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68B1 -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068B1
KR102475068B1 KR1020197027787A KR20197027787A KR102475068B1 KR 102475068 B1 KR102475068 B1 KR 102475068B1 KR 1020197027787 A KR1020197027787 A KR 1020197027787A KR 20197027787 A KR20197027787 A KR 20197027787A KR 102475068 B1 KR102475068 B1 KR 10247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protective tape
attaching
uni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370A (ko
Inventor
요시노리 하세가와
히로키 모리
코이치 모리
슈지 아키야마
야스히로 우에무라
나오유키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4Apparatus for taking-out curl fr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6Associating two or more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8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8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 C03B33/082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4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travelling transporting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 C03B35/2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on a gas support be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 필름(G)을 횡반송부(3)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횡반송부(3)의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부착부(5)에서 유리 필름(G)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호 테이프(T)를 부착하는 공정과, 부착부(5)에서 유리 필름(G)에 보호 테이프(T)를 부착하기 전에 횡반송부(3)에 배치한 주름 제거부(4)에 의해서 유리 필름(G)의 주름을 펴는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등의 다운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이 사용된다. 이들 방법에서는 용융 유리를 재료로 해서 성형부에서 유리 필름을 성형하고 인출한 후, 그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것 이외에도 유리 필름이 주위에 권회된 공급 롤러로부터 유리 필름을 조출한 후, 그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은 횡반송부에서는, 예를 들면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절단 등의 제조 관련 처리가 실시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3-014441호 공보
유리 필름은 취성 재료이고, 충격이나 변형에 의해서 손상되기 쉽다. 그 때문에, 유리 필름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호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유리 필름을 보강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유리 필름은 박육이고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도중에 유리 필름에 주름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주름은 유리 필름의 유리면에 비교적 큰 융기부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주름이 발생한 상태이면, 보호 테이프의 부착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되는 유리 필름에 발생하는 주름에 의한 보호 테이프의 부착 불량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횡반송부의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부착부에서 유리 필름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부착부에서 유리 필름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횡반송부에 배치한 주름 제거부에 의해서 유리 필름의 주름을 펴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유리 필름에 주름이 발생해도, 그 주름은 부착부에서 유리 필름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횡반송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름 제거부에 의해서 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유리 필름에 발생된 주름은 적정하게 소실되고, 그 후에 부착부에 의해서 유리 필름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기 때문에 보호 테이프를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횡 방향」이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방향도 포함한다(이하, 동일).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름 제거부는 부착부에 의한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체를 구비하고, 막대 형상체가 유리 필름을 하면측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리 필름에 발생된 주름은 막대 형상체에 의해서 하면측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에 그 들어올리는 힘의 작용에 의해서 펴지게 된다. 따라서, 유리 필름에 발생되는 주름 중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불규칙적인 주름이 광범위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펴지게 된다. 여기서, 「막대 형상체」란 중실의 막대 형상체뿐만 아니라 중공(파이프 형상)의 막대 형상체도 포함한다(이하, 동일).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름 제거부는 부착부에 의한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배치되고 유리 필름을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지지체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리 필름에는 지지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중량에 의해서 폭 방향 양단부측을 향하는 장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유리 필름에 발생된 주름 중 특히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발생된 주름을 당겨펴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는 폭 방향 중앙부에 비해서 두께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폭 방향 양단부와 폭 방향 중앙부를 동일 평면 상에서 지지하면 유리 필름이 당해 평면을 따라서 변형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유리 필름에 폭 방향 양단부와 폭 방향 중앙부의 두께 차에 기인하는 복잡한 변형이 생겨 유리 필름에 주름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폭 방향 양단부는 지지체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뜬 상태가 되어, 폭 방향 중앙부와 폭 방향 양단부의 두께 차에 의한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지지체는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지체에 의한 주름 방지 효과는 부착 위치에서도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착부에서 유리 필름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횡반송부에 배치한 절단부에 의해서 유리 필름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단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절단부에 의한 절단 위치에서는 이미 유리 필름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절단시에 유리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부에서 유리 필름을 절단한 후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유리 필름을 권취 롤러에 의해서 권취 회수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보호 테이프 부착 유리 필름을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가 유리 필름의 상면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함과 아울러 유리 필름의 하면측에 권취 롤러를 배치하고,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외측이 되도록 유리 필름을 권취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 롤의 경우, 유리 필름의 외측(외주면측)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므로,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유리 필름의 내측(내주면측)에 비해서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 손상이 진전되어 파손으로 이어지기 쉽다. 따라서, 유리 필름의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외측이 되도록 유리 필름을 권취 회수하고, 유리 필름의 외주면측을 보호 테이프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유리 필름의 상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보호 필름을 유리 필름 보다도 먼저 권취 롤러에 권회한 후, 유리 필름의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에 보호 시트를 포갠 상태에서, 유리 필름 및 보호 시트를 권취 롤러로 권취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미리 권취 롤러에 권회된 보호 시트의 일부와 그것에 연속하는 보호 시트의 나머지의 일부의 사이에 유리 필름을 끼워넣으면서 유리 필름을 권취 롤러의 주위에 권취 회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되는 유리 필름에 발생되는 주름에 의한 보호 테이프의 부착 불량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유리 롤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는 유리 필름(G)을 성형하는 성형부(1)와, 유리 필름(G)의 진행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변환하는 방향 변환부(2)와, 방향 변환 후에 유리 필름(G)을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반송부(3)와, 횡반송부(3)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유리 필름(G)에 발생된 주름을 펴는 주름 제거부(4)와, 주름 제거부(4)에서 주름을 편 유리 필름(G)에 보호 테이프(T)를 부착하는 부착부(5)와, 부착부(5)에서 보호 테이프(T)를 부착한 유리 필름(G)의 비제품부(Gb)를 절단하는 절단부(6)와, 절단부(6)에서 비제품부(Gb)를 절단 제거한 유리 필름(G)의 제품부(Ga)를 권취 회수하는 권취 롤러(7)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제품부(Gb)는 유리 필름(G)의 폭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다. 비제품부(Gb)에는 제품부(Ga)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핸들부라고 불리는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제품부(G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성형부(1)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것이다. 성형부(1)에서는 주름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성형체(8)에 용융 유리(Gm)를 공급함과 아울러, 성형체(8)의 최상부로부터 양측방으로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그 하단부에서 융합시켜서 유하시킴으로써 용융 유리(Gm)로부터 판 형상의 유리 필름(G)을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성형체(8)에서 성형된 유리 필름(G)은 성형체(8)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서냉(어닐링)되고 또한 실온 부근까지 냉각된다. 그 동안, 유리 필름(G)은 표리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협지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안내된다.
성형부(1)의 하방에는 방향 변환부(2)가 배치되어 있다. 방향 변환부(2)에는 유리 필름(G)의 이면측에 유리 필름(G)의 방향 변환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9)가 만곡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롤러(9)는 유리 필름(G)의 이면에 접촉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롤러(9)는 폭 방향 중앙부와 폭 방향 양단부의 3개로 분할되어 있다. 유리 필름(G)의 성형을 개시한 직후 등의 유리 필름(G)의 성형이 안정될 때까지 폭 방향 중앙부 및 폭 방향 양단부의 가이드 롤러(9)로 유리 필름(G)을 안내하고, 유리 필름(G)의 성형이 안정된 후에는 폭 방향 중앙부의 가이드 롤러(9)가 안내 위치로부터 퇴피하고, 폭 방향 양단부의 가이드 롤러(9)만으로 유리 필름(G)을 안내한다.
방향 변환부(2)의 구성은 유리 필름(G)의 진행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러로 유리 필름(G)의 전체폭을 상시 안내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벨트 컨베이어나 기체를 분사하는 플러터 등을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다.
방향 변환부(2)의 진행 방향 전방(하류측)에는 횡반송부(3)가 배치되어 있다. 횡반송부(3)는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0), 플로터(11), 반송대(12)를 구비한다.
벨트 컨베이어(10)는 구동 컨베이어이며, 유리 필름(G)을 접촉 지지한다.
플로터(11)는 유리 필름(G)의 이면측에 기체 등을 분사하여 유리 필름(G)을 비접촉 지지한다. 플로터(11)는 플로터(11)의 상류측에서 유리 필름(G)에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유리 필름(G)의 하류측으로의 반송을 정지함과 아울러, 불량이 발생된 유리 필름(G)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파기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로터(11)는 생략해도 좋고, 컨베이어 벨트로 대신해도 좋다.
횡반송부(3)는 유리 필름(G)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각각 45° 미만의 범위 내(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범위 내)에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반송대(12)의 상부에는 주름 제거부(4)가 정치에 배치되어 있다. 주름 제거부(4)와 유리 필름(G) 사이에는 반송용 시트(S1)가 개재되어 있다. 반송용 시트(S1)는 하면이 주름 제거부(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상면이 유리 필름(G)을 반송 지지하는 반송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유리 필름(G)은 반송용 시트(S1)의 이동에 의해서 반송되기 때문에 반송대(12)는 유리 필름(G)에 직접 반송력을 부여하지 않는 정지대가 된다.
반송용 시트(S1)는 반송대(12)의 하방에 배치된 공급 롤러(13)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조출되고, 반송대(12)의 상부에서 주름 제거부(4)와 유리 필름(G) 사이를 통과하고, 주름 제거부(4)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송출된다. 이 때, 반송용 시트(S1)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폐쇄 루프 형상 또는 개방 루프 형상의 궤도를 따라서 보내진다. 반송용 시트(S1)는 수지제(특히, 발포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대(12)의 상방에는 상류측에 부착부(5)가 배치되고, 하류측에 절단부(6)가 배치되어 있다. 부착부(5)는 보호 테이프(T)가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공급 롤러(14)와, 공급 롤러(14)로부터 조출된 보호 테이프(T)를 안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5)와, 가이드 롤러(15)에 안내된 보호 테이프(T)를 유리 필름(G)에 압박하는 압박 롤러(16)를 구비한다.
압박 롤러(16)는 반송되어 오는 유리 필름(G)의 상면에 보호 테이프(T)를 개재해서 접촉한 상태에서 화살표(a) 방향(유리 필름(G)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전동한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박 롤러(16)와 유리 필름(G)의 접촉 위치가 보호 테이프(T)의 부착 위치가 된다.
보호 테이프(T)는 유리 필름(G)과 접촉하는 측의 면(하면)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면을 갖는다. 보호 테이프(T)의 접착면에는 자외선 조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고, 보호 테이프(T)가 유리 필름(G)에 접착한다. 보호 테이프(T)의 접착면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에 한정되지 않고, 열 경화형이나 감압형 등의 다른 타입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보호 테이프(T)의 접착면을 유지하는 시트 형상 기재는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테이프(T)는 제품부(Ga)의 폭 방향 양단부에 반송 방향(유리 필름(G)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착된다.
보호 테이프(T)는 절단부(6)에 의한 절단 처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품부(Ga)의 폭 방향 양단보다도 약간 내측에 부착되고, 제품부(Ga)와 비제품부(Gb)의 경계에 형성되는 절단선(A) 상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 필름(G)에 있어서의 보호 테이프(T)의 부착 영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 테이프(T)는, 예를 들면 제품부(Ga)의 폭 방향 중앙부에 부착해도 좋고, 유리 필름(G)의 전체폭에 걸쳐서 부착해도 좋다.
절단부(6)는 굽힘 응력 할단, 열 응력 할단(예를 들면, 레이저 할단), 용단(예를 들면, 레이저 용단) 등에 의해서 유리 필름(G)의 비제품부(Gb)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한다. 절단된 비제품부(Gb)는 제품부(Ga)로부터 상하 및/또는 폭 방향(좌우)으로 분리된 후에 파기된다. 또한, 도 1은 비제품부(Gb)가 반송 방향 전방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보내져 파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횡반송부(3)의 하류측에는 권취 롤러(7)가 배치되어 있다. 권취 롤러(7)는 보호 테이프(T)가 폭 방향 양단부에 부착된 제품부(Ga)를 권취 회수한다.
권취 롤러(7)는 제품부(Ga)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보호 테이프(T)가 부착된 면이 외측이 되도록 제품부(Ga)를 권취 회수한다. 권취 롤러(7)의 상방에는 보호 시트(S)를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공급 롤러(17)가 배치되어 있고, 공급 롤러(17)로부터 조출된 보호 시트(S)가 보호 테이프(T) 부착의 제품부(Ga)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품부(Ga)와 함께 권취 롤러(7)로 권취 회수된다. 보호 시트(S)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등의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G)의 권취 회수를 개시할 때에는 보호 시트(S)가 미리 유리 필름(G)보다도 먼저 권취 롤러(7)에 권회되어 있다. 보호 시트(S)의 선단부(권취 개시측)는 보호 시트(S)의 선단부(권취 개시측)의 위에 위치하고 또한 권취 롤러(7)의 주위에 권회되어 있는 유리 필름(G)의 선단부보다도 앞서 권취 롤러(7)의 주위에 한 바퀴 이상 권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미리 권취 롤러(7)에 권회된 보호 시트(S)의 일부와 그것에 연속하는 보호 시트(S)의 나머지의 일부와의 사이에 제품부(Ga)를 끼워넣으면서 제품부(Ga)를 권취 롤러(7)의 주위에 권취 회수할 수 있다. 이 때, 제품부(Ga)에 과도한 장력을 부여하지 않고, 제품부(Ga)를 보호 시트(S)에 의해서 권취 롤러(7)측으로 압박하면서 권체할 수 있다. 즉, 권취 회수시에는 제품부(Ga)에 작용하는 장력을 보호 시트(S)에 작용하는 장력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롤러(7)에 이르기 직전에 제품부(Ga)가 오목 만곡 형상의 궤도를 이동하도록 제품부(G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제품부(Ga)에 작용하는 장력이 실질적으로 제로가 되도록 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 제거부(4)는 유리 필름(G)에 대한 부착부(5)에 의한 보호 테이프(T)의 부착 위치(압박 롤러(16)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체(18)와,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배치되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정판(19)을 구비한다. 정판(19)은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친 영역에서 유리 필름(G)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반송용 시트(S1)의 폭 방향 양단은 유리 필름(G)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반송대(12)의 폭 방향 양단은 반송용 시트(S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2의 도시예에서는 유리 필름(G)의 폭 방향 양단이 막대 형상체(18)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막대 형상체(18)의 길이 방향 양단이 유리 필름(G)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동 도면의 도시예에서는 반송용 시트(S1)의 폭 방향 양단이 유리 필름(G)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유리 필름(G)의 폭 방향 양단이 반송용 시트(S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체(18)는 반송대(12)의 상류측 단부에 길이 방향이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막대 형상체(18)는 고정됨으로써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막대 형상체(18)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다.
막대 형상체(18)는 단면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다각형이어도 좋고, 하면부는 평탄면 등이어도 좋다. 즉, 막대 형상체(18)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유리 필름(G)의 하면측과 접촉하는 면(상면)이 볼록 형상이면 좋다. 막대 형상체(18)는 화살표(b) 방향(유리 필름(G)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막대 형상체(18)는 폭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어도 좋다.
막대 형상체(18)의 상단 위치는 정판(19)의 상단 위치보다도 높다. 양자 18, 19의 높이의 상위 치수(h)는 바람직하게는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본 실시형태에서는 2㎜)이다. 막대 형상체(18)와 정판(19)은 반송 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상태에서 이간되어 있거나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판(19)은 예를 들면 반송대(12)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어 있고, 그 상면은 평탄하다. 유리 필름(G)의 제품부(Ga)는 반송용 시트(S1)를 개재해서 정판(19)의 상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상태가 된다. 유리 필름(G)의 비제품부(Gb)에 포함되는 핸들부(Gx)는 정판(19)의 상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띄운 상태가 된다.
정판(19)의 상면은 평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폭 방향 중앙부가 폭 방향 양단부보다도 높아지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정판(19)을 생략하고 반송대(12)를 지지체로 해도 좋다. 정판(19)을 생략하는 경우, 유리 필름(G)의 제품부(Ga)는 반송용 시트(S1)를 개재해서 반송대(12)의 상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과 아울러 유리 필름(G)의 비제품부(Gb)에 포함되는 핸들부(Gx)는 반송대(12)의 상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띄운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제조 장치에 의해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면, 도 1에 나타내는 성형부(1)로부터 방향 변환부(2)를 거쳐 횡반송부(3)에 이른 유리 필름(G)은 박육이고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벨트 컨베이어(10)나 플러터(12)에 의해서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광범위에 걸쳐서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들 주름은 반송대(12)에 배치된 주름 제거부(4)에 의해서 적정하게 펴진다. 그 때문에, 부착부(5)에 의한 부착 위치나 그 하류측의 절단부(6)에 의한 절단 위치에 지장이 생기지 않을 정도까지 주름이 소실된다. 따라서, 부착부(5)에 의해서 보호 테이프(T)를 유리 필름(G)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절단부(6)에 의해서 유리 필름(G)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을 마친 유리 필름(G)의 제품부(Ga)는 주름이 소실된 상태에서 권취 롤러(7)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심으로서의 권취 롤러(7)의 주위에 유리 필름(G)과 보호 시트(S)가 포개진 상태에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유리 롤(R)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롤(R)에 포함되는 제품부(Ga)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보호 테이프(T)가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품부(Ga)와 보호 시트(S)의 사이, 및 보호 시트(S)와 보호 테이프(T)의 사이는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제조된 유리 롤은 가공 공장으로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가공 공장에서는, 예를 들면 유리 롤로부터 제품부(Ga)를 조출하여 보호 테이프(T)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제품부(Ga)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하여 전극 등이 형성된다. 제품부(Ga)의 폭 방향 양단부에 부착된 보호 테이프(T)는 전극 등의 형성이 종료된 후에 제품부(Ga)로부터 박리 또는 유리와 함께 절단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횡반송부에 있어서,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하류측 에서 절단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하류측에서 행하는 제조 관련 처리는 절단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 관련 처리에는 절단 처리 외에, 끝면 가공 처리, 인쇄 등의 성막 처리 등의 유리 필름에 직접 어떤 가공을 실시하는 처리는 물론, 유리 필름 표면의 세정 처리 등, 간접적으로 유리 필름을 최종 제품(출하 가능한 상태의 제품)에 가깝게 하기 위한 처리가 널리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필름을 성형하기 위해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채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슬롯 다운드로우법이나 리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 드로우법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플로트 버스로부터 유리 필름을 인출하여 횡반송부에 전달하도록 한 플로트법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성형부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 공급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유리 필름이 권회된 공급 롤러(유리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조출되는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리 필름을 권취 회수하는 형태를 채용하면 롤 투 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제조 공정이 실시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외측(외주면측)이 되도록 제품부를 권취 회수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내측(내주면측)이 되도록 제품부를 권취 회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롤을 제조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유리 필름을 소정 길이마다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판 유리를 제조해도 좋다. 또한, 제조된 복수 장의 판 유리는, 예를 들면 팔레트 상에 종 자세 또는 횡 자세로 적층된 상태에서 포장된다. 이 경우, 각 판 유리의 상호간에는 보호 시트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성형부 2 : 방향 변환부
3 : 횡반송부 4 : 주름 제거부 
5 : 부착부 6 : 절단부
7 : 권취 롤러 8 : 성형체
9 : 가이드 롤러 10 : 벨트 컨베이어
11 : 플러터 12 : 반송대
13 : 공급 롤러(반송용 시트용) 14 : 공급 롤러(보호 테이프용)
15 : 가이드 롤러 16 : 압박 롤러
17 : 공급 롤러(보호 시트용) 18 : 막대 형상체
19 : 정판 G : 유리 필름
Ga : 제품부 Gb : 비제품부
Gx : 핸들부 R : 유리 롤
S : 보호 시트 S1 : 반송용 시트
T : 보호 테이프

Claims (8)

  1.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리 필름을 횡반송부에서 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횡반송부의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부착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부착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에 상기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횡반송부에 배치한 주름 제거부에 의해서 상기 유리 필름의 주름을 펴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주름 제거부에 의해 주름이 펴진 상기 유리 필름에 상기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제거부는 상기 부착부에 의한 상기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막대 형상체가 상기 유리 필름을 하면측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제거부는 상기 부착부에 의한 상기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상기 유리 필름을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제거부는 상기 부착부에 의한 상기 보호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상기 유리 필름을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시켜 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에 상기 보호 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상기 횡반송부에 배치한 절단부에 의해서 상기 유리 필름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을 절단한 후에, 상기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상기 유리 필름을 권취 롤러에 의해서 권취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유리 필름의 상면에 상기 보호 테이프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 필름의 하면측에 상기 권취 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외측이 되도록 상기 유리 필름을 권취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상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보호 시트를 상기 유리 필름보다도 먼저 상기 권취 롤러에 권회한 후, 상기 유리 필름의 상기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 면에 상기 보호 시트를 포갠 상태에서, 상기 유리 필름 및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권취 롤러로 권취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97027787A 2017-07-31 2018-07-09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475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7831A JP6839419B2 (ja) 2017-07-31 2017-07-31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17-147831 2017-07-31
PCT/JP2018/025912 WO2019026556A1 (ja) 2017-07-31 2018-07-09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370A KR20200035370A (ko) 2020-04-03
KR102475068B1 true KR102475068B1 (ko) 2022-12-07

Family

ID=6523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87A KR102475068B1 (ko) 2017-07-31 2018-07-09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9419B2 (ko)
KR (1) KR102475068B1 (ko)
CN (2) CN115043579A (ko)
TW (1) TWI805598B (ko)
WO (1) WO2019026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0130A (zh) * 2021-05-10 2024-01-30 康宁公司 用于制造玻璃带的方法及设备
WO2024097124A1 (en) * 2022-11-03 2024-05-1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7721A (ja) 2010-03-30 2011-10-2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5063450A (ja) * 2013-08-28 2015-04-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696B2 (ja) * 2001-12-27 2006-10-18 萩原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巻取機の自動巻付装置
JP4102705B2 (ja) * 2003-05-12 2008-06-1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のニップ構造およびこのニップ構造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060197A (ja) * 2003-08-19 2005-03-10 Asahi Glass Co Ltd 養生膜貼付け装置及び養生膜貼付け方法
JP5510880B2 (ja) * 2009-03-26 2014-06-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WO2011034034A1 (ja) * 2009-09-18 2011-03-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処理方法並びに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5742082B2 (ja) 2011-06-30 2015-07-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669001B2 (ja) * 2010-07-22 2015-02-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割断方法、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割断装置
JP5874159B2 (ja) * 2010-08-31 2016-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743182B2 (ja) * 2010-11-19 2015-07-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679324B2 (ja) * 2011-05-19 2015-03-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5307992B (zh) * 2013-08-28 2018-03-20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膜带制造方法以及玻璃膜带制造装置
JP6288604B2 (ja) * 2014-01-29 2018-03-0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
CN105980279B (zh) * 2014-02-05 2018-07-03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膜的输送方法及光学膜的制造方法
JP2017043366A (ja) * 2015-08-24 2017-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巻き外し方法
KR20190066615A (ko) * 2016-10-26 2019-06-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테이프가 형성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7721A (ja) 2010-03-30 2011-10-2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5063450A (ja) * 2013-08-28 2015-04-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0276A (zh) 2019-03-16
WO2019026556A1 (ja) 2019-02-07
CN110785384A (zh) 2020-02-11
JP2019026510A (ja) 2019-02-21
KR20200035370A (ko) 2020-04-03
CN110785384B (zh) 2022-06-14
JP6839419B2 (ja) 2021-03-10
CN115043579A (zh) 2022-09-13
TWI805598B (zh)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301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WO2017208677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08895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roll
JP6331087B2 (ja)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
KR102475068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6136070B2 (ja)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
WO2022114021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35753B (zh) 玻璃薄膜之製造方法
TWI759509B (zh) 玻璃膜的製造方法
KR102410719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6818256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WO2021149519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221540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WO2023228788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2019182690A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