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662A -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 Google Patents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1662A KR20180111662A KR1020180036843A KR20180036843A KR20180111662A KR 20180111662 A KR20180111662 A KR 20180111662A KR 1020180036843 A KR1020180036843 A KR 1020180036843A KR 20180036843 A KR20180036843 A KR 20180036843A KR 20180111662 A KR20180111662 A KR 201801116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ethylene
- mass
- layer
- resin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0 ℃ ∼ 40 ℃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광산란성의 변화가 큰 필름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밀도가 860 ㎏/㎥ 이상 895 ㎏/㎥ 이하의 범위 내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굴절률이 1.500 이상 1.515 이하의 범위 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는 필름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경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광산란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필름이 알려져 있고, 이 필름을 농업용 피복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작물의 재배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사가 강한 여름에는 광산란성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과잉된 직사광에서 기인되는 작물의 엽소 (葉燒) 등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고, 일사가 약한 동계에는 광산란성이 낮아져, 작물에 충분한 직사광을 보낼 수 있거나 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1 에는, 실온에서의 투명성과 50 ℃ 정도의 고온에 있어서의 투명성의 차가 큰 농업용 폴리올레핀계 다층 필름으로서, 중간층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중간층에 가교 아크릴 입자를 함유하는 다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필름은, 50 ℃ 와 같은 고온에서의 광산란성은 높지만, 하계에 있어서도 여기까지 높은 온도가 되는 것은 드물다. 0 ℃ ∼ 40 ℃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광산란성의 변화는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 그 목적은, 0 ℃ ∼ 40 ℃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광산란성의 변화가 큰 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밀도가 860 ㎏/㎥ 이상 895 ㎏/㎥ 이하의 범위 내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굴절률이 1.500 이상 1.515 이하의 범위 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는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상기 농업용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농원예용 시설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0 ℃ ∼ 40 ℃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광산란성의 변화가 큰 필름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 중 적어도 1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860 ㎏/㎥ 이상 895 ㎏/㎥ 이하의 범위 내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굴절률이 1.500 이상 1.515 이하의 범위 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헵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는, 에틸렌과, 2 종 이상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강도가 우수한 필름의 제공에 기여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강도가 높은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것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품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엑셀렌 (등록상표) FX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등록상표)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ENGAGE (등록상표) (Dow Chemical 사 제조), AFFINITY (등록상표) (Dow Chemical 사 제조), EXACT (등록상표) (ExxonMobil 사 제조), 커넬 (등록상표)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는 단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40 ℃ 부근에 이르는 하계에 광산란성을 높이고, 0 ℃ 부근에 이르는 동계에 광산란성을 낮게 하는 관점에서, 860 ㎏/㎥ 이상 895 ㎏/㎥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하한이 860 ㎏/㎥ 이상이고, 864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이 895 ㎏/㎥ 이하이고, 8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8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JIS K6760-1981 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으로, 23 ℃ 에 있어서 측정된 밀도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 d 는, 하기 식 (1) 에 의해, 개산해도 된다.
d (㎏/㎥) = (d1·W1 + d2·W2 + … + dm·Wm)/(W1 + W2 + … Wm)
(1)
(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 의 m 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2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k 의 밀도 (단위 : ㎏/㎥) 를 dk, 수지 조성물 중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k 의 함유량 (단위 : ㎏) 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멜트플로 레이트 (MFR) 는, 바람직하게는 0.05 g/10 분 이상 20 g/10 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10 분 이상 15 g/10 분 이하이다. 그 MFR 은, JIS K 7210 : 1995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다.
[입자]
상기 입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부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입자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입자를 구성하는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입자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전체 단량체 단위에서 차지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8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99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 질량% 이다. 또, 상기 입자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 5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 질량% 이다 (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입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과, 스티렌과,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현탁 중합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입자는,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된 입자를 얻는 방법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스티렌 등의 단량체 성분을, 가교제와 함께 현탁 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2 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40 ℃ 부근에 이르는 하계에 광산란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또, 당해 체적 중위경은,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쿨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입자의 굴절률은 1.500 이상 1.515 이하이다. 여기서, 입자의 굴절률은 하한이 1.500 이상이고, 1.5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이 1.515 이하이고, 1.5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굴절률은 실온에서 입자 액침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상기 입자의 시판품의 예로서,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MSX 시리즈,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 시리즈 (이상,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트펄 (등록상표) G 시리즈, 아트펄 (등록상표) GS 시리즈 (이상, 네가미 공업 주식회사 제조), 간츠펄 (등록상표) GSM 시리즈 (이상, 아이카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0 ℃ 부근에 이르는 동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낮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상이다. 또, 40 ℃ 부근에 이르는 하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8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4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질량부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9 질량부 이하이다 (단, 공중합체와 입자의 합계량을 100 질량부로 한다).
또,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하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 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질량부 이상이다. 또, 동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낮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단, 공중합체와 입자의 합계량을 100 질량부로 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상기 입자 이외의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수지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 고밀도 폴리에틸렌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상기 입자 이외의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수지의 전체량 (100 질량% 로 한다) 에서 차지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비율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상기 입자와, 필요에 따라, 적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담제, 산화 방지제, 방무제, 및 활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천연 하이드로탈사이트나 상품명 : DHT-4A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마그클리어 (토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마그세라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스타비에이스 HT-P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물의 구체예로는, OPTIMA-SS (토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미즈카락 (미즈사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혹은,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광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73667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 티누빈 622, 키마소브 944, 키마소브 119 (이상 BASF 제조), 호스타빈 N30, VP Sanduvor PR-31 (이상 클라리언트사 제조), 사이아소브 UV3529, 사이아소브 UV3346 (이상 사이테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150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9821호, WO2005/08285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30428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 NOR371 (BASF 제조), 아데카스타브 LA-900 (주식회사 ADEKA 제조), 아데카스타브 LA-81 (주식회사 ADEKA 제조), 호스타빈 NOW (클라리언트 주식회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또, 광안정제로서, 에틸렌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와 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에틸렌-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65693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1 ∼ 1 질량% 가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벤조에이트류, 치환 옥사닐리드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트리아진류 등을 들 수 있다.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로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제3 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3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제3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류로는,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제3부틸페닐-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제3아밀페닐-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옥사닐리드류로는,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로는,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류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프로폭시-5-메틸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제3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0.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05 ∼ 1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방담제로는,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몬타네이트,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디올리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소르비탄계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디몬타네이트, 글리세린모노올리에이트, 디글리세린모노올리에이트, 디글리세린세스퀴올리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모노올리에이트, 헥사글리세린모노올리에이트, 헥사글리세린트리올리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트리올리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헥사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글리세린계 계면 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팔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알킬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소르비탄/글리세린 축합물과 유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 몰) 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 (4 몰) 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 (2 몰) 스테아릴아민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몰) 라우릴아민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6-디알킬페놀 유도체나 2-알킬페놀 유도체 등의 이른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이나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등의 3 가의 인 원자를 함유하는 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특히 색상 안정화의 관점에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과 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무제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 ω-하이드로플루오로알킬기 등을 갖는 불소 화합물 (특히 불소계 계면 활성제), 또 알킬실록산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특히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유니다인 DSN-403N, DS-403, DS-406, DS-401 (상품명), AGC 세이미 케미칼 주식회사 제조의 서플론 KC-40, AF-1000, AF-2000 (상품명)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는, 토레이 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SH-3746 (상품명) 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방무제의 함유량은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2 ∼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1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필름]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는 필름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필름화의 방법은, 예를 들어, 리본 블렌더, 밴버리 믹서 또는 슈퍼 믹서 등의 혼합기로 수지 조성물을 혼합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용융 압출 성형법 및 캘린더 성형법 등에 의해, 이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만을 갖는 필름이어도 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의 층을 갖는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이, 2 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2 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다층 필름의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 종 3 층, 3 종 3 층, 3 종 4 층, 4 종 4 층, 4 종 5 층, 5 종 5 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이 4 종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3 층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2 층 이상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이 3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인 경우에는, 각 층의 두께의 비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1/2/1 ∼ 1/4/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 고밀도 폴리에틸렌 ;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나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담제, 산화 방지제, 방무제, 활제, 항블로킹제, 대전 방지제, 안료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일방의 표층으로서 방담성 도막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방담성 도막층으로는, 무기 콜로이드로 이루어지는 방담층, 무기 콜로이드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성 도막층을 들 수 있다.
무기 콜로이드는, 소수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물 등의 액체 분산매 중에, 무기 콜로이드가 분산된 졸의 형태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졸, 알루미나 졸을 들 수 있고,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통상적으로 물이나 물과 알코올 등의 수성 용제의 혼합 용제에 그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수계 에멀션으로서 사용된다.
방담성 도막층은,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리카로서, 평균 입자경이 5 ∼ 100 ㎚ 의 구상인 것을 들 수 있다.
방담성 도막층에 함유되는 실리카 및 바인더 수지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할 때, 실리카의 함유량이 30 ∼ 70 질량% 이고,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30 ∼ 7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의 함유량이 50 ∼ 65 질량% 이고,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35 ∼ 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성 도막층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수계 에멀션, 실리카를 함유하는 수성 실리카 졸, 및 분산매인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도공액을 얻는다. 다음으로, 이 도공액을,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방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 수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브러시 코팅, 스프레이 코팅, 키스 코팅, 다이 코팅, 딥핑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열풍 건조를 들 수 있다.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팅막의 두께는, 0.3 ∼ 1.5 ㎛ 가 바람직하고, 0.5 ∼ 1.2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도공액에는,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해도 된다.
방담성 도막층은, 상기 필름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방의 표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방담층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막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의 두께는, 40 ℃ 부근에 이르는 하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 이상이다. 또, 0 ℃ 부근에 이르는 동계에 있어서 광산란성을 낮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 이하이다.
[농업용 필름 및 비닐 하우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농업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 재배용의 온실의 외장 (外張) 또는 내장 (內張) 필름, 및 터널의 피복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으로 피복된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는, 40 ℃ 부근에 이르는 하계에는 필름의 광산란성이 높기 때문에 과잉된 직사광에서 기인되는 작물의 엽소 등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고, 0 ℃ 부근에 이르는 동계에는 필름의 광산란성이 낮기 때문에 작물에 충분한 직사광을 보낼 수 있으므로, 일 년 내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농원예용 시설은, 시금치, 토마토, 파, 오이, 딸기 등의 재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계절에 따라 필름을 교환하는 노력, 및 계절에 따른 복수의 종류의 필름을 준비하는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일 년 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을 구비한 농원예용 시설로는, 예를 들어, 식물 재배용의 온실, 터널 등을 들 수 있다.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필름은, 예를 들어, 농원예용 시설 프레임에 전장 (展張)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 방법]
<헤이즈값>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온도 조절 헤이즈 미터 (THM-150 TL) 를 사용하여, 0 ℃ 및 40 ℃ 에 있어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온도 이외의 측정 조건은 JIS K 7136 : 2000 에 준거하였다. 또한, 헤이즈값의 차 (0 ℃ 와 40 ℃ 의 차) 는, 하기 식 (2) 로 산출한 값이다.
H = H1 - H2 … (2)
H : 헤이즈값의 차 (0 ℃ 와 40 ℃ 의 차)
H1 : 40 ℃ 에 있어서 측정한 헤이즈값 (%)
H2 : 0 ℃ 에 있어서 측정한 헤이즈값 (%)
[재료]
이하에, 사용한 재료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1) ∼ (7) 에 기재된 MFR 은, JIS K 7210 : 1995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 값에 상당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
(1)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이하, ER-1 이라고 한다)
밀도 885 ㎏/㎥
MFR (190 ℃, 21.18 N) 3.6 g/10 분
(타프머 (등록상표) A4085S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2)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이하, ER-2 라고 한다)
밀도 875 ㎏/㎥
MFR (190 ℃, 21.18 N) 3 g/10 분
(ENGAGE (등록상표) 8452 Dow Chemical 사 제조)
(3)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이하, ER-3 이라고 한다)
밀도 870 ㎏/㎥
MFR (190 ℃, 21.18 N) 3.6 g/10 분
(타프머 (등록상표) A4070S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4)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이하, ER-4 라고 한다)
밀도 864 ㎏/㎥
MFR (190 ℃, 21.18 N) 13 g/10 분
(ENGAGE (등록상표) 8137 Dow Chemical 사 제조)
(5)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이하, ER-5 라고 한다)
밀도 890 ㎏/㎥
MFR (190 ℃, 21.18 N) 3.2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FX307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6)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이하, ER-6 이라고 한다)
밀도 898 ㎏/㎥
MFR (190 ℃, 21.18 N) 2.0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FX201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7)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이하, ER-7 이라고 한다)
밀도 857 ㎏/㎥
MFR (190 ℃, 21.18 N) 1 g/10 분
(ENGAGE (등록상표) 8842 Dow Chemical 사 제조)
입자 :
(1) 가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이하, 입자-1 이라고 한다)
체적 중위경 = 5 ㎛
굴절률 (23 ℃) = 1.510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MSX-5Z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2) 가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이하, 입자-2 라고 한다)
체적 중위경 = 5.5 ㎛
굴절률 (23 ℃) = 1.515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1055QXE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3) 가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이하, 입자-3 이라고 한다)
체적 중위경 = 6 ㎛
굴절률 (23 ℃) = 1.520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106EXE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4) 가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이하, 입자-4 라고 한다)
체적 중위경 = 5 ㎛
굴절률 (23 ℃) = 1.505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105NXE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5) 가교 메타크릴산메틸 중합체 입자 (이하, 입자-5 라고 한다)
체적 중위경 = 5 ㎛
굴절률 (23 ℃) = 1.490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105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폴리올레핀계 수지 :
(1) 폴리에틸렌 수지 (이하, PE-1 이라고 한다)
밀도 912 ㎏/㎥
MFR (190 ℃, 21.18 N) 0.5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GMH GH03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2) 폴리에틸렌 수지 (이하, PE-2 라고 한다)
밀도 921 ㎏/㎥
MFR (190 ℃, 21.18 N) 0.4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GMH GH051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또한, PE-1 및 PE-2 에 대해서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경우와 같이, MFR 은, JIS K 7210 : 1995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 값에 상당한다.
[실시예 1]
ER-1 85 질량부와, 입자-1 15 질량부를 혼합하여, 라보 플라스트밀 (주식회사 토요 정기 제작소 제조) 에 제공하고, 온도 150 ℃, 회전수 60 rpm 의 조건으로 5 분간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당해 수지 조성물을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두께 100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상기 서술한 식 (2) 에 의해 산출한 헤이즈값의 차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ER-1 대신에 ER-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ER-1 대신에 ER-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ER-1 대신에 ER-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ER-1 대신에 ER-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ER-1 대신에 ER-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ER-1 대신에 ER-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입자-1 대신에 입자-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입자-1 대신에 입자-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입자-1 대신에 입자-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헤이즈값의 차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입자-1 대신에 입자-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수지 조성물 및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8 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수지 조성물의 층/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비한 필름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스터 배치의 제조>
입자-1 50 질량부와, ER-1 49.2 질량부와, 산화 방지제로서 Irganox 1010 (BASF 사 제조) 0.8 질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공급하여, 160 ℃ 에서 5 분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65 ㎜φ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압출하고, 펠릿화함으로써, 중간층으로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위한 마스터 배치를 얻었다. 이 마스터 배치를 MB-1 이라고 하였다.
<필름의 제조>
내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중간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외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100 ㎜φ 다이스 (립 간극 1.2 ㎜) 를 구비한 3 층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3 층의 튜브상 필름을 성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외층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외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실시예 8 의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중간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외층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내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각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100 ㎜φ 다이스로부터, 내층이 30 ㎛, 중간층이 90 ㎛, 외층이 30 ㎛ 가 되도록 토출량을 조정하여, 용융된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시켜 3 층의 튜브상 필름을 성형하고, 절개하여 3 층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때, 내층, 외층의 압출기는 160 ℃, 중간층의 압출기, 다이스는 150 ℃ 의 설정으로 하였다.
또한, 외층용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PE-1 및 PE-2 이고, 배합량은 PE-1 이 50 질량부이고, PE-2 가 50 질량부이다. 또, 실시예 8 의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ER-1 및 MB-1 이고, 배합량은 ER-1 이 70 질량부이고, MB-1 이 30 질량부이다. 또한, 내층용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외층용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와 동일하게 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0 ℃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표 4 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은, 식물 재배용의 온실이나 터널 등의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 피복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 밀도가 860 ㎏/㎥ 이상 895 ㎏/㎥ 이하의 범위 내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굴절률이 1.500 이상 1.515 이하의 범위 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는 필름. - 제 1 항에 기재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필름.
- 제 2 항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농원예용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70576 | 2017-03-31 | ||
JPJP-P-2017-070576 | 2017-03-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662A true KR20180111662A (ko) | 2018-10-11 |
Family
ID=6384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843A KR20180111662A (ko) | 2017-03-31 | 2018-03-29 |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062492B2 (ko) |
KR (1) | KR20180111662A (ko) |
CN (1) | CN10869025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81005B2 (en) | 2019-07-31 | 2023-10-10 | Lotte Chemical Corporatio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02567B1 (ja) * | 2018-10-05 | 2019-04-17 | 住友化学株式会社 |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JP6584706B1 (ja) * | 2019-03-29 | 2019-10-02 | 住友化学株式会社 |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KR20200115360A (ko) | 2019-03-29 | 2020-10-07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
JP7433995B2 (ja) * | 2020-03-12 | 2024-02-20 | 住友化学株式会社 | フィルム、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袋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40549B2 (ja) | 2013-04-01 | 2017-11-29 | 住友化学株式会社 |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
AR100392A1 (es) | 2014-04-15 | 2016-10-05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Película de respuesta táctil y ópticamente translúcida mejorada para empaque |
JP2017519864A (ja) | 2014-06-19 | 2017-07-20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温室フィルムの熱特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アクリルビーズ |
JP2017066326A (ja) | 2015-10-01 | 2017-04-06 | 三菱樹脂株式会社 | 感温性遮光シート及び農業用シート |
-
2018
- 2018-03-29 KR KR1020180036843A patent/KR20180111662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03-30 CN CN201810310729.7A patent/CN108690256A/zh active Pending
- 2018-03-30 JP JP2018069613A patent/JP7062492B2/ja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81005B2 (en) | 2019-07-31 | 2023-10-10 | Lotte Chemical Corporatio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690256A (zh) | 2018-10-23 |
JP7062492B2 (ja) | 2022-05-06 |
JP2018172680A (ja) | 2018-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11662A (ko) |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 |
JP6240549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 |
JP5063668B2 (ja) | 梨地状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 |
JP2018203950A (ja) | フィルム、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6230839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 |
JP4724598B2 (ja) | 農業用被覆材 | |
JP7432630B2 (ja) |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 |
JP2014018997A (ja) | 農業用多層フィルム | |
JP5756603B2 (ja) | 農業用フィルム | |
JP2003325060A (ja) |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 |
JP2012161282A (ja) | 農業用フィルム | |
NL2023910B1 (en) | Agricultural film and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acility | |
JP7115964B2 (ja) |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2020069659A (ja) |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 |
JP6491069B2 (ja) | 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WO2020203419A1 (ja) |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3893083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 | |
JP2007282625A (ja) | 農業用フィルム | |
JP2019137861A (ja) |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2020058336A (ja) |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2020176263A (ja) |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 |
JP4167522B2 (ja) |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フィルム | |
JP2013150565A (ja) |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 |
JP6833585B2 (ja) |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業用ハウス、農業用カーテン又は農業用トンネル | |
JP5117301B2 (ja) | 積層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