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60A -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 Google Patents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60A
KR20200115360A KR1020200037731A KR20200037731A KR20200115360A KR 20200115360 A KR20200115360 A KR 20200115360A KR 1020200037731 A KR1020200037731 A KR 1020200037731A KR 20200037731 A KR20200037731 A KR 20200037731A KR 20200115360 A KR20200115360 A KR 2020011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polymer
mass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산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670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4706B1/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산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reenho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온의 변화에 기초하는 조광 성능을 구비하면서, 고온에 있어서도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필름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인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이고, 상기 입자 (B) 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이다.

Description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FILM AND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ACILITY}
본 발명은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중간층에 아세트산비닐에 기초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15 ∼ 30 중량% 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평균 입경이 3 ∼ 15 ㎛ 인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한 농업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내층 및 외층이,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아세트산비닐 함유량이 1 ∼ 10 중량% 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중간층이, 아세트산비닐 함유량이 1 ∼ 20 중량% 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 를 함유하고, 적어도 중간층에 가교 아크릴 입자를 함유하는 다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는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099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127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72680호」
특허문헌 1 ∼ 3 에 기재되어 있는 농업용 필름의 전장 (展張) 작업은, 계절에 상관없이 실시되는 작업이고, 하계부터 추계에 걸친 늦더위가 심한 시기에 있어서도 실시된다. 늦더위가 심한 시기의 전장 작업에서는, 농원예용 시설의 뼈대로서 사용되는 파이프가 강한 햇살에 의해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와 같은 때에 필름을 전장하면, 필름과 고온이 된 파이프의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필름이 파이프의 열을 받아 찢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농업용 필름에는 기온의 변화에 기초하는 조광 성능 (즉, 하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이 높고, 동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이 낮아, 하계와 동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의 차가 크다는 성능) 을 구비하면서, 동계부터 춘계와 같은 저온에서 온화한 기온인 시기 뿐만 아니라, 하계부터 추계에 걸친 기온이 높은 시기에도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온의 변화에 기초하는 조광 성능을 구비하면서, 고온에 있어서도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필름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인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이고, 상기 입자 (B) 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의 필름이 농원예용 시설 프레임에 전장된 농원예용 시설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기온의 변화에 기초하는 조광 성능을 구비하면서, 고온에 있어서도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필름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농업용 필름>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인 입자 (B) (이하, 입자 (B)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이고, 상기 입자 (B) 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필름에 대해, 하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이 높고, 동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이 낮아, 하계와 동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의 차가 크다는 성능을 부여하면서, 또한 40 ℃ 라는 고온에 있어서, 높은 인장 파단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은,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을 구성하는 주된 층이고, 본 명세서 중, 단순히 「층」 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특히 설명이 없는 경우, 당해 「층」 이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나타낸다.
(헤이즈값)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이즈값은, 온도 이외의 측정 조건을 JIS K 7136 : 2000 에 준거하고,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온조 헤이즈미터 (THM-150TL) 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의 광 산란성은 헤이즈값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4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45 % 이상임으로써, 일사량이 많은 하계에 있어서, 필름에 조사되는 광을 바람직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과,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차는, 예를 들어, 3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이고,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쪽이 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사량이 적은 동계에 있어서, 필름에 조사되는 광이 산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에 있어서, 1 개의 층의 두께는,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있어서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0 ℃ 부근에 달하는 동계에 있어서 광 산란성을 낮게 하고, 또한 필름의 중량을 가볍게 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이다.
(인장 파단 강도)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40 ℃ 의 조건이라는 고온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가 높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농업용 필름의 인장 파단 강도는, 40 ℃ 의 분위기하, 인장 속도 500 ㎜/분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이 갖는 적어도 1 개의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주된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주된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및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개 이상의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만을 사용해도 되고,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만을 사용해도 되고, 이들을 병용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와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를 병용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가 차지하는 비율은 20 질량% 이상 10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가 차지하는 비율은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중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가 차지하는 비율은, 고온시의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또, 40 ℃ 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이다 (단,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한다).
또,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중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가 차지하는 비율은, 40 ℃ 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이고, 또, 고온시의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단,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와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α-올레핀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주된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는, 에틸렌 단량체와 α-올레핀 단량체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이다 (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α-올레핀 단량체는, 탄소수가 3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헵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이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로는, 에틸렌 단량체와, 2 종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는, 강도가 우수한 필름의 제공에 기여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는, 강도가 높은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량체와 α-올레핀 단량체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것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로서 사용 가능한 시판품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엑셀렌 (등록상표) FX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등록상표) A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등록상표) DF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ENGAGE (등록상표) (Dow Chemical 사 제조), AFFINITY (등록상표) (Dow Chemical 사 제조), EXACT (등록상표) (ExxonMobil 사 제조), 카넬 (등록상표)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로는 단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의 밀도는,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60 ㎏/㎥ 이상 9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65 ㎏/㎥ 이상 890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밀도는, JIS K7112 : 1999 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로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의 밀도 d 는, 하기 식 (1) 에 의해 개산해도 된다.
d (㎏/㎥) = (d1·W1 + d2·W2 + … + dm·Wm)/(W1 + W2 + … Wm) (1)
(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 …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 의 m 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2 이상의 정수 (整數)) 것으로 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k 의 밀도 (단위 : ㎏/㎥) 를 dk,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k 의 함유량 (단위 : ㎏) 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는, 바람직하게는 0.05 g/10 분 이상 20 g/10 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10 분 이상 15 g/10 분 이하이다. 그 MFR 은, JIS K 7210 : 1995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다.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는,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극성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란, 극성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이고, 극성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실레이트기, 옥시아실기나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구체예로서, 비닐에스테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로서 바람직한 것으로는,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중 어느 일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양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의 밀도는,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광 산란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930 ㎏/㎥ 이상 9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의 밀도는, JIS K7112 : 1999 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밀도가 930 ㎏/㎥ 미만이거나, 960 ㎏/㎥ 보다 크면, 40 ℃ 부근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 (헤이즈값) 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40 ℃ 부근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의 밀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94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45 ㎏/㎥ 이상이다. 또, 고온시의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958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5 ㎏/㎥ 이하이다.
2 종류 이상의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의 밀도 d' 는, 하기 식 (2) 에 의해 개산해도 된다.
d' (㎏/㎥) = (d'1·W1 + d'2·W2 + … + d'm·Wm)/(W1 + W2 + … Wm) (2)
(단,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1,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2, …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m 의 m 종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2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k 의 밀도 (단위 : ㎏/㎥) 를 d'k,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k 의 함유량 (단위 : ㎏) 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는, 필름상으로 가공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0.1 g/10 분 이상 10 g/10 분 이하이다. 그 MFR 은, JIS K7210 : 1999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는,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란,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주된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말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와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구성 재료가 되는 비닐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지방산의 비닐에스테르이고, 당해 지방산의 탄소수가 2 ∼ 4 인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2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비닐에스테르는, 아세트산비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피온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병용해도 된다.
또,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에틸렌, 비닐에스테르 이외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사용 가능한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에바테이트 (등록상표)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및 스미테이트 (등록상표)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등록상표) EVA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울트라센 (등록상표) (토소 주식회사 제조), 산텍 (등록상표) EVA (아사히 화성 주식회사 제조), 에바플렉스 (등록상표) (미츠이·듀퐁 폴리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28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이다.
또,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93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2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88 질량% 이하이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E 는, 하기 식 (3) 에 의해 산출된다.
E (질량%) = (E1·W1 + E2·W2 + … + Em·Wm)/(W1 + W2 + … Wm) (3)
(단,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1,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2, …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m 의 m 종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3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k 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질량%) 을 Ek,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k 의 함유량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동일하게 하여,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E' 는, 하기 식 (4) 에 의해 산출된다.
E' (질량%) = (E'1·W'1 + E'2·W'2 + … + E'm·W'm)/(W'1 + W'2 + … W'm) (4)
(단, 공중합체 1, 공중합체 2, … 공중합체 m 의 m 종의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3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공중합체 k 에 있어서의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질량%) 을 E'k, 수지 조성물 중의 공중합체 k 의 함유량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또한,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및 비닐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비누화법에 의해 정량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경우, JIS K 7192 : 1999 에 따라 정량할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에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란,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주된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 공중합체를 말하고, 이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라고도 칭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단량체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구성 재료가 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는,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3-부텐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총칭하여 (메트)아크릴산이라고 기재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구성 재료가 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로는,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염,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산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염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이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염으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에틸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부틸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 불포화 카르복실산페닐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릴에스테르 ; 불포화 카르복실산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트륨, 칼륨, 칼슘, 아연 등의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아이오노머 ;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특히,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는, 2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i)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뉴크렐 (등록상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미츠이·듀퐁 폴리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ii)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아이오노머
하이밀란 (등록상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를 아연 이온 또는 나트륨 이온으로 중화한 아이오노머, 미츠이·듀퐁 폴리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iii)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리프트 (등록상표)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렉스펄 (등록상표) EMA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렉스펄 (등록상표) EE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로트릴 (등록상표)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알케마사 제조), 엘바로이 (등록상표) AC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에틸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중 어느 것, 듀퐁사 제조)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병용해도 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필름의 강성과 40 ℃ 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 (헤이즈값) 의 균형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다 (단,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필름의 강성과 40 ℃ 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 (헤이즈값) 의 균형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이다 (단,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분석법에 의해 측정한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100 질량% 로부터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로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E" 는, 하기 식 (5) 에 의해 산출된다.
E" (질량%) = (E"1·W1 + E"2·W2 + … + E"m·Wm)/(W1 + W2 + … Wm) (5)
(단,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1,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2, …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m 의 m 종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m 은 2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k 에 있어서의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E"k,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공중합체 k 의 함유량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이다 (단,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가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다 (단,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2 종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 당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 d" 는, 하기 식 (6) 에 의해 개산해도 된다.
d"(㎏/㎥) = (d"1·W1 + d"2·W2 + … + d"m·Wm)/(W1 + W2 + … Wm) (6)
(단,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m 의 m 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병용하는 (m 은 2 이상의 정수) 것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k 의 밀도 (단위 : ㎏/㎥) 를 d"k,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k 의 함유량 (단위 : ㎏) 을 Wk 로 한다 (k 는 1 에서 m 까지의 정수).)
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는, 850 ㎏/㎥ 이상 905 ㎏/㎥ 이하이다.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를 사용함으로써, 필름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을 저해하지 않고, 특히 고온시에 있어서의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는, 가공시에 피시아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외관을 개량하는 관점, 및 고온시에 있어서의 광 산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89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90 ㎏/㎥ 이하이다. 또, 고온시에 있어서의 필름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86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65 ㎏/㎥ 이상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는, 바람직하게는 0.05 g/10 분 이상 20 g/10 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10 분 이상 15 g/10 분 이하이다. 그 MFR 은, JIS K 7210 : 1999 에 따라, 온도 230 ℃,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함유량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 ∼ 5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5 질량% 이다. 이에 대해,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의 함유량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 ∼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90 질량% 이다. 또,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합계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을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60 ∼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90 질량% 이다.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를,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고온시에 있어서의 파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로서 사용 가능한 시판품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스미토모 노브렌 (등록상표) 시리즈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등록상표) PP 시리즈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윈텍 (등록상표) 시리즈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등록상표) 시리즈 (프라임 폴리머 주식회사 제조), Vistamaxx (등록상표) 시리즈 (엑슨·모빌사 제조), Versify (등록상표) 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 엘모듀 (등록상표) 시리즈 (이데미츠 흥산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등록상표) XM 시리즈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이들 중, 밀도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된다.
[입자 (B)]
입자 (B) 에는, 유기계 입자, 및 무기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입자 (B) 의 굴절률은, 1.50 이상 1.53 이하이고, 1.50 보다 높고 1.53 보다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1 이상 1.5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1 이상 1.52 보다 낮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산상에 포함되는 성분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임으로써, 기온이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있어서는 필름의 광 산란성을 높이고, 0 ℃ 부근에 달하는 동계에 있어서는 광 산란성을 낮게 하여, 기온의 고저차에 의존하는 광 산란성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굴절률은 실온에서 입자 액침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고, 여기서, 굴절률의 값에 있어서의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는 사사오입된다.
(유기계 입자)
유기계 입자는 수지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수지 입자로는, 예를 들어, 가교 아크릴계 입자를 들 수 있다. 가교 아크릴계 입자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 (가교 MMA-St 공중합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부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이하, 스티렌 유래 단량체 단위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만을 포함하는 가교 공중합체 입자이어도 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와 스티렌 유래 단량체 단위와 이들 이외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가교 공중합체 입자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에 있어서, 전체 단량체 단위에서 차지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와 스티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합계 함유 비율은, 8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99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 질량% 이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스티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 5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 질량% 이다. (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 단량체 단위와 스티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입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과, 스티렌과,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현탁 중합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가교 아크릴계 입자를 얻는 방법으로는, 단량체 성분을, 가교제와 함께 현탁 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2 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광 산란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또, 당해 체적 중위경은,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유기계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쿨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유기계 입자의 시판품의 예로서,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MSX 시리즈,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SSX 시리즈 (이상,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트펄 (등록상표) G 시리즈, 아트펄 (등록상표) GS 시리즈 (이상, 네가미 공업 주식회사 제조), 간츠펄 (등록상표) GSM 시리즈 (이상, 아이카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입자)
무기계 입자로는, 예를 들어, 유리 입자, 카올린, 알루미노규산염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리 입자란, 이산화규소 (SiO2) 를 포함하는 입자이고, 산화붕소 (B2O3), 산화알루미늄 (Al2O3), 산화나트륨 (Na2O), 산화칼슘 (CaO), 및 산화아연 (ZnO)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리 입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무기 화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무기 화합물에 더하여 추가로,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란탄, 산화이트륨, 산화가돌리늄, 산화비스무트, 산화안티몬, 산화탄탈, 산화니오브, 산화텅스텐, 탄산마그네슘,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산질화알루미늄, 불화마그네슘, 불화칼슘, 불화나트륨, 불화리튬, 철 등의 관용의 무기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혼합할 수 있다.
무기계 입자 개개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예를 들어, 유리 비드 등) 의 무기계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광 산란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또, 당해 체적 중위경은,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무기계 입자의 체적 중위경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된다.
그 밖에, 무기계 입자는, 커플링제 등의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입자 (B) 는,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이고,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인 수지 입자 또는 유리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자 (B) 는,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이고,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인 가교 아크릴계 입자 또는 유리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입자 (B) 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을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5 질량% 이다.
(첨가제)
그 밖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적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담제, 산화 방지제, 방무제, 및 활제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천연 하이드로탈사이트나 상품명 : DHT-4A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마그크리아 (토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마그세라 (등록상표) 1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스타비에이스 (등록상표) HT-P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의 구체예로는, OPTIMA-SS (토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미즈카락 (등록상표) (미즈사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혹은,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광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73667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힌더드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 티누빈 (등록상표) 622, 키마소브 (등록상표) 944, 키마소브 (등록상표) 119 (이상 BASF 제조), 호스타빈 (등록상표) N30, 호스타빈 (등록상표) PR-31 (이상 클라리언트사 제조), 사이야소브 (등록상표) UV3529, 사이야소브 (등록상표) UV3346 (이상 사이텍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150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9821호, WO2005/08285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30428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힌더드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 NOR371 (BASF 제조), 아데카스타브 (등록상표) LA-900 (주식회사 ADEKA 제조), 아데카스타브 (등록상표) LA-81 (주식회사 ADEKA 제조), 호스타빈 (등록상표) NOW (클라리언트 주식회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또, 광 안정제로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에틸렌-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고리형 아미노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65693호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1 ∼ 1 질량% 가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벤조에이트류, 치환 옥사닐리드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트리아진류 등을 들 수 있다.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로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 제 3 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 제 3 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제 3 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제 3 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 제 3 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 3 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제 3 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류로는,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 제 3 부틸페닐-3',5'-디 제 3 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 제 3 아밀페닐-3',5'-디 제 3 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 제 3 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옥사닐리드류로는,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로는, 에틸-α-시아노-β, 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류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 제 3 부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프로폭시-5-메틸페닐)-4,6-비스(2,4-디 제 3 부틸페닐)-s-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3'-제 3 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 제 3 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으로 사용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05 ∼ 1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방담제로는,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몬타네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디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소르비탄계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디몬타네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린세스퀴올레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헥사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헥사글리세린트리올레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트리올레에이트, 테트라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헥사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글리세린계 계면 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팔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알킬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소르비탄/글리세린 축합물과 유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몰)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4 몰)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2 몰)스테아릴아민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 몰)라우릴아민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방담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6-디알킬페놀 유도체나 2-알킬페놀 유도체 등의 이른바 힌더드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이나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등의 3 가의 인 원자를 포함하는 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특히 색상 안정화의 관점에서, 힌더드페놀계 화합물과 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4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상기 방무제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 ω-하이드로플루오로알킬기 등을 갖는 불소 화합물 (특히 불소계 계면 활성제), 또 알킬실록산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특히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유니다인 (등록상표) DSN-403N, DS-403, DS-406, DS-401 (상품명), AGC 세이미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의 서프론 (등록상표) KC-40, AF-1000, AF-2000 (상품명)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는, 토레 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SH-3746 (상품명) 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방무제의 함유량은,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2 ∼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1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그 밖의 층]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만을 갖는 필름이어도 되고, 당해 층 이외의 층을 갖는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중간층이고, 당해 중간층이 2 개의 층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여기서, 2 개의 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층 구성에 의해,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이들 2 개의 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고,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입자 (B) 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판별할 수 있다.
상기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2 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의 다층 필름의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 종 3 층, 3 종 3 층, 3 종 4 층, 4 종 4 층, 4 종 5 층, 5 종 5 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이 4 종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3 층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2 층 이상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농업용 필름이 5 층 필름인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A,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B, A, B 와 상이한 층을 C 로 했을 때, C/A/B/A/C, A/B/A/C/C, A/A/B/A/A, A/A/B/B/A, A/B/A/B/A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0 ℃ ∼ 40 ℃ 부근의 감온성과 필름의 강도의 균형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폴리올레핀계 수지층과의 두께의 비율이 1/2/1 ∼ 1/4/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나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담제, 산화 방지제, 방무제, 활제, 항블로킹제, 대전 방지제, 안료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소정의 입자 (B) 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는 구별될 수 있다.
[방담성 도막층]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필름은, 일방의 표층으로서 또는 양면에, 방담성 도막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방담성 도막층으로는, 무기 콜로이드로 이루어지는 방담층, 무기 콜로이드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성 도막층을 들 수 있다.
무기 콜로이드는, 소수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고, 통상, 물 등의 액체 분산매 중에, 무기 콜로이드가 분산된 졸의 형태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졸, 알루미나 졸을 들 수 있고,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통상, 물이나 물과 알코올 등의 수성 용제와의 혼합 용제에 당해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수계 에멀션으로서 사용된다.
방담성 도막층은,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리카로서, 평균 입자경이 5 ∼ 100 ㎚ 인 것을 들 수 있고, 당해 실리카에 있어서의 입자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상을 들 수 있다.
방담성 도막층에 포함되는 실리카 및 바인더 수지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할 때, 실리카의 함유량이 30 ∼ 70 질량% 이고,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30 ∼ 7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의 함유량이 50 ∼ 65 질량% 이고,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35 ∼ 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카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방담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피막이 백탁화되어 저온하에서의 광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담성 도막층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수계 에멀션, 실리카를 함유하는 수성 실리카 졸, 및 분산매인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도공액을 얻는다. 다음으로, 이 도공액을,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방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 수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브러시 코팅, 스프레이 코팅, 키스 코팅, 다이 코팅, 딥핑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열풍 건조를 들 수 있다.
실리카와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팅막의 두께는, 0.3 ∼ 1.5 ㎛ 가 바람직하고, 0.5 ∼ 1.2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도공액에는,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방담성 도막층은, 상기 필름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방의 표층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방담층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막이어도 된다.
<농원예용 시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으로 피복된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는, 40 ℃ 부근에 달하는 하계에 필름의 광 산란성이 높기 때문에 과잉인 직사광에서 기인하는 작물의 잎타기 등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0 ℃ 부근에 달하는 동계에는 필름의 광 산란성이 낮기 때문에 작물에 충분한 직사광을 보낼 수 있다. 일년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안정적인 광량을 보낼 수 있다. 상기 농원예용 시설은, 시금치, 토마토, 파, 오이, 딸기 등의 재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을 구비한 농원예용 시설로는, 예를 들어, 식물 재배용의 온실, 터널 등을 들 수 있다.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 상기의 농업용 필름은, 예를 들어, 농원예용 시설 프레임에 전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하계부터 추계에 걸친 기온이 높은 시기에도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기온이 높은 시기에 있어서의 전장 작업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온이 된 프레임과 필름의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을 사용하여, 농원예용 시설에 전장하는 방법, 및 농업용 필름을 사용하여 전장된 농원예용 시설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 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인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이고, 상기 입자 (B) 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형태 2 에 관련된 농원예용 시설은, 상기 형태 1 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이, 농원예용 시설 프레임에 전장된 농원예용 시설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헤이즈값>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온조 헤이즈미터 (THM-150TL) 를 사용하여, 0 ℃ 및 40 ℃ 의 각각의 조건에 있어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온도 이외의 측정 조건은 JIS K 7136 : 2000 에 준거하였다.
<인장 파단 강도>
슈퍼 덤벨 커터 SDK-300 (주식회사 덤벨 제조) 을 사용하여, 필름으로부터 시험편을 타발함으로써,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험편을, 그립구간 거리를 40 ㎜ 로 하여 인장 시험기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 AGS-5kNX) 에 장착하고, 부속의 항온조에서 시험 환경을 40 ℃ 로 조정하고, 인장 속도 500 ㎜/분의 조건으로 시험편을 파단할 때까지 인장하고, 파단시의 하중을 초기의 시험편의 단면적 (요컨대, 덤벨 중앙 잘록한 부분의 폭 × 두께) 으로 나눈 값 (단위 : ㎏f/㎤) 을 인장 파단 강도로 하였다. 인장 파단 강도의 시험은, MD (기계 방향: Machine Direction), TD (횡 방향: Transverse Direction) 각각에 대해 실시하였다.
<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각각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압축 성형기 (NF-37, 주식회사 신토 금속 공업소 제조) 를 사용하여, 밀도 측정용의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에 대해서는, SUS 제 형틀에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의 수지 펠릿을 소정량 넣고, 상하를 알루미늄판 (두께 1 ㎜) 으로 사이에 끼우고, 150 ℃ 로 설정한 제 1 압축 성형기에 세트하고, 가압하지 않고 예열을 5 분 실시하고, 그 후, 온도를 상기 온도로 유지한 채로 게이지압 150 ㎏f/㎤ 로 가압하고, 5 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수지를 형틀마다 온도 30 ℃ 로 설정한 제 2 압축 성형기에 이동시키고, 게이지압 150 ㎏f/㎤ 로 5 분간 유지하고 냉각시켜, 세로 약 4 ㎝ × 가로 약 4 ㎝ × 두께 1 ㎜ 의 시험편을 얻었다. 다음으로, 제조한 시험편에 대해, JIS K 7112 : 1999 의 A 법에 따라, 23 ℃ 에 있어서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에 대해서는, 제 1 압축 성형기의 설정 온도를 180 ℃ 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밀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폴리에틸렌 수지 (PE) 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어서, 제조한 시험편에 대해 JIS K 6760-1981 에 기재된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밀도를 측정하였다.
[재료]
이하에, 사용한 재료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에 기재된 MFR 은, JIS K 7210 : 1999 에 따라, 소정의 온도에서 하중 21.18 N 의 조건으로 A 법에 의해 측정된 값에 상당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A-1-1) ;
(1)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이하, ER-1 로 한다)
밀도 890 ㎏/㎥
MFR (190 ℃, 21.18 N, A 법) 3.2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FX307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2)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이하, ER-2 로 한다)
밀도 880 ㎏/㎥
MFR (190 ℃, 21.18 N, A 법) 8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FX402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3)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이하, ER-3 으로 한다)
밀도 885 ㎏/㎥
MFR (190 ℃, 21.18 N, A 법) 3.6 g/10 분
(타프머 (등록상표) A4085S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에틸렌-극성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체 (A-1-2) :
(4)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이하, EVA-1 로 한다)
밀도 952 ㎏/㎥
MFR (190 ℃, 21.18 N, A 법) 7 g/10 분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72 질량%, 아세트산비닐 (VA) 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28 질량% (EVA-1 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스미테이트 (등록상표) KA-3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5)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이하, EVA-2 로 한다)
밀도 935 ㎏/㎥
MFR (190 ℃, 21.18 N, A 법) 1.5 g/10 분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85 질량%, 아세트산비닐 (VA) 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15 질량% (EVA-2 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에바테이트 (등록상표) H202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6)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EMMA) (이하, EMMA-1 로 한다)
밀도 943 ㎏/㎥
MFR (190 ℃, 21.18 N, A 법) 7 g/10 분
에틸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75 질량%, 메타크릴산메틸 (MMA) 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25 질량% (EMMA-1 의 질량을 100 질량% 로 한다)
(아크리프트 (등록상표) WK307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
(7)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1 로 한다)
밀도 899 ㎏/㎥
MFR (230 ℃, 21.18 N, A 법) 2.5 g/10 분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99.4 질량%
(스미토모 노브렌 (등록상표) FS2011DG3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8)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2 로 한다)
밀도 895 ㎏/㎥
프로필렌 유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96.8 질량%
MFR (230 ℃, 21.18 N, A 법) 3 g/10 분
(스미토모 노브렌 (등록상표) FH3315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9)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3 으로 한다)
밀도 870 ㎏/㎥
MFR (230 ℃, 21.18 N, A 법) 3 g/10 분
(Vistamaxx (등록상표) 3020FL 엑슨·모빌사 제조)
(10)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4 로 한다)
밀도 856 ㎏/㎥
MFR (230 ℃, 21.18 N, A 법) 3 g/10 분
(Vistamaxx (등록상표) 6102FL 엑슨·모빌사 제조)
(11)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5 로 한다)
밀도 893 ㎏/㎥
MFR (230 ℃, 21.18 N, A 법) 6 g/10 분
(스미토모 노브렌 (등록상표) FL6741G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12)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이하, PP-6 으로 한다)
밀도 883 ㎏/㎥
MFR (230 ℃, 21.18 N, A 법) 7 g/10 분
(타프머 (등록상표) XM7070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폴리올레핀계 수지 :
(13) 폴리에틸렌 수지 (PE) (이하, PE-1 로 한다)
밀도 912 ㎏/㎥ (어닐링 후)
MFR (190 ℃, 21.18 N, A 법) 0.5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GMH GH03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14) 폴리에틸렌 수지 (PE) (이하, PE-2 로 한다)
밀도 921 ㎏/㎥ (어닐링 후)
MFR (190 ℃, 21.18 N, A 법) 0.4 g/10 분
(엑셀렌 (등록상표) GMH GH051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입자 (B) :
(1) 가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MMA-St)
(이하, 입자-1 로 한다)
체적 중위경 = 5 ㎛
굴절률 (23 ℃) = 1.51
(테크폴리머 (등록상표) MSX-5Z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2) 유리 입자 (이하, 입자-2 로 한다)
체적 중위경 = 5 ㎛
굴절률 (23 ℃) = 1.52
(OMicron (등록상표) NP5-P0 Sovitec 사 제조)
수지 조성물의 층을 구비한 실시예 1 ∼ 15 의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마스터 배치>
EVA-1 50 질량부와 입자-1 50 질량부를 포함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였다. 이 마스터 배치를 MB-1 로 한다.
<필름의 성형>
내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중간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외층용 압출기 (40 ㎜ 압출기) 와, 100 ㎜φ 다이스 (립 간극 1.2 ㎜) 를 구비한 3 층 인플레이션 성형기 (주식회사 푸라코 제조) 를 사용하여, 3 층의 튜브상 필름을 성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외층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외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중간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내층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내층용 압출기에 투입하고, 각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100 ㎜φ 다이스로부터, 내층이 30 ㎛, 중간층이 90 ㎛, 외층이 30 ㎛ (전체 두께가 150 ㎛) 가 되도록 토출량을 조정하고, 용융된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시켜 3 층의 튜브상 필름을 얻었다. 이 때, 내층 및 외층의 압출기는 160 ℃, 그리고 중간층의 압출기 및 다이스는 150 ℃ 의 설정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의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PE-1 및 PE-2 이고, 배합량은, PE-1 이 50 질량% 이고, PE-2 가 50 질량% 이었다.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ER-1, EVA-1, PP-3 및 MB-1 이고,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조성의 함유량은 질량부로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내층용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는, 외층용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재료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1 의 필름에 대해, 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측정하고, 4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과 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차를 구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필름에 대해,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를 측정하고, 육안으로 피시아이의 레벨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PP-3 대신에 PP-2 를 사용하고, 중간층의 압출기의 온도를 16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2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2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PP-3 대신에 PP-4 를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3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 6]
각 조성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R-1, EVA-1, PP-3, MB-1 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4 ∼ 6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4 ∼ 6 의 필름 각각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마스터 배치>
ER-1 50 질량부와 입자-1 50 질량부를 포함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였다. 이 마스터 배치를 MB-2 로 한다.
<필름의 성형>
각 조성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R-1, ER-2, PP-3, MB-2 를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7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7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각 조성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R-2, EVA-1, EVA-2, PP-3, MB-1 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8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8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각 조성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R-1, EVA-1, PP-3, MB-1 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9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9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각 조성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R-1, EVA-1, PP-1, MB-1 을 배합하고, 중간층의 압출기의 온도를 17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0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0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1]
각 조성이 표 2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VA-1, PP-3, MB-1 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1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1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PP-3 대신에 PP-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2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2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PP-3 대신에 PP-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3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3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마스터 배치>
EMMA-1 50 질량부와 입자-1 50 질량부를 포함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였다. 이 마스터 배치를 MB-3 으로 한다.
<필름의 성형>
각 조성이 표 2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MMA-1, PP-3, MB-3 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4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4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마스터 배치>
ER-3 50 질량부와 입자-2 50 질량부를 포함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였다. 이 마스터 배치를 MB-4 로 한다.
<필름의 성형>
각 조성이 표 2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EVA-2, PP-3, MB-4 를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15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5 의 필름에 있어서의 각 온도에서의 헤이즈값 및 그것들 헤이즈값의 차,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피시아이의 레벨을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농업용 필름은,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이고,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인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0 ℃ ∼ 40 ℃ 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변화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0 ℃ 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농업용 필름은, 식물 재배용의 온실이나 터널 등의 농원예용 시설에 있어서, 피복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폴리에틸렌계 수지 (A-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및 체적 중위경이 1 ㎛ 이상 20 ㎛ 이하인 입자 (B)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 층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의 밀도가 850 ㎏/㎥ 이상 905 ㎏/㎥ 이하이고,
    상기 입자 (B) 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3 이하인, 필름.
  2. 제 1 항에 기재된 필름이, 농원예용 시설 프레임에 전장된 농원예용 시설.
KR1020200037731A 2019-03-29 2020-03-27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KR20200115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7032 2019-03-29
JP2019067032A JP6584706B1 (ja) 2019-03-29 2019-03-29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JP-P-2019-080439 2019-04-19
JP2019080439 2019-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60A true KR20200115360A (ko) 2020-10-07

Family

ID=7288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731A KR20200115360A (ko) 2019-03-29 2020-03-27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53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70A (ko) * 2021-05-13 2022-1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적성이 우수한 적외선 흡수형 농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903A (ja) 2013-04-01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KR20150112746A (ko)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2018172680A (ja) 2017-03-31 2018-11-08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903A (ja) 2013-04-01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KR20150112746A (ko)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2018172680A (ja) 2017-03-31 2018-11-08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70A (ko) * 2021-05-13 2022-1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적성이 우수한 적외선 흡수형 농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864B1 (ko) 폴리올레핀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KR20180111662A (ko) 필름,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KR20150035719A (ko) 농업용 다층 필름
JP2007314648A (ja) 農業用フィルム
JP623083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JP2018203950A (ja) フィルム、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2014018997A (ja) 農業用多層フィルム
KR20150035720A (ko) 농업용 다층 필름
KR20200115360A (ko)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KR102140923B1 (ko) 농업용 필름 및 농원예용 시설
JP7164398B2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5638901B2 (ja) 農業用フィルム
JP4902266B2 (ja) 農業用フィルム
JP2002234125A (ja) 農業用多層フィルム
JP6584706B1 (ja)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2020176263A (ja)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2001334612A (ja) 多層フィルム
JP389308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
JP7115964B2 (ja)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2004121043A (ja) 農業用フィルム
JP2020058336A (ja)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6833585B2 (ja) 農業用フィルム、及び、農業用ハウス、農業用カーテン又は農業用トンネル
JP2019137861A (ja)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JP6800739B2 (ja) 農業用フィルム
JPH11151789A (ja) 積層防曇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