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28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728A
KR20180133728A KR1020170070956A KR20170070956A KR20180133728A KR 20180133728 A KR20180133728 A KR 20180133728A KR 1020170070956 A KR1020170070956 A KR 1020170070956A KR 20170070956 A KR20170070956 A KR 20170070956A KR 20180133728 A KR20180133728 A KR 2018013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eat transfer
sub
transfer medium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425B1 (ko
Inventor
김준영
양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425B1/ko
Priority to CN201880037282.9A priority patent/CN110710052A/zh
Priority to EP18814005.7A priority patent/EP3637539A4/en
Priority to PCT/KR2018/000144 priority patent/WO2018225919A1/ko
Priority to US16/619,845 priority patent/US11476518B2/en
Publication of KR2018013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흐르는 열전달매체를 통해 배터리 모듈을 냉각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고,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냉각유로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와, 유입튜브의 최하류 측에 연결되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출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그 형태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배터리 셀의 출력과 용량으로도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 전압이나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은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외부전자기기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때, 전기화학적 반응 중에 배터리 셀은 발열하고, 이러한 열이 축적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셀의 열화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배터리 팩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 전체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의 냉각에 사용되는 열전달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흐르는 열전달매체를 통해 배터리 모듈을 냉각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고,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냉각유로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와, 유입튜브의 최하류 측에 연결되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출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는, 복수개의 유입튜브를 따라 유동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고, 유입튜브에서 유출튜브로 인도되어 유출튜브를 따라 유동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유로는,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허브부재와, 유입구로 유입되는 열전달매체를 복수개의 유입튜브 측으로 인도하는 유입통로와, 복수개의 유출튜브에서 유출되는 열전달매체를 유출구 측으로 인도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하는 허브통로와, 복수개의 유입튜브의 최하류 측과 복수개의 유출튜브의 최상류 측을 연결하되, 가상선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 각각을 흐르는 열전달매체는 서로 분기시키는 선회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허브통로는 유입통로와 유출통로를 격리하여 유입통로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와 유출통로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허브통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회통로는,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출튜브를 연결하는 제1 서브선회통로와,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출튜브를 연결하는 제2 서브선회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회통로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선회통로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하나인 제1 서브유입튜브와,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입통로 중 다른 하나인 제2 서브유입튜브를 격리하여 제1 서브유입튜브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와 제2 서브유입튜브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선회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출튜브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입튜브 사이의 간격은, 제1 서브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출튜브 사이의 간격 및 제2 서브유입튜브와,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가상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출통로 사이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냉각유로를 지지하되, 냉각유로가 안착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유로와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입부에 설치되어 냉각유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냉각유로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며,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유로로 전달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모듈의 일면을 완충 지지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유로는 냉각유로 내부에 형성되는 열전달매체의 유로를 복수개의 채널로 구분하도록 냉각유로 내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는 상온에서 상변화가 가능한 냉매(refrigerant)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팩에 의하면, 열전달매체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의 과열 부분을 배터리 모듈의 저온부에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전체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팩에 의하면, 냉각유로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냉각유로의 길이를 축소하여 열전달매체의 유입 압력과 유출 압력 사이의 차압을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전달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들의 일부를 조립하여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냉각유로의 내부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매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냉각유로의 내부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들의 일부를 조립하여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냉각유로의 내부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매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모듈(110)과, 냉각유로(120)와, 지지부재(130)와, 탄성부재(140)와, 열전도 플레이트(160) 및 완충패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 모듈(110)은 고전압의 대용량 배터리 모듈(110)로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은 제3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은 제1 방향을 따라서도 나란히 복수개가 배열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이 제3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배열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배터리 모듈(11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후술할 냉각유로(120)를 통해 유동하는 열전달매체가 주로 유동하는 방향(후술하겠으나, 열전달매체는 제1 방향 뿐만아니라 선회통로(125)를 통해 제3 방향으로도 유동 가능함)인 제1 방향(또는 제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은 모두 네 개의 배터리 모듈(110)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10)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110)은 배터리 셀(111)을 덮어 밀봉하는 하우징(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2)은 배터리 셀(1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111)의 측면과 정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홀(112h)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개구홀(112h)은 모서리가 굴곡진 직사각형 형태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홀(112h)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하기 위함으로, 이러한 목적에 맞는 그 어떠한 형태로도 하우징(112)의 그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구홀(112h)은 하우징(112)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하우징(112)은 배터리 셀(111)의 넓은 면과 대면하는 한 쌍의 엔드 하우징(112e)과, 엔드 하우징(112e)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11)의 측면과 대면하는 한 쌍의 사이드 하우징(112s)과, 배터리 셀(111)의 상측과 대면하는 커버 하우징(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드 하우징(112e), 사이드 하우징(112s) 및 커버 하우징(112c)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로써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의 형상은 배터리 모듈(110)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111)은 세퍼레이터(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양극판(미도시)과 음극판(미도시)이 배치되는 전극조립체(미도시)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배터리 셀(111)의 일면에는 제1 단자(미도시)와 제2 단자(미도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11)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인접하는 타 배터리 셀(111)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버스바(미도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배터리 모듈(110) 당 하나의 양극 단자(113) 또는 음극 단자(114)로 구성되어 하우징(11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양극 단자(113)와 음극 단자(114)는 각 배터리 모듈(110)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냉각유로(120)는 복수개의 유입튜브(121)와, 복수개의 유출튜브(122)와, 허브부재(123)와, 허브통로(124)와, 선회통로(125) 및 리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120)는 배터리 모듈(11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흐르는 열전달매체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을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달매체는 상온에서 상변화가 가능한 냉매(refrigerant)일 수 있으며, 예컨대, R134a, R1234YF와 같은 프레온 가스계 냉매와 Novec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의 종류와 관련하여서는 전체적인 배터리 팩(100)의 용량과 사이즈와 같은 배터리 팩(100)의 물리적인 요소와, 배터리 팩(100)에서 발생하는 열과 같은 열역학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배터리 모듈(110)을 가장 최적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의하면 냉각유로(120)는 배터리 모듈(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냉각유로(120)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11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 모듈(110)의 상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각 배터리 셀(111)의 결합에 있어 주요 구성요소인 하우징(112)과 양극 단자(113), 음극 단자(114) 및 버스바(미도시)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120)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120)가 배터리 모듈(110)의 하부에 설치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유입튜브(121)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1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VL)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출튜브(122)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110)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의 구조적인 측면에 대해 먼저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는 각각 가상선(VL)을 기준으로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유입튜브(121a)와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설치되는 다른 하나의 유입튜브(121b)는 서로 대칭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튜브(122) 또한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유출튜브(122a)와 타측에 설치되는 다른 하나의 유출튜브(122b)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 유입튜브(121)는 유출튜브(122)보다 가상선(VL)에 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유출튜브(122)는 유입튜브(121)보다 가상선(VL)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위치, 즉 배터리 모듈(110)의 양 측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유입튜브(121a)와 하나의 유출튜브(122a)를 각각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1 서브유출튜브(122a)로, 타측에 설치되는 다른 하나의 유입튜브(121b)와 다른 하나의 유출튜브(122b)를 각각 제2 서브유입튜브(121b)와 제2 서브유출튜브(122b)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세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1 서브유출통로(122a)와의 간격(미표시)과,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와의 간격(미표시)과, 제2 서브유입튜브(121b)와 제2 서브유출튜브(122b)와의 간격(미표시)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서브유입튜브(2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221b)의 간격(a)은 제1 서브유입튜브(221a)와 제1 서브유출튜브(222a)와의 간격(b)과 제2 서브유입튜브(221b)와 제2 서브유출튜브(222b)사이의 간격(b)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서브유입튜브(2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221b)의 간격(a)이 나머지 제1 서브유입튜브(221a)와 제1 서브유출튜브(222a)와의 간격(b)과 제2 서브유입튜브(221b)와 제2 서브유출튜브(222b)사이의 간격(b)보다 좁게 형성되는 이유는 가상선(VL)에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110)의 중앙 부위가 측면 부위보다 일반적으로 더 고온이기 때문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유입튜브(121)(221)와 유출튜브(122)(222)가 이러한 구조를 가질 경우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도 7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열전달매체의 유동과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120)로 유입된 열전달매체는 복수개의 유입튜브(121)를 따라 유동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0)을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110-1, 110-2, 110-3, 110-4 순서대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세히는, 열전달매체는 가상선(VL)에 인접하는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따라 유입튜브(121)의 최하류 측에 다다른 열전달매체는 유입튜브(121)에서 유출튜브(122)로 인도되며, 이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유출튜브(122)를 따라 유동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0)을 순차적으로(110-4, 110-3, 110-2, 110-1 순서대로)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유로(120)의 구성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유로(120)는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3a)와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23b)를 포함하는 허브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냉각유로(120)는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중 증발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써,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123a)는 팽창밸브의 하류 측에, 유출구(123b)는 압축기의 상류 측에 각각 열전달매체 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냉각유로(120)의 유입구(123a)에는 팽창밸브를 통과한 저온 저압 액상의 열전달매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냉각유로(120)의 내부로 유입된 열전달매체는 냉각유로(120)를 지나는 동안 배터리 모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매체의 유동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허브부재(123)는 열전달매체를 냉각유로(120)로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세하게는 냉각유로(120)로 유입되는 열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허브부재(123)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유입구(123a)와 유출구(123b)의 개폐 여부와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각유로(120)는 유입구(123a)로 유입되는 열전달매체를 복수개의 유입튜브(121) 측으로 인도하는 유입통로(124a)와, 복수개의 유출튜브(122)에서 유출되는 열전달매체를 유출구(123b) 측으로 인도하는 유출통로(124b)를 포함하는 허브통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통로(124)는 유입통로(124a)와 유출통로(124b)를 격리하여 유입통로(124a)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와 유출통로(124b)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허브내부에 설치되는 제1 격벽(12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격벽(124c)은 유입튜브(121)의 최상류 측으로 유입되는 열전달매체와 유출튜브(122)의 최하류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열전달매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유입통로(124a)와 유출통로(124b)의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로(120)는 복수개의 유입튜브(121)의 최하류 측과 복수개의 유출튜브(122)의 최상류 측을 연결하되, 가상선(VL)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121) 상호간에는 열전달매체가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선회통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선회통로(125)는 복수개의 유입튜브(121) 중 가상선(VL)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복수개의 유출튜브(122) 중 가상선(VL)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출튜브(122a)를 연결하는 제1 서브선회통로(125a)와, 복수개의 유입튜브(121) 중 가상선(VL)을 중심으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입튜브(121b)와, 복수개의 유출 튜브 중 가상선(VL)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출튜브(122b)를 연결하는 제2 서브선회통로(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통로(125)는 제1 서브선회통로(125a)와 제2 서브선회통로(125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개념도와 같이, 제1 서브선회통로(125a)와 제2 서브선회통로(125b)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1 서브유출튜브(122a)를, 그리고 제2 서브유입튜브(121b)와 제2 서브유출튜브(122b)를 연결하는 개별적인 구성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회통로(125)는 제1 서브선회통로(125a)와 제2 서브선회통로(125b)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회통로(125)는 제1 서브선회통로(125a)와 제2 서브선회통로(125b)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선회통로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선회통로(125)는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격리하여 제1 서브유입튜브(121a)를 따라 유동하여 제1 서브유입튜브(121a)의 최하류 측에 도달한 열전달매체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따라 유동하여 제2 서브유입튜브(121b)의 최하류 측에 도달한 열전달매체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선회통로(125)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격벽(125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회통로(125)의 내부에 제2 격벽(125c)이 설치됨에 따라, 제1 서브유입튜브(121a)의 최하류 측을 지난 열전달매체는 제1 서브선회통로(125a)를 따라 제1 서브유출통로(122a)의 최상류 측으로 선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격벽(125c)이 일체로 형성된 선회통로(125)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제2 버스유입튜브(121b)의 최하류 측을 지난 열전달매체는 제2 서브선회통로(125b)를 따라 제2 서브유출통로(122b)의 최상류 측으로 선회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유로(120)는 냉각유로(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전달매체의 유로를 복수개의 채널(C1 내지 C9)로 구분하도록 냉각유로의 내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리브(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의 내부에는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의 내부를 복수개의 채널(C1 내지 C9)로 구분하는 리브(126)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0)과 냉각유로(120)를 지지하되, 냉각유로(120)가 안착되는 함입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는 배터리 팩(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본 골격이 되는 구성요소이다.
함입부(131)는 지지부재(130)와 냉각유로(120)가 접촉하는 접촉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써, 함입부(131)에는 탄성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0)는 냉각유로(120)와 지지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냉각유로(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탄성부재(140)는 냉각유로(120)와 지지부재(13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로써, 냉각유로(12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냉각유로(120)를 안정적으로 지지부재(1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완충패드(150)는 배터리 모듈(110)과 열전도 플레이트(160)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모듈(110)의 일면, 즉 도 2에 의하면 배터리 셀(111)의 하면을 완충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패드(150)는 실리콘계 재질로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110)과 열전도 플레이트(160) 사이에 형성되는 공차(tolerance)를 최대한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전도 플레이트(160)는 배터리 모듈(110)과 냉각유로(120)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모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유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열전도 플레이트(160)는 배터리 모듈(110)과 냉각유로(1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 모듈(110)과 냉각유로(120)의 대향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열전도 플레이트(160)는 배터리 모듈(110)을 지지하는 완충패드(150)와 냉각유로(120) 사이에 개재되어 냉각유로(120)와 완충패드(150)를 기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냉각유로(120)의 냉각 작용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냉각유로의 내부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튜브(121)로 유입된 열전달매체는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유동하여 가상선(VL)에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110)의 중앙 부위를 냉각시키며, 선회통로(125)를 경유하여 유출튜브(122)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선회통로(125)에서 유출튜브(122)로 전달된 열전달매체는 제1 서브유출통로(122a)와 제2 서브유출통로(122b)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터리 모듈(110)의 양 측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달매체는 냉각유로(120)를 흐르는 동안 배터리 모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상 변화(phase change)를 하고, 충분히 기화된 이후에는 빠르게 온도가 상승하여 과열(superheat)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도 7에 나타난 열전달매체의 온도 분포를 살펴보면, 유입튜브(121)로 유입된 열전달매체의 온도를 T1이라고 정의하고, 유출튜브(122)에서 유출되는 열전달매체의 온도를 T2라고 정의할 경우 T2는 T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120)로 유입된 열전달매체는 초기에는 일정한 온도(T1)에서 상 변화를 하다가, 유출구(도 5 123b 참조)에서 인접한 위치에서는 충분히 기화되어 급속히 온도가 상승되어 T1보다 높은 T2의 온도로 과열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이 나란히 배열된 형태의 배터리 모듈(110)과 같은 경우 중앙 부위의 온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며, 양 측면의 온도가 가장 낮게 형성된다. 이는 중앙 부위의 배터리 셀(111)들은 서로 인접하는 배터리 셀(111)들 사이에서 열전달이 일어나는 반면, 양 측면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111)들은 일측이 다른 배터리 셀(111)과 닿지 않기 때문으로, 중앙 부위의 배터리 셀(111)들은 각각에서 발생하는 열을 서로 교환할 수 밖에 없어 열이 외부로 완활하게 방출되기 어려운 구조이나, 양 측면의 배터리 셀(111)들은 하우징(112)에 형성된 개구홀(112h)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자연대류에 의해 자연적으로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10)과 같은 경우 구조적으로 중앙 부위의 온도가 양 측면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모듈(1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VL)과 인접하는 위치에 제1 서브유입튜브(121a)와 제2 서브유입튜브(121b)를 배치하고, 배터리 모듈(110)의 양 측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제1 서브유출튜브(122a)와 제2 서브유출튜브(122b)를 배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배터리 모듈(110)의 중앙 부위는 상대적으로 저온(T1)의 열전달매체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배터리 모듈(110)의 양 측면 부위는 상대적으로 고온(T2)의 열전달매체로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1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냉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냉각유로는 각각 두 개의 유입튜브(121)와 유출튜브(122)를 포함하는 병렬 구조로써, 전체적인 냉각유로(120)의 길이는 직렬일 경우와 비교하여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냉각유로(120)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열전달매체의 유입 압력과 유출 압력 사이의 차압을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전달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23a: 유입구
110: 배터리 모듈 123b: 유출구
111: 배터리 셀 124: 허브통로
112: 하우징 124a: 유입통로
112c: 커버 하우징 124b: 유출통로
112e: 엔드 하우징 124c: 제1 격벽
112h: 개구홀 125: 선회통로
112s: 사이드 하우징 125a: 제1 서브선회통로
120: 냉각유로 125b: 제2 서브선회통로
121: 유입튜브 125c: 제2 격벽
121a: 제1 서브유입튜브 126: 리브
121b: 제2 서브유입튜브 130: 지지부재
122: 유출튜브 131: 함입부
122a: 제1 서브유출튜브 140: 탄성부재
122b: 제2 서브유출튜브 150: 완충패드
123: 허브부재 160: 열전도 플레이트

Claims (14)

  1.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흐르는 열전달매체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입튜브와,
    상기 유입튜브의 최하류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유출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매체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유입튜브에서 상기 유출튜브로 인도되어 상기 유출튜브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는, 배터리 팩.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열전달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열전달매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허브부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열전달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측으로 인도하는 유입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에서 유출되는 상기 열전달매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인도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하는 허브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의 최하류 측과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의 최상류 측을 연결하되, 상기 가상선에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각각을 흐르는 상기 열전달매체는 서로 분기시키는 선회통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통로는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를 격리하여 상기 유입통로를 흐르는 상기 열전달매체와 상기 유출통로를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상기 허브통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격벽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통로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출튜브를 연결하는 제1 서브선회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출튜브를 연결하는 제2 서브선회통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통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회통로는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하나인 제1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통로 중 다른 하나인 제2 서브유입튜브를 격리하여 상기 제1 서브유입튜브를 흐르는 상기 열전달매체와 상기 제2 서브유입튜브를 흐르는 상기 열전달매체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회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는 상기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입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입튜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서브유출튜브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서브유입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유출튜브 중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서브유출통로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배터리 팩.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냉각유로를 지지하되, 상기 냉각유로가 안착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함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유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냉각유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냉각유로로 전달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면을 완충 지지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열전달매체의 유로를 복수개의 채널로 구분하도록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매체는 상온에서 상변화가 가능한 냉매(refrigerant)인, 배터리 팩.
KR1020170070956A 2017-06-07 2017-06-07 배터리 팩 KR102378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56A KR102378425B1 (ko) 2017-06-07 2017-06-07 배터리 팩
CN201880037282.9A CN110710052A (zh) 2017-06-07 2018-01-04 电池组
EP18814005.7A EP3637539A4 (en) 2017-06-07 2018-01-04 BATTERY PACK
PCT/KR2018/000144 WO2018225919A1 (ko) 2017-06-07 2018-01-04 배터리 팩
US16/619,845 US11476518B2 (en) 2017-06-07 2018-01-04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56A KR102378425B1 (ko) 2017-06-07 2017-06-07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28A true KR20180133728A (ko) 2018-12-17
KR102378425B1 KR102378425B1 (ko) 2022-03-24

Family

ID=6456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56A KR102378425B1 (ko) 2017-06-07 2017-06-07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6518B2 (ko)
EP (1) EP3637539A4 (ko)
KR (1) KR102378425B1 (ko)
CN (1) CN110710052A (ko)
WO (1) WO201822591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98B1 (ko) * 2019-01-08 2020-03-20 한국기계연구원 상변화 냉각장치 및 상변화 냉각방법
WO2022119182A1 (ko) * 2020-12-03 2022-06-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력 저장 장치, 및 자동차
WO2022270705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49628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794A (zh) * 2018-12-14 2020-06-23 丹佛斯有限公司 换热器和空调系统
DE102019220406A1 (de) * 2019-12-20 2021-06-24 Hanon Systems Wärmeübertrager und Wärmeübertrageranordnung mit mehreren Wärmeübertragern
CN113571795B (zh) * 2020-04-29 2023-10-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温控组件及电池包
CN113571796B (zh) * 2020-04-29 2023-10-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温控组件及电池包
CN114361688B (zh) * 2020-09-27 2023-08-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托盘和具有其的电池包
CN112531267A (zh) * 2020-12-02 2021-03-19 黄河交通学院 一种轻量化的新能源汽车电池包
CN115189075B (zh) * 2021-04-01 2023-11-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及用电设备
DE102021126318A1 (de) * 2021-10-11 2023-04-13 Valeo Klimasysteme Gmbh Wärmetauschervorrichtung zur Kühlung von Batteriezellen in einem Fahrzeu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6150A (ja) * 2010-12-30 2013-12-26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ウチ型セルケース
KR20150081516A (ko) * 2014-01-06 2015-07-15 희성정밀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41887A (ja) * 2014-01-30 2015-08-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JP2017062065A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システム
JP6542462B2 (ja) * 2016-03-07 2019-07-10 株式会社東芝 電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815B2 (ja) 2007-02-20 2010-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DE102007063195B4 (de) * 2007-12-20 2013-08-29 Daimler Ag Batterie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Wärmeleitplatte
DE102008032086A1 (de) * 2008-07-08 2010-01-14 Valeo Klimasysteme Gmbh Antriebsbatteriebaugruppe eines Elektro-, Brennstoffzellen- oder Hybridfahrzeugs
KR101143279B1 (ko) * 2009-08-20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냉각구조를 가진 전지팩
JP2011175911A (ja) * 2010-02-25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冷却/加熱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DE102010048015B4 (de) 2010-10-09 2015-11-05 Modine Manufacturing Co. Anlage mit einem Wärmeübertrager
CN103283063B (zh) 2010-12-28 2016-02-24 株式会社Lg化学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CN102544567B (zh) * 2010-12-30 2014-10-29 上海航天电源技术有限责任公司 带有液冷系统的动力电池模块
CN104247144A (zh) 2011-04-14 2014-12-24 智晖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电芯模块及电池包冷却系统的设计方法
DE202012101076U1 (de) 2011-04-14 2012-04-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m Kühlen von Batterien,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9105950B2 (en) 2012-03-29 2015-08-11 Lg Chem, Ltd. Battery system having an evaporative cooling member with a plate portion and a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system
US9605914B2 (en) 2012-03-29 2017-03-28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system
KR20130112117A (ko) * 2012-04-03 2013-10-14 (주)인벤티오 배터리 냉각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냉각 장치
KR101987778B1 (ko) * 2012-05-11 2019-06-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냉각 유로 관통형 이차전지모듈
DE102012211259A1 (de) * 2012-06-29 2014-01-02 Behr Gmbh & Co. Kg Thermoelektrische Temperiereinheit
KR101371741B1 (ko) 2012-09-07 2014-03-12 기아자동차(주) 배터리 시스템
KR20140110233A (ko) 2013-03-06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20140124064A (ko) 2013-04-15 2014-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20140138412A (ko) 2013-05-23 2014-12-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장치
US9368845B2 (en) * 2014-02-25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multi pass channel configuration
US9452683B2 (en) * 2014-02-25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longitudinal channel configuration
KR101748360B1 (ko) 2014-12-01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9627724B2 (en) 2014-12-04 2017-04-18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a cooling plate assembly
WO2017015826A1 (zh) * 2015-07-27 2017-02-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热管理组件
US10581125B2 (en) * 2016-11-02 2020-03-03 Lg Chem, Ltd. Battery system having a metallic end plate with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portions there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6150A (ja) * 2010-12-30 2013-12-26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ウチ型セルケース
KR20150081516A (ko) * 2014-01-06 2015-07-15 희성정밀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41887A (ja) * 2014-01-30 2015-08-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JP2017062065A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システム
JP6542462B2 (ja) * 2016-03-07 2019-07-10 株式会社東芝 電池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98B1 (ko) * 2019-01-08 2020-03-20 한국기계연구원 상변화 냉각장치 및 상변화 냉각방법
WO2022119182A1 (ko) * 2020-12-03 2022-06-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력 저장 장치, 및 자동차
CN115136403A (zh) * 2020-12-03 2022-09-30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组、电力存储设备和车辆
WO2022270705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49628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10052A (zh) 2020-01-17
EP3637539A4 (en) 2021-03-10
KR102378425B1 (ko) 2022-03-24
WO2018225919A1 (ko) 2018-12-13
US20200161729A1 (en) 2020-05-21
EP3637539A1 (en) 2020-04-15
US11476518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728A (ko) 배터리 팩
KR102391118B1 (ko) 배터리 팩
US11189868B2 (en) Battery module of cell edge direct cooling schem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0096869B2 (en) Battery module, battery temperature manag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5255817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4835980B (zh) 电池组
JP2012190674A (ja) バッテリー装置
KR102258818B1 (ko) 간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팩
JP2014082170A (ja)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JP2007234367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KR20160041411A (ko) 배터리 모듈
JP2012190675A (ja) バッテリー装置
JP2014036001A (ja)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KR10063746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200082567A (ko) 배터리 냉각용 열교환기
EP4150699A1 (en) Tab cooling for batteries
KR101307518B1 (ko) 열전발전 장치
KR20220105841A (ko) 배터리팩 냉각장치
CN220065814U (zh) 电池包组件和用电装置
CN220821779U (zh) 电池包和具有其的储能装置
CN220934216U (zh) 一种双水冷板及电池模组
CN220021289U (zh) 一种换热装置、电池热管理系统及车辆
KR20060060808A (ko) 이차 전지 모듈
CN111900512B (zh) 一种电池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