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885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885A
KR20240005885A KR1020237042135A KR20237042135A KR20240005885A KR 20240005885 A KR20240005885 A KR 20240005885A KR 1020237042135 A KR1020237042135 A KR 1020237042135A KR 20237042135 A KR20237042135 A KR 20237042135A KR 20240005885 A KR20240005885 A KR 2024000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system
pai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가열부가 보다 꺽이기 어려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基材)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전자 담배 및 네뷸라이저 등의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을 사용함으로써,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서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최근,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基材)를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으로서 사용하는 타입의 흡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에 삽입됨으로써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중국실용신안 제209807157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부는, 기재로의 삽입을 반복하여 실시하기에는,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부를 구비하는 흡인 장치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가열부가 꺾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열부를 보다 꺾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로 이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先端)측과 반대의 후단(後端)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재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對向)하는 양(兩) 주면(主面)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여도 된다.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부가 보다 꺾이기 어려워진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의 상면도이다.
[도 4]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도 5에 나타내는 가열부의 상면도이다.
[도 6]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기재를 기재 내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및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된 상태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1)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111)는, 와이어리스 전송 기술에 의해 송전측의 디바이스에 비접속인 상태로 충전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되고, 새로운 전원부(111)와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수치를 검출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센서부(112)는, 에어로졸의 생성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가열부(121)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에 근거하여, 수용부(14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일례로서, 통지부(113)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통지부(113)는, 전원부(111) 상태가 요(要)충전인 경우, 전원부(111)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흡인 장치(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에, 각각 상이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발광 패턴이란, 색, 및 점등/소등의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지부(113)는, 발광 장치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音) 출력장치, 및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통지부(113)는,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통지될 수 있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는, 제어부(116)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의 제어 내용 등의 흡인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에 관한 정보이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다른 일례는, 흡인 횟수, 흡인 시각, 또는 흡인 시간 누계 등의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부(115)는, 흡인 장치(100)와 다른 장치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통신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한다. 다른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OS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서버로부터 새로운 OS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6)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116)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전원부(111)로부터 다른 각 구성 요소로의 급전(給電), 전원부(111)의 충전, 센서부(112)에 의한 정보의 검출, 통지부(113)에 의한 정보의 통지, 기억부(114)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 및 통신부(115)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 요소로의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근거하는 처리 등,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밖의 처리도,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가지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開口)(142)를 가지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수용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底部)(143)를 저면(底面)으로 하는 통상체(筒狀體)이며, 기둥 모양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劃定)한다. 수용부(140)는, 통상체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내경(內徑)이 스틱형 기재(150)의 외경(外徑)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외주(外周)로부터 압박하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스틱형 기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유로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스틱형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吸口部)(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됨으로써 무화(霧化)되고,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 시트상, 또는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또는 허브 등)로부터 생성된, 비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가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고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혹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물 등의 액체여도 된다.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다.
흡구부(152)는, 흡인 시에 유저에게 물려지는 부재이다.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을 통과하여, 즉, 기재부(151)를 통과하여,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세는 후술하지만, 가열부(121)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용부(140)의 저부(143)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꽂히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열부(121)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부터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해진다. 그 후,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가열부(121)의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는, 협동하여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인식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가열부(12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121)의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발열부(1210)와, 제1의 금속판(1220)과, 제2의 금속판(1230)을 포함한다. 가열부(121)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을 통하여 통전되는 발열부(1210)의 발열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가열부(121)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上)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下)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貼合)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발열부(1210)는, 저항 가열에 의해 발열하는 긴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210)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사이에서 통전됨으로써 발열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여도 된다.
PTC 히터는, 소정의 온도(퀴리 온도라고 불린다)에 도달하면 급격하게 전기 저항값이 상승하고,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특성(PTC 특성)을 가지는 저항체를 사용한 히터이다. PTC 히터는, PTC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전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퀴리 온도 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TC 히터는, 대상을 퀴리 온도 미만에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PTC 특성을 가지는 티탄산바륨(BaTiO3)을 저항체로 하는 PTC 히터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1210)는, 티탄산바륨의 퀴리 온도를 350℃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50℃ 미만의 온도에서 스틱형 기재(150)를 가열할 수 있다.
발열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긴 형상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부(121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긴 형상의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과 수직인 단면(斷面)이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이에 의하면, 발열부(1210)는, 그 단면이 원형상이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 단면적이어도 단면 형상의 둘레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1210)는, 가열부(121)와, 가열부(121)가 삽입되는 스틱형 기재(150)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의 평판 형상의 두께는,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는,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선단측을 향하여 형성된 모서리의 형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정점(頂点)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하여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가열부(12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를 협지(挾持)하는 한 쌍의 전극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평판 형상의 발열부(1210)의 전후 방향의 대향하는 양 주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단락(短絡)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離隔)되어 설치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열부(1210)와 첩합됨으로써, 발열부(1210)로 통전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의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이른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열팽창율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인버(등록상표) 등의 열팽창율이 낮은 니켈(Ni) 함유 철합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가 발열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발열부(1210)와의 사이의 접착이 박리(剝離)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으로 발열부(1210)를 덮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을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더 늘린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정점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하여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서로 동일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즉, 하 방향측)의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端部)보다도 하 방향으로 더 연재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 방향으로 연재된 영역의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고정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시하지 않는 고정부는, 가열부(121)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 부재이다. 고정부는, 발열부(1210)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가열부(121)를 보지함으로써, 발열부(1210)가 발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고정부를 구성하는 재료를 보다 유연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가열부(121)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 또는 제2의 금속판(12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리브부(1240)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리브부(1240)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의 전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리브부(1240)는, 제1의 금속판(1220)이 늘려진 좌우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의 전부를 각각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리브부(1240)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은, 리브부(1240)를 접은 전후 방향(즉, 제1의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法線)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12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121)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는,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에 설치된 리브부(1240)에 의해, 가열부(121)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는, 다른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과 비교하여 강도가 낮은 전후 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제1 내지 제5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변형예)
도 4는,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가열부(121A)의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A)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가 설치되고, 제2의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늘려진 우변(右邊)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늘려진 좌변(左邊)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접은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121A)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121A)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는, 한 쌍의 전극판의 양쪽(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여도,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는, 제1의 금속판(1220)에만 리브부(1240)가 설치된 가열부(121)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A)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의 변형예)
도 6은,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B)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B)에서는, 리브부(1240)에 더하여, 발열부(1210)의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을 따라 선단 리브부(1243)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리브부(1243)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상 방향측(즉, 발열부(1210)의 선단측)의 각 변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선단 리브부(1243)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상 방향측의 2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금속판(1220)은, 오각형 형상의 하 방향의 변을 제외한 4변에 리브부(1240) 또는 선단 리브부(1243)가 형성되게 된다.
선단 리브부(1243)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은, 발열부(1210)의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형성된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을 선단 리브부(1243)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사이에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로의 삽입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의 변형예)
도 7은,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C)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 또는 제2의 금속판(12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리브부(1240A)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부(1240A)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리브부(1240A)는, 제1의 금속판(1220)의 늘려진 좌우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각각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즉, 리브부(1240A)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좌우 방향의 양변의 선단측(즉, 상 방향측)의 일부 영역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리브부(1240A)는,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영역의 제1의 금속판(1220)에 설치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는 영역의 가열부(121C)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C)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좌우 방향의 양변의 전역에 리브부(1240)가 설치된 가열부(121)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C)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4의 변형예)
도 8은,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121D)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가 설치되고, 제2의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늘여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폭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폭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1210)는, 제1 리브부(1241)와, 제2 리브부(1242)의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다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각주(角柱)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는,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능선을 이루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접은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121D)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121A)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D)는, 도 2에서 나타낸 가열부(121)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D)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5의 변형예)
제5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에서는,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선단측에(즉, 상 방향 측에), 돌출부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고,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상 방향측의 변 위에 돌출부가 설치된다.
돌출부는, 세라믹 또는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되고,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삼각형 또는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형상을 오각형 형상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부의 전후 방향의 두께는,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두께의 합계와 동일해도 되고, 발열부(1210)의 두께와 동일해도 된다.
또한, 돌출부는, 가열부(121)가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사이에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돌출부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로의 삽입에 대한 가열부(121)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통전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
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여 설치되는, 상기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재하여 설치되는, 상기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설치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하는 양 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상기 (1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121A, 121B, 121C, 121D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210 발열부
1220 제1의 금속판
1230 제2의 금속판
1240, 1240A 리브부
1241 제1 리브부
1242 제2 리브부
1243 선단 리브부

Claims (18)

  1.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基材)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對向)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
    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先端)측과 반대의 후단(後端)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발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전체에 연재하여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에는,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더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쌍방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하는 양(兩) 주면(主面)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37042135A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4411 WO2023275953A1 (ja) 2021-06-28 2021-06-28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885A true KR20240005885A (ko) 2024-01-12

Family

ID=8469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35A KR20240005885A (ko)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119A1 (ko)
EP (1) EP4321043A1 (ko)
JP (1) JPWO2023275953A1 (ko)
KR (1) KR20240005885A (ko)
CN (1) CN117396094A (ko)
WO (1) WO20232759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2426B2 (ja) * 2017-06-28 2022-08-0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形成基体を抵抗加熱するための電気加熱組立品、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方法
CN109123803B (zh) * 2018-09-21 2023-09-2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烘烤烟具及其发热件和发热件的制造方法
CN209807157U (zh) 2019-04-12 2019-12-2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Ptc发热体及低温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96094A (zh) 2024-01-12
JPWO2023275953A1 (ko) 2023-01-05
WO2023275953A1 (ja) 2023-01-05
EP4321043A1 (en) 2024-02-14
US20240041119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465B2 (en)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747698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制御ユニット、蒸気供給手段及び方法
TWI643565B (zh) 電源組合、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非燃燒型香味吸嚐系統
CN108883243A (zh) 电子蒸气供应系统
KR20140090138A (ko)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RU2710470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создания пара
US20220095678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11369149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KR20240005885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03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32759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6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0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6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65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N208228317U (zh) 卷烟、电子烟和电子烟组件
WO202327595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N118338795A (zh) 气溶胶生成系统
KR20240005039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7412683A (zh) 气溶胶生成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