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71B1 -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71B1
KR102452071B1 KR1020177034043A KR20177034043A KR102452071B1 KR 102452071 B1 KR102452071 B1 KR 102452071B1 KR 1020177034043 A KR1020177034043 A KR 1020177034043A KR 20177034043 A KR20177034043 A KR 20177034043A KR 102452071 B1 KR102452071 B1 KR 10245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pe
operation button
touch panel
mechanical equipm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136A (ko
Inventor
쥰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1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6Arresting, braking or escapement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은 통상은 자동 운전되는 각종 기계 설비, 특히 마테리얼 핸들링의 분야에 속하는 각종 기계 설비를 비상시에 수동 운전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으로 휴대 가능한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 상에,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화면 상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과, 이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을 이동시켰을 때의 당해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의 이동 전 자리에 표시되는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이 설치되고, 이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에 대한 탭 조작에 의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킨다.

Description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본 발명은 통상은 자동 운전되는 각종 기계 설비, 특히 마테리얼 핸들링의 분야에 속하는 각종 기계 설비를 비상시에 수동 운전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휴대 가능한 제어반의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조작반으로서,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라고 칭해지는 휴대 정보 단말이나 노트북 등에서 화면 상에서의 탭 조작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조작반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이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로서의 적합한 종래예를 개시한 특허문헌을 나타낼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구성은 수동 조작의 단계마다 화면 상에 표시되는 윈도우에, 조작자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지금부터 실행하고자 하는 동작의 내용이나 그 동작을 안전하게 실행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 등을 표시함과 아울러, 그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속행 조작 버튼 그림이나, 현상태 그대로 실행시켜서는 문제가 생길 것 같은 경우의 중지 조작 버튼 그림 등이 표시된 것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터치 패널의 특성을 살려, 속행 조작 버튼 그림이나 중지 조작 버튼 그림 등에 대한 조작은 조작자의 손끝에 의한 탭 조작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고 생각되는 터치 패널은 목적으로 하는 조작 버튼 그림을 탭하는 것만으로, 당해 조작 버튼 그림에 관련지어진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마우스나 터치 패드의 커서를 목적으로 하는 조작 버튼 그림에 겹친 상태로 클릭 조작을 행해야하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 조작과 비교하여, 목적으로 하는 조작을 매우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인데, 이 특성이 예상과는 반대로 조작 버튼 그림에 무의식적으로 접촉해버려, 당해 조작 버튼 그림에 관련지어져 있는 동작이 의도치 않은 타이밍에 실행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기계 설비를 수동 조작하는 것이므로, 의도치 않은 타이밍에 동작이 실행된 경우, 기계 설비의 대규모의 손상이나 인신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은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으로 휴대 가능한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 상에,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화면 상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 화면부(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swipe button image)(32))와, 이 가동 화면부(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를 이동시켰을 때의 당해 가동 화면부의 이동 전 자리(移動跡)에 표시되는 조작 버튼 그림(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 화면부(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의 스와이프 조작 후의 상기 조작 버튼 그림(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에 대한 탭 조작에 의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탭 조작을 행하는 조작 버튼 그림은 가동 화면부를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지 않는 한 표시되지 않으므로, 가동 화면부에 대한 스와이프 조작 전에 조작 화면 상의 어떠한 장소에 접촉해도, 의도치 않게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켜버릴 우려는 전무하게 된다. 게다가,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전에 가동 화면부에 대한 스와이프 조작이 필요하다는 것은 특정 동작을 실행시켜도 되는지 여부의 판단 시간이 주어지는 것도 되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수동 조작을 여유를 가지고 안전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가동 화면부는 스와이프 조작 방향이 표시된 전용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을 기계 설비에 대한 특정 동작의 실행을 중지시키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과 겸용시켜, 이 중지 조작 버튼 그림을 탭 조작했을 때는, 기계 설비에 대한 특정 동작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이 중지 조작 버튼 그림을 소정의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했을 때는, 소기와 같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 그림을 출현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화면 상에 표시해야할 버튼 그림을 줄여 심플한 화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스와이프 조작해야 할 곳을 잘못해서 탭 조작해도, 기계 설비에 대한 특정 동작의 실행을 중지시키게 될 뿐이며, 다른 동작이 의도치 않게 실행된다는 위험성도 없다. 또한 이 구성을 실시하는 경우,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을 겸하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은 외견상은 중지 조작 버튼인 것처럼 표시하고, 이것에 스와이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추가 표시시키기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터치 패널의 조작 화면 상에는 수동 조작의 단계마다 조작자에게 그 때의 수동 조작에 관련된 정보 등을 개시하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윈도우가 표시되므로, 이 윈도우를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당해 윈도우를 상기 가동 화면부로 하고, 상기 조작 버튼 그림은 상기 윈도우를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이동시켰을 때의 당해 윈도우의 이동 전 자리에 표시되는 소 윈도우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윈도우에는 스와이프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화살표 등)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래 필요한 윈도우 자체를 스와이프 조작 방향이 표시된 스와이프 조작 대상에 겸용시킴으로써, 조작 화면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화면부에 대한 스와이프 조작 후,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버튼 그림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가동 화면부를 자동 복귀시켜, 상기 조작 버튼 그림을 숨겨버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 버튼 그림을 부주의하게 장시간 표시된 채로 방치하는 일이 없어져,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설비의 일례로서의 파워 앤드 프리 형식의 트롤리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상측 주행 경로부(相手側走行經路部)로부터 하측 주행 경로부(下相手側走行經路部)로의 반송용 주행체의 옮겨타는 개소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B는 동 A 도면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상측 주행 경로부의 종단(終端) 고정 정지 위치(定停止位置)에서 반송용 주행체가 정지한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의 일부 절결 확대도, 도 2C는 주행 경로부에 있어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3A는 하측 주행 경로부의 시단 고정 정지 위치에서 반송용 주행체가 정지한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주요부의 일부 절결 확대도, 도 3C는 도 3B의 상태로부터 반송용 주행체가 구동 개시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일부 절결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옮겨타는 제어를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A~C는 상기 수동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 있어서의 최초의 조작 단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A~C는 상기 수동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 있어서의 2번째의 조작 단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D는 상기 수동 조작에 사용되는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하는 기계 설비의 일례로서의 파워 앤드 프리 형식의 트롤리 컨베이어에 대해서 도 1~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1은 반송용 주행체로서,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행거 형식의 본체부(2)의 전후 양단부를 매다는 전후 2개의 로드 트롤리(3a, 3b)와, 전측 로드 트롤리(3a)에 연결 바(4)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결된 피동 트롤리(5)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는 상기 로드 트롤리(3a, 3b)와 피동 트롤리(5)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7A, 7B는 반송용 주행체(1)의 구동 수단으로서, 반송용 주행체(1)의 가이드 레일(6)을 따라 당해 가이드 레일(6)의 상측에 걸쳐져 설치된 가이드 레일(8)과, 이 가이드 레일(8)에 트롤리(9)를 통하여 매달린 구동 체인(10)과, 이 구동 체인(10)의 길이 방향 적당 간격을 둔 위치에서 트롤리(9)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구동 체인(10)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푸셔(11)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체인(10)은 종래 주지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가이드 레일(6))를 따른 경로 부분을 포함하는 순환 경로를 회동하는 것으로, 당해 순환 경로 중의 적당 개소에 배열 설치된 모터 구동의 톱니바퀴에 의해 소정 속도로 구동된다.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피동 도그(12)와 당해 피동 도그(12)의 후방에 위치하는 역지 도그(13), 및 피동 트롤리(5)로부터 전방으로 뻗어나온 상하 요동이 자유로운 피조작편(14)이 설치되어 있다. 피동 도그(12)와 피조작편(14)은 이 피조작편(14)의 상동에 연동하여 피동 도그(12)가 상동 한계 위치로부터 하강하도록 서로 연동 연결됨과 아울러, 피조작편(14)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피동 도그(12)가 상동 한계 위치에 부세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용 주행체(1)의 후측 로드 트롤리(3b)에는 반송용 주행체(1)끼리가 접근했을 때에, 후측의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의 피조작편(14)을 상동시켜, 당해 후측의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의 피동 도그(12)를 하강시키기 위한 조작편(15)이 후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역지 도그(13)는 전방 하방으로 도복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기립 자세로 부세 유지되어 있다. 이 기립 자세에 있는 역지 도그(13)는 상동 한계 위치에 있는 피동 도그(12)의 상단보다 한 단 낮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반송용 주행체(1)를 구동 수단(7A, 7B)으로 추진시키는 구동 경로 부분에서는 반송용 주행체(1)의 후방으로부터 접근 이동해오는 푸셔(11)가 역지 도그(13)를 전방 하방으로 도복시켜 당해 역지 도그(13)의 위치를 통과한 직후에 상동 한계 위치의 피동 도그(12)의 상단부에 맞닿아 뒤에서 밀고, 이 피동 도그(12)를 통하여 피동 트롤리(5), 나아가서는 반송용 주행체(1)를 전진 주행시키도록, 반송용 주행체(1)(트롤리(3a, 3b, 5))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과, 푸셔(11)(구동 체인(1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이 표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푸셔(11)가 반송용 주행체(1)를 구동하고 있을 때, 역지 도그(13)는 기립 자세로 복귀하여 푸셔(11)의 후측에 위치하고,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가 푸셔(11)보다 선행 이동하는 것을 푸셔(11)에 맞닿아 저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는 상측 구동 수단(7A)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가 주행 구동되는 상측 주행 경로(16A)와, 하측 구동 수단(7B)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가 주행 구동되는 하측 주행 경로(16B)로 구획되어 있다. 상측 주행 경로(16A)와 하측 주행 경로(16B)의 접속 개소에는 상측 구동 수단(7A)의 구동 체인(10)을 상측 주행 경로 (16A)로부터 횡측방으로 퇴출시키는 안내 톱니바퀴(17)와, 하측 구동 수단(7B)의 구동 체인(10)을 하측 주행 경로(16B) 상에 도입하는 안내 톱니바퀴(18)가 축지지되어 있다. 또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와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에는 고정 정지 위치(P1, P2)가 설정되고, 이들 각 고정 정지 위치(P1, P2)에는 반송용 주행체(1)를 이들 각 고정 정지 위치(P1, P2)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출퇴가 자유로운 스토퍼(19, 20)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와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과 푸셔(1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이 도 2C에 나타낸 표준 간격보다 넓게 된 넓은 간격 영역(H)이 설치되고,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의 고정 정지 위치(P1)의 스토퍼(19)는 이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의 넓은 간격 영역(H)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의 고정 정지 위치(P2)의 스토퍼(20)는 이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의 넓은 간격 영역(H)의 시단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스토퍼(19, 20)는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에 있어서의 피동 도그(12)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직각 수평 방향으로 솔레노이드나 실린더 유닛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퇴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들 각 스토퍼(19, 20)가 피동 도그(12)의 이동 경로 내에 진출한 작용 위치에 있을 때, 피동 도그(12)의 전측 경사면을 이용하여, 당해 피동 도그(12)를 피동 트롤리(5)의 전진 이동에 따라 밀어내리고, 당해 피동 도그(12)를 뒤에서 밀고 있던 푸셔(11)로부터 피동 도그(12)를 하방으로 놓아준 후, 역지 도그(13)의 상단부에 맞닿아 피동 트롤리(5)(반송용 주행체1)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9, 20)가 피동 트롤리(5)를 고정 정지 위치(P1, P2)에서 정지시키고 있을 때, 당해 스토퍼(19, 20)의 상면과 기립 자세에 있는 역지 도그(13)의 상단은 대략 동일 레벨에 있어, 후속의 푸셔(11)는 이들 스토퍼(19, 20) 및 역지 도그(13)의 상측을 이동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측 주행 경로(16A)의 넓은 간격 영역(H)보다 상측과, 하측 주행 경로(16B)의 넓은 간격 영역(H)보다 하측은 표준 간격 영역(R)으로 되어 있다. 표준 간격 영역(R)은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과 푸셔(1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이, 푸셔(11)가 피동 도그(12)와 역지 도그(13) 사이에 끼워맞춰지고, 역지 도그(13)가 기능하는 상태에서 푸셔(11)가 피동 트롤리(5)(반송용 주행체(1))를 구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한 하측 주행 경로(16B)의 넓은 간격 영역(H)보다 상측에는 반송용 주행체(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에 적당 길이의 상향 구배 경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의 고정 정지 위치(P1)로부터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의 고정 정지 위치(P2)에 반송용 주행체(1)를 보내는 피더(22)가 병설되어 있다. 이 피더(22)는 예를 들면 실린더 유닛(23)에 의해 밀고 당겨 구동되는 역지 푸셔(24)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반송용 주행체(1)의 적당한 부분을 뒤에서 미는 것에 의해, 당해 반송용 주행체(1)를 고정 정지 위치(P1)로부터 고정 정지 위치(P2)로 보낼 수 있다. 물론, 이 피더(22)는 실린더 유닛(23)과 역지 푸셔(24)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이나 스크류 구동의 역지 푸셔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트롤리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상측 주행 경로(16A)를 상측 구동 수단(7A)의 푸셔(1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용 주행체(1)가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에 도착하기 전에, 고정 정지 위치(P1)의 스토퍼(19)를 작용 위치까지 진출시켜둔다. 이 경우의 스토퍼(19)의 작용 위치로의 전환은 당연히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 영역과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옮겨타는 에리어 내에 다른 반송용 주행체(1)가 존재하지 않는 빈 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그래서, 상측 구동 수단(7A)의 푸셔(1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용 주행체(1)(도 2C 참조)가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에 도착하면,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셔(11)로 뒤에서 밀리고 있는 피동 트롤리(5)의 피동 도그(12)가 스토퍼(19)에 의해 밀어내려져, 푸셔(11)가 피동 도그(12)로부터 벗어나 그대로 통과하고, 스토퍼(19)는 역지 도그(13)에 맞닿아 피동 트롤리(5)를 받아들이고, 반송용 주행체(1)가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자동 정지하게 된다. 또한 피더(22)의 역지 푸셔(24)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퇴 한계 위치에 있어, 반송용 주행체(1)는 이 역지 푸셔(24)를 쓰러뜨리고 통과한 후, 상기 스토퍼(19)에 의해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자동 정지한다. 이 때, 반송용 주행체(1)의 상기 역지 푸셔(24)로 뒤에서 밀리는 뒤에서 미는 개소는 후퇴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역지 푸셔(24)의 직전 위치에 위치한다. 또 반송용 주행체(1)가 스토퍼(19)에 의해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고정 정지 위치(P1)가 넓은 간격 영역(H) 내에 있으므로, 상측 구동 수단(7A)의 후속의 푸셔(11)는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 상을 문제없이 통과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의 고정 정지 위치(P2)의 스토퍼(20)를 작용 위치까지 진출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고정 정지 위치(P1)의 스토퍼(19)를 퇴출시키고, 피동 도그(12)를 원래의 상동 한계 위치로 복귀시킨 후, 피더(22)의 역지 푸셔(24)를 실린더 유닛(23)에 의해 진출 한계 위치까지 진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정지하고 있던 반송용 주행체(1)의 뒤에서 미는 개소를 상기 역지 푸셔(24)로 뒤에서 밀고, 당해 반송용 주행체(1)를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를 향하여 보낸다. 이 피더(22)의 역지 푸셔(24)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의 보냄 작용에 의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의 피동 도그(12)가 고정 정지 위치(P2)의 스토퍼(20)로 밀어내려짐과 아울러 역지 도그(13)가 당해 스토퍼(20)로 받아들여져, 반송용 주행체(1)가 고정 정지 위치(P2)에서 자동 정지하게 된다. 이 때,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전측 로드 트롤리(3a)가 가이드 레일(6)의 상향 구배 경로부(21)의 직전에서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정지 위치(P2)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보냄은 하측 주행 경로(16B)에 병설의 하측 구동 수단(7B)의 푸셔(11)가 고정 정지 위치(P2)에 도착할 때까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는 타이밍에 행해진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가 스토퍼(20)에 의해 고정 정지 위치(P2)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당해 고정 정지 위치(P2)가 넓은 간격 영역(H) 내에 있으므로, 하측 구동 수단(7B)의 푸셔(11)는 고정 정지 위치(P2)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의 피동 트롤리(5) 상을 문제없이 통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정지 위치(P2)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를 주행 구동시키는 푸셔(11)가 고정 정지 위치(P2)에 도착하기 전에, 고정 정지 위치(P2)의 스토퍼(20)를 퇴출시켜 피동 도그(12)를 원래의 상동 한계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이 결과,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정지 위치(P2)를 향하여 이동해오는 하측 구동 수단(7B)의 푸셔(11)가 피동 트롤리(5)의 피동 도그(12)에 맞닿아 뒤에서 밀기 시작하고, 고정 정지 위치(P2)에서 정지하고 있던 반송용 주행체(1)의 구동이 개시된다.
반송용 주행체(1)가 하측 주행 경로(16B)를 주행함에 따라, 하측 구동 수단(7B)의 푸셔(11)로 뒤에서 밀려 구동되고 있는 피동 트롤리(5)는 고정 정지 위치(P2)가 있던 넓은 간격 영역(H)으로부터 표준 간격 영역(R) 내로 이행하고,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푸셔(11)가 피동 트롤리(5)의 피동 도그(12)와 역지 도그(13)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정상 구동 상태에 있어서 반송용 주행체(1)가 주행 구동된다.
통상은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 주행 경로(16A)로부터 하측 주행 경로(16B)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옮겨타는 주행 구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데, 어떠한 원인으로 자동 운전을 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나 운전 동작의 확인 등을 위해 상기한 옮겨타는 주행 구동을 수동 조작에 의해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수동 조작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라고 칭해지는 것이나 휴대 가능한 노트북 등의 휴대 가능하며 또한 탭 조작을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조작반이 사용된다.
상기한 상측 주행 경로(16A)로부터 하측 주행 경로(16B)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옮겨타는 주행 구동을 상기 조작반에 대한 수동 조작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의 조작의 흐름은 도 4의 플로우차트에 표시되는 바와 같다. 여기서, 스텝 S2, S5, S8 및 S11이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대한 인위적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이들 각 실행 스텝 S2, S5, S8 및 S11이 실행되기 전에 선행하여 각 확인 스텝, 즉 실행 스텝 S2에 대한 선행 확인 스텝 S1, 실행 스텝 S5에 대한 선행 확인 스텝 S3, S4, 실행 스텝 S8에 대한 선행 확인 스텝 S6, S7, 실행 스텝 S11에 대한 선행 확인 스텝 S9, S10, 그리고 이 옮겨타는 주행 구동 제어를 종료시키기 위한 확인 스텝 S12가 각각 인위적 확인 행위에 의해 실행된다.
상측 주행 경로(16A)로부터 하측 주행 경로(16B)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옮겨타는 주행 구동을 수동 조작에 의해 실행하는 조작자는 상기 조작반을 휴대하고 상기 옮겨타는 에리어, 즉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부 영역과 하측 주행 경로(16B)의 시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옮겨타는 에리어를 시인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한다. 여기서 조작자가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상황의 확인을 행한 후에, 당해 확인에 기초하는 조작을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서 실행하게 된다. 일례로서 선행 확인 스텝 S1과 실행 스텝 S2를 실행할 때의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표시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는 선행 확인 스텝 S1을 실행하기 위한 윈도우(W-1)(도 5A 참조)이 표시된다. 이 윈도우(W-1)에는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25)과 확인 사항 표시문(26) 및 확인 버튼 그림(27)이 표시되어 있어, 조작자는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25)과 확인 사항 표시문(26)을 참조하여, 상기 옮겨타는 에리어가 빈 상태인 것을 시인한 다음, 확인 버튼 그림(27)을 탭 조작한다. 이 결과,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는 윈도우(W-1)를 대신하여 윈도우(W-2)(도 5B 참조)가 표시된다.
윈도우(W-2)에는 상기 고정 정지 위치(P1, P2)에 설치된 스토퍼(19, 20)에 대응하는 스토퍼(A, B)를 포함하는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28), 속행시의 동작 내용 표시문(29), 속행 전 경고문(30),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및 속행 전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이어서 행해지는 동작 내용을 동작 내용 표시문(29)으로부터 확인함과 아울러, 속행 전 경고문(30)으로부터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만약 속행 전 경고문(30)의 내용으로부터, 그대로 동작시켜서는 문제가 생긴다고 판단했을 때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을 탭 조작하여, 옮겨타는 주행 구동 제어의 수동 조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대로 동작시켜도 문제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도 5C의 윈도우(W-3)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손끝으로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을 표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한다. 이 결과,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와이프 조작 전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의 위치에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이 출현하므로, 이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을 탭 조작함으로써, 스토퍼(19, 20)를 작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기동 신호가 상기 조작반으로부터, 옮겨타는 주행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에 무선 송신되어, 스토퍼(19, 20)가 작용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조작에 의해, 상측 주행 경로(16A)의 종단의 옮겨타는 에리어 내에 보내진 반송용 주행체(1)가 작용 위치에 있는 스토퍼(19)에 의해 고정 정지 위치(P1)에서 자동 정지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확인 스텝 S3, S4와 실행 스텝 S5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는 도 5C에 나타내는 윈도우(W-3) 대신에, 선행 확인 스텝 S3, S4를 실행하기 위한 윈도우(W-4)(도 6A 참조)가 표시된다. 이 윈도우(W-4)에는 스토퍼(19, 20)에 대응하는 스토퍼(A, B)와 반송용 주행체, 및 피더를 포함하는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34)과 확인 사항 표시문(35), 및 확인 버튼 그림(36)이 표시되어 있고, 조작자는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34)을 참조하여, 상기 선행 확인 스텝 S3, S4의 내용, 즉 스토퍼(A)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가 멈춰져 있고 또한 피더 푸셔(Fp)가 후퇴 한계 위치에 있는 것을 시인한 다음, 확인 버튼 그림(36)을 탭 조작한다. 이 결과, 상기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는 윈도우(W-4)를 대신하여 윈도우(W-5)(도 6B 참조)가 표시된다.
이 윈도우(W-5)에는 상기 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34), 속행시의 동작 내용 표시문(37), 속행 전 경고문(38), 중지 조작 버튼 그림(39) 및 속행 전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40)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이어서 행해지는 동작 내용을 동작 내용 표시문(37)에 의해 확인함과 아울러, 속행 전 경고문(38)으로부터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만약, 속행 전 경고문(38)의 내용으로부터, 그대로 동작시켜서는 문제가 생긴다고 판단했을 때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39)을 탭 조작하여, 옮겨타는 주행 구동 제어의 수동 조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대로 동작시켜도 문제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도 6C의 윈도우(W-6)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손끝으로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40)을 표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한다. 이 결과,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와이프 조작 전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40)의 위치에 속행 조작 버튼 그림(41)이 출현하므로, 이 속행 조작 버튼 그림(41)을 탭 조작함으로써, 스토퍼(19)를 작용 위치로부터 퇴입시켜 비작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기동 신호가 상기 조작반으로부터, 옮겨타는 주행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에 무선 송신되어, 스토퍼(19)가 비작용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실행 스텝 S5의 실행 후,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확인 스텝 S6, S7과 실행 스텝 S8, 및 선행 확인 스텝 S9, S10과 실행 스텝 S11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되는데, 도시는 생략했지만, 이들 실행 스텝 S8, S11을 실행할 때에,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윈도우에도 앞선 실행 스텝 S2, S5를 실행할 때의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어 있던 윈도우(W-2, W-3) 및 윈도우(W-5, W-6)와 동일하게 중지 조작 버튼 그림, 속행 전의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 및 이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을 소정의 방향으로 스와이프했을 때만 표시되는 속행 조작 버튼 그림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 40……)을 소정의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했을 때에 나타나는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 41……)을 조작하여, 목적으로 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인데,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을 스와이프 조작한 후, 설정 시간 내에 속행 조작 버튼 그림이 탭 조작되지 않았을 때는,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이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하여, 속행 조작 버튼 그림이 숨겨져버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실행 스텝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윈도우에 표시되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39……)은 이것을 탭 조작했을 때에 반송용 주행체(1)의 옮겨타는 제어를 중단 종료시키는 것인데,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39……)을 소정의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39……)이 소정의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되었을 때에, 이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39……)이 있던 위치에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 41……)이 나타나도록 하여, 중지 조작 버튼 그림(31, 39……)에 의해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32, 40……)을 겸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C,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행 스텝 S2, S5, S8, S11을 실행할 때에, 조작반의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되는 윈도우(W-2, W-5……) 그 자체를 표시 화살표 42의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윈도우(W-2, W-5……)의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당해 윈도우에 의해 숨겨져있던 속행 조작 버튼 그림(33, 41……)을 구비한 소 윈도우(43)가 출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은 통상은 자동 운전되는 각종 기계 설비, 특히 마테리얼 핸들링의 분야에 속하는 각종 기계 설비를 비상시에 수동 운전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1…반송용 주행체
2…본체부
3a, 3b…로드 트롤리
4…연결 바
5…피동 트롤리
6…반송용 주행체의 가이드 레일
7…구동 수단
7A…상측 구동 수단
7B…하측 구동 수단
8…푸셔의 가이드 레일
10…구동 체인
11…푸셔
12…피동 도그
13…역지 도그
14…피조작편
15…조작편
16A…상측 주행 경로
16B…하측 주행 경로
17, 18…안내 톱니바퀴
19, 20…스토퍼
21…상향 구배 경로부
22…피더
23…실린더 유닛
24…역지 푸셔
25, 28, 34…옮겨타는 에리어 해설 그림
26, 35…확인 사항 표시문
27, 36…확인 버튼 그림
29, 37…동작 내용 표시문
30, 38…속행 전 경고문
31, 39…중지 조작 버튼 그림
32, 40…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
33, 41…속행 조작 버튼 그림
42…표시 화살표
43…소 윈도우
P1…상측 주행 경로의 고정 정지 위치
P2…하측 주행 경로의 고정 정지 위치
H…넓은 간격 영역
R…표준 간격 영역
W-1~W-6…윈도우

Claims (5)

  1.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으로 휴대 가능한 조작반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 상에,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화면 상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 화면부와, 이 가동 화면부를 이동시켰을 때의 당해 가동 화면부의 이동 전 자리에 표시되는 조작 버튼 그림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 화면부의 스와이프 조작 후의 상기 조작 버튼 그림에 대한 탭 조작에 의해, 기계 설비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동 화면부는 스와이프 조작 방향이 표시된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은 이 스와이프 조작 버튼 그림을 스와이프 조작하지 않고 탭 조작했을 때, 기계 설비에 대한 특정 동작을 중지시키는 중지 조작 버튼 그림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화면부는 터치 패널의 조작 화면 상에 표시된 윈도우에 의해 구성되고, 이 윈도우 상에는 조작자에게 각종 정보를 개시하는 표시와, 스와이프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버튼 그림은 상기 윈도우를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이동시켰을 때의 당해 윈도우의 이동 전 자리에 표시되는 소 윈도우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화면부에 대한 스와이프 조작 후,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조작 버튼 그림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가동 화면부를 자동 복귀시켜, 상기 조작 버튼 그림을 숨겨버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4. 삭제
  5. 삭제
KR1020177034043A 2015-06-05 2016-03-08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KR102452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4446 2015-06-05
JP2015114446A JP6300112B2 (ja) 2015-06-05 2015-06-05 機械設備の手動操作用タッチパネル
PCT/JP2016/057115 WO2016194429A1 (ja) 2015-06-05 2016-03-08 機械設備の手動操作用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136A KR20180015136A (ko) 2018-02-12
KR102452071B1 true KR102452071B1 (ko) 2022-10-07

Family

ID=5744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043A KR102452071B1 (ko) 2015-06-05 2016-03-08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19226B2 (ko)
EP (1) EP3285157B1 (ko)
JP (1) JP6300112B2 (ko)
KR (1) KR102452071B1 (ko)
CN (1) CN107615235B (ko)
CA (1) CA2985320C (ko)
RU (1) RU2713612C2 (ko)
TW (1) TWI676128B (ko)
WO (1) WO2016194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3609B2 (ja) * 2017-05-23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33622B2 (ja) * 2017-07-28 2020-08-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
JP6619398B2 (ja) * 2017-07-31 2019-12-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操作端末一体型の機械操作盤及び外付けデバイス
US11182062B2 (en) * 2018-01-31 2021-1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ouch panel device
CN112492832A (zh) * 2020-10-22 2021-03-12 苏州苏驭研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数控操作盘
JP2022088276A (ja) * 2020-12-02 2022-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7894A1 (en) 2009-02-13 2010-08-19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n-screen keys from being accidentally touched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2013232062A (ja) * 2012-04-27 2013-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誤操作防止入出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87065A1 (en) * 1998-12-16 2002-03-19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trols in graphic user interfaces of computer systems
US6825861B2 (en) * 2001-01-08 2004-11-30 Apple Computer, Inc. Three state icons for operation
JP2005266850A (ja) * 2004-03-16 2005-09-29 Kyocera Mita Corp 表示入力操作装置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TW201003582A (en) * 2008-07-08 2010-01-16 Zhong-An Leng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TW201020856A (en) * 2008-11-25 2010-06-0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of inputting touch free and input method thereof
US8296669B2 (en) * 2009-06-03 2012-10-23 Savant Systems, Llc Virtual room-based light fixture and device control
JP5371626B2 (ja) * 2009-08-18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TWI416295B (zh) * 2010-05-28 2013-11-21 Compal Communications Inc 機械裝置動作編輯系統及其方法
JP5625599B2 (ja) * 2010-08-04 2014-1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5127B2 (ja) * 2011-05-30 2012-12-1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携帯端末、そのキー操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2005975A1 (de) * 2012-03-23 2013-09-2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m Bedienen einer mit einem Handhabungsgerät ausgestatteten Maschine
KR101483776B1 (ko) * 2012-05-07 2015-01-26 이문상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DE102012106448B4 (de) * 2012-07-17 2016-03-31 Reis Group Holding Gmbh & Co. Kg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Industrieroboters sowie sicheres Überwachungs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T513675A1 (de) * 2012-11-15 2014-06-15 Keba Ag Verfahren zum sicheren und bewussten Aktivieren von Funktionen und/oder Bewegungen einer steuerbaren technischen Einrichtung
KR20140068410A (ko) * 2012-11-28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 엔진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12740B2 (en) * 2013-05-06 2017-04-04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Inc. Swipe-based delete confirmation for touch sensitive devices
US9990105B2 (en) * 2014-07-08 2018-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ccessible contextual controls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57303B1 (ko) * 2014-07-30 2021-05-31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원격 조작 장치
US9230355B1 (en) * 2014-08-21 2016-01-05 Glu Mobi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s with interactive filters
US9588611B2 (en) * 2015-01-19 2017-03-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guarding emergency and critical touch targets
CN106033307A (zh) * 2015-03-11 2016-10-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邮件删除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7894A1 (en) 2009-02-13 2010-08-19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n-screen keys from being accidentally touched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2013232062A (ja) * 2012-04-27 2013-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誤操作防止入出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7375A1 (en) 2018-04-19
EP3285157A4 (en) 2018-12-05
RU2017144772A (ru) 2019-07-11
CA2985320C (en) 2023-05-09
BR112017023331A2 (pt) 2018-08-14
KR20180015136A (ko) 2018-02-12
TWI676128B (zh) 2019-11-01
CN107615235B (zh) 2021-01-15
JP2017004077A (ja) 2017-01-05
US10719226B2 (en) 2020-07-21
RU2017144772A3 (ko) 2019-08-22
EP3285157A1 (en) 2018-02-21
WO2016194429A1 (ja) 2016-12-08
CN107615235A (zh) 2018-01-19
RU2713612C2 (ru) 2020-02-05
JP6300112B2 (ja) 2018-03-28
TW201710879A (zh) 2017-03-16
CA2985320A1 (en) 2016-12-08
EP3285157B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071B1 (ko) 기계 설비의 수동 조작용 터치 패널
US10654658B2 (en) Control system for mechanical equipment
GB2439903A (en) Delivery facility for traveling body for transportation
JP2008238914A (ja) 台車式搬送設備
JP2013203118A (ja) 可動式ホームゲート装置とその制御方法
EP3581527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2021041827A (ja) 隙間段差低減システム
JP5911661B1 (ja) 行先階表示装置、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8750624A (zh) 输送系统竖向线自动进架装置
JP5757464B2 (ja) クレーン
BR112017023331B1 (pt) Painel sensível ao toque para operar manualmente maquinário
JP6799897B2 (ja) 立体駐車装置の無人確認システムとこれを備える立体駐車装置、及び立体駐車装置の無人確認方法
JP747120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6807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8019038A (ja) エレベータ
CN105818091A (zh) 一种自动加脱盖装置
JP6806434B2 (ja) 立体駐車装置の制御方法と、立体駐車装置の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立体駐車装置
JP607988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24008583A (ja) 切断機
JP2017193429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16120753A (ja) ホームドア操作盤
JP2001071237A (ja) 生産ラインにおける作業区間用の情報機器の移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