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229A -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 Google Patents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229A
KR20180110229A KR1020187028195A KR20187028195A KR20180110229A KR 20180110229 A KR20180110229 A KR 20180110229A KR 1020187028195 A KR1020187028195 A KR 1020187028195A KR 20187028195 A KR20187028195 A KR 20187028195A KR 20180110229 A KR20180110229 A KR 2018011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olycarbonate resin
surface hardness
structural uni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025B1 (ko
Inventor
유타카 아오키
후미 오오바
마사히로 우에다
신지 마츠오카
미츠후미 노도노
히카루 모모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1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40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all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4Crystallisation a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중합체 (A1)과,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Figure pat00025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Description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METH)ACRYLATE RESIN MATERIAL, SURFACE HARDNESS ENHANCER,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9월 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77274호, 2014년 8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75471호, 2014년 11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2971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는 기계 강도, 내열성, 전기 특성, 치수 안정성, 난연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각종 기기(전기 기기, 전자 기기, OA 기기 등)의 부재(하우징 등), 광기록 매체, 자동차 부품, 건축 부재 등에 널리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는 자동차 헤드 램프, 각종 시트 등으로서 사용하기에는, 표면 경도가 부족하다.
표면 경도가 우수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로서는, 하기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ㆍ 방향족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중합체 (A)를 포함하는 표면 경도 향상제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특허문헌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표면 경도 향상제 중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불충분하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성형체에는 종종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16501호 공보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광학 특성을 유지하면서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및 표면 경도 향상제;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리고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형태를 갖는다.
[1]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중합체 (A1)과,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Figure pat00001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2]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 그리고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b1) 및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c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Figure pat00002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3]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2]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4] 상기 구성 단위 (a1)이, 페닐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2-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5] 상기 구성 단위 (a1)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50질량%인,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6] 상기 구성 단위 (a1)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25질량%인,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7] 상기 구성 단위 (a2)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0 내지 95질량%인,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8] 상기 산 (B)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인,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9] 상기 산 (B)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0] 상기 산 (B)의 함유량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2 내지 10질량부인, [1] 및 [4]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1] 상기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 또는 산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산 (B) 및 상기 구성 단위 (b1)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2 내지 10질량부인, [2] 내지 [9]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2] 상기 친핵제 (C)가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인, [1] 내지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3] 상기 친핵제 (C)가, 분자 내에 하기 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1] 내지 [1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Figure pat00003
[14] 상기 친핵제 (C)가,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1] 내지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5] 상기 친핵제 (C)의 함유량이 상기 중합체 (A1)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인, [1], [4] 내지 [10] 및 [12] 내지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6] 상기 구성 단위 (c1)의 함유량 또는 친핵제 (C)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친핵제 (C) 및 상기 구성 단위 (c1)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중합체 (A2)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인, [2] 내지 [9] 및 [11] 내지 [14]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7] 상기 중합체 (A1) 또는 상기 중합체 (A2)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인, [1] 내지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8] 상기 [1] 내지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경도 향상제.
[19]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1] 내지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0] 상기 [19]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
[21]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18]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5600-5-4에 준거하여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이 되는, 상기 [18]의 표면 경도 향상제.
[22]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18]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0.5% 이하가 되는, 상기 [18] 또는 [21]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
[23]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15]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JIS K 7162에 기재된 1A형의 성형체에 있어서, 성형체의 백화가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포함하는 16㎜×12㎜의 영역의 헤이즈가 25% 이하인, 상기 [18], [21] 및 [2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
[24] 상기 [19]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를 1 내지 400질량부 더 배합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00㎍에,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의 20% 메탄올 용액 5μL를 가하고, 400℃로 설정한 열분해 장치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 TMAH를 반응 열분해하여, 생성된 가스를 분리한 경우,
얻어지는 질량 스펙트럼의 유지 시간이 19.3 및 22.1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피크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6] 하기 식 (3) 및 하기 식 (4)의 화학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광학 특성을 유지하면서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광학 특성을 유지하면서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이며,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표면 경도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열분해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해, 질량 스펙트럼의 유지 시간 19.3분의 피크를 형성한 시료에 대해 질량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해, 질량 스펙트럼의 유지 시간 22.1분의 피크를 형성한 시료에 대해 질량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용어의 정의는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걸쳐서 적용된다.
「구성 단위」란, 단량체가 중합함으로써 형성된 중합체에 있어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또는 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구성 단위의 일부가 다른 구조로 변환된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질량 평균 분자량」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리액으로서 사용하고, 칼럼 온도 40℃에 있어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하기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이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의 차이는,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1성분으로서 포함하는가,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중합체의 구성 단위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 도입되어 있는가이다.
(α)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중합체 (A1)과,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 그리고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b1) 및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c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Figure pat00006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는 중합체 (A2) 외에, 산 (B) 및 친핵제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1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1))
중합체 (A1)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를 갖는다. 중합체 (A1)은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3)을 갖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1)은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b1) 및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c1)을 갖지 않는다.
중합체 (A1)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이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2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15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A1)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이면,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더욱 우수하다. 중합체 (A1)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하이면, 성형품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중합체 (A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현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A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중합체 (A1)의 회수가 용이한 점에서, 현탁 중합법 또는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A2))
중합체 (A2)는 구성 단위 (a1), 구성 단위 (a2), 그리고 구성 단위 (b1) 및 구성 단위 (c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다. 중합체 (A2)는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3)을 갖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2)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이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2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15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A2)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이면,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더욱 우수하다. 중합체 (A2)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하이면, 성형품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중합체 (A2)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현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A2)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중합체 (A2)의 회수가 용이한 점에서, 현탁 중합법 또는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1))
구성 단위 (a1)은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구성 단위 (a1)은 성형체의 광학 특성(투명성 등)을 향상시킨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식 (1)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페닐메타크릴레이트, o-디페닐메타크릴레이트, p-디페닐메타크릴레이트, o-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1-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 4-메톡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4,6-트리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tert부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성 단위 (a1)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구성 단위 (a1)로서는, 성형체의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페닐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2-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1)의 비율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구성 단위 (a1)의 비율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1)이 5질량% 이상이면, 성형체의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구성 단위 (a1)이 50질량% 이하이면,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더욱 우수하다.
또한, 중합체 중의 구성 단위의 비율 및 함유량은, 예를 들어 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한 단량체의 질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구성 단위 (a2))
구성 단위 (a2)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구성 단위 (a2)는 성형체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킨다.
구성 단위 (a2)의 비율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0 내지 95질량%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8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구성 단위 (a2)의 비율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70 내지 95질량%가 바람직하고, 75 내지 9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2)가 50질량% 이상이면,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더욱 우수하다. 구성 단위 (a2)가 95질량% 이하이면, 성형체의 광학 특성(투명성 등)이 더욱 우수하다.
(구성 단위 (a3))
구성 단위 (a3)은 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단량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산 (B) 및 친핵제 (C) 이외의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구성 단위 (a3)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단, 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외함).
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1-나프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아크릴레이트, p-디페닐아크릴레이트, o-디페닐아크릴레이트, o-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4,6-트리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tert부틸페닐아크릴레이트 등.
시안화비닐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디엔계 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등.
비닐에테르계 단량체: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등.
카르복실산계 비닐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
올레핀계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등.
가교제: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1,3-부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등.
다른 단량체로서는, 공중합성, 즉 공중합에 있어서의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시안화비닐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중합체 (A1) 및 중합체 (A2)의 열분해를 억제하는 점에서, 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구성 단위 (a3)의 함유량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3)의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체의 내열분해성이 우수하다.
(산 (B))
산 (B)는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에 포함되는 성분이다. 산 (B)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1성분으로서 포함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는 중합체 (A2)의 구성 단위 (b1)로서 포함되어 있다.
산 (B)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또는 표면 경도 향상제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B)는 프로톤을 발생할 수 있는 화합물, 즉 브뢴스테드산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산 (B)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메타크릴산, 무수 아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스테아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포름산, 락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멜드럼산, 염산, 황산, 발연 황산, 인산, 플루오로술폰산, 질산, 크롬산, 붕산, 벤젠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B)로서는, 성형품의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공중합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의 산 (B)의 함유량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내지 2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의 산 (B)의 함유량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2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 내지 2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의 산 (B)의 함유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체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의 산 (B)의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우수하다.
(구성 단위 (b1))
구성 단위 (b1)은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구성 단위 (b1)을 구성하는 산 (B)로서는, 구성 단위로서 도입하기 쉬운 점에서, 산 (B) 중, 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단량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산 (B1)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구성 단위 (b1)을 구성하는 산 (B1)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메타크릴산, 무수 아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 또는 산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산 (B) 및 구성 단위 (b1)의 합계 함유량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내지 2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 또는 산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산 (B) 및 구성 단위 (b1)의 합계 함유량은, 구성 단위 (a1) 및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2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 내지 2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 또는 산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산 (B) 및 구성 단위 (b1)의 합계 함유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체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 또는 산 (B)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산 (B) 및 구성 단위 (b1)의 합계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산 (B)를 포함하거나,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b1)을 가지므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표면 경도가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광학 특성, 즉 투명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친핵제 (C))
친핵제 (C)는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다. 친핵제 (C)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및 표면 경도 향상제의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친핵제 (C)는 친핵성을 갖는 화합물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친핵제 (C)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아민, 유기 인 화합물,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라우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P, 비스페놀 B, 비스페놀 BP, 비스페놀 C, 비스페놀 E, 비스페놀 F, 비스페놀 G, 비스페놀 M, 비스페놀 S, 비스페놀 P,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민으로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닐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로서는, 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2-포스포노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포스포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아세토락톤,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하기 식 (5)로 표현되는 화학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0
식 (5) 중, n=1 내지 20이고, m=1 내지 20이다.
성형체의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n=1 내지 10 및 m=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n=1 내지 5 및 m=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다.
친핵제 (C)로서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는 점에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핵제 (C)로서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는 점에서, 분자 내에 하기 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분자 내에 하기 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1
분자 내에 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히드록시아릴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C, 비스페놀 P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에 있어서의 친핵제 (C)의 함유량은 중합체 (A1)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내지 2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친핵제 (C)의 함유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체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친핵제 (C)의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체의 내열성 등의 열 특성이 우수하다.
(구성 단위 (c1))
구성 단위 (c1)은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구성 단위 (c1)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및 표면 경도 향상제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구성 단위 (c1)을 구성하는 친핵제 (C)로서는, 중합체 (A2)에 구성 단위로서 도입하기 쉬운 점에서, 친핵제 (C) 중, 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단량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친핵제 (C1)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친핵제 (C1)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아민, 유기 인 화합물,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민으로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 화합물로서, 2-포스포노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포스포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하기 식 (5)로 표현되는 화학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주)다이셀사제의 상품명 「플락셀FA1」, 「플락셀FA2」, 「플락셀FA3」, 「플락셀FA4」, 「플락셀FA5」, 「플락셀FM1」, 「플락셀FM2」, 「플락셀FM3」, 「플락셀FM4」 및 「플락셀FM5」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성형체의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락셀FM1」, 「플락셀FM2」, 「플락셀FM3」, 「플락셀FM4」 및 「플락셀FM5」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 질량 중, 하기 식 (5)로 표현되는 화학 구조가 차지하는 비율은 0.0001 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3
식 (5) 중, n=1 내지 20이고, m=1 내지 20이다.
성형체의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n=1 내지 10 및 m=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n=1 내지 5 및 m=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다.
친핵제 (C1)로서는, 성형 불량이 억제되는 점에서,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c1)의 함유량 또는 친핵제 (C)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친핵제 (C) 및 구성 단위 (c1)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 중합체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내지 1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c1)의 함유량 또는 친핵제 (C)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친핵제 (C) 및 구성 단위 (c1)의 합계 함유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체의 성형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구성 단위 (c1)의 함유량 또는 친핵제 (C)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친핵제 (C) 및 구성 단위 (c1)의 합계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체의 광학 특성(투명성 등)이 더욱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친핵제 (C)를 포함하거나,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c1)을 가지므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중합체 (A1) 또는 중합체 (A2)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조성물을 성형하여, 표면 경도가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중합체 (A1) 또는 중합체 (A2)가 하기 식 (1)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는, 광학 특성, 즉 투명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표면 경도 향상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는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표면 경도 향상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내지 25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표면 경도 향상제를 25질량부 배합하고,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5600-5-4에 준거하여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내지 25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표면 경도 향상제를 25질량부 배합하고,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경도 향상제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내지 25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표면 경도 향상제를 25질량부 배합하고, 스미토모 주키카이 고교(주)제 100t 사출 성형기 SE-100DU를 사용하여, 사출 온도 280℃, 금형 온도 80℃, 사출 압력 95㎫로 성형하여 얻어진, JIS K 7162에 기재된 1A형의 성형체에 있어서, 성형체의 백화가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포함하는 16㎜×12㎜의 영역의 헤이즈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및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는, 주쇄에 탄산에스테르 결합 (-O-C(O)-O-)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로서는, 통상, 2가 페놀과 카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가 페놀과 카르보네이트 전구체를 용액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가 페놀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 2가 페놀과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등을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2가 페놀로서는, 예를 들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C〕,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4-히드록시페닐)옥시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시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및 이들의 할로겐 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2가 페놀로서는,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카테콜 등을 들 수 있다.
2가 페놀로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계가 바람직하고, 비스페놀 A가 특히 바람직하다.
2가 페놀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카르보네이트 전구체로서는, 카르보닐할라이드, 카르보닐에스테르, 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포스겐, 2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는 분지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에 분지 구조를 도입하기 위한 분지제로서는,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플루오로글리신, 트리멜리트산, 이사틴비스(o-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는 폴리카르보네이트부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부를 갖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여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가 폴리오르가노실록산부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총 질량 중 폴리오르가노실록산부는 1 내지 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는 에스테르 전구체, 즉 테레프탈산 등의 2관능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등의 존재 하에서, 2가 페놀과 카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여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가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인 경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총 질량 중 폴리에스테르부는 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는 다양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제조 시에는 분자량의 조절을 위해, 페놀, p-t-부틸페놀, p-t-옥틸페놀, p-쿠밀페놀 등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점도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고, 15000 내지 30000이 바람직하고, 16000 내지 27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7000 내지 25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도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우수하다.
분자량 조절을 위해 페놀, p-t-부틸페놀, p-t-옥틸페놀, p-쿠밀페놀 등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총 질량에 대한 비율은, 예를 들어 1 내지 50질량%이다.
(다른 성분)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난연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 유리, 마이카, 탈크, 고무 입자 등의 각종 필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단위 (a1)의 일부 또는 전부의 측쇄 아릴에스테르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중의 임의의 카르보닐 결합 및 에스테르 결합의 1개 이상과 교환 반응됨으로써 생성되는 화합물(교환 화합물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이들 교환 화합물의 비율의 측정에는, 열분해 장치를 장비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GC-MS) 장치를 사용한다. 열분해 장치는, 예를 들어 프런티어 래버러토리사제 PY-3030형 등의 마이크로 종형식이나, 닛폰 분세키 고교사제 JHP-5형 등의 퀴리 포인트식 등, 열분해로 생성한 가스를 직접 GC-MS 장치로 도입할 수 있는 장치이면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00㎍과,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의 20% 메탄올 용액 5μL를 혼합한다. 400℃로 설정한 열분해 장치에 혼합물을 도입하고, 시료와 TMAH를 반응 열분해한다. 반응 열분해에 의해 생성한 가스는 GC-MS 장치로 도입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 장치 내의 칼럼에 의해 성분마다 분리되고, 질량 분석(MS) 장치에 의해 분석되어, 질량 스펙트럼을 얻는다. GC-MS 장치의 측정 조건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
GC 장치 주입구 온도: 280℃
분리 칼럼: DB-5(길이 30m×내경 0.25㎜×막 두께 0.25㎛)
GC 장치 오븐 온도: 50℃(2분간 유지)→10℃/분으로 승온→320℃(11분간 유지)
GC-MS 장치 인터페이스 온도: 280℃
예를 들어, 교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 교환 화합물의 반응 열분해 생성물에서 유래하는 피크가 관측된다. 교환 화합물의 반응 열분해 생성물에서 유래하는 피크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3)으로 표현되는 비스페놀 A 디메틸에테르에서 유래하는 유지 시간 19.3분의 피크 및 하기 식 (4)로 표현되는 메타크릴산비스페놀 A 메틸에테르에서 유래하는 유지 시간 22.1분의 피크를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와,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용융 혼련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밴버리 믹서, 니더, 롤, 니더 루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0.1 내지 60질량부를 용융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미리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1 내지 300질량부와,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를 1 내지 400질량부 더 배합하고, 용융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조성)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의 100질량부에 대해, 0.1 내지 6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45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체의 표면 경도가 더욱 우수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6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체의 광학 특성, 즉 (투명성 등)이 더욱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의 상용성이 양호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경우,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경우, 표면 경도가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가, 하기 식 (1)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경우, 광학 특성, 즉 투명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17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성형체>
본 발명의 성형체는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점에서,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성형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므로,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또한 백화 등의 성형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므로, 광학 특성, 즉 투명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중합체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는 방법, 그리고 성형체의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구성 단위의 비율)
중합체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은 단량체의 투입량으로부터 계산했다.
(질량 평균 분자량)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한 중합체에 대해,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리액으로 하고, 칼럼 온도 40℃에 있어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용출 곡선을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기초로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산출했다.
(성형 불량)
성형체의 성형 불량에 대해서는, 두께 4㎜의 성형체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성형체에 발생한 백화의 정도로부터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A: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백화가 개선되었다.
B: 비교예 1과 백화가 동일 정도였다.
C: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백화가 악화되었다.
(백화 부위의 헤이즈)
헤이즈 미터 NDH2000(닛폰 덴쇼쿠 고교(주)제)을 사용하여, JIS K 7136에 준거하여, JIS K 7162-1A형 성형체에 있어서, 성형체의 백화가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포함하는 16㎜×12㎜의 영역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연필 경도)
JIS K 5600-5-4에 준거하여, 두께 2㎜의 성형체의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
(투명성)
헤이즈 미터 NDH2000(닛폰 덴쇼쿠 고교(주)제)을 사용하여, JIS K 7136에 준거하여 두께 2㎜의 성형체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열분해 측정)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00㎍과,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의 20% 메탄올 용액 5μL를 혼합했다. 400℃로 설정한 열분해 장치에 혼합물을 도입하고, 시료와 TMAH를 반응 열분해했다. 반응 열분해에 의해 생성한 가스는 GC-MS 장치(프런티어 래버러토리사제 PY-3030형)로 도입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 장치 내의 칼럼에 의해 성분마다 분리되고, 질량 분석(MS) 장치에 의해 분석되어, 질량 스펙트럼을 얻었다. GC-MS 장치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이 했다.
GC 장치 주입구 온도: 280℃
분리 칼럼: DB-5(길이 30m×내경 0.25㎜×막 두께 0.25㎛)
GC 장치 오븐 온도: 50℃(2분간 유지)→10℃/분으로 승온→320℃(11분간 유지)
GC-MS 장치 인터페이스 온도: 280℃
캐리어 가스: 헬륨 가스
유속: 콘스탄트 플로우 조건 하에서 1ml/분
(실시예 1)
분산제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용량 1200L의 반응 용기 내에, 17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의 61.6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M)의 19.1부 및 탈이온수의 19.3부를 투입했다. 반응 장치 내의 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발열 피크를 확인한 후, 4시간 더 교반했다. 이 후, 반응 장치 내의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메타크릴산칼륨 수용액을 얻었다.
교반기, 냉각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용량 1050L의 반응 용기 내에, 탈이온수의 900부, 메타크릴산2-술포에틸나트륨(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SEM-Na, 42질량% 수용액)의 60부, 메타크릴산칼륨 수용액의 10부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M)의 12부를 넣고 교반하고, 중합 장치 내를 질소 치환하면서, 50℃로 승온했다. 그 중에,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염산염(와코 준야쿠 고교사제, V-50)의 0.08부를 첨가하고, 60℃로 더 승온했다. 승온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M)를 0.24부/분의 속도로 75분간 연속적으로 적하했다. 반응 용액을 60℃에서 6시간 유지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투명한 수용액인 고형분 10질량%의 분산제를 얻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중합 장치 중에, 탈이온수의 200부, 황산나트륨(Na2SO4)의 0.3부 및 분산제(고형분 10질량%)의 0.26부를 넣고 교반하여, 균일한 수용액으로 했다. 구성 단위 (a1)을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페닐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PH)의 20.3부, 구성 단위 (a2)를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리에스테르M)의 79.7부, 구성 단위 (a3)을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메틸아크릴레이트(와코 준야쿠 고교사제, 시약 특급)의 1.52부, 구성 단위 (b1)을 구성하는 산 (B)로서 메타크릴산(미쯔비시 레이온사제)의 0.28부, 연쇄 이동제로서 1-옥탄티올(도쿄 가세이 고교사제)의 2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니치유사제, AMBN)의 0.3부를 중합 장치 중의 수용액에 더 가하여, 수성 분산액으로 했다. 중합 장치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하고, 수성 분산액을 75℃로 승온하고 나서 3시간 유지한 후에 85℃로 승온하여 1.5시간 유지했다. 수성 분산액을 40℃로 냉각하여, 중합체의 수성 현탁액을 얻었다. 이 수성 현탁액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탈이온수로 세정하고, 75℃에서 18시간 건조하여,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로 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을 구성하는 중합체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와 그 수지 조성물을 성형체로 했을 때의 평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제, 유피론S-2000F)의 100부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의 25부를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에 넣고,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를 손으로 잘 흔드는 것에 의해 이들을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2축 압출기(이케가이사제, PCM35)를 사용하여 280℃에서 용융 혼련하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커트하여, 펠릿을 얻었다.
펠릿을, 사출 성형기(스미토모 주키카이 고교사제, SE100DU)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280℃ 및 금형 온도 80℃에서 성형하고,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9
(실시예 2 내지 10)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2) 내지 (β10)을 얻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2) 내지 (β1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아크릴산(와코 준야쿠 고교사제, 시약 특급)을 사용했다.
실시예 8 내지 10에 있어서는, 구성 단위 (c1)을 구성하는 친핵제 (C)로서 불포화 지방산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수식 ε-카프로락톤(다이셀사제, 플락셀FM5)을 사용했다. 친핵제 (C)는 중합 장치 내의 질소 치환을 행하기 전에 수성 분산액에 가했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2) 내지 (β10)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내지 1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에, 친핵제 (C)를 더 혼합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1) 내지 (α4), (β15)를 얻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1) 내지 (α4), (β15)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 그리고 친핵제 (C)의 양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 12, 15에 있어서는 친핵제 (C)로서 비스페놀 A(도쿄 가세이 고교사제)를 사용하고, 실시예 13, 14에 있어서는 친핵제 (C)로서 비스페놀 Aㆍ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제품명: 아데카 폴리에테르 BPX-55아데카사제)을 사용했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1) 내지 (α4), (β15)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해,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열분해 측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질량 스펙트럼의 유지 시간 19.3분 및 22.1분에 피크를 확인했다. 이들 유지 시간 19.3분 및 22.1분의 피크를 형성한 시료에 대해 각각 질량 분석을 행한 결과, 유지 시간 19.3분의 시료는 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유지 시간 22.1분의 시료는 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귀속되었다. 질량 분석의 결과는 도 2,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16)
구성 단위 (b1)을 구성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체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중합체와, 산 (B)로서 스테아르산(와코 준야쿠 고교사제)을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6)의 구성 성분으로 하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동시에, 표 2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α6)을 구성하는 중합체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 그리고 사용한 산 (B)의 양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5)
표 1과 같이 각 조성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γ1) 내지 (γ4)를 얻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γ1) 내지 (γ4)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 및 질량 평균 분자량, 그리고 산 (B) 및 친핵제 (C)의 양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구성 성분 (b1)을 구성하는 산 (B)로서 메타크릴산(미쯔비시 레이온사제), 비교예 4에 있어서는 친핵제 (C)로서 비스페놀 A(도쿄 가세이 고교사제)를 사용했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γ1) 내지 (γ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7) 100질량부를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에 넣고,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를 손으로 잘 흔들어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2축 압출기(이케가이사제, PCM35)를 사용하여 280℃에서 용융 혼련하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커트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 100질량부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50질량부 더 가하고,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에 넣고,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를 손으로 잘 흔들어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80℃에서 용융 혼련하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커트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것을 마스터 배치로 한다.
펠릿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280℃ 및 금형 온도 80℃에서 성형하고,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7) 대신에,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β1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각 평가에 따른 두께의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20
비교예 1-1 및 1-2는 중합체 (A1)을 포함하지만, 산 (B) 또는 친핵제 (C)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성형체의 성형 불량의 개선을 확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내지 4는 중합체 (A1) 및 중합체 (A2) 이외의 중합체를 사용했으므로, 성형체의 성형 불량의 정도가 컸다.
비교예 5는 표면 경도 향상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필 경도가 불충분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각종 기기(전기 기기, 전자 기기, OA 기기 등)의 부재(하우징 등), 광기록 매체, 자동차 부품(자동차 헤드 램프, 자동차 내장재 등), 건축 부재, 각종 시트로서 유용하다.

Claims (21)

  1. 하기 식 (1)의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 그리고 산 (B)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b1) 및 친핵제 (C)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c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경도 향상제.
    Figure pat00021

    여기서, Ar은 아릴기이고, Ar 중의 방향환은 식 (1) 중의 에스테르 말단에 직접 결합하고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a1)이, 페닐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2-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표면 경도 향상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a1)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50질량%인, 표면 경도 향상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a1)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 내지 25질량%인, 표면 경도 향상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a2)의 비율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 중 50 내지 95질량%인, 표면 경도 향상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 (B)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인, 표면 경도 향상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 (B)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표면 경도 향상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b1)의 함유량이, 상기 구성 단위 (a1) 및 상기 구성 단위 (a2)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2 내지 10질량부인, 표면 경도 향상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핵제 (C)가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인, 표면 경도 향상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핵제 (C)가, 분자 내에 하기 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표면 경도 향상제.
    Figure pat00022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핵제 (C)가, 분자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반응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표면 경도 향상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 (c1)의 함유량이, 상기 중합체 (A2) 100질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질량부인, 표면 경도 향상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1) 또는 상기 중합체 (A2)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인, 표면 경도 향상제.
  14.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5600-5-4에 준거하여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이 되는, 표면 경도 향상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두께 2㎜의 성형체에 있어서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0.5% 이하가 되는, 표면 경도 향상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25000 이하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해, 25질량부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면 경도 향상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JIS K 7162에 기재된 1A형의 성형체에 있어서, 성형체의 백화가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포함하는 16㎜×12㎜의 영역의 헤이즈가 25% 이하인, 표면 경도 향상제.
  19. 제14항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D)를 1 내지 400질량부 더 배합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00㎍에,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의 20% 메탄올 용액 5μL를 가하고, 400℃로 설정한 열분해 장치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 TMAH를 반응 열분해하여, 생성된 가스를 분리한 경우,
    얻어지는 질량 스펙트럼의 유지 시간이 19.3 및 22.1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피크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하기 식 (3) 및 하기 식 (4)의 화학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KR1020187028195A 2014-08-29 2015-08-2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1981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5471 2014-08-29
JPJP-P-2014-175471 2014-08-29
JP2014177274 2014-09-01
JPJP-P-2014-177274 2014-09-01
JPJP-P-2014-229713 2014-11-12
JP2014229713 2014-11-12
PCT/JP2015/074447 WO2016031967A1 (ja) 2014-08-29 2015-08-28 (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材料、表面硬度向上剤、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53A Division KR101929135B1 (ko) 2014-08-29 2015-08-2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229A true KR20180110229A (ko) 2018-10-08
KR101981025B1 KR101981025B1 (ko) 2019-05-21

Family

ID=553998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195A KR101981025B1 (ko) 2014-08-29 2015-08-2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20177007953A KR101929135B1 (ko) 2014-08-29 2015-08-2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53A KR101929135B1 (ko) 2014-08-29 2015-08-28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513606B2 (ko)
EP (1) EP3196249B1 (ko)
JP (1) JP6679931B2 (ko)
KR (2) KR101981025B1 (ko)
CN (4) CN109777072B (ko)
TW (2) TWI665224B (ko)
WO (1) WO201603196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091A1 (ja) * 2008-03-07 2009-09-11 綜研化学株式会社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光拡散シート
KR20090102779A (ko) * 2006-12-25 2009-09-30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유동성 향상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2010116501A (ja) 2008-11-13 2010-05-27 Mitsubishi Rayon Co Ltd 表面硬度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8053A (en) * 1977-08-05 1979-06-12 Eli Lilly And Company Aqueous emulsion polymer nail coating formulations
JPS61145260A (ja) * 1984-12-18 1986-07-02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被覆用材料
DE3719239A1 (de) * 1987-06-06 1988-12-15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carbonat-polymethacrylat-mischungen
JPH0657157A (ja) * 1992-03-13 1994-03-01 Mitsubishi Rayon Co Ltd 重合体粒子及びその製法並びに義歯床用組成物
WO1993017652A1 (en) 1992-03-13 1993-09-16 Mitsubishi Rayon Co., Ltd. Spherical particle as dental plate material, production thereof, and dental plate resin composition
EP0716344A1 (en) * 1994-12-05 1996-06-12 Konica Corporation Light-sensitive composition and light-sensitive lithographic printing plate using the same
JP2001066728A (ja) * 1999-08-27 2001-03-16 Konica Corp 熱現像感光材料と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002080676A (ja) 2000-09-05 2002-03-19 Nippon Shokubai Co Ltd アクリル系樹脂層と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層からなる積層体のリサイクル方法
CN100526354C (zh) * 2002-02-28 2009-08-12 三菱丽阳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及工程塑料组合物
US20050202096A1 (en) * 2004-03-09 2005-09-15 Jun Li Microcapsules for encapsu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JP4914027B2 (ja) * 2005-06-08 2012-04-1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KR20090039612A (ko) * 2007-10-18 2009-04-22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FR2925059B1 (fr) * 2007-12-13 2012-08-17 Armines Procede de preparation d'un materiau polymere transparent comprenant un polycarbonate thermoplastique et des nanoparticules minerales modifiees en surface.
KR100885819B1 (ko) * 2007-12-18 2009-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굴절률이 우수한 분지형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01952368B (zh) * 2008-03-11 2012-11-21 三菱丽阳株式会社 芳香族聚碳酸酯树脂用流动性提高剂及其制造方法、芳香族聚碳酸酯树脂组合物、以及成型体
KR101304592B1 (ko) * 2010-06-08 2013-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고강도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CN102311624A (zh) * 2010-09-30 2012-01-11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刮擦聚碳酸酯手机料及其制备方法
JP5718701B2 (ja) * 2011-03-30 2015-05-13 帝人株式会社 ウエルド外観および表面硬度に優れた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589128B2 (ja) * 2012-09-05 2014-09-10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9617416B2 (en) 2012-09-05 2017-04-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6000816B2 (ja) * 2012-11-16 2016-10-05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表層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779A (ko) * 2006-12-25 2009-09-30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유동성 향상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WO2009110091A1 (ja) * 2008-03-07 2009-09-11 綜研化学株式会社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光拡散シート
JP2010116501A (ja) 2008-11-13 2010-05-27 Mitsubishi Rayon Co Ltd 表面硬度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6249B1 (en) 2023-06-28
US10513606B2 (en) 2019-12-24
US20170253736A1 (en) 2017-09-07
JPWO2016031967A1 (ja) 2017-06-08
KR101929135B1 (ko) 2019-03-12
CN109777071A (zh) 2019-05-21
US11098193B2 (en) 2021-08-24
KR101981025B1 (ko) 2019-05-21
CN109777072A (zh) 2019-05-21
KR20170045289A (ko) 2017-04-26
EP3196249A1 (en) 2017-07-26
US20200010673A1 (en) 2020-01-09
TWI678377B (zh) 2019-12-01
CN107075224A (zh) 2017-08-18
WO2016031967A1 (ja) 2016-03-03
EP3196249A4 (en) 2017-08-30
CN111363079B (zh) 2022-12-02
CN109777071B (zh) 2022-05-31
TW201920313A (zh) 2019-06-01
TWI665224B (zh) 2019-07-11
JP6679931B2 (ja) 2020-04-15
TW201609830A (zh) 2016-03-16
CN111363079A (zh) 2020-07-03
CN109777072B (zh) 2021-12-07
CN107075224B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5195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of same
JP447842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品
WO2017026325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20130225753A1 (en) Polymer composition and a molded article thereof
JPWO2015012229A1 (ja) 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929135B1 (ko)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재료, 표면 경도 향상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201516094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3467032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WO2017086210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15206051A (ja) 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6047937A (ja) (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材料、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H1046022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
JP201807645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18070874A (ja) 樹脂材料、表面硬度向上剤、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6128583A (ja) (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材料、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19104944A (ja) 樹脂材料、表面硬度向上剤、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成形体
JP6429762B2 (ja) 表面硬度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8083911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WO2018080097A2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JP201516874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