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825A -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825A
KR20180108825A KR1020187026207A KR20187026207A KR20180108825A KR 20180108825 A KR20180108825 A KR 20180108825A KR 1020187026207 A KR1020187026207 A KR 1020187026207A KR 20187026207 A KR20187026207 A KR 20187026207A KR 20180108825 A KR20180108825 A KR 2018010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fluoropolymer
adhesive material
plasma
silico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셀 해넬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8010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3Fixing the position or configuration of fibrous reinforcements before or during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7/00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 C09J2427/006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로폴리머 웹(1) 및 가교된 실리콘-접착제-물질 웹(2)을 라미네이션 갭(lamination gap)(3)에 동일한 공급 방향으로 공급하고, 가교된 실리콘-접착제-물질 웹(2)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1)을 개개 제1 표면으로 함께 라미네이션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의 제1 표면 및 가교된 실리콘-접착제-물질 웹(2)의 제1 표면은 플라즈마에 의해 활성화되며, 플라즈마는 라미네이션 갭(3) 앞에서 시작하여 라미네이션 갭(3)에 진입할 때까지, 대기압 하에서 2개의 제1 표면 상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며, 2개의 활성화된 제1 표면은 라미네이션 갭(3)에서 서로 가압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제1항의 일반적인 부분(generic portion)에 따라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특히 복합재 구성에서 모울드(mold), 예를 들어, 섬유 복합 물질을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모울드를 라이닝하는 데 적합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모울드의 내부 표면은 접착 테이프로 완전히 마스킹(masking)된다.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및 접착제 물질 층으로 구성된 접착 테이프는 경화된 라미네이트(laminate)가 모울드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접착 테이프로 마스킹된 모울드가 이후에 추가 생산 사이클에서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섬유 복합 물질에 대하여 유리한 접착방지 성질을 나타내야 한다.
모울드에 바디(body)를 모울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접착 테이프를 모울드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고, 모울드의 내부 표면 상의 라미네이트 층을 접착 테이프에 적용하고, 라미네이트 층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시키고, 라미네이션된 부품을 경화 후에 접착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 WO 2015/014646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접착 테이프의 캐리어 필름은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한다. 플루오로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이의 유리한 접착방지 성질에 대해 알려져 있다. 접착제 물질 층은 캐리어 필름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층은 실리콘 접착제 물질 층일 수 있다. 접착제 물질은 캐리어 필름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이후에, 열 처리 또는 UV 광 조사에 의해 가교된다. 접착 테이프는 이후에 롤 업(roll up)되고 이후에 이의 의도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불리하게도, 플루오로폴리머 필름이 또한 실리콘 접착제 물질과 관련하여 이의 유리한 접착방지 성질을 발휘하기 때문에, 실리콘 접착제 물질과 플루오로폴리머 필름 간의 분리력(separating force)이 충분하게 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부품을 모울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접착 테이프가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CN 103421200호에는 플루오로폴리머 필름과 접착제 물질 층 간의 분리력이 증가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플루오로폴리머 필름이 초음파 욕(ultrasound bath)에서 유기 용매에 의해 PTFE의 형태로만 오로지 처리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PTFE 필름은 메탄올/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세톤에서 또는 톨루엔에서 세척된다. 정제된 표면은 플라즈마 처리로 수행된다. CN 103421200호에서 사용된 플라즈마는 오로지 매우 순수한 희가스에서 그리고 매우 좁은 물리적 파라미터, 예를 들어, 전류, 밀도, 및 전압 하에서 생성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공정은 산업적 기준으로 구현될 수 없으며, 제한 인자는 CN 103421200호에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 공정 가스: 10 내지 25 ℓ/분의 아르곤
- 전압: 10 내지 20 kHz에서 9 내지 12 kV
- 전류 밀도: 0.5 내지 2 mA/㎠
- 산소 함량: 0.01 내지 2%
- 플라즈마 처리 기간: 15 내지 60초
CN 103421200호에 따른 방법은 PTFE 이외의 물질의 활성화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약한 층"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접착제 물질과의 접착 결합(adhesive bond)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상술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항의 요지(subject matter)이다.
본 발명은 플루오로폴리머 웹에 실리콘 접착제 물질을 직접적으로 접착시키고, 이에 따라,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유리한 접착방지 성질을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유리한 접착 성질과 결합시킨다는 사상을 이용한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을 접합시킨 후, 얻어진 접착제 타입은 일 측면 상에 순수한 플루오로폴리머 표면을 가지며, 이는 반대 측면 상에 순수한 실리콘 접착제 물질 표면을 갖는다. 접착 테이프는 접합되는 부분의 표면에, 특히, 또한, 섬유 복합 물질의 생산을 위한 모울드의 표면에 이의 실리콘 접착제 물질 표면으로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모울드에서 섬유 복합 물질을 완성한 후에, 접착 테이프는 더 약한 접착력을 갖는 플루오로폴리머 표면으로부터 섬유 복합 물질의 용이한 방출을 가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과 플루오로폴리머 웹 간의 접착 결합은, 실리콘 접착제 물질이 이미 가교되었고 웹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이 라미네이션 갭에 동일한 공급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고, 가교된 실리콘 웹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이 각각 개개 제1 표면으로 함께 라미네이션되고, 여기서,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제1 표면 및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제1 표면이 플라즈마에 의해 활성화되고, 플라즈마가 라미네이션 갭 앞에서 시작하고 라미네이션 갭으로 지속하여, 대기압 하에서 2개의 제1 표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작용하고, 2개의 활성화된 제1 표면이 라미네이션 갭에서 서로 가압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라 최초로 달성된다.
그러나, 실리콘 물질의 가교는 또한 라미네이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제1 표면의 이러한 사전처리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수행된다. 플라즈마는 또한, 물질의 제4의 집합 상태(aggregate state)로서 지칭된다. 이는 일부 또는 전부 이온화된 가스이다. 공급된 에너지의 결과로서, 양이온 및 음이온, 전자, 다른 집합 상태, 전자기 방사선, 및 화학 반응 산물이 생성된다. 다수의 이러한 종들은 처리될 표면, 본원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웹 및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표면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이러한 처리는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제1 표면 및 제1 실리콘 접착제 물질 표면의 활성화, 상세하게, 2개의 제1 표면의 더 높은 반응성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처리는 플루오로폴리머 필름 표면과 실리콘 접착제 물질 층 간의 분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및 코로나 전처리는 종래에 DE 2005027391 A1호 및 DE 10347025 A1호에 기술되거나 언급되어 있다.
DE 102007063021 A1호에는 필라멘트형 코로나 처리에 의한 접착제 물질의 활성화가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플라즈마/코로나 사전처리는 접착 결합의 전단 수명 및 유동 거동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이 접착 강도의 증가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은 밝혀지지 않았다.
DE 102007063 021 A1호와 유사하게, DE 102011075470 A1호에는 접착제 물질 및 캐리어/기판의 물리적 사전처리가 기술되어 있다. 사전처리는 접합 단계 전에 별도로 수행되고,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측면 사전처리는 기판-측면 사전처리에서보다 더 큰 접착력 및 고정력이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 2460432 A호에서, 2개의 웹은 결합제(bonding agent)로서 역할을 하는 인공 플라스틱 필름을 도입함으로써 라미네이트를 생산하기 위해 접합된다. 플라즈마는 접지된 2개의 라미네이팅 롤러들, 및 결합제에 대한 관류(breakthrough)를 또한 포함하는 고전압 전극 사이에서 형성된다. 롤러 주변에 흐르는 공기는, 결합제가 조기에 냉각되지 않고 공기 인클로져(air enclosure)가 라미네이트에서 생성되지 않도록, 플라즈마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의도된다.
DE 2754425 A호에서, DE 2460432 A호가 참조된다. 동일한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배열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에 따르면, 플라즈마는 2개의 라미네이션 롤러들 사이에 형성되며, 이러한 롤러들 중 하나는 유전체로 코팅되어 있다. DE 2460432 A호에서의 경우와 같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용융물에 의한 평평한 필름 웹의 라미네이션 만이 기술되어 있다.
DE 19846814 A1호에서, 본 목적에 따라, 웹들을 함께 라미네이션하기 전에 웹들의 개선된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설계된 다양한 배열이 기술되어 있다. 웹은 단지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것이며, 용어 "필름"은 단지 DE 19802662 A1호와 관련하여 언급된다. 접착 물질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도, 플라즈마는 2개의 라미네이팅 롤러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유전체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으로 진행하는 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DE 4127723 A1호에는 플라스틱 필름 웹 및 플라스틱판의 다층 라미네이트의 생산이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접합될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접합 단계 직전에 에어로졸 코로나로 처리된다. 도 1에 따르면, 이러한 흐름-구동 플라즈마(flow-driven plasma)는 또한, 라미네이션 갭으로 직접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모노머, 분산액, 콜로이드성 시스템, 에멀젼, 또는 용액은 에어로졸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에 놓여있는 2가지의 모순된 요건을 결합한다. 접착 테이프는 이의 외부 표면들 중 하나 상에 매우 유리한 접착방지 성질을 나타내면서, 이의 다른 외부 표면 상에 매우 유리한 접착 성질을 나타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이들의 2개의 제1 표면으로 함께 플라즈마-라미네이션된 플루오로폴리머 웹 및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으로부터 생성된다. 제1 표면에 대향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제2 표면은 접착 테이프의 하나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제2 표면은 접착 테이프의 다른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한편, 플루오로폴리머 웹은, 여기에 접착하는 섬유 복합 물질이 진공 주입 공정 또는 모울드에서 수행되는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접착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의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에 의해 형성된, 다른 외부 표면은 모울드에 매우 유리하게 접착한다.
본질적으로 모순되는 이러한 요건들은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과 플루오로폴리머 웹 간의 접촉 표면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플루오로폴리머 필름의 제1 표면 및 실리콘 접착제 물질의 제1 표면이 서로 라미네이션되기 전에 플라즈마 처리로 수행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모순되는 요건들의 문제를 해결한다.
대조적으로, 종래 기술은 사전처리가, 접착제 또는 자가-접착 테이프에 대해 더 큰 고정력(anchoring force)을 형성시키기 위해, 주로 캐리어 물질 또는 접합될 부분, 즉, 접착될 표면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력이 처리되지 않은 접합될 부재와 비교하여 상응하는 플라즈마/코로나 처리에 의해 명확하게 증가된다는 것이 사실이지만,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를 격지 않는 다수의 시스템에서, 종래 기술의 코로나 및 플라즈마 시스템으로 극복할 수 없는 특정 한계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이에 대한 이유는 접착제 물질의 특성 및 기판과 이의 상호작용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작용은 주로 상이한 쌍극자 작용을 갖는 작용기를 통해 일어난다. 이러한 작용기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 상에 형성되고, 다면적이고 상이한 타입을 갖는다. 이러한 것은 본질적으로, 대기 산소와의 반응에 의해 표면과 플라즈마 간의 접촉이 종료된 후에 형성된다. 이러한 기는 부분적으로 그리고 사용되는 공정 가스 및 공정 모드에 의한 좁은 한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될 부재들 사이에 공유 결합이 형성될 수 있는 경우에만 상당한 증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적합한 공정에 의해, 이의 라디칼이 처리될 표면 상에서 가스상 성분들과 먼저 반응하지 않고 이의 공유 결합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한 지의 질문을 제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화합물을 달성하기 위한 접착제 물질 및 캐리어 물질의 물리적 표면 개질의 상술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핵심은 접착제 층과 캐리어 물질 간에 더 강력한 고정(anchoring)의 달성이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 라미네이션 갭을 이용하여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제1 표면과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제1 표면 간에 분리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라미네이션 갭이 압력 롤러, 및 역압을 가하는 역압 롤러에 의해 형성되며, 2개의 제1 표면이 압력 롤러와 역압 롤러 사이에 서로 가압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러를 이용하여, 연속 라미네이션이 유리하게 달성되고, 이에 따라, 연속 진행 공정(continuously running process)을 제공한다.
롤러의 원주면(circumferential surface)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유전체가 갖추어져 있다. 유전체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전기 전도성 롤러들 사이에 강한 교류 전압이 생성되게 한다. 롤러들 사이에 생성된 교류장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 플라즈마가 웹 형태의 2개의 물질이 함께 라미네이션되는 선까지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코로나 처리와 플라즈마 처리가 명확하게 구별된다. 플라즈마 처리가 하기에 언급될 때, 이는 실제로 단지 이러한 처리만을 지칭한다.
이러한 경우에,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은 라미네이션 갭으로 동일한 웹 방향으로 진행한다.
플라즈마가 라미네이션 갭에서 형성됨에 따라,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은 플라즈마 중에서 이의 개개 제1 표면들로 함께 라미네이션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플라즈마로 처리되는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및/또는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표면 상의 임의의 포인트는 플라즈마 처리의 시작부터 라미네이션 갭까지의 경로를 2.0초 미만, 바람직하게, 1.0초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 0.5초 미만의 시간 동안 가로지른다. 0.5초 미만, 바람직하게, 0.3초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 0.1초 미만의 시간이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라미네이션 갭은 압력 롤러, 및 라미네이션을 위해 요망되는 역압을 가하는 역압 롤러에 의해 형성된다. 롤러는 바람직하게,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정확하게 동일한 원주 속도로 회전한다.
라미네이션 갭에서, 롤러의 원주 속도 및 회전 방향은 웹 형태의 제1 물질 및 제2 물질의 웹 속도 및 웹 방향과 동일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추가 웹은 또한, 동일한 웹 속도 및 웹 방향을 나타낸다.
롤러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 직경은 50 내지 500 mm이다. 유리하게, 롤러의 원주면은 매끄럽고, 특히, 폴리싱된다.
롤러의 표면 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 50 ㎛ 미만, 및 바람직하게, 10 ㎛ 미만이다. 최종 표면 처리의 품질(quality)에 대한 산업 표준인 "Ra"는 평균 거칠기 높이, 특히, 평가 범위 내에서 거칠기 프로파일(roughness profile)의 중심선으로부터의 평균 절대 거리이다.
유전체로 코팅되지 않은 롤러의 표면은 강(steel), 스테인레스강 또는 크롬-도금 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면은 또한, 니켈- 또는 금-도금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전기 전도성이어야 하고, 플라즈마의 영향 하에서 전도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표면은 부식 또는 플라즈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또한, 2개의 롤러를 오일, 물, 스팀, 전기 또는 다른 온도 매질로 -40℃ 내지 200℃의 바람직한 범위에서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롤러는 바람직하게, 가열되지 않는다.
하나의 롤러 또는 롤러 둘 모두의 전체 원주면(또한 간단하게 표면으로서 지칭됨), 즉 롤러(들)의 전체 원주를 코팅하는 유전체의 층에 대하여, 선택된 물질은 바람직하게,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또는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틸 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폴리이소프렌 고무(IR) 또는 실리콘이다.
유전체는 롤러(들)를 견고하게 둘러싸지만, 또한, 예를 들어, 2개의 절반-쉘 또는 탄성 튜브 형태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롤러 또는 롤러들 상의 유전체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 1 내지 5 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가 롤러들 중 하나의 원주면을 단지 일부 덮는 부수적으로 진행하는 웹(또는 두 롤러 모두의 원주면을 단지 일부 덮는 2개의 부수적으로 진행하는 웹)이 아니라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갭을 형성하는 롤러 쌍 중 단지 하나가 유전체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갭을 형성하는 롤러 쌍 둘 모두가 유전체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 플라즈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노즐과 롤러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 또는 질소와 함께 운용하여 생성된다.
플라즈마 처리는 ± 0.05 bar에 가까운 압력에서 또는 대기압에서 수행된다.
플라즈마 처리는 다양한 대기(atmosphere)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대기는 또한,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대기는 예를 들어, N2, O2, H2, CO2, Ar, He, 및 암모니아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가스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또한, 수증기 또는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탄화수소에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공된 이러한 목록은 결코 제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하기의 순수한 또는 혼합된 공정 가스는 처리 대기, 즉 N2, 압축 공기, O2, H2, CO2, Ar, He, 암모니아, 에틸렌, 실록산, 아크릴산, 및/또는 용매를 형성하며, 또한, 수증기 또는 다른 휘발성 성분들에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N2 및 압축 공기가 바람직하다.
대기압 플라즈마는 공정 가스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90 부피% 질소 및 적어도 하나의 희가스, 바람직하게, 아르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혼합물은 질소 및 적어도 하나의 희가스로 이루어지며, 혼합물은 더욱 바람직하게, 질소 및 아르곤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코팅 또는 중합 성분들은 또한, 가스(예를 들어, 에틸렌) 또는 유체(증기화되거나 에어로졸로서 분무화됨)로서 대기와 혼합될 수 있다. 실제로 적합한 에어로졸은 제한하지 않는다.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플라즈마 기술은 이러한 경우에 전극의 오염 위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로졸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이의 함량은 5 부피%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술된 노즐 타입 모두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키고 웹 형태의 물질에 작용하는 데 적합하며, 단, 플라즈마는 라미네이션 갭에 진입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작용한다.
플라즈마 처리의 가능한 변형예는 고정 플라즈마 제트(stationary plasma jet)의 사용이다.
다른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는 충분한 폭의 갭부재, 일부 중첩 처리를 위해 오프셋이 필요한 경우에, 다수의 노즐의 배열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하는 원형 노즐 또는 회전하지 않는 원형 노즐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하게 연장하는, 가스 배출 개구를 갖는 선형 전극이 특히 적합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러한 것은 상기 갭의 전체 길이에 걸쳐 라미네이션 갭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나타낸다.
추가 변형예에 따르면, 플라즈마는 금속 플레이트, 금속 로드, 또는 금속 와이어의 에지와, 유전체로 코팅된 롤러 또는 롤러들 사이에서 연소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플레이트, 로드, 또는 와이어의 에지는 라미네이션 갭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라즈마 발생기는 라미네이션 갭 쪽으로 향하는 외부 에지까지 절연체로 덮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갭으로부터의 플라즈마 발생기의 처리 거리는 1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 3 내지 50 mm, 및 특히 바람직하게, 4 내지 20 mm이다.
바람직하게, 플라즈마 발생기는 롤러 축이 차지하는 평면에 대해 또한 수직인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향 변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라미네이션 갭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그리고 동시에 상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웹이 라미네이션 갭 내로 유도되는 속도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200 m/분, 바람직하게, 1 내지 50 m/분, 및 특히 바람직하게, 2 내지 20 m/분이다(개개 범위는 경계값을 포함함).
특히 바람직하게, 웹은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웹으로서 사용된다.
플루오로폴리머 또는 불화 폴리머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오로지 탄소 원자로만 구성되는 불화 폴리머와 주쇄에서 헤테로원자를 갖는 것들 둘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자 기의 예시는 올레핀성 불포화 불화 모노머의 호모- 및 코폴리머이다.
이러한 모노머로부터 생성된 플루오로폴리머는 가황화에 의해 이로부터 얻어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로열가소성물질, 플루오로고무 및 플루오로엘라스토머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다. 주쇄에서 헤테로원자를 갖는 플루오로폴리머 중 가장 중요한 예시는 폴리플루오로실록산 및 폴리플루오로알콕시포스파젠이다.
바람직하게, 플루오로폴리머 웹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7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 90 중량%, 및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 95 중량%까지(각 경우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전체 조성을 기준으로 함)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루오로폴리머 웹을 형성하는 폴리머는 100 중량%까지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플루오로폴리머로 이루어진다. 플루오로폴리머는 또한, 임의적으로, 하기에 기술되는 첨가제에 첨가될 수 있다. 후자는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특히,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FE(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FEP(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VDF(폴리(1,1-디플루오로에텐) 또는 PFA(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머)는 플루오로폴리머, 또는 상기 언급된 플루오로폴리머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적합하다.
PTFE는 테트라플루오로에텐 모노머로 구성되는 플루오로폴리머를 지칭한다.
ETFE는 모노머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또는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에틸렌으로 구성된 불화 코폴리머이다.
불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로도 불리는 FEP는 테트라플루오로에텐과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의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PVF는 비닐 플루오라이드로부터 생성된 폴리머(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이다.
PCTFE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된 폴리머(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이다.
ECTFE는 에틸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된 코폴리머이다.
PVDF는 1,1-디플루오로에텐(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부터 생산 가능한 플루오로폴리머를 지칭한다.
PFA는 기본 단위로서
Figure pct00001
와 같은 그룹화로 되어 있는 코폴리머[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코-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를 지칭한다. PFA는 테트라플루오로에텐 및 퍼플루오로알콕시 비닐 에테르(예컨대, 퍼플루오로비닐 프로필 에테르, n = 3)의 공중합으로부터 생성된다.
플루오로폴리머는 추가의 폴리머와 혼합될 수 있고, 여기서 플루오로폴리머는 다른 폴리머와 양호한 혼화성을 나타내야 한다.
적합한 폴리머는 올레핀성 폴리머, 예컨대, 블록(충격) 및 랜덤 폴리머를 포함하여, 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여기서, 용어 코폴리머는 테르폴리머를 포함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이다.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되는 추가의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설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및/또는 폴리아릴렌 옥사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플루오로폴리머 웹을 형성시키기 위한 폴리머는 순수한 형태로, 또는 첨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블로킹방지제, 윤활 및 가공 보조제, 충전제, 염료, 안료 및 발포제 또는 핵생성제와의 배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염료를 제외하고 상기 언급된 첨가제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염료는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은 1-, 2-, 또는 다성분 접착제 시스템일 수 있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은 먼저 PE 또는 PET를 포함하는 필 필름(peel film)에 적용되거나 이러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생산 공정 동안 여기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필 필름에 실리콘 접착제 물질의 적용은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고 이후에, 스프레딩 바(spreading ba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필 필름에 걸쳐 일정한 두께의 실리콘 접착제 물질 층을 형성시킨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층은 이후에 가교되는데, 가교는 바람직하게, 300℃ 이하, 바람직하게, 200℃ 미만의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실리콘 접착제 층은 이전에 또는 이후에 건조될 수 있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의 가교 후에, 영구 점착성의 실리콘 접착제 물질 층이 생성된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제1 표면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의 제1 표면은 상술된 플라즈마 방법에서 활성화되고, 활성화 동안 서로 라미네이션된다. 이는 두 제1 표면 모두 상에 라디칼과 작용기 둘 모두의 형성을 야기시키지만, 이는 주변 공기 또는 공정 가스의 분자와 반응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지만, 서로 직접적으로 라미네이션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제1 표면의 라디칼은 또한 이러한 것이 서로 라미네이션될 때 직접적으로 반응하며, 그 결과로, 특히 높은 결합 강도를 형성시키는 2개의 제1 표면 간에 공유 결합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도면을 갖는 실시예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도면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미네이션 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T 박리 시험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제1 출발 웹으로서, ETFE 필름은 플루오로폴리머 웹(1)으로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소정 폭, 일정한 두께, 및 불확정 길이(indeterminate length)를 갖는 웹 형태로 제공되었다. 제2 출발 웹으로서, Marke Dow Corning 7657로부터의 Syl-Off 4000의 50 g/㎡ 두께의 열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을 제공하였다. 열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은 또한, 실리콘 접착제 웹(2)으로서, ETFE 웹의 폭으로 조정되고 바람직하게 이와 일치하는 폭을 갖는, 웹 형태를 가지며, 실리콘 접착제 웹의 길이는 또한 불확정적이다.
도 1은 라미네이션을 위해 요망되는 역압을 형성시키는, 압력 롤러(4) 및 역압 롤러(6)에 의해 형성된 라미네이션 갭(3)을 도시한 것이다. 직경 및 이의 종방향 연장이 동일한 롤러들(4, 6)은 동일한 원주 속도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한다. 유전체 층(7)이 압력 롤러(4)를 완전히 둘러싸게 압력 롤러(4)에 적용되고, 압력 롤러(4)의 전체 종방향 범위를 따라 압력 롤러(4)의 전체 외부 표면에 적용된다. 유전체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 1 내지 5 mm이다. 유전체는 유리하게,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또는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또는 폴리이소프렌 고무(IR)로 이루어진다.
라미네이션 갭(3)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고주파수 교류 전압(16 kV, 14 kV)이 압력 롤러(4)와 역압 롤러(6) 사이에 적용된다. 공정 가스(9)는 공정 가스 노즐(8)을 통해 라미네이션 갭(3)에 공급된다. 다양한 시험에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공정 가스(9)로서 사용되었지만, 다른 공정 가스 또는 이러한 공정 가스들의 혼합물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에 가까운 압력, 즉, 대기압 ± 0.05 bar 또는 대기압에서 수행된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1)은 라미네이션 갭(3)에 동일한 웹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웹 속도는 0.5 내지 200 m/분, 바람직하게, 1 내지 50 m/분, 및 특히 바람직하게, 2 내지 20 m/분이다.
라미네이션 갭(3)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의 제1 표면 및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의 제1 표면은 함께 라미네이션되고, 즉, 함께 가압되어, 접착 테이프(11)를 형성하는 라미네이트가 형성되게 한다. 2개의 제1 표면은 라미네이션 시에, 이러한 것이 서로 직접 접촉하거나, 서로에 대항하는 압력 하에서 가압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이러한 것이 함께 라미네이션되기 전에, 2개의 제1 표면은 라미네이션 갭(3) 전에 개시하고 라미네이션 갭(3)에 진입할 때까지 2개의 제1 표면 상에서 플라즈마가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이의 전체 표면에 걸쳐 플라즈마-처리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은 도 1에 따른 라미네이션 갭(3) 바로 앞 그리고 도 1에 따른 라미네이션 갭(3)에서 수행된다. 수행되는 시험에서, 라미네이트는 플라즈마 라미네이션 후 40℃에서 3일 동안 저장되었으며, 발생된 분리력은 T 박리 시험에 의해 결정되었다.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과 플루오로폴리머 웹(1) 사이에 나타나는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발생된 분리력은 도 2에 따른 T 박리 시험에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분리 필름(미도시됨)을 떼어낸 후에 적용 가능한 경우에,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이 화학적으로 에칭된 PET 필름(12) 상에 접착되고, 이후에, PET 필름(12) 및 플루오로폴리머 필름(1)이 180°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를 위해 요구되는 힘이 측정된다.
표 1은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ct00002
처음 3가지 시험(표 1에서 처음 3개의 셀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읽은 것이다)에서, 플루오로폴리머 필름(1)은 공정 가스(9)로서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함께 코로나 사전처리로 수행되었고, 이후에, 이미 열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과 라미네이션되었다. T 박리 시험에서 결정된 분리력은 3.15 N/cm, 3.89 N/cm 및 3.49 N/cm이었으며, 3가지 경우 모두에서, 단지 플루오로폴리머 웹(1) 만이 코로나 사전처리로 수행되었다.
4번째, 5번째, 및 6번째 시험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은 또한, 코로나 공정에서 사전처리되었으며, 여기서,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다시 공정 가스로 사용되었다. 이 후에, 가교되지 않은 실리콘 접착제 물질이 플루오로폴리머 웹(1)의 사전처리된 제1 표면에 적용되고, 단지 이후에, 열 가교되었다. 분리력은 사용되는 공정 가스에 따라 7.27 N/cm, 7.17 N/cm 및 7.25 N/cm로 처음 3가지 시험에서보다 상당히 더 높았다.
7번째 시험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 및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은 공기로 이루어진 공정 가스로 사전처리되었다. 2개의 웹(1, 2)의 2개의 제1 표면의 라미네이션이 이후에 수행되었다. 6.98 N/cm의 분리력이 발생되었다.
플루오로폴리머 웹(1)의 제1 표면 및 이미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의 제1 표면 둘 모두의 플라즈마 처리가 수행되었고 플라즈마 처리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라미네이션이 수행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라미네이션 방법에서, 7.63 N/cm의 가장 높게 측정된 분리력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라미네이션 방법은 또한, 가교되지 않은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의 경우에 분리력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의 목록
1 플루오로폴리머 웹
2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
3 라미네이션 갭
4 압력 롤러
6 역압 롤러
7 유전체
8 공정 가스 노즐
9 공정 가스
11 접착 테이프
12 PE 또는 PET 필름

Claims (11)

  1. 플루오로폴리머 웹(1) 및 바람직하게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을 라미네이션 갭(lamination gap)(3)에 동일한 공급 방향으로 공급하고, 바람직하게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 및 플루오로폴리머 웹(1) 각각을 개개 제1 표면으로 함께 라미네이션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의 제1 표면 및 바람직하게 가교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의 제1 표면은 플라즈마에 의해 활성화되며,
    플라즈마는 라미네이션 갭(3) 앞에서 시작하여 라미네이션 갭(3)에 진입할 때까지, 대기압 하에서 2개의 제1 표면 상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며, 2개의 활성화된 제1 표면은 라미네이션 갭(3)에서 서로 가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이 열적으로, 또는 수분, 전자빔 또는 UV 조사의 작용에 의해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과 가교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 또는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희가스가 공정 가스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이 300 ㎛ 미만의 층 두께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실리콘 접착제 물질 웹(2)이 100 ㎛ 미만의 층 두께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션 갭(3)이 압력 롤러(4) 및 역압 롤러(6)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압력 롤러(4) 또는 역압 롤러(6)의 하나의 표면이 유전체(7)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유전체(7)가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틸 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폴리이소프렌 고무(IR) 또는 실리콘의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로폴리머 웹(1)이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FE(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FEP(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VDF(폴리(1,1-디플루오로에텐) 또는 PFA(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머), 또는 상술된 플루오로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의 군의 플루오로폴리머들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플루오로폴리머가 올레핀계 폴리머, 특히, 올레핀,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여기에서, 용어 코폴리머는 테르폴리머(terpolymer)를 포함하는 것과 유사하게 이해되어야 함), 블록(충격) 및 랜덤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의 군으로부터의 추가 폴리머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추가 폴리머가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설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및/또는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26207A 2016-02-17 2017-02-16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108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2424.8 2016-02-17
DE102016202424.8A DE102016202424A1 (de) 2016-02-17 2016-02-17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es mittels Plasmalamination
PCT/EP2017/053504 WO2017140782A1 (de) 2016-02-17 2017-02-1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es mittels plasmalamin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825A true KR20180108825A (ko) 2018-10-04

Family

ID=5809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207A KR20180108825A (ko) 2016-02-17 2017-02-16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5394B2 (ko)
EP (1) EP3417027A1 (ko)
KR (1) KR20180108825A (ko)
CN (1) CN108699399A (ko)
DE (1) DE102016202424A1 (ko)
WO (1) WO2017140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0814A1 (de) * 2019-04-26 2020-10-29 Hochschule Für Angewandte Wissenschaft Und Kunst Hildesheim/Holzminden/Göttingen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extilien mit einem physikalischen Plasma
WO2021003244A1 (en) 2019-07-01 2021-01-0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Profile connection
BR112022025747A2 (pt) 2020-06-19 2023-01-03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Artigo compósito e método para formação de um artigo compósito
CN111793443B (zh) * 2020-07-23 2022-01-28 温州市宏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高粘性胶带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60432C3 (de) 1974-12-20 1984-01-05 Klaus 4803 Steinhagen Kalwar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einer Flachfolienbah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oder von zwei- oder dreilagigen, bahnförmigen Verbundwerkstoff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weilagigen, bahnförmigen Verbundwerkstoffen
DE2754425A1 (de) 1977-12-07 1979-06-13 Klaus Kalwa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zwei- oder mehrlagigen bahnfoermigen verbundwerkstoffen
DE4127723A1 (de) 1991-08-03 1993-02-04 Hoech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mehrschichtiger laminate
DE19802662A1 (de) 1998-01-24 1999-07-29 Kuesters Eduard Masch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folien
DE19846814C2 (de) 1998-10-10 2002-01-17 Kuesters Eduard Maschf Einrichtung zum Zusammenkaschieren von Bahnen
DE10146295A1 (de) * 2001-09-19 2003-04-03 Wipak Walsrode Gmbh & Co Kg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von Materialien mittels atmosphärischen Plasma
DE10347025A1 (de) 2003-10-07 2005-07-07 Tesa Ag Beiseitig klebend ausgerüstetes Klebeband zur Fixierung von Druckplatten, insbesondere von mehrschichtigen Fotopolymer-Druckplatten auf Druckzylindern oder Hülsen
DE102005027391A1 (de) 2005-06-13 2006-12-14 Tesa Ag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bzw. Verklebung von LC-Displays mit licht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5309714B2 (ja) * 2007-07-04 2013-10-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性能を有す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粘着テープ
DE102007063021A1 (de) 2007-12-21 2009-06-25 Tesa Ag Corona-behandelte Klebemassen
DE102008038595A1 (de) * 2008-08-21 2010-02-25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ndförmigen Laminaten
JP2010189518A (ja) * 2009-02-17 2010-09-02 Seiko Epson Corp 接合方法および接合体
DE102010044114A1 (de) * 2010-11-18 2012-05-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Verbinden von Substraten und damit erhältliche Verbundstruktur
CA2835051A1 (en) * 2011-05-06 2012-11-15 Tesa Se Method for increasing the adhesive propertie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unds on substrates by way of plasma treatment
DE102011075470A1 (de) 2011-05-06 2012-11-08 Tesa Se Klebeband, bevorzugt Selbstklebeband, bestehend aus mindestens zwei direkt aufeinander laminierten Schichten A und B, wobei mindestens eine oder beide Schichten A oder B eine Klebmasse ist
CN103649251B (zh) * 2011-05-06 2016-08-31 德莎欧洲公司 增加具有上表面和下表面的压敏胶粘剂层的粘合性的方法
KR20130141985A (ko) * 2012-06-18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2개 표면을 결합시키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
DE102013221847A1 (de) 2013-08-01 2015-02-05 Tesa Se Verfahren zum Formen eines Körpers in einer Form
CN103421200B (zh) 2013-09-06 2016-09-14 成都同明新材料技术有限公司 提高聚四氟乙烯粘接性能的方法及其压敏胶带的生产方法
DE102014217821A1 (de) * 2014-09-05 2016-03-10 Tesa Se Verfahren zur Erhöhung der Adhäsion zwischen der ersten Oberfläche eines ersten bahnförmigen Materials und einer ersten Oberfläche eines zweiten bahnförmigen Materials
DE102014217800A1 (de) * 2014-09-05 2016-03-10 Tesa Se Verfahren zur Erhöhung der Adhäsion zwischen der ersten Oberfläche eines ersten bahnförmigen Materials und einer ersten Oberfläche eines zweiten bahnförmigen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2424A1 (de) 2017-08-17
US10815394B2 (en) 2020-10-27
CN108699399A (zh) 2018-10-23
EP3417027A1 (de) 2018-12-26
US20190048230A1 (en) 2019-02-14
WO2017140782A1 (de)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825A (ko) 플라즈마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US20190048231A1 (en) Making adhesive silicone substances adhere to fluoropolymer films using a corona treatment
US6517657B1 (en) Fluoropolymer composite tube and method of preparation
JPH0667596B2 (ja) 重合体積層構造体の層間接着方法
JP2001519449A (ja) ポリマーのコロナ処理
EP2530112A1 (en) Surface-treatment method for a fluorine resin molded body, and fluorine resin molded body
US6299787B1 (en) Surface modification of polymers
CN108189525B (zh) 一种提高复合薄膜粘接性能的方法
JP5318876B2 (ja) 大気圧プラズマ蒸着による基板の安定な親水性強化のための方法
JP5895468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成形体
TW201615428A (zh) 一種提高第一卷狀材料之第一表面及第二卷狀材料之第一表面之間的黏著力之方法
CN107406725B (zh) 低温等离子体处理
US20170275499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a first web-shaped material and a first surface of a second web-shaped material
US20190040282A1 (en) Increasing the pull-off force by selective plasma pretreatment
WO2018221665A1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2643B2 (ja) ゴム系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5548520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70283656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a first web-type material and a first surface of a second web-type material
EP2960054A1 (en) Surface-treated films with polypropylene base
US6106904A (en) Method for promoting adhesion between a backing and an adhesive composition
Petrie Adhesive Bonding of Polyolefin
WO1998030646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improved adhesion between the surfaces of two polymer compositions
JPS6287310A (ja) ゴム系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H08198984A (ja) フッ素樹脂フィルムの表面改質法
AU724068B2 (en) Surface modification of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