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23U -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 Google Patents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23U
KR20170003623U KR2020160001959U KR20160001959U KR20170003623U KR 20170003623 U KR20170003623 U KR 20170003623U KR 2020160001959 U KR2020160001959 U KR 2020160001959U KR 20160001959 U KR20160001959 U KR 20160001959U KR 20170003623 U KR20170003623 U KR 20170003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note
binder
spr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2020160001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623U/ko
Publication of KR20170003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노트를 스프링으로부터 훼손없이 분리 가능하고, 분리된 스프링을 재사용할 수 있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을 제공하기 위한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에 관한 것으로, 노트의 바인더 홀에 끼워져 노트를 결속하는 복수개 이상의 링과, 상기 링을 개폐하는 체결부와, 상기 복수개 이상의 링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Notes spring binder and use it for notes prepared}
개시된 내용은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에 관한 것이다.
노트는 낱장으로 되어있는 종이를 적층시킨 상태로 제본하여 하나의 책 형태로 만들어 낸 것이다.
노트를 제본하는 방법은 실로 묶는 방법,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철심으로 고정하는 방법, 접착제를 바르는 방법, 스프링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실로 묶거나 철심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제본된 노트는, 노트를 펼쳤을때 제본부위가 들뜨지 않고 넘길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로 묶는 방법의 경우 공정이 까다롭고 철심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두꺼운 노트에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노트의 한쪽면을 찢을 때 다른 한쪽면도 같이 찢어져 노트를 낭비하게 된다.
접착제를 바르는 방식의 제본은 공정이 간단하여 생산비가 저렴하지만 노트를 펼치면 접착제가 발린 부분이 들떠 필기가 용이하기 않으며 노트를 찢을 때 잔해물이 남아 보기에 좋지 않다.
스프링노트는 노트의 일측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에 스프링을 끼워 제본한다. 이 스프링 노트는 펼치거나 접더라도 제본부위가 들뜨지 않아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노트의 한쪽면을 찢을 때 스프링이 결속된 구멍이 찢어져 노트가 훼손되고, 스프링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노트 폐기시 스프링도 함께 폐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제작비용이 비교적 높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9403호 '스프링 제본 노트'
노트부를 스프링으로부터 훼손없이 분리 가능하고, 분리된 스프링을 재사용할 수 있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형성되며 노트부의 바인더 홀에 끼워져 노트부를 결속하는 복수개의 링과, 상기 링을 개폐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내지와 표지로 구성된 노트부와, 전술한 노트용 스프링바인더에 의해 상기 노트부가 결속되는 노트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은 링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노트부를 훼손없이 스프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링과 연결바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저비용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의 확대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의 확대도.
본 개시에 따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가 노트부(N)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1)이 노트부(N)에서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용 스프링바인더는 한장 이상의 종이인 노트부를 한 묶음으로 결속하는 장치로, 노트부(N)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바인더 홀(h)이 천공되고, 노트용 스프링바인더로 바인더홀(h)을 결속하여 노트부(N)를 한묶음으로 제본한다.
전술한 노트용 스프링바인더는 연결바(20)와 상기 바인더홀(h)에 끼워져노트부(N)를 결속하고 상기 연결바(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링(10)을 구비한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0)는 긴 막대 형태로 노트부(N)의 일측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링(10)은 노트부(N)의 일측을 균형있게 결속하기 위해 바인더홀(h)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링(10)은 바인더홀(h)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결바(20) 상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는 링(10)이 바인더홀(h)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링(10)은 반드시 바인더홀(h)의 개수와 같은 개수가 구비될 필요성은 없으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노트부(N)를 결속할 수 있다면 무방하다.
전술한 링(10)은 바인더홀(h)에 끼워져 노트부(N)를 결속하거나, 노트부(N)로부터 탈거되어 노트부(N)의 결속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0)은 연결바(20)의 일측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 1 고리(11)와, 연결바(20)의 타측에 상기 제 1고리(11)와 대칭되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 2 고리(13)를 갖는다. 상기 제 1 고리(11)와 제 2 고리(13)가 결합되면 링(10)은 원형을 이루며 상기 노트부(N)를 결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리(11)와 제 2 고리(13)가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는 상태를 제 1 상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리와 제 2 고리가 해제되어 링이 개방된 상태를 제 2 상태라 하겠다.
도 1에는 전술한 제 1 상태의 링(10)이 원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링(10)은 제 1 상태 일 때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의 일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체결부는 전술한 제 1 고리(11)와 제 2 고리(13)가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기 위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리(11)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a)와 제 2 고리(13)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3a)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11a)는 결합홈(13a)에 억지끼움되어 제 1 고리(11)와 제 2 고리(13)의 결합상태, 즉 제 1 상태를 유지하고, 결합돌기(11a)가 결합홈(13a)에서 탈거되어 제 1 고리(11)와 제 2 고리(13)는 개방상태인 제 2 상태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바(2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접이부(21)가 구비된다. 이 접이부(21)는 연결바(20)를 제 1 고리(11)가 연결되는 좌측부(23)와 제 2 고리(13)가 연결되는 우측부(25)로 구획하며, 좌측부(23)와 우측부(25)는 접이부(21)을 축으로 회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연결바(20)는 링(10)이 전술한 제 1 상태일 때 상기 좌측부(23)와 우측부(25)가 상기 접이부(21)을 축으로 서로 접철되어 좌측부(23)와 우측부(25)가 면접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0)이 전술한 제 2 상태일 때 상기 좌측부(23)와 우측부(25)는 상기 접이부(21)을 축으로 서로 벌어져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좌측부(23)에 연결된 제 1 고리(11)와 우측부에 연결된 제 2 고리(13)는 접이부(21)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 1 상태를 갖고, 외측으로 회전하여 제 2 상태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바(20)는 좌측부(23)와 우측부(25)보다 접이부(21)가 함몰 형성되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접이부(21)에 발생하는 유연성에 기인해 좌측부(23)와 우측부(25)가 접이부(21)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다. 즉, 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부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는 일체로 성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는 링(10)과 체결부와 연결바(2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소정 두께에서 유연성이 발생되는 플라스틱을 성형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를 이용하여 노트부(N)를 결속한 노트를 가진다. 이 노트는 일측에 다수개의 바인더홀(h)이 천공되며 여러장의 내지와 표지로 이루어지는 노트부(N)와, 전술한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에 의해 상기 노트부(N)가 결속되는 것이다.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는 전술한 것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노트는 전술한 제 1 상태로 노트부(N)의 바인더홀(h)에 끼워져 노트부(N)를 결속하고, 노트부(N) 중 한장을 분리할 때 전술한 제 2 상태로 링(10)을 개방하여 찢김없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용 스프링바인더(1)는 개폐 가능함에 따라 노트부(N)가 폐기된 후에도 또 다른 노트부(N)에 결속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바인더홀(h)이 천공된 노트부(N)에는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 :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10 : 링
11 : 제 1 고리
13 : 제 2 고리
11a : 결합돌기
13a : 결합홈
20 : 연결바
21 : 접이부
23 : 좌측부
25 : 우측부
N : 노트부
h : 바인더홀

Claims (4)

  1. 일측에 다수개의 바인더홀이 천공된 노트부를 결속하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홀에 끼워져 노트을 결속하는 복수개의 링;
    상기 링을 개폐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링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이 상기 바인더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노트부를 결속하도록 폐곡선형태를 이루는 제 1 상태와, 상기 링이 상기 노트부로부터 탈거되도록 개방되는 제 2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연결바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 1 고리와,
    상기 연결바의 우측부에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2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 1 고리가 연결된 좌측부와 상기 제 2 고리가 연결된 우측부를 구획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이 제 1 상태일 때,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는 상기 접이부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좌측부와 우측부가 서로 면접되고,
    상기 링이 제 2 상태일 때,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는 상기 접이부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과 연결바는 일체로 사출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4. 일측에 다수개의 바인더홀이 천공되며 여러장의 내지와 표지로 이루어지는 노트부;
    상기 바인더홀에 끼워져 노트부를 결속하는 복수개의 링;
    상기 링을 개폐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링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이 상기 바인더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노트부를 결속하도록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 1 상태와, 상기 링이 상기 노트부로부터 탈거되도록 개방되는 제 2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
KR2020160001959U 2016-04-11 2016-04-11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KR20170003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59U KR20170003623U (ko) 2016-04-11 2016-04-11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59U KR20170003623U (ko) 2016-04-11 2016-04-11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23U true KR20170003623U (ko) 2017-10-19

Family

ID=6040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59U KR20170003623U (ko) 2016-04-11 2016-04-11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6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040A (ko) 2020-04-28 2021-11-05 안정관 서류보관용 스프링 바인더
KR20220138451A (ko) 2021-03-19 2022-10-13 (주)대한솔루션 사용이 편리한 필기 노트
KR200496434Y1 (ko) * 2022-07-29 2023-01-30 허윤상 제본용 친환경 스프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403A (ko) 2010-10-15 2012-04-25 송창훈 스프링 제본 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403A (ko) 2010-10-15 2012-04-25 송창훈 스프링 제본 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040A (ko) 2020-04-28 2021-11-05 안정관 서류보관용 스프링 바인더
KR20220138451A (ko) 2021-03-19 2022-10-13 (주)대한솔루션 사용이 편리한 필기 노트
KR200496434Y1 (ko) * 2022-07-29 2023-01-30 허윤상 제본용 친환경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128B2 (en) Notebook cover with extending hole-punched tabs for facilitating attachment to ringed binder
KR20170003623U (ko) 노트용 스프링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
JP4986197B1 (ja) 紙葉ホルダ
JP4659364B2 (ja) 製本システム
US9290034B2 (en) Quick-mount folder
JP2005075003A (ja) グラフィック製品を綴じる方法
WO2013125946A1 (en) Cover, coupling element and folder
CN101456312A (zh) 纸张收集装置和制作纸张收集装置的方法
JP3158651U (ja) ブックカバー
JP3154582U (ja)
JP4023551B2 (ja) フォルダーファイル
JP3141353U (ja) ファイリング用具
US20130049344A1 (en) Book Having Sleeve Protected Pages and Binding Method Thereof
JP3149474U (ja) 紙製綴じ具
JP2009214897A (ja) ブックバンド、並びに、ブックバンド付き手帳
JP3205828U (ja) 書類用紙の結束綴じ具
JP3159732U (ja) メモ帳カバー
JP5804877B2 (ja) 中綴じ冊子による簡易上製本の製造方法
JP3121172U (ja) 折り畳み冊子
JP2017205830A (ja) 粘着テープ用ホルダ
JP3189415U (ja) 紙葉ホルダ
JP2018192665A (ja) 中綴本及び中綴本を製本する製本方法
JP2015208901A (ja) バインダー用のホルダー兼用折畳みガイドプレート
KR100863537B1 (ko) 리플릿 일체형 팸플릿
JP2022036455A (ja) 紙製綴じ具を用いた冊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