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108B1 -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 Google Patents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108B1
KR101980108B1 KR1020170149915A KR20170149915A KR101980108B1 KR 101980108 B1 KR101980108 B1 KR 101980108B1 KR 1020170149915 A KR1020170149915 A KR 1020170149915A KR 20170149915 A KR20170149915 A KR 20170149915A KR 101980108 B1 KR101980108 B1 KR 10198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nnector
vehicle
main body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4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는, 장착홈부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체패널과,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조립 설치되는 삽입부를 갖는 멀티박스본체와, 멀티박스본체를 차체패널의 장착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멀티박스본체를 차체패널에 조립시 상대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개선하도록 멀티박스본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MULTI-BOX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본 발명은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박스본체의 커넥터 삽입부위를 차체패널의 설치각도를 보상하는 형태로 형성하므로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기존의 경사방향과 달리 수평 직진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커넥터의 장착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부품이 있으며, 각각의 전장부품들은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진다.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한다.
최근에는 전기장치들이 점차 다양화됨에 따라 퓨즈의 개수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의 배터리와 각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들을 모아 차량의 내부패널에 장착하는 멀티박스(multi box)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멀티박스는 주로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인스투르먼트의 하측에서 도어에 접하는 차량 내부패널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멀티박스 내에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장부품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와 전장부품들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는 멀티박스 일측을 통하여 타측 인출부를 거쳐 외부로 연결된다.
멀티박스의 조립순서를 살펴 보면, 와이어하네스가 체결된 커넥터를 멀티박스본체의 각각 위치에 결합하고, 멀티박스의 내부에 체결된 커넥터의 와이어 하네스를 테이핑하여 설치하며, 차체패널에 멀티박스본체를 고정한 후, 멀티박스 본체에 체결된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접속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런데, 기존의 멀티박스는 차체패널의 설치각도에 맞게 설계되어 작업자가 커넥터 등을 조립할 때, 차체패널이 경사짐에 따라 커넥터 체결방향 역시 경사방향으로 체결되어 작업자의 손목이 꺽이는 상태로 무리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차체 채널에 대한 장착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손목 꺽임으로 인한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1734호(2016.07.16, 발명의 명칭: 차량요 멀티박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멀티박스본체의 커넥터 삽입부위를 차체패널의 설치각도를 보상하는 형태로 형성하므로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기존의 경사방향과 달리 수평 직진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커넥터의 장착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는, 장착홈부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체패널;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조립 설치되는 삽입부를 갖는 멀티박스본체; 및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상기 차체패널의 장착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상기 차체패널에 조립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개선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박스본체의 삽입부에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된 상기 커넥터를 체결한 후 결합부를 통해 커버를 상기 멀티박스본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멀티박스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차체패널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에 형성되는 착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패널을 수평에 대하여 설정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할 때, 상기 차체패널에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상기 멀티박스본체에서 수평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하므로 상기 상대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직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는, 멀티박스본체의 커넥터 삽입부위를 차체패널의 설치각도를 보상하는 형태로 형성하므로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기존의 경사방향과 달리 직진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작엽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삽입부의 수평방향 형성으로 인해 커넥터의 장착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서 커닉터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서 멀티박스본체를 차체패널에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본체를 보인 도면으로서, 차체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차체패널에 조립한 상태도로서, 상대 커넥터를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차체패널에 조립하고, 상대 커넥터를 삽입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서 커닉터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에서 멀티박스본체를 차체패널에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본체를 보인 도면으로서, 차체패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차체패널에 조립한 상태도로서, 상대 커넥터를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킨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를 차체패널에 조립하고, 상대 커넥터를 삽입부에 수평방향으로 체결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는, 장착홈부(110)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체패널(100)과, 커넥터(20)와 상대 커넥터(40)가 조립 설치되는 삽입부(210)를 갖는 멀티박스본체(200)와, 멀티박스본체(200)를 차체패널(100)의 장착홈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착탈부(300)를 포함하고, 삽입부(210)는 멀티박스본체(200)를 차체패널(100)에 조립시 상대 커넥터(40)의 체결방향을 개선하도록 멀티박스본체(200)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패널(100)은 차량의 A필러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차체패널(100)은 차량의 다른 부위의 패널일 수 있다.
장착홈부(110)는 사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며, 커버(220)가 결합부(230)에 의해 결합된 멀티박스본체(200)를 장착홈부(110)에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한다.
커넥터(20)는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박스본체(200)의 관통부에 삽입 설치된다.
즉, 멀티박스본체(200)의 삽입부(210)에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된 커넥터(20)를 체결한 후 결합부(230)를 통해 커버(220)를 멀티박스본체(200)에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커넥터(20)는 개별 커넥터일 수도 있고, 각 커넥터들이 조립된 커넥터조립체일 수도 있다.
결합부(230)는 멀티박스본체(200) 또는 커버(2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240)과, 결합홈(240)에 결합되도록 멀티박스본체(200) 또는 커버(22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후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함홈(240)을 커버(220)에 형성하고, 결합후크(250)를 멀티박스본체(200)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결합홈(240)과 결합후크(250)의 형성 위치는 상호 반대로 바뀔 수 있다.
착탈부(300)는 차체패널(100)의 장착홈부(110)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310)와, 가장자리부(310)에 걸림 결합되도록 멀티박스본체(200)에 형성되는 착탈후크(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부(310)는 차체패널(100)의 장착홈부(110)의 내측가장자리 일부 영역의 구성이다. 착탈후크(320)는 멀티박스본체(200)에섯 틴성적으로 젖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후크(320)는 양측에 한 쌍의 절개홈부(330)가 형성된다.
착탈후크(320)는 절개홈부(330)에 의해 탄성지지부(340)가 힌지 회동하므므로 탄성적으로 젖혀지거나 착탈홈(310)에 진입 완료시 탄성 복귀하여 걸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박스본체(200)에는 걸림후크(320)의 걸림턱부위와 이격되므로 걸림후크(320)에 걸려진 가장자리부(3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50)가 구비된다.
이로써, 가장자리부(310)는 걸림후크(320)의 걸림턱부위와 이동제한부(350) 사이에 설치되므로 멀티박스본체(200)는 차체패멀(100)의 장착홈부(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동제한부(350)는 멀티박스본체(200)의 테두리에 플랜지 형태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체패널(100)을 수평에 대하여 설정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할 때, 차체패널(100)에 멀티박스본체(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삽입부(210)를 멀티박스본체(200)에서 수평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하므로 상대 커넥터(40)를 삽입부(210)에 수평 직진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넥터(20)에 체결할 수 있다.
즉, 차체패널(100)은 차량을 제작하면서 수평에 대해 설정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설정각도(α)가 60°라 가정하면, 차체패널(100)은 수직에 대해서는 경사각도(θ) 30°를 유지한다. 그래서, 설정각도(α)와 경사각도도(θ)의 합은 90°가 된다.
이와 같이, 멀티박스본체(200)를 차체패널(100)에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멀티박스본체(200) 역시 수평에 대해 설정각도(α)인 60°로 배치된다. 종래에는 차체패널(100)의 설정각도(α)에 대응하여 멀티박스본체(200)가 설계되므로 삽입부(210) 역시 수평에 대하여 "90°- 설정각도(α) = 경사각도(θ)" 만큼 경사지게, 예를들어 수평에 대해 30°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삽입부(210)에 상대 커넥터(40)를 삽입하여 커넥터(20)에 체결하는 경우, 경사각도(θ)인 30°로 인해 손목이 꺽여 신체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멀티박스본체(200)를 경사진 차체패널(100)에 조립하더라도, 삽입부(210)를 차체패널(100)과 멀티박스본체(200)에 대해 경사각도(θ) 만큼 예를 들어 30°정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차체패널(100)에 멀티박스본체(200)를 조립하더라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0)가 수평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삽입부(210)에 상대 커넥터(40)를 수평 직진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하고, 커넥터(20)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경우에는 삽압부(210)를 통해 커넥터(20)에 상대 커넥터(40)를 체결시, 상대 커넥터(4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손목이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체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는, 멀티박스본체의 커넥터 삽입부위를 차체패널의 설치각도를 보상하는 형태로 형성하므로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기존의 경사방향과 달리 수평 직진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작엽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삽입부의 수평방향 형성으로 인해 커넥터의 장착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커넥터 40 : 상대 커넥터
100 : 차체패널 110 : 장착홈부
200 : 멀티박스본체 210 : 삽입부
220 : 커버 230 : 결합부
240 : 결합홈 250 : 결합후크
300 : 착탈부 310 : 가장자리부
320 : 착탈후크 330 : 절개홈부
340 : 탄성지지부 350 : 이동제한부

Claims (5)

  1. 장착홈부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체패널;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조립 설치되는 삽입부를 갖는 멀티박스본체; 및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상기 차체패널의 장착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상기 차체패널에 조립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체결방향을 개선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본체의 삽입부에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된 상기 커넥터를 체결한 후 결합부를 통해 커버를 상기 멀티박스본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멀티박스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차체패널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멀티박스본체에 형성되는 착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패널을 수평에 대하여 설정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할 때, 상기 차체패널에 상기 멀티박스본체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상기 멀티박스본체에서 수평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하므로 상기 상대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수평 직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70149915A 2017-11-10 2017-11-10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15A KR101980108B1 (ko) 2017-11-10 2017-11-10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15A KR101980108B1 (ko) 2017-11-10 2017-11-10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73A Division KR101980126B1 (ko) 2019-04-12 2019-04-12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90043371A Division KR101980124B1 (ko) 2019-04-12 2019-04-12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190043372A Division KR101980125B1 (ko) 2019-04-12 2019-04-12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108B1 true KR101980108B1 (ko) 2019-05-20

Family

ID=6667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915A KR101980108B1 (ko) 2017-11-10 2017-11-10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1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836A (ja) * 2000-04-26 2001-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ホルダ
JP2004146249A (ja) * 2002-10-25 2004-05-20 Suzuki Motor Corp コネクタホルダ
KR101608367B1 (ko) * 2014-11-12 2016-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멀티 박스
JP2017199582A (ja) * 2016-04-28 2017-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836A (ja) * 2000-04-26 2001-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ホルダ
JP2004146249A (ja) * 2002-10-25 2004-05-20 Suzuki Motor Corp コネクタホルダ
KR101608367B1 (ko) * 2014-11-12 2016-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멀티 박스
JP2017199582A (ja) * 2016-04-28 2017-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8166A1 (en) Serviceable fixing system for connectors
US7648397B2 (en) Electronic part equipped unit
US11801735B2 (en) Door module and door module fixture
US7390969B2 (en) Wire harness grommet
KR101980125B1 (ko)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26B1 (ko)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JP2003048495A (ja) 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KR101980108B1 (ko)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KR101980124B1 (ko)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US6726165B2 (en) Bracket connecting structure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JP2003267158A (ja) 自動車のハーネス接続構造
JP2009173074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JP2010062800A (ja)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CN109552046B (zh) 汽车仪表板与汽车
JP687782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JP6980488B2 (ja) 電気接続箱
US10044142B1 (en) Connector locking holder
JP2006290191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モジュール
CN217575097U (zh) 安装组件及安装装置
JP3889576B2 (ja) ブラケット結合構造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5286109B2 (ja) 補器取付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取付方法
JP4252992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