refrigerator
KR102661024B1 (ko) 냉장고 도어
KR102428160B1 (ko) 냉장고
KR20180105929A (ko) 냉장고
US20210136943A9 (en) Household appliance
KR102552739B1 (ko) 냉장고 도어
US7651181B2 (en) Refrigerator and door for a refrigerator
KR20070010953A (ko) 전면글래스형 냉장고
KR100621052B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커버 조립구조
JP4329519B2 (ja) 冷蔵庫
KR102302389B1 (ko) 냉장고
JP2004325011A (ja) 冷蔵庫扉
KR100715435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JP4483733B2 (ja) 冷蔵庫扉
KR20180022237A (ko) 냉장고용 도어
KR100886169B1 (ko) 터치버튼 장착구조
KR100624110B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커버 체결구조
JP7248712B2 (ja) 冷蔵庫
JP6982596B2 (ja) 冷蔵庫
CN106766601B (zh) 冰箱
US20240133614A1 (en) Refriger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