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036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036A
KR20240005036A KR1020237042136A KR20237042136A KR20240005036A KR 20240005036 A KR20240005036 A KR 20240005036A KR 1020237042136 A KR1020237042136 A KR 1020237042136A KR 20237042136 A KR20237042136 A KR 20237042136A KR 20240005036 A KR20240005036 A KR 2024000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heating
pair
generating system
meta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F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Abstract

가열부로부터 흡인 장치에 대한 열의 영향을 보다 경감시킨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전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基材)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對向)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전자 담배 및 네뷸라이저 등의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을 사용함으로써,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서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최근,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基材)를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으로서 사용하는 타입의 흡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에 삽입됨으로써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중국실용신안 제209807157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부는, 가열부로부터 흡인 장치로의 열의 전파에 관하여 충분한 대책이 실시되지 않았었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열부에서는, 가열부로부터 시작된 열이 흡인 장치에 데미지를 주거나, 흡인 장치를 고온화시키거나 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열부로부터 흡인 장치로의 열의 영향을 보다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保持,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先端)측과 반대의 후단(後端)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열부의 단부(端部)보다도 더 상기 후단측의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해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삽입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삽입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평판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고정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하는 양(兩) 주면(主面)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어도 된다.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여도 된다.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부로부터 흡인 장치에 대한 열의 영향이 보다 경감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가 구비된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가 구비된 고정부의 상면도이다.
[도 5]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도 5에 나타내는 가열부의 상면도이다.
[도 7]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도 7에 나타내는 가열부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9]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기재를 기재 내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및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된 상태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1)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111)는, 와이어리스 전송 기술에 의해 송전측의 디바이스에 비접속인 상태로 충전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전원부(111)는, 흡인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되고, 새로운 전원부(111)와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수치를 검출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센서부(112)는, 에어로졸의 생성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가열부(121)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가열부(121)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12)는, 가열부(121)의 온도에 근거하여, 수용부(14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일례로서, 통지부(113)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통지부(113)는, 전원부(111) 상태가 요(要)충전인 경우, 전원부(111)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흡인 장치(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에, 각각 상이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발광 패턴이란, 색, 및 점등/소등의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지부(113)는, 발광 장치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音) 출력장치, 및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통지부(113)는,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통지될 수 있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는, 제어부(116)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의 제어 내용 등의 흡인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에 관한 정보이다. 기억부(114)에 기억되는 정보의 다른 일례는, 흡인 횟수, 흡인 시각, 또는 흡인 시간 누계 등의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부(115)는, 흡인 장치(100)와 다른 장치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통신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유저에 의한 흡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한다. 다른 일례로서, 통신부(115)는,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OS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서버로부터 새로운 OS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6)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116)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전원부(111)로부터 다른 각 구성 요소로의 급전(給電), 전원부(111)의 충전, 센서부(112)에 의한 정보의 검출, 통지부(113)에 의한 정보의 통지, 기억부(114)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 및 통신부(115)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 요소로의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근거하는 처리 등,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밖의 처리도, 제어부(116)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가지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開口)(142)를 가지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수용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底部)(143)를 저면(底面)으로 하는 통상체(筒狀體)이며, 기둥 모양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劃定)한다. 수용부(140)는, 통상체의 높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내경(內徑)이 스틱형 기재(150)의 외경(外徑)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외주(外周)로부터 압박하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스틱형 기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유로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스틱형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吸口部)(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됨으로써 무화(霧化)되고,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 시트상, 또는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또는 허브 등)로부터 생성된, 비담배 유래 재료를 포함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가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고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혹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물 등의 액체여도 된다.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다.
흡구부(152)는, 흡인 시에 유저에게 물려지는 부재이다.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을 통과하여, 즉, 기재부(151)를 통과하여,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세는 후술하지만, 가열부(121)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용부(140)의 저부(143)로부터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수용부(140)에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꽂히도록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열부(121)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부터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가능해진다. 그 후, 소정의 유저 입력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가열부(121)의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실시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급전된 가열부(121)에 의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는, 협동하여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인식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가열부(12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121)이 구비하는 가열부 본체(12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가열부(121)이 구비하는 고정부(1260)의 상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가열부 본체(1250)와, 고정부(1260)를 구비한다. 가열부 본체(1250)는, 고정부(1260)에서 보지되고, 고정부(1260)를 통하여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 등에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 본체(1250)는, 발열부(1210)와, 제1의 금속판(1220)과, 제2의 금속판(1230)을 포함한다. 가열부 본체(1250)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을 통하여 통전되는 발열부(1210)의 발열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를 내부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가열부 본체(1250)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上)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下)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貼合)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발열부(1210)는, 저항 가열에 의해 발열하는 긴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210)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사이에서 통전됨으로써 발열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여도 된다.
PTC 히터는, 소정의 온도(퀴리 온도라고 불린다)에 도달하면 급격하게 전기 저항값이 상승하고,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특성(PTC 특성)을 가지는 저항체를 사용한 히터이다. PTC 히터는, PTC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전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퀴리 온도 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TC 히터는, 대상을 퀴리 온도 미만에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PTC 특성을 가지는 티탄산바륨(BaTiO3)을 저항체로 하는 PTC 히터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1210)는, 티탄산바륨의 퀴리 온도를 350℃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50℃ 미만의 온도에서 스틱형 기재(150)를 가열할 수 있다.
발열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긴 형상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긴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부(1210)는, 긴 형상의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과 수직인 단면(斷面)이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이에 의하면, 발열부(1210)는, 단면이 원형상이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 단면적이어도 단면 형상의 둘레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1210)는, 가열부(121)와, 가열부(121)가 삽입되는 스틱형 기재(150)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의 평판 형상의 두께는,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폭의 1/4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는,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선단측을 향하여 형성된 모서리의 형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정점(頂点)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하여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는,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을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의 가열부(12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를 협지(挾持)하는 한 쌍의 전극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평판 형상의 발열부(1210)의 전후 방향의 대향하는 양 주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단락(短絡)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離隔)되어 설치된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열부(1210)와 첩합됨으로써, 발열부(1210)로 통전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의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이른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열팽창율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인버(등록상표) 등의 열팽창율이 낮은 니켈(Ni) 함유 철합금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가 발열했을 때의 열팽창에 의해, 발열부(1210)와의 사이의 접착이 박리(剝離)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으로 발열부(1210)를 덮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긴 형상을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더 늘린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정점이 존재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하여 늘려진 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서로 동일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즉, 하 방향측)의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端部)보다도 하 방향으로 더 연재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 방향으로 연재된 영역의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에는, 예를 들면, 고정부(1260)가 설치되어도 된다.
고정부(1260)는, 가열부 본체(1250)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1260)에는, 슬릿 형상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를 가지는 삽입부(1261)가 설치된다. 삽입부(1261)에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부(1260)는, 가열부 본체(1250)를 보지할 수 있다.
고정부(12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사출 성형 등으로 원하는 형상을 저렴하게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 부재의 구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고정부(12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PEEK(Poly Ether Ether Ketone)로 구성되어도 된다. PEEK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매우 높은 내열성을 가짐과 함께, 치수 안정성이 높은 수지이다. 따라서, 고정부(1260)가 PEEK로 구성되는 경우, 고정부(1260)는, 발열부(1210)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한 영향을 보다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고정부(1260)는,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고정부(1260)에는, 2개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를 가지는 삽입부(1261)가 설치되어도 된다. 2개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의 각각에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각각이 삽입된다. 또는, 고정부(1260)에는, 하나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를 가지는 삽입부(1261)가 설치되어도 된다. 하나의 오목 구조 또는 관통 구멍 구조에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함께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가열부(121)에서는, 고정부(1260)는, 발열부(1210)가 아니라,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을 보지함으로써, 가열부 본체(1250)를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1260)는, 발열부(1210)로부터 발생된 열이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전파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즉, 하 방향측)의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 방향으로 더 연재하여 설치되는 경우, 고정부(1260)는, 발열부(1210)의 후단측의 단부보다도 하 방향으로 연재된 영역에서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을 보지해도 된다. 고정부(1260)는, 발열부(1210)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가열부 본체(1250)를 보지함으로써, 발열부(1210)가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하면, 고정부(1260)는, 내열성뿐만 아니라, 가공성, 및 코스트를 고려하여 구성 재료를 보다 유연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고정부(1260)는, 금속 등보다도 융점 또는 유리 전위점이 낮은 수지를 구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을 고정부(1260)에서 보지함으로써,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고정부(1260)에는, 발열부(12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전파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발열부(12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흡인 장치(100)의 하우징에 전파될 가능성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를 구비하는 흡인 장치(100)는, 가열부(121)로부터 흡인 장치(100)로의 열의 영향을 보다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변형예>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의 제1 내지 제4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변형예)
도 5는,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가열부 본체(1250A)의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A)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A)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 또는 제2의 금속판(12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리브부(1240)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부(1240)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리브부(1240)는, 제1의 금속판(1220)이 늘려진 좌우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를 각각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리브부(1240)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은, 리브부(1240)를 접은 전후 방향(제1의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法線)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A)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 본체(1250A)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A)에 의하면, 가열부(121)는, 다른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과 비교하여 강도가 낮은 전후 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2의 변형예)
도 7은,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가열부 본체(1250B)의 상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B)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B)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가 설치되고, 제2의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늘려진 우변(右邊)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늘려진 좌변(左邊)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접은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B)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121)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는, 한 쌍의 전극판의 양쪽(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여도, 제2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B)는,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A)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의 변형예)
도 9는,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C)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제3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C)에서는, 리브부(1240)에 더하여, 발열부(1210)의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을 따라 선단 리브부(1243)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리브부(1243)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상 방향측(즉, 발열부(1210)의 선단측)의 각 변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이 상하 방향으로 늘려진 오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선단 리브부(1243)는, 제1의 금속판(1220)의 상 방향측의 2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금속판(1220)은, 오각형 형상의 하 방향의 변을 제외한 4변에 리브부(1240) 또는 선단 리브부(1243)가 형성되게 된다.
선단 리브부(1243)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은, 발열부(1210)의 선단측(즉, 상 방향측)에 형성된 칼끝과 같이 뾰족한 형상을 선단 리브부(1243)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C)는, 가열부(121)가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발열부(1210),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사이에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발열부(12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 본체(1250C)는, 스틱형 기재(150)로의 삽입에 대한 가열부(121)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4의 변형예)
도 10은,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도,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 본체(1250D)가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1의 금속판(1220), 발열부(121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첩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D)에서는, 제1의 금속판(1220)에 제1 리브부(1241)가 설치되고, 제2의 금속판(1230)에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긴 형상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양쪽의 가장자리부를 발열부(1210)의 외형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이 상하 방향으로 늘여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리브부(1241)는, 제1의 금속판(1220)의 폭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리브부(1242)는, 제2의 금속판(1230)의 폭 방향의 양변의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1210)는, 제1 리브부(1241)와, 제2 리브부(1242)의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다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열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각주(角柱)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발열부(1210)는, 선단측을 향하여(즉, 상 방향을 향하여) 능선을 이루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가 설치됨으로써,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은, 제1 리브부(1241) 및 제2 리브부(1242)를 접은 전후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그 법선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부 본체(1250D)는, 제1의 금속판(1220), 및 제2의 금속판(1230)의 주면의 법선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부 본체(1250D)가 그 법선 방향으로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D)는, 제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 본체(1250A)와 동일하게, 스틱형 기재(150)에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부(121)가 접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통전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과 반대의 후단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여 설치되는, 상기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열부의 단부보다도 더 상기 후단측의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삽입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삽입부를 가지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고정부는, 평판 형상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고정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하는 양 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는,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상기 (17)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상기 (18) 또는 (1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210 발열부
1220 제1의 금속판
1230 제2의 금속판
1240 리브부
1241 제1 리브부
1242 제2 리브부
1243 선단 리브부
12250, 1250A, 1250B, 1250C, 1250D 가열부 본체
1260 고정부
1261 삽입부

Claims (20)

  1.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基材)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긴 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긴 형상을 따라 상기 발열부의 서로 대향(對向)하는 면(面)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保持)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으로 덮인 상기 발열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 형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길이는, 상기 발열부의 길이보다도 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先端)측과 반대의 후단(後端)측에서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열부의 단부(端部)보다도 더 상기 후단측의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을 보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이 삽입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삽입부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평판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단측의 상기 발열부의 형상은, 상기 선단측에 모서리를 이루어 돌출하는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선단측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부가 접힌 선단 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긴 형상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측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발열부를 따라 접은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평판 형상의 두께는, 상기 평판 형상의 폭의 1/4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상기 발열부의 상기 평판 형상의 대향하는 양(兩) 주면(主面)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와,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로 접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은, 니켈 함유 철합금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서 통전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PTC 히터는, 티탄산바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 온도는, 350℃ 미만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37042136A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4412 WO2023275954A1 (ja) 2021-06-28 2021-06-28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036A true KR20240005036A (ko) 2024-01-11

Family

ID=8469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36A KR20240005036A (ko) 2021-06-28 2021-06-28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120A1 (ko)
EP (1) EP4321044A1 (ko)
JP (1) JPWO2023275954A1 (ko)
KR (1) KR20240005036A (ko)
CN (1) CN117479853A (ko)
WO (1) WO20232759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080A (ja) * 2008-09-05 2010-03-18 Jss Co Ltd 面状発熱体
CN103974640B (zh) * 2011-12-30 2017-03-08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改进的温度分布的气雾产生装置
CN111869939A (zh) * 2017-01-18 2020-11-03 韩国烟草人参公社 充电系统
CN112839533A (zh) * 2018-09-19 2021-05-25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味生成装置、电源单元、控制香味生成装置的方法以及程序
CN209807157U (zh) 2019-04-12 2019-12-2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Ptc发热体及低温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1044A1 (en) 2024-02-14
WO2023275954A1 (ja) 2023-01-05
US20240041120A1 (en) 2024-02-08
JPWO2023275954A1 (ko) 2023-01-05
CN117479853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3565B (zh) 電源組合、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非燃燒型香味吸嚐系統
KR102168414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1109689A (zh) 用于气雾剂吸入器的电源单元及其控制方法和控制程序
RU2710470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создания пара
US11297878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11369149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KR2024000503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EP3995006A1 (en) Vaporization device
WO20232759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20240005885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3275956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655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65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0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5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20240005039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7412683A (zh) 气溶胶生成系统
CN117396092A (zh) 气溶胶生成系统
CN117460433A (zh) 气溶胶生成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