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331A -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331A
KR20180108331A KR1020170037935A KR20170037935A KR20180108331A KR 20180108331 A KR20180108331 A KR 20180108331A KR 1020170037935 A KR1020170037935 A KR 1020170037935A KR 20170037935 A KR20170037935 A KR 20170037935A KR 20180108331 A KR20180108331 A KR 2018010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oringa
composition
pomegran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781B1 (ko
Inventor
최범락
박혜림
이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03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781B1/ko
Priority to US15/927,464 priority patent/US10155019B2/en
Priority to JP2019547377A priority patent/JP6929954B2/ja
Priority to EP18771148.6A priority patent/EP3603422B1/en
Priority to CN201880020141.6A priority patent/CN110519997B/zh
Priority to PCT/KR2018/003348 priority patent/WO2018174589A1/ko
Publication of KR2018010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10S514/9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은 치은염 및 치주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가 인정되며, 특히 항산화, 항균, 항염 또는 치주골 소실 개선 및 재생 등의 치주질환의 직접적인 보호 및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식품,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으로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Method for improving periodontitis and alveolar bone loss of complex extracts of Moringa leaf and Eucommia Bark by anti-bacteri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effects and inhibition of alveolar bone loss}
본 발명은 치은염, 치주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은염 및 치주염의 증상 완화 효과를 넘어서, 손상된 잇몸조직의 염증완화 및 상처 치유, 치주골소실 억제 및 재생를 통한 치주염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치은염 및 치주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대표적인 만성 염증질환 [Williams, 1990; Williams and Paquette, 2000]으로 치은염과 함께 이와 관련된 치주골의 소실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allay et al., 1982; Samejima et al., 1990], 다양한 세균의 증식과 이와 관련된 염증이 강력한 병인으로 부각 되고 있으며 [Listgarten, 1987], 근래에 들어 nitric oxide의 산화 stress 가 발병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Lohinai et al., 1998], 항염, 항산화 및 골다공증 치료제 들이 이들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12; Lee et al., 2014; Park et al., 2016]. MF [Cheenpracha et al., 2010; Das et al., 2015]
현재까지 기능성 식품 또는 성분의 적절한 복합조성에 의해 효능 성분의 다양화를 통한 약효 향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Lee et al., 2008; Choi et al., 2014ab; Choi et al., 2015; Kang et al., 2015], 모링가잎 추출분말 및 두충 추출물의 복합조성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치은염, 치주염을 포함한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치주질환으로 인한 증상 완화를 넘어서, 손상된 치은 조직의 재생 또는 치주골 소실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식품조성물, 약학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잎 추출물이고, 상기 두충 추출물은 두충 껍질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 8:1 또는 8:1 - 2:1 (모링가 추출물: 두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모링가잎 추출물 또는 두충추출물 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염, 치주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는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석류추출물에는 0.5 ~ 3 mg/g의 엘라그산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이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에게 안전한 여러가지 천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치주질환 개선의 유효성을 조사하던 중,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면 치주질환 개선에 유의미한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치주질환으로 인한 증상 완화를 넘어서, 손상된 치은 조직의 재생 또는 치주골 소실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추출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석류추출물은 석류농축물을 칭한다.
모링가는 원산지가 인도인 소목이지만, 전세계 어디에서나 재배되고 모링가 나무가 널리 이용되는 많은 지역들에서 귀화되어 야생한다. 모링가과에 속하는 13종의 모링가 나무가 있으며,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모링가 올레이페라는 우산과 같이 펼쳐진 4 내지 8미터 높이의 관목으로 30 내지 70cm 길이의 잎들은 낙엽성이며, 꽃들은 흰색이고 향기가 진하며, 열매는 녹색이고 혁질성 및 현수성의 긴 삼각형상의 긴 깍지로 길이는 30 내지 40cm에 이르는 특징을 가지며,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에 자생하고, 열대 전 지역에서 재배하는 다목적 수종의 일종이다. 모링가(Moringa oleifera)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 이용가치가 높고, 의약적으로 과혈당증과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모링가의 꽃, 뿌리, 씨, 잎, 열매에는 다른 식물들에 비해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등과 같은 피토케미칼(phytochemical)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모링가의 다양한 부위들 중 잎은 β-카로틴, 단백질, 비타민 C, 칼슘 등이 풍부해 항산화제로 이용되며, 피부염증이나 피부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모링가 잎은 간기능 보호 효과, 암세포의 세포자살과 증식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모링가 잎을 사용한다.
두충(Eucommia Bark)은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두충과 Eucommiaceae))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널빤지 모양이고 양쪽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약간 말려있으며, 길이와 너비는 일정치 않고 두께는 3 ~ 7 mm이다. 바깥면은 연한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어떤 것은 뚜렷한 주름 무늬 또는 세로로 갈라진 홈 무늬가 있으며, 어떤 것은 비교적 얇다. 거친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것에서는 뚜렷한 껍질눈을 볼 수 있다. 안쪽 면은 평활하고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을 띠며 가는 세로주름이 있다. 안쪽 면은 질이 약하고 쉽게 꺾어진다. 이를 꺾으면 가늘고 은백색의 세밀하고 탄성이 풍부한 수지의 실들이 나온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가장 바깥에는 두꺼운 낙피층이 있다. 낙피층은 내측에 수층의 코르크세포가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세포들의 세포벽은 목화되었고 그 아래에는 코르크피층이 있다. 사부는 대부분을 차지하고 5~7줄의 가로로 배열한 석세포 고리가 있으며 각각의 고리 띠에는 3~5개의 석세포가 있다. 수선은 2~3열의 세포로 되었고 코르크층 가까이에 붙어있으며 때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수 근처에서는 흰색의 굳타펠카를 함유한 유세포를 볼 수 있고 이러한 유세포는 특히 사부 안쪽에 많다. 고혈압, 바이러스 감염증, 신장 질환 및 간 질환에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Hsieh and Yen, 2000; Kwan et al., 2003; Zhao et al., 2008].
길경(桔梗)은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가늘고 긴 방추형 또는 원뿔모양이며 때로 가지가 갈리기도 한다. 원뿌리는 길이 10 ~ 15 cm, 지름 1 ~ 3 c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 연한 갈색 또는 흰색이고, 위쪽 끝에는 줄기를 제거한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부근에는 가는 가로주름과 세로 홈이 있다. 근두부를 제외한 뿌리의 대부분에는 거친 세로주름과 가로 홈이 있고 껍질눈 모양의 가로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꺾기 쉽다. 횡단면은 섬유성이 아니며, 피부는 목부보다 약간 얇고 거의 흰색이며 군데군데 빈틈이 있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을 띤다. 목부는 흰색 ~ 연한 갈색이고 조직은 피부보다 약간 치밀하다. 사부는 넓고 바깥쪽의 사부수선은 구부러졌으며 사관 무리는 대부분 눌려서 퇴폐되어있다. 유관은 무리를 이루어 흩어져 있고 그 안에는 황갈색의 과립상 물질이 들어 있다. 안쪽의 사부중에는 유관무리가 사관과 동반하여 배열하고 있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고 목부는 수선이 넓고 도관은 다각형이며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치자(梔子)는 라틴명 Gardeniae Fructus인, Gardenia jasminoides Ellis (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잘 익은 열매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치거나 찐 것이다. 「新編中葯志」에 의하면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Ellis는 산치자(山梔子)라 하고, 우리나라 치자 Gardenia jasminoides Ellis var. grandiflora Nakai는 대치자(大梔子) 또는 수치자(水梔子)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한국식물명고」에 의하면 두 종은 동일한 종으로 보고 있다. 일본대만중국에 분포하며, 열매는 해열, 이담(利膽), 지혈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黃芩)은 라틴명 Scutellariae Radix인, 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뿌리는 원뿔 모양이고 비틀어져 굽어 있으며, 바깥 면은 황갈색~진한 노란색이고, 질은 단단하면서 취약하고 절단하기 쉽다. 자른 면은 노란색이고, 중심부는 적갈색이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약간 쓰다.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토, 이뇨작용이 보고되었다.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포르시톨(forsythol), 스테롤(sterol) 화합물, 사포닌(saponin),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등이 있다.
연잎은 연(Nelumbo nucifera)의 잎으로, 연은 뿌리줄기로부터 긴 잎자루와 긴 꽃대가 올라와 수면 위에서 잎과 꽃을 피우는데,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린다. 또한, 지름 40㎝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잎 표면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잔털이 촘촘히 나 있어 물이 떨어지면 방울처럼 둥글게 뭉쳐 굴러다닐 뿐 전혀 젖지 않는다. 연의 잎은 '하엽(荷葉)'이라고 하는데, 더위와 습기를 물리치고 출혈을 멎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더위와 습기로 인해 설사가 나는 것을 멎게 하고 갈증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에 쌓인 풍과 열을 맑게 하여 어지럼증을 치료하고, 각혈이나 코피, 뇨혈, 자궁출혈 등의 각종 출혈증의 치료에 좋다. 연잎은 항균작용과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미용과 정력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잎은 길이 6~10㎝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은 뾰족하거나 무디게 뾰족한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2~3갈래로 갈라지기도 하며 톱니는 없다. 바위틈이나 비탈에서 자라는 나무의 잎은 작고 가장자리가 심하게 갈라지고 꼬리가 길다. 만져보면 두툼하다. 앞면과 잎자루에 잔털이 있다. 뒷면에는 융털이 있다. 가을에 노랗게 물든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새앙새양이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뿌리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만들어진 가짜 줄기가 곧게 서고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꽃은 포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가 4~7.6cm이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이고 화관의 끝 부분은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방은 하위(下位)이고 암술대는 실처럼 가늘다.
작약은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또는 기타동속근연식물(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를 칭한다. 뿌리로 원주상이며 때로 구부러져 있고 길이 5 ~ 20 cm, 지름 10 ~ 25 mm이며 큰 뿌리는 세로로 쪼개져 있다. 바깥면은 흰색 또는 갈색을 띠고 깨끗하나 세로 주름이 뚜렷하며 때로 주름 또는 잔뿌리의 잘린 자국이 오목하게 패어 있고 가로로 껍질눈이 뚜렷하며 뿌리 상부에는 줄기 자국이나 덜 벗겨진 갈색의 껍질이 간혹 남아있다. 질은 단단하며 쉽게 꺾어지지 않는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볼 때 입상이고 매우 치밀하며 형성층이 뚜렷하고 유백색 또는 갈색이며 방사상으로 된 수선과 형성층이 보인다.
우슬은 쇠무릅(Achyranthes japonica Nakai) 또는 우슬 (牛膝)(Achyranthes bidentata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원기둥모양의 원뿌리에 가늘고 긴 측근이 많이 붙어있으며 길이 5~20 cm, 지름 3~5 mm이다. 뿌리의 윗부분에는 줄기가 짤막하게 남아있다. 바깥면은 회색빛을 띤 노란색 ~ 연한 노란색이다. 질은 단단하나 쉽게 꺾이며 꺾인 면은 각질이고 황백색~황갈색이다.
레드클로버(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홍차축초(紅車軸草), 붉은토끼풀, 홍삼엽, 또는 금화채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과 서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 재배되고 있는 직립형 목초이다. 레드클로버는 사료용으로 쓰이기도 하며, 봄에 어린 잎을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레드클로버는 거담 효과가 있어서 기침이나 천식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상부(aerial parts) 및 뿌리부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지상부를 사용한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속씨식물문의 쌍자엽강에 속하는 식물로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잎은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길이가 6~15cm, 폭이 1.2~5cm이며 깃꼴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약간 있다.
민들레 뿌리는 길이가 7~8.5mm이고 관모는 길이가 6mm이며 연한 흰빛이 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는 각각의 식물을 설명하며 특정된 부위 외에도 그의 잎, 줄기, 나무껍질, 뿌리, 꽃 또는 꽃눈, 과실, 종자, 수액 및 전체 식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식물 전체 또는 임의의 부분을 분쇄한 다음(예를 들어, 블렌더),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분쇄 전에 건조 과정을 거친 다음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용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 ~ 4의 저급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이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대상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 또는 5 내지 20배, 더 바람직하게 5 내지 10배, 가장 바람직하게 5 내지 8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온도, 추출시간, 추출기압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100-150℃, 5-10시간, 0.1-0.3Mpa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추출 공정, 예를 들어, 온침(maceration), 인퓨전(infusion), 퍼콜레이션(percolation), 소화, 전즙(decoction), 고온 연속 추출(hot continuous extraction), 수성-알코올성 추출, 역류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조직편 추출(phytonic extract) (예를 들어,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용매) 등)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드클로버 추출물에는 이소플라본이 포함되며, 전체 레드클로버 추출물 대비 50 - 400 mg/g의 이소플라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드클로버 추출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농도의 이소플라본를 수득할 수 있는 이유는 원료 산지의 차이, 사용 부위의 종류, 상술한 특정 제조방법(예컨대, 추출용매)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충 추출물에는 디글루코사이드(Pinoresinol diglucoside)가 포함되며, 전체 두충 추출물 대비 1.0 15mg/g 피노레시놀 디글루코사이드(Pinoresinol diglucoside)가 포함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두충 추출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농도의 피노레시놀 디글루코사이드를 수득할 수 있는 이유는 원료 산지의 차이, 사용 부위의 종류, 상술한 특정 제조방법(예컨대, 추출용매)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추출물에는 아스트라갈린(Astragalin)이 포함되며, 전체 모링가 추출물 대비 1.2 - 5mg/g의 아스트라갈린이 포함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모링가 추출물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농도의 아스트라갈린을 수득할 수 있는 이유는 원료 산지의 차이, 사용 부위의 종류, 상술한 특정 제조방법(예컨대, 추출용매)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석류(Pomegranate, Punica granatum L)는 아시아 서남부, 인도 북서부 및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생 식물로서, 현재는 아열대 및 열대 각지에 널리 퍼져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석류, 특히 적석류는 강장제로 알려져 왔으며, 특히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용성 당질이 38 내지 47%로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석류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적석류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 이란, 캘리포니아, 대만, 우즈베키스탄, 터키 및 한국산 적석류를 들 수 있다. 예컨대 터키산 석류 품종에는 Hicaznar pomegranate cv., Cekirdeksiz VI pomegranate cv., Silifke Asisi pomegranate cv., Katirbasi pomegranate cv. 또는 Lefan pomegranate cv.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 추출물은 이용된 석류의 산지 및 수확 시기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농축물"은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수득하는 농축액, 농축액의 희석액, 상기 농축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농축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농축액 자체 및 농축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농축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한 석류 부위는 석류 과육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농축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석류를 세척한 후, 껍질과 씨를 완전히 제거하고, 고온에서 단시간 내에 살균하고, 전분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석류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 등 다당류를 분해한다. 그 후, 선택적으로 젤라틴, 실리콘 디옥사이드, 벤토나이트, 실리카솔(silicasol), 탄닌, 셀룰로오스 또는 칼륨 카제이네이트(casseinate)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석류농축물의 탁도, 색상, 점도 등을 조절하고, 가열 농축하여 석류농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추가로 각 단계 사이에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대 껍질과 씨 제거하는 단계 다음 고온 살균하는 단계 전, 전분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다음 농축 단계 전, 또는 농축 단계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여과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S1) 석류의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석류 과육만을 수득하는 단계;
S2) 석류 과육을 100 - 105 ℃에서 50 - 80 초 동안 살균 후 48 - 55 ℃로 냉각하는 단계;
S3) 냉각된 석류 과육에 48 - 55 ℃에서 전분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및
S4) 석류 과육 분해물을 순차적으로 70 - 100 ℃ 및 400 - 850 mbar에서 가온가압하여 2회 이상 가열농축하고, 40 - 80 ℃ 및 100 - 350 mbar에서 감온감압하여 1회 이상 가열농축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S1 단계 다음 S2 단계 전, S3 단계 다음 S4 단계 전, 및 S4 단계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 석류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석류 과육만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은 석류 껍질과 과씨를 포함하지 않은 석류 과육만을 이용한 추출물을 제공한다. 석류의 껍질과 과씨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석류 껍질에 포함된 특정 알칼로이드(alkaloid)는 신체 기능을 저하하는 작용을 하며, 호흡계와 근육에 영향을 미쳐, 중독되면 발작, 경련, 혼수상태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석류 과씨의 추출물 복용시 일부 사람에게서 알러지인 혀 부음(tongue swelling)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S2) 석류 과육을 100 - 105 ℃에서 50 - 80 초 동안 살균 후 48 - 55 ℃로 냉각하는 단계
석류 과육은 순차적으로 살균 후 냉각하는 단계를 거친다. 살균은 100 - 105 ℃에서 50 - 80초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 55 - 70초 동안 신속히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48 - 55 ℃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냉각된 석류 과육에 48 - 55 ℃에서 전분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냉각된 석류 과육에 전분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친다. 바람직하게 48 - 55 ℃에서 10 - 60분간 실시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48 - 55 ℃에서 20 - 40분간 실시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전분분해효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전분분해효소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펙틴아제(pectinase), 프로테인아제(proteinase), 아밀라제, 셀룰라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펙틴아제를 이용할 수 있다.
S4) 석류 과육 분해물을 순차적으로 70 - 100 ℃ 및 400 - 850 mbar에서 가온가압하여 2회 이상 가열농축하고, 40 - 80 ℃ 및 100 - 350 mbar에서 감온감압하여 1회 이상 가열농축하는 단계
석류 과육 분해물을 순차적으로 가온가압하여 가열농축하고, 감온감압하여 가열농축하는 단계를 거친다.
바람직하게, 가온가압하여 2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3회 이상 가열농축하고, 감온감압하여 1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2회 이상 가열농축할 수 있고, 총 3회 이상 가열농축할 수 있다.
가온가압하여 가열농축하는 것은 온도 조건 70 - 100 ℃ 및 압력 조건 400 - 850 mbar 범위 내에서 이뤄지며, 가열농축 차수(횟수)별로 온도 및 압력을 달리하되 상기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온도를 가온하고 압력을 가압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70 - 85℃ 에서 400 - 550 mbar로 1차 가열농축, 85 - 92℃에서 550 - 750 mbar로 2차 가열농축, 및 92 - 100℃에서 750 - 850 mbar에서 3차 가열농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78 - 82℃ 에서 450 - 500 mbar로 1차 가열농축, 85 - 90℃에서 600 - 650 mbar로 2차 가열농축, 및 92 - 98℃에서 800 - 850 mbar에서 3차 가열농축할 수 있다.
감온감압하여 가열농축하는 것은 온도 조건 40 - 80 ℃ 및 압력 조건 100 - 350 mbar 범위 내에서 이뤄지며, 가열농축 차수(횟수)별로 온도 및 압력을 달리하되 상기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온도를 감온하고 압력을 감압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60 - 80℃에서 250 - 350 mbar에서 4차 가열농축 및 40 - 60℃에서 100 - 250 mbar에서 5차 가열농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65 - 72℃에서 300 - 330 mbar에서 4차 가열농축 및 45 - 55℃에서 100 - 150 mbar에서 5차 가열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 농축물에는, 석류 농축물의 총 중량 대비 0.5 ~ 3 mg/g의 엘라그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 농축물의 엘라그산 함량이 높은 이유는 원료인 석류 산지의 차이, 과육만의 이용, 상술한 특정 제조방법(예컨대, 농축방법, 가열온도 및 압력)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본 발명은,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된다"는 의미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내지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타겟 세포로의 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formulation) 가능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각각의 성분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의 중량비는 1:1 - 8:1 또는 8:1 - 2:1 (모링가 추출물: 두충 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중량비는 2:1 - 4:1 (모링가 추출물: 두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에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각각의 추출물 (및 농축물)이 조성물의 최종 형태 중에 적어도 약 0.0001% ~ 90%, 0.001% ~ 90%, 0.01% ~ 90%, 0.1% ~ 90%, 0.1% ~ 90%, 0.1% ~ 80%, 0.1% ~ 70%, 0.1% ~ 60%, 0.1% ~ 50%, 0.1% ~ 40%, 0.1% ~ 30%, 0.1% ~ 20% 또는 0.1% ~ 10%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적어도 약 0.0001%, 0.001%, 0.01%, 0.1%, 1%,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9% 이상의 범위로 본 발명의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중량 또는 총 부피 대비 부피를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농도는 조성물의 목적하는 효과 또는 조성물이 혼입되는 제품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 조성물의 보관성, 유통성,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추가 공정을 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하게 제품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구강제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루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치주질환의 개선, 예방 및/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가지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은 정제, 캅셀제, 카쉐제, 젤캅제(gelcap), 액제, 현탁제 등의 형태로 경구 제형화될 수 있다. 정제 또는 캅셀제는 결합제(예를 들면, 예비젤라틴화된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충전제(예를 들면, 락토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또는 인산수소칼슘); 윤활제(예를 들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또는 실리카); 붕해제(예를 들면, 감자 전분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습윤제(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통상의 수단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방법으로 피복시킬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제제는 액제, 시럽제 또는 현탁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거나, 이들은 사용 전에 물 또는 다른 적합한 비히클과 구성하기 위한 무수 생성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화제(예를 들면, 소르비톨 시럽,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수소화된 식용 지방); 유화제(예를 들면, 레시틴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 비히클(예를 들면, 아몬드 오일, 오일성 에스테르, 에틸 알코올, 또는 분획화된 야채 오일); 및 방부제(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와 함께 통상적인 수단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제제는 또한 경우에 따라 완충제 염, 풍미제, 착색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는 치주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유용한 결합 단백질(들)의 서방출, 제어 방출, 또는 지속된 방출을 위해 적합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개선,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이하여 치주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기능식품(health fee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 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다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복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복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선택적으로,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할 수 있고,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구강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 제품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 상기 구강 제품은 치약, 구강 청정제, 구강 스프레이, 껌, 연고 및 패취제 등일 수 있다.
상기의 구강 제품은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정제, 증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적당량 추가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중조(NaHCO3)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자이리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라기난, 잔탄껌,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알긴산 나트륨, 라포나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포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 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감초산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텔, 안식향산 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효제로는 불화나트륨, 불화인산나트륨, 불화 제일석, 불화아민, 클로르헥시딘,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류, 카프론산류, 폴리인산염류, 효소류 및 생약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카르본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산성도는 5 내지 8 정도이다. 상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키트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용기에 포함되며, 용기는 병, 금속 튜브, 라미네이트 튜브, 플라스틱 튜브, 디스펜서, 압력 용기, 장벽 용기, 패키지, 컴파트먼트, 컴팩트 용기, 조성물을 담을 수 있는 팬, 또는 다른 타입의 용기 예를 들어, 분산매체(dispersions) 또는 조성물 또는 유지되는 바람직한 병, 디스펜서, 또는 패키지 내로 주입 또는 블로우-몰드된 플라스틱 용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에는 키트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지시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지시서는 별개 용지에 기재될 수 있고, 또는 용기 표면, 용기 포장지의 표면 상에 기재될 수 있다. 지시사항은 글자, 어구, 약어, 그림 또는 기호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시서에는 예를 들어, 키트 또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적용 방법 및 유지 방법 등에 관한 지시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용기에는 사전에 정해진 양에 따라 분배하여 담을 수 있다.
[치주질환의 개선, 예방 및/또는 치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개선,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주질환 증상을 완화 내지 개선하고, 나아가 상처 치유, 항염, 치주골소실 억제 및 재생을 통한 치은, 치주의 손상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치주질환은 구내염, 치은염, 치주염, 치조골 파손, 치조골 골다공증, 치조골 연화증, 치조골 감소증, 치조골 재형성 장애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치은염 및 치주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바 인체에 안전하다. 특히, 치은염 및 치주염으로 인한 증상 완화를 넘어서, 손상된 상처 치유, 항염, 치주골소실 억제 및 재생을 통한 치은 및 치주의 손상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치은염과 치주염을 포함한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다양한 분야(식품, 약품, 의약외품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치은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11가지 천연물 소재를 처리한 후 치은 조직 내 IL-1β의 함량 측정을 통한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치주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5가지 천연물 소재를 처리한 후 치주골(Alveolar bone volume) 면적 측정을 통한 치주골 소실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체중 증감량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염증 지표인 IL-1β의 치은 조직 내 함량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염증 지표인 TNF-α의 치은 조직 내 함량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항산화 효과를 치은 조직 내 MDA 함량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치주골 내 파골세포수의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치주골 면적값 측정에 의한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효과 확인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9는 모링가잎 추출물과 두충 추출물의 복합 비율별 구강협부의 총 호기성 생균수 측정을 통해 항균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시험물질 제조
석류, 길경, 치자, 황금, 모링가,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두충,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즉, 14가지 천연물 소재)을 다음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각각의 원료에 대해 아래의 추출조건을 통해 각 2개 로트 이상을 제조하여 추출 수율, 지표성분의 함량, 성상 등을 분석하였다.
1.1 석류농축분말 제조
석류 농축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석류 1000kg 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진 과일을 분리 및 세척하였다. 분류한 원과를 절단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압착하여 씨를 분리하여 석류 과육 450kg을 수득하였다. 여과 후, 100 - 105 ℃에서 60초 동안 살균하고, 48 - 55 ℃로 다시 냉각하였다. 펙틴아제를 석류 주스 1000 L 당 70~100 ml 투입하여 48 - 55 ℃에서 30분간 전분분해하였다. 이후 탁도 및 색상의 유지, 복용이 유리한 점도 생성 등을 위하여 석류 주스 10000 L 당 벤토나이트 900 g을 투입하고, 48 - 55℃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1.5 mm 및 1mm 진공 여과하고, 가열 농축(순차적으로, 80 ℃에서 475 mbar로 12 brix까지, 87 ℃에서 626 mbar 로 17 brix까지, 95 ℃에서 847 mbar 로 31 Brix 까지, 70 ℃에서 312 mbar로 43 Brix 까지 그리고 49℃에서 118 mbar로 65 Brix 까지 가열 농축)한 뒤 다시 0.15 mm 여과하여 엘라그산 1.8~3.0 mg/g을 함유하는 석류 농축액을 얻었다. 그 다음, 상기 석류 농축액을 덱스트린과 9:1 의 비율로 혼합 후 스프레이드라이(spray dry) 과정을 통해 엘라그산 0.5~3mg/g을 함유하는 석류농축분말을 제조하였다.
1.2 모링가를 포함한 13가지 천연물 소재의 추출물 제조
길경, 치자, 황금, 모링가,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두충,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을 다음의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두충은 건피(볶음) 원물을 사용하였다. 모링가는 모링가 잎을 사용하였다. 레드클로버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8% 함유하도록 제조된 원료를 Bioseach life co. Ltd.(스페인)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원물을 정확하게 30kg으로 정량한 뒤 깨끗하게 세척하고 원물:용매 = 3:20의 비율(kg:kg)로 추출기에 넣어 121℃, 0.15 Mpa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이를 반복하여 총 2회 추출하였다. 상기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을 여과를 통해 고형분을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25 brix(±5 brix)의 농축물을 얻었다. 농축물 : 덱스트린 = 9:1 의 비율(kg:kg)로 섞어 스프레이드라이어(spray dryer)를 통해 분말화를 진행하였다. 분말화된 각각의 추출물들은 지표성분의 함량분석을 통한 원료 표준화 및 제조공정 표준화에 사용하였으며, in vitro, in vivo 실험을 통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에 사용하였다.
2. 14종의 천연물 소재에 대한 효능 평가
상기 1.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류농축분말, 1.2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14종의 시료의 EPD 모델에 대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2.1. 동물실험을 통한 효능 평가
이하에서는, 석류농축분말 및 모링가잎을 포함한 13종(길경, 치자, 황금, 모링가,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두충,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의 추출물, 각각의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모링가잎 추출물(MF) 및 두충 추출물(EC)의 단독 또는 복합 조성물의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2.1.1 동물실험을 통한 14종의 천연물 추출물에 대한 효능 평가
이하에서는, 석류농축분말 및 모링가잎을 포함한 13종(길경, 치자, 황금, 모링가,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두충,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의 추출물, 각각의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현재 대표적인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모델로 이용되고 있는, 치아 경부 결찰 래트(rat) 치주질환(experimental periodontitis; EPD)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치아 경부 결찰 24시간 후부터 단독 추출물을 각각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5 ml/kg의 용량 (200 mg/kg)으로 매일 1회씩 10일간 강제 경구투여하고, 치은조직 내 interleukin(IL)-1β 및 치주골량의 변화를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관찰하였다. 이때,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의 항염제인 indomethacin (IND) 5 mg/kg 경구 투여군과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물질 조성 및 투여
석류농축분말 및 모링가잎을 포함한 13종(길경, 치자, 황금, 모링가,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두충,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의 추출물을f40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5 ml/kg의 용량 (200 mg/kg)으로 치아 경부 결찰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10일간 각각 경구 투여 하였으며, IND는 1 mg/ml의 농도로 멸균증류수에 용해시켜, 5 ml/kg의 용량 (5 mg/kg)으로 치아 경부 결찰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1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 매체 대조군 및 EPD(치주질환) 대조군에서는 천연물 추출물 대신 매체인 멸균증류수만을 동일한 용량 및 빈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치주질환유발
본 연구자 등의 이전의 방법 [Lee et al., 2014; Park et al., 2016]에 따라, 실험동물을 10일간 실험실 환경에 순화시킨 다음, 설치류용 흡입마취기 (Surgivet, Waukesha, WI, USA)와 환기 장치(Model 687, Harvard Apparatus, Cambridge, UK)를 이용하여 3% isoflurane (Hana Pharm. Co., Hwasung, Korea)과 70% N2O 및 28.5% O2 혼합가스로 전신 흡입 마취하고, 왼쪽 절치의 치아 경부에 3-0 나일론 봉합사를 이용하여 결찰을 실시하여 치주염 및 치은 질환을 유발하였다. 한편 정상 매체 대조군에서는 절치의 치아 경부 부분만 확인한 후 결찰하지 않았다.
치은조직 내 interleukin(IL)-1β 변화 확인
11일간 EPD한 치은 조직을 균질화 한 후 ELISA kit(IL-1β rat ELISA kit, Abcam, Cambridge, UK)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균질화된 샘플과 표준품 100uL를 각 well에 첨가한 후 37℃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1×biotin 으로 표지된 항체(antibody)를 각 100uL씩 넣은 후 37℃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한다. 각 well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3회 세척한 후 100uL의 1×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vidin 을 넣어준뒤 37℃에서 한시간 배양한다. 각 well에 3,3‘,5,5’-Tetramethylbenzidine을 90uL 넣어준후 37℃에서 15~30분간 배양한다. 각 well에 stop solution을 50uL 씩 넣어준 후 microplate Reader(Tecan, Mannedofr, Switzerland)에서 450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값을 계산한다.
치주골량의 변화 확인
치주골 소실량의 측정은 Crawford et al.[1987]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샘플 투여 10일 후(EPD 11일 후) 쥐를 희생시킨 후 치아와 잇몸을 최대한 들어내도록 한다. EPD를 시행한 두 치아 사이의 잇몸끝과 절치(incisior)의 끝부분 즉 잇몸 밖으로 들어난 치아의 최 하단 부분을 평행으로 하여 면적을 계산하여 mm/rats로 표현한다.
2.1.1.1.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14종의 천연물 추출물에 대한 치은 조직 내 IL-1β 함량의 변화 확인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1)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은 조직내 IL-1β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IND, 모링가잎, 황금, 레드클로버, 우슬, 치자, 두충, 민들레뿌리, 석류, 민들레, 생강, 및 길경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IL-1β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한편, 연잎, 꾸지뽕잎 및 작약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치은 조직내 IL-1β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2.1.1.2.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14종의 천연물 추출물에 대한 치주골량의 변화 확인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2)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주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IND, 레드클로버, 두충, 모링가잎, 우슬 및 치자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치주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석류, 길경,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치주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2.1.2 동물실험을 통한 모링가잎 추출물(MF), 두충 추출물(EC) 및 이들의 복합물에 대한 효능 평가
현재 대표적인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모델로 이용되고 있는 치아 경부 결찰 래트(rat) 치주질환(experimental periodontitis; EPD)을 이용하여 9종의 모링가잎 추출물(MF) 및 두충 추출물(EC) 복합조성물(MF:EC = 1:1, 1:2, 1:4, 1:6, 1:8, 2:1, 4:1, 6:1 및 8:1 복합 조성, mg:mg)을 각각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5 ml/kg의 용량 (200 mg/kg)으로 매일 1회씩 10일간 강제 경구투여하고, 체중, 치주골 손실율 (alveolar bone loss index), 구강 조직내 호기성 생균수, 치은내 interleukin (IL)-1β 및 tumor necrosis factor (TNF)-α 함량, 지질 과산화 (malondialdehyde; MDA 함량),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myeloperoxidase (MPO) 활성의 변화를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이전의 보고에 준하여 [Kang et al., 2016],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과 비교하여 동시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약효 상승을 나타내는 복합 조성물을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MF:EC 복합 조성물로 간주하였으며,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의 항염제인 indomethacin (IND) 5 mg/kg 경구 투여군과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 물질 조성 및 투여
적정량의 MF 또는 EC를 멸균 증류수에 직접 용해시키고, 5 ml/kg의 용량으로 치아 경부 결찰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10일간 강제 경구 투여 하였다. 즉, MF 및 EC 단독 조성물에서는 각각 40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 시켜, 5 ml/kg (2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MF:EC 1:1, 1:2, 1:4, 1:6, 1:8, 2:1, 4:1, 6:1 및 8:1 복합 조성물에서는 5 ml의 증류수에 MF 및 EC 각각을 100:100, 66:134, 40:160, 28:172, 22:178, 134:66, 160:40, 172:28 및 178:22 mg:mg 씩 용해 시켜, 역시 5 ml/kg (총량 200 mg/kg)의 용량으로 각각 경구 투여였다. IND 역시 1 mg/ml의 농도로 멸균증류수에 용해시켜, 5 ml/kg의 용량 (5 mg/kg)으로 치아 경부 결찰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10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정상 매체 대조군 및 EPD 대조군에서는 동일한 투여 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해, 천연물 추출물 또는 IND 대신 매체인 멸균증류수만을 동일한 용량 및 빈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치주질환유발
본 연구자 등의 이전의 방법 [Lee et al., 2014; Park et al., 2016]에 따라, 실험동물을 10일간 실험실 환경에 순화시킨 다음, 설치류용 흡입마취기 (Surgivet, Waukesha, WI, USA)와 환기 장치 (Model 687, Harvard Apparatus, Cambridge, UK)를 이용하여 3% isoflurane (Hana Pharm. Co., Hwasung, Korea)과 70% N2O 및 28.5% O2 혼합가스로 전신 흡입 마취하고, 왼쪽 절치의 치아 경부에 3-0 나일론 봉합사를 이용하여 결찰을 실시하여 치주염 및 치은 질환을 유발하였다. 한편 정상 매체 대조군에서는 절치의 치아 경부 부분만 확인한 후 결찰하지 않았다.
증체량 확인 방법
증체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기간 동안 체중 변화를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하였다. 치아 결찰 1일 후 시료투여 첫날의 체중을 측정하고 10일 후 최종 샘플 투여날의 체중을 측정하여 증체량을 측정한다.
증체량 = 희생시킨 날의 체중 - 샘플 투여 시작 시점의 체중(결찰 후 24시간 후)
치은조직 내 interleukin(IL)-1β와 TNF-α 변화 확인
11일간 EPD한 치은 조직을 균질화 한 후 ELISA kit(IL-1β and TNF-α rat ELISA kit, Abcam, Cambridge, UK)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균질화된 샘플과 표준품 100uL를 각 well에 첨가한 후 37℃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1×biotin 으로 표지된 항체(antibody)를 각 100uL씩 넣은 후 37℃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한다. 각 well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3회 세척한 후 100uL의 1×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vidin을 넣어준뒤 37℃에서 한시간 배양한다. 각 well에 3,3‘,5,5’-Tetramethylbenzidine을 90uL 넣어준후 37℃에서 15~30분간 배양한다. 각 well에 stop solution을 50uL 씩 넣어준 후 microplate Reader(Tecan, Mannedorf, Switzerland)에서 450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값을 계산한다.
MDA 함량 확인 방법
지질과산화 지표인 MDA를 측정하기 위해, 치아의 결찰된 부위와 닿아있는 치은 조직을 떼어낸 뒤, 50 mM Tris-HCl, 0.1 mM EGTA,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pH 7.4) buffer 에 넣어 homogenizer를 통해 균질화 한다. 100 ul의 균질화된 치은 조직에 200 uL의 reaction mixture(8.1% (w/v) sodium dodecyl sulfate, 1500 ul 의 20%(v/v) acetic acid, 1500 ul의 0.8%(w/v) thiobarbituric acid, 700 ul DW) 첨가한다. 95℃에서 1시간 반응 시킨 후 3000 × g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UV/VIS spectrophotometer를 통해 650nm에서 측정한다.
파골세포의 수 측정 방법
파골세포 수의 측정은 TRAP 염색을 통해 TRAP 양성 다핵세포의 수를 세어 평가하였다. TRAP 염색은 TRAP 염색 kit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kit에 기재된 염색과정을 지켜 실시하였다. 탈파라핀과 함수과정을 거친 슬라이드를 고정액(citrate 용액 25 ml, acetone 65 ml, 37% formaldehyde 8 ml)에 30초간 담근 후 흐르는물에 10분 동안 수세하였다. 37℃ 증류수 45 ml, fast garnet GBC 용액 0.5 ml, sodium nitrite 용액 0.5 ml, naphthol AS-BI 0.5 ml, acetate 용액 2 ml, tartrate 용액 1 ml를 혼합한 용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뜨린 후 평균 16시간 정도 37℃ humid chamber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100% 알코올에 수세하고 대조염색을 위해 1시간 동안 methyl green으로 염색하고 봉입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치조골 표면을 따라 형성된 TRAP 양성다핵의 파골세포(핵 3개 이상)의 수를 측정하였다.
치주골량의 변화 확인
치주골 소실량의 측정은 Crawford et al.[1987]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샘플 투여 10일 후(EPD 11일 후) 쥐를 희생시킨 후 치아와 잇몸을 최대한 들어내도록 한다. EPD를 시행한 두 치아 사이의 잇몸끝과 절치(incisior)의 끝부분 즉 잇몸 밖으로 들어난 치아의 최 하단 부분을 평행으로 하여 면적을 계산하여 mm/rats로 표현한다.
호기성 생균수의 변화 측정 방법
호기성 생균수의 측정을 위해 결찰하였던 왼쪽 절치를 뽑은 후 결찰부와 맞닿아있던 치주 조직을 떼어낸 후 , 0.3ml의 brain heart infusion broth(BHI, Becton, Dicknson and company, USA)에 담는다. 조직을 균질화 한 후 1:100 그리고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blood agar에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동안 5%의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 갯수를 측정하고 생균수를 계산하였다.
생균수 = colony 갯수 × 105 CFU/g tissues
2.1.2.1.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체중의 변화(도 3)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5) 체중의 감소가, 결찰 후 7일 (투여시작 후 6일) 후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였으며, 10일간의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 역시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MF 및 EC 단독 조성물, MF:EC 1:1 및 8: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체중의 증가가 투여시작 8일 후부터 인정되었으며, MF:EC 4:1 및 6: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투여 시작 6일 후부터, MF:EC 1:2, 1:4 및 2: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투여 시작 7일 후부터, MF:EC 1:6 및 1:8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투여 시작 9 및 10일 후부터,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체중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모든 MF와 EC 단독 및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증체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다.
2.1.2.2.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치은 조직 내 IL-1β 함량의 변화 확인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4)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은 조직내 IL-1β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EC 단독 조성물 200 mg/kg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물질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IL-1β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고, 특히 MF:EC 2:1 및 4: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치은 조직내 IL-1β 함량의 감소가 동일한 순으로 인정되었다.
2.1.2.3.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치은 조직 내 TNF-α 함량의 변화 확인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5)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은 조직내 TNF-α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MF:EC 1:1 복합 조성물 200 mg/kg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물질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TNF-α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고, 특히 MF:EC 2:1 및 4: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치은 조직내 TNF-α 함량의 감소가 동일한 순으로 인정되었다.
2.1.2.4.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치은 조직 내 MDA 함량의 변화 확인을 통한 항산화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6)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은 조직내 MDA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MF:EC 1:2 복합 조성물 200 mg/kg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물질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MDA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고, 특히 MF:EC 2:1 및 4: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치은 조직내 MDA 함량의 감소가 동일한 순으로 인정되었다.
2.1.2.5.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치주골 내 파골세포의 수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7)
파골세포의 수는 EPD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15.6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IND, MF 및 EC 단독 조성물, MF:EC 1:1, 1:2, 1:4, 1:6, 1:8, 2:1, 4:1, 6:1 및 8:1 복합 조성물 2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EPD 대조군에 비해 -50.19, -34.48, -43.68, -36.40, -43.30, -41.00, -35.63, -34.87, -63.22, -57.09, -41.76 및 -34.4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2.1.2.6.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치주골량의 변화 측정을 통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8)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주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MF:EC 6:1 복합 조성물 200 mg/kg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물질 투여군에서는 EPD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치주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MF:EC 2:1 및 4: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치주골량의 증가가 동일한 순으로 인정되었다.
2.1.2.7. 치주질환 유도 모델에서의 구강 협부 총 호기성 생균수의 변화 측정을 통한 항균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도 9)
EP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구강 협부 총 호기성 생균수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EPD 대조군과 유사한 생균수를 나타낸 IND 5 mg/kg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물질 투여군에서는 EP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구강내 생균수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고, 특히 MF:EC 2:1 및 4:1 복합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MF 및 EC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구강 협부 총 호기성 생균수의 감소가 동일한 순으로 인정되었다.

Claims (9)

  1.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잎 추출물이고, 상기 두충 추출물은 두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중량비는 1:1 - 8:1 또는 8:1-2:1 (모링가 추출물: 두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석류,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추출물에는 0.5 ~ 3 mg/g의 엘라그산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경, 치자, 황금, 연잎, 꾸지뽕잎, 생강, 작약, 우슬, 레드클로버, 민들레 및 민들레뿌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37935A 2017-03-24 2017-03-24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KR10238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5A KR102380781B1 (ko) 2017-03-24 2017-03-24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US15/927,464 US10155019B2 (en) 2017-03-24 2018-03-21 Method for improving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y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nhibition of alveolar bone loss of complex extracts of moringa leaf and eucommia bark
JP2019547377A JP6929954B2 (ja) 2017-03-24 2018-03-22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EP18771148.6A EP3603422B1 (en) 2017-03-24 2018-03-22 Complex of moringa for use in treating a periodontal disease
CN201880020141.6A CN110519997B (zh) 2017-03-24 2018-03-22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PCT/KR2018/003348 WO2018174589A1 (ko) 2017-03-24 2018-03-22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5A KR102380781B1 (ko) 2017-03-24 2017-03-24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1A true KR20180108331A (ko) 2018-10-04
KR102380781B1 KR102380781B1 (ko) 2022-03-30

Family

ID=6358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35A KR102380781B1 (ko) 2017-03-24 2017-03-24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55019B2 (ko)
EP (1) EP3603422B1 (ko)
JP (1) JP6929954B2 (ko)
KR (1) KR102380781B1 (ko)
CN (1) CN110519997B (ko)
WO (1) WO20181745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952A (zh) * 2019-04-10 2019-07-12 伊春五加参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治疗口腔疾病的牙膏
KR20210028459A (ko) 2019-09-04 2021-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ox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치와 골 재생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769A (zh) * 2018-12-29 2019-04-12 南昌大学第附属医院 辣木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180801A1 (en) * 2019-03-01 2020-09-10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Plant-derived exosome-like nanoparticles inhibit bacterial pathogenicity
KR20210133852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화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367242A (zh) * 2021-06-10 2021-09-10 中国农业科学院草原研究所 一种从荨麻中提取生物碱的方法及其作为促生长类添加剂的应用
CN114591402B (zh) * 2022-04-06 2023-12-22 云南农业大学 一种辣木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09A (ko) * 2001-05-11 2002-11-18 김성진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 촉진제 조성물
CN105012514A (zh) * 2015-08-31 2015-11-04 许晶 一种治疗牙周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4518B2 (en) * 2001-05-11 2009-04-28 Kim Sung-Jin Composition for promoting regeneration of hard tissues comprising an extract of cortex eucommiae
FR2825267B1 (fr) * 2001-05-29 2009-08-28 Philippe Jean Louis Thurot Compositions pour l'hygiene buccale ou corporelle ou la proprete ou la sante comprenant des graines ou un broyat de graines ou un extrait de graines du genre moringa
AU2007249801A1 (en) * 2006-05-12 2007-11-22 Interleukin Genetics, Inc. Foo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KR101121755B1 (ko) * 2009-05-15 2012-03-23 황철수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216A (ko) * 2011-12-20 2013-06-28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항골다공증 활성을 나타내는 skg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물
US20150157553A1 (en) * 2013-12-09 2015-06-11 Kehinde A. Ayoola Non-cariogenic, sugar-free confectionery compositions containing anti-plaque components and natural tree, plants and tea extracts for oral and systemic health benefits
CN104013556A (zh) * 2014-06-25 2014-09-03 周时敏 一种含有辣木成分的牙膏
CA2865150A1 (en) * 2014-10-10 2016-04-10 Mike Ficocelli Bio plant science for production of multiple medications
CN104605150B (zh) * 2014-12-17 2017-11-03 湖南美可达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提取物动物保健品及其应用
CN105012183B (zh) * 2015-07-23 2017-12-01 贵阳中医学院 一种杜仲牙膏及其制作方法
CN106047593A (zh) * 2016-05-26 2016-10-26 靳登山 一种辣木籽保健米酒
KR20170037935A (ko) 2017-03-30 2017-04-05 김낭주 즉석 제조용 젓갈 보리비빔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09A (ko) * 2001-05-11 2002-11-18 김성진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 촉진제 조성물
CN105012514A (zh) * 2015-08-31 2015-11-04 许晶 一种治疗牙周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stiny et al., The effect of combined Moringa oleifera and demineralized freeze-dried bovine bone xenograft on the amount of osteoblast and osteoclast in the healing of tooth extraction socket of Cavia cobaya. Dental Journal (Majalah Kedokteran Gigi). 2016 March, Vol. 49, No. 1, pp. 37-4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952A (zh) * 2019-04-10 2019-07-12 伊春五加参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治疗口腔疾病的牙膏
KR20210028459A (ko) 2019-09-04 2021-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ox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치와 골 재생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19997A (zh) 2019-11-29
WO2018174589A1 (ko) 2018-09-27
EP3603422A1 (en) 2020-02-05
JP6929954B2 (ja) 2021-09-01
US10155019B2 (en) 2018-12-18
CN110519997B (zh) 2023-06-02
JP2020508681A (ja) 2020-03-26
EP3603422B1 (en) 2024-03-13
EP3603422A4 (en) 2020-12-16
KR102380781B1 (ko) 2022-03-30
US20180271925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3422B1 (en) Complex of moringa for use in treating a periodontal diseas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200106577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붓기 완화용 조성물
KR101663978B1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039110B1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247633B1 (ko) 뇌졸중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8322A (ko)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10704B1 (ko) 화살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7383B1 (ko) 석류, 마 및 둥굴레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4543B1 (ko)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8267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