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883A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1883A KR20180111883A KR1020187024916A KR20187024916A KR20180111883A KR 20180111883 A KR20180111883 A KR 20180111883A KR 1020187024916 A KR1020187024916 A KR 1020187024916A KR 20187024916 A KR20187024916 A KR 20187024916A KR 20180111883 A KR20180111883 A KR 201801118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esistance value
- resistor
- electric
-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40)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111A)와, 상기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하는 제1 유닛(110)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130)과,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300)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의 합성 저항값(Rc)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R1)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를 구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한 접속을 검지하는 방법, 해당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담배와 같은 향미원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향미를 맛보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유닛과, 본체유닛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캡슐유닛을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개시하고 있다. 본체유닛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원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수단과, 무화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가진다. 캡슐유닛은, 유저에 의해서 흡인되는 향미를 발생시키는 향미원을 가진다.
제1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와, 상기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의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발생부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향미원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상기 향미원은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2 특징 또는 제3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은 다가(多價) 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향미원은 식물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한 후에, 상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의 제어 또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통지수단의 통지 제어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과 다른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경로의 일부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전기경로에서 상기 발생부보다 상기 제2 유닛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7 특징 또는 제8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에 대한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5∼100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를 직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경로의 일부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0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에 대한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0.01∼0.25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0 특징 또는 제1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검출대상이 아닌 제3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유닛측의 상기 전기경로는, 한 쌍의 전기단자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으로 상기 한 쌍의 전기단자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저항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발생부 및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전기접속되며, 기지(旣知)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기지 저항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을 이용해서 상기 합성 저항값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2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향미원을 유지하는 유지부로부터 구획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2 특징 내지 제4 특징 및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향미원으로부터의 에어로졸 발생에 기여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2 특징 내지 제4 특징, 제15 특징 및 제1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향미원의 가열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정보원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가 소정의 역치(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발생부로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적어도 상기 발생부를 포함하는 발생유닛과, 적어도 상기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특징은, 제20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전지의 음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발생부 및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 특징은, 제2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2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흡구(吸口)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2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상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전류패스와,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와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전류패스와, 상기 제1 전류패스와 상기 제2 전류패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흐르도록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5 특징은,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을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하는 저항기와 상기 발생부의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는 스텝을 가진다.
제26 특징은, 제25 특징에 따른 방법을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7 특징은, 제25 특징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기록매체는, 비일과성(非一過性)의 기록매체여도 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생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서, 제2 유닛 대신에 사용되는 제3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생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서, 제2 유닛 대신에 사용되는 제3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관해서, 시장에서는 사용편리성 향상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개시의 개요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와, 상기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의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시의 개요에서는, 제어부가, 발생부와 저항기의 합성 저항값과, 발생부의 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제2 유닛의 접속 유무에 따라 발생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변화시키거나, 제2 유닛이 제1 유닛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발생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유닛의 접속 검지에 이용되는 저항기는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되므로, 전지 및/또는 제어부로부터 저항기까지의 전기회로의 일부를, 발생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와 공유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발생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흡인성분(향끽미 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비흡구단(非吸口端)(E2)으로부터 흡구단(E1)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간단히 향미 흡인기(100)로 칭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향미 흡인기(100)는,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을 가진다. 제1 유닛(110)은, 제2 유닛(130)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유닛(110)은 통체(筒體)(110X)를 가지고 있으며, 제2 유닛(130)은, 통체(110X)의 흡구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닛(110)은,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40)와, 전지(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111A)와, 발생부(111A)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
제1 유닛(110)은, 적어도 발생부(111A)를 포함하는 발생유닛(111)과, 적어도 전지(40)를 포함하는 전지유닛(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생유닛(111)은, 전지유닛(112)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1)는, 전지유닛(1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제어부(51)는, 발생유닛(11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지유닛(112)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통체(112X)를 가진다. 전지(40)나 제어부(51)는 통체(112X)에 수용된다. 전지(40)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여도 된다. 제어부(51)는, 예를 들면,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향미 흡인기(100)에 구비된 전기회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도 3 참조).
전지유닛(112)은, 통기구멍(112A)을 가진다. 통기구멍(112A)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생유닛(111)으로 안내된다.
전지유닛(112)은,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2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센서(20)는, 콘덴서를 가지는 센서이며, 흡인 동작에 의해 생긴 차압(差壓)에 대응한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전압값)을 출력한다.
발생유닛(111)을 구성하는 발생부(111A)는,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임의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생부(111A)는, 흡인성분원으로서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흡인성분으로서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발생부(111A)로서 에어로졸원을 구비한 발생유닛(111)의 구성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발생유닛(111)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통체(111X)를 가진다.
발생부(111A)는, 리저버(111P)와, 윅(111Q)과, 저항체(111R)를 가진다. 리저버(111P), 윅(111Q) 및 저항체(111R)는, 통체(111X)에 수용된다. 리저버(111P)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11P)는, 수지(樹脂) 웹 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이다. 윅(111Q)은, 리저버(111P)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하는 액체 보유부재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윅(111Q)은, 유리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저항체(111R)는, 저항발열체여도 된다. 이 저항발열체는, 윅(111Q)에 의해 보유되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저항발열체는, 예를 들면, 윅(111Q)에 소정 피치로 둘러 감기는 저항발열체(예를 들면, 전열선)에 의해 구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상온에서 액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으로서는, 다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에 의해 보유된다. 공질체는, 비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유닛(130)은,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제1 유닛(11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닛(130)은, 발생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제2 유닛(130)은, 반드시 물리 공간적으로 발생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2 유닛(130)은, 제1 유닛(110)의 흡구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유닛(130)은, 통체(131)와, 향미원(132)과, 망목(網目)(133A)과, 필터(133B)를 가진다. 통체(131)는, 소정 방향 A를 따라서 연장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통체(131)는, 향미원(132)을 유지하는 유지부(134)를 가진다.
향미원(132)은, 흡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서 발생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향미원(132)은, 발생유닛(111)의 에어로졸원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에 향끽미(香喫味) 성분을 부여한다. 향미원(132)에 의해 에어로졸에 부여되는 향미는, 향미 흡인기(100)의 흡구로 운반된다.
향미원(132)은, 상온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에서 상온이란, JIS Z 8703에 있는 것처럼, 5℃∼35℃의 온도범위를 가리킨다. 또한, 향미원(132)은 식물재료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하는 식물재료의 원료편에 의해 구성된다. 원료편의 사이즈는, 0.2㎜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료편의 사이즈는, 0.2㎜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부터 향끽미 성분이 방출되기 쉽다. 따라서, 소망량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함에 있어서, 원료편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나 담배원료와 같은 담배재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향미원(132)은, 담배재료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한 성형체여도 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132)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망목(133A)은, 향미원(132)에 대해 비흡구측에서 통체(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필터(133B)는, 향미원(132)에 대해 흡구측에서 통체(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망목(133A)은,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거칠기)를 가진다. 망목(133A)의 조밀도는, 예를 들면, 0.077㎜ 이상 0.198㎜ 이하의 눈 크기를 가진다. 필터(133B)는, 통기성을 가진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3B)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3B)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진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닛(130)은, 후술하는 저항기(300)를 가진다.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과 달라도 되고, 특히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보다 작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저항기(300)는, 향미원(132)의 가열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300)는, 향미원(132)을 보유하는 유지부(134)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31)에 접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 대신에, 통체(131)로부터 물리적으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저항기(300)는, 단열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저항기(300)가 만약 발열한다고 해도, 저항기(300)에서 발생된 열을 향미원(132)에 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통체(131)는, 예를 들면 비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들 수 있다.
통체(131)의 열전도율은, 바람직하게는 1W/(m·K)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W/(m·K) 이하이다. 이에 의해, 저항기(300)가 만일 발열한다고 해도, 저항기(300)에서 발생된 열을 향미원(132)에 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저항기(300)는, 통체(131)와 별체(別體)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저항기(300)가, 향미원을 수용하는 통체(1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통체(131) 자체가, 소정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기(300)으로서 기능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 흡인기의 전기적 구성)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향미 흡인기(100)에 구비된 전기회로의 개요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지유닛(112)은, 발생유닛(11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단자(200a, 200b)를 가진다. 발생유닛(111)은, 전지유닛(11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단자(201a, 201b)를 가진다. 전기단자(201a)는, 전지(40)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을 가진다. 전기단자(201b)는, 전지의 음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극을 가진다. 발생유닛(111)과 전지유닛(112)이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기단자(200a, 200b 및 201a, 201b)를 통해, 전지(40) 및 제어부(51)가 발생부(111A)의 저항발열체(111R)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지(40)는, 제어부(51)을 통해서 저항발열체(111R)에 전력을 공급한다.
발생유닛(111)은, 제2 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단자(202a, 202b)를 가진다. 제2 유닛(130)은, 발생유닛(11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단자(203a, 203b)를 가진다.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이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기단자(201a, 201b)와 전기단자(202a, 202b)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향미 흡인기(100)는,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A)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30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00)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302)를 가지며, 전기경로(302)의 일부는 제2 유닛(130)에 설치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전기경로(302)에서 발생부(111A)보다 제2 유닛(130)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302) 중에,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단자(202a, 202b, 203a, 20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항기(300)는, 제2 유닛(130)에 설치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발생부(111A)와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발생부(111A)에 인가되는 전압값(VIN-VOUT)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향미 흡인기(100)는, 발생부(111A) 및 저항기(300)와 직렬로 전기접속되며, 기지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기지 저항기(31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지 저항기(310)는, 전지유닛(1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 저항기(310)에는, 발생부(111A)의 출력전압 VOUT과 그라운드 전극과의 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유닛의 접속 검지)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의 차에 근거하여,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전지유닛(112)의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전지유닛(112)의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 R2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차에 근거하여,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51)는, 이하와 같은 수순으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우선,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어부(51)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한다. 전기저항값 R1은, 제어부(51)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놓는다. 제어부(5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전기저항값은,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상기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전기저항값의 측정 정밀도를 고려하여,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충분히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은,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한 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20)가 흡인 동작을 검지한 때에, 제어부(51)가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대신에, 유저가 발생부(111A)를 구동하는 스위치, 예를 들면 누름 버튼을 누른 때에,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의 통전을 허용하지 않는 슬립 모드(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발생부(111A)를 제어 가능한 레디 모드로 전환된 때에,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슬립 모드로부터 레디 모드로의 전환은, 예를 들면, 슬립 모드 중에 누름 버튼이 소정 시간 이상 눌러진 때, 또는 슬립 모드 중에 유저에 의해 특정 패턴의 흡입 동작(예를 들면, 2초 정도의 단시간에서의 흡입 동작을 소정 시간 내에서 3회 행하는 등)이 행해진 때에 실행된다.
또한, 향미 흡인기가 유저 인증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51)는, 유저 인증을 위한 동작이 행해진 타이밍에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유저 인증은, 예를 들면, 센서(20)에 의해서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의 특징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만, 유저 인증 방법은,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발생부(111A)로의 입력전압 VIN과, 발생부(111A)의 출력전압 VOUT(=기지 저항기(310)의 입력전압)을 측정한다.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 R은, 전압값 VIN, VOUT과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R=((VIN-VOUT)/VOUT)×R3.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 식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이 산출된다. 또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 식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합성 저항값 Rc가 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1)는,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을 이용하여 합성 저항값 Rc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기지 저항기(310)의 배치는 일례이다. 기지 저항기(310)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 Rc를 측정 가능하면, 전기회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은, 10mΩ∼100mΩ의 범위여도 된다.
제2 유닛(130)이 접속되었는지 어떤지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에 대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 R2의 비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향미 흡인기(100)의 사용시의 전력 소비를 저감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 R2는 될 수 있는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에 대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 R2의 비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어부(51)는,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의 접속을 검지한 후에, 발생부(111A)로 공급하는 전력량의 제어, 또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통지수단의 통지 제어를 행해도 된다. 통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 음성출력 디바이스, Haptics 등의 감각 피드백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통지수단으로서 감각 피드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발진소자 등을 구비하여, 진동을 유저에게 전달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해도 된다.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소정의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에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규의 제2 유닛(130)과는 달리, 저항기(300)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비정규의 부품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A)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정규품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소정의 제2 역치(상술한 제1 역치보다 큰 값) 이상인 경우에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전기단자(202a)와 전기단자(202b) 사이에서 단락(短絡)이 생긴 때에,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상기한 소정의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와, 상기한 소정의 제2 역치 이상인 경우에,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정규품의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과는 전혀 다른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기를 구비한 비정규품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경우에,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금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300)는 일정한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것이다. 이 대신에, 저항기(300)는, 가변 저항기여도 된다. 가변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은, 소정 방향 A에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삽입된 깊이(삽입 길이)에 대응하여,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불연속적으로 전기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기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저항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유닛(130)의 삽입 길이에 대응하여, 발생부(1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기의 수가 변화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유닛(130)의 삽입 길이에 따라 전기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합성 저항값 Rc가, 제2 유닛(130)의 삽입 길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를 검출함으로써, 제2 유닛(130)의 삽입 길이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를 제어해도 된다.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의 크기는, 저항발열체(111R)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값 V1 및 저항발열체(111R)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 T1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저항발열체(111R)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저항발열체(111R)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값의 변경에 의해,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변경된다. 한편, 저항발열체(111R)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펄스 제어)에 있어서는, 저항발열체(111R)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값 또는 듀티비(즉, 펄스 폭 및 펄스 간격)의 변경에 의해,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변경된다.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에 의해, 발생부(111A)로부터 발생되는 흡인성분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가 제1 역치 E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량을 제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가 제2 역치 EMIN을 초과하도록, 전력량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량(인가 시간)이 EMAX(TMAX)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51)는 저항발열체(111R)로의 전력 공급을 종료한다.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저항발열체(111R)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51)는,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가 일정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1)는, D=VC 2/V12의 식에 따라, 보정항 D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E=D×V12/R1×T의 식에 따라, 저항발열체(111R)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보정한다. Vc는, 전지의 기준전압값이며, 전지의 종류 등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값이다. Vc는, 적어도 전지의 종지(終止)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다.
또한, 저항발열체(111R)에 인가되는 전압의 보정은,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를 이용해서 실현된다. DC/DC 컨버터는, 강압(降壓) 컨버터여도 되고, 승압(昇壓) 컨버터여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는,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A)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30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00)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302)를 가지며, 전기경로(302)의 일부는 제2 유닛(130)에 설치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전기경로(302)에서 발생부(111A)보다 제2 유닛(130)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300)는, 제1 유닛(11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닛(130)의 한 쌍의 전기단자(203a, 203b)는,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전기단자(203a, 203b)는, 도선이나 금속판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전기단자(203a, 203b) 사이에는, 저항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 유닛(130)은,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제1 유닛(110)의 한 쌍의 전기단자(202a, 202b)끼리를 도통시킨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서는,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한 쌍의 전기단자(202a, 203b) 사이가 도통되어, 저항기(300)를 포함하는 전기회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전지유닛(112)의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합성 저항값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할 수 있다.
향미 흡인기는, 제1 유닛(110)에 제2 유닛(130)이 설치된 때에만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제1 유닛(110)만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유닛(110)의 전기단자(202a 또는 202b)에 저항기(300)가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유닛(110)에 제2 유닛(13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유닛(110)의 전기단자(202a, 202b)끼리가 의도하지 않게 단락되어 버린 때에, 저항기(300)는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향미 흡인기(100)는,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A)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30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00)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를 직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302)를 가지며, 전기경로(302)의 일부는 제2 유닛(130)에 설치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제2 유닛(130)에 설치되어 있다. 저항기(300)는, 발생부(111A)와 직렬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발생부(111A)를 통과하는 전류값은, 저항기(300)를 통과하는 전류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향미 흡인기(100)는, 발생부(111A) 및 저항기(300)와 직렬로 전기접속되며, 기지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기지 저항기(31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지 저항기(310)는, 전지유닛(1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 저항기(310)에는, 발생부(111A)의 출력전압 VOUT과 그라운드 전극과의 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는, 검출대상이 아닌 제3 유닛(150)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유닛(150)은, 제2 유닛(130) 대신에 이용된다. 제3 유닛(150)은,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1 유닛(110)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유닛(150)은, 제1 유닛(110)의 전기단자(202a, 202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단자(204a, 204b)를 가진다.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 제1 유닛(110)측의 전기경로는, 한 쌍의 전기단자(202a, 202b)로 개방되어 있다. 제3 유닛(150)은, 한 쌍의 전기단자(204a, 204b) 사이에 저항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대신에, 제3 유닛(150)은, 제2 유닛(130)의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으로 한 쌍의 전기단자(202a, 202b)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3 유닛(150)은, 향미원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3 유닛(150)은, 단순히 제1 유닛(110)에 설치되는 뚜껑체여도 된다. 제3 유닛(150)이 흡구단측에 설치되는 경우, 제3 유닛(150)은, 마우스피스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향미 흡인기(100)는, 제2 유닛(130) 없이 사용 가능해진다.
(제2 유닛의 접속 검지)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에 근거하여,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전지유닛(112)의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차에 근거하여,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51)는, 이하와 같은 수순으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우선, 제3 유닛(15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제어부(51)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한다. 전기저항값 R1은, 제어부(51)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놓는다. 제어부(5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전기저항값은, 제3 유닛이 분리되고, 또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상기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큰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전기저항값의 측정 정밀도를 고려하여,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충분히 큰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은,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한 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20)가 흡인 동작을 검지한 때에, 제어부(51)가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발생부(111A)를 구동하는 스위치를 누른 때, 슬립 모드로부터 레디 모드로 전환된 때, 유저 인증을 위한 동작이 행해진 때,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은, 10mΩ∼100mΩ의 범위여도 된다.
제2 유닛(130)이 접속되었는지 어떤지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차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에 대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향미 흡인기(100)의 사용시의 전력 소비를 저감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은 될 수 있는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에 대한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4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유닛(110), 구체적으로는 발생유닛(111)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 또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정보원(330)을 가진다. 정보원(330)은, 예를 들면,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모리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생유닛(111)은, 전지(40)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단자(201c)를 더 가진다. 전기단자(201c)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지유닛의 전기단자(200c)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모리는, 발생유닛(111)의 전기단자(201b, 201c)와 전지유닛(112)의 전기단자(200b, 200c)를 통해서, 전지(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유닛의 접속 검지)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에 근거하여, 제1 유닛(110)과 제2 유닛(130)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51)는, 이하와 같은 수순으로,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전기저항값은,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된 때에, 상기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정보원(330)에 기록되어 있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정보원(330)으로부터 취득한 전기저항값 R1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전기저항값의 측정 정밀도를 고려하여,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충분히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정보원(330)으로부터 취득하면 되므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할 필요가 없다.
도 7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4 실시형태에서도,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과 저항기(300)의 전기저항값의 합성 저항값 Rc를 측정하기 위해,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을 이용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원(330)은, 제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모리이며, 메모리는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기억하고 있다. 이 대신에, 메모리는, 전기저항값 R1의 정보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51)는, 통신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외부 액세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액세스부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과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어도 되고, 통신 단말과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어도 된다. 외부 액세스부는, 메모리(111M)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아울러, 판독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이 전기저항값 R1을 이용하여, 제2 유닛(130)의 접속 검지를 실행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원(330)은, 제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모리이다. 이 대신에, 정보원(330)은, 제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발생유닛(111)에 설치된 매체여도 된다. 이 매체는, 예를 들면, 식별정보가 표시된 종이 매체, 예를 들면 발생유닛(111)의 외측면에 첩부(貼付)되는 라벨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51)는, 통신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외부 액세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장치는, 식별정보의 입력 또는 식별정보의 판독에 의해, 종이 매체로부터 식별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외부 액세스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식별정보와 대응된 정보, 즉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R1을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이 전기저항값 R1을 이용하여, 제2 유닛(130)의 접속 검지를 실행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5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향미 흡인기(100)는, 기지 저항기(310)의 양단(兩端)의 전위 차를 증폭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등의 증폭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향미 흡인기(100)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지 저항기(310)를 가진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전류패스(321)와,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전류패스(323)와, 제1 전류패스(321)와 제2 전류패스(3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을 가진다. 전환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지 저항기(310)가, 제2 전류패스(323)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환수단은, 구체적 일례로서, 제1 스위치(320)와, 제1 스위치(320)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스위치(322)를 가진다. 제2 스위치(322)는, 기지 저항기(310)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치(320) 및 제2 스위치(322)는, 예를 들면 개폐형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제1 스위치(320) 및 제2 스위치(322)의 전환은, 제어부(51)에 의해서 행해진다.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경우,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322)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제2 전류패스(323)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기지 저항기(310)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흡인성분원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발생부(111A)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를 폐쇄하고, 제2 스위치(322)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제1 전류패스(321)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발생부(111A)에 전력을 공급할 때에 기지 저항기(310)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 즉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도 9는, 유저에 의한 흡인성분의 흡인에 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어부(51)는, 센서(20)가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한 직후, 또는 흡인 개시용의 누름 버튼이 압하(押下)된 직후에, 제1 스위치(320)가 개방되고, 제2 스위치(322)가 폐쇄된 상태로 한다(스텝 S902, S904).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가 개방되고, 제2 스위치(3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합성 저항값)을 산출한다(스텝 S906). 산출된 전기저항값이, 소정의 범위 내, 즉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과 유사한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51)는, 제2 유닛(130)이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판별한다(스텝 S908). 산출된 전기저항값이, 소정의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51)는, 제2 유닛(130)이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고,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910). 이때, 제1 스위치(320)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유저로의 통지는, 예를 들면 상술한 통지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2 유닛(130)이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판별된 후에, 제어부(51)는, 스텝 S906에서 산출된 전기저항값에 근거하여, 발생부(111A)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고(스텝 S912), 제1 스위치(320)가 폐쇄되고, 제2 스위치(322)가 개방된 상태로 한다(스텝 S914). 이에 의해,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며, 발생부(111A)로부터 흡인성분원을 발생시킨다.
발생부(111A)로 전력의 공급을 개시한 후에, 전력 공급을 종료할지 어쩔지를 판단한다(스텝 S916). 전력 공급의 종료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의 종료가 검지되었는지 여부, 유저에 의한 누름 버튼의 압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 전력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 또는 소정의 전력량이 발생부(111A)로 공급되었는지 여부 등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51)가 전력 공급을 종료한다고 판단하면, 제1 스위치(320) 및 제2 스위치(322)를 개방하여, 전력의 공급을 종료한다(스텝 S930).
제어부(51)가 전력 공급을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이 계속된다. 제어부(51)는,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 중에, 정기적으로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합성 저항값)을 산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322)를 폐쇄한 상태로 하여(스텝 S924),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합성 저항값)을 산출한다(스텝 S926). 산출된 전기저항값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를 폐쇄하고, 제2 스위치(322)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스텝 S914), 발생부(111A)로의 전력 공급을 계속한다. 또한, 산출된 전기저항값이 소정의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51)는, 제1 스위치(3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910).
제어부(51)가, 전기단자(200a) 및 전기단자(2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 즉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은, 도 9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발생부(111A)의 통전을 허용하지 않는 슬립 모드(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발생부(111A)를 제어 가능한 레디 모드로 전환된 때에,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향미 흡인기가 유저 인증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51)는, 유저 인증을 위한 동작이 행해진 타이밍에서, 발생부(111A)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A)와 저항기(30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은, 가능한 한, 서로 조합, 및/또는 치환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어부(51)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본원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기억시켜도 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는, 비일과성의 기록매체여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닛(130)은, 향미원(132)을 가지는 유닛이다. 이 대신에, 제2 유닛(130)은, 상술한 발생부(111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발생부를 구비한 유닛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로졸원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130)은, 흡구를 포함하는 흡구유닛이어도 된다. 이 흡구유닛은, 향미원(132)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향미원(132)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300)는, 향미원의 가열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 대신에, 저항기(300)는 향미원을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저항발열체여도 된다. 이 경우, 저항발열체는, 통체(131)의 둘레에 감겨 있어도 된다. 또한, 통체(131)는, 열전도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기(300)가 향미원을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저항발열체인 경우, 통체(131) 자체가, 소정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기(300)로서 기능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저항기(300)가 향미원을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발열저항체인 경우, 이러한 발열저항체는, 실질적으로 향미원으로부터의 에어로졸 발생에 기여하지 않는 발열저항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성분의 비등점과 향미원의 열분해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발열저항체에 의해 가열되는 향미원의 가열 온도는,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흡인기는, 예를 들면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발광소자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향미 흡인기는, 제2 유닛(130)이 제1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발광소자의 발광 태양에 의해 통지할 수 있다.
향미 흡인기는, 누름 버튼 또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20)에 근거하여, 발생부(111A)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27)
-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와, 상기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導通)되는 저항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의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발생부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향미원을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상기 향미원은 상온에서 고체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은 다가(多價) 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향미원은 식물재료를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한 후에, 상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의 제어, 또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구비된 통지수단의 통지 제어를 행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과 다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경로의 일부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전기경로에서 상기 발생부보다 상기 제2 유닛측에 설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에 대한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5∼100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를 직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경로의 일부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2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에 대한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의 비는, 0.01∼0.25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검출대상이 아닌 제3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유닛측의 상기 전기경로는, 한 쌍의 전기단자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저항기의 전기저항값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으로 상기 한 쌍의 전기단자를 서로 도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저항발열체를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 및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전기접속되며, 기지(旣知)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기지 저항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 저항기의 전기저항값을 이용해서 상기 합성 저항값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향미원을 유지하는 유지부로부터 구획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 내지 4,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향미원으로부터의 에어로졸 발생에 기여하지 않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 내지 4, 15,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향미원의 가열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정보원을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발생부로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적어도 상기 발생부를 포함하는 발생유닛과, 적어도 상기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전지의 음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발생부 및 상기 저항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발생유닛은, 상기 전지의 양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전극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흡구를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상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전류패스와,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발생부와 상기 저항기와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전류패스와, 상기 제1 전류패스와 상기 제2 전류패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을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발생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착탈 가능한 제2 유닛을 포함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檢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된 때에 상기 발생부와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저항기와 상기 발생부의 합성 저항값과, 상기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접속을 검지하는 스텝을 가지는 방법. - 청구항 25에 기재된 방법을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 청구항 25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PCT/JP2016/054488 | 2016-02-16 | ||
PCT/JP2016/054488 WO2017141359A1 (ja) | 2016-02-16 | 2016-02-16 | 非燃焼型香味吸引器 |
PCT/JP2017/005563 WO2017141979A1 (ja) | 2016-02-16 | 2017-02-15 | 非燃焼型香味吸引器、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883A true KR20180111883A (ko) | 2018-10-11 |
KR102168414B1 KR102168414B1 (ko) | 2020-10-21 |
Family
ID=5962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916A KR102168414B1 (ko) | 2016-02-16 | 2017-02-15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966465B2 (ko) |
EP (1) | EP3406147B1 (ko) |
JP (1) | JP6666421B2 (ko) |
KR (1) | KR102168414B1 (ko) |
CN (1) | CN108778002B (ko) |
CA (1) | CA3013450C (ko) |
EA (1) | EA201891850A1 (ko) |
HK (1) | HK1258060A1 (ko) |
TW (1) | TWI661784B (ko) |
WO (2) | WO201714135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712A (ko) * | 2019-05-09 | 2020-11-1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32671A (zh) * | 2017-10-24 | 2020-07-17 |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 气溶胶生成装置以及使其动作的方法及程序 |
EP3701812B1 (en) | 2017-10-24 | 2022-08-31 | Japan Tobacco Inc.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same |
CA3089502C (en) | 2018-01-26 | 2022-11-29 | Japan Tobacco Inc. |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same |
RU2747002C1 (ru) | 2018-01-26 | 2021-04-23 |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 Аэрозо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аэрозо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хранящий программу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
EP3744193B1 (en) | 2018-01-26 | 2022-06-15 | Japan Tobacco Inc. | Aerosol generation device |
TWI744466B (zh) * | 2018-01-26 | 2021-11-01 |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 霧氣生成裝置及霧氣生成裝置的製造方法 |
JP6905144B2 (ja) * | 2018-03-23 | 2021-07-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
WO2020084756A1 (ja) * | 2018-10-26 | 2020-04-30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電子装置並びに電子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855434B2 (ja) * | 2018-12-10 | 2021-04-07 | 有限会社ヘルス・アンド・ヒーリング・オペレーション | 電子タバコシステム |
JP2022120205A (ja) * | 2019-04-24 | 2022-08-1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非燃焼式吸引器 |
WO2021000399A1 (zh) * | 2019-07-03 | 2021-01-07 |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 一种雾化装置 |
JP6813701B2 (ja) * | 2020-02-10 | 2021-01-1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 |
GB202002714D0 (en) * | 2020-02-26 | 2020-04-08 | Nicoventures Trading Ltd |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erosol |
JP6811346B1 (ja) | 2020-03-05 | 2021-01-1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
KR102432917B1 (ko) * | 2020-03-30 | 2022-08-16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히터를 활성화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작동 방법 |
JP6922062B1 (ja) * | 2020-11-20 | 2021-08-18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
JP6915142B1 (ja) * | 2020-11-20 | 2021-08-0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
JP6915143B1 (ja) * | 2020-11-20 | 2021-08-0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
JP7159410B2 (ja) * | 2020-11-20 | 2022-10-2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JP7019785B1 (ja) | 2020-11-20 | 2022-02-15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KR102545842B1 (ko) * | 2020-11-24 | 2023-06-2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545840B1 (ko) * | 2020-11-24 | 2023-06-2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WO2022190281A1 (ja) * | 2021-03-10 | 2022-09-15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吸引装置 |
JPWO2022239374A1 (ko) * | 2021-05-10 | 2022-11-17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21551A (ja) * | 2005-10-26 | 2007-05-17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及び作像カートリッジ |
US20140253144A1 (en) * | 2013-03-07 | 2014-09-11 | R.J. Reynolds Tobacco Company | Spent cartridg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
JP2015046385A (ja) | 2013-08-01 | 2015-03-12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
US20150075545A1 (en) * | 2013-09-13 | 2015-03-19 | Zhiyong Xiang | Battery pole, electronic cigarette using the battery pol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tomizer of the electronic cigarette |
WO2015046385A1 (ja) * | 2013-09-30 | 2015-04-02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カプセル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21749B2 (ja) | 1997-11-12 | 2005-11-30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およびそのユニッ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検出方法 |
JP4278126B2 (ja) * | 2001-02-28 | 2009-06-10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CN101606758B (zh) * | 2009-07-14 | 2011-04-13 | 方晓林 | 电子烟 |
EP2770859B1 (en) * | 2011-10-27 | 2018-12-05 | Philip Morris Products S.a.s. |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aerosol production |
US9833019B2 (en) * | 2014-02-13 | 2017-12-05 | Rai Strategic Holdings, Inc. | Method for assembling a cartridge for a smoking article |
CN104886780A (zh) * | 2015-05-14 | 2015-09-09 | 深圳思格雷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检测装置的电子烟及检测方法 |
PL3155907T3 (pl) * | 2015-10-15 | 2018-12-31 | Fontem Holdings 1 B.V. | Papieros elektroniczny z wielokomorowym zbiornikiem płynu |
-
2016
- 2016-02-16 WO PCT/JP2016/054488 patent/WO201714135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
- 2017-02-15 EA EA201891850A patent/EA201891850A1/ru unknown
- 2017-02-15 CA CA3013450A patent/CA3013450C/en active Active
- 2017-02-15 JP JP2018500164A patent/JP6666421B2/ja active Active
- 2017-02-15 KR KR1020187024916A patent/KR1021684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2-15 EP EP17753235.5A patent/EP3406147B1/en active Active
- 2017-02-15 CN CN201780010876.6A patent/CN108778002B/zh active Active
- 2017-02-15 WO PCT/JP2017/005563 patent/WO20171419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2-16 TW TW106105054A patent/TWI661784B/zh active
-
2018
- 2018-08-16 US US16/104,051 patent/US10966465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1-11 HK HK19100438.9A patent/HK1258060A1/zh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21551A (ja) * | 2005-10-26 | 2007-05-17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及び作像カートリッジ |
US20140253144A1 (en) * | 2013-03-07 | 2014-09-11 | R.J. Reynolds Tobacco Company | Spent cartridg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
JP2015046385A (ja) | 2013-08-01 | 2015-03-12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
US20150075545A1 (en) * | 2013-09-13 | 2015-03-19 | Zhiyong Xiang | Battery pole, electronic cigarette using the battery pol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tomizer of the electronic cigarette |
WO2015046385A1 (ja) * | 2013-09-30 | 2015-04-02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カプセルユニッ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712A (ko) * | 2019-05-09 | 2020-11-1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WO2020226432A3 (en) * | 2019-05-09 | 2020-12-17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US11957182B2 (en) | 2019-05-09 | 2024-04-16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352864A1 (en) | 2018-12-13 |
HK1258060A1 (zh) | 2019-11-01 |
EP3406147A1 (en) | 2018-11-28 |
EP3406147B1 (en) | 2024-05-22 |
KR102168414B1 (ko) | 2020-10-21 |
CN108778002A (zh) | 2018-11-09 |
EP3406147A4 (en) | 2019-09-11 |
CN108778002B (zh) | 2021-10-08 |
EA201891850A1 (ru) | 2019-01-31 |
JPWO2017141979A1 (ja) | 2018-09-13 |
CA3013450A1 (en) | 2017-08-24 |
CA3013450C (en) | 2020-12-15 |
TWI661784B (zh) | 2019-06-11 |
WO2017141979A1 (ja) | 2017-08-24 |
WO2017141359A1 (ja) | 2017-08-24 |
US10966465B2 (en) | 2021-04-06 |
JP6666421B2 (ja) | 2020-03-13 |
TW201735804A (zh) | 2017-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8414B1 (ko)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JP6738357B2 (ja) | 香味吸引器 | |
KR102022814B1 (ko)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 |
CN112533498A (zh) | 电源单元、香味生成装置、方法以及程序 | |
RU2747604C1 (ru) |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 |
JP2020054304A (ja)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746009B2 (ja) |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20141705A (ja)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21136941A (ja) |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 |
JP2020054338A (ja) | 電源ユニット | |
EA040434B1 (ru) |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негорящего типа, способ, программа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 |
KR20240005036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KR20240005885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KR20240005037A (ko)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