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720A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720A
KR20180122720A KR1020187030490A KR20187030490A KR20180122720A KR 20180122720 A KR20180122720 A KR 20180122720A KR 1020187030490 A KR1020187030490 A KR 1020187030490A KR 20187030490 A KR20187030490 A KR 20187030490A KR 20180122720 A KR20180122720 A KR 2018012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using
lip
connector
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237B1 (ko
Inventor
가즈미 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방수 커넥터가 패널에 경사 배치되는 경우에, 소정의 시일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패널(90)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그 패널(90)의 개구부(91)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로서의 후드부(22)와, 하우징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패널(90)의 판면에 대향하는 플랜지부(27)를 갖는다. 시일 부재(50)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를 포위하는 고리형의 형태이며, 패널(90)의 판면에 밀착되는 패널 립(57)과, 플랜지부(27)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는 내외 복수 개의 하우징 립(58)을 가지며, 하우징 립(58)측으로부터 패널 립(57)측으로 가면서 내외 방향의 두께가 감소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체의 패널에 부착되는 대기 커넥터로서의 방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패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그 패널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패널측 커넥터 하우징(이하,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측의 면이 패널의 판면에 대향하는 플랜지형의 패널 접촉부와, 패널 접촉부의 전방측의 면에 마련된 시일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널용 시일 부재(이하,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를 포위하는 고리형의 형태이며, 패널 접촉부의 전방측의 면과 패널의 판면에 밀착되어 패널 접촉부와 패널의 간극을 시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이 패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는 것은, 작업자가 커넥터의 감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22229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이 패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는 때때로, 커넥터 하우징의 하단을 패널의 판면에 가깝게 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상단을 패널의 판면으로부터 크게 이격시켜, 그 상태에서 하단측의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단측의 부분을 패널을 향해 기울어지게 하여, 커넥터 하우징를 패널에 부착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 작업을 행하면, 시일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틸팅(회동)에 따라 비틀어지고 롤링되어 탄성 변형되고, 그 상태로 패널의 판면에 밀착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가 소정의 시일성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방수 커넥터가 패널에 경사 배치되는 경우에, 커넥터 하우징과 패널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소정의 시일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패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그 패널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패널의 판면에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를 포위하는 고리형의 형태이며, 상기 패널의 판면에 밀착되는 패널 립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는 내외 복수 개의 하우징 립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립측으로부터 상기 패널 립측으로 가면서 내외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내외 복수 개의 하우징 립이 플랜지부의 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하우징 립측의 부분이 플랜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패널에 대한 부착시에는, 패널 립이 패널의 판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되지만, 시일 부재는 플랜지부에 안정 지지되는 하우징 립측으로부터 패널 립측으로 가면서 내외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립측의 탄성 변형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령 하우징 본체의 일단을 패널의 판면에 가깝게 하고, 그 일단측의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우징 본체의 타단측의 부분을 패널의 판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하여 하우징 본체를 패널에 부착하는 작업을 행하더라도, 패널 립이 비틀어지고 롤링되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시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패널에 부착된 방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방수 커넥터가 패널에 부착되는 과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패널에 부착된 방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패널에 부착된 방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방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패널 립이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시일 부재의 패널 립이 크게 탄성 변형되지 않고, 롤링되어 변형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립이 내외 2개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립의 정점부가 내외 방향에 관해 상기 시일 부재에서의 상기 내외 2개의 상기 하우징 립 사이의 중앙보다 외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가령 패널 립이 내측으로 크게 탄성 변형되면, 패널의 개구부 내에 패널 립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패널 립의 정점부가 하우징 립 사이의 중앙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로부터 패널 립의 정점부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어, 개구부 내에 패널 립이 떨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립의 정점부가 내외 방향에 관해 상기 시일 부재에서의 상기 내외 2개의 상기 하우징 립의 각각의 정점부 사이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내외 2개의 하우징 립의 각각의 정점부와 패널 립의 정점부가 균형을 이루어 배치되고, 시일 부재가 비틀어져 탄성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 1∼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방수 커넥터(10)는, 자동차의 패널(90)에 부착되는 패널 부착형 커넥터이며, 커넥터 하우징(20)과 시일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패널(90)에 부착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80)(도 1을 참조)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널(90)은,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이며,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91)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90)의 판면이 상하 방향을 따라서 수직으로 배치된다고 한 경우에, 커넥터 하우징(20)은, 상대 커넥터(80)와의 감합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향한 상태로, 개구부(91)의 내부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하우징(20)은, 상하 방향에 더하여 패널(90)의 판두께 방향인 전후 방향과 교차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감합면(후술하는 후드부(22)의 개구면)이 비스듬히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다만, 이하의 방수 커넥터(10)의 구조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편의상, 방수 커넥터(10)의 감합 방향의 축선이 전후 방향을 향하고, 방수 커넥터(10)의 감합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를, 방향의 기준으로 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각블록형의 단자 수용부(21)와, 단자 수용부(21)의 전단부, 상세하게는 단자 수용부(21)의 전단보다 조금 후방의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되고, 또한 그 돌출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22)를 일체로 갖고 있다. 후드부(22)는, 하우징 본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단자 수용부(21)에는, 복수의 캐비티(23)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캐비티(23)의 내벽 하면에는, 랜스(24)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단자 수용부(21)의 캐비티(23)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40)이 삽입된다. 단자 피팅(40)은, 캐비티(23)에 정규 삽입되고, 랜스(24)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단자 수용부(21)에 빠짐 방지되어 유지된다.
단자 피팅(40)은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 등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40)은, 전방으로 돌출된 핀형의 탭부(41)와, 탭부(41)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42)를 갖고 있다. 탭부(41)는, 후드부(22) 내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커넥터 하우징(20)이 상대 커넥터(80)에 감합됨에 따라, 상대 커넥터(80)에 마련된 암형의 상대 단자 피팅(8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을 참조). 배럴부(42)는, 전선(48) 및 고무 마개(49)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고, 전선(48)의 심선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무 마개(49)는, 단자 피팅(40)이 캐비티(23)에 정규 삽입되었을 때에, 캐비티(23)의 후방부측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전선(48)과 캐비티(23)의 간극을 시일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21)의 양측 외면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좌우 한쌍의 패널 록부(25)가 마련된다. 패널 록부(25)는, 단자 수용부(21)의 측외면 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세워져 있고, 또한 그 세워진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된 외팔보 형태로 되어 있다. 패널 록부(25)의 전단부에는, 록 본체(26)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록 본체(26)의 전단부면은, 패널(90)의 이면측의 판면에 대면하여 걸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패널 록부(25)의 전단 및 록 본체(26)의 전단은, 이하의 후드부(22)의 전단과 대응하도록, 비스듬히 하측으로 절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부(22)의 전단은, 이 후드부(22)의 연장 방향인 전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비스듬히 절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드부(22)는, 그 전단으로부터 경사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7)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27)는, 후드부(22)의 전단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된 원환판형을 이루며, 그 전면(前面)이 비스듬히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플랜지부(27)의 후면은,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에 대하여, 시일 부재(50)를 매개로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부(27)의 후면에는, 시일 부재(50)의 장착홈(32)이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7)의 돌출단에는, 후방을 향해 작게 돌출된 외주부(28)가 마련되고, 외주부(28)에 의해 장착홈(32)의 외주가 구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의 상변 부분은 하변 부분보다 외측으로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27)의 상변 부분에서의 상단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각진 오목형의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9)는, 외주부(28)를 절결하도록 하여 상단에서 개구됨과 더불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의 양측 변부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좌우 한쌍의 걸림 구멍(3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걸림 구멍(31)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가지며, 패널 록부(2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을 정면에서 보면, 걸림 구멍(31)을 통하여 패널 록부(25)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걸림 구멍(31)은, 록 본체(26)를 포함하는 패널 록부(25)의 전단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함으로써 형성된다.
계속해서 시일 부재(50)에 관해 설명한다. 시일 부재(5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를 포위하여 장착홈(32)에 감합 가능한 시일 본체(51)를 갖고 있다. 시일 본체(5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고리형을 이루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감합 방향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아래를 향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게 되어 있다. 시일 본체(51)의 상변 부분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전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돌기부(52)가 마련된다. 돌기부(52)는, 시일 본체(51)의 상변 부분(후술하는 중간부(59)의 외면)에서 한층 높게 돌출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편형을 이루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의 오목부(29)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본체(51)의 양측 변부분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전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좌우 한쌍의 돌기부(53)가 마련된다. 돌기부(53)는, 시일 본체(51)의 측변 부분에서 전방에 더하여 내측으로도 돌출된 각블록형의 기초부(54)와, 기초부(54)의 전단부에 단차형으로 이어진 확대부(55)로 이루어진다. 확대부(55)의 전면 및 후면(기초부(54)의 외면에 직교하는 둘레면)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는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확대부(55)의 외측면에는, 전면을 향해 상하 치수 및 좌우 치수를 감소시키는 사면부(56)가 마련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본체(51)는, 후방으로 돌출된 1개의 패널 립(57)과, 전방으로 돌출된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과, 패널 립(57) 및 하우징 립(58)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 립(58)측으로부터 패널 립(57)측으로 가면서 내외 방향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는 중간부(59)로 이루어진다. 또, 내외 방향은, 시일 부재(50)의 직경 방향의 내외 방향이며(도 8의 화살표를 참조), 도 1∼도 3에 나타내는 패널(90)의 판면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 해당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립(57)은, 중간부(59)의 후단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진 원호형의 단면을 이루며, 원호의 정점부(61)가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패널 립(57)의 내외면은 각각 중간부(59)의 내외면에 단차없이 연속해 있다.
양 하우징 립(58)은, 각각, 중간부(59)의 전단측의 내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진 원호형의 단면을 이루며, 원호의 정점부(62)가 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 립(58)은, 패널 립(57)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 립(58)의 각각의 외면은 중간부(59)의 외면에 단차없이 연속해 있다. 양 하우징 립(58)의 각각의 내면은 중간부(59)의 전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패널 립(57)의 정점부(62)는, 시일 부재(50)의 내외 방향의 두께의 중앙을 통과하여 내외 방향과 직교하는 중심선(C)(도 8을 참조)보다 외측에 편재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패널 립(57)의 정점부(62)는, 내외 방향에 관해, 양 하우징 립(58) 사이의 중앙보다 외측에 편재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패널 립(57)의 정점부(62)는, 내외 방향에 관해, 양 하우징 립(58)의 각각의 정점부(61) 사이에서, 또한 외측의 하우징 립(58)의 정점부(6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부(59)의 내면은, 내외 방향에 대하여, 패널 립(57)의 정점부(62)를 향해 확대되어 벌어지도록 외측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조립시에, 시일 부재(50)는 커넥터 하우징(20)에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이 때, 돌기부(52)가 오목부(29)에 대응 위치함으로써, 시일 부재(5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하여 정확한 장착 자세로 교정된다. 시일 부재(50)가 플랜지부(27)의 장착홈(32)에 진입하면, 돌기부(52)가 오목부(29)에 감합하여 배치됨과 더불어, 돌기부(53)의 확대부(55)가 사면부(56)에 의해 안내되면서 걸림 구멍(31)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플랜지부(27)의 전면(前面)에 걸릴 수 있게 배치된다(도 5를 참조). 이에 따라, 돌기부(53)의 기초부(54)가 걸림 구멍(31)에 삽입됨과 더불어,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이 장착홈(32)의 이면(플랜지부(27)의 후면)의 내외주부에 둘레 방향으로 밀착되어 배치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하우징(20)을 패널(90)에 부착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패널(90)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면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패널(90)의 판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부착시에,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의 개구부(91)에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부가 패널(90)의 이면측에 면하고, 플랜지부(27)가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계속해서, 도 2로부터 도 1에 걸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의 하변 부분 및 시일 부재(50)의 하변 부분이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에서의 개구부(91)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플랜지부(27)의 하변 부분 또는 시일 부재(50)의 하변 부분이 지지점이 되어, 플랜지부(27)의 상변 부분 및 시일 부재(50)의 상변 부분이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커넥터 하우징(20)이 회동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가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배치될 때까지 회동되면, 양 패널 록부(25)의 록 본체(26)가 개구부(91)를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패널(90)의 이면측의 판면에서의 개구부(91)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게 배치된다(도 3을 참조). 이에 따라, 패널 록부(25)의 록 본체(26)와 플랜지부(27) 사이에, 시일 부재(50)를 매개로 패널(90)이 끼여 지지되고,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된다.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에 부착됨에 따라, 시일 부재(50)의 패널 립(57)이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에서의 개구부(91)의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밀착되어 배치된다. 이 때, 패널 립(57)은 약간 외측을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패널(90)의 표면측의 판면에 밀착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28)와 패널(90) 사이에 외면이 노출되어 배치된다. 그 후, 상대 커넥터(80)가 후드부(22)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된다(도 1을 참조).
그런데, 상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에 대하여 회동하여 부착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20)의 회동 과정에서, 시일 부재(50)의 패널 립(57)이 패널(90)의 판면을 슬라이딩하여 비틀림 방향의 외력을 받는 경우가 있다. 가령, 패널 립(57)이 비틀림 방향의 외력을 받아 롤링되어 변형되면, 시일 부재(50)가 소정의 시일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 1의 경우,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이 플랜지부(27)의 장착홈(32)의 이면에 밀착되어 배치됨으로써, 시일 부재(50)가 플랜지부(27)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고, 또한, 시일 부재(50)의 중간부(59)가 하우징 립(58)측으로부터 패널 립(57)측으로 가면서 점차 두께를 줄이는 형태로 되어 있어, 패널(90)에 밀착되는 패널 립(57)의 탄성 변형량이 작게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20)의 회동 과정에서, 패널 립(57)이 비틀림 방향의 외력을 받더라도 탄성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고, 롤링되어 변형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일 부재(50)가 소정의 시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패널 립(57)이 1개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립(57)의 탄성 변형량을 더욱 작게 억제할 수 있고, 패널 립(57)이 롤링되어 변형되는 사태를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하우징 립(58)이 내외 2개로 구성되고, 패널 립(57)의 정점부(62)가 내외 방향에 관해 시일 부재(50)에서의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 사이의 중앙(도 8의 중심선(C)을 참조)보다 외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20)이 패널(90)에 부착되었을 때에, 개구부(91)로부터 패널 립(57)의 정점부(62)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어, 패널 립(57)이 개구부(91) 내에 떨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립(57)의 정점부(62)가 내외 방향에 관해 시일 부재(50)에서의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의 각각의 정점부(61) 사이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 2개의 하우징 립(58)의 각각의 정점부(61)와 패널 립(57)의 정점부(62)가 균형을 이루어 배치되고, 시일 부재(50)가 비틀어져 탄성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와 같은 회동을 수반하는 부착 작업을 하지 않고, 플랜지부(27)가 패널(90)의 판면과 평행한 상태로 개구부(91)에 삽입되어, 그대로 패널(90)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시일 부재는, 내외 3개 이상의 하우징 립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2) 시일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로부터 전선의 인출 단부에 걸친 부분을 피복하는 그로밋으로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3)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후에 패널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4) 방수 커넥터는, 암형의 단자 피팅을 수용 가능한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이어도 좋다.
10 : 방수 커넥터
20 : 커넥터 하우징
22 : 후드부(하우징 본체)
27 : 플랜지부
32 : 장착홈
50 : 시일 부재
51 : 시일 본체
57 : 패널 립
58 : 하우징 립
59 : 중간부
61 : 하우징 립의 정점부
62 : 패널 립의 정점부
90 : 패널
91 : 개구부

Claims (4)

  1. 패널의 판면에 대하여 경사져 그 패널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본체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패널의 판면에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를 포위하는 고리형의 형태이며, 상기 패널의 판면에 밀착되는 패널 립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는 내외 복수 개의 하우징 립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립측으로부터 상기 패널 립측으로 가면서 내외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는 시일 부재
    를 포하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립은 1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방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립은 내외 2개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립의 정점부가 내외 방향에 관해 상기 시일 부재에서의 상기 내외 2개의 상기 하우징 립 사이의 중앙보다 외측의 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방수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립의 정점부가 내외 방향에 관해 상기 시일 부재에서의 상기 내외 2개의 상기 하우징 립의 각각의 정점부 사이의 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방수 커넥터.
KR1020187030490A 2016-04-28 2017-04-25 방수 커넥터 KR102130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0029A JP2017199582A (ja) 2016-04-28 2016-04-28 防水コネクタ
JPJP-P-2016-090029 2016-04-28
PCT/JP2017/016343 WO2017188234A1 (ja) 2016-04-28 2017-04-25 防水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20A true KR20180122720A (ko) 2018-11-13
KR102130237B1 KR102130237B1 (ko) 2020-07-03

Family

ID=6016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490A KR102130237B1 (ko) 2016-04-28 2017-04-25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8745B2 (ko)
JP (1) JP2017199582A (ko)
KR (1) KR102130237B1 (ko)
CN (1) CN109075496B (ko)
WO (1) WO20171882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11A (ko) 2020-09-09 2022-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케이블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08B1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26B1 (ko) * 2019-04-12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24B1 (ko) * 2019-04-12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25B1 (ko) * 2019-04-12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JP7159960B2 (ja) * 2019-04-15 2022-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
DE102019124432A1 (de) * 2019-09-11 2021-03-11 Mann+Hummel Gmbh Fluid-Reinigungselement eines Fluid-Reinigungssystems zum Reinigen von flüssigem Fluid, Fluid-Reinigungssystem und Dichtelement eines Fluid-Reinigungsele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9618A (ja) * 2010-03-02 2011-09-15 Nok Corp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2011222229A (ja) 2010-04-07 2011-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待受けコネクタ
EP2858183A2 (en) * 2013-10-03 2015-04-08 Yasaki Corporation Connector join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806Y2 (ja) * 1993-11-26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0318373A (ja) 1997-05-14 1998-12-04 Morisei Kako:Kk 封止材
JP3570481B2 (ja) * 1998-05-28 2004-09-29 住友電装株式会社 パネル取り付けコネクタ
JP4058902B2 (ja) * 2000-12-18 2008-03-12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6147474A (ja) * 2004-11-24 2006-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07311224A (ja) * 2006-05-19 2007-11-29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の軸シール構造
WO2010038125A1 (en) * 2008-09-30 2010-04-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lectric outlet
JP5582093B2 (ja) * 2011-05-17 2014-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JP2015072796A (ja) 2013-10-03 2015-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9618A (ja) * 2010-03-02 2011-09-15 Nok Corp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2011222229A (ja) 2010-04-07 2011-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待受けコネクタ
EP2858183A2 (en) * 2013-10-03 2015-04-08 Yasaki Corporation Connector joining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11A (ko) 2020-09-09 2022-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케이블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5496B (zh) 2019-12-10
CN109075496A (zh) 2018-12-21
KR102130237B1 (ko) 2020-07-03
WO2017188234A1 (ja) 2017-11-02
US10418745B2 (en) 2019-09-17
JP2017199582A (ja) 2017-11-02
US20190173222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720A (ko) 방수 커넥터
US9385516B2 (en) Connector
US9509076B2 (en)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US20120295479A1 (en) Watertight shield connector
WO2015178203A1 (ja) コネクタ
US1006298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US1033324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US20160248193A1 (en) Fitting structure of connector
JP2013229168A (ja) 防水コネクタ
JP2019040687A (ja)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US9761992B2 (en) Connector
JP5246086B2 (ja) コネクタ
JP2014123446A (ja) コネクタ
JP2015005417A (ja) コネクタ
JP2012109031A (ja) コネクタ
JP2015195125A (ja) コネクタ
JP6037233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3165019A (ja) コネクタ
JP6029016B2 (ja) 防水コネクタ
JP5898603B2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部材
JP2017107788A (ja) コネクタ
JP2020102333A (ja) 分割コネクタ
WO2016042986A1 (ja) コネクタ
JP2014120352A (ja) 防水コネクタ
JP2016143574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