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67B1 - 멀티 박스 - Google Patents

멀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67B1
KR101608367B1 KR1020140157163A KR20140157163A KR101608367B1 KR 101608367 B1 KR101608367 B1 KR 101608367B1 KR 1020140157163 A KR1020140157163 A KR 1020140157163A KR 20140157163 A KR20140157163 A KR 20140157163A KR 101608367 B1 KR101608367 B1 KR 10160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nel
partition wall
vehic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혜경
전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5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부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와이어링 하네스 각각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집약부인 멀티 박스로서, 상기 멀티 박스를 상기 차체의 판넬에 삽입시에 상기 차체의 판넬과 접촉되는 상기 멀티 박스의 둘레에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격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격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박스{MULTI-BOX}
본 발명은 멀티 박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체의 판넬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멀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류 및 전기적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장품은 와이어링 하네스라고 불리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전선에 의해 배터리 및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의 시동 및 점화장치, 점등장치, 카오디오, 와이퍼 및 모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 차량은 멀티박스(10)를 통해 차량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여러 종류의 와이어링 하네스 각각의 커넥터가 집약되어 있는 부품이며, 이러한 멀티박스(10)를 통해 차량을 통과하여 차량의 각 부위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박스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 박스(10)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복수의 릴레이 박스나 인라인 커넥터 등을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구비된 육면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 박스(10)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릴레이 박스나 인라인 커넥터 등이 수용된 상태에서 차체의 판넬에 압입에 의하여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멀티 박스(10)를 차체의 판넬에 삽입시에 멀티 박스(10) 측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멀티 박스(10)의 둘레에는 격벽(11)이 구비되어 있으며, 격벽(11)의 상면에는 격벽(11)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11a)가 구비되어 있다.
격벽(11)의 두께와 확장부(11a)의 폭은 대략 4 mm 정도로 형성됨으로써 확장부(11a)의 상면이 작업자의 손과 접촉되어 가압됨으로써 멀티 박스(10)가 차체의 판넬에 체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멀티 박스에 있어서, 멀티 박스(10)를 차체의 판넬에 가압하여 삽입 체결시에 격벽(11)의 상단에 형성된 확장부(11a)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손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4 mm 라는 좁은 폭에 의하여 작업자의 손에 상당한 자극이 가해지므로 작업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멀티 박스(10)를 차량의 판넬에 가압하여 체결하는 삽입력은 아래의 그래프와 같다.
Figure 112014108972983-pat00001
그래프를 살펴보면 멀티 박스(10)를 체결하는 삽입력은 최대치가 37.09 N 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의 삽입력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멀티 박스(10)와 차체의 판넬과의 접촉 영역이 단일 격벽(11)에 의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수분이 접촉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멀티 박스의 둘레에 이중 격벽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멀티 박스를 용이하게 차체의 판넬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수분이 차체 판넬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는, 차체의 판넬에 삽입 결합되어 차체 내부로 수분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멀티 박스로서, 상기 멀티 박스를 상기 차체의 판넬에 삽입시에 상기 차체의 판넬과 접촉되는 상기 멀티 박스의 둘레에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격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격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격벽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제2격벽의 하단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멀티 박스를 상기 차체에 삽입시에 상기 제1격벽의 하부가 외부와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격벽의 상단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의 이격 거리는 10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멀티박스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기 멀티박스를 상기 차량에 체결시에 상기 멀티박스가 상기 차량의 판넬에 락킹되도록 하는 별도의 판넬 락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박스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박스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커버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락킹부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상기 커버 락킹부와 맞물리는 바디 락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상기 멀티박스와 간섭없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중격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멀티박스의 하단쪽을 통하여 멀티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멀티 박스의 둘레에 이중 격벽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멀티 박스를 용이하게 차체의 판넬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수분이 차체 판넬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박스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멀티 박스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커버가 체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멀티박스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멀티 박스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커버가 체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는, 차량의 각 부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와이어링 하네스 각각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집약부인 멀티 박스(100)로서, 멀티 박스(100)를 차체의 판넬에 삽입시에 차체의 판넬과 접촉되는 멀티 박스(100)의 둘레에 제1격벽(111)과, 제1격벽(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격벽(112)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격벽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멀티 박스(100)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복수의 릴레이 박스나 인라인 커넥터 등을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육면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멀티 박스(100)는 차체의 판넬에 압입에 의하여 차체의 판넬과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멀티 박스(100)를 차체의 판넬에 삽입한 후에 체결을 위하여 멀티 박스(100)의 둘레면을 작업자의 손으로 누를 경우에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멀티 박스(100)의 둘레면에는 이중 격벽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중 격벽부(110)는 멀티 박스(100) 둘레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111)과, 제1격벽(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멀티 박스(100) 둘레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격벽(112)으로 이루어진다.
제1격벽(111)은 멀티 박스(1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멀티 박스(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작업자가 손으로 누를 경우에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자극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격벽(111)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격벽(112)의 하단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격벽(111)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멀티 박스를 차체의 판넬에 삽입시에 제1격벽(111)의 하부가 외부와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멀티 박스(100)와 차체의 판넬이 접촉되는 접촉 부위를 통하여 외부의 수분이 유입됨을 더욱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 박스(100)를 차체의 판넬에 결합시에 제2격벽(112)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멀티 박스(100)를 차체의 판넬에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멀티 박스(100)를 차체의 판넬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2격벽(112)의 상단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부(112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멀티 박스(100)의 둘레면을 누를 경우에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자극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멀티 박스(100)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1격벽(111)과 상기 제2격벽(112)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6 mm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멀티 박스의 둘레가 단일 격벽으로 형성된 구성에 비하여 최소한 6 mm 이상의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멀티 박스(100)의 결합을 위하여 손으로 멀티 박스(100)의 둘레를 누를 경우에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격 거리가 10mm 를 초과 설정시에는 손가락 마디 하나로 이중격벽을 지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이격 거리가 10mm 미만일 경우에는 협소부위에 격벽 홈으로 인한여 10mm 대비 작업자 체결시에 체결 어려움 및 통증 호소하므로 10mm 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박스를 차량의 판넬에 삽입하는 삽입력은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변화된다.
Figure 112014108972983-pat00002

그래프를 살펴보면 멀티 박스를 차량(1)에 삽입시에 발생되는 삽입력의 최대치는 20.93 N 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삽입력인 37.09 N 에 비하여 43.6 % 감소한 수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멀티 박스를 용이하게 차량의 판넬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멀티박스(100)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기 멀티박스를 상기 차량에 체결시에 멀티박스(100)가 차량(1)의 판넬에 락킹되도록 하는 별도의 판넬 락킹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박스(100)는 커버(101)를 더 포함하고, 멀티박스(100)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커버(101)가 체결되는 커버 락킹부(130)가 구비되고, 커버 락킹부(130)와 대응되는 커버(101)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커버 락킹부(130)와 맞물리는 바디 락킹부(101a)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락킹부(130)의 돌출 부재에는 살빼기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의 세로로 배치된 접촉영역의 폭은 5 mm로 형성되고 가로로 배치된 접촉영역의 폭은 3 mm 로 적용함으로써 바디 락킹부(101a)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 락킹부(130)와 바디 락킹부(101a)의 상호 접촉면이 종래의 세로로 배치된 접촉영역의 폭이 12 mm, 가로로 배치된 접촉영역의 폭이 1 mm에서 각각 5 mm 와 3 mm 로 축소되도록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멀티박스(100)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멀티박스(100)와 간섭없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중격벽부(11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멀티박스(100)의 하단쪽을 통하여 멀티박스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멀티 박스 110 : 이중 격벽부
111 : 제1격벽 112 : 제2격벽
112a : 확장부

Claims (7)

  1. 차량(1)의 각 부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와이어링 하네스 각각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집약부인 멀티 박스(100)로서,
    상기 멀티 박스(100)를 상기 차량(1)의 판넬에 삽입시에 상기 차체의 판넬과 접촉되는 상기 멀티 박스(100)의 둘레에는 제1격벽(111)과, 상기 제1격벽(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격벽(112)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격벽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격벽(111)의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제2격벽(112)의 하단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111)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멀티 박스를 상기 차체(1)에 삽입시에 상기 제1격벽(111)의 하부가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112)의 상단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부(1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111)과 상기 제2격벽(112)의 이격 거리는 10 mm 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기 멀티박스를 상기 차량에 체결시에 상기 멀티박스가 상기 차량의 판넬에 락킹되도록 하는 별도의 판넬 락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박스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커버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락킹부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 둘레의 복수 개소에는 상기 커버 락킹부와 맞물리는 바디 락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상기 멀티박스와 간섭없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중격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멀티박스의 하단쪽을 통하여 멀티박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박스.
KR1020140157163A 2014-11-12 2014-11-12 멀티 박스 KR10160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163A KR101608367B1 (ko) 2014-11-12 2014-11-12 멀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163A KR101608367B1 (ko) 2014-11-12 2014-11-12 멀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367B1 true KR101608367B1 (ko) 2016-04-04

Family

ID=5579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163A KR101608367B1 (ko) 2014-11-12 2014-11-12 멀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08B1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396A (ja) 2006-04-07 2007-10-25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上カバー、および該上カ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396A (ja) 2006-04-07 2007-10-25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上カバー、および該上カ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08B1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경신 조립성 개선형 차량용 멀티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469B2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US8979580B2 (en) Fluid-sealing electric motor connector and motor
US9356362B2 (en) Component unit
JP5966089B2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3827650B2 (ja) シールド接続構造
JP2021026939A (ja) コネクタ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KR101608367B1 (ko) 멀티 박스
US9887479B2 (en) Connector
US9525237B2 (en) Connector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EP2874167B1 (en) Junction box and contactor device
JP2016096674A (ja) 電気接続箱
US10374370B2 (en) Electronic unit attaching structure
EP3537548A3 (en) Vibration limiting compression protrusions
JP7185584B2 (ja) コネクタ取付構造
US845060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48236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1530073B1 (ko) 차량용 멀티박스
US10186796B2 (en) Connector unit, sub-connector with frame and sub-connector with cap
JP5031300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搭載ボックス
KR200438134Y1 (ko) 커넥터 고정블록
EP2961001A1 (en) Header assembly and connector for vehicle having the header assembly
US20210184590A1 (en) Power Apparatus Including Interlock
JP2018147834A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