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616A -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616A
KR20180104616A KR1020187020140A KR20187020140A KR20180104616A KR 20180104616 A KR20180104616 A KR 20180104616A KR 1020187020140 A KR1020187020140 A KR 1020187020140A KR 20187020140 A KR20187020140 A KR 20187020140A KR 20180104616 A KR20180104616 A KR 2018010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operation
control
manual
machine
assista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10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1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 G05B19/4182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machine tools and manipulators only, machining cent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G05B19/106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selecting a programme, variable or parameter
    • G05B19/108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selecting a programme, variable or parameter characterised by physical layout of switches; switches co-operating with display; use of switches in a special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68Display progress of progr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78Display status of currently selected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06Programmer device, portable, handheld detachable programm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12Discriminate with id code the module to be programm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13Remote programmer can only program a device if nearby, narrow be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413Manual device is automatically recognised and its interface selec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59Detachable or portable programming unit, display, pc, pd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67Use camera of handheld device, pda, pendant, head mounted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ipulato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은 필요 최소한의 조작 스위치(6, 7)와, 기계 설비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의 전송부(11)를 구비한 수동 조작 수단(5), 전송부(11)로부터 받은 기계 설비 특정 신호에 근거하여,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와, 선택된 수동 조작 대상 기기에 대하여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제어 내용 표시부를 갖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이 표시되는 조작 보조 단말(30), 및 상기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에 대한 조작에 의해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 전환 신호(35)를 수신함으로써,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부와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2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는 자동 운전되는 기계 설비이지만, 수동 운전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태블릿 등으로 칭해지는 조작 보조 단말을 이용하여, 당해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를 간단하게 게다가 오조작 없이 수동 조작할 수 있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 설비의 수동 운전을 위한 시스템으로서는 작업자가 시각에 의해 제어 대상을 인식할 수 있는 에어리어마다 수동 조작반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는 바와 같이, 기계 설비의 현장에 들어간 작업자가 휴대하는 조작 단말, 즉 눈앞에 있는 기계 설비의 제어 장치와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 상태로 되는 조작 단말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고정적으로 설치된 수동 조작반을 사용하는 하드 구성의 시스템에서는, 대규모의 기계 설비일수록, 수동 조작반의 설치 대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각 수동 조작반이 구비하는 조작 스위치의 개수도 대단히 많아져, 제어 대상의 제어 장치와의 사이의 배선을 포함하여, 설비 비용이 대단히 고가가 된다. 이에 대해, 후자의 휴대 조작 단말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의 시스템이면, 설비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일본 특개 2015-214378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의 시스템에서는, 작업자는 고정적으로 설치된 하드웨어적인 수동 조작반과 비교하여, 휴대 조작 단말의 대단히 협소한 화면 위에 표시되는 가상 조작 스위치를, 손끝으로 터치 조작 또는 화면상의 커서를 겹쳐서 클릭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필요한 조작을 행하게 되어, 표시되는 가상 조작 스위치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조작을 잘못 없이 확실하게 행하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휴대 조작 단말과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수단, 특히 무선 통신 수단의 경우에는, 조작과 실제의 움직임 사이에 타임래그가 생기는 경우도 있어, 인칭 조작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를 미동시키는 것과 같은 조작도 대단히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은,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부호를 괄호 붙여 나타내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와, 이들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8)를 구비한 기계 설비(1/13), 이 기계 설비(1/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5/25), 휴대 가능한 조작 보조 단말(30), 및 이 조작 보조 단말(30)과 상기 기계 설비(1/13)의 제어 장치(28)를 접속하는 통신 수단(무선·유선을 불문)(34)을 사용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수동 조작 수단(5/25)은 이 수동 조작 수단(5/25)을 구비한 기계 설비(1/13)가 구비하는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6, 7)와, 이 수동 조작 수단(5/25)을 구비한 기계 설비(1/13)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에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11/26)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에는, 상기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11/26)로부터 받은 기계 설비 특정 신호에 근거하여, 당해 기계 설비(1/13)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44a, 44b)와, 선택된 수동 조작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수동 조작 수단(5/25)의 조작 스위치(6, 7)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제어 내용 표시부(44a1∼44b2, 54a∼55f)를 갖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 48)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 장치(28)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34)을 통하여, 상기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44a, 44b)에 대한 조작에 의해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 전환 신호(35)를 수신함으로써,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부와 상기 수동 조작 수단(5/25)의 조작 스위치(6, 7)를 접속시켜, 상기 수동 조작 수단(5/25)의 조작 스위치(6, 7)의 조작에 의해, 당해 조작 스위치(6, 7)에 할당된 제어를 선택된 제어 대상 기기에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기계 설비가 구비되는 공장 등에 있어서, 평소는 자동 운전되고 있는 특정 기계 설비를 수동 운전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과 같은 경우, 작업자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을 휴대하여 현장을 향하고, 목적의 기계 설비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상기 전송부로부터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읽어낸다. 이 결과, 눈앞에 있는 수동 운전 대상의 기계 설비의 제어 장치와,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조작 보조 단말이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고, 당해 조작 보조 단말의 화면상에 상기 수동 조작 보조 화면이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이 수동 조작 보조 화면상의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로부터 수동 운전해야 할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부와,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가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상기 조작 보조 단말이 아니고, 수동 운전 대상의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에,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종별이 할당되는 것이지만, 어느 조작 스위치에 어떤 제어 종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휴대하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의 수동 조작 보조 화면상의 제어 내용 표시부에 의해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 제어 내용 표시부에 의해 알 수 있는 제어 종별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수동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동 운전시에 작업자가 실제로 조작하는 대상은 휴대하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의 수동 조작 보조 화면상의 가상 조작반이 아니고, 실재하는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 보조 단말로부터 통신 수단(특히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장치의 해당 제어부에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으로부터 실제로 제어 대상 기기가 작동할 때까지의 타임래그가 적어진다. 또한, 공장 내의 기계 설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전자파 등, 무선 통신의 장해가 되는 사상 등의 영향을 받지도 않고, 가령 인칭 조작이 필요하여도, 화면상의 조작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의 오조작의 우려도 전혀 없어, 필요한 조작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기계 설비 내의 수동 조작 대상 기기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각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상기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에서 선택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에, 새롭게 선택된 수동 조작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가 할당되고, 이 조작 스위치에 대한 제어의 할당 상황을 조작 보조 단말의 수동 조작 보조 화면상에서 확인한 뒤에, 동일한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새로운 수동 조작 대상 기기에 대한 수동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 설비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의 수에 관계없이, 필요 최소한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1개의 수동 조작 수단을 설치하면 되어, 설비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많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대형의 수동 조작 수단(제어반)을 조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조작의 우려도 거의 없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5, 25)의 조작 스위치로서, 서로 완전 반대의 조작, 예를 들면, 켜기 조작과 끄기 조작, 진출 조작과 퇴입 조작, 올림 조작과 내림 조작 등을 할당할 수 있는 2개의 조작 스위치(6, 7)를 설치하고, 이 2개의 조작 스위치(6, 7)와는 별도로 비상 정지용 스위치(8)를 설치하여, 최소한의 수의 조작 스위치(6∼8)를 구비한 수동 조작 수단(5, 25)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동 조작 수단으로부터 조작 보조 단말에, 기계 설비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 수단으로서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조작 보조 단말이 수동 조작 대상의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수동 조작 수단의 근처에 있으므로, 상기 수동 조작 수단과 조작 보조 단말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나 접속 분리 자유로운 통신선(유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동 조작 수단을 구비한 기계 설비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상기 조작 보조 단말에 전송하기 위하여, 수동 조작 수단에 설치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로서는, 상기와 같은 각종 통신 수단에 따라, 무선 신호 발신 수단이나, 조작 보조 단말측의 통신선을 접속하는 커넥터, 또는 조작 보조 단말측의 통신선 접속 커넥터에 접속 자유로운 통신선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전송부(11, 26)로서,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이 구비하는 촬상 수단(32)에 의해 읽어내어 판별 가능한 코드(12, 27)를 표시하는 시트를 상기 수동 조작 수단(5, 25)의 외면에 첩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 수단측에 전기적인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조작 보조 단말로서 이용 가능한,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라고 칭해지는 기기가 구비하는 카메라를 활용하여,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 수단을 대단히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보조 단말에는, 상기 수동 조작 보조 화면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기계 설비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나 사진을 표시하는 표시면(42, 46)을 추가 표시시켜, 수동 조작 대상의 기계 설비에 대한 여러 정보를 입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어 대상 기기를 임의의 타이밍에 가동시킬 수 있는 기계 설비(1)인 경우에는, 조작 보조 단말(30)에는, 이 기계 설비(1)의 모든 제어 대상 기기의 일람과, 이 일람 중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수동 조작의 가부 상태를 표시하는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을 추가할 수 있다. 각 제어 대상 기기를 설정된 순서로 동작시키는 기계 설비(13)인 경우에는, 조작 보조 단말(30)에는, 각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일람 표시함과 아울러, 이 일람 중에서 수동 조작에 의한 동작의 진척 상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7)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각 제어 대상 기기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경우의 제약의 유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 없이 용이하게 목적의 기기를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보조 단말의 표시 화면의 구성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28)는, 이 제어 장치측에 설정된 수동 조작 종료 조건이 충족시켜졌을 때, 예를 들면, 최후의 수동 조작으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까지 아무것도 수동 조작 수단(5/25)으로부터의 수동 조작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또는 접속되어 있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종료 신호(36b)를 수신했을 때, 다른 조작 보조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접수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복수의 반송 대차 주행 라인을 구비한 기계 설비의 설명도, 도 1B는 그 기계 설비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워크를 승강 및 옮겨싣기(移載)하는 리프터를 구비한 기계 설비의 설명도, 도 2B는 그 기계 설비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 보조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 보조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A에 도시되는 기계 설비(1)에서는, 반송 대차(2)의 진입로(3)와 퇴출로(4) 사이에 설치된, 서로 병렬하는 복수의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은 반송 대차(2) 위에 적재되어 있는 워크에 대한 작업 라인이나, 빈 반송 대차(2) 또는 워크를 적재한 반송 대차(2)의 스토리지 라인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3)에 있어서 반송 대차(2)를 소정의 속도로 전진 주행시키는 대차 구동 수단(L1d∼L4d)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3)의 입구와 진입로(3) 사이에는, 진입로(3)를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3)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입구측 경로 전환 수단(P1∼P3)이 설치되고,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L4)의 출구와 퇴출로(4) 사이에는,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L4)을 퇴출로(4)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출구측 경로 전환 수단(P4∼P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 설비(1)에는, 이 기계 설비(1)의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장소에, 수동 조작 수단(5)이 병설되어 있다. 수동 조작 수단(5)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극(포지티브)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6), 소극(네거티브)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7), 및 비상 정지용 조작 스위치(8)가 배열 설치된 조작 박스(9)가 지주(10)에 의해 지지된 것이며, 조작 스위치(6∼8)로서는 도시와 같이 푸시 버튼 스위치가 일반적이지만, 다른 임의의 형식(구성)의 조작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박스(9)의 외측면 적당 개소에는, 이 기계 설비(1)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후술하는 조작 보조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11)로서는 이 기계 설비(1)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나타내는 이차원 매트릭스 바 코드(이하, 이차원 코드라고 약칭함)(12)가 인쇄된 시트를 조작 박스(9)의 외측면 적당 개소에 첩부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는 기계 설비(13)는 워크 지지를 위한 좌우 한 쌍의 개폐 자유로운 암(14a)을 구비한 캐리어(14), 이 캐리어(14)를 일정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구동하는 트롤리 컨베이어(15), 반송 대차(16)를 구비한 플로어 컨베이어(17), 및 양쪽 컨베이어(15, 17)의 캐리어(14)와 반송 대차(16) 사이에서 워크(18)를 승강 및 옮겨싣기하는 승강 반송 장치(19)를 구비한 것이다. 이 승강 반송 장치(19)에는, 정위치에서 정지한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의 암(14a)을 개폐하는 암 개폐 수단(20)과, 워크(18)의 좌우 양측변을 지지하는 포크(21)를 각각 구비한 좌우 한 쌍의 리프터(22), 및 이 좌우 한 쌍의 리프터(22)를 서로 동기하여 승강하는 승강 구동 수단(23)이 병설되고, 좌우 한 쌍의 리프터(22)에는, 포크(21)를 출퇴 구동하는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계 설비(13)에는, 이 기계 설비(13)의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장소에, 도 2B에 도시하는 수동 조작 수단(25)이 병설되어 있다. 이 수동 조작 수단(25)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B에 도시한 수동 조작 수단(5)과 동일한 구성의 것으로서, 그 조작 박스(9)의 외측면 적당 개소에는, 이 기계 설비(13)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후술하는 조작 보조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26)도 이 기계 설비(13)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의미하는 이차원 코드(27)가 인쇄된 시트를 조작 박스(9)의 외측면 적당 개소에 첩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기계 설비(1, 13)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각 기계 설비(1, 13)를 구성하는 제어 대상 기기, 즉 기계 설비(1)에서는,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에 병설의 대차 구동 수단(L1d∼L4d)이나 입구측 경로 전환 수단(P1∼P3), 및 출구측 경로 전환 수단(P4∼P6) 등의 제어 대상 기기, 기계 설비(13)에서는, 트롤리 컨베이어(15), 플로어 컨베이어(17), 암 개폐 수단(20), 승강 구동 수단(23), 및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 외에, 도시 생략했지만, 캐리어(14)를 주행 경로 중의 정위치에서 로킹하는 캐리어 로킹 수단과 그 로킹·언로킹 확인 수단, 워크를 지지하는 닫힘 자세로 암(14a)을 로킹하는 암 로킹 수단과 그 로킹·언로킹 확인 수단, 캐리어(14)가 지지하는 워크(18)의 종별을 검출하는 워크 판별 수단, 포크(21)의 출입 한계 위치 검출 수단, 리프터(22)의 위치 검출 수단, 등의 수많은 제어 대상 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a1∼an)를 구비한 제어 장치(28)가 기계 설비마다 병설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8)에는, 각 기계 설비(1, 13)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5, 25)과 상기 제어 장치(28)의 각 제어부(a1∼an)를 택일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환 수단(2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기계 설비(1, 13)의 제어 장치(28)를 수동 조작하기 위한,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작 보조 단말(30)이 병용된다.
상기 조작 보조 단말(3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라고 칭해지는, 입력 방식이 터치 스크린 방식의 휴대 가능한 소형 PC로서, 터치 조작 스크린이 되는 화면(31)과 카메라(촬상 장치)(32)를 구비한 것이지만,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이것을 대신하는 조작면을 입력 기기로 하는, 입력 방식의 상이한 휴대 가능한 소형 PC이어도 된다. 이 조작 보조 단말(30)은 각 기계 설비(1, 13)에 병설의 액세스 포인트(33)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수단(34)을 통하여, 각 기계 설비(1, 13)의 상기 제어 장치(28)와 접속되는 것으로, 제어 장치(28)의 전환 수단(29)을 전환하는 제어 대상·제어 내용 전환 신호(35)나, 제어 장치(28)에 대한 접속 확인 신호(36a) 또는 접속 종료 신호(36b)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28)에는, 표시 화상 생성 장치(37)가 병설되어 있다. 이 표시 화상 생성 장치(37)는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각 제어부(a1∼an)에 대한 수동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에, 필요한 정보를 개시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신호(38)를 생성하는 것이다. 39는 조작 보조 단말(30)과 제어 장치(28) 사이의 통신계에 개재된 통신로 접속·차단 수단으로서,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확인 신호(36a) 또는 접속 종료 신호(36b)나, 수동 조작 수단(5, 25)으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일정 시간 계속해서 제어 장치(28)에 입력되지 않았을 때 당해 제어 장치(28)로부터 출력되는 수동 조작 해제 신호(40)를 받아, 통신로의 접속 또는 차단을 실행한다.
이하,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 위에서의 구체적인 표시 내용과, 구체적인 수동 조작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작 보조 단말(30)을 휴대하는 작업자가 도 1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1)의 수동 조작 수단(5)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이 조작 보조 단말(30)의 카메라(촬상 장치)(32)에 의해, 당해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박스(9)에 첩부되어 있는 이차원 코드(12)를 촬영하면, 이 이차원 코드(12)에 의해 특정되는 기계 설비(1)가 조작 보조 단말(30)에 의해 인식되어, 화면(31)에, 기계 설비(1)와의 접속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버튼(41)이 표시된다. 작업자가 그 접속 확인 버튼(41)을 조작하면, 기계 설비(1)와의 접속 확인 신호(36a)가 무선 통신 수단(34)을 통하여 통신로 접속·차단 수단(39)에 보내지고, 당해 통신로 접속·차단 수단(39)이 도통하여, 표시 화상 생성 장치(37)로부터 조작 보조 단말(30)에, 기계 설비(1)의 수동 조작을 위한 화상 신호(38)가 보내진다. 이 결과,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 설비(1)에 관한 여러 참고 정보, 예를 들면, 각종 도면이나 촬영 화상 등을 탭 전환으로 표시하는 참고 정보 표시 화면(42),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 및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이 표시된다.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은 기계 설비(1) 내의 모든 제어 대상 기기인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실제의 제어 대상은 대차 구동 수단(L1d∼L4d))마다 수동 조작의 가부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기기 표시부(43a 1∼43d1)와,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기 상태 표시부(43a2∼43d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은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에서 표시되는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를 발췌 표시함과 아울러, 이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 중의 수동 조작을 실행하는 대상의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a, 44b)과, 각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a, 44b)에서 선택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상기 수동 조작 수단(5)의 각 조작 스위치(6, 7)에 의해 수동 조작할 때의, 각 조작 스위치(6, 7)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제어 내용 표시부(44a1, 44a2 및 44b1, 44b2)를 갖는다. 한편, 도 4에서는, 2개의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a, 44b)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그 시점에서 2개의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L4)이 수동 조작 대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도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 설비(1)의 수동 조작 수단(5)으로부터 이차원 코드(12)를 촬영하고 또한 접속 확인 버튼(41)을 조작한 결과, 작업자가 휴대하는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 위에, 도 4에 도시하는 참고 정보 표시 화면(42),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 및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이 표시되었다고 하면, 작업자는, 그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의 표시 상태로부터, 모든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의 상태를 알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에 대응하는 기기 표시부(43a1∼43d1)에 있어서,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L4)의 표시 상태가 다른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 L3)의 표시 상태와 상이한(예를 들면, 표시색이 상이한, 점멸 표시로 되어 있는 등) 것에서,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L4)(대차 구동 수단(L2d, L4d))이 수동 조작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에서는, 그때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L4))가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a, 44b)으로서 표시됨과 아울러, 선택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수동 조작 수단(5)으로 수동 조작할 때, 당해 수동 조작 수단(5)의 적극(포지티브)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6)에 반출 조작이 할당되고, 수동 조작 수단(5)의 소극(네거티브)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7)에는 반입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이 제어 내용 표시부(44a1, 44a2 및 44b1, 44b2)의 표시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a, 44b)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선택 버튼(44a)을 터치 조작하여, 지금부터 행하는 수동 조작의 대상이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결정에 근거하여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기계 설비(1)의 제어 장치(28)에 제어 대상·제어 내용 전환 신호(35)가 송신되고, 당해 제어 장치(28)의 전환 수단(29)이 수동 조작 수단(5)과, 제어부(a1∼an) 중, 수동 조작 대상인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대차 구동 수단(L2d))의 제어부(예를 들면, 제어부(a2))를, 수동 조작 수단(5)의 2개의 조작 스위치(6, 7)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제어 내용이 당해 조작 스위치(6, 7)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도록, 접속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수동 조작 수단(5)의 위치로부터 기계 설비(1)의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어 내용 표시부(44a1, 44a2 및 44b1, 44b2)가 나타내는 바에 따라,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여, 퇴출로(4)의 대차 구동 수단과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의 대차 구동 수단(L2d)을 가동시킴과 아울러, 출구측 경로 전환 수단(P4)을 제어하여,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내에 있는 반송 대차(2)를 당해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으로부터 퇴출로(4)에 반출시키거나, 또는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7)를 조작하여, 진입로(3)의 대차 구동 수단과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의 대차 구동 수단(L2d)을 가동시킴과 아울러, 입구측 경로 전환 수단(P2)을 제어하여, 진입로(3)로부터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 내에 반송 대차(2)를 반입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조작에 있어서, 각 반송 대차 주행 라인(L1∼L4)에 있어서의 반송 대차(2)의 공석(空席)/재석(在席) 상태가 제어 장치(28)측에서 파악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 대차(2)가 재석인 반송 대차 주행 라인이 수동 조작 대상일 때는,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6, 7) 중, 반출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6)만이 조작 가능하게 되고, 반송 대차(2)가 공석인 반송 대차 주행 라인이 수동 조작 대상일 때는,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6, 7) 중, 반입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7)만이 조작 가능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 보조 단말(30)의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에서 표시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가, 예를 들면,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뿐일 때는, 상기 수동 조작에 의해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으로부터의 반송 대차(2)의 반출 작업 또는 반송 대차 주행 라인(L2)으로의 반송 대차(2)의 반입 작업에 의해 수동 조작이 완료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가 그 외에 있고, 당해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의 조작도 희망할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수동 조작 가능한 기기(반송 대차 주행 라인(L4))를 표시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44b)을 터치 조작한 뒤에, 그 양측에 표시되는 제어 내용 표시부(44b1, 44b2)가 나타내는 바에 따라, 수동 조작 수단(5)의 조작 스위치(6 또는 7)를 조작하면 된다. 이 기계 설비(1)에 있어서의 수동 조작이 모두 완료되면,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에 있는 종료 버튼(45)을 터치 조작한다. 이 결과,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접속 종료 신호(36b)가 제어 장치(28)에 송신되고, 수동 조작 수단(5)과 제어 장치(28)의 접속 및 제어 장치(28)와 조작 보조 단말(30)의 접속이 해제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물론, 수동 조작 수단(5)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일정 시간 계속해서 수신하지 않았을 때는, 제어 장치(28)측으로부터 수동 조작 해제 신호(40)를 조작 보조 단말(30)에 송신하여, 수동 조작 수단(5)과 제어 장치(28)의 접속 및 제어 장치(28)와 조작 보조 단말(30)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계 설비(1)인 경우, 조작 보조 단말(30)에 표시시키는 화면으로서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4)뿐이어도 되고, 참고 정보 표시 화면(42)이나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3)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계 설비(1)의 구성이나 상황을 파악하는 점에서 도움이 되어, 그 기계 설비(1)를 구성하는 일부의 기기의 수동 조작을 적확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도 2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13)가 수동 조작의 대상일 때는, 조작 보조 단말(30)을 휴대하는 작업자가 도 2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13)의 수동 조작 수단(25)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수동 조작 수단(25)으로부터 이차원 코드(27)를 촬영하고 또한 접속 확인 버튼(41)을 조작함으로써, 작업자가 휴대하는 조작 보조 단말(30)과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무선 통신 수단(34)을 통하여 접속되어, 조작 보조 단말(30)에, 당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에 병설의 표시 화상 생성 장치(37)로부터, 이 기계 설비(13)의 수동 조작을 위한 화면 표시를 행하게 하는 화상 신호(38)가 송신되어,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 위에, 도 5에 도시하는 참고 정보 표시 화면(46),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7), 및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이 표시된다. 참고 정보 표시 화면(46)은 도 4에 도시한 참고 정보 표시 화면(42)과 동일한 것으로, 기계 설비(13)에 관한 여러 참고 정보, 예를 들면, 각종 도면이나 촬영 화상 등을 탭 전환으로 표시한다.
기계 설비(13)는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로 반송되어 온 워크(18)를 리프터(22)에 의해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 위에 옮겨싣기하거나, 또는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로 반송되어 온 워크(18)를 리프터(22)에 의해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에 옮겨싣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기계 설비(13)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 당해 기계 설비(13)를 구성하는 모든 제어 대상 기기(캐리어(14)∼포크 출퇴 구동 수단(24) 및 도시하지 않은 상기 각종 기기)를 소정의 순서로 가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7)에는, 상기의 워크 옮겨싣기를 위한 각 동작을 스텝순으로 일람 표시하는 스텝 동작 표시부(49), 현재 어느 스텝 동작에 있는지를, 예를 들면, 점등에 의해 나타내는 현재 스텝 표시부(50), 재기동이 가능한 스텝을 나타내는 재기동 가능 표시부(51), 및 현재 스텝이 상기 재기동 가능 표시부(51)에서 표시되는 스텝에 있을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재기동 조작 버튼(5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은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와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 사이에서 워크(18)를 옮겨싣기할 때 필요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53f), 이 각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53f)의 양측에 배열 설치된 제어 내용 표시부(54a∼54f 및 55a∼55f)를 갖는다. 제어 내용 표시부(54a∼54f)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53f)에서 선택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상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의해 수동 조작할 때의, 당해 조작 스위치(6)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어 내용 표시부(55a∼55f)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53f)에서 선택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상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에 의해 수동 조작할 때의, 당해 조작 스위치(7)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53f) 중, 특정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조작을 실행할 때의 도움이 되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에 표시되는 상기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7)과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을 이용하여, 기계 설비(13)를 수동 조작할 때의 수순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47)의 현재 스텝 표시부(50)에서 지시되는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현재 어느 스텝에서 정지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시의 상황에서는, 현재는, 스텝 「1」의 「캐리어 정위치 확인」의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캐리어」는 도 2에 도시하는 기계 설비(13)의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로서, 이 캐리어(14)가 워크(18)를 지지하고 있는 것은, 육안에 의해, 또는 조작 보조 단말(30)의 화면(31)에 표시되어 있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캐리어 반출입」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a)에 부속의 「재석」 「공석」을 나타내는 보조 표시부(56a, 56b)의 점등 상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워크(18)를 지지하는 캐리어(14)가 정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상황으로부터, 다음에 실행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동작은, 스텝 「2」의 「캐리어 로킹 확인」이므로, 작업자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캐리어 로킹」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b)을 터치 조작한다. 이 결과,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부(a1∼an)(도 3 참조) 중, 캐리어 로킹 수단의 제어부와 이 제어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이 접속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b)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b, 55b)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캐리어 로킹 수단의 「로킹」 조작이 할당되고, 조작 스위치(7)에 캐리어 로킹 수단의 「언로킹」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정위치에 있는 캐리어(14)를 로킹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게 된다. 이 조작의 결과, 제어 장치(28)의 해당 기기(캐리어 로킹 수단)가 제어되어, 캐리어(14)가 정위치에 로킹되고, 이 캐리어 로킹 상태가 확인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2」로부터 「3」으로 변화되어, 「워크 판별」의 스텝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워크 판별」의 스텝은 기계 설비(13)가 구비하는 워크 판별 수단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행해지고, 이제부터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에 옮겨싣기되는 워크(18)로서 그 판별 결과가 기록된다. 그후,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3」으로부터 「4」로 변화되고, 「포크 진출」의 스텝으로 이동한다.
작업자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리프터 승강」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에 부속된 「상한」 「대기점」 「하한」을 나타내는 보조 표시부(57a∼57c)의 점등 상태로부터, 또는 육안에 의해, 리프터(22)가 중간 높이의 대기점에 있는 것을 확인한 뒤에, 「포크 진출」의 스텝을 실행한다. 즉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포크 출퇴」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e)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부(a1∼an)(도 3 참조) 중,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e)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e, 55e)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포크 내기」 조작이 할당되고, 조작 스위치(7)에 「포크 되돌리기」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여,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에 의해 포크(21)를 진출 동작시킨다. 포크(21)가 내기 한계 위치까지 진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4」로부터 「5」로 변화되어, 「포크 출퇴 확인」이 이루어진 것이 표시된다.
다음에 정위치에 있는 캐리어(14)의 암(14a)이 워크(18)를 지지하는 닫힘 상태에서 로킹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5」로부터 「6」으로 변화되고, 「암 로킹 확인」이 실행된다. 이 「암 로킹 확인」이 끝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6」으로부터 「7」로 변화되고, 「리프터 상승(상한)」 스텝으로 이동한 것이 표시된다. 작업자는 이 「리프터 상승(상한)」 스텝을 실행하기 위하여,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리프터 승강」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승강 구동 수단(23)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f, 55f)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리프터 상승」 조작이 할당되고, 조작 스위치(7)에 「리프터 하강」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여, 승강 구동 수단(23)에 의해 리프터(22)를 상승 동작시킨다.
포크(21)가 내기 한계 위치까지 진출한 상태의 리프터(22)가 상승 한계까지 상승하면,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캐리어(14)의 암(14a)으로 지지되어 있는 워크(18)가 포크(21)에 의해 떠올려지고, 리프터(22)가 상승 한계에 도달한 것은, 「리프터 승강」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에 부속된 「상한」을 나타내는 보조 표시부(57a)의 점등 상태로부터, 또는 육안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다음 스텝 「8」, 즉 「암 언로킹」 스텝으로 변화된 것에 따라,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암 언로킹」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c)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암 로킹 수단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c)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c, 55c)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로킹」 조작이 할당되고, 조작 스위치(7)에 「언로킹」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을 조작하여, 워크(18)가 리프터(22)측으로 이동한 후의 캐리어(14)의 암(14a)을 언로킹 하여, 열림 동작 가능하게 전환한다.
암(14a)의 언로킹이 실행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8」로부터 「9」로 변화되어, 「암 열림」 스텝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암 개폐」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d)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암 개폐 수단(20)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d)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d, 55d)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열림」 조작이 할당되고, 조작 스위치(7)에 「닫힘」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여, 암 개폐 수단(20)에 의해 캐리어(14)의 암(14a)을 열리게 한다. 이 캐리어(14)의 암(14a)이 열린 후,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스텝이 「9」로부터 「10」으로 바뀌어, 「대차 준비 확인」 스텝에 들어간 것이 표시되고,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가 리프터(22)로부터 워크(18)를 수취하기 위한 정위치에 대기하는 상태가 되면, 대차 준비 확인 완료가 되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스텝이 「10」으로부터 「11」로 바뀌어, 「리프터 하강(하한)」 스텝의 실행이 지시된다.
작업자는, 이 「리프터 하강(하한)」 스텝을 실행하기 위하여,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리프터 승강」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을 터치 조작하여,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승강 구동 수단(23)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f, 55f)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에 「리프터 하강」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를 조작하여, 승강 구동 수단(23)에 의해 리프터(22)를 하한까지 하강 동작시킨다. 이 결과, 리프터(22)의 포크(21)에 지지되어 있던 워크(18)는 캐리어(14)의 열린 암(14a) 사이를 통과하여 하강하고, 정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 위에 옮겨싣기되고, 이후, 비워진 리프터(22)가 하강 한계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이 결과,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스텝이 「11」로부터 「12」로 바뀌고, 「옮겨싣기 완료 확인」이 실행되어, 반송 대차(16) 위로의 워크(18)의 옮겨싣기가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스텝이 「12」로부터 「13」으로 바뀌어, 「포크 되돌리기」 스텝의 실행이 지시된다.
작업자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포크 되돌리기」를 실행하기 위한 「포크 출퇴」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e)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e)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e, 55e)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에 「포크 되돌리기」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7)를 조작하여, 포크 출퇴 구동 수단(24)에 의해 포크(21)를 후퇴 동작시킨다. 포크(21)가 후퇴 한계 위치까지 후퇴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13」으로부터 「14」로 변화되고, 「리프터 상승(대기점)」 스텝이 지시된다.
여기에서 작업자는, 이 「리프터 상승(대기점)」 스텝을 실행하기 위하여,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의, 「리프터 승강」에 대응하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을 터치 조작하고,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가 구비하는 제어 대상 기기(a1∼an)(도 3 참조) 중, 승강 구동 수단(23)의 제어부와, 이 기계 설비(13)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25)을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53f)의 양측의 제어 내용 표시부(54f, 55f)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에 「리프터 상승」 조작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수동 조작 수단(25)의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여, 승강 구동 수단(23)에 의해 리프터(22)를, 트롤리 컨베이어(15)와 플로어 컨베이어(17) 사이의 중간 높이의 대기점까지 상승시킨다. 리프터(22)가 대기점에 도달하여 정지함으로써, 스텝 동작 표시부(49)의 표시가 스텝 「14」로부터 「0」으로 복귀하고,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의 「현위치 확인」 스텝으로 돌아간다.
이상으로, 트롤리 컨베이어(15)의 캐리어(14)로부터 플로어 컨베이어(17)의 반송 대차(16) 위에 워크(18)를 옮겨싣기하기 위한 일련의 수동 조작이 완료되지만,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스텝 「0」의 「현위치 확인」의 단계, 스텝 「6」의 「암 로킹 확인」의 단계, 스텝 「8」의 「암 언로킹」의 단계, 그리고 스텝 「14」의 「리프터 상승(대기점)」의 단계에서는, 재기동 가능 표시부(51)가 점등하여, 재기동이 가능한 것을 표시하므로, 이 단계에서 재기동 조작 버튼(52)을 터치 조작하여, 기계 설비(13)를 수동 조작으로부터 재기동하여, 자동 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기계 설비(13)에 있어서의 수동 조작이 모두 완료되면, 수동 조작 보조 화면(48)에 있는 종료 버튼(58)을 터치 조작한다. 이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접속 종료 신호(36b)가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에 송신되고, 수동 조작 수단(5)과 제어 장치(28)의 접속 및 제어 장치(28)와 조작 보조 단말(30)의 접속이 해제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물론, 기계 설비(1)에 있어서의 수동 조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 조작 수단(25)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일정 시간 계속해서 수신하지 않았을 때는, 이 기계 설비(13)의 제어 장치(28)측으로부터 수동 조작 해제 신호(40)를 조작 보조 단말(30)에 송신하고, 수동 조작 수단(25)과 제어 장치(28)의 접속 및 제어 장치(28)와 조작 보조 단말(30)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수단(34)은,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수동 조작 수단(5/25)과 조작 보조 단말(30)을 분리 자유롭게 접속하는 통신선을 이용한 유선 방식의 통신 수단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 실시예에 채용한 수동 조작 수단(5/25)에서는, 서로 정반대의 조작이 할당되는 2개의 조작 스위치(6, 7)만이 설치되고, 이 2개의 조작 스위치(6, 7)와는 별도로 비상 정지용 스위치(8)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개의 조작 스위치만이 설치되고, 비상 정지용 스위치(8)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수동 조작 수단(5/25)에 설치되고,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로서는, 서로 정반대의 조작이 할당되는 2개의 조작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조작 스위치 또는 3개 이상의 조작 스위치이어도 된다. 1개의 조작 스위치로서는 1개의 조작부를 ON(켜기) 위치와 OFF(끄기) 위치로 택일적으로 전환되는 ON/OFF 변환 스위치 외에, 내부 회로에서 ON(켜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투입 스위치나, 인에이블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인에이블 스위치는 작업자가 메인터넌스 등의 비정상 작업을 행할 때의 안전 대책으로서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이며, 조작부의 중간 위치가 ON(켜기) 위치가 되고, 조작부를 종단 위치까지 진행시키거나 또는 손을 떼어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켰을 때가 OFF(끄기) 위치가 되는 1개의 조작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은 1개의 조작 스위치를 채용하는 경우의 예를 기술하면, 예를 들면, 1개의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가 택일적으로 기동하는 것뿐이거나 또는 소정 동작 후에 자동 정지 제어되는 것과 같은, 예를 들면, 일방향으로만 워크를 반송하는 컨베이어(C)인 경우, 이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수동 조작 수단(5/25)에는, 1개의 조작 스위치(S)로서 상기 ON/OFF 변환 스위치, 투입 스위치, 인에이블 스위치 등의 1개를 설치하고, 당해 복수의 컨베이어(C)로부터 선택된 1개의 수동 조작 대상 컨베이어(C)에 대하여, 상기 수동 조작 수단(5/25)의 조작 스위치(S)에 할당된 제어 내용(예를 들면, 기동)을 조작 보조 단말(30)의 수동 조작 보조 화면상의 제어 내용 표시부에서 표시되게 하고, 제어 장치(28)는 조작 보조 단말(30)로부터 통신 수단(34)을 통하여 제어 대상 기기 전환 신호(35)를 수신함으로써, 특정된 1개의 컨베이어(C)의 제어부와 수동 조작 수단(5/25)의 1개의 조작 스위치(S)를 접속시켜, 당해 1개의 조작 스위치(S)의 조작에 의해, 당해 조작 스위치(S)에 할당된 제어(예를 들면, 기동)를 선택된 1개의 컨베이어(C)에 실행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자동차 조립 라인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계 설비를, 태블릿이라고 칭해지는 조작 보조 단말을 병용함으로써, 각 기계 설비에 병설되어 있는 수동 조작 수단(조작반)을 간략화하여, 수동 조작을 정확하게 실행하는 것이 용이한 시스템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1, 13 기계 설비
2 반송 대차
3 진입로
4 퇴출로
5, 25 수동 조작 수단
6 조작 스위치
7 조작 스위치
8 비상 정지용 조작 스위치
9 조작 박스
11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
12, 27 2차원 코드
14 캐리어
14a 개폐 자유로운 암
15 트롤리 컨베이어
16 반송 대차
17 플로어 컨베이어
18 워크
19 승강 반송 장치
20 행거 개폐 수단
22 리프터
23 승강 구동 수단
24 포크 출퇴 구동 수단
26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
28 각 기계 설비에 병설되어 있는 제어 장치
29 전환 수단
30 조작 보조 단말
32 카메라(촬상 장치)
33 액세스 포인트
34 무선 통신 수단
37 표시 화상 생성 장치
39 통신로 접속·차단 수단
41 접속 확인 버튼
42, 46 참고 정보 표시 화면
43, 47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
43a1∼43d1 기기 표시부
43a2∼43d2 기기 상태 표시부
44, 48 수동 조작 보조 화면
44a, 44b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
44a1, 44a2, 44b1, 44b2 제어 내용 표시부
45, 58 종료 버튼
49 스텝 동작 표시부
50 현재 스텝 표시부
53a∼53f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 버튼
54a∼54f, 55a∼55f 제어 내용 표시부
56a, 56b, 57a∼57c 보조 표시부
a1∼an 제어 장치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부
L1∼L4 반송 대차 주행 라인
L1d∼L4d 대차 구동 수단
P1∼P6 경로 전환 수단

Claims (7)

  1.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와, 이들 제어 대상 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기계 설비, 이 기계 설비에 병설된 수동 조작 수단, 휴대 가능한 조작 보조 단말, 및 이 조작 보조 단말과 상기 기계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은 이 수동 조작 수단을 구비한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와, 이 수동 조작 수단을 구비한 기계 설비를 특정하는 기계 설비 특정 신호를 상기 조작 보조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보조 단말에는, 상기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로부터 수취한 기계 설비 특정 신호에 근거하여, 당해 기계 설비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수동 조작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와, 선택된 수동 조작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에 할당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제어 내용 표시부를 갖는 수동 조작 보조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동 조작 대상 기기 선택부에 대한 조작에 의해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 전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특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부와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를 접속시키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당해 조작 스위치에 할당된 제어를 선택된 제어 대상 기기에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 스위치로서 서로 정반대의 조작이 할당되는 2개의 조작 스위치만이 설치되고, 이 2개의 조작 스위치와는 별도로 비상 정지용 스위치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 수단이 구비하는 상기 기계 설비 특정 신호 전송부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이 구비하는 촬상 수단에 의해 읽어내어 판별 가능한 코드를 표시한 시트가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외면에 첩부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보조 단말에는, 대응하는 기계 설비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나 사진을 표시하는 표시면이 추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제어 대상 기기를 임의의 타이밍에 가동시킬 수 있는 기계 설비이며, 조작 보조 단말에는, 이 기계 설비의 모든 제어 대상 기기의 일람과, 이 일람 중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수동 조작의 가부 상태를 표시하는,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제어 대상 기기를 설정된 순서로 동작시키는 기계 설비이며, 조작 보조 단말에는, 각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일람 표시함과 아울러, 이 일람 중에서 수동 조작에 의한 동작의 진척 상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기계 설비 상태 표시 화면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이 제어 장치측에 설정된 수동 조작 종료 조건이 충족시켜졌을 때, 또는 접속되어 있는 상기 조작 보조 단말로부터 종료 신호를 수신했을 때, 다른 조작 보조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KR1020187020140A 2016-01-15 2016-12-13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KR201801046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5826A JP6429033B2 (ja) 2016-01-15 2016-01-15 機械設備の制御システム
JPJP-P-2016-005826 2016-01-15
PCT/JP2016/087045 WO2017122483A1 (ja) 2016-01-15 2016-12-13 機械設備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16A true KR20180104616A (ko) 2018-09-21

Family

ID=5931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140A KR20180104616A (ko) 2016-01-15 2016-12-13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54658B2 (ko)
EP (1) EP3385802B1 (ko)
JP (1) JP6429033B2 (ko)
KR (1) KR20180104616A (ko)
CN (1) CN108885442B (ko)
BR (1) BR112018014258B1 (ko)
CA (1) CA3011216C (ko)
DK (1) DK3385802T3 (ko)
RU (1) RU2714802C2 (ko)
TW (1) TWI709015B (ko)
WO (1) WO2017122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2884B2 (en) * 2017-05-24 2020-01-14 Hall Labs Llc Mechanical end effector for planar motion mechanism
JP7206778B2 (ja) * 2018-10-15 2023-01-18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運転機器システム
JP7335484B2 (ja) * 2019-01-10 2023-08-3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コントローラ、及びパーツフィーダ
CN110893986B (zh) * 2019-11-26 2021-04-06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药瓶传送装置及其实现方法
US11487263B2 (en) * 2020-01-24 2022-11-01 Cattron North America, Inc. Wireless emergency stop systems including mobile device controllers linked with safety stop devices
US20210309063A1 (en) * 2020-04-02 2021-10-07 Fox Factory, Inc. Vehicle suspension management via an in-vehicle infotainment (ivi) system
US11970340B2 (en) * 2022-04-29 2024-04-30 Industrial Maintenance Services, Inc. Stand alone start/stop station for use within convey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3339B1 (de) * 1991-01-23 2001-05-09 Maschinenfabrik Rieter Ag Eine Anlage mit einem Prozessleitrechner
US5624473A (en) * 1994-04-29 1997-04-29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Automated controller for glassware manufacture with electronically labeled manual mode panel switches
US7117046B2 (en) * 2004-08-27 2006-10-03 Alstom Technology Ltd. Cascaded control of an average value of a process parameter to a desired value
CN100370384C (zh) * 2006-01-11 2008-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设备切换的方法及装置
CN101738995A (zh) * 2008-11-12 2010-06-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选择控制对象的智能遥控器及其控制方法
DE102009001224B4 (de) * 2009-02-27 2011-05-05 Wilmsen Gmbh & Co. Handels Kg System zur zentralen Regelung von Betriebseinrichtungen
CN202141917U (zh) * 2011-07-08 2012-02-08 许文科 一种机械设备的安全控制系统
JPWO2013094366A1 (ja) * 2011-12-22 2015-04-27 村田機械株式会社 産業機械システムおよび産業機械システム用情報処理機器
CN102767204B (zh) * 2012-07-27 2015-02-18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渭南分公司 暖机控制设备、控制系统和控制方法及工程机械设备
CN202710967U (zh) * 2012-08-17 2013-01-30 山东迈赫自动化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在机械输送设备上的智能识别自动控制系统
RU2510928C1 (ru) * 2012-11-21 2014-04-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форматизации,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связ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ОАО "НИИАС")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пульта связи
US9213331B2 (en) * 2012-12-19 2015-12-15 Caterpillar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CN203077286U (zh) * 2013-02-26 2013-07-24 深圳市华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lc机械手位置控制系统的应用设备
CN103309308B (zh) * 2013-05-17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智能化控制方法及装置、系统、即插即用设备
JP5948589B2 (ja) * 2013-08-07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産システム
JP6273998B2 (ja) * 2014-05-07 2018-02-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2015233223A (ja) * 2014-06-10 2015-12-24 村田機械株式会社 操作端末及び産業機械システム
CN105376620A (zh) * 2014-08-18 2016-03-0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控制方法及系统
RU154171U1 (ru) * 2014-10-14 2015-08-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ББ"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JP6248901B2 (ja) * 2014-11-13 2017-12-20 横河電機株式会社 入出力装置
CN105869373A (zh) * 2016-04-26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工作模式的方法及装置
CN206451386U (zh) * 2016-12-26 2017-08-29 华能(上海)电力检修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多路切换装置的多种dcs控制设备培训系统
CN109542085B (zh) * 2018-11-26 2020-10-23 东北大学 具有时滞配置功能的自动化实验平台柔性切换装置及方法
CN109884911A (zh) * 2019-03-21 2019-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控制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0161990A (zh) * 2019-04-28 2019-08-23 安恩达科技(深圳)有限公司 智能开关控制装置的控制方法及其装置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85442A (zh) 2018-11-23
JP2017126241A (ja) 2017-07-20
EP3385802A1 (en) 2018-10-10
EP3385802A4 (en) 2019-12-25
CA3011216C (en) 2023-12-19
BR112018014258B1 (pt) 2022-12-13
RU2714802C2 (ru) 2020-02-19
EP3385802B1 (en) 2024-04-17
US10654658B2 (en) 2020-05-19
TWI709015B (zh) 2020-11-01
WO2017122483A1 (ja) 2017-07-20
DK3385802T3 (da) 2024-05-06
RU2018128602A3 (ko) 2020-02-17
CA3011216A1 (en) 2017-07-20
JP6429033B2 (ja) 2018-11-28
CN108885442B (zh) 2021-02-26
BR112018014258A2 (pt) 2018-12-18
RU2018128602A (ru) 2020-02-17
TW201727426A (zh) 2017-08-01
US20180327193A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616A (ko) 기계 설비의 제어 시스템
KR102444184B1 (ko) 컨테이너 취급 장비 제어기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
JP5773293B2 (ja) 物流システムと物流システムの異常からの復旧方法
CN110304505B (zh) 电梯控制交互装置、机器人及电梯控制交互系统
JP2009051617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2153466A (ja) 搬送システム
JP5196451B2 (ja) 搬送システム
CN113840698A (zh) 用于自动零售店环境的机器人补货和安全系统
KR102363428B1 (ko)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
KR102435543B1 (ko)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
JP6689142B2 (ja) 搬送車の走行管理プログラム
KR102518923B1 (ko) 컨테이너 취급 장비 및 통신 방법을 위한 통신 어레인지먼트
US20220106167A1 (en) Automatically controlled door assembly as an elevator level door of an elevator system
JP2005332059A (ja) 自律走行車の階認識システム及び階認識方法
JP7298313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機
JP7006660B2 (ja) 物流機器システム
JP2015214408A (ja) 物品搬送設備
JP5872652B1 (ja) 機器状態確認システム
CN112673323A (zh) 用于容器处理机的操作单元
CN108750839A (zh) 一种垂直输送控制系统和方法
CN117651684A (zh) 电梯和机器人协作系统
JP2021066592A (ja) 運搬制御装置、運搬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H09194149A (ja) 自動呼び寄せ搬送装置
US2018002452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remotely controlle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