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822A -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822A
KR20190005822A KR1020187023591A KR20187023591A KR20190005822A KR 20190005822 A KR20190005822 A KR 20190005822A KR 1020187023591 A KR1020187023591 A KR 1020187023591A KR 20187023591 A KR20187023591 A KR 20187023591A KR 20190005822 A KR20190005822 A KR 20190005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weight
ea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479B1 (ko
Inventor
하루오 이토
시게츠구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05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10Cutting-off or severing the glass flow with the aid of knives or scissors or non-contacting cutting means, e.g. a gas jet; Construction of the blades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유입한 용융 유리(MG)로부터 폭방향 단부에 귀부(Gm)가 형성된 유리 리본(G)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2)와, 유리 리본(G)을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G)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장치(3)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1)에 대해서 제 1 절단 장치(3)에 의해 잘라낸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반송 경로(T)를 따라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4)를 구비하고, 제 1 반송 장치(4)가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4a)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용융 유리의 유량의 관리가 가능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유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으로 대표되는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한 방법이나, 플로트법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채용되는 것에 이르고 있다. 이들의 방법 중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성형 장치에 의해 유리판의 근원이 되는 유리 리본을 성형한다. 이 공 정에서는 쐐기상으로 형성된 성형체의 정부(頂部)에 설치한 오버플로우 홈에 용융 유리를 유입시키고,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양측방으로 흘러넘친 용융 유리를 각각 성형체의 측면부를 따라 유하시킨 후, 성형체의 하단부에서 융합 일체화시킴으로써 판상의 유리 리본을 성형한다. 그 후, 성형체로부터 유하하는 유리 리본은 상하 복수단으로 배치된 롤러쌍에 의해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재양치기되어 간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이 때의 재양치기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유리판의 두께의 대소가 조절된다. 또한, 유리 리본의 폭방향 단부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가 형성된다.
이어서, 제 1 절단 장치에 의해 유리 리본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잘라낸다. 이 공정에서는 성형 장치로부터 강하 중의 유리 리본의 표면 상에서 스크라이브휠을 주행시킴으로써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따라 절단의 기점이 되는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한다. 그 후, 잘라냄 대상의 부위(유리 리본에 있어서 스크라이브선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크라이브선의 주변을 만곡시켜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 리본을 절단한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이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잘라냄 대상의 부위를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서 잘라내어 간다.
이어서, 제 2 절단 장치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을 절단하고, 귀부를 포함한 비유효부를 제거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잘라낸다. 이 공정에서는 귀부 부착 유리판의 표면 상에서 스크라이브휠을 주행시킴으로써 제거 대상의 비유효부와 잘라냄 대상의 부위의 경계를 따라 절단의 기점이 되는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한다. 그 후, 스크라이브선의 주변부를 만곡시켜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을 절단해서 비유효부를 제거한다(특허문헌 3을 참조). 이들의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각각 잘라냄 대상의 부위를 제품 사이즈 유리판으로서 잘라내어 간다. 그 후, 잘라내어진 제품 사이즈 유리판이 연마 공정이나 세정 공정 등을 거침으로써 제품이 되는 유리판이 제조된다.
일본특허공개 2014-12212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00517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024720호 공보
그런데, 제품이 되는 유리판은 소망의 길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당연히 요구된다. 그리고, 이들의 치수를 소망대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융 유리의 유량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용융 유리의 유량의 측정 및 관리의 방법은 여러가지 있지만, 예를 들면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낸 다수매의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일부를 샘플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샘플의 중량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용융 유리의 유량의 측정 및 관리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의 형태 하에서는 다수매의 귀부 부착 유리판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중량을 측정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아 관리의 정밀도가 필연적으로 낮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해서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고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해서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제조할 때에 용융 유리의 유량에 대해서 고정밀도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유입한 용융 유리로부터 폭방향 단부에 귀부가 형성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유리 리본을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제 1 절단 장치에 의해 잘라낸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제 1 반송 장치가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절단 장치에 의해 유리 리본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잘라낸 모든 귀부 부착 유리판에 대해서 그 중량을 제 1 반송 장치가 갖는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량의 측정 결과에 의거한 용융 유리의 유량의 관리를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귀부를 절단 제거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잘라내는 제 2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경로가 제 1 절단 장치로부터 제 2 반송 장치에 이르는 경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1 절단 장치에 의해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낸 귀부 부착 유리판은 제 1 절단 장치로부터 제 2 절단 장치에 이르는 반송 경로의 반송 중에 그 중량을 측정되게 되고,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의 측정이 제조 라인 내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제조 라인 밖으로 실어내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용융 유리의 유량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량 측정부가 귀부 부착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부에 의한 지지에 따라 부하된 하중에 의거하여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부에 의한 지지에 따라 부하된 하중에 의거하여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검출부와 연결된 지지부의 중량의 영향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의 측정 결과에 차질이 생길 우려를 확실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정확하게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가 세로 자세의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를 파지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을 매달아 지지하는 척임과 동시에 검출부가 척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고정된 로드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세로 자세의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를 파지하는 척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을 중량의 측정을 행하기 쉬운 매달아 지지된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밀한 측정을 행할 수 있는 로드셀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들의 점에서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척과 로드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양자의 위치 관계의 변화에 기인하여 중량의 측정 결과에 차질이 생길 우려에 대해서도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를 따라 복수의 척을 갖고, 또한, 복수의 척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로드셀을 갖고, 각 로드셀이 검출한 검출값을 집계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척과 이것에 대응하는 로드셀을 1세트로 한 복수 세트의 상호간에서 척과 로드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세로 자세의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가 복수의 척에 의해 파지되기 때문에 귀부 부착 유리판을 안정되게 매달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 1 반송 장치에 의한 귀부 부착 유리판의 반송 중에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어려워지고, 자세가 안정된 상태의 귀부 부착 유리판에 대해서 그 중량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더욱 정확하게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A) 복수의 척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로드셀을 갖고, 각 로드셀이 검출한 검출값을 집계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및 (B) 척과 이것에 대응하는 로드셀을 1세트로 한 복수조의 상호간에서 척과 로드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동일한 점에서 한층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만일 복수의 척이 단일의 로드셀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척의 상호간에서 로드셀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상위시키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척의 중량이 로드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행하는데에 있어서 불리해진다. 그러나, 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B)대로 복수 세트의 상호간에서 척과 로드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동일하기 때문에 각 척의 중량이 이것에 대응하는 로드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A)대로 각 로드셀이 검출한 검출값을 집계해서 중량이 측정되는 점에서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경로가 매달아 지지된 귀부 부착 유리판을 두께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 궤도를 포함하고, 반송 궤도를 따른 귀부 부착 유리판의 반송 중에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달아 지지된 상태의 귀부 부착 유리판을 두께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 표리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공기 저항이 크고, 반송 중의 귀부 부착 유리판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두께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밖에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저속에서의 반송 중에 중량을 측정할수록 정확한 측정을 행함에 있어서는 유리하다. 이 때문에 반송 궤도를 따른 귀부 부착 유리판의 반송 중, 즉 두께방향을 따른 귀부 부착 유리판의 반송 중에 중량을 측정하면 정확한 측정 결과가 얻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척 및 로드셀이 반송 궤도와 평행하게 동작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기구와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의 동작에 따라 척이 매달아 지지한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궤도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매우 간이한 기구에 의해 척이 매달아 지지한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궤도를 따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량 측정부가 측정한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에 의거하여 용융 유리의 유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내어진 모든 귀부 부착 유리판을 대상으로 중량의 측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중량에 의거하여 정확하게 용융 유리의 유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용융 유리의 유량의 관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2 절단 장치로부터 하류측 공정에 이르는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반송 경로에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반송하는 제 2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제 2 반송 장치가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류측 공정」이란 제 2 절단 장치로부터 반출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이 제품으로 될 때까지 거치는 어느 하나의 고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융 유리의 유량이 적절히 관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절단 장치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치수가 소망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고, 규격 외의 치수를 갖은 유리판이 제품으로서 출하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 2 절단 장치로부터 하류측 공정에 이르는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반송 경로에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반송하는 제 2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 2 반송 장치가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갖고 있으면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반송 중에 그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품 사이즈 유리판이 소망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는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의 측정을 제조 라인 내에서 행할 수 있는 점에서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잘라내어진 모든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대상으로 중량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규격 외의 치수를 갖는 유리판이 제품으로서 출하되어버리는 사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유입한 용융 유리로부터 폭방향 단부에 귀부가 형성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유리 리본을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공정을 포함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절단 공정의 실행에 따라 잘라낸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제 1 반송 공정을 포함하고, 제 1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공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의한 설명에서 상술의 작용,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면에 의하면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제조할 때에 용융 유리의 유량에 대해서 고정밀도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MG)로부터 유리 리본(G)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실행하는 성형 장치(2)와, 브레이킹 절단에 의해 유리 리본(G)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공정을 실행하는 제 1 절단 장치(3)와, 브레이킹 절단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Gx)으로부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잘라내는 제 2 절단 공정을 실행하는 제 2 절단 장치(도시 생략)와, 제 1 절단 장치(3)로부터 제 2 절단 장치에 이르는 반송 경로(T)에 있어서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반송하는 제 1 반송 공정을 실행하는 제 1 반송 장치(4)와, 제 2 절단 장치로부터 하류측 공정에 이르는 반송 경로에 있어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반송하는 제 2 반송 공정을 실행하는 제 2 반송 장치(도시 생략)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성형 장치(2)는 쐐기상으로 형성된 성형체(2a)와, 성형체(2a)로부터 유하하는 유리 리본(G)을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하 복수단(도 1에서는 상하 2단만을 도시)에 배치된 롤러쌍(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성형 장치(2)가 성형한 유리 리본(G)에는 폭방향(도 1에서는 지면에 연직한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해서 후에 제품이 되는 유효부(Ga)와, 유효부(Ga)에 대하여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해서 제거의 대상이 되는 한 쌍의 비유효부(Gb)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비유효부(Gb) 중 유리 리본(G)의 폭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Gm)가 형성된다.
성형체(2a)에는 용융 유리(MG)를 유입시키기 위한 정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2aa)과, 오버플로우 홈(2aa)으로부터 양측방으로 흘러넘친 용융 유리(MG)를 각각 유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부(2ab, 2ab)와, 양 측면부(2ab, 2ab)를 따라 유하한 용융 유리(MG)를 융합 일체화시키기 위한 하단부(2a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성형체(2a)는 하단부(2ac)에서 융합 일체화한 용융 유리(MG)로부터 연속적으로 판상의 유리 리본(G)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하 복수단으로 배치된 롤러쌍(2b) 중에는 상단측으로부터 순번대로 냉각 롤러쌍(2ba)과, 아니라 롤러쌍(2bb)과, 지지 롤러쌍(도시 생략)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각종 롤러쌍은 모두 유리 리본(G)의 폭방향 일방단측 및 타방단측에서 각각 각각 비유효부(Gb)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각 롤러쌍(2ba)은 성형체(2a)의 바로 아래에서 유리 리본(G)의 비유효부(Gb)를 협지함으로써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른 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롤러쌍이다. 아니라 롤러쌍(2bb)은 서랭로(도시 생략) 내에서 왜곡점 이하의 온도까지 서랭되는 유리 리본(G)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쌍이다. 또한, 아니라 롤러쌍(2bb)은 유리 리본(G)의 비유효부(Gb)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파지하는 일 없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을 따른 요동을 규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지지 롤러쌍은 서랭로의 하방에 배치된 냉각실(도시 생략) 내에서 실온 부근까지 온도가 저하한 유리 리본(G)을 지지 함과 아울러 유리 리본(G)을 하방으로 재양치기하는 재양치기 속도를 결정하는 롤러쌍이다.
제 1 절단 장치(3)는 성형 장치(2)의 하방에서 유리 리본(G)을 소정의 길이 마다 절단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G)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절단 장치(3)는 성형 장치(2)로부터 강하해 온 유리 리본(G)의 표면(Gc) 상을 주행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라 브레이킹 절단의 기점이 되는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휠(도시 생략)과,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스크라이브선 형성부(Gs)에 이면(Gd)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브레이킹 바(3a)와, 잘라냄의 대상인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지지한 상태에서 스크라이브선 형성부(Gs)를 만곡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척(3b)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라이브휠은 강하 중의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그 전체폭에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킹 바(3a)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라 장척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강하 중의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그 전체폭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척(3b)은 유리 리본(G)의 장척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척(3b)의 각각은 귀부 부착 유리판(Gx)에 형성된 귀부(Gm)의 파지, 및 그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귀부(Gm)의 파지에 따라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척(3b)은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척(3b)은 폭방향 일방단측에 형성되는 귀부(Gm)의 파지용과, 폭방향 타방단측에 형성되는 귀부(Gm)의 파지용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척(3b)은 이들 모두가 동일 암(도시 생략)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암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척(3b)이 강하 중의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한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스크라이브선 형성부(Gs)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선 형성부(Gs)를 만곡시켜서 굽힘 응력을 부여하고, 유리 리본(G)을 폭방향으로 브레이킹 절단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잘라낸다.
복수의 척(3b)은 잘라내어진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암의 이동에 따라 반송 경로(T)를 따라서 운반한 후, 제 1 반송 장치(4)가 구비한 척(4aa)에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달 후에는 복수의 척(3b)의 각각이 귀부 부착 유리판(Gx)에 있어서의 귀부(Gm)의 파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유리 리본(G)으로부터 다음의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잘라내기 때문에 암의 이동에 따라 잘라냄을 개시하기 전의 위치로 귀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 장치(4)는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받아서 매달아 지지한 후, 반송 경로(T)의 일부의 구간인 반송 궤도(Ta)를 따라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두께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 장치(4)는 반송 궤도(Ta)를 따른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반송 중에 중량 측정부(4a)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공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디어 있다.
제 1 반송 장치(4)는 세로 자세의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상변부(Gu)를 파지함으로써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매달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척(4aa)과, 척(4aa)에 의한 매달림 지지에 따라 부하된 하중에 의거하여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로서의 로드셀(4a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척(4aa)과 로드셀(4ab)의 양자가 중량 측정부(4a)를 구성하고 있다.
척(4aa)과 로드셀(4ab)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고, 척(4aa)은 로드셀(4ab)에 의해서만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다. 로드셀(4ab)은 자신이 검출하는 값으로부터 척(4aa)의 중량을 배제하여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에만 의거하여 값을 검출하도록 척(4aa)에 의한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매달림 지지 이전에는 검출값이 제로가 되도록 미리 제로 리셋되어 있다. 척(4aa)은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상변부(Gu)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척(4aa)은 등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변부(Gu)의 길이방향(도 2에서는 지면에 연직한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척(4aa)은 각각이 대응하는 로드셀(4ab)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은 복수의 로드셀(4ab)이 각각 검출한 검출값을 집계함으로써 측정된다. 또한, 척(4aa)과 이것에 대응하는 로드셀(4ab)을 1세트로 한 복수 세트의 상호간에서 척(4aa)과 로드셀(4a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로드셀(4ab)은 평면으로 볼 때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브래킷(5)을 통해 세로 자세로 된 플레이트(6)에 고정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6)는 상기 플레이트(6)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LM 블록(7)에 고정되어 있다. LM 블록(7)은 수평자세(가로로 놓인 자세)로 된 베이스(8) 상에 설치된 LM 가이드(9)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LM 가이드(9)는 반송 궤도(Ta)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6)가 LM 블록(7)을 통해 LM 가이드(9)에 안내됨으로써 반송 궤도(Ta)와 평행하게 전진 동작 및 후퇴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로드셀(4ab)과 각각 고정된 복수의 플레이트(6)는 서로 동기해서 전진 동작 및 후퇴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6)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원은 상기 플레이트(6)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10a)를 구비하는 실린더 기구(10)이다. 이 실린더 기구(10)는 상기 피스톤 로드(10a)와, 고정하여 설치된 실린더(1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0a)는 실린더(10b)의 내압의 변화에 따라 반송 궤도(Ta)와 평행하게 진출 동작 및 퇴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로드(10a)의 진출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6)가 전진 동작을 행함과 아울러 피스톤 로드(10a)의 퇴피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6)가 후퇴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것을 정리하면, 제 1 반송 장치(4)는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반송 궤도(Ta)를 따라 반송할 때에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우선, 제 1 절단 장치(3)가 구비한 복수의 척(3b)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받기 전에 피스톤 로드(10a)의 진출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6)가 전진 동작을 행함으로써 반송 궤도(Ta)의 최상류 위치인 반송 개시 위치(P1)에 각 척(4aa)를 대기시킨다. 이어서, 귀부 부착 유리판(Gx)이 반송 개시 위치(P1)까지 운반되어 오면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상변부(Gu)를 각척(4aa)이 파지하여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매달아 지지한다. 이어서, 피스톤 로드(10a)의 퇴피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6)가 후퇴 동작을 행함으로써 각 척(4aa)이 매달아 지지한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반송 궤도(Ta)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반송 궤도(Ta)를 따른 반송 중에 각 로드셀(4ab)이 검출한 검출값이 집계되고,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이 측정된다. 최후에 귀부 부착 유리판(Gx)이 반송 궤도(Ta)의 최하류 위치인 반송 종료 위치(P2)까지 반송되어 오면 피스톤 로드(10a)의 퇴피 동작, 및 플레이트(6)의 후퇴 동작이 정지하고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반송이 정지한다. 또한, 반송 종료 위치(P2)까지 반송된 귀부 부착 유리판(Gx)은 제 1 반송 장치(4)와는 다른 반송 장치에 전달되고,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변부(Gu)의 길이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측정된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용융 유리(MG)의 유량의 관리에 이용된다. 즉, 성형 장치(2)가 구비한 지지 롤러쌍에 의한 재양치기 속도로부터 단위시간당 성형되는 유리 리본(G)의 전체 길이가 산출된다. 이 유리 리본(G)의 전체 길이를 한매당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길이(상기 소정의 길이)로 나누면 단위시간당 유리 리본(G)으로부터 잘라내어지는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매수가 산출된다. 이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매수와, 측정된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중량의 곱이 단위시간당 용융 유리(MG)의 유량(중량)으로서 산출된다. 이 산출된 값으로부터 용융 유리(MG)의 유량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한, 용융 유리(MG)의 유량의 산출은 중량을 측정한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한매한매에 대하여 행해진다.
제 1 반송 장치(4)와는 다른 반송 장치에 전달된 귀부 부착 유리판(Gx)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변부(Gu)를 파지함으로써 매달아 지지된 상태에서 제 2 절단 장치에 반입된다. 제 2 절단 장치는 세로 자세로 유지된 귀부 부착 유리판(Gx)의 유효부(Ga)와 비유효부(Gb)의 경계를 따라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선의 주변을 만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귀부 부착 유리판(Gx)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선의 주변에 굽힘 응력을 부여하고, 귀부 부착 유리판(Gx)을 브레이킹 절단하여 귀부(Gm)를 포함하는 비유효부(Gb)를 제거함으로써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잘라내어진 제품 사이즈 유리판은 제 2 반송 장치에 의해 상변부(Gu)를 파지함으로써 매달아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됨과 아울러 제 2 반송 장치가 구비하는 중량 측정부에 의해 중량을 측정한다. 제 2 반송 장치는 반송의 대상이 귀부 부착 유리판(Gx)으로부터 제품 사이즈 유리판으로 변경되어 있는 점, 및 귀부 부착 유리판(Gx)과는 반송 경로가 다른 점의 2점 이외는 상기 제 1 반송 장치(4)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하는 제 2 반송 장치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측정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이용된다. 즉, 규격대로 형성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해서 측정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이 허용 범위 내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이것에 의해 제품 사이즈 유리판이 규격대로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하, 상기 유리판의 제조 장치(1), 및 이것을 사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리판의 제조 장치(1), 및 이것을 사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절단 장치(3)에 의해 유리 리본(G)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잘라낸 모든 귀부 부착 유리판(Gx)에 대해서 그 중량을 제 1 반송 장치(4)가 갖는 중량 측정부(4a)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량의 측정 결과에 의거한 용융 유리(MG)의 유량의 관리를 리얼타임으로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귀부 부착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척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지부로서 척 대신에 흡착 패드나 로보트암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반송 장치, 제 2 반송 장치가 각각 매달아 지지한 귀부 부착 유리판,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수평자세(가로로 놓인 자세)로 된 귀부 부착 유리판,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이들의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반송 장치가 제 1 반송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 2 반송 장치는 제 1 반송 장치와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매달아 지지한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두께방향이 아니라 상변부의 길이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추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리본을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외,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플로트법 등에 의해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 유리판의 제조 장치 2 성형 장치
3 제 1 절단 장치 4 제 1 반송 장치
4a 중량 측정부 4aa 척
4ab 로드셀 10 실린더 기구
10a 피스톤 로드 G 유리 리본
Gm 귀부 Gu 상변부
Gx 귀부 부착 유리판 MG 용융 유리
T 반송 경로 Ta 반송 궤도

Claims (10)

  1. 유입한 용융 유리로부터 폭방향 단부에 귀부가 형성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상기 유리 리본을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 1 절단 장치에 의해 잘라낸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 장치가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상기 귀부를 절단 제거함으로써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으로부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잘라내는 제 2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경로가 상기 제 1 절단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반송 장치에 이르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가,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한 지지에 따라 부하된 하중에 의거하여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세로 자세의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매달아 지지하는 척임과 아울러,
    상기 검출부가 상기 척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고정된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상변부를 따라 복수의 상기 척을 갖고, 또한 복수의 상기 척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로드셀을 가지며,
    각 로드셀이 검출한 검출값을 집계함으로써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척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로드셀을 한 세트로 한 복수 세트의 상호간에서 상기 척과 상기 로드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가, 매달아 지지된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두께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 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궤도를 따른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반송 중에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및 상기 로드셀이 상기 반송 궤도와 평행하게 동작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동작에 따라 상기 척이 매달아 지지된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상기 반송 궤도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에 의거하여 용융 유리의 유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 장치로부터 하류측 공정에 이르는 상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반송 경로에 상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을 반송하는 제 2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송 장치가 상기 제품 사이즈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10. 유입한 용융 유리로부터 폭방향 단부에 귀부가 형성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유리 리본을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귀부 부착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제 1 절단 공정을 포함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절단 공정의 실행에 따라 잘라낸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제 1 반송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상기 귀부 부착 유리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1020187023591A 2016-05-12 2017-02-03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102645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6182 2016-05-12
JP2016096182A JP6674138B2 (ja) 2016-05-12 2016-05-12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PCT/JP2017/004104 WO2017195413A1 (ja) 2016-05-12 2017-02-03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22A true KR20190005822A (ko) 2019-01-16
KR102645479B1 KR102645479B1 (ko) 2024-03-11

Family

ID=6026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591A KR102645479B1 (ko) 2016-05-12 2017-02-03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4138B2 (ko)
KR (1) KR102645479B1 (ko)
CN (1) CN108698876B (ko)
WO (1) WO2017195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933A1 (en) * 2018-04-12 2019-10-17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gaging a moving glass ribbon
WO2020129907A1 (ja) * 2018-12-21 2020-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10482850A (zh) * 2019-07-25 2019-11-22 郑州旭飞光电科技有限公司 基板玻璃切割系统、基板玻璃生产线及基板玻璃切割方法
JP2023082988A (ja) * 2021-12-03 2023-06-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原板梱包体
JP2023082982A (ja) * 2021-12-03 2023-06-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428A (ja) * 2009-03-13 2010-09-30 Avanstrate Inc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40001744A (ko) * 2012-06-28 2014-01-07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2014005170A (ja) 2012-06-25 2014-01-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14024720A (ja) 2012-07-27 2014-02-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4122124A (ja) 2012-12-20 2014-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JP2015187082A (ja) * 2011-08-23 2015-10-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い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952B2 (ja) * 1991-11-19 1996-07-1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板状体移載用バキュ―ムリフト
US7430880B2 (en) * 2004-06-02 2008-10-07 Corning Incorporated Pull roll assembly for drawing a glass sheet
US20070095108A1 (en) * 2005-10-31 2007-05-03 Kirby Thomas E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JP5796430B2 (ja) * 2011-09-15 2015-10-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検査装置、板ガラス検査方法、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JP2013187389A (ja) * 2012-03-08 2013-09-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04066689B (zh) * 2012-12-27 2016-08-24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方法以及玻璃板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428A (ja) * 2009-03-13 2010-09-30 Avanstrate Inc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5187082A (ja) * 2011-08-23 2015-10-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い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4005170A (ja) 2012-06-25 2014-01-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140001744A (ko) * 2012-06-28 2014-01-07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2014024720A (ja) 2012-07-27 2014-02-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4122124A (ja) 2012-12-20 2014-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876A (zh) 2018-10-23
JP2017202958A (ja) 2017-11-16
WO2017195413A1 (ja) 2017-11-16
KR102645479B1 (ko) 2024-03-11
JP6674138B2 (ja) 2020-04-01
CN108698876B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822A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7372601B2 (ja) ガラス板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550388B1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US8887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glass ribbon
US90278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glass sheet with improved sheet stability
KR102339936B1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KR102500937B1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160093617A (ko)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JP5281544B2 (ja) ブレイク装置
JP2018528138A (ja) ガラス板の搬送用装置
US11964894B2 (en) Glass roll,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and quality evaluation method
KR20220079516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2475068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ITUD20070239A1 (it) Dispositivo di collaudo per collaudare piastre per circuiti elettronici e relativo procedimento
JP2013184838A (ja) 板状物の切線加工装置及び板状物の切線加工方法、ならびに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160069153A (ko) 블랭크 이송 로봇의 블랭크 파지 장치
JP2008093698A (ja) ブランク枚数検出装置
JP2017044484A (ja) 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搬送ローラの調整方法
IT201900015527A1 (it) Apparato e metodo per la messa a peso di semilavorati, particolarmente per semilavorati in metallo prezioso
IT201800010133A1 (it) Sistema di accumulo di contenitori
CN220485542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KR20220109381A (ko) 유리 롤의 제조 방법
JP2019182690A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JP2005081385A (ja) 鍛造素材の計測装置
TWI486315B (zh) Sheet breaking device for sheet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