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40A - 도어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640A KR20190002640A KR1020187034695A KR20187034695A KR20190002640A KR 20190002640 A KR20190002640 A KR 20190002640A KR 1020187034695 A KR1020187034695 A KR 1020187034695A KR 20187034695 A KR20187034695 A KR 20187034695A KR 20190002640 A KR20190002640 A KR 20190002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ousing
- opening
- closing operation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될 때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전자장치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도어개폐기구(1)는 하우징(2)에 내장된 전자장치(3)를 노출시키는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4); 개방된 도어(4)를 하우징(2)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기구(5)를 포함한다.
수용기구(5)는 도어(4)를 개방하는 개폐작동부(7)를 하우징(2)내로 당겨서 도어(4)를 하우징(2)내에 수용하는 인입작동부를 구비한다.
인입작동부(6)는 하우징(2)에 구비되고 하우징(2)의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제1몸체(60); 하우징(2)의 내부에 연결되어 제1몸체(60)를 하우징(2)의 후방으로 당기는 신축이 가능한 제1 당김부재(61); 및 제1몸체(60)에 연결되어 개폐작동부(7)를 하우징(2)의 전방으로 당기는 신축이 가능한 제2당김부재(62)를 구비한다.
도어개폐기구(1)는 하우징(2)에 내장된 전자장치(3)를 노출시키는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4); 개방된 도어(4)를 하우징(2)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기구(5)를 포함한다.
수용기구(5)는 도어(4)를 개방하는 개폐작동부(7)를 하우징(2)내로 당겨서 도어(4)를 하우징(2)내에 수용하는 인입작동부를 구비한다.
인입작동부(6)는 하우징(2)에 구비되고 하우징(2)의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제1몸체(60); 하우징(2)의 내부에 연결되어 제1몸체(60)를 하우징(2)의 후방으로 당기는 신축이 가능한 제1 당김부재(61); 및 제1몸체(60)에 연결되어 개폐작동부(7)를 하우징(2)의 전방으로 당기는 신축이 가능한 제2당김부재(6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정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도어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2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정면부를 개폐하여 전자 장치를 노출시키고 닫는 도어 개폐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하우징 내에 수납된 전자 장치를 노출시키고 닫는 도어를 구비한 도어 개폐기구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 개구부의 하부 주연부의 단부 부근에 피봇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특허문헌 2에는, 힌지를 통해 수평면 또는 수직면상에서 회전하여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장치를 노출 및 차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한 도어 개폐기구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정면 개구부의 주연부에 상기 힌지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각 도어 개폐기구는 도어를 열림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기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 도어를 제거하지 않고 전자 장치를 작동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도어가 열렸을 때, 종래의 도어 개폐기구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방측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다. 돌출된 문은 전자 장치의 작동 및 유지 보수를 물리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전술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어 개폐기구는 전자장치가 수납되고 그 전방측개구부로 전자장치가 노출되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기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용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작동을 이행하는 개폐 작동부; 및 상기 개폐 작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수용하도록 상기 개폐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는 인입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입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제 1몸체;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상기 제 1몸체를 당기도록 구성된 당김 부재; 및 개폐 작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개폐작동부는 제 2몸체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몸체는 상기 제 1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이 상기 작동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몸체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 2몸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동 조절부는, 제 1몸체에 장착된 작동 조절 반; 상기 제 2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 조절반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 조절반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구멍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작동 조절반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표면에 제 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제 1몸체의 피가이드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몸체의 피가이드부와 상기 제 1가이드부의 사이에는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상기 제 1몸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을 감속시키며, 상기 제 1몸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몸체의 피가이드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의 피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는 점성유체가 충전되어 제 2몸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을 감속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입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주행하는 제 1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신축가능한 제 1당김 부재; 및 제 1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되고, 신축 가능한 제 2당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개폐 작동부는, 상기 제 1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당김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 1몸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제 2몸체; 및 상기 제 2몸체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에 종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기구는 상기 제 1몸체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1감속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감속기구는, 제 1몸체에 구비되는 제 1회전 감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치형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회전 감속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기구는 제 2몸체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2감속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2감속기구는, 상기 제 2몸체에 구비되는 제 2회전 감속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치형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회전 감속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기구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인입 작동부와 상기 개폐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한 쌍의 커플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입 작동부에는 제 1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작동부에는 제 2커플러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커플러는 상기 제2커플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2커플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기구는, 상기 제 1몸체가 길이 방향의 전방 주행 단부 위치에 도달 했을 때 상기 제 1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체결시키고,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1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의 상하 양측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의 상하 양측에 제공되고; 상부 측의 도어의 하부주연부에는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가 구비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어가 열렸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개방된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되었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개폐작동부의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어가 열렸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개폐 작동부의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어가 열렸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개방된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되었을 때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개폐작동부의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어가 열렸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을 때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개폐 작동부의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도어가 하우징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제 2몸체가 제외된 상태의 도어 개폐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및 도 2는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4)를 포함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를 도시하며, 상기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 전자장치(3)는 하우징(2)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측 개구부(20)를 통해 노출되고, 수용기구(5)는 도어(4)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2)에 도어(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4)는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에 쌍으로 제공된다. 한편, 하우징(2)의 대향하는 내측면(내면)(21)에 모두 수용기구(5)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기구(5)의 구성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기구(5)는 인입작동부(6)와 개폐작동부(7)를 포함한다.
인입작동부(6)는 개폐작동부(7)에 의해 도어(4)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폐작동부(7)를 하우징(2) 내로 인입시켜서 도어(4)가 하우징(2)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인입작동부(6)의 구성예>
인입 작동부(6)는 제 1몸체(60), 제 1당김 부재(61) 및 제 2당김 부재(62)를 포함한다.
제 1몸체(60)는 하우징(2)에 장착되며,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몸체(60)는 연결 부재들(64)에 연결되며, 각 연결부재(64)는 대응 도어(4)의 지지부(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2)의 한쪽 내측면(21)에는, 제 1몸체(60)를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가이드부(63)와, 후방으로 진행된 제 1몸체(60)를 정지시키는 접촉부(65)가 제공된다.
제 1당김 부재(61)는 하우징(2)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몸체(60)를 하우징(2)의 후방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당김 부재(62)는 개폐 작동부(7)가 제 1몸체(6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 작동부(7)를 하우징(2)의 전방으로 잡아 당기도록 구성된다. 제 1당김 부재(61) 및 제 2당김 부재(62) 각각은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정 가능한 장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이다.
<개폐작동부(7)의 구성예>
개폐 작동부(7)는 제 2몸체(70) 및 연결 부재(7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몸체(70)는 제 2몸체(70)가 제 1몸체(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몸체(60)에 대해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주행하도록 제2당김부재(6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몸체(60)에는 제 2몸체(70)를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부(7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71)는 도어(4)의 상기 제 2몸체(70)와 지지부(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몸체(7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4)를 개폐시킨다.
<제1감속기구(11)의 구성예>
도어 개폐기구(1)는 제 1몸체(60)의 작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 1감속기구(11)를 더 포함한다.
제 1감속기구(11)는 제 1몸체(60)에 구비된 제 1회전 감속부(111)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면(113)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112)는 제1 수용부(112)가 하우징(2)의 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회전 감속부(111)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회전 감속부(111)는 공지의 로터리 댐퍼로 이루어지고, 제 1수용부(112)는 상기 로타리 댐퍼와 맞물리는 공지의 피니언 래크로 구성된다.
<제2 감속기구(12)의 구성예>
도어 개폐기구(1)는 제 2몸체(70)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2감속기구(12)를 더 포함한다.
제 2감속기구(12)는 제 2몸체(70)에 설치된 제 2회전감속부(121);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치형면(12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몸체(60)에 상기 제 2수용 부(122)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회전감속부(121)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2수용부(122);를 포함한다.
제 2회전 감속부(121) 및 제 2수용부(122)는 제 1감속기구(11)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로타리 댐퍼와 공지의 피니언 래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커플러(8)의 구성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기구(1)는 도어(4)가 닫힌 상태에서 인입 작동부(6)과 개폐 작동부(7)을 체결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커플러(8)를 더 포함한다.
인입작동부(6)(제 1몸체(60))에는 커플러(8) 중 제 1커플러가 제공되고, 개폐 작동부(7)(제 2본체(70))에는 커플러(8) 중 제 2커플러가 제공되며, 제 1커플러(8)는 제 2커플러(8)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제 2커플러(8)에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커플러(8)는 푸시 래치 형의 공지된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체결부재(9)의 구성예>
도어 개폐기구(1)는 제 1몸체(60)가 길이 방향의 전방 주행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제 1몸체(60)를 하우징(2)의 내면에 체결하고, 개폐작동부(7)의 제 2몸체(70)가 도어(4)가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 제 1몸체(60)를 하우징(2)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체결부재(9)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2)의 내측면(21)에는, 상기 내측면(21)으로부터 돌출하는 피체결부재(22)가 형성되고, 상기 피체결부재(22)는 체결부재(9)의 체결 몸체(9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9)의 체결 몸체(90)는 강판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몸체(90)가 제 1몸체(6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 1몸체(6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체결 몸체(90)는 체결이 해제될 때 제 2몸체(70)에 접촉하여 안내되도록 구성된 피가이드부(91); 및 피체결부(22)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홈(92)를 포함한다.
한편, 제 2몸체(70)에는 제 2몸체(70)가 도어(4)가 열리는 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을 해제하도록 피가이드부(91)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기구의 작동예>
다음은 도 1 및 도 3~5를 참조하여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먼저, 폐쇄 도어(4)가 개방될 때의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닫힌 상태의 한 쌍의 도어(4) 중 가장 외측의 도어(4)가 밀려지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한 쌍의 도어(4) 각각에 대한 지지부(40)가 하우징(2)의 내측으로 요동한다. 지지부(40)의 요동은 개폐작동부(7)의 연결 부재(71)가 제 2몸체(70)를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 2몸체(70)는 인입작동부(6)의 제 1몸체(60)상에서 제 2가이드부(73)에 의해 안내되고, 제2감속기구(12)의 제 2회전 감속부(121)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속되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주행한다. 이는 제 2커플러(8)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인입작동부(6)의 제 1커플러(8)가 개폐작동부(7)의 제 2커플러(8)와의 결합을 해제하게 한다.
커플링의 해제시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70)는 제2당김부재(6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제 2몸체(70)가 제 2가이드 부(73)에 의해 안내되어 제 2회전 감속부(121)에 의해 감속되는 상태에서 전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 제2 몸체의 전방주행으로 인해 각 연결 부재(71)는 한 쌍의 도어(4)중 대응하는 하나의 지지부(40)를 전방으로 요동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1(b), 4(a) 및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4)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개폐작동부(7)의 제 2몸체(70)가 도어(4)가 개방된 이 위치에 도달할 때, 제 2몸체(70)의 가이드 홀(72)은 체결부재(9)의 피가이드부(91)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하우징(2)의 내부에 있는 피체결부(22)와 체결부재(9)의 홈(92)이 체결을 해제하게 된다. 체결이 해제되면, 제1몸체(60)는 제1당김부재(61)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서 제 1몸체(60)가 제 1가이드부(63)에 의해 안내되고 제 1회전감속부(111)에 의해 감속되는 상태로 후방으로 주행한다. 다음에, 제 1몸체(60)는 접촉부(65)와 접촉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작동부(7)의 제 2몸체(70)는 하우징(2) 내로 더 인입되어, 도 1(c),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한 쌍의 도어(4)가 수용된다.
다음은 개방 상태에 있는 도어(4)가 폐쇄 상태가 될 때의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도 1(c), 5(a) 및 5(b)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서의 한 쌍의 도어(4) 중 첫 번째 도어의 주변부는 제 1도어(4)가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제 1몸체(60)는 도어(4)의 지지부(40)에 연결된 연결 부재(64)에 의해 당겨져서 제 1가이드부(63)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제 1몸체(60)가 전방 주행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제 1당김 부재(61)가 신장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9)의 홈(92)이 하우징(2)의 내부에서 피체결부재(22)와 결합한다. 한편, 제 2몸체(70)는 제2당김부재(62)의 신장력에 의해 제 2가이드부(73)에 안내되고 제 2회전감속부(121)에 의해 감속되는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a) 및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몸체(7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인입 작동부(6)의 제 1커플러(8)는 개폐작동부(7)의 제 2커플러(8)로부터 압력을 받아서 제 2커플러(8)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a),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4)는 폐쇄 상태가 된다.
<제1실시예의 효과>
전술한 도어 개폐기구(1)는 개방된 도어(4)가 수용기구(5)에 의해 하우징(2)에 수용되도록 하여,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로부터의 물리적 방해를 제거하여, 전자 장치(3)가 유지관리되거나 작동될 때 하우징(2)에 수용된 전자 장치(3)에의 접근성이 향상된다.
특히, 수용기구(5)는 도어(4)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작동부(7)가 인입작동부(6)에 의해 하우징(2)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인입작동부(6)의 제 1몸체(60)는 제 1당김 부재(61)의 신장력 및 수축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개폐 작동부(7)의 제 2몸체(70)는 제 2당김 부재(62)의 신장력 및 수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원없이 도어(4)가 개폐되고 하우징(2)에 수용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 1몸체(60)의 전방 및 후방 작동은 제 1감속기구(11)의 감속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제 2감속기구(12)에 있어서는 제 1몸체(60)에 구비된 제 1회전 감속부(111)가 하우징(2)에 구비된 제 1수용부(112)와 맞물린 상태에서 감속에 의해 제 1몸체(60)의 전후방 작동이 조절된다. 이로써, 제 1몸체(60)의 전후 방향의 작동을 부드럽고 조용하게 할 수 있으며, 제 1몸체(60)가 전후로 이동할 때 하우징(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몸체(70)의 전방 및 후방 작동은 제 2감속기구(12)의 감속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제 2감속기구(12)에 있어서, 제 2몸체(70)의 제 2회전감속부(121)와 제 1몸체(60)의 제 2수용부(122)가 서로 맞물려서 제 2몸체(70)의 전후 주행작동이 조절된다. 이로써, 제 2몸체(70)의 전후 방향의 작동을 부드럽고 조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몸체(70)가 전후로 이동할 때 제 1몸체(60) 및 하우징(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4)가 닫힌 상태일 때, 인입작동부(6)와 개폐작동부(7)는 한 쌍의 커플러(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특히, 인입작동부(6)의 제 1커플러(8)는 제 2커플러(8)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개폐 작동부(7)의 제 2커플러(8)에 착탈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4)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도어(4)의 개폐가 가능해져, 도어(4)의 개폐가 용이해진다.
또한, 수용기구(5)는 제 1몸체(60)가 전방 주행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체결 부재(9)가 하우징(2)의 내부와 제 1몸체(60)를 체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이 체결은 제 2몸체(70)가 도어(4)가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 해제되게 된다. 이는 제 1몸체(60)를 도어(4)가 닫히는 하우징(2)내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는 조작성 및 외관이 우수하다.
[제 2실시 예]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는 도 6에 도시된 수용기구(5)를 포함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구(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구(5)가 제 2당김 부재(62), 제 1감속기구(11), 제 2감속기구(12), 커플러(8), 체결 부재(9)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면에서 제 1실시예의 수용기구와 다르다.
다음은 인입 작동부(6)의 구성예 및 개폐 작동부(7)의 구성예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본 실시예의 수용기구(5)는 인입 작동부(6)와 개폐 작동부(7)를 포함한다.
<인입작동부(6)의 구성예>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작동부(6)는 제 2당김 부재(62) 대신에 작동조절부(66)를 포함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인입 작동부(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인입작동부(6)는 하우징(2)에 장착되어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제 1몸체(60); 신축가능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되며 제 1몸체(60)를 하우징(2)의 후방으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제 1당김 부재(61); 및 개폐 작동부(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후술하는 작동조절부(66)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작동부(7)의 구성예>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작동부(7)는 제 2몸체(70) 대신에 제 2몸체(74)를 구비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개폐작동부(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개폐 작동부(7)는 제 1몸체(60)에 장착되며 제 1몸체(60)에 대해 상기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 2몸체(74)의 길이방향 이동 작동이 작동조절부(66)에 의해 조절되는 제 2몸체(74); 및 각각 상기 제 2몸체(74) 및 상기 대응 도어(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몸체(74)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도어(4)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연결 부재들(7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도어(4) 중 상부는 손잡이부(4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주연부를 포함한다.
<작동 조절부(66)의 구성예>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조절부(66)는 제 1몸체(60)에 장착되는 작동 조절반(67); 및 제 2몸체(74)에 구비되어 작동 조절반(67)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체결부(68);를 포함한다.
작동 조절반(67)은, 제 1몸체(60)에 구비되어, 작동 조절반(67)의 위치를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조절반(67)에는 체결부(68)가 체결되도록 구멍(69)이 형성된다. 도어(4)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체결부(68)는 구멍(69)에 체결된다. 한편, 체결부(68)는 도어(4)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작동 조절반(67)의 전방단부와 체결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68)는 각진 판 스프링(angled leaf spring)으로 구현된다.
<제1 몸체(60)와 제 2몸체(74)에 대한 작동 감속기구의 구성예>
제 2실시예는 또한 제 1몸체(60)의 작동 속도 및 제 2몸체(74)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몸체(60)는 한 쌍의 제 1가이드부(63)에 의해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 1피가이드부(8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가이드부(63)는 하우징(2)의 내측면(21)에 장착된다. 제 1몸체(60)의 길이 방향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 1가이드부(63)와 제 1피가이드부(81) 사이에는 점성 유체가 채워진다.
제 1몸체(60)는 제 2몸체(74)에 구비된 한쌍의 제 2피가이드부(82)가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부(73)를 포함한다. 제 2가이드 부(73)와 제 2피가이드부(82) 사이에는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제 2몸체(74)의 길이 방향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킨다.
점성 유체는 댐퍼용 그리스 또는 헬리코이드(helicoid) 그리스와 같이 점도가 비교적 큰 그리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도어개폐기구의 작동예>
다음에, 제 2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의 일례를, 도 7~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폐쇄 도어(4)가 개방되어질 때의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폐쇄 상태의 한 쌍의 도어(4) 중 상부의 손잡이부(knob part)(41)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뒤로 당겨지면, 상부 도어(4)의 지지부(40)가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지지부(40)의 회전은 상부 도어(4)의 연결 부재(71)로 하여금 제2 몸체(74)를 전방으로 주행하게 한다. 이 때, 제 2몸체(74)의 제 2피가이드부(82)는 제2가이드부(73)와 제2피가이드부(82)사이에 채워진 점성유체에 의해 주행 속도가 감속되는 상태에서 인입작동부(6)의 제 1몸체(60)상에서 제 2가이드부(73)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주행한다. 한편, 하부 도어(4)의 연결 부재(71)는 제 2몸체(74)의 제 2피가이드부(82)의 이동에 의해 하부 도어(4)의 지지부(40)를 바깥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 2몸체(74)의 체결부(68)는 제 1몸체(60)에서 작동 조절 부(66)의 작동 조절반(67)의 구멍(69)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후에 체결부(68)가 제1 당김부재(61)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68)는 작동 조절반(67)의 전방 단부와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 도어(4)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도어(4)가 개방되고 손잡이부(41)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될 때, 상부 도어(4)는 거의 제로와 동일한 외관 중량을 갖는다. 이 경우, 제 1몸체(60)의 제 1피가이드 부(81)에는 중량으로 인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 1피가이드부(81)는 하우징(2)의 내측면(21)의 제 1가이드부(63)에 안내되면서 제 1당김 부재(61)의 수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제 1피가이드부(81)의 후방 주행은 제 1피가이드부(81)와 제 1가이드부(63) 사이의 점성 유체에 의한 감속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접촉부(65)와의 접촉에 의해 제 1몸체(60)가 정지되면 개폐 작동부(7)의 제 2몸체(74)가 하우징(2) 내로 더욱 인입되어 한 쌍의 도어(4)가 하우징(2)에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다.
다음은 개방 상태에 있는 도어(4)가 폐쇄 상태가 될 때의 도어 개폐기구(1)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4)의 손잡이부(41)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고 당겨져서 손잡이부(41)가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 밖으로 노출되면 상하부 도어(4)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개구부(20) 밖으로 끌어내진다. 제 1몸체(60)의 각 제 1피가이드부(81)는 제 1가이드부(63)에 의해 안내되고 도어(4)의 지지부(40)에 연결된 연결 부재(64)에 의해 당겨지면서, 제 1가이드부(63)와 제 1피가이드부(81) 사이의 점성 유체에 의해 감속되어 전방 주행한다.
그리고, 도 8(a) 및 8(b)에 도시된 상태대로, 사용자의 손이 도어(4)의 손잡이 부(41)로부터 떨어지면, 상부 도어(4)의 지지부(40)는 도어(4) 및 손잡이부(41)의 자중에 의해 하우징(2)의 안쪽으로 회전된다. 지지부(40)의 회전은 도어(4)의 연결 부재(71)가 제 2몸체(74)를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때, 제 2몸체(74)의 제 2피가이드부(82)는 제 2몸체(74)의 제 2가이드부(73)와 제 2피가이드부(82) 사이의 점성 유체에 의한 감속하에 인입작동부(6)의 제 1몸체(60)상의 제 2가이드부(73)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주행한다.
한편, 하부 도어(4)의 연결 부재(71)는 제 2몸체(74)의 제 2피가이드부(82)의 이동에 의해 하부 도어(4)의 지지부(40)를 내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몸체(74)의 체결부(68)가 제 1몸체(60)상의 작동 조절반(67)의 구멍(69)에 체결되면, 상하부 도어(4)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진다.
<제 2실시예의 효과>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구(5)가 제 2당김 부재(62), 제 1감속기구(11), 제 2감속기구(12), 커플러(8) 및 체결 부재(9)를 포함하지 않아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기구(1)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도어(4)에 대한 개폐기구의 제조 비용 및 개폐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2)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또한, 한 쌍의 도어(4)의 상부 도어(4)의 하부 주연부에 손잡이부(41)가 구비되어 자연스럽게 도어(4)를 조작할 수 있고, 도어(4)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부 도어(4)가 하우징(2)으로부터 뒤로 당겨질 때, 상부 도어(4)에 손잡이 부(41)의 중량이 작용하여 손잡이부(41)가 요동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의 전방측 개구부(20)에 한 쌍의 도어(4)가 제공되고 도어 개폐기구(1)에 의해 개폐 작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구성은, 하나의 도어(4)가 전방측 개구부(20)를 개폐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이 변형예는 본 발명에 속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기구(1)는 전기 장치의 제어 배전반, 컴퓨터를 수납하는 제어반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1:도어 개폐기구
2:하우징, 20:전방측 개구부, 21:내측면(내면), 22:피체결부재
3:전자 장치
4:도어, 40:지지부, 41:손잡이부
5:수용기구
6:인입 작동부, 60:제1몸체, 61:제 1당김 부재, 62:제 2당김 부재,
63:제 1가이드부, 64:연결 부재, 65:접촉부
7:개폐 작동부, 70:제2몸체, 71:연결 부재, 72:가이드홀, 73:제 2가이드부
8:커플러
9:체결부재, 90:체결 몸체, 92:홈
11:제 1감속기구, 111:제1 회전 감속부, 112: 제1 수용부, 113:치형면
12:제 2감속기구, 121:제 2회전 감속부, 122:제 2 수용부, 123:치형면
66:작동 조절부, 67: 작동 조절반, 68: 체결부, 69:구멍
2:하우징, 20:전방측 개구부, 21:내측면(내면), 22:피체결부재
3:전자 장치
4:도어, 40:지지부, 41:손잡이부
5:수용기구
6:인입 작동부, 60:제1몸체, 61:제 1당김 부재, 62:제 2당김 부재,
63:제 1가이드부, 64:연결 부재, 65:접촉부
7:개폐 작동부, 70:제2몸체, 71:연결 부재, 72:가이드홀, 73:제 2가이드부
8:커플러
9:체결부재, 90:체결 몸체, 92:홈
11:제 1감속기구, 111:제1 회전 감속부, 112: 제1 수용부, 113:치형면
12:제 2감속기구, 121:제 2회전 감속부, 122:제 2 수용부, 123:치형면
66:작동 조절부, 67: 작동 조절반, 68: 체결부, 69:구멍
Claims (17)
- 삭제됨
- 삭제됨
- 삭제됨
- 전자장치가 수납되고 그 전방측 개구부로 상기 전자장치가 노출되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작동을 이행하는 개폐 작동부; 및 상기 개폐 작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수용하도록 상기 개폐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는 인입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제 1몸체;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상기 제 1몸체를 당기도록 구성된 당김 부재; 및 상기 개폐 작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제 2몸체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몸체는 상기 제 1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이 상기 작동 조절 부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몸체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 2몸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절부는, 제 1몸체에 장착된 작동 조절반; 상기 제 2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조절반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조절반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구멍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작동 조절반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표면에 제 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제 1몸체의 피가이드부를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몸체의 피가이드부와 상기 제 1가이드부의 사이에는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상기 제 1몸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을 감속시키며, 상기 제 1몸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몸체의 피가이드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의 피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는 점성유체가 충전되어 제 2몸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작동을 감속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전자장치가 수납되고 그 전방측으로 전자장치가 노출되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작동을 이행하는 개폐 작동부; 및 상기 개폐 작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수용하도록 상기 개폐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는 인입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제 1몸체;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상기 제 1몸체를 당기도록 구성된 제1당김 부재; 및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개폐작동부를 당기도록 구성된 제2당김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부는, 상기 제 1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당김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 1몸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제 2몸체; 및 상기 제 2몸체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에 종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1감속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속기구는, 제 1몸체에 구비되는 제 1회전 감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치형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회전 감속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의 작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2감속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감속기구는, 상기 제 2몸체에 구비되는 제 2회전 감속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치형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회전 감속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7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인입 작동부와 상기 개폐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한 쌍의 커플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입 작동부에는 제 1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작동부에는 제 2커플러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커플러는 상기 제2커플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2커플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가 길이 방향의 전방 주행 단부 위치에 도달 했을 때 상기 제 1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체결시키고,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1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의 상하 양측에 제공되고; 상부 측의 도어의 하부주연부에는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 전자장치가 수납되고 그 전방측으로 전자장치가 노출되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작동을 이행하는 개폐 작동부; 및 상기 개폐 작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수용하도록 상기 개폐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는 인입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주행이 가능한 제 1몸체;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상기 제 1몸체를 당기도록 구성된 당김 부재; 및 개폐 작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측 도어가 회전가능한 손잡이부를 구비한 하부 주연부를 포함하는 도어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03786 | 2016-05-24 | ||
JPJP-P-2016-103786 | 2016-05-24 | ||
JP2017100093A JP6279791B2 (ja) | 2016-05-24 | 2017-05-19 | 扉開閉機構 |
JPJP-P-2017-100093 | 2017-05-19 | ||
PCT/JP2017/019201 WO2017204216A1 (ja) | 2016-05-24 | 2017-05-23 | 扉開閉機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640A true KR20190002640A (ko) | 2019-01-08 |
KR101998880B1 KR101998880B1 (ko) | 2019-07-10 |
Family
ID=6047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4695A KR101998880B1 (ko) | 2016-05-24 | 2017-05-23 | 도어 개폐기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653024B2 (ko) |
JP (1) | JP6279791B2 (ko) |
KR (1) | KR10199888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94687U (ko) * | 1985-12-02 | 1987-06-17 | ||
JPH05327234A (ja) | 1992-05-15 | 1993-12-10 | Nifco Inc | 蓋の開閉装置 |
JPH11343765A (ja) * | 1998-05-29 | 1999-12-14 | Okamura Corp | 収納家具における扉の収納装置 |
JP2000183558A (ja) | 1998-12-21 | 2000-06-30 | Nec Corp | 筐体のパネル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32391A (ja) | 2003-05-08 | 2004-11-25 | Taiyo Parts Kk | 収納装置 |
US20060132006A1 (en) * | 2004-12-22 | 2006-06-22 | Robert Schluter | Rack cabinet |
JP2009127346A (ja) | 2007-11-27 | 2009-06-11 | Atom Livin Tech Co Ltd | 扉のヒンジ装置 |
CN103809697B (zh) * | 2012-11-12 | 2017-05-10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记忆体组合及应用其的电脑系统 |
US9723382B2 (en) * | 2015-02-27 | 2017-08-01 | Panduit Corp. | Door module and uses thereof |
-
2017
- 2017-05-19 JP JP2017100093A patent/JP6279791B2/ja active Active
- 2017-05-23 US US16/303,718 patent/US10653024B2/en active Active
- 2017-05-23 KR KR1020187034695A patent/KR1019988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94687U (ko) * | 1985-12-02 | 1987-06-17 | ||
JPH05327234A (ja) | 1992-05-15 | 1993-12-10 | Nifco Inc | 蓋の開閉装置 |
JPH11343765A (ja) * | 1998-05-29 | 1999-12-14 | Okamura Corp | 収納家具における扉の収納装置 |
JP2000183558A (ja) | 1998-12-21 | 2000-06-30 | Nec Corp | 筐体のパネル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212444A (ja) | 2017-11-30 |
KR101998880B1 (ko) | 2019-07-10 |
US20190364678A1 (en) | 2019-11-28 |
US10653024B2 (en) | 2020-05-12 |
JP6279791B2 (ja) | 201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26308B2 (ja) | 車両用ドアスライダー装置 | |
US8141297B2 (en) | Dual action power drive unit for a vehicle door | |
US9428950B2 (en) | Arrangement for moving a movable furniture part | |
TWI437967B (zh) | 特別用於活動傢俱件之自行關閉裝置 | |
KR101886445B1 (ko)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 |
KR20160060383A (ko) | 냉장고 | |
KR101988953B1 (ko) | 파워 슬라이딩 도어 장치 | |
JP2001180279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KR20140000605A (ko) |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 |
KR101998880B1 (ko) | 도어 개폐기구 | |
EP2546447B1 (en) | A motor vehicle with a sliding door and an actuation mechanism for the sliding door | |
JP2006336225A (ja) | 車両用ドア開閉構造 | |
JP4873354B2 (ja) | ハンド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 |
JP4770582B2 (ja) | 遠隔操作装置 | |
WO2017204216A1 (ja) | 扉開閉機構 | |
KR20130035666A (ko) | 슬라이드 도어용 클러치 구조 | |
JP6129653B2 (ja) | 車両用開閉ボックス | |
JP3884395B2 (ja) | ケーブル張力装置 | |
CN111379490B (zh) | 门体的开闭机构 | |
KR101807067B1 (ko) | 인사이드 핸들 레버 소음 저감장치 | |
JP5154974B2 (ja) | ラッチ装置 | |
JP5284634B2 (ja) | スライドドア | |
KR200357296Y1 (ko) | 감속장치가 구비된 여닫이문 | |
KR20100024896A (ko) | 래치기구 | |
KR20110064646A (ko) | 글로브 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