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37A - 벽면 설치구 - Google Patents

벽면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37A
KR20190005737A KR1020180073769A KR20180073769A KR20190005737A KR 20190005737 A KR20190005737 A KR 20190005737A KR 1020180073769 A KR1020180073769 A KR 1020180073769A KR 20180073769 A KR20180073769 A KR 20180073769A KR 20190005737 A KR20190005737 A KR 2019000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anchor sheet
article
supported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즈사 곤다
이츠미 데라다
히로타 데즈카
와카코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9000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벽면 상에 붙여져 있으며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2)와, 당해 앵커 시트(2)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피지지 물품(B)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2)는 기재(21)와, 당해 기재(21)의, 상기 피지지 물품(B)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2)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22)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이며, 상기 앵커 시트(2)를 상기 벽지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21)는, 상기 앵커 시트(2)를 상기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설치구{ATTACHING DEVICE FOR WALL SURFACE}
본 발명은, 요철면이 있는 벽지를 갖는 벽면에 대하여 물품을 설치할 수 있고, 벽지에 대하여 접착 가능한 벽면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훅, 상자 형상체, 거울 등의 물품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통해 벽면에 부착하거나,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을 통해 벽면에 설치하거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재의 가옥 벽면에는 하지의 보호나 장식적인 관점에서 벽지가 붙여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점착 테이프를 통해 훅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것을 떼어낼 때에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과 함께 벽지가 박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벽지뿐만 아니라 벽면도 흡집이 나버린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벽지의 대부분이 그 표면에 요철을 갖는 염화비닐제이다. 그 때문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해 훅 등의 걸림구를 고정하려고 해도,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은 벽지의 볼록부와 단순히 접촉되어 있는 데 지나지 않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특히, 예를 들어 금속제 등의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물품은, 바로 탈락되어버려, 설치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한편, 훅 등의 걸림구를 못이나 나사 등을 통해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벽지가 평탄하든 요철면이든지에 상관없이, 확실하게 설치할 수는 있다고 하지만, 벽지뿐만 아니라 벽면에도 못이나 나사 등의 구멍이 남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와 동일하게 벽면을 흡집내버린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요철면이 있는 벽면에 대하여 물품을 고정함과 함께, 벽면을 흠집내지 않고 재박리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로서,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 점착 테이프는, 기재에 투수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함과 함께, 기재의 층간 파괴 강도를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벽면으로부터 박리할 때, 파괴된 기재 위에서 물을 뿌림으로써 수팽윤성을 포함하는 점착제에 물을 침투시키고 팽윤시켜 점착력을 떨어뜨려, 벽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 물품을 떼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수팽윤성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는, 고습도 하에서 보관한 경우에 점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는 외에, 점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포스터 등의 경량물밖에 유지할 수 없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이나 우레탄 등의 복원성을 갖는 발포 수지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도 있지만, 점착제에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고 있는 점에서, 하기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고습도 하에 있어서는 점착력의 저하가 염려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006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074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접착 가능하고, 또한 떼어낼 때에도 벽면을 흠집내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훅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벽면 설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벽면 상에 붙여져 있으며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와, 당해 앵커 시트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피지지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당해 기재의, 상기 피지지 물품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이며,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벽면 설치구이다.
또한, 상기 피지지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앵커 시트의 상기 표면과 겹치는 면적에 비해, 상기 앵커 시트의 표면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표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는 면적의 비가 0.1 내지 0.8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앵커 시트는,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점착제층에 면하는 부분이 화지(和紙)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시트와 상기 피지지 물품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표면에 상기 피지지 물품이 설치되어 있고, 이면에 상기 앵커 시트와의 접착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전방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전방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전방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이며,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볼 때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부로, 피지지 물품이 훅인 경우의 것을 분해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훅인 경우의 것을 분해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피지지 물품은 도시하지 않음)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상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의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상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의 것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벽면 설치구이며, 피지지 물품이 상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인 경우의 것이며,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의 C-C 화살표 방향으로 볼 때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 유지력(응집력) 시험에 사용한 실험 샘플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기재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설치구는, 벽면(상세하게는, 벽면 상에 붙여진 벽지)에 부착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와,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통해 벽면에 설치됨으로써 기능을 발휘하는 피지지 물품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는, 피지지 물품으로서의 상자 형상체(B)가 설치되고, 벽면에 붙여진 벽지(W)에 재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앵커 시트(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피지지 물품은 상자 형상체(B)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Bo)가 전방면에 형성된 전방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B)로 함으로써, 수납되는 물품을 상자 형상체(B)의 전방으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한편, 하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B)로 하면, 수납되는 물품을 상자 형상체(B)의 상방으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에 적합한 상자 형상체(B)를 피지지 물품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피지지 물품은 상자 형상체(B)지만, 피지지 물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훅(제2 실시 형태 참조), 선반, 사진용 또는 회화용 프레임, 코르크 보드, 화이트 보드, 거울, 시계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피지지 물품은 개념적으로는, 상자 형상체 및 선반 등 피지지 물품의 사용 시 대상물(수납되는 물품)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물품, 또한 훅, 사진용 또는 회화용 프레임, 코르크 보드 등 피지지 물품의 사용 시 대상물(수납되는 물품)의 일부를 걸 수 있는 물품, 또한 화이트 보드, 거울, 시계 등 단독으로 기능하는 물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피지지 물품이 상자 형상체(B)인 경우, 개구부(Bo)를 설치하는 위치는 전면부(도 1 내지 도 3), 상면부(도 7 내지 도 9/제2 실시 형태), 측면부, 저면부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상자 형상체(B)의 외형도 도시한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면 반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피지지 물품은 투명해도 불투명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피지지 물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는, 종래에는 설치가 곤란하였던, 예를 들어 염화비닐제 등의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접착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벽지는, 요철면을 갖는 벽지(W)(예를 들어 하기 제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도 5 및 도 6)를 예로서 설명한다.
앵커 시트(2)는 상자 형상체(B)의 앵커 시트(2)에 대향하는 면의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앵커 시트(2)는 기재(21)와, 기재(2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2)으로 이루어지고(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층 구조는 과장하여 표현한 것임), 본 실시 형태에서 기재(21)는, 두께가 0.07mm인 화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피지지 물품의 재질, 중량,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기재(21)는, 적어도 점착제층(22)이 형성되는 측이 화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화지뿐 아니라, 화지 이외의 재료를 적층하여 기재(21)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재(21)는, 그 표면에 직접적으로 상자 형상체(B)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자 형상체(B)는, 판매 시에는 앵커 시트(2)와 별체이며, 소비자가 구입 후에, 앵커 시트(2)에 대하여 상자 형상체(B)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매 시에 있어서 앵커 시트(2)와 일체로 할 수도 있다.
기재(21) 중 적어도 상자 형상체(B)가 겹치지 않는 부분에는 장식이 실시되어 있다. 장식은, 유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실시되면 되고, 기재(21)의 표면측에 실시하거나, 기재(21)가 다층 구조인 경우, 층 내에 실시한 장식이 상자 형상체(B)측으로 비치어 보이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이렇게 기재(21)에 장식을 실시함으로써, 벽면을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의 자리 매김을 인테리어 잡화로 할 수 있고,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장식은, 예를 들어 도안이나 색채 등의 인쇄, 엠보스 가공, 플라스틱 비즈 등의 부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구체적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식은 피지지 물품과 무관계의 도안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피지지 물품이 거울, 사진용 또는 회화용 프레임인 경우에는 프레임을 모방한 도안으로 하는 등, 피지지 물품과 관계가 있는 도안으로 할 수도 있다. 피지지 물품과 무관계의 도안이어도, 피지지 물품이 빛나는 미적 효과를 가지고 장식할 수 있지만, 피지지 물품과 관계가 있는 도안에서는 피지지 물품과 일체적인 장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층 더 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재(21)에 실시된 도안에 맞추어 피지지 물품을 장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피지지 물품 그 자체에 장식을 실시할 수도 있고, 장식을 실시한 시트를 피지지 물품에 부착할 수도 있다. 장식을 실시한 시트는 투명해도 불투명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22)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재박리성」이란, 접착 대상물(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지(W))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성질이다. 점착제층(22)의 점착력은, 앵커 시트(2)를 벽지(W)로부터 떼어낼 때, 예를 들어 점착제층(22)이 응집 파괴를 일으킴으로써 벽지(W)를 파괴하지 않고, 벽지(W)로부터 원활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으로 되어 있다. 상기 「파괴」란, 유저가 점착제층(22)을 박리한 후의 벽지(W)를 시인했을 때, 불쾌감을 느낄 정도로 벽지(W)에 흠집이 난 상태를 말한다. 이 때문에, 유저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 레벨이면, 점착제층(22)이 약간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것, 또는 벽지(W)가 약간 파괴되는 것은 허용된다.
점착제층(22)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상기와 같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력을 구비하는 것이면 되지만, 가격이나 피착체의 선택성, 내열, 내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화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22)은 에멀션계, 핫 멜트계 등, 형성을 위한 도공 방법은 상관없다. 도공 시의 작업성, 박리 시의 박리 용이성, 또한 벽지(W)에의 유지 능력을 고려하여, 점착제층(22)의 두께는 10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께가 15㎛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점착제층(22)의 두께를 10㎛ 미만으로 하면, 점착력이 너무 낮아지고, 유지 성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풀(糊) 두께 50㎛를 초과하면, 점착력이 너무 강해져, 박리 시에 벽지 파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앵커 시트(2)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원형, 장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별 형상, 또한 캐릭터, 동물, 탈것 등의 윤곽 형상으로 하는 등, 벽지(W)에의 접착 면적 및 유저에 주는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자 형상체(B)가 앵커 시트(2)의 표면과 겹치는 면적에 비해, 상기 앵커 시트의 표면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상자 형상체(B)가 겹치는 면적의 비가 0.1 내지 0.8(0.1 이상 0.8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면적 비율은 0.2 내지 0.6(0.2 이상 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0.5(0.3 이상 0.5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면적 비율이 약 0.4로 되어 있다. 이렇게 면적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사용 중인 상자 형상체(B)의 중량을 받으면서도, 앵커 시트(2)를 확실하게 벽지(W)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벽지(W)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앵커 시트(2)의 점착제층(22)의 표면에 설치된 박리지(도시하지 않음)를 떼어내고, 앵커 시트(2)를 벽지(W)에 설치한다. 이 작업 시, 유저가 표면측으로부터 앵커 시트(2)를 벽지(W)에 압박하는 것이, 확실한 설치를 위해 바람직하다.
이어서, 앵커 시트(2)의 기재(21)와 벽지(W)의 요철면이 융화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적어도 6시간 이상 방치하는(이하, 기재가 벽지(W)의 요철면에 융화되어 가는 것을, 기재의 벽지(W)에의 「추종성」이라고 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종」이란, 기재(21)를 구성하는 다수의 섬유 중 적어도 일부분이 만곡되도록 변형됨으로써, 기재가 벽지(W)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요철 형상에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대응한 형상」에 대하여, 변형 후의 기재(21)의 벽지에 대향한 면의 변형 후의 형상은, 벽지의 요철면이 갖는 요철 형상에 밀착되는 대략 동일 형상인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실제 상, 양자의 형상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기 때문에 허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21)를,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화지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재(21)는 화지에 한정되지 않고,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종이재이면 되고, 예를 들어 크레이프지 등, 표면에 원료 섬유에 기인하는 미세한 요철면이 있는 종이재라면 기재(21)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재(21)는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재에 한정되지 않고,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다수의 섬유가 집합되어 이루어지는 재료이며 시트상의 재료)이면 되고, 예를 들어 기재(21)가 나일론이나 아크릴 등의 유연성이 풍부한 합성 섬유여도 된다. 기재(21)가 섬유 재료임으로써, 벽지(W)에 대한 충분한 앵커 시트(2)의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앵커 시트(2)에 설치된 상자 형상체(B)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자 형상체(B)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해 앵커 시트(2)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단, 상자 형상체(B)에 있어서의 하중 분포에 의해, 상자 형상체(B)를 장식판의 어느 위치에 설치해도 지장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자 형상체(B)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예를 들어 발포 올레핀계 기재의 양면에 고무계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공한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점착력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아크릴폼 타입의 양면 점착 테이프나 기재(기포 함유층) 자체가 점착성을 갖는 점착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 설명은 중복해서 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는, 피지지 물품으로서의 훅(H)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벽지(W)에 재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앵커 시트(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앵커 시트(2)의 표면에 피지지 물품(훅(H))이 간접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앵커 시트(2)와는 별체로 베이스 플레이트(1)를 구성함으로써, 피지지 물품(훅(H))의 설치에 적합한 베이스 플레이트(1)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 선택의 자유가 넓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그 표면(1a)에 피지지 물품(훅(H))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지만, 그 이면(1b)측에는, 앵커 시트(2)에의 접착 가능한 접착 수단(3)이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피지지 물품(훅(H))이 설치될 때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를 포함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수지 시트로 되어 있다. 단, 베이스 플레이트(1)는 불투명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된 피지지 물품(훅(H))의 중량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표면이 면으로서 작용하도록, 그 두께가 0.5mm로 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1)의 두께는 피지지 물품(훅(H))의 중량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하면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앵커 시트(2)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에도, 그 이면(1b)측에 장식을 실시해도 된다. 이면(1b)측에 장식을 실시한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1)가 투명하면 표면측으로부터 장식을 시인 가능하다. 또한, 장식은 이면(1b)측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실시되면 되고, 장식을 표면측에 실시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1)가 다층 구조인 경우, 층 내에 실시한 장식이 피지지 물품(훅(H))측으로 비치어 보이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 수단(3)은, 앵커 시트(2)에 부착되었을 때, 고하중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후술하는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접착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착 수단(3)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이면(1b)측에 상기 접착력을 갖는 점착제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발포 올레핀계 기재의 양면에 고무계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공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PET 수지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면, ABS 수지나 PP 수지 등의 다른 수지 시트이면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로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목재나 금속제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벽지(W)에 설치하는 방법은, 앵커 시트(2)의 벽지(W)에의 설치까지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후, 양면 점착 테이프(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겹쳐 함께 부착한다. 이 경우, 훅(H)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미리 설치해두어도 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에 부착한 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저, 피지지 물품이 훅(H)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지지 물품을 상자 형상체(B)로 할 수도 있다. 도시한 것은, 개구부(Bo)가 상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의 상자 형상체(B)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의 층 구조는 과장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피지지 물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벽지(W)에 접착되는 앵커 시트(2)의 기재(21)를, 예를 들어 화지와 같이, 그 원료 섬유가 길고, 표면에 미세 요철을 갖는 유연성이 있는 종이재로 함으로써, 기재(21)를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하도록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벽지(W)에 대한 충분한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어려웠던 요철면이 있는 벽지(W)에 피지지 물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 시트(2)의 점착제층(22)은, 예를 들어 재박리성을 가지고, 변형이 자유로우며 피착체의 선택성이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함으로써, 앵커 시트(2)를 박리할 때, 벽면에 대하여 풀을 남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 사이에 접착되는,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3)의 점착력을, 기재(21)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점착력으로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에 비교적 중량이 있는 피지지 물품을 설치한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1)가 앵커 시트(2)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피지지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를,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피지지 물품을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해도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피지지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등을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형태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대응하고 있지만, 상기 실시 형태 1에 대응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문제가 된 것처럼, 일반적인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를 도공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의 유지력이 약하여, 비교적 경량인 훅 등이라도 장시간 벽지에 고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현재 기재의 편면에 재박리성 점착제를 도공한 기재로서는, 화지, 염화비닐 시트(PVC), 2축 연신 폴리프렌 필름(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점착제는 고무계, 아크릴계를 불문하고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대하여 유지력을 발휘하는 것은, 접착제라기 보다는, 기재가 커서 기인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기재에 의한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대한 유지력의 차이를 시험하였다(실시예 1; 기재별 유지력 측정 실험).
[실시예 1; 기재별 유지력 측정 실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화지(두께; 0.07mm), PVC(두께; 0.07mm), OPP(두께; 0.04mm), PET(두께; 0.025mm)를 사용하고, 기재에 재박리성의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도요켐사제; BPS-6066)를, 풀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공한 시험편 A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험편 X1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mm×20mm의 면적이 되도록 피착체(벽지(아사히펜제; SD-06)) X2에 부착하고, 거기에 2kg의 롤러로 1 왕복시켜 하중 G(50g)를 가하여, 40℃ 하에서 30분 방치하고, 시험편마다의 벽지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졌을 때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을 3회(시험 시간; 1일(1440분)) 행하고, 그 평균값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이 결과로부터, 동일한 점착제, 동일한 풀 두께를 도공한 점착 시트여도, 기재의 차이에 의해 유지 시간에 차이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풀 두께 15㎛의 접착제를 도공한 점착 시트에서는, 화지의 유지 성능이 우수한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금회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기재마다의 유지 성능을 간단히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화지는, 시장에서 마스킹 테이프의 기재로서 유통되고 있는 표준적인 것을 선택하고 있다. 동일하게, PVC, OPP, PET도 대부분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것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대한 화지의 유지 성능의 높음은, 화지가, 벽지와 점착제의 접착 면적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은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피착체로서 사용한 벽지의 표면도와 단면도를 관찰하여, 이하의 견해를 얻었다.
[벽지의 기재 평가]
금회 사용한 벽지(아사히펜제; SD-06)에서는, 요철이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볼록부와 볼록부의 간격이 약 2mm, 깊이가 약 0.5mm 정도였다(도 11 참조). 이로부터, 실시예 1에서의 시험편은, 그 점착제가 벽지의 볼록부에 부착됨으로써 유지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시험편에서 사용한 기재마다 이하의 특성을 검증하였다.
[벽지 및 기재의 표면 조도]
요철을 갖는 벽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하여, 특히 화지의 유지 성능이 높았던 이유로서, 벽지에 부착된 점착제를 덮도록, 화지가 벽지의 요철면에 융화되어 가는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되었다(이하, 화지가 벽지의 요철면에 융화되어 가는 것을, 화지의 벽지에의 「추종성」이라고 함).
그래서, 실시예 1에서 피착체로서 사용한 벽지(아사히펜제; SD-06)의 볼록부와, 시험편에 사용한 기재마다의 표면 조도를 표면 조도 측정기(고사까 겡뀨쇼제; SE3500 기기 조건; 파장 0.8mm, 선단 반경 2㎛, 트레이스 길이 4.8mm)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산술 평균 조도(Ra)는, 조도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만큼 발취하고, 이 발취 부분의 평균선으로부터 측정 기준까지의 편차의 절댓값을 합계하여 평균한 것이며, 그 구간의 요철 상태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최대 높이(Ry)는 요철부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이에 의해, 벽지의 볼록부에 미세한 요철이 있는 것이나, 화지의 표면이 다른 기재의 표면에 비해 상당히 거친 것을 알았다.
[벽지 및 기재의 표면 형상]
이어서, 표면 조도 측정기(고사까 겡뀨쇼제; SE3500 기기 조건; 파장 0.8mm, 선단 반경 2㎛, 트레이스 길이 4.8mm)에 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벽지 및 기재의 표면 형상을 도 11에 도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벽지(아사히펜제; SD-06)와 동일하게, 화지에도 표면에 요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PVC, OPP, PET와 같은 기재에는 표면에 화지만큼 큰 요철이 없다.
이로부터, 화지의 표면 요철은 벽지에 비해 미세한 것이지만, 화지가 벽지에 대한 유지력이 높았던 이유로서, 벽지가 요철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화지의 표면 요철은 원료 섬유인 식물(닥나무, 삼지닥나무) 등을 혼초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다른 섬유 재료에 비해 원료 섬유가 길어지는 것에 기인한다고도 생각된다. 이에 비해, PVC, OPP, PET와 같은 기재는, 연신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그것들의 표면이 매끄러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기재의 강성과 탄성]
이어서, 발명자들은, 화지가 벽지에 비해 유지 기능을 발휘한 요인으로서, 화지의 벽지 요철면에 대한 추종성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그 기인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재의 강성과 탄력을 조사하는 것으로 하였다(가토테크사제; 순 굽힘 시험기 KES FB2 기기 조건; 굽힘 곡률 2.5cm-1(0.4 내지 2.5), 감도 4(max), 반복 1회, 방향 WARP, 특성 계산 데이터(B1=0.5; B2=1.5; 2HB=1.0).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금번 측정 중, 굽힘 강성은, 인간이 물체를 굽혔을 때에 느껴지는 부드러움과 상관이 있고, 이 값이 커질수록 단단하고, 작아질수록 부드럽다. 또한, 탄력은, 인간이 물체를 구부려서 복귀시켰을 때에 느끼는 탄력성과 상관이 있으며, 이 값이 커질수록 탄력성이 나쁘고, 작아질수록 탄력성이 좋다.
이 결과에 의하면, 화지를 제외한 PVC, OPP, PET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굽힘 강성이 커지고(단단해지고) 있다. 이에 비해, 화지는, PET보다 두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PET에 가까운 부드러움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탄력성에 대해서는, PVC의 탄력성이 매우 나쁜 것은 알았지만, 화지가 특히 탄력성에 우위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고, 기재의 탄력성은, 화지의 벽지에의 유지 성능과는 관계가 없음을 알았다.
[풀 두께의 검토]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풀 두께가 15㎛에서는, 기재가 화지인 경우에 벽지에의 유지 성능이 가장 높은 것을 알았다. 그래서, 풀 두께의 변화에 따라서, 화지 이외의 기재에서도 벽지에의 동일한 유지 성능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풀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이것에 의하면, 풀 두께가 15㎛에서는 유지 성능이 나빴던 OPP와 PET에서는, 풀 두께를 높게 함으로써 유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풀 두께가 높아짐으로써, 벽지의 요철면에 풀이 들어가서 점착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PVC는, 풀 두께를 높게 해도 유지 성능은 높아지지 않고, 그 이유로서 앞의 탄성 시험에 있어서, PVC의 탄력성이 다른 기재에 비교하여 낮은 것이 요인은 아닌가라고 생각된다. 탄력성이 없다는 것은, 기재에 힘을 가해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벽지에의 추종성이 도모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재의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의 유지 성능의 검토 결과]
이상의 실험 및 검증으로부터, 재박리성 점착 시트 중, 기재를 화지로 한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의 유지 성능의 우위성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풀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화지의 유지 성능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기재보다 현격히 우수한 것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유지 능력의 우위성은, 화지의 표면에 원료 섬유인 식물 섬유에 의한 요철이 있을 뿐 아니라, 화지가 다른 기재에 비해 매우 부드러운 점에서, 피착체(벽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여,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풀 두께를 두껍게 하면, 화지 이외의 OPP나 PET에서도 유지 성능이 높아지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비용면, 환경면 등을 고려하면, 화지의 우위성은 변함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 의해, 앵커 시트(2)의 기재는, 풀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기재를 화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풀 두께를 두껍게 하면 다른 기재(OPP나 PET)로도 대용 가능한 것을 알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훅(H) 등의 걸림구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겹쳐 붙여서 사용하는 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가 앵커 시트(2)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재(21)의 표면(21a)에는, 배면 처리(박리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앵커 시트(2)로서 적용되는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갖는, 소위 점착 시트는, 통상적으로 제품으로서 두루마리로 되기 때문에, 점착제층과 중첩되는 기재(21)의 표면(21a)에는 배면 처리가 되어 있거나 박리지가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배면 처리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면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는 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가 앵커 시트(2)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점착력을 알기 위해서,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실시예 2;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의 접착력).
[실시예 2;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의 접착력]
종류가 다른 박리 처리를 실시한 화지를 기재로 하는, 시판되고 있는 복수종의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양면 점착 테이프(3)와 동일한 조성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양면 점착 테이프 No.575)의 마스킹 테이프에 대한 접착력(배면 접착력)을 비교하였다.
종류가 다른 박리 처리를 실시한 4종의 마스킹 테이프 A, B, C, D의 기재 표면을 피착체로 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양면 점착 테이프 No.575)를 20mm폭으로 절단하여 피착체에 부착하고, 여기에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 왕복시키고, 30분 경과 후에 인장 시험기(ORIENTEC사제; RTC-1210A)로 180도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min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3; 벽지용 물품 지지구와 벽지의 접착력]
또한, 표 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 벽지용 물품 지지구에 훅(H)을 설치한 샘플을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2에서 접착력을 측정한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여, 벽지에 설치하고, 각각의 유지 능력을 검증하였다.
Figure pat00006
본 실시예에서는, 아사히펜제 SD-06을 피착체로 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마스킹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고,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 왕복시키고, 40℃의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750g의 훅(H)을 설치하여 1개월 유지시켰다. 이 시험을 5회 반복하였지만,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이 3N/20mm 미만인 것은, 마스킹 테이프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알았다.
Figure pat00007
[베이스 플레이트와 앵커 시트의 유지 성능의 검토 결과]
실시예 2 및 실시예 3으로부터, 앵커 시트(2)의 베이스 플레이트(1)에의 유지 성능은, 양면 점착 테이프(3)의, 기재(21)의 표면(21a)에 대한 접착력이 3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앵커 시트의 벽지에의 추종 확보 시간]
상기 마스킹 테이프 D를 사용하여, 벽지(아사히펜제 SD-06)의 요철에 융화된다.
(추종성 확보) 시간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벽지(아사히펜제 SD-06)를 피착체로 하고, 상기 마스킹 테이프 D를 15mm×15mm의 면적이 되도록 피착체에 부착하고, 거기에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 왕복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인장 시험기(SHIMADZU사제; AGS-X)로 0도 방향으로 또는 피착체와 수평 방향으로 인장 속도 50mm/min으로 전단하였을 때의 인장 전단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이로부터, 앵커 시트가 벽지에 융화되고, 적합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적어도 6시간 이상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이상의 실시예 등에 의해,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의 유지 성능을 높이는 제1 요인은, 기재임을 알았다. 또한, 기재는, 그 표면에 요철면이 구비됨으로써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종이재는 섬유 재료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요철면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특히 원료 섬유가 긴 화지가, 기재로서 우위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화지와 같은 비교적 입수하기 쉬운 소재에 의해 기재를 구성함으로써, 앵커 시트를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통합하여 기재한다. 상기 실시 형태는, 벽면 상에 붙여져 있으며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와, 당해 앵커 시트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피지지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당해 기재의, 상기 피지지 물품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이며,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벽면 설치구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앵커 시트의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이며, 앵커 시트를 벽지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앵커 시트의 기재는, 앵커 시트를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벽지에 대한 충분한 앵커 시트의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앵커 시트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 피지지 물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지지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앵커 시트의 상기 표면과 겹치는 면적에 비해, 상기 앵커 시트의 표면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표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는 면적의 비가 0.1 내지 0.8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면적 비율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사용 중의 피지지 물품의 중량을 받으면서도, 앵커 시트를 확실하게 벽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시트는,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재에 장식을 실시함으로써, 벽면을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의 자리 매김을 인테리어 잡화로 할 수 있고,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점착제층에 면하는 부분이 화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화지와 같은 비교적 입수하기 쉬운 소재에 의해, 앵커 시트를 벽지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시트와 상기 피지지 물품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표면에 상기 피지지 물품이 설치되어 있고, 이면에 상기 앵커 시트와의 접착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지지 물품의 설치에 적합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식을 실시함으로써, 벽면을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의 자리 매김을 인테리어 잡화로 할 수 있고,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벽지에 대한 충분한 앵커 시트의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앵커 시트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 피지지 물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어려웠던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훅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1: 베이스 플레이트
2: 앵커 시트
21: 기재
22: 점착제층
3: 접착 수단
B: 피지지 물품(상자 형상체)
Bo: 상자 형상체의 개구부
H: 피지지 물품(훅)
W: 벽지

Claims (6)

  1. 벽면 상에 붙여져 있으며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와, 당해 앵커 시트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피지지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당해 기재의, 상기 피지지 물품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이며,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앵커 시트를 상기 벽지에 설치한 상태가 있어서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벽면 설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앵커 시트의 상기 표면과 겹치는 면적에 비해, 상기 앵커 시트의 표면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표면의 면적에 대한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는 면적의 비가 0.1 내지 0.8인, 벽면 설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시트는,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는, 벽면 설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점착제층에 면하는 부분이 화지로 구성되는, 벽면 설치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시트와 상기 피지지 물품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표면에 상기 피지지 물품이 설치되어 있고, 이면에 상기 앵커 시트와의 접착 수단을 구비하는, 벽면 설치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피지지 물품이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장식이 실시되어 있는, 벽면 설치구.
KR1020180073769A 2017-07-07 2018-06-27 벽면 설치구 KR20190005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3348 2017-07-07
JP2017133348A JP6986381B2 (ja) 2017-07-07 2017-07-07 壁面取付物品セ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37A true KR20190005737A (ko) 2019-01-16

Family

ID=6495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69A KR20190005737A (ko) 2017-07-07 2018-06-27 벽면 설치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40581A1 (ko)
EP (1) EP3650718A1 (ko)
JP (1) JP6986381B2 (ko)
KR (1) KR20190005737A (ko)
CN (2) CN109199052B (ko)
WO (1) WO20190093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434A (ko) 2019-09-28 2019-10-16 윤새빈 스마트거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6381B2 (ja) * 2017-07-07 2021-12-22 株式会社ニトムズ 壁面取付物品セ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0742A (ja) 2007-11-15 2009-06-04 Sunny:Kk 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粘着性樹脂
JP2010100688A (ja) 2008-10-22 2010-05-06 Nitomuzu:Kk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3340B2 (ja) * 2006-02-01 2012-10-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物品取り付けキット
JP2009001667A (ja) * 2007-06-21 2009-01-08 Nichiban Co Ltd 粘着シートの粘着剤層表面に凹部を形成するための剥離シート
CN201504964U (zh) * 2009-09-11 2010-06-16 王广河 挂钩
JP3157223U (ja) * 2009-11-20 2010-02-04 俊杰 呂 接着シート式壁表面ハンギング装置
JP2013010195A (ja) * 2011-06-28 2013-01-1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インデックスラベル
CN203000475U (zh) * 2012-12-20 2013-06-19 中山市誉伟工艺礼品有限公司 可随意移动的挂墙式置物装置
CN204120744U (zh) * 2013-12-24 2015-01-28 王树金 粘钩
TWM495296U (zh) * 2014-08-01 2015-02-11 jun-jie Lv 用於不平整表面之掛勾用防水軟質貼片
JP2016069854A (ja) * 2014-09-29 2016-05-09 アキレス株式会社 簡易施工壁紙
CN105030021A (zh) * 2015-06-24 2015-11-11 周顺伟 一种无痕挂钩
JP6427508B2 (ja) * 2016-01-08 2018-11-21 株式会社ニトムズ 壁紙用物品支持具および物品取付け用のアンカーシート
JP6986381B2 (ja) * 2017-07-07 2021-12-22 株式会社ニトムズ 壁面取付物品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0742A (ja) 2007-11-15 2009-06-04 Sunny:Kk 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粘着性樹脂
JP2010100688A (ja) 2008-10-22 2010-05-06 Nitomuzu:Kk 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434A (ko) 2019-09-28 2019-10-16 윤새빈 스마트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0718A1 (en) 2020-05-13
JP2019015342A (ja) 2019-01-31
CN109199052A (zh) 2019-01-15
US20210140581A1 (en) 2021-05-13
CN209474337U (zh) 2019-10-11
CN109199052B (zh) 2021-10-29
WO2019009318A1 (ja) 2019-01-10
JP6986381B2 (ja)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8083B (zh) 墙纸用物品支承件和安装物品用的锚定片
US20230049824A1 (en) Dry apply protective methods
KR101446506B1 (ko) 입체형 장식물이 부착된 인조네일
US8367176B1 (en) Repositionable, self-adhesive wallpaper
KR20190005737A (ko) 벽면 설치구
JP2017121437A5 (ko)
US20120308763A1 (en) Adhesive fastening device
EP3271167B1 (en) Mounting system
JP2001037511A (ja) 基材付装飾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2111142B1 (en) Adhesive frame for a photograph or pi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90252911A1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7241466B2 (ja) 物品取付具、及び貼り付け方法
US6494424B1 (en) Structure for removably securing a container to a substantially planar supporting surface
JP3110178U (ja) 吊下げ具
JPH11327477A (ja) 着脱自在の掲示部材
JP3090283U (ja) 内装構造物の保護シート
JP2020169296A (ja) 接着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支持システム
JP2007114250A (ja) 表示具
WO2011004171A1 (en) Window display panel
JP2001265229A (ja) ネームプレート
JP2000313861A (ja) 表面貼付シート
WO2015124730A1 (en) Re-usable pictur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