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675A -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 Google Patents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675A
KR20190005675A KR1020170086697A KR20170086697A KR20190005675A KR 20190005675 A KR20190005675 A KR 20190005675A KR 1020170086697 A KR1020170086697 A KR 1020170086697A KR 20170086697 A KR20170086697 A KR 20170086697A KR 20190005675 A KR20190005675 A KR 2019000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pring
note
elastic suppor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313B1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102017008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8Shee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 B42F13/08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of met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지의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의 노트 사용 중에 별도의 기구없이 속지를 제거, 추가, 재배열할 수 있도록, 속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분리하고 재장착할 수 있도록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및 잠금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Re-binding spring note}
본 발명은 스프링노트에 고정된 노트내지의 이동, 제거, 및 추가가 용이한 제본 구조를 포함하는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에 관한 것이다.
노트 또는 수첩은 각종 아이디어와 지식의 기록을 위하여 저렴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노트를 제본하는 방법은 실로 묶는 방법, 스테이플러로 철심을 고정하는 방법, 접착제를 바르는 방법, 천공용지에 고리로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지의 분리 시 흔적이 남지 않고 반으로 접어쓰기 편리한 천공노트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용지분리 후 구멍부분이 찢어지게 되어, 분리는 가능하지만 다른 위치나 노트로 이동제본이 불가능하고 새로운 용지의 추가는 곤란한다. 만일 용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지의 이동, 제거, 추가 등의 작업을 위해서는 고리구조에 변형을 일으켜야 한다.
이러한 천공노트 지지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용지와 고리로 이루어지 제본구조를 위상기하학적으로 해석해 보기로 한다. 천공된 용지에 고리형태의 지지부를 이용하여 노트를 지지하는 개념으로, 하나의 링(100)과 구멍(200)으로 이루어진 도 1과 같은 메모장 형태를 기본적인 일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상기하학적 개념으로 들여다보면 도 2의 형태로 변형된 등가구조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용지구멍(200) 일종의 원통(201)으로 변형되고, 링(100)은 닫힌 고리(101) 대응되어 원통(201)을 고리(101)가 관통하여 원통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속하는 형태이다.
만일 도 3과 같이 구멍이 여럿인 노트의 경우를 해석하면 도 4와 같이 여러 개의 원통(201)을 여러 개의 닫힌 고리(101)가 각각 관통 구속하고 여러 개의 고리를 고정부재(103)를 통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도 5에 도시된 나선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지지부(110)를 갖는 스프링노트는 하나의 탄성지지부(110)가 용지의 모든 구멍(200)을 통과하므로, 위상기학학적으로 하나의 봉(111)이 여러 개의 원통(211)을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 된다. 각 원통들 사이에 봉이 통과하기에 구조적인 간섭이 없으므로 도 7과 같이 연결된 하나의 원통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용지(320)가 스프링(110)에 의해 지지된다는 것은, 봉(111)이 원통(212)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않아 봉에 의해 원통이 지지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하여 봉이 원통 내부에 머무르도록 양단에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간단하게는 봉을 휘어서(112) 원통에서 봉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도 8과 같이 구성한다. 이 결과가 도 5의 스프링노트와 등가인 위상기하학적인 배치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노트는 종이에 복수 개의 구멍을 뚫고 스프링을 끼워 만든다. 일단 제본된 스프링노트는 스프링이나 용지의 구조적 변형이 없이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스프링노트도 다른 제본방식과 마찬가지로 용지의 재배열과 용지추가가 불가능하고 제거된 용지도 구멍이 찢어져 다른 수첩으로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지를 첨삭할 수 있는 기구가 부착된 바인더(면장철)노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인더 구조는 용지를 추가, 제거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노트에서 기하학적으로 고리구조(101)를 절단 분리함으로써 원통(201)이 고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데, 이 경우 고리라기보다 원천적으로 집게의 형태에 가까우며 위상기하학적으로 전혀 다른 구성이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3의 체결지지부(102)와 고리(101)의 내부에 복잡한 기구 설계가 필요해지며, 이 구조는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바인더노트의 경우, 고리구조(101)가 기구적으로 절단되어 집게의 기능으로 변형되고 용지가 이탈하지 않도록 닫힌 링 구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체결지지부(102) 등의 주변기구부에 탄성력을 갖는 기구나 체결구조가 추가되어 두껍고, 복잡하고, 무거운 형태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프링노트의 장점인 가볍고, 저렴하며, 반으로 접어 사용하는 공간활용성 등의 잇점을 활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렴한 스프링노트의 탄성지지부과 용지의 분리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천공된 용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지의 이동, 제거, 추가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 중 노트제본을 반복수행 할 수 있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별도의 외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일상에서 필기된 용지의 이동을 통한 편집과 정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노트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위상기하학적으로 봉(112)이 원통(212) 내부를 관통지지하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봉의 양 끝단에 원통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기구적 변형을 취하는 형태에서, 도 9와 같이 봉(120)이 원통(220) 내부에 수납되어 봉(120)이 원통(220)내부를 관통지지하는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 개념은 봉의 구조 변형을 통해 봉이 원통을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기존의 스프링노트의 개념의 역발상으로, 봉(120)이 원통(220) 내부에 수납 또는 분리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잠금마개(400)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원통(220)은 봉(120)의 일방향 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방향이 막힌 구조(500)를 가질 수 있으며, 잠금마개(400)의 착탈을 통해 봉(120)이 원통(220)으로부터 자유롭게 이탈하거나 수납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스프링노트이 경우인 도 8의 경우는 봉(112)의 진행방향의 뒤쪽에서 이동을 억제함으로 인장형 스프링구조라 할 수 있고, 제안된 개념인 도 9의 경우는 봉(120)의 진행방향 앞 쪽에서 이동을 억제함으로서 압축형 스프링 구조라 할 수 있어, 기존의 스프링노트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노트 구성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은,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의 목적 상, 봉과 원통의 분리 및 결합과정에서 봉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제공해야 하는데, 봉의 이동억제를 봉의 형태변환이나 봉에 탈부착되는 추가기구가 존재할 경우, 봉의 형태나 표면에 형상변형이 일어나 봉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봉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의도가 포함된다.
상기의 위상기하학적 해결수단을 스프링노트에 적용한 일예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220)의 구멍에 대응되는 용지(320)의 구멍(221)이 존재하고, 내부의 봉(120) 역활의 스프링(121)과 잠금마개(400) 역할을 하는 클립(40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의 원통의 막힌 부위(500)는 용지의 구멍을 마지막 위치에서 천공하지 않음(501)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노트를 구성하는 형태로 표현하면, 하나의 면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320)의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221)들을 구비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하는 탄성지지부(121)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들 중 가장 일측단에 배치된 구멍으로부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여 모두 관통한 후 상기 탄성지지부의 마지막 부분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클립(401)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가 복수의 재질(3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노트속지의 이동, 삭제, 추가 등의 새로운 제본 작업을 위하여는 상기 과정의 반대의 작업으로, 상기 잠금클립(401)를 노트로부터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탄성지지부(121)의 역방향 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상기 탄성지지부(121)과 재질(320)이 분해되어 노트 구성을 새로이 재조합할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위상기하학적으로는 봉의 형태에 대응되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탄성지지부가 위상기하학적으로 표상되는 봉 구조가 통과하는 원통구조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이 구비된 노트속지 및 표지;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기 속지 구멍으로 형성된 원통 안에 수용하며 역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잠금클립;을 구비한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노트속지 및 표지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들;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들 중 가장 일측단에 배치된 구멍으로부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여 모두 관통한 후 상기 탄성지지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클립;을 포함하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위상기하학적으로는 봉의 형태에 대응되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위상기하학적으로 원통구조에 대응되는 상기 노트속지의 구멍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할 때, 일방향 회전과 역방향회전을 동시에 차단하는 기능으로서 위상기하학적으로 양방향마개구조를 형성하는 잠금클립을 구비하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는 상기 노트속지 및 표지의 재질이 종이, 천, 플라스틱, 가죽, 목재 등으로 구성된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양태는 상기 잠금클립은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양태는 상기 표지에 배치된 상기 구멍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양태는 상기 잠금클립을 상기 표지 외부에 장착하여 노트라벨로 사용하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양태는 상기 잠금클립 장착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일부가 다른 색을 가지는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양태는 상기 잠금클립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양 끝단 움직임을 각각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양태는 상기 다수의 구멍 중 상기 탄성지지부가 스파이럴 형태로 모두 관통할 때 마지막 관통 구멍이 폐쇄된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양태는 상기 탄성지지부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 탄성스프링인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양태는 상기 탄성지지부 종단 부분이 노트 속지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클립 또는 표지의 격벽구조에 의해 역방향 운동이 제한되는 구조의 스프링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지와 용지 등을 결속하는 수단으로 나선형 코일 스프링형태의 탄성지지부를 사용하는 스프링노트에 있어, 일상에서 용지 재배열, 제거, 추가 등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존의 스프링노트의 사용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클립의 부착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필기완료 후 수납된 노트의 라벨기능을 겸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구멍과 링으로 이루어진 단어장 사시도
도 2는 하나의 구멍과 링으로 이루어진 단어장 위상기하학적 구조
도 3은 복수의 구멍과 링으로 이루어진 단어장 사시도
도 4는 하나의 구멍과 링으로 이루어진 단어장 위상기하학적 구조
도 5는 스프링노트 사시도
도 6은 스프링노트의 기초적인 위상기하학 모델
도 7은 스프링노트의 위상기하학적 모델의 일반화
도 8은 스프링노트의 위상기하학적 구조
도 9는 제안된 해결방안의 위상기하학 모델
도 10은 제안된 해결방안이 적용된 스프링노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프링노트에 표지까지 장착된 형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프링노트 표지가 덮힌 상태
도 13은 잠금클립의 탈착과정 표시도
도 14는 잠금클립의 라벨용도 적용 사시도
도 15는 표지에 회전형 잠금클립이 장착된 예
도 16은 표지에 슬라이드형 잠금클립이 장착된 예
도 17은 표지 장착 잠금클립에 의해 스프링 이동이 차단된 형태
도 18은 양단 잠금 클립이 적용되는 위상기하학적 모델
도 19는 잠금클립이 스프링양단을 동시차단하는 구조의 스프링노트 사시도
도 20은 표지에 잠금클립이 고정부재로 형성된 스프링노트 사시도
도 21은 표지에 잠금클립이 고정부재로 형성된 스프링노트 사시도 후면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제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하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노트는, 위상기하학적으로 봉(120)이 통과하는 원통구조(220)를 구성하는 천공(221)이 구비된 용지(320)와, 위상기하학적으로 봉(120)의 형태를 구성하는 코일구조 탄성지지부(121),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를 표상하는 봉(120)을 원통구조(220) 안에 수용하고 착탈 가능한 마개(400)역활하는 잠금클립(401)를 구비하여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를 구현한다.
아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용지(320)는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221)들을 구비하고 하나의 면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320)로 구성되며, 종이, 천, 가죽,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21)는 상기 다수의 구멍(221)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여 관통하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클립(401)은 코일 형태의 탄성지지부가 용지의 천공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물리적 객체로서 플라스틱수지, 금속 등의 재질을 구분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 및 표지를 포함한 다른 부분과 결합여부를 구별하지 않는 여하의 기구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구성 일예로 도 10과 같이 노트용지(320)의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221)들을 구비하고,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지지부(121)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들 중 가장 일측단에 배치된 구멍으로부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여 모두 관통한 후 상기 탄성지지부의 마지막 부분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잠금클립(401)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가 복수의 재질(3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연속으로 배치된 구멍의 마지막 부분을 생략함(501)으로써 탄성지지부의 일방향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는 연속으로 배치된 구멍의 마지막 부분을 생략하지 않고, 제 2의 잠금클립을 상기 탄성지지부(121)의 일방향 이동을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클립이 장착된 외부에 표지(600)가 함께 제본되어 잠금클립(401)을 덮어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표지가 덮이지 않았을 때는 클립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표지가 덮이게 되면 도 12와 같이 잠금클립(401)이 표지(600)와 노트용지(320)사이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게 된다.
잠금클립(401)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13의 형태와 같이 탄성지지부(121)의 적절한 위치에 잠금클립을 끼어넣게 되는데, 일상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부분에 도색을 달리한 탄성지지부(122)을 사용하거나, 표지 또는 속지에 해당 위치를 인쇄(123)함으로써 착탈을 용이하게 지원 할 수 있다.
스프링노트를 휴대하여 사용 시 잠금클립(401)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타 물체와 간섭으로 불편한 부분이 있어 표지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나, 노트사용이 완료되어 휴대하지 않고 책꽂이 등에 보관할 경우 탄성지지부(121)이 점유하고 있는 측면에 표기하기 힘든 스프링노트 특성상 표지 라벨을 사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측면에 라벨표기가 필요한 경우 도 14과 같이 스프링 잠금클립(402)을 라벨표기 장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의 이동유격이 생겨 한 바퀴 정도 회전할 수 있으나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상 큰 문제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로, 도 1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잠금클립(420)을 표지(610)에 구비할 수도 있다. 잠금클립(420)이 표지(610)부착되어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노트용지(320) 편집을 위해 탄성지지부(121)를 조작할 때는 경로를 열어주었다가 제본완료 후 탄성지지부 회전을 차단하는 상태로 회전하여 도 17의 클립상태(422)와 같은 형태를 유지한다.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도 16의 경우와 같이, 표지에 부착되어 선형이동이 가능한 잠금클립(421)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탄성지지부(121)의 스파이럴 회전이동 시에는 경로를 개방하고 제본완료 후에는 클립(421)을 슬라이드 조작하여 도 17의 잠금형태(422)로 변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로, 도 9에서 제시한 위상기하학적 해결수단인 일방향이 차단(500)된 원통구조(220)와 잠금마개(400)의 착탈을 통해 봉(120)이 원통(220)으로부터 이탈, 수납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에서, 도 18의 형태로 양방향으로 개방된 원통(230)에 양단을 동시에 차단하는 구조의 마개(410)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납된 봉(130)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를 스프링노트에 적용하면 도 19와 같은 형태로 잠금클립(411)이 구성되어 내부 탄성지지부(121)의 양단을 하나의 클립으로 차단하여 스프링(121)이 천공구멍(231)의 통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지 전체에 상기 개념을 적용하여 도 20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640)에 고정된 잠금클립(423)구조를 형성하여, 탄성지지부(121)이 스파이럴 회전을 통해 연속적으로 구성된 구멍(221)을 통과하고 최종회전에서 생략된 구멍부위(501)에서 일방향 회전이 차단됨과 함께, 탄성지지부(121)가 진입한 일측단의 끝부분에 역방향 회전이 잠금클립구조(423)에 의하여 차단되는 구성을 갖는다.
잠금클립구조(423)은 상기한 잠금클립 구조와는 달리 움직이는 부분이 없으며 탄성지지부(121)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의 종단이 잠금클립구조(423)의 격벽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구성을 갖는다. 탄성지지부(423)를 분리하기 위하여는 상기 탄성지지부(423)에 탄성변형을 가하여 그 종단이 잠금클립구조(423) 외부로 이탈하도록 유도하거나 격벽의 탄성병형을 통해 탄성지지부가 이탈하여 역방향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한다. 도 21에 탄성지지부(121)가 잠금클립구조(423) 격벽 내부에 밀려 들어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는 문제의 해결수단을 형상화하는 여러 형태를 제시한 것일 뿐이므로 이 외에도 상기한 위상기하학적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구성방식이 가능하다.
100 : 단일고정링 101 : 개념 고정링 102 : 복수고정링 103 : 복수고정링 개념구조
110 : 나선코일 스프링 111 : 봉 개념 112 : 양 단 구부러진 봉
120 : 봉 121 : 끝단 개방 나선코일 스프링 122 : 2 색 코일 스프링 123 : 클립장착 위치 마킹
200 : 수첩구멍 201 :링 구조 211 : 동심 링 구조 212 : 원통 구조
220 : 단면 막힌 원통 221: 수첩구멍
230 : 양면 뚫린 원통 231 : 수첩구멍
300: 단일구멍 수첩용지 310 : 복수구멍 수첩용지 320 : 고안된 수첩용지
400 : 잠금 마개 401 : 잠금 클립 402 : 라벨기능 잠금 클립
410 : 양단잠금 마개 411 : 양단잠금 클립
420 : 표지부착 회전식 클립 421 : 표지부착 슬라이드 클립 422 : 클립 잠금 상태 423: 표지일체형 잠금클립구조
500 : 원통 막힌 부분 501 :수첩용지 막힘 부분
600 : 일반표지 610 : 회전클립 부착표지 620 : 슬라이드 클립 부착표지 630 : 클립 부착 표지 640: 클립일체형 표지

Claims (12)

  1. 위상기하학적으로는 봉의 형태에 대응되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탄성지지부가 위상기하학적으로 표상되는 봉 구조가 통과하는 원통구조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이 구비된 노트속지 및 표지;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기 속지 구멍으로 형성된 위상기하학 측면의 원통구조 안에 봉을 수용하며, 마개기능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의 역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잠금클립;을 구비한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2. 노트속지 및 표지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들;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들 중 가장 일측단에 배치된 구멍으로부터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여 모두 관통한 후 상기 탄성지지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클립;을 포함하는 스프링노트.
  3. 1 항에 있어서, 위상기하학적으로는 봉의 형태에 대응되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위상기하학적으로 원통구조에 대응되는 상기 노트속지의 구멍을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며 관통할 때, 일방향 회전과 역방향회전을 동시에 차단하는 기능으로서 위상기하학적으로 양방향마개구조를 형성하는 잠금클립을 구비하는 스프링노트.
  4.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속지 및 표지의 재질이 종이, 천, 플라스틱, 가죽, 목재 등으로 구성된 스프링노트.
  5.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클립은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스프링노트.
  6.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에 배치된 상기 구멍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프링노트.
  7.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클립을 상기 표지 외부에 장착하여 노트라벨로 사용하는 스프링노트.
  8.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클립 장착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지지부의 일부가 다른 색을 가지는 스프링노트.
  9.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클립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양 끝단 움직임을 각각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노트.
  10.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멍 중 상기 탄성지지부가 스파이럴 형태로 모두 관통할 때 일방향 운동이 제한되도록 마지막 구멍이 폐쇄된 스프링노트.
  11.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 탄성스프링인 스프링노트.
  12.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 종단 부분이 노트 속지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클립 또는 표지의 격벽구조에 의해 역방향 운동이 제한되는 구조의 스프링노트.
KR1020170086697A 2017-07-07 2017-07-07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KR10204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97A KR102045313B1 (ko) 2017-07-07 2017-07-07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97A KR102045313B1 (ko) 2017-07-07 2017-07-07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75A true KR20190005675A (ko) 2019-01-16
KR102045313B1 KR102045313B1 (ko) 2019-12-02

Family

ID=6528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697A KR102045313B1 (ko) 2017-07-07 2017-07-07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0495Y1 (ko) * 1970-05-11 1972-09-12
JP3073814U (ja) * 2000-06-05 2000-12-15 弘久写真工業株式会社 リング製本用背見出しタグ
JP3507985B2 (ja) * 2001-04-16 2004-03-15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製本用螺旋コイルの回転防止具
KR20140020023A (ko) * 2012-08-07 2014-02-18 구태창 제본링을 이용한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814B2 (ja) * 1991-11-15 2000-08-07 松下電工株式会社 気泡発生装置付浴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0495Y1 (ko) * 1970-05-11 1972-09-12
JP3073814U (ja) * 2000-06-05 2000-12-15 弘久写真工業株式会社 リング製本用背見出しタグ
JP3507985B2 (ja) * 2001-04-16 2004-03-15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製本用螺旋コイルの回転防止具
KR20140020023A (ko) * 2012-08-07 2014-02-18 구태창 제본링을 이용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313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675A (ko) 재제본 가능한 스프링노트
KR20170003623U (ko)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JP2009248569A (ja) 綴じ具を用いたファイル
JP3186930U (ja) ルーズリーフバインダー
US20070183839A1 (en) Bound component with adjustable elastic device
JP2017019099A (ja) ノートシステム
US20120057925A1 (en) File binder and document organizer
JP6886687B2 (ja) リング式綴具ホルダー、綴具付きホルダーおよび、ファイル
JP2007090664A (ja) 冊子構成体及び冊子体
US8591135B2 (en) File binder and document organizer
WO1996022888A1 (en) Binding systems for papers
JP3182254U (ja) 記録帳
JP3146016U (ja) クリアファイル
JP3200981U (ja) 綴じ具
AU2013274195A1 (en) Flexible book binding with interchangeable pages
US20090116896A1 (en) Ring Binder Mechanism with Pen Holder
JP7168830B2 (ja) 用紙の着脱が容易な手帳やノート、バインダー等
CN213007212U (zh) 一种方便拆合的活页笔记簿
WO2010011197A1 (en) Split-fastening device for paper (versions)
RU76857U1 (ru) Разъемно-скреп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маги (варианты)
US1000360A (en) Loose-leaf binder.
US1678445A (en) Memorandum pad
JP3211925U (ja) ノートカバー
JP2007152941A (ja) フォルダーファイル
JP3110788U (ja) システム手帳用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