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600A -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600A
KR20190006600A KR1020197000575A KR20197000575A KR20190006600A KR 20190006600 A KR20190006600 A KR 20190006600A KR 1020197000575 A KR1020197000575 A KR 1020197000575A KR 20197000575 A KR20197000575 A KR 20197000575A KR 20190006600 A KR20190006600 A KR 20190006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stator
lead wire
connec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무라타
다츠야 이마이
세이지 호시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스테이터(12)와, 스테이터(12)에 조립된 버스 링(32)과, 스테이터(12) 및 버스 링(32)을 수용하는 하우징(22)을 구비한다. 버스 링(32)은 하우징(22)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30)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단자대(44)를 구비한다. 스테이터(12)에 조립되는 서미스터(62)와 서미스터(62)를 전기적으로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74)를 접속하는 리드선(72)이 개구부(30)의 깊은 곳과 단자대(44) 사이의 간극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본 발명은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44025호 공보는 모터 케이스에 모터 제너레이터를 수용한 트랜스 액슬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단자대가 배치되고, 모터 케이스의 단자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모터 제너레이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단자대 사이에 3상의 케이블이 배치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44025호 공보는 모터 케이스에 있어서 개구부와는 별도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스테이터에 접속한 서미스터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이 커넥터에 접속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44025호 공보가 개시하는 트랜스 액슬에 의해, 모터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려고 해도, 개구부와는 별도로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모터 케이스의 축방향의 소형화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모터의 하우징의 축방향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조립된 모터 배전 부품과, 스테이터 및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모터 배전 부품은,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단자대를 구비한다. 스테이터에 조립되는 센서와 센서를 전기적으로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를 접속하는 리드선이 개구부의 깊은 곳과 단자대 사이의 간극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주요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주요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측면도(커넥터 가조립 시)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측면도(커넥터 취출 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저면도(커넥터 가조립 시)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저면도(커넥터 취출 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조립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공정(버스 링으로의 서미스터의 가조립)의 모식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공정(단자대의 개구부로의 삽입 관통 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공정(버스 링을 하우징에 접속)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공정(서미스터 홀더의 버스 링으로의 조립)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10)는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12)와, 스테이터(12)를 수용하는 하우징(22)과, 스테이터에 조립하는 버스 링(32)과, 버스 링(32)에 가조립된 서미스터 유닛(60)(온도 센서)으로 구성된다.
스테이터(1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 형상을 갖고, 둘레 방향으로 코일(U상, V상, W상)이 등간격으로 복수 배열된 형태를 갖고 있다. 코일은 철심(16)과, 철심(16)을 피복하는 인슐레이터(18)와, 철심(16)(인슐레이터(18))의 주위에 권회된 코일선(20)을 갖는다. 또한,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는 보빈(18a)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일은 24개 배열되고, U상 코일(14U), V상 코일(14V), W상 코일(14W)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스테이터(12)의 내측(중심부)에는 소정의 에어 갭을 통해 스테이터(12)와 동축으로 로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2)은 상단에 있는 도입구(24)(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스테이터(12), 로터(도시하지 않음), 버스 링(32)을 수용하는 것이고, 스테이터(12)의 외형에 따르며, 또한 스테이터(12) 및 로터(도시하지 않음)와 동축이 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있다. 하우징(22)의 하부에는 로터(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2)의 내벽에는 버스 링(32)을 볼트(78)(도 2에서는 생략)에 의해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26)(암나사)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측벽의 상단으로부터는 외부 단자용 홀더(28)가 동경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외부 단자용 홀더(28)는 동경(動經)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그 도중으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돌출되고, 그 경사 부분에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28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측벽의 상부이며 외부 단자용 홀더(28)의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에는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0)에는 버스 링(32)을 구성하는 단자대(44)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하우징(22)의 상단에는 덮개부(도시하지 않음)가 조립되고, 도입구(24)를 밀봉할 수 있다.
버스 링(32)은 하우징(22) 및 스테이터(12)에 조립되는 것이다. 버스 링(32)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링형 본체(34)와, 본체(34)로부터 연장 돌출된 단자대(44)를 갖는다. 본체(34) 중 단자대(44)가 연장 돌출되는 부분은 접속부(36)로 되어 있다. 본체(34)에는 U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V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W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N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단자대(44)에는 U상 전극(46U), V상 전극(46V), W상 전극(46W)(도 2)이 배치되어 있다. U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U상 전극(46U)에 접속되고, V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V상 전극(46V)에 접속되고, W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W상 전극(46W)에 접속되어 있다. U상 전극(46U), V상 전극(46V), W상 전극(46W)에는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삽입 관통 구멍(28a)에 삽입 관통되어 외부 단자용 홀더(28)에 고정·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상 코일(14U), V상 코일(14V), W상 코일(14W)은 각각 8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U상 전극(46U)에는 8개의 U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병렬로 접속되고, V상 전극(46V)에는 8개의 V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병렬로 접속되고, W상 전극(46W)에는 8개의 W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병렬로 접속된다.
N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서로 인접하는 U상 코일(14U), V상 코일(14V), W상 코일(14W)의 3개의 코일의 범위에서 접속하는 중성선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N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본체(34)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8개로 분할되는 접속 형태여도 되고, 1개의 N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본체(34) 전체를 주회하는 접속 형태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상 코일(14U)과 U상 전극(46U)이 U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고, V상 코일(14V)과 V상 전극(46V)이 V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고, W상 코일(14W)과 W상 전극(46W)이 W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34)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34a)은 버스 링(32)을 하우징(22)에 조립할 때에 하우징(22)에 형성된 볼트 구멍(26)에 연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44)는 접속부(36)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다. 단자대(44)는 버스 링(32)을 하우징(22)에 조립했을 때에, 단자대(44)와 외부 단자용 홀더(28)의 경사 부분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단자대(44)의 상면에는 전술한 U상 전극(46U), V상 전극(46V), W상 전극(46W)이 배치되어 있고, 각각 외부 단자용 홀더(28)의 삽입 관통 구멍(28a)에 대향하고 있다.
버스 링(32)에는 서미스터 유닛(60)이 가조립된다. 서미스터 유닛(60)은 스테이터(12)에 권취된 코일선(20)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서미스터 유닛(60)은 서미스터(62)(센서)를 보유 지지하는 서미스터 홀더(64), 서미스터(62)에 접속한 리드선(72), 리드선(72)이 접속한 커넥터(74)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리드선(72)의 길이 및 직경은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이 서미스터 유닛(60)을 가조립하기 위해, 단자대(44)에는 커넥터(74)를 가조립 가능한 가조립부(48)와, 리드선(72)을 수용하는 수용부(52)를 갖는다. 또한, 접속부(36) 및 서미스터 홀더(64)에는 서미스터 홀더(64)를 가조립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36)에는 꽂임촉(38)이 배치되고(도 11 참조), 서미스터 홀더(64)에는 꽂임촉(38)을 끼워 맞추는 꽂임촉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것 이외에도 서미스터 홀더(64)를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가조립되도록 해도 된다. 서미스터 홀더(64)의 가조립의 부위는 버스 링(32)의 어느 위치여도 되지만, 버스 링(32)을 하우징(22)에 조립했을 때에, 서미스터 홀더(64)가 개구부(30)보다도 내측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서미스터 홀더(64)에는 서미스터 홀더(64)를 스테이터(12)에 내장하기(서미스터(62)를 코일선(20)에 누르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미스터 홀더(64)는 보빈(18a)에 걸림 결합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서미스터 홀더(64)가 보빈(18a)에 걸림 결합하면 서미스터 홀더(64)가 서미스터(62)를 코일선(20)에 압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도 4에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측면도(커넥터 가조립 시, 커넥터 취출 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 도 6에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를 구성하는 버스 링의 단자대의 저면도(커넥터 가조립 시, 커넥터 취출 후)를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조립부(48)는 단자대(44)의 측면이며, 버스 링(32)을 조립할 때에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방향에 면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가조립부(48)는 커넥터(74)의 두께(폭)보다도 약간 작은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 간극에 커넥터(74)가 끼워 맞춰진다. 또한 단자대(44)의 가조립부(48)가 설치된 측면에는 커넥터(74) 부근의 리드선(72)(또는, 리드선(72)을 보호하는 후술하는 튜브)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거는 후크부(50a, 50b)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50a)는 리드선(7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후크부(50b)는 리드선(72)을 상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도 3, 도 4와 같이 단자대(44)의 측면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후크부(50a)의 상단과 후크부(50b)의 하단과 간격은 리드선(72)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설계된다. 이에 의해, 후크부(50a, 50b)는 리드선(72)을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리드선(72)을 후크부(50a, 50b)에 지지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고 커넥터(74)가 가조립부(48)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52)는 단자대(44)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된 오목부로 되어 있다. 수용부(52)의 폭 방향의 측벽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6)는 그 폭이 리드선(72)(또는, 리드선(72)을 보호하는 후술하는 튜브)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56)에 리드선(72)을 끼워 맞춤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52)에 있어서, 오목부의 저면으로 되는 위치에는 리드선(72)(또는, 리드선(72)을 보호하는 후술하는 튜브)이 권취되는 권취부(54)가 마련되어 있다. 권취부(54)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을 갖고, 원기둥의 측면으로 되는 위치에 리드선(72)을 권취할(예를 들어, 반주분) 수 있다. 또한, 권취부(54)는 수용부(52)에 수용하는 리드선(72)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된다. 도 5에 있어서는, 리드선(72)은 수용부(52)의 폭 방향으로 1주기 반 진폭하는 양태로 권취부(54)에 권취되어 있지만, 권취부(54)의 개수 및 권취의 패턴은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절결부(56)는 수용부(52)를 형성하는 폭 방향의 동일한 측벽에 형성되어 있지만, 한쪽의 절결부(56)를 한쪽의 측벽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절결부(56)를 다른 쪽의 측벽에 형성해도 된다. 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74)를 가조립부(48)로부터 제거하면, 리드선(72)은 후크부(50a, 50b), 절결부(56), 권취부(54)로부터 개방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는 단자대(44)의 단면 방향(도 3, 도 4와 같이 단자대를 본 방향, 즉,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방향)의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44)의 단면 방향으로부터 단자대(44)를 보았을 때, 수용부(52)는 단자대(44)의 측면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커넥터(74)는 단자대(44)의 측면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가조립된다. 따라서, 개구부(30)에 단자대(44)를 삽입 관통할 때에 커넥터(74) 및 수용부(52)가 개구부(30)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 링(32)의 조립 후에 있어서, 개구부(30)의 깊은 곳과 단자대(44) 사이의 간극 A가, 커넥터(74)의 두께 B(혹은, 두께, 폭, 깊이 중 가장 작은 치수)보다도 좁게 되어 있지만, 당해 간극 A에 리드선(72)이 삽입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스 링(32)의 조립 후에, 커넥터(74)를 삽입 관통할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개구부(30)의 치수를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개구부(30), 즉 하우징(22)의 축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버스 링(32)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지만, 적어도 리드선(72)(또는 후술하는 튜브)과 맞닿는 부분은, 어느 정도, 리드선(72)이 미끄러지기 쉬워지도록 표면 가공하여, 커넥터(74)를 취출할 때에 리드선(72)이 단자대(4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조립 공정]
도 7에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공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에,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 조립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스텝 S1(도 7)에 있어서, 하우징(22)에 스테이터(12)를 조립함과 함께, 버스 링(32)에 서미스터 유닛(60)을 가조립한다(도 8).
스텝 S2(도 7)에 있어서, 서미스터 유닛(60)이 가조립된 버스 링(32)의 단자대(44)를 도입구(24)로부터 도입함과 함께,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한다(도 9).
스텝 S3(도 7)에 있어서, 버스 링(32) 전체를 도입구(24)로부터 도입하여 버스 링(32)을 하우징(22) 및 스테이터(12)에 조립한다(도 10). 버스 링(32)의 하우징(22)으로의 조립은 버스 링(32)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34a)에 볼트(78)를 삽입 관통하고, 또한 당해 볼트(78)를 볼트 구멍(26)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행한다. 버스 링(32)의 스테이터(12)로의 조립은 버스 링(32)에 설치된 U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단부, V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단부, W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단부, N상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단부를, 스테이터(12)에 설치된 코일선(20)의 단부에 각각 끼워넣어 용융 압착시킴으로써 행한다.
스텝 S4(도 7)에 있어서, 서미스터 홀더(64)의 가조립을 해제하고, 스테이터(12)(모터)에 조립함으로써 버스 링(32)의 조립 공정은 종료된다(도 11). 커넥터(74)는 버스 링(32)의 조립 후에 가조립을 해제할 수 있고, 그 후 차량측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10)에 의하면, 스테이터(12)에 조립되는 서미스터(62)(센서)와 서미스터(62)를 전기적으로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74)를 접속하는 리드선(72)이 개구부(30)의 깊은 곳과 단자대(44) 사이의 간극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22)에 대하여 커넥터(74)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을 개구부(30)와는 별도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므로, 그만큼, 하우징(22)(모터)의 축방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개구부(30)의 깊은 곳과 단자대(44) 사이의 간극이, 커넥터(74)의 치수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립 후에 커넥터(74)가 잘못하여 개구부(30)로부터 하우징(22) 내로 들어가는 일은 없다. 또한 개구부(30)의 크기는 단자대(44)가 삽입 관통할 정도의 크기면 되므로, 하우징(22)의 축방향을 소형화할 수 있다.
버스 링(32)(모터 배전 부품)은 스테이터(12)에 조립하는 본체(34)와, 본체(34)로부터 연장 돌출된 단자대(44)를 구비하고, 서미스터(62)는 본체(34)에 가조립되고, 커넥터(74)는 단자대(44)에 가조립됨과 함께, 단자대(44)와 함께 개구부(30)에 삽입 관통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는 하우징(22)에 수용된 스테이터(12)에 버스 링(32) 및 서미스터(62)를 조립함과 함께 버스 링(32)을 구성하는 단자대(44)를 하우징(22)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10)의 조립 방법이며, 버스 링(32)에 서미스터(62)를 가조립함과 함께, 단자대(44)의 개구부(30)로의 삽입 관통 방향에 면하는 측면에 서미스터(62)에 리드선(72)을 통해 접속된 커넥터(74)를 가조립하는 스텝(스텝 S1)과, 버스 링(32)을 스테이터(12)에 조립할 때에 단자대(44)와 함께 커넥터(7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스텝(스텝 S2)과, 서미스터(62)의 가조립을 해제하고 서미스터(62)를 스테이터(12)에 조립하는 스텝(스텝 S4)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동작과 커넥터(7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미스터(62) 등의 센서는 버스 링(32)에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하나의 개구부(30)를 사용하여 복수의 배선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30)에 리드선(72) 및 커넥터(74)를 삽입 관통할 때에 특별한 공구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스 링(32)에 서미스터(62)를 가조립하고 있지만, 버스 링(32) 이외의 부재이며, 스테이터(12) 또는 하우징(22)에 조립했을 때에, 개구부(30) 혹은 하우징(22)에 있어서 개구부(30) 이외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 관통하는 부재에도 서미스터(62)를 버스 링(3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조립할 수 있다.
단자대(44)의 개구부(30)의 삽입 관통 방향에 면하는 측면에는 커넥터(74)를 가조립하는 가조립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22)의 개구부(30)의 주위에 간섭하지 않고 커넥터(7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할 수 있다.
단자대(44)는 리드선(72)을 수용하는 수용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할 때에 리드선(72)이 개구부(30)의 깊은 곳 등에 맞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52)의 측벽에는 리드선(72)을 끼워 맞추는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의도하지 않고 리드선(72)이 수용부(5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52) 내에는, 리드선(72)이 권취되는 권취부(5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드선(72)의 여분 길이분을 확실하게 수용부(52)에 수용하고, 리드선(72)이 다른 부분에 걸리거나 리드선(7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미스터(62)는 온도 센서로서 사용된다. 이에 의해, 온도 관리가 가능한 모터가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에 관한 하우징(22)과, 커넥터 전용의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한 하우징을 비교하면, 하우징(22)으로부터 단자대(44)가 노출된 모터인 점이 공통된다. 커넥터 전용의 삽입 관통 구멍을 하우징(22)에 형성하는 경우, 버스 링(32)에 간섭하는 등의 문제에 의해, 개구부(30)와 동일한 축방향의 위치이며 둘레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전용의 삽입 관통 구멍은 하우징(22)에 있어서 개구부(30)와 축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이 삽입 관통 구멍의 직경만큼 하우징(22)의 축방향의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넥터(74)에 접속하는 리드선(72)이 단자대(44)를 삽입 관통하는 개구부(30)의 깊은 곳과 단자대(44) 사이의 간극에 삽입 관통되기 때문에, 커넥터 전용의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하우징(22)의 축방향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2에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A)는 서미스터 유닛의 가조립 시, (B)는 서미스터 유닛의 가조립의 해제 시를 나타낸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서미스터 유닛(60)의 조립 위치가 개구부(30)로부터 먼 위치에 있고, 리드선(72)의 하우징(22)(도 1등 참조) 내에 배치되는 만큼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스 링(32)의 조립 시에 있어서 리드선(72)이 무질서하게 얽히는 등 취급이 번잡해져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미스터(62)(센서)를 보유 지지하는 서미스터 홀더(64)는 리드선(72)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80)(꽂임촉)를 구비한다. 또한, 서미스터 홀더(64)에는 제2 권취부(80)의 상부가 끼워 맞춤되는 꽂임촉 구멍(66)을 구비한다. 한편, 접속부(36)는 제2 권취부(80)의 하부를 지지함(끼워 맞춤함)으로써 서미스터 홀더(64)를 가조립하는 지지부(36a)(꽂임촉 구멍)를 구비한다. 제2 권취부(80)는 권취부(54)와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을 갖고, 리드선(72)을 권취하는 부분이지만, 리드선(72)의 길이에 따라 겹겹이 감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꽂임촉 구멍(66)과 제2 권취부(80)의 끼워 맞춤 강도를, 제2 권취부(80)와 지지부(36a)의 끼워 맞춤 강도보다도 높게 해도 된다. 이 경우(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미스터 홀더(64)를 접속부(36)로부터 이격시키면 제2 권취부(80)는 접속부(36)로부터 이격되어 서미스터 홀더(64)측에 끼워 맞춤된 상태가 되고, 리드선(72)은 제2 권취부(8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된다. 그 후는 서미스터 홀더(64)의 조립 시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2 권취부(80)를 서미스터 홀더(64)로부터 제거하면 된다. 반대로 제2 권취부(80)와 지지부(36a)의 끼워 맞춤 강도를, 꽂임촉 구멍(66)과 제2 권취부(80)의 끼워 맞춤 강도보다도 높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서미스터 홀더(64)를 접속부(36)로부터 이격시키면, 제2 권취부(80)는 서미스터 홀더(64)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부(36a)에 끼워 맞춤된 상태가 되고, 리드선(72)은 제2 권취부(8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된다. 그 후는 제2 권취부(80)를 접속부(36)로부터 제거해도 되고 접속부(36)에 끼워 맞춘 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에 제3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에 있어서는, 수용부(52) 및 권취부(54)가 생략되고, 끼워 맞춤부(82)에 리드선(72)이 끼워 맞춰진다. 끼워 맞춤부(82)는 단자대(44)의 폭 방향의 측면, 또는 저면에 설치되고, 단자대(44)와 함께 리드선(72)을 끼워 맞춤하도록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부(82)와 단자대(44)의 간극은 리드선(72)(후술하는 튜브)의 직경보다도 약간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고, 끼워 맞춤부(82)의 개구부(84)로부터 당해 간극에 리드선(72)이 끼워 맞춰진다. 또한, 여기서, 끼워 맞춤부(82)는 단자대(44)에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4)의 방향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해, 리드선(72)을 개구부(84)의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만으로 리드선(72)을 모든 끼워 맞춤부(8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워 맞춤부를(82) 사용함으로써, 가조립 시의 리드선(72)의 뜻하지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4에 제4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4 실시 형태의 조립 구조에서는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74)가 단자대(44)의 하부에 가조립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단자대(44)는 단자대(44)의 선단 부분을 형성하는 후육부(86)와, 단자대(44)의 근원 부분을 형성하여 후육부(86)와의 사이에서 두께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박육부(88)와, 박육부(88)의 단차 형성 부분에 설치되어 커넥터(74)를 가조립하는 가조립부(90)를 구비하고 있다.
가조립부(90)는 제1 실시 형태와 가조립부(48)와 마찬가지로 커넥터(74)의 두께(폭)보다도 약간 폭이 좁은 간극을 형성하고, 그 간극에 커넥터(74)를 끼워 맞추는 것이다. 여기서, 후육부(86)와 박육부(88)의 단차는 커넥터(74)의 폭(두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크기 치수로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할 때에 커넥터(74)가 개구부(30)의 깊은 곳에 맞닿아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리드선(72)을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3 실시 형태의 끼워 맞춤부(82)를 사용하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수용부(52), 권취부(54), 절결부(56)를 박육부(88)의 단차 형성 부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 형태]
도 15에, 제5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5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에서는 서미스터 홀더(64) 및 커넥터(74)가 하우징(22)에 가조립되어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지만, 버스 링(32)에 있어서는, 서미스터 홀더(64), 커넥터(74), 리드선(72)을 가조립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미스터 홀더(64)는 외부 단자용 홀더(28)에 형성한 꽂임촉(도시하지 않음)에 꽂임촉 구멍(66)을 끼워 맞춤으로써 가조립되고, 커넥터(74)는 커넥터(74)에 형성한 꽂임촉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외부 단자용 홀더(28)에 형성한 꽂임촉(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가조립된다. 또한 리드선(72)은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고 있지만, 외부 단자용 홀더(28)에 권취됨과 함께, 외부 단자용 홀더(28)의 측면(및 개구부(30)에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절결부(28b)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절결부(28b)의 폭은 리드선(72)(후술하는 튜브)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치수를 갖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44)(도 1 등 참조)를 개구부(30)를 따라 삽입 관통할 때에 리드선(72)이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44)를 개구부(30)에 삽입 관통하기 전부터 리드선(72)이 개구부(30)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 링(32)을 하우징(22)에 조립한 후에, 서미스터 홀더(64) 및 리드선(72)의 가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서미스터 홀더(64)를 스테이터(12)에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버스 링(32)에 서미스터 홀더(64), 커넥터(74), 리드선(72)을 가조립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72)은 탄력성이 있는 소재(예를 들어,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류)를 원료로 하는 튜브에 의해 덮을 수 있다. 튜브의 직경은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드선(72)을 튜브로 덮음으로써, 리드선(72)의 가조립의 해제 시에, 튜브의 복원력에 의해 리드선(72)의 가조립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 튜브는 상기 어떤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Claims (14)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조립된 모터 배전 부품과,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단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조립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전기적으로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를 접속하는 리드선이 상기 개구부의 깊은 곳과 상기 단자대 사이의 간극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깊은 곳과 상기 단자대 사이의 간극이, 상기 커넥터의 치수보다도 좁은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은,
    상기 스테이터에 조립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돌출된 상기 단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에 가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자대에 가조립됨과 함께, 상기 단자대와 함께 상기 개구부에 삽입 관통 가능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개구부의 삽입 관통 방향에 면하는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를 가조립하는 가조립부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단자대의 선단 부분을 형성하는 후육부와, 상기 단자대의 근원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후육부와의 사이에서 두께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의 단차 형성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가조립하는 가조립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단자대는,
    상기 리드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기 리드선을 끼워 맞추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리드선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측면 또는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대와 함께 상기 리드선을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리드선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권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센서를 가조립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가조립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탄력성이 있는 튜브에 덮여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인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14. 하우징에 수용된 스테이터에 모터 배전 부품 및 센서를 조립함과 함께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을 구성하는 단자대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 관통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모터 배전 부품에 상기 센서를 가조립함과 함께,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개구부로의 삽입 관통 방향에 면하는 측면에 상기 센서에 리드선을 통해 접속된 커넥터를 가조립하는 스텝과,
    상기 모터 배전 부품을 상기 스테이터에 조립할 때에 상기 단자대와 함께 상기 커넥터를 상기 개구부에 삽입 관통하는 스텝과,
    상기 센서의 가조립을 해제하고 상기 센서를 모터에 조립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KR1020197000575A 2016-06-30 2016-06-30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KR20190006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9402 WO2018003052A1 (ja) 2016-06-30 2016-06-30 回転電機の固定子構造、及び回転電機の固定子構造の組み付け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00A true KR20190006600A (ko) 2019-01-18

Family

ID=6078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75A KR20190006600A (ko) 2016-06-30 2016-06-30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252940A1 (ko)
EP (1) EP3480927A4 (ko)
JP (1) JP6724985B2 (ko)
KR (1) KR20190006600A (ko)
CN (1) CN109417336B (ko)
BR (1) BR112018077194A2 (ko)
CA (1) CA3029392A1 (ko)
MX (1) MX2018015702A (ko)
RU (1) RU2019100544A (ko)
WO (1) WO2018003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3223A (ja) * 2019-07-04 2021-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組立装置及び回転電機組立方法
DE102020130615A1 (de) * 2020-11-19 2022-05-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chanische Anschlusseinheit, Stator und elektrische Maschine
FR3119946A1 (fr) * 2021-02-16 2022-08-19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aide pour l’assemblage de parties d’un equipement electrique
CN114448192B (zh) * 2022-02-08 2024-03-19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盘式电机定子自动绕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139U (ja) * 1992-02-27 1993-09-21 東芝機器株式会社 電動機
JPH06233483A (ja) * 1993-01-29 1994-08-19 Honda Motor Co Ltd ステータに於けるコイル巻線の結線構造
JP4816149B2 (ja) * 2006-03-06 2011-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続線の押え付け構造
JP4535189B2 (ja) * 2008-12-09 2010-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
JP5720185B2 (ja) * 2010-11-04 2015-05-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動モータおよびその電動モータを用いた車両用駆動装置
JP5358609B2 (ja) * 2011-03-31 2013-1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発電電動機および作業機械
JP6075239B2 (ja) * 2013-08-07 2017-0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6420580B2 (ja) * 2014-07-11 2018-11-07 Ntn株式会社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
JP6329835B2 (ja) * 2014-07-23 2018-05-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配電部品の端子構造
JP2016032317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明電舎 回転機
JP6070665B2 (ja) * 2014-09-30 2017-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ステ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7194A2 (pt) 2019-04-09
EP3480927A1 (en) 2019-05-08
JP6724985B2 (ja) 2020-07-15
CN109417336B (zh) 2020-08-28
RU2019100544A3 (ko) 2020-07-30
WO2018003052A1 (ja) 2018-01-04
JPWO2018003052A1 (ja) 2019-05-16
EP3480927A4 (en) 2019-07-03
US20190252940A1 (en) 2019-08-15
CN109417336A (zh) 2019-03-01
MX2018015702A (es) 2019-05-27
RU2019100544A (ru) 2020-07-30
CA3029392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239B2 (ja) モータ用絶縁ハウジング
US10199898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stator having a resin molded portion
EP2360050A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190767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JP6073703B2 (ja) 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
KR20190006600A (ko)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 및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구조의 조립 방법
US11843296B2 (en) Motor and air conditioner
US9742234B2 (en) Centralized power distribution member for motor
CN108696024B (zh) 绕组卷绕零部件和旋转电机
US10110086B2 (en) Motor and female connector
US20150145359A1 (en) Connector For Motor and Connector Assembly For Motor
CN104253503B (zh) 电机、尤其是电动机
JP4493652B2 (ja) 電動機固定子
JP2004537152A (ja) 密閉圧縮機のモータの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プロセス
JP6044495B2 (ja) 配線モジュール
US10608483B2 (en) Stator, electric motor, and air conditioner
JP6630315B2 (ja) ノイズ低減ユニット
JP5370113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6155986A (ja) 接続端子
JP2022528574A (ja) 密閉ケーブル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CN110535273B (zh) 用于塑封电机的槽楔组件及塑封电机
US10135311B2 (en) Stator for electric motor, molded electric motor, and air conditioner
CN220306533U (zh) 接线座、接线端子装置和相应的电器
JP2024009796A5 (ko)
KR100859904B1 (ko) 전동기 고정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