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267B1 -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267B1
KR100758267B1 KR1020060034576A KR20060034576A KR100758267B1 KR 100758267 B1 KR100758267 B1 KR 100758267B1 KR 1020060034576 A KR1020060034576 A KR 1020060034576A KR 20060034576 A KR20060034576 A KR 20060034576A KR 100758267 B1 KR100758267 B1 KR 10075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hangov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옥
문길주
이샛별
김수남
유지혜
남춘우
유동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3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ddic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생체 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켜 숙취 해소제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라디칼 소거 능력을 보여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효율적으로 숙취 제거를 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라디칼 소거에 의해 항산화 활성제로서 부작용없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느삼, 산구절초, 인진쑥, 숙취 해소, 항산화

Description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s effective for removing hangover, which contain natural plant extracts}
도 1은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탈수소효소에 대한 활성도 변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에 대한 활성도 변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대사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 기능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 운동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를 일컫는다. 숙취의 원인은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혈당, 비타민, 무기질 결핍)으로 알려져 있다. 숙취 정도는 유전에 따른 개인의 편차, 환경상태(영양 상태, 운동 상태, 탈수 정도, 건강 상태)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국내는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알코올의 소비가 급증하였다. 1996년에 성인 1인당 1일 평균 음주량은 맥주로 6병이었다(조선일보, 음주문화의 변화). 알코올은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고, 괴로움을 잊을 수 있어 고대에는 알코올이 모든 약물의 기본 부형제로 이용되었고, 그 후 점차 사교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음주 문화에서는 종종 과음과 잦은 음주로 많은 사람들이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음료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알코올 자체로도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체내에서 대사 과정 중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전환되고 이는 뇌와 간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유해한 물질로 작용함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음주 후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점막에서 소량 흡수되다가 약 10%는 위장에서 90%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알코올은 3가지 경로를 통해 대사되는데, 에탄올의 농 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최종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상기 기술한 대사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 때문에 일어나는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은 간인데,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 가지 간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 불량 등이 초래된다.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국, 북어국 등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 뿌리에는 알코올탈수소효소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서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초기 숙취 해소 음료는 아스파라긴산을 주원료로 내세워 제조 판매되었다.
현재 시판 숙취 해소용 드링크는 자리, 황기, 연꽃씨(Lotus seed), 쌀배아 등을 사용한 컨디션(CJ사), 고순도 키토산을 주원료로 한 땡큐(종근당), 오리나무, 마가목 추출물을 사용한 여명808(그래미)등 십수 종이 팔리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 여 연구발표,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각 제품 간의 기능을 비교한 결과가 선전, 광고에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동물 또는 인체에 있어서의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변화, 혈중 간기능관련 효소(ALT, AST, ALP 등)의 활성변화, 숙취와 관련된 문진 등에 관한 간이 임상연구가 각사에서 개별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소재로는 지구자의 목부, 열매 추출물, 감 추출물, 녹차 추출물, 인삼(홍삼)추출물 등이 연구되고 있다.
숙취에 대한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는 대부분 동물 실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국외는 인체 시험 위주로 실질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숙취 해소의 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은 에탄올(메탄올)의 중독 증상, 독성 원인 물질 및 독성 기전 연구를 중심으로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특히, 에탄올의 체내 대사 결과 생성된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tetrahydroisoquinoline)이나 테트라하이드로-베타-카볼린(tetrahydro-β-carbolines)의 구조가 몰핀(morphine)과 유사하여 금단증상이 나타나므로 에탄올 의존증을 유도한다. 이는 에탄올 대사효소의 감소와 부분적으로 뇌 신경세포의 반응 저하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알코올(에탄올)에 소량 들어있는 메탄올의 대사 및 포름알데히드가 숙취의 원인으로 지적된 바 있으며, 실제 알코올에 의한 숙취는 알코올대사체인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등에 의한다는 것이 다수 보고되면서 새로운 연구단계로 접어들고 있다(Moser J, Bagchi D, Akubue PI, Stohs SJ.. Alcohol Alcohol. 28:287-295, 1993). 일본에서는 미강 추출물의 발효산물이 혈중알코올 농도보다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저하에 더 크게 기여한다는 특허 내용이 있었으며 숙취증상이 심한 사람이 숙취증상이 적은 사람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높았으나 혈중 에탄올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다는 보고(Wall TL, Horn SM, Johnson ML, Smith TL, Carr LG., J Stud . Alcohol. 61:13-17, 2000)가 있어 알코올로 인한 숙취의 원인 물질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데에 초점이 모이고 있다.
기존의 숙취에 대한 특허들을 살펴보면, 음료, 건강 기능성 식품, 껌 등의 제형으로 되어 있고, 사용원료로는 실크피브로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8740호), 오가피, 노근, 모과, 앵두, 저두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8388호), 약쑥, 구기자, 건강, 진피, 연근, 지구자, 상심자, 오미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12912호),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0985호), 감잎, 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04351호), 진피, 백복령, 인진, 갈화, 갈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00373호), 아스파라거스, 녹차, 양파, 매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96524호), 두릅(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62329호), 콩, 콩나물, 포도씨(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5075호), 귀뚜라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3475호), 지구자 열매의 활성성분 호베노둘리놀(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2128호), 무, 사철쑥, 칡, 감잎, 삼백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1013호), 데커시놀(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8680호), 지구자, 지구목, 헛개나무 혼합물, 갈근, 백하수오, 산약, 작약(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6061호), 백모근, 오디, 토사자, 갈화, 창출, 복분자, 뱀딸기, 방가지풀, 길핵(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2771호), 솔잎(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12425호), 헛개나무 목질부 등(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03720-22호), 갈화, 큰엉겅퀴종자, 타우린, 울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392876호), 나린진, 나린게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375047호), 오리나무, 마가목(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181168호) 등이 있다. 기타 출원된 특허에 사용된 원료로는 말굽버섯, 녹차카테킨, 오가피, 손바닥선인장(백련초), 천마, 노루궁댕이버섯, 초두구, 프로폴리스, 자화육각수, 매생이, 오수유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소재들을 사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식품, 껌 등이 개발되어 있긴 하지만, 그 효과가 눈에 띄게 탁월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O2)를 이용하여 에너지 내사를 진행하며 생존하고 있다. 그러나 생체 내 산소가 각종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과산화수소(H2O2),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ㆍOH) 등의 유해한 활성 산소종(active oxygen species)으로 변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생리적 장애를 일으키고 심할 경우는 질병을 유발하고 생명을 잃게 한다.
생체는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자기 방어 기구로부터 항산화기구(antioxidative mechanism)를 발달시키면서 진화하여 왔다고 생각되지만, 조직의 방어능을 초월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은 단백질, DNA, 효소 및 T 세포와 같은 면역계통의 인자를 손상시켜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또한, 활성 산소종은 세포 생체막의 구성 성분인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생체 내 축적된 과산화 지질은 노화와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alliwell, B., Drugs 42:569, 1999; Fukuzawa, K and Takaishi, Y., J. Act . Dxyg . Free Rad . 1:55, 1990; Neuzil, J., Gebicki, J. M. and Stocker, R., Biochem . J. 293:601, 1993; Sies, H., ed., Oxidative stress, 1985; Steinberg. D., et al., N. Engl . J. Med . 320:915. 1989).
최근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원인이 활성 산소종에 기인된 것이라는 학설이 인정됨에 따라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의 천연물 유래의 저분자 항산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Chang, S. S., et al ., J. Food Sic . 42:1102, 1977; Hammerschmidt, P. A. and Pratt, D. E., J. Food Sic. 43:556, 1964), 2,6-디-터트-부틸-4-히드록시 아니졸(2,6-di-tert-butyl-4-hydroxyanisole, BHA)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Kitahara, K., et al ., Chem Pharm . Bull. 40:2208, 1992; Hatano, T., Natural Medicines 49:357, 1995; Masaki, H., et al ., Biol. Pharm . Bull . 18:162, 1995).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에 대한 소비자의 기피 성향과 합성 항산화제가 대량으로 투여된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이 보고되고 있어(Branen, A. L., JAOCS 52:59, 1975)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이 점점 제한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효력이 탁월하고 보다 안전한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은 콩과 식물인 개느삼의 전초이다. 개미풀, 개고삼, 느삼 나무, 도둑놈의 지팡이라고도 불리운다. 개느삼은 강원도 양구 이북지방, 평안남도, 함경남도 등지에 분포하며, 산록이나 길가에 나는 낙엽 관목으로, 땅속줄기가 발달되었으며, 키는 1 m이다. 상기 식물은 땅속줄기로 번식하고 가지는 어두운 갈색이며 털이 난다. 겨울눈은 털로 덮여 있어 보이지 않는다. 잎은 깃꼴겹잎, 작은 잎은 13-25장이고, 잎 표면은 흰색이며, 털이 나고, 긴 타원형 모양에, 털끝이 뭉뚝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가시 모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5월에 노란색 꽃이 총상꽃 차례로 핀다. 꽃차례는 길이 3-5 cm이며 새가지 끝에서 나와 지름 15 mm 정도의 꽃이 달린다. 작은 포는 바소꼴이고 검은 빛이 돌며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뒤쪽의 2개가 약간 작다. 알칼로이드(Alkaloid)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항균 효과(Sohn, H.-Y. et al ., Phytomedicine . 11:666-672, 2004) 및 MRSA에 대한 항균효과(Hironori T et al ., J. Ethnopharmacol. 5027-5034, 1996)에 대한 보고가 있다.
산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또는 Chrysanthemum zawadskii ssp . acutilobum)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인 산구절초의 전초이다. 구절초 중에서도 높은 곳에서 피는 것을 산구절초라 하는데, 구절초에 비해 키가 작고, 잎도 가늘며 깊게 찢어진 편이다. 전국 깊은 산의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는 10-60 센티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대부분 없어지기도 하지만 조금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풀잎의 길이는 2-4.5 센티미터 정도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계란 모양으로 날개같이 갈라진다. 꽃은 8-9월에 원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한 송이씩 피는데, 지름이 3-6센티미터 정도의 큰 꽃으로, 중앙부의 꽃술 부위는 노란색이지만 꽃잎은 흰색이다. 산구절초는 선모초(仙母草)라고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이름대로 고결하고 신비롭다. 청아한 빛을 띠고 있는 산구절초는 민간에서 부인병에 약용으로 많이 쓰며 산중턱 이상에서 자라며 한국?일본?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구절초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는 음료나 차 제조법에 대해 학명이 다르긴 하지만(Chrysanthemum sibiricum) 구절초란 이름으로 특허가 출원되어 있고, 일본에서는 여러 용도의 특허가 출원되어 있지만 숙취를 주제로 한 특허는 출원되어 있지 않다. 연구논문은 구절초 성분 중 acacetin이 전립선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연구되어 있다(Singh R. P., Agrawal, P., Yim, D., Agarwal, C. and Agarwal, R., Carcinogenesis 26(4):845-854, 2005).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의 전초로 생약명은 인진호(茵蔯蒿)이다. 사절봉, 조선인진호, 사인호, 인진, 백호, 가인진, 석인진, 인진고, 댕강쑥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진쑥은 고대 중국 후한시대에 화타(華陀)라는 명의에 의해 발견된 이후 한방에서 생약재로 이용하게 되었다.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30~100 ㎝ 정도이며, 우상(羽狀)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8~9월 사이에 황색꽃이 피고 10월경에 성숙한다. 어린 순과 잎은 예로부터 쑥떡, 쑥차로 이용되어 왔다. 예로부터 인진쑥은 간을 이롭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또한 황달에 효험이 큰 약으로 이름 높다.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한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결핵균을 비롯한 갖가지 균을 죽인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매우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인진쑥은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진쑥은 발암 곰팡이와 발암 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강해서 항암제로서도 가능성이 있다. 인진쑥 달인 물은 암세포를 21%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인진쑥은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장병 치료에 흔히 쓴다. 생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말려서 달여 먹기도 하며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인진쑥은 숙취 해소용 음료 등에 단골로 사용되는 소재이고, 이를 포함한 특허도 많이 등록 또는 출원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랭지 식물인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알코올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생체 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효율적으로 숙취 제거를 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숙취 해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력을 보이므로 항산화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및 인진쑥 추출물 등의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조성비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각각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하기의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1)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천연식물로부터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용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단계 1)에서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는 5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3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가지고 제작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우수 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며(표 3 및 도 1 참조),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결과보다 더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이후,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알코올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탈수소효소(표 4 및 도 2 참조)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표 5 및 도 3 참조)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며, 역시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결과보다 더 우수한 효소 활성도를 보였다.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생체 내에서 미치는 알코올 분해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동물의 생체 내에서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결과보다 우수한 알코올 분해능력을 보이며, 또한, 시판되고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더 뛰어난 알코올 분해능력을 보인다(표 6 및 도 4 참조). 이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숙취 해소 효과의 측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대표적인 숙취 현상인 두통과 위장관 불쾌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그 현상을 감소시켰으며,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 섭취한 군보다 더 좋은 숙취 해소 효과를 보였으며, 역시 시판되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표 8 및 9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생체 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효과적으로 숙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숙취 해소용 음료 및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 기능을 하는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주성분인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 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M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생체 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숙취제거를 효율적으로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 없으며, 음료, 파우더, 캅셀, 연질캅셀, 정제, 껌, 점착 타입 액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탕제, 환제, 정제, 산제, 과립제 등의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 비타민 B, C, E나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또는 말톨, 올리고당, 아미노산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비타민 C, E나 베타카로틴, 말톨 등 중에서 2 내지 3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체 활성효과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ovonoid)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 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의 숙취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해독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음주 전, 후의 숙취 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숙취 해소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천연식물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 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 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은 각 단일 성분을 사용했을 때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력을 보이고, 표 1의 조성비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이 단일 성분을 처리한 경우보다 라디칼 소거능력이 우수하였으므로(표 3 참조) 우수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천연식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 제조시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을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 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은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품으로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이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1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용 외형제에는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제를 제공한다.
노화는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가 노화의 원인이 된다(Harman, D., Free radical theoryof aging: Role of free radicals in the origination and evolution of life, Aging and Disease Processes, p.3-49, Alan R Liss, New York, 1986).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표 3 참조), 노화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천연식물 추출물 제조
< 실시예 1-1> 개느삼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개느삼 전초 1 Kg을 추출 자루에 넣고 100% 메탄올 10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건조 개느삼 전초 1 Kg에서 추출물 68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2> 산구절초 추출물 제조
건조된 산구절초 전초 1 Kg을 추출 자루에 넣고 100% 메탄올 10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건조 산구절초 전초 1 Kg에서 추출물 72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3> 인진쑥 추출물 제조
건조된 인진쑥 전초 1 Kg을 추출 자루에 넣고 100% 메탄올 10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건조 인진쑥 전초 1 Kg에서 추출물 76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1> 함량이 다른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은 구성과 중량비로 이루어진 천연식물 추출물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조성( 중량부 )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개느삼 추출물 1 1 0 1 5 2 2 3 3 1
산구 절초 추출물 1 0 1 1 3 5 3 2 5 5
인진쑥 추출물 0 1 1 1 2 3 5 5 2 4
<실시예 12> 물을 이용한 천연식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개느삼, 산구절초 및 인진쑥 전초를 각각 1 Kg을 추출 자루에 넣고 물 10배에 침지하여 90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혼합 천연식물 3 kg에서 추출물 230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3>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한 천연식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개느삼, 산구절초 및 인진쑥 전초를 각각 1 Kg을 추출 자루에 넣고 물과 메탄올로 2:8 혼합한 80% 메탄올 10배에 침지하여 3시간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혼합 천연식물 3 kg에서 추출물 253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비교예 1 내지 3> 단일성분만 포함한 조성물 제조
비교예로서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단일성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성( 중량부 )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개느삼 추출물 (실시예 1-1) 1 0 0
산구절초 추출물 (실시예 1-2) 0 1 0
인진쑥 추출물 (실시예 1-3) 0 0 1
< 실험예 1> 라디칼 소거능 측정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2 내지 11의 혼합 천연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방법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Taco, T et al ., Biosci . Biotech . Biochem. 58:1780-1783, 1994; Na, M. K et al ., Nat Prod . Sic . 8:26-29, 2002).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료를 96 웰 플레이트에 500 ㎍/㎖의 농도에서 1/2씩 10 단계로 7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100 μM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첨가하여 용액의 총 부피가 200 ㎕가 되도록 맞춰 주었다. 이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 ELISA 리더기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DPPH 라디칼을 50% 소거시키는 시료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정하였다(표 3 및 도 1).
Figure 112006026528306-pat00001
천연식물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 IC 50 , 단위 ㎍/㎖)
IC 50 (㎍/㎖)
실시예 2 7.13
실시예 3 7.25
실시예 4 7.08
실시예 5 6.32
실시예 6 6.54
실시예 7 6.69
실시예 8 6.99
실시예 9 6.49
실시예 10 6.65
실시예 11 6.77
실시예 12 6.87
실시예 13 6.59
비교예 1 10.62
비교예 2 10.32
비교예 3 6.83
비타민 C 2.51
트롤록스 (Trolox) 3.14
본 실험에서는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 C와 트롤록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3 및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세 종류의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5 내지 13)은 단일 성분을 가지는 조성물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임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노화 방지 효과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
< 실험예 2> 알코올탈수소효소의 활성도 측정( in vitro )
효소원은 동결건조된 S9 쥐의 간 분쇄액(rat liver homogenate)(MOLTOX Co., USA) 26.4 ㎎(최종 농도가 3.3 ㎎/㎖이 되도록 함)을 0.1%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 8 ㎖에 용해하여, 0.45 μm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알코올탈수소효소 활성 측정은 흡광도 340 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1 ㎖, 1 M tris-HCl(pH 8.8) 0.75 ㎖, 20 nM NAD+ 0.3 ㎖, 에탄올 0.3 ㎖, 시료 0.1 ㎖의 혼합액과 효소원 0.15 ㎖를 큐벳(cuvette)에 넣어 총 3 ㎖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전반응시킨 후, 5분간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료의 알코올탈수소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측정하였다(표 4 및 도 2).
혼합 천연식물 추출물의 알코올탈수소효소 활성(단위 %, 농도 ㎍/㎖)
100 ㎍/㎖ 50 ㎍/㎖ 10 ㎍/㎖
실시예 2 410 290 210
실시예 3 410 290 210
실시예 4 420 300 220
실시예 5 430 320 230
실시예 6 410 290 210
실시예 7 420 310 230
실시예 8 410 300 210
실시예 9 410 310 220
실시예 10 410 320 220
실시예 11 420 300 210
실시예 12 420 310 220
실시예 13 420 310 220
비교예 1 400 280 200
비교예 2 350 250 140
비교예 3 300 190 130
상기 표 4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알코올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세 종류의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5 내지 13)은 단일 성분을 가지는 조성물보다 우수한 알코올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보인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도 측정( in vitro )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 측정은 흡광도 340 nm에서 NADH의 생성 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2 ㎖, 1 M tris-HCl(pH 8.0) 0.3 ㎖, 20 mM NAD+ 0.1 ㎖, 1 M 아세트알데히드 0.1 ㎖, 시료 0.1 ㎖의 혼합액과 효소원 0.1 ㎖을 큐벳(cuvette)에 넣어 총 3 ㎖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전반응시킨 후, 5분간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료의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측정하였다(표 5 및 도 3).
혼합 천연식물 추출물의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 활성(단위 %, 농도 ㎍/㎖)
100 ㎍/㎖ 50 ㎍/㎖ 10 ㎍/㎖
실시예 2 390 290 220
실시예 3 390 300 220
실시예 4 400 300 220
실시예 5 410 310 220
실시예 6 390 290 220
실시예 7 400 300 220
실시예 8 400 310 220
실시예 9 390 300 220
실시예 10 410 290 220
실시예 11 410 300 220
실시예 12 400 300 220
실시예 13 400 300 220
비교예 1 380 280 210
비교예 2 340 230 140
비교예 3 310 180 130
상기 표 5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알코올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세 종류의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5 내지 13)은 단일 성분을 가지는 조성물보다 우수한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보인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아세트알데히드 대사 또한 촉진시켜 음주 후의 숙취를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에탄올 분해능 측정( in vivo )
실험동물은 무게 200-250 g의 자성 Sprague Dawley rat을 사용하였으며, 고형 시료와 수돗물을 자유 섭취케 하여 2주간 예비사육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18시간 절식 후, 시험시료를 500 ㎎/Kg 농도로 0.5% CMC(Carboxy methyl cellulose) 용액에 조제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30분 후 알코올을 3 g/Kg의 양으로 경구 투여 후 1, 3, 5 시간에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perchloric acid와 동량으로 혼합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였고, 상등액을 완충 용액 Ⅰ(buffer solution Ⅰ) 0.5 부피(volume)와 혼합하여 4℃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한 후 에탄올 측정 키트(Roche, USA)를 이용하여 에탄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표 6 및 도 4).
혼합 천연식물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단위 g/ℓ)
1 시간 3 시간 5 시간
대조군 -0.01 -0.01 -0.01
에탄올군 0.06 0.07 0.067
실시예 2 0.029 0.027 0.024
실시예 3 0.029 0.027 0.023
실시예 4 0.028 0.027 0.025
실시예 5 0.027 0.022 0.020
실시예 6 0.028 0.023 0.021
실시예 7 0.028 0.024 0.019
실시예 8 0.027 0.021 0.020
실시예 9 0.028 0.023 0.021
실시예 10 0.027 0.024 0.021
실시예 11 0.027 0.022 0.019
실시예 12 0.027 0.022 0.020
실시예 13 0.027 0.022 0.020
비교군 1 0.030 0.028 0.025
비교군 2 0.033 0.038 0.027
비교군 3 0.037 0.05 0.04
C사 제품 0.032 0.04 0.038
G사 제품 0.055 0.054 0.048
상기 표 6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비교예 1 내지3)과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알코올 양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특히 세 종류의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5 내지 13)은 단일 성분을 가지는 조성물보다 우수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보인다. 또한, 시판 중인 C사 제품과 G사 제품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매우 우수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숙취 해소 효과 측정
본 발명 조성물의 숙취 해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 내지 13의 추출물 5 g과 CMC 5 g을 정량한 후 정제수로 1,000 ㎖을 맞추어 제조예 1 내지 12를 제조하였다. 표 7과 같이 제조예 1 내지 12와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여 30 대의 건강한 남자 성인 170 명을 17 그룹으로 나누어 복용하게 한 후 숙취 해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조성
추출물 C사 제품 CMC 정제수
제조예 1 5(실시예 2)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2 5(실시예 3)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3 5(실시예 4)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4 5(실시예 5)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5 5(실시예 6)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6 5(실시예 7)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7 5(실시예 8)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8 5(실시예 9)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9 5(실시예 10)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10 5(실시예 11)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11 5(실시예 12) - 5 1,000 ㎖로 맞춤
제조예 12 5(실시예 13) - 5 1,000 ㎖로 맞춤
비교예 1 5(실시예1-1) - 5 1,000 ㎖로 맞춤
비교예 2 5(실시예 1-2) - 5 1,000 ㎖로 맞춤
비교예 3 5(실시예 1-3) - 5 1,000 ㎖로 맞춤
비교예 4 - 1,000 - 1,000 ㎖로 맞춤
비교예 5 - - 5 1,000 ㎖로 맞춤
피험자는 실험 시작 12시간 전부터 금식시키고, 물만 공급하였다. 각 실험자들에게 위 제조예 1 내지 12과 비교예 1 내지 5를 100 ㎖씩 섭취케 하고, 30분 후에 40% 알코올 음료 100 ㎖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음료에 사용할 경우 점증 효과(Thickener)와 안정화 효과(Stabilizer)를 주므로 음료로 조제할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험자에게 투여할 시료 제조시 사용했으므로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대조군으로 CMC 용액만 투여한 군을 따로 설정하였다. 알코올 섭취 4시간 후에 두통 여부와 위장관 불쾌감 여부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여 하기 표 8과 표 9에 나타내었다.
숙취 해소에 대한 설문조사(두통)
두통 응답자 수(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제조예 1 6 2 1 1
제조예 2 6 2 2 -
제조예 3 6 3 1 -
제조예 4 8 2 - -
제조예 5 8 1 1 -
제조예 6 7 2 1 -
제조예 7 7 3 - -
제조예 8 7 3 - -
제조예 9 8 2 - -
제조예 10 8 2 - -
제조예 11 8 2 - -
제조예 12 8 2 - -
비교예 1 6 3 1 -
비교예 2 6 2 2 -
비교예 3 6 1 3 -
비교예 4 4 3 1 2
비교예 5 0 0 1 9
숙취 해소에 대한 설문조사(위장관 불쾌감)
위장관 불쾌감 응답자 수(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제조예 1 7 2 1 -
제조예 2 7 3 - -
제조예 3 7 3 - -
제조예 4 8 2 - -
제조예 5 8 1 1 -
제조예 6 8 1 1 -
제조예 7 7 1 2 -
제조예 8 8 2 - -
제조예 9 8 1 1 -
제조예 10 7 1 1 1
제조예 11 8 2 - -
제조예 12 8 1 1 -
비교예 1 6 2 2 -
비교예 2 6 3 1 -
비교예 3 6 2 2 0
비교예 4 4 2 2 2
비교예 5 0 0 2 8
상기 표 8 및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물들을 각각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비교예 1 내지 3)도 효과가 좋지만,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이 훨씬 더 좋은 숙취 해소 효과를 보여주었고, 특히 시판된 C사 제품(비교예 4)보다 숙취의 주증상인 두통 및 위장관 불쾌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개느삼 추출물 1 g
산구절초 추출물 1 g
인진쑥 추출물 1 g
유당 7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개느삼 추출물 100 mg
산구절초 추출물 100 mg
인진쑥 추출물 10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개느삼 추출물 100 mg
산구절초 추출물 100 mg
인진쑥 추출물 10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조리용 양념 100 중량부,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하여 숙취 해소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밀가루 100 중량부,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0.1 내지 5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고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개느삼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은깨 7 중량부),
개느삼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내지 10 중량부, 구연산 0.05 내지 0.3 중량부, 카라멜 0.005 내지 0.02 중량부, 비타민 C 0.1 내지 1 중량부, 개느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내지 94 중량부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 내지 98℃에서 20 내지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내지 0.82 중량부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숙취 해소용 기능성 음료의 제조
비타민 0.1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백설탕 3.8 중량부, 구연산 0.12 중량부, 사과산 0.03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4 중량부 및 치자청색소 0.02 중량부에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3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3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3 중량부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계랑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중량부, 올리고당 2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물 75 중량부와 같은 부재료와 개느삼 추출물 10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10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10 중량부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4.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5 g, 산구절초 추출물 5 g, 인진쑥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개느삼 추출물 1 g, 산구절초 추출물 1 g, 인진쑥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4> 피부 외용제의 제조
1. 크림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난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개느삼 추출물 4.6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4.6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4.6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2. 로션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개느삼 추출물 3.5 중량부
산구절초 추출물 3.5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3.5 중량부
카르보내(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며, 알코올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생체 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숙취 해소용 음료보다 효율적으로 숙취 제거를 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숙취 해소용 음료 및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물, C1 내지 C3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 추출물, 산구절초(Chrysanthemum zasadskii) 추출물,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숙취 해소는 알코올탈수소효소의 활성 증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숙취 해소는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의 활성 증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및 인진쑥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고, 2 ~ 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를 구성하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비는 2 :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또는 인진쑥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 총 중량에 의해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 식 품.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느삼 추출물, 산구절초 추출물 및 인진쑥 추출물은 2~5:2~5:2~5의 혼합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034576A 2006-04-17 2006-04-17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075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76A KR100758267B1 (ko) 2006-04-17 2006-04-17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76A KR100758267B1 (ko) 2006-04-17 2006-04-17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267B1 true KR100758267B1 (ko) 2007-09-13

Family

ID=3873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576A KR100758267B1 (ko) 2006-04-17 2006-04-17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90B1 (ko) 2007-11-0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4',6'-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20104403A (ko) * 2021-01-18 2022-07-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느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51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파이컴 카드 낱장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51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파이컴 카드 낱장 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7(1), pp.86-91, 2004
한국약용작물확회지 8(2), pp.94-101, 2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90B1 (ko) 2007-11-0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4',6'-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20104403A (ko) * 2021-01-18 2022-07-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느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9287B1 (ko) 2021-01-18 2024-06-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느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276141B1 (ko)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875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20997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보호용 또는 망막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58267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20040052930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20220046736A (ko) 구절초 및 꾸지뽕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EP1541163B1 (en) Hair growth stimulants for oral use
KR101152272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5416A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조성물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