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618A -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 Google Patents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618A
KR20190008618A KR1020170090198A KR20170090198A KR20190008618A KR 20190008618 A KR20190008618 A KR 20190008618A KR 1020170090198 A KR1020170090198 A KR 1020170090198A KR 20170090198 A KR20170090198 A KR 20170090198A KR 20190008618 A KR20190008618 A KR 2019000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bracket
rail
roof rac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726B1 (ko
Inventor
최방식
송중무
Original Assignee
최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방식 filed Critical 최방식
Priority to KR102017009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7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서 운반시키기 위한 캐리어 구조물을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받침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의 일측 하단에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를 형성시키고, 메인브라켓의 일측 상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을 형성시켜 레일형 루프랙의 상단돌출부가 끼움식으로 삽입되게 하며, 메인브라켓의 타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상에 메인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의 체결공을 형성시키는 한편, 메인브라켓의 외측면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캐리어 구조물 뿐만 아니라 1~2인용의 소형 텐트를 차량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덱크 등의 구조물 역시 레일형 루프랙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종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레일형 루프랙과 함께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하여 기존의 루프랙만으로는 운반하기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의 파손없이 차량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Supporting bracket possible for installing on the rail type roof-rack}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이 되는 루프패널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걸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과 연계되어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 운반시킬 수 있는 각종 캐리어 구조물의 장착베이스를 제공토록 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형 루프랙과 끼움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각종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상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받침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랙(Roof-rack)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걸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반형 부품으로서,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차량 위에 실어서 운반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차종에 따라 상기 루프랙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은 루프랙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되는 바, 그 중 하나는 차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 "["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루프랙의 양측 끝단부만이 루프패널과 연결되고, 나머지 몸체 부분은 루프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떠 있는 상태가 되며, 다른 하나는 몸체의 바닥면 전체가 루프패널과 밀착 설치되고, 몸체의 상단면 부분만이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의 "T"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후자의 루프랙을 레일형 루프랙이라 한다.
통상, 운반코자 하는 물품이나 장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캐리어박스(Carrier box)의 내부에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이 캐리어박스를 루프랙상에 고정시켜 운반하고, 스키장비 등과 같이 그 길이 또는 부피가 다소 큰 물품의 경우에는 루프랙의 상부면에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놓고 결속끈 등으로 단단하게 동여맨 후 차량으로 운반하게 되는 데, 레일형 루프랙의 경우는 캐리어박스의 고정이나 물품의 결속 등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루프랙은 그 무게가 비교적 가볍고 부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 위에 실어서 운반하는 측면에서는 별다른 무리가 없으나, 그 무게가 상당히 무겁고 부피가 비교적 큰 물품이나 장비를 실어서 운반할 경우에는,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이 루프랙에 모두 집중됨에 따라 일반적인 루프랙은 물론이고 레일형 루프랙의 경우에도 파손의 우려가 비교적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운송하는 이외의 용도, 예를 들어 1~2인용의 소형 텐트를 차량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덱크(Deck) 등의 용도로는 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좌,우측 루프랙의 사이에 걸쳐 다수 개의 크로스바(Cross bar)를 연결시키거나, 차량의 루프패널 자체에 골조프레임 구조의 수납식 거치대를 설치함으로서, 보다 더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으로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차량의 상부에 소형 텐트 등의 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1999-0017152호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73136호에 각각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이 크로스바를 거쳐 결국에는 루프랙에 모두 집중됨으로서,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물품이나 장비의 운반시 루프랙의 파손이 유발될 소지가 여전히 남아 있고, 레일형 루프랙에는 전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바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거치대를 차량의 루프패널에 제공된 빗물방지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작업이나, 해당 거치대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자체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토록 하는 측면에서 상당히 불합리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후자의 거치대는 루프랙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제품의 호환성(互換性)이 낮고, 만일 적용코자 한다면 차량에 기설치되어 있는 루프랙을 제거하는 불필요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적은 물품이나 장비는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루프랙을 제거함에 따라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거치대에 실어서 운반하는 비경제적인 상황이 유발되었다.
특히, 최근에 들어 야외에서의 레저 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가족이나 친구 또는 동호회 단위의 캠핑족이 급증하고 있으며, 낚시와 같은 레저 활동에 있어서도 제한된 장소에서 선박을 대여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신이 구매한 소형 선박을 차량 위에 싣고 요구하는 목적지까지 직접 이동하려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소형 선박이 포함된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의 운송 또는 텐트용 덱크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각종 캐리어 구조물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레일형 루프랙에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장착베이스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1999-001715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7313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344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의 일측 하단에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를 형성시키고, 메인브라켓의 일측 상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을 형성시켜 레일형 루프랙의 상단돌출부가 끼움식으로 삽입되게 하며, 메인브라켓의 타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상에 메인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의 체결공을 형성시키는 한편, 메인브라켓의 외측면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캐리어 구조물 뿐만 아니라 1~2인용의 소형 텐트를 차량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덱크 구조물 등을 레일형 루프랙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은,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프레임의 사이로 레일형 루프랙의 상단돌출부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상에 메인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브라켓의 외측면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은, 메인브라켓의 일측 상부에서 메인브라켓의 외측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만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와 커버판이 되거나, 메인브라켓의 타측 상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Γ"자 형태의 보조브라켓이 되거나, 상기 거치대와 커버판과 보조브라켓을 혼용하는 것이 된다.
상기 커버판은 메인브라켓의 상단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메인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인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와 받침대의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보강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브라켓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판과 소정의 폭을 가지는 수평판이 "Γ"자 형태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측이 메인브라켓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판은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태로 메인브라켓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적용례로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메인브라켓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높이의 수직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판 부분을 메인브라켓의 측면부상에 맞대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메인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판의 하측부에 메인브라켓과 대응되는 조립볼트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립프레임은 상부측 프레임의 돌출폭이 하부측 프레임의 돌출폭보다 2~3mm 정도 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는 루프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브라켓 내측 상부의 조립프레임 사이에 레일형 루프랙의 상단돌출부를 삽입시키는 한편, 메인브라켓 타측면의 체결공을 통하여 조립볼트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자형의 메인브라켓을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 부분과 견고히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메인브라켓 외측면의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캐리어 구조물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메인브라켓의 상측부에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된 거치대와 커버판 및 메인브라켓의 상단에 "Γ"자 형태로 배치되는 보조브라켓을 이용하여 캐리어 구조물을 받침브라켓상에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일차 거치(据置: 받쳐지게 올려놓음)시킨 후, 해당 캐리어 구조물을 볼트체결에 의하여 레일형 루프랙과 최종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루프랙에 적용되었던 크로스바 뿐만 아니라, 소형 텐트의 설치에 적합한 덱크판이나 소형 선박을 포함하는 각종 물품 또는 장비의 적재가 가능한 덱크프레임 등의 다양한 캐리어 구조물을 누구나 손쉽게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받침브라켓을 베이스로 하여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된 캐리어 구조물상에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경우,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메인브라켓 일측 하단의 받침대가 루프랙과 함께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걸쳐 골고루 분산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기존의 루프랙만으로는 운반이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의 파손없이 차량으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해당 받침대의 바닥면에 부착된 완충패드에 의하여 루프패널의 불필요한 손상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전에 장착된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으로부터 즉시 분리한 다음, 다른 용도의 캐리어 구조물로 필요시마다 용이하게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물품이나 장비를 운반코자 할 경우에는 캐리어 구조물 자체를 받침브라켓과 함께 분리시켜 기존의 루프랙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을 제거하고 새로운 거치대를 캐리어 수단으로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서도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이 차량의 레일형 루프랙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레일형 루프랙이 포함된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의 외관사시도.
도 5의 (가)는 레일형 루프랙이 포함된 도 4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의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1a)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기존의 루프랙 중에서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형 루프랙(2)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됨에 따라, 차량(1)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각종 물품이나 장비 등을 차량(1)의 상부에 실어서 운반시키기 위한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2)상에 장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10)의 세부적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형 루프랙(2)의 "T"자형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3)과, 상기 메인브라켓(3)의 일측(도면상 우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4)와, 메인브라켓(3)의 일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5)과, 메인브라켓(3)의 타측(도면상 좌측)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6a)과, 상기 체결공(6a)을 따라 나사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조립볼트(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프레임(5)의 사이로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2a)가 끼움식으로 삽입되도록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를 따라 메인브라켓(3)을 일차 조립시킨 후, 상기 체결공(6a)으로 조립볼트(6)를 체결하여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측으로 조이게 되면,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이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와 매우 견고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을 각종 캐리어 구조물의 장착베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을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와 결합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받침대(4)를 제외한 메인브라켓(3)의 폭은 상단돌출부(2a)가 포함된 레일형 루프랙(2)의 폭보다 1cm 정도 크게 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프레임(5)의 돌출폭은 2mm 내외가 되도록 하되,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2a)가 조립프레임(5)의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레일형 루프랙(2)에 대한 받침브라켓(10)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측 조립프레임(5)의 돌출폭이 하부측 조립프레임(5)의 돌출폭보다 2~3mm 정도 길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일형 루프랙(2)의 전체폭이 5cm 정도가 된다면, 받침대(4)를 제외한 메인브라켓(3)의 폭은 6cm 정도가 된다는 것이고, 하부측 조립프레임(5)의 돌출폭을 2mm 내외로 하면, 상부측 조립프레임(5)의 돌출폭은 4~5mm 내외가 된다는 것이며, 받침브라켓(10)을 레일형 루프랙(2)과 결합시켜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량(1)의 루프패널(1a)에 불필요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공(6a)이 형성된 메인브라켓(3) 부분은 그 하단부가 차량(1)의 루프패널(1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4)의 바닥면에는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의 완충패드(4a)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받침브라켓(10)을 이용하여 레일형 루프랙(2)상에 캐리어 구조물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메인브라켓(3)의 외측면에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이 제공되는 바, 도 2 및 도 3에서는 메인브라켓(3)의 일측(도면상 우측) 상부에서 메인브라켓(3)의 외측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만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7)와 커버판(8)을 상기 조립수단의 대표적인 일례로 도시하였다.
상기 커버판(8)은 메인브라켓(3)의 상단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메인브라켓(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7)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판(8)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인브라켓(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판(8)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6)의 체결공(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7)와 받침대(4)의 사이에는 캐리어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방향의 보강대(7a)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놓여지는 부분은 거치대(7)가 되고, 상기 커버판(8)은 거치대(7)상에 놓여진 캐리어 구조물을 조립볼트(6)로 최종 고정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브라켓(3)과 커버판(8)의 상부면에 걸쳐 캐리어 구조물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조립볼트(6)가 캐리어 구조물을 관통하여 커버판(8)의 체결공(8a)과 조립되도록 하는 방식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거치대(7)와 커버판(8) 및 받침대(4)는 메인브라켓(3)과 동일한 길이로 하여 2cm 내외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시키는 한편, 거치대(7)와 커버판(8) 사이의 간격은 3cm 정도로 하여 판형의 캐리어 구조물로부터 프레임 형태의 캐리어 구조물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캐리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고, 레일형 루프랙(2)에 대한 받침브라켓(10)의 결합강도와 받침브라켓(10)에 의한 캐리어 구조물의 지지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6a)(8a)은 해당 위치마다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 자체는 각종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캐리어 구조물과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사용하여 최소 1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립볼트(6)는 막대볼트의 헤드 부분이 고리 형상의 회전손잡이가 되는 아이볼트(Eye bolt)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 측면에서 유리한 잇점을 제공하며, 이외에 다른 종류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의 (가)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10)을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브라켓(3)의 타측(도면상 좌측) 상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Γ"자 형태의 보조브라켓(9)이 상기 거치대(7) 및 커버판(8)과 함께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으로 추가 적용된 것이고,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으로서 상기 보조브라켓(9)만을 단독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브라켓(9)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판과 소정의 폭을 가지는 수평판이 "Γ"자 형태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측이 메인브라켓(3)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판은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6)의 체결공(9a)이 형성된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메인브라켓(3)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보조브라켓(9)의 수평판과 수직판의 경우도 거치대(7) 및 커버판(8)과 마찬가지로 메인브라켓(3)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시키는 것이 외관적인 측면이나 제작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조브라켓(9)의 수평판이 메인브라켓(3)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캐리어 구조물의 장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면 이보다 크거나 적은 폭을 가지더라도 무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판을 삭제시킨 상태에서 수직판만으로 캐리어 구조물을 장착시킬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체결공(9a)은 수직판에 형성될 것이며, 수평판과 메인브라켓(3) 사이의 간격은 거치대(7)와 커버판(8) 사이의 간격과 마찬가지로 3cm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거치대(7)와 커버판(8)을 보조브라켓(9)과 함께 적용시킬 경우에는, 수평판과 메인브라켓(3) 사이의 간격을 이보다 크게 하여 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캐리어 구조물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나)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브라켓(10)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보조브라켓(9)이 메인브라켓(3)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높이의 수직판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판 부분을 메인브라켓(3)의 측면부상에 맞대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메인브라켓(3)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판의 하측부에 메인브라켓(3)과 대응되는 조립볼트(6)의 체결공(6a)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보조브라켓(9)이 요구되는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시키는 경우에 한해서만 이를 메인브라켓(3)에 조립시켜 사용토록 하고, 보조브라켓(9)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캐리어 구조물의 경우는 거치대(7)와 커버판(8)을 이용하여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시키는 한편, 보조브라켓(9)은 메인브라켓(3)과 분리하여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받침브라켓(10)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시킬 수 있는 캐리어 구조물의 적용범위는 보다 폭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걸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받침브라켓(10)을 이용하여 레일형 루프랙(2)상에 캐리어 구조물을 설치하여 놓은 상태를 종류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측 루프랙(2)에 걸쳐 가로지게 연결되는 크로스바(11)를 캐리어 구조물로 설치한 것이고, 도 7은 소형 텐트 등의 설치가 가능한 평판 형태의 덱크판(12)을 캐리어 구조물로 설치한 것이며, 도 8은 소형 선박이 포함된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보다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격자 골조형 덱크프레임(13)을 캐리어 구조물로 설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크로스바(11)의 경우는 막대형 몸체의 좌,우측 끝단부가 받침브라켓(10)의 거치대(7)와 커버판(8) 사이에 놓여지는 한편, 상기 덱크판(12)의 경우는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브라켓(10)의 거치대(7)와 커버판(8) 사이에 놓여진 상태에서, 커버판(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볼트(6)에 의하여 레일형 루프랙(2)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덱크프레임(13)의 경우는 좌,우측의 테두리 프레임 부분이 보조브라켓(9)의 수평판과 메인브라켓(3) 사이로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보조브라켓(9)의 수평판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볼트(6)에 의하여 레일형 루프랙(2)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각각의 레일형 루프랙(2)마다 3개의 받침브라켓(10)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캐리어 구조물의 크기 또는 형태 등에 맞추어 최소 2개에서부터 4개 이상의 받침브라켓(10)이 각각의 레일형 루프랙(2)마다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관점에서 받침브라켓(10)을 이용하여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시키는 방식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해당 구조물의 크기 또는 형태 등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브라켓(3) 내측 상부의 조립프레임(5) 사이에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2a)를 삽입시키는 한편, 메인브라켓(3) 타측면의 체결공(6a)을 통하여 조립볼트(6)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자형의 메인브라켓(3)을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 부분과 견고히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메인브라켓(3) 외측면의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캐리어 구조물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브라켓(3)의 상측부에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된 거치대(7)와 커버판(8) 및 메인브라켓(3)의 상단에 "Γ"자 형태로 배치되는 보조브라켓(9)을 이용하여 캐리어 구조물을 받침브라켓(10)상에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일차 거치시킨 후, 해당 캐리어 구조물을 볼트체결에 의하여 레일형 루프랙(2)과 최종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루프랙(2)에 적용되었던 크로스바(11) 뿐만 아니라, 소형 텐트의 설치에 적합한 덱크판(12)이나 소형 선박을 포함하는 각종 물품 또는 장비의 적재가 가능한 덱크프레임(13) 등의 다양한 캐리어 구조물을 누구나 손쉽게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받침브라켓(10)을 베이스로 하여 레일형 루프랙(2)에 장착된 캐리어 구조물상에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경우,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메인브라켓(3) 일측 하단의 받침대(4)가 루프랙(2)과 함께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걸쳐 골고루 분산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루프랙(2)만으로는 운반이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2)의 파손없이 차량으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으며, 해당 받침대(4)의 바닥면에 부착된 완충패드(4a)에 의하여 루프패널(1a)의 불필요한 손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장착된 캐리어 구조물을 레일형 루프랙(2)으로부터 즉시 분리한 다음, 다른 용도의 캐리어 구조물로 필요시마다 용이하게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물품이나 장비를 운반코자 할 경우에는 캐리어 구조물 자체를 받침브라켓(10)과 함께 분리시켜 기존의 루프랙(2)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2)을 제거하고 새로운 거치대를 캐리어 수단으로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서도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최적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진 것인 바,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앞서 예시된 구조와 치수 조건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이후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하여서만 평가되어져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차량 1a : 루프패널 2 : 루프랙
2a : 상단돌출부 3 : 메인브라켓 4 : 받침대
4a : 완충패드 5 : 조립프레임 6 : 조립볼트
6a,8a,9a : 체결공 7 : 거치대 7a : 보강대
8 : 커버판 9 : 보조브라켓 10 : 받침브라켓
11 : 크로스바 12 : 덱크판 13 : 덱크프레임

Claims (5)

  1. 차량(1)의 지붕이 되는 루프패널(1a)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걸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2)과 연계되어 차량(1)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 운반시킬 수 있는 각종 캐리어 구조물의 장착베이스를 제공토록 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2)은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식 몸체의 바닥면이 차량(1)의 루프패널(1a)과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는 레일형 루프랙(2)이 되고, 상기 브라켓은 레일형 루프랙(2)과 끼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캐리어 구조물용 받침브라켓(10)이 되며,
    상기 받침브라켓(10)은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3)과, 상기 메인브라켓(3)의 일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4)와, 상기 메인브라켓(3)의 일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프레임(5)의 사이로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2a)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메인브라켓(3)의 타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2)상에 메인브라켓(3)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6)의 체결공(6a)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브라켓(3)의 외측면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의 조립수단은, 메인브라켓(3)의 일측 상부에서 메인브라켓(3)의 외측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만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7)와 커버판(8)이 되거나, 메인브라켓(3)의 타측 상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Γ"자 형태의 보조브라켓(9)이 되거나, 상기 거치대(7)와 커버판(8)과 보조브라켓(9)을 혼용하는 것이 되며,
    상기 커버판(8)은 메인브라켓(3)의 상단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메인브라켓(3)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7)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판(8)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인브라켓(3)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8)상에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6)의 체결공(8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7)와 받침대(4)의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보강대(7a)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브라켓(9)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판과 소정의 폭을 가지는 수평판이 "Γ"자 형태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측이 메인브라켓(3)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판은 캐리어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6)의 체결공(9a)이 형성된 상태로 메인브라켓(3)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9)은 메인브라켓(3)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높이의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수직판 부분을 메인브라켓(3)의 측면부상에 맞대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메인브라켓(3)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수직판의 하측부에 메인브라켓(3)과 대응되는 조립볼트(6)의 체결공(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5)은 상부측 프레임의 돌출폭이 하부측 프레임의 돌출폭보다 2~3mm 정도 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의 바닥면에는 루프패널(1a)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4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KR1020170090198A 2017-07-17 2017-07-17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KR10197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98A KR101974726B1 (ko) 2017-07-17 2017-07-17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98A KR101974726B1 (ko) 2017-07-17 2017-07-17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618A true KR20190008618A (ko) 2019-01-25
KR101974726B1 KR101974726B1 (ko) 2019-05-02

Family

ID=6528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198A KR101974726B1 (ko) 2017-07-17 2017-07-17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7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2871A (zh) * 2019-10-15 2020-01-14 钱为方 一种行李架
WO2020218756A1 (ko) * 2019-04-23 2020-10-2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320741B1 (ko) * 2020-09-28 2021-11-01 윤민석 차량용 타프 고정장치
KR102489122B1 (ko) *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KR20230084873A (ko) * 2021-12-06 2023-06-13 안경호 다용도 루프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642B1 (ko) * 2020-04-29 2022-05-27 김린 밀착형 자동차 루프 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797A (ja) * 1995-02-16 1996-08-27 Osaka Banbaa Seisakusho:Kk 自動車用のルーフレール架台装置
KR19990017152U (ko) 1997-10-31 1999-05-25 정몽규 루프랙 구조물
JPH11157394A (ja) * 1997-11-28 1999-06-15 Osaka Banbaa Seisakusho:Kk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装置
KR20050024691A (ko) * 2003-09-01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조정 가능한 크로스 레일을 가지는 차량용 루프 랙어셈블리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KR20160073136A (ko) 2014-12-16 2016-06-24 오유준 경차용 루프랙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797A (ja) * 1995-02-16 1996-08-27 Osaka Banbaa Seisakusho:Kk 自動車用のルーフレール架台装置
KR19990017152U (ko) 1997-10-31 1999-05-25 정몽규 루프랙 구조물
JPH11157394A (ja) * 1997-11-28 1999-06-15 Osaka Banbaa Seisakusho:Kk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装置
KR20050024691A (ko) * 2003-09-01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조정 가능한 크로스 레일을 가지는 차량용 루프 랙어셈블리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KR20160073136A (ko) 2014-12-16 2016-06-24 오유준 경차용 루프랙 유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56A1 (ko) * 2019-04-23 2020-10-2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N110682871A (zh) * 2019-10-15 2020-01-14 钱为方 一种行李架
KR102320741B1 (ko) * 2020-09-28 2021-11-01 윤민석 차량용 타프 고정장치
KR20230084873A (ko) * 2021-12-06 2023-06-13 안경호 다용도 루프랙 장치
KR102489122B1 (ko) *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726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26B1 (ko)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US7407216B2 (en) Frame for building a vehicular body with a load bearing support system
US7182396B2 (en) Structurally independent load bearing support system
US7322499B2 (en) Truck sports rack
KR101881254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US6139249A (en) Truck box ramp
US4215894A (en) Demountable assembly for attaching a camper body and load carrier to a pickup body
US20150014381A1 (en) Rack and try device
AU2005288910A1 (en) Folding sub-dividing element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frames
KR101757340B1 (ko) 트레일러의 위치 가변형 화물 지지바 고정장치
US7108141B2 (en) Fragile article transportation, display and storage system
US8141742B2 (en) Storage container cover
CN211392060U (zh) 承托装置及冷链运输设备
CN216402569U (zh) 一种集装箱
CA2763086A1 (en) Solar panel racking system and transport mechanism
JP5120704B2 (ja) 鉄道輸送用防振マット
US20060072994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material
CN107618774B (zh) 运输支架及具有其的集装箱
US20200114980A1 (en) Cargo box storage caddy with removable containers
GB2201924A (en) Frail for transporting glass or other sheets on vehicles
CN214397713U (zh) 箱体物件运输用工装
CN110654317A (zh) 车顶盘结构
JPH1193265A (ja) 可搬型防災倉庫
JP2008285168A (ja) 板状体搬送具
JP5507918B2 (ja) 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