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254B1 -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254B1
KR101881254B1 KR1020170055888A KR20170055888A KR101881254B1 KR 101881254 B1 KR101881254 B1 KR 101881254B1 KR 1020170055888 A KR1020170055888 A KR 1020170055888A KR 20170055888 A KR20170055888 A KR 20170055888A KR 101881254 B1 KR101881254 B1 KR 10188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of
roof rack
vehic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중무
Original Assignee
송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중무 filed Critical 송중무
Priority to KR102017005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서 운반시킬 수 있도록 루프랙에 장착시켜 사용이 가능한 프레임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루프랙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메인프레임을 "E"자 형상의 받침브라켓과 밴드식 클램프를 이용하여 루프랙과 함께 견고하게 결속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브라켓의 바닥면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상에 놓여지도록 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방 단부측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사각형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토록 하고,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은 상기 받침브라켓이 루프랙과 함께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토록 하며, 이를 통하여 기존의 루프랙만으로는 운반하기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의 파손없이 차량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비교적 소형의 물품이나 장비를 운반할 시에는 해당 거치대를 분리하여 기존 루프랙을 사용토록 하는 한편, 분리된 거치대는 그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각종 물품이나 장비의 운반 이외에도 1~2인용의 소형 텐트를 차량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덱크 등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한 루프랙용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Multi-purpose supporting frame mounted on the roof-rack of a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과 연계되어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특히 기존의 루프랙만으로는 운반이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소형 선박 등의 레저 장비를 차량에 손쉽게 실어서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루프랙으로부터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랙(Roof-rack)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걸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 형태의 선반용 부품으로서,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차량 위에 실어서 운반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차종에 따라 상기 루프랙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것도 있다.
통상, 운반코자 하는 물품이나 장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캐리어박스의 내부에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이 캐리어박스를 루프랙상에 고정시켜 운반하고, 스키장비 등과 같이 그 길이 또는 부피가 다소 큰 물품의 경우에는 루프랙의 상부면에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놓고 결속끈 등으로 단단하게 동여맨 후 차량으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루프랙은 그 무게가 비교적 가볍고 부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 위에 실어서 운반하는 측면에서는 별다른 무리가 없으나, 그 무게가 상당히 무겁고 부피가 비교적 큰 물품이나 장비를 실어서 운반할 경우에는 루프랙이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안전한 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1~2인용의 소형 텐트를 차량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덱크(Deck) 등의 용도로는 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좌,우측 루프랙의 사이에 걸쳐 다수 개의 크로스바(Cross bar)를 연결시키거나, 차량의 루프패널 자체에 골조프레임 구조의 수납식 거치대를 설치함으로서, 보다 더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으로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차량의 상부에 소형 텐트 등의 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1999-0017152호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73136호에 각각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이 크로스바를 거쳐 결국에는 루프랙에 모두 집중됨으로서,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물품이나 장비의 운반시 루프랙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거치대를 차량의 루프패널에 제공된 빗물방지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작업이나, 해당 거치대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자체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분리된 거치대의 보관 역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후자의 거치대는 루프랙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제품의 호환성(互換性)이 낮고, 만일 적용코자 한다면 차량에 기설치되어 있는 루프랙을 제거하는 불필요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적은 물품이나 장비는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루프랙을 제거함에 따라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거치대에 실어서 운반하는 비경제적인 상황이 유발되었다.
특히, 낚시 전용의 소형 선박을 차량 위에 실어서 운반시킬 수 있는 루프랙이나 거치대는 현재까지 개발된 바가 없기 때문에, 바퀴가 달린 선박용 캐리어를 구입하여 해당 캐리어에 선박을 올려 놓은 다음, 캐리어와 선박을 차량으로 견인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는 바, 선박용 캐리어 자체가 매우 고가이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게 됨은 물론이고,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관리나 보관에 있어서도 소비자들이 상당한 곤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 들어 야외에서의 레저 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가족이나 친구 또는 동호회 단위의 캠핑족이 급증하고 있으며, 낚시와 같은 레저 활동에 있어서도 제한된 장소에서 선박을 대여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신이 구매한 선박을 요구하는 목적지까지 차량으로 직접 이동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기존의 루프랙보다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를 운송할 수 있고, 텐트용 덱크 등의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1999-001715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7313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344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루프랙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메인프레임을 "E"자 형상의 받침브라켓과 밴드식 클램프를 이용하여 루프랙과 함께 견고하게 결속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브라켓의 바닥면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상에 놓여지도록 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방 단부측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사각형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토록 하고, 해당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은 상기 받침브라켓이 루프랙과 함께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토록 한 루프랙용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내측에 신축프레임을 추가로 삽입시키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메인프레임용 신축프레임의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도록 하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단부측에는 신축프레임의 돌출길이를 고정시키는 세팅볼트를 설치함으로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신축프레임이 돌출되는 길이를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상부에 제공되는 물품이나 장비의 적재공간을 매우 다양한 크기로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을 추가로 연결 설치함으로서, 물품이나 장비에 대한 지지력을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루프랙용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과 연계되어 차량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각각의 루프랙 상부면을 따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 전,후방 단부측을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이 해당 루프랙과 함께 루프패널상에서 추가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브라켓과, 상기 받침브라켓을 메인프레임 및 루프랙과 함께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식 클램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브라켓은 상단절곡부와 중앙돌출부와 하단절곡부에 의한 "E"자 형상의 클립식 브라켓이 되고, 상기 상단절곡부와 중앙돌출부의 사이에 메인프레임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중앙돌출부는 루프랙의 상부면에 놓여지고, 상기 하단절곡부가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며, 상기 받침브라켓의 몸체 중앙측에 클램프용 결속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는 신축프레임이 내측에 삽입된 이중파이프 구조가 되고, 상기 신축프레임은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치수로 하여 해당 프레임의 양측 내부로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메인프레임용 신축프레임의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신축프레임의 돌출길이를 요구하는 길이에 맞추어 고정시켜 놓기 위한 세팅볼트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용 신축프레임의 일측 끝단부에는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커버캡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구멍은, 상단절곡부가 굴곡되는 부위에 걸쳐 받침브라켓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ㄱ"자형 구멍과, 중앙돌출부와 하단절곡부를 연결하는 받침브라켓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일자형 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램프는 나선구멍이 형성된 클램핑밴드를 클램핑볼트로 조이는 방식의 T-볼트 클램프가 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브라켓의 하단절곡부 바닥면에는 루프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베이스로 하여 놓여진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다수 개의 받침브라켓이 루프랙과 함께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걸쳐 골고루 분산 지지함으로서, 기존의 루프랙만으로는 운반하기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의 파손없이 차량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이루는 사각형 베이스 구조물을 텐트 설치용 덱크 등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끼움 조립식의 클립형 받침브라켓과 밴드 조임식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에 거치대를 필요시마다 매우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고, 해당 거치대를 루프랙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 역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분리된 거치대는 그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을 제거하고 새로운 거치대를 설치하는 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적은 물품이나 장비는 기존의 루프랙으로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경제적인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신축프레임이 돌출되는 길이를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량의 상부에 제공되는 물품이나 장비의 적재공간을 요구하는 크기로 세팅시킬 수 있는 바, 이를 통하여 한층 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을 추가로 연결시킨 경우에는 물품이나 장비에 대한 지지력을 한층 더 배가시키고, 텐트용 덱크 용도로서의 활용가치를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레저 활동에 최적화된 루프랙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가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의 신축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 평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1a)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2)을 기초로 하여 장착됨으로서, 차량(1)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차량(1)의 상부에 실어서 운반시킬 수 있는 프레임식 적재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선 종래기술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본 발명의 거치대(10) 역시 해당 루프랙(2)과 함께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될 것이며,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기본적인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거치대(10)상에 고정시키는 것은 기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결속끈이나 결속로프 등을 사용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의 세부적인 구조는 도 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루프랙(2) 상부면을 따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는 메인프레임(Main-frame)(5)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5) 전,후방 단부측을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6)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5)이 해당 루프랙(2)과 함께 루프패널(1a)상에서 추가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브라켓(3)과, 상기 받침브라켓(3)을 메인프레임(5) 및 루프랙(2)과 함께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Band)식 클램프(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도면상 좌,우측 루프랙(2)마다 각각 2개씩 총 4개의 받침브라켓(3)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받침브라켓(3)의 적용갯수가 많아질수록 거치대(10)의 지지력과 적재하중의 분산기능은 향상되지만, 거치대(10)의 장착이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소 길어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루프랙(2)마다 최소 1개 이상의 받침브라켓(3)이 설치된다는 조건하에서 거치대(10)에 올려 놓고자 하는 물품이나 장비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갯수의 받침브라켓(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좌,우측 메인프레임(5)의 사이에 걸쳐서는 거치대(10)의 강도보강을 위한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9)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상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일자형 보강프레임(9)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메인프레임(5)의 사이에 걸쳐 연결 설치되어 있으나, 보강프레임(9)이 설치되는 형태는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형태, 예를 들어 "十" 형태나 "X" 형태의 교차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부가 되는 상기 받침브라켓(3)의 세부적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절곡부(11)와 중앙돌출부(12)와 하단절곡부(13)에 의한 "E"자 형상의 클립(Clip: 끼움쇠)식 브라켓이 되고, 상기 상단절곡부(11)와 중앙돌출부(12)의 사이에 메인프레임(5)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중앙돌출부(12)는 루프랙(2)의 상부면에 놓여지고, 상기 하단절곡부(13)가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놓여지며, 상기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측에 클램프(4)용 결속구멍(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4)는 도면상 나선구멍(15a)이 형성된 클램핑밴드(15)를 클램핑볼트(16)로 조이는 방식의 공지된 T-볼트 클램프가 사용되었으나, 메인프레임(5)과 받침브라켓(3)을 해당 루프랙(2)과 함께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속 및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시마다 해당 루프랙(2)으로부터 메인프레임(5)과 받침브라켓(3)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밴드식 클램프가 사용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밴드식 클램프 이외에도 고리형 클램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밴드식 클램프(4)를 이용한 메인프레임(5)과 루프랙(2)의 결속 및 고정 작업시, 클램핑밴드(15)가 메인프레임(5)과 결착(結着)되는 부위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거치대(10)의 안정적인 장착 측면에서 유리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브라켓(3)에는 상단절곡부(11)가 굴곡되는 부위에 걸쳐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ㄱ"자형 구멍과, 중앙돌출부(12)와 하단절곡부(13)를 연결하는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일자형 구멍이 포함된 2개의 결속구멍(1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결속구멍(14) 중에서 일자형 구멍이 클램핑밴드(15)를 감아두기 위한 메인구멍이 되고, "ㄱ"자형 구멍은 클램핑밴드(15)와 메인프레임(5)과의 결착 부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보조구멍이 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브라켓(3)의 하단절곡부(13) 바닥면에는 루프패널(1a)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a)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패드(3a)는 고무패드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외에도 인장강도와 탄력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의 패드(Pad)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1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과 받침브라켓(3) 및 클램프(4)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거치대(10) 자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은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프레임(5)의 경우는 받침브라켓(3)과 클램프(4)를 이용한 루프랙(2)과의 결속 및 고정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 보다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을 파이프 형태로 제작할 경우,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는 신축프레임(7)을 해당 프레임(5)(6)의 내측에 이중관 형태로 삽입시킴으로서, 신축프레임(7)의 돌출길이를 조정하여 본 발명의 거치대(10)가 제공하는 적재공간의 크기(면적)를 다양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치수로 상기 신축프레임(7)를 제작한 다음, 이를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양측 내부로 각각 삽입 설치함으로서, 메인프레임(5)의 전,후방측과 서브프레임(6)의 좌,우측으로 신축프레임(7)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였고, 각각의 서브프레임(6)은 메인프레임(5)용 신축프레임(7)의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도록 하였으며,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양측 단부에는 신축프레임(7)의 돌출길이를 요구하는 길이에 맞추어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세팅볼트(Setting bolt)(8)를 설치하였다.
상기 세팅볼트(8)는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그 내부의 신축프레임(7)측으로 가압 체결됨으로서, 신축프레임(7)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통상의 막대볼트에 고리 형상의 회전손잡이가 연결된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서브프레임(6)용 신축프레임(7)의 일측 끝단부에는 해당 신축프레임(7)을 외부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커버캡(7a)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내측면이 신축프레임(7)의 외측면과 완전히 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으로부터 신축프레임(7)을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각각의 신축프레임(7)이 미세한 간극(間隙)을 두고 메인프레임(5) 및 서브프레임(6)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을 사각파이프로 하고, 신축프레임(7)은 원형파이프로 하여 각 프레임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을 베이스로 하여 놓여진 물품이나 장비의 하중을 다수 개의 받침브라켓(3)이 루프랙(2)과 함께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걸쳐 골고루 분산 지지함으로서, 기존의 루프랙(2)만으로는 운반하기 어려웠던 무거운 물품이나 장비, 예를 들어 소형 선박과 같은 레저 장비를 루프랙(2)의 파손없이 차량(1)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이 제공하는 사각형 베이스 구조물을 텐트 설치용 덱크 등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끼움 조립식의 클립형 받침브라켓(3)과 밴드 조임식의 클램프(4)를 이용하여 차량(1)에 기설치된 루프랙(2)에 거치대(10)를 필요시마다 매우 손쉽고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고, 해당 거치대(10)를 루프랙(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 역시 각각의 클램프(4)만을 풀어내는 간단한 방식으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루프랙(2)으로부터 분리한 거치대(10)는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으로 추가 분리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실내 또는 각종 장소에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차량(1)에 기설치된 루프랙(2)상에 거치대(10)를 손쉽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음에 따라, 차량(1)에 기설치된 루프랙(2)을 제거하고 새로운 거치대(10)를 설치하는 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적은 물품이나 장비는 본 발명의 거치대(10)를 사용하는 대신 차량(1)에 기설치된 루프랙(2)을 이용하여 운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합리적인 운용방식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많은 경제적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으로부터 신축프레임(7)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거치대(10)에 의한 물품이나 장비의 적재공간을 요구하는 크기(면적)로 세팅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1)으로 운반시킬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5)의 사이에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9)을 추가로 연결시킴으로서, 물품이나 장비에 대한 지지력을 한층 더 배가시키고, 텐트용 덱크 용도로서의 활용가치를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 앞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각종 물품이나 장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기본적인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해당 물품이나 장비를 거치대(10)와 일체로 고정시키는 데에는 별도의 결속끈이나 결속로프 등이 사용될 것이므로, 이러한 결속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과 보강프레임(9)의 임의 위치에 금속제 결속고리나 결속후크 등을 일체로 용접시켜 놓을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차량 1a : 루프패널 2 : 루프랙
3 : 받침브라켓 3a : 완충패드 4 : 클램프
5 : 메인프레임 6 : 서브프레임 7 : 신축프레임
7a : 커버캡 8 : 세팅볼트 9 : 보강프레임
10 : 거치대 11 : 상단절곡부 12 : 중앙돌출부
13 : 하단절곡부 14 : 결속구멍 15 : 클램핑밴드
15a : 나선구멍 16 : 클램핑볼트 16a : 볼트케이스

Claims (7)

  1. 차량(1)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1a)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2)과 연계되어 차량(1)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실어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거치대(10)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는, 각각의 루프랙(2) 상부면을 따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는 메인프레임(5)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5) 전,후방 단부측을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서브프레임(6)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5)이 해당 루프랙(2)과 함께 루프패널(1a)상에서 추가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브라켓(3)과, 상기 받침브라켓(3)을 메인프레임(5) 및 루프랙(2)과 함께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식 클램프(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브라켓(3)은 상단절곡부(11)와 중앙돌출부(12)와 하단절곡부(13)에 의한 "E"자 형상의 클립식 브라켓이 되고, 상기 상단절곡부(11)와 중앙돌출부(12)의 사이에 메인프레임(5)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중앙돌출부(12)는 루프랙(2)의 상부면에 놓여지고, 상기 하단절곡부(13)가 루프패널(1a)의 상부면에 놓여지며, 상기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측에 클램프(4)용 결속구멍(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은 해당 프레임(5)(6)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는 신축프레임(7)이 내측에 삽입된 이중파이프 구조가 되고, 상기 신축프레임(7)은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치수로 하여 해당 프레임(5)(6)의 양측 내부로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서브프레임(6)은 메인프레임(5)용 신축프레임(7)의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5)과 서브프레임(6)의 양측 단부에는 신축프레임(7)의 돌출길이를 요구하는 길이에 맞추어 고정시켜 놓기 위한 세팅볼트(8)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6)용 신축프레임(7)의 일측 끝단부에는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커버캡(7a)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멍(14)은, 상단절곡부(11)가 굴곡되는 부위에 걸쳐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ㄱ"자형 구멍과, 중앙돌출부(12)와 하단절곡부(13)를 연결하는 받침브라켓(3)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일자형 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는 나선구멍(15a)이 형성된 클램핑밴드(15)를 클램핑볼트(16)로 조이는 방식의 T-볼트 클램프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브라켓(3)의 하단절곡부(13) 바닥면에는 루프패널(1a)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5)의 사이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보강프레임(9)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KR1020170055888A 2017-05-01 2017-05-01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KR10188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88A KR101881254B1 (ko) 2017-05-01 2017-05-01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88A KR101881254B1 (ko) 2017-05-01 2017-05-01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254B1 true KR101881254B1 (ko) 2018-07-23

Family

ID=6310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88A KR101881254B1 (ko) 2017-05-01 2017-05-01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2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5147A (zh) * 2018-11-02 2019-03-12 重庆市金迪汽车装饰有限责任公司 一种伸缩式行李框
WO2020045961A1 (ko) * 2018-08-27 2020-03-05 주식회사 아이캠퍼 루프탑 텐트의 고정 장치
KR20200001112U (ko) 2018-11-22 2020-05-29 오영교 차량 루프랙용 멀티 고정장치
US20220242330A1 (en) * 2021-02-04 2022-08-04 Thomas Doherty Combination Bicycle and Cargo Rack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427A (ja) * 1995-12-06 1997-06-17 Koji Yamao 自動車用荷物台
KR19990017152U (ko) 1997-10-31 1999-05-25 정몽규 루프랙 구조물
JP2000033838A (ja) * 1998-07-17 2000-02-02 Okada Shoji Kk 車輛用ボ−ト積載装置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KR20160073136A (ko) 2014-12-16 2016-06-24 오유준 경차용 루프랙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427A (ja) * 1995-12-06 1997-06-17 Koji Yamao 自動車用荷物台
KR19990017152U (ko) 1997-10-31 1999-05-25 정몽규 루프랙 구조물
JP2000033838A (ja) * 1998-07-17 2000-02-02 Okada Shoji Kk 車輛用ボ−ト積載装置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KR20160073136A (ko) 2014-12-16 2016-06-24 오유준 경차용 루프랙 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61A1 (ko) * 2018-08-27 2020-03-05 주식회사 아이캠퍼 루프탑 텐트의 고정 장치
CN112823231A (zh) * 2018-08-27 2021-05-18 伊坎珀有限公司 车顶帐篷的固定装置
CN109455147A (zh) * 2018-11-02 2019-03-12 重庆市金迪汽车装饰有限责任公司 一种伸缩式行李框
KR20200001112U (ko) 2018-11-22 2020-05-29 오영교 차량 루프랙용 멀티 고정장치
US20220242330A1 (en) * 2021-02-04 2022-08-04 Thomas Doherty Combination Bicycle and Cargo Rack
US11738693B2 (en) * 2021-02-04 2023-08-29 Thomas Doherty Combination bicycle and cargo rack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254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US10322662B2 (en) Kayak transport dolly and storage rack
US6662983B2 (en) Multi-configuration, multi-purpose rack system
US7014236B2 (en) Pickup truck recreational equipment rack
US4406384A (en) Detachable load carrier for a vehicle
US4610362A (en) Frame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pipes
US20090056592A1 (en) Combined cargo carrier and portable table
US7419075B2 (en) Utility rack for pickup trucks
KR101974726B1 (ko)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US9102350B2 (en) Multi-function cart
US20140326765A1 (en) Automotive cargo carrying systems
US11034391B2 (en) Tool rack system and method
US20040007839A1 (en) Collapsible rack for an automotive body panel
US6065916A (en) Portable base for anchoring and transporting unstrable articles
US8662506B2 (en) Multi-function cart
US20140191527A1 (en) Modular load support an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 vehicle
US20110079620A1 (en) Kit for modular structures on a vehicle
US6371343B1 (en) Removable tie down brace for vehicle
AU2013100976A4 (en) A load or accessory securing system and tray using same
US20210253018A1 (en) Transporter assembly
US20190315568A1 (en) Truss storage and transport apparatus
US20210139082A1 (en) Railing assembly for trailer
US20070007785A1 (en) Cargo deck for truck box
US7600954B2 (en) Load securing device
CN107618774B (zh) 运输支架及具有其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