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703A -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703A
KR20180096703A KR1020187020566A KR20187020566A KR20180096703A KR 20180096703 A KR20180096703 A KR 20180096703A KR 1020187020566 A KR1020187020566 A KR 1020187020566A KR 20187020566 A KR20187020566 A KR 20187020566A KR 20180096703 A KR20180096703 A KR 2018009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ordinates
current
congestion point
point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424B1 (ko
Inventor
지엔치앙 쭈
쥐에징 쉬
Original Assignee
저장 리뱌오 로보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003129.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44634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00506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488892B/zh
Application filed by 저장 리뱌오 로보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장 리뱌오 로보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energy consumption, time reduction or distance reduction crite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learning, adaptive, model based, rule based exper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417For cooperating manip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83Manipulators,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Manipulato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1, 2)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S101);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1, 2)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S102);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S103);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1, 2)이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1, 2)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04);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1, 2)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S501);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1, 2)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1, 2)에 대해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는 단계(S502);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1, 2)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1, 2)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S50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슈퍼 마켓, 공항, 정류장, 컨벤션 센터 및 물류 창고와 같은 대규모 인파, 물류 장소의 규모 및 수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이로 하여 기존의 인적 자원을 위주로 하는 모델이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독립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로봇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해당 로봇은 환경 센싱, 경로 계획, 동적 의사 결정, 행위 제어 및 경보 모듈을 일체로 집성한 다기능 종합 시스템이고, 정시적이고 자주적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류분야에 있어서, 로봇은 하나의 운송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주행 장치 및 운반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운반 장치를 통해 고정 위치인 화물 저장 구역에서 화물을 운반하고, 또한 주행 장치를 통해 운반한 화물을 지정된 화물 배출 구역으로 운송하며, 운반 장치를 통해 운반한 화물을 배송하거나 또는 현재의 화물 배출 구역에 하역(unload)할 때, 로봇의 정상적이고 질서 있는 순환 작업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로봇은 지정된 경로에 따라 지정된 화물 저장 구역으로 복귀해야 하며, 따라서 화물 적재(load) - 화물 운송 - 화물 하역 - 복귀하여 화물 적재하는 작업을 중복한다.
여기서, 하나의 상기 화물 저장 구역 및 화물 배출 구역만 있을 경우에 각 로봇의 경로는 단일하고, 이런 경우에는 로봇의 활동 경로를 비교적 쉽게 제어할 수 있으나, 상기 화물 저장 구역 및 화물 배출 구역이 비교적 많을 경우, 대응되는 로봇의 경로도 비교적 많으며, 이 때,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에서 대규모 상기 동적인 활동을 진행할 시, 다시 말해서 각 로봇이 배송 또는 화물 운반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퇴장해야 하며, 퇴장해야 하는 로봇은 현장 내의 기타 작업 중인 로봇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현장 내에서의 복귀 경로에 로봇 클러스터가 필히 거쳐야 하는 포인트가 존재할 경우, 만약 빠른 시간 내에 당해 포인트를 통과해야 한다면, 정체(congestion)가 발생하기 쉬워 전체적인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화 퇴장 디스패칭 방안이 필요하다.
발명인은 연구 중에서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에서 대규모의 상기 동적인 활동을 진행할 시 질서있게 퇴장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문제에 관련하여 지금까지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제기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에서 대규모 동적인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 현장 내에 로봇 클러스터가 필히 거쳐야 하는 하나의 포인트가 존재할 경우, 만약 빠른 시간 내에 당해 포인트를 통과해야 한다면, 정체가 발생하기 쉬워 전체적인 작업 효율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로봇이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하여,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또한 로봇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로봇의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률 및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1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당해 방법은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복수개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는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상기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한다.
제1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네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복수개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여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여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일곱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여덟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양태의 아홉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작동 개시하는 시간,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당해 장치는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하기 위한 제1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모듈은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유닛;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유닛;
산출된 복수개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유닛;
제1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유닛;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유닛을 구비한다.
제2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유닛은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서브유닛;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서브유닛을 구비한다.
제2 양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상기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상기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모듈;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모듈;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모듈; 및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하기 위한 제2 제어모듈을 더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네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출모듈은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3 산출유닛;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4 산출유닛;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유닛;
제2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유닛;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유닛을 구비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모듈;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전송모듈을 더 구비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여섯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유닛;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를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확정유닛; 및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구역 확정유닛을 구비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일곱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여덟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설정모듈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한다.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양태의 아홉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상기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작동 개시하는 시간,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먼저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복귀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한 후, 당해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존 기술 중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 활동 종료 후 질서있게 퇴장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점에 비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또한 로봇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고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률 및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률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 명확하고 쉽게 하기 위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면을 결합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는 바, 이하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하여서는 아니되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관련 도면을 더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1 및 로봇2의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의 위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따른 로봇1 및 로봇2의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의 위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1 및 로봇2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중 제1 산출모듈의 구조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중 제1 산출유닛의 구조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중 제2 산출모듈의 구조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하나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백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고,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이고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기의 도면에 설명되거나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다양한 배치에 따라 수배 또는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면에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청구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독창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은 전제하에서 얻은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로봇의 출현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비교적 큰 편의를 제공하였고, 예를 들어, 슈퍼마켓, 공항, 정류장, 컨벤션 센터 및 물류 창고와 같은 대규모 인파, 물류 장소의 규모 및 수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류 분야에 응용될 경우, 로봇은 운송장치로서, 화물 저장 구역에 있는 화물을 화물 저장 구역에서 배송 구역(즉 화물 배출 구역)으로 운반하고 배송을 진행하며, 다시 해당되는 화물 저장 구역으로 복귀하는데, 오직 하나의 상기 화물 저장 구역 및 화물 배출 구역이 존재할 경우, 각 로봇의 경로는 단일하고, 이런 상황에서 로봇의 활동 경로를 제어하기 비교적 쉬우나, 상기 화물 저장 구역 및 화물 배출 구역이 비교적 많을 경우, 대응되는 로봇의 경로도 동일하게 비교적 많게 되어, 이 때,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에서 대규모의 상기 동적인 활동을 진행할 시, 즉 각 로봇이 배송 또는 화물 운반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퇴장해야 하며, 퇴장해야 하는 로봇은 현장 내의 기타 작업 중인 다른 로봇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현장 내에서의 복귀 경로에 로봇 클러스터가 필히 거쳐야 하는 포인트가 존재할 경우, 만약 빠른 시간 내에 당해 포인트를 통과하여야 한다면, 정체가 발생하기 쉬워 전체적인 작업 효율이 또한 저하된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화 퇴장 디스패칭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01단계에서,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작업 구역에 위치하는 로봇은 운반하고 있는 화물에 대해 배송 완료되면, 유휴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 먼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고, 다시 말해서 당해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확정한다.
실제에 있어서, 작업 구역 내에 복수개의 로봇 배송 구역(즉 화물 배출 구역)이 마련되어 있고, 로봇의 현재 좌표를 확정한다는 것은 큰 범위에 놓고 말하면 로봇의 현재 배송하는 배송구역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봇의 작업 구역은 복수개의 격자(당해 격자는 미리 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격자로 이해할 수 있음)로 분할될 수 있고, 각 격자는 각각 하나의 좌표에 대응되며, 여기서, 하나의 격자는 오직 하나의 로봇만 수용할 수 있다. 하나의 격자가 하나의 로봇에 의해 차지될 경우, 당해 격자는 더 이상 다른 로봇을 수용할 수 없으며, 다시 말해서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로봇은 동시에 동일한 격자를 차지할 수 없다.
따라서, 화물 배송 완료된 로봇의 현재 좌표를 확정하는 것은 바로 로봇이 배송 완료 후 위치하는 격자의 위치를 획득(즉 확정)하는 것이다.
S102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며 또한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목적지 좌표 복수개일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위치하는 격자의 위치를 확정한 후,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퇴장을 대기(즉 복귀 대기)하는 모든 작업 구역 밖의 화물 저장 구역의 목적지 좌표를 더 확정하여야 하며, 확정된 현재 좌표 및 모든 목적지 좌표의 복귀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도록 한다.
S103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모든 목적지 좌표를 확정한 후,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거리 및 시간 조합의 최적 조합을 산출한 후 당해 최적 조합에 대응되는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지정한다.
여기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즉 주행 경로)는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한 것이고, 당해 거리(즉 주행 경로)에 대응되는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경로는 기타 로봇(기타 유휴상태의 로봇 및 작업 상태의 로봇을 포함)의 경로와 겹치지 않는다(다시 말해서 두개 및 두개 이상의 로봇이 동시에 하나의 유휴격자를 차지하는 것을 피함). 이로 하여 유휴상태의 로봇이 모두 질서있게 화물 저장 구역의 목적지 좌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번 적재, 운반, 화물 하역(즉 배송) 및 퇴장의 순환 작업 과정을 진행한다.
S104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당해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 대응되는 화물 저장 구역의 목표 목적지 좌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고,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은 기존 기술 중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 활동 종료 후 질서있게 퇴장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점에 비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설정되며,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에서 떠나도록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 대해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의 화물 저장 구역을 산출한 후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목표 목적지 좌표의 화물 저장 구역의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봇이 더 빨리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단계103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01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설정되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한 확정 편의성을 위하여, 먼저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고, 당해 복귀 경로는 거리 및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복귀 경로의 확정 방식은 먼저 현장 내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한 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현장 내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바,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작업 구역을 떠나는 경로가 기타 로봇의 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두개 및 두개 이상의 로봇이 동시에 하나의 유휴격자를 차지하는 것을 피한다.
S202단계에서,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201에서 확정한 복귀 경로에 근거하여, 거리 및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바, 구체적으로 제1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 제1 매칭 코스트 = 거리 Х 거리 가중치 + 시간 Х 시간 가중치 일 수 있고, 제1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 제1 매칭 코스트 = 거리 Х 거리 가중치와 시간Х시간 가중치의 적일 수도 있다.
설명하여야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은 상기 두 가지 산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당해 산출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S203단계에서,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의의 한가지 산출 방식을 선택하여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모든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며, 획득한 수치 결과에서 가장 작은 매칭 코스트를 선택함으로써, 후속의 선택된 수치가 가장 작은 매칭 코스트를 대응되는 목적지 목표에서 상기 현재 좌표까지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설정하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S204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한다.
유휴상태의 로봇이 전기량이 부족하여 당해 로봇이 다음번 적재에서 배송, 복귀까지의 과정을 완성할 수 없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또는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전체 작업 구역의 화물 배송 포인트에서 작업 구역 밖의 적재 포인트까지 가장 먼 복귀 경로를 완성하기에 부족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로봇의 전기량을 더 검출하여야 하고, 전기량이 부족한 경우에 로봇이 작업 구역 밖의 로봇 충전소에 가서 충전하도록 제어하여야 하며,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인 실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S301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표준 전기량은 로봇이 적재에서 화물 운송, 화물 하역, 화물 저장 구역으로 복귀하는 가장 먼 경로를 만족할 수 있는 전기량이고, 현재 로봇이 화물 하역 과정이 완료되면, 먼저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잔여 전기량이 당해 표준 전기량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잔여 전기량이 당해 표준 전기량보다 작으면, 충전소에 가서 충전하도록 당해 로봇을 바로 디스패칭 하여,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다음번 적재에서 화물 운송, 화물 하역, 및 화물 저장 구역으로 복귀하는 작업을 순리롭게 완성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S302단계에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상기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상기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휴상태의 로봇의 잔여 전기량이 당해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충전하도록 바로 디스패칭 하기 위하여, 먼저 당해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하여, 후속에 충전 대기 로봇을 통일적으로 충전소로 디스패칭 하는데 편리하다.
S303단계에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하는바 여기서, 상기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또한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한다.
실제에 있어서, 충전 대기 로봇이 위치한 격자의 위치를 확정한 후, 당해 충전 대기 로봇의 퇴장을 대기(즉 복귀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더 확정하여야 하고, 확정된 현재 좌표 및 모든 충전소 좌표의 복귀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도록 한다.
S304단계에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 및 모든 충전소 좌표를 확정한 후,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거리 및 시간 조합의 최적 조합을 산출한 후 당해 최적 조합에 대응되는 충전소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지정한다.
여기서,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즉 주행 경로)는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한 것이고, 당해 거리(즉 주행 경로)에 대응되는 충전 대기 로봇의 경로는 기타 로봇(충전 대기 로봇 및 잠시 후 목표 목적지 좌표로 복귀하는 로봇을 포함)의 경로와 겹치지 않는다(다시 말해서 두개 및 두개 이상의 로봇이 동시에 한개의 유휴격자를 차지하는 것을 피함). 이로 하여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진행하고, 다음번 적재, 운반, 화물 하역(즉 배송) 및 퇴장의 순환 작업 과정을 진행한다.
S305단계에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당해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산출된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로봇 충전소에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충전 대기 로봇이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 충전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로봇 충전소(충전소 좌표를 포함)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설정되며,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서 로봇 충전소로 이동하도록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 대해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한 후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목표 충전소 좌표의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봇이 더 빨리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304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다음과 같다.
S401단계에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 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한다.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한 확정 편의성을 위하여, 먼저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고, 당해 복귀 경로는 거리 및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복귀 경로의 확정 방식은 먼저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한 후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바, 충전 대기 로봇이 작업 구역을 떠나는 경로가 기타 로봇의 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두개 및 두개 이상의 로봇이 동시에 하나의 유휴격자를 차지하는 것을 피한다.
S402단계에서,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401에서 확정한 복귀 경로에 근거하여, 거리 및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바, 구체적으로, 제2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 제2 매칭 코스트 = 거리 Х 거리 가중치 + 시간 Х 시간 가중치 일 수 있고, 제2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 제2 매칭 코스트 = 거리 Х 거리 가중치와 시간 Х 시간 가중치의 적일 수도 있다.
설명하여야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매칭 코스트의 산출 방식은 상기 두 가지 산출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당해 산출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S403단계에서,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의의 한가지 산출 방식을 선택하여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모든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며, 획득한 수치 결과에서 가장 작은 매칭 코스트를 선택함으로써, 후속에 선택된 수치가 가장 작은 매칭 코스트를 대응되는 목적지 목표에서 상기 현재 좌표까지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설정하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S404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한다.
더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로봇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501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와 현장 내의 복수개의 로봇(유휴상태의 로봇 및 작업 상태의 로봇을 포함)과의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고, 나아가서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 경로 및 작업 상태의 로봇의 주행 경로를 포함)를 획득하며,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복귀 경로에 대해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경로 중 출현 빈도가 비교적 높은 지점을 정체 포인트로 확정하며,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바, 여기서, 정체 포인트 구역은 로봇을 일렬로 배열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에 먼저 진입한 로봇을 맨 앞에 배열하는 배열구역과 달리, 로봇은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단계S502에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로봇은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하면, 모두 서버에 통과 요청을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되며, 서버는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통과 요청에 포함된 각 로봇의 정체 포인트 구역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에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1) 로봇이 통과 요청을 전송한 시간 순서: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각 요청에는 모두 시효 제한이 있으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응답이 시간이 초과되는 것을 피하고, 또한 정체 포인트 구역에 우선 도착한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우선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서버는 로봇에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할 때,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에 따라 설정하여야 한다.
(2)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위치:
정체 포인트 구역은 정체 포인트에 인접된 구역이고, 각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한 후,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여러 곳에 흩어져 있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정체 포인트 구역에 먼저 진입한 로봇은 제일 앞에 배치되고, 임의의 로봇의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경로 상에 다른 로봇이 놓여있어 저애될 경우 정체 포인트 구역을 빨리 통과하기 위하여, 다른 로봇을 저애하는 로봇에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로봇의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데 대한 서버의 요구가 다름에 따라, 요소 (1), (2)의 우선 레벨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한 로봇의 통과 요청에 대한 시효 요구가 비교적 높을 경우, 요소 (1)의 비율을 높히고, 서버가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한 로봇의 통과 요청에 대한 시효 요구가 비교적 낮고, 로봇의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전체적인 효율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을 경우, 요소 (2)의 비율을 높힌다.
유의해야 할 점은 로봇의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로봇은 모두 최대 주행 속도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여야 하며, 또한 각 로봇의 최대 주행 속도가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여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 내에서 정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서버는 각 로봇의 최대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각 로봇에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 내에서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간,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점은 디스패칭 명령에 로봇의 정체 포인트 구역 내에서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A, 디스패칭 명령에 직접 작동 개시 시간이 부가된다.
B, 로봇 작동 개시 시간에 도달했을 때, 로봇에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하는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한 후, 로봇은 대기 상태에 있으며,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후,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서버가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는 시간이 아주 빠르기에, 무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로봇이 대기 상태에 있는 시간이 길지 않기에 로봇의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계S503에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한다.
서버는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한 후, 각 로봇에 대한 디스패칭 명령을 대응되는 로봇에 전송하고, 로봇은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후, 디스패칭 명령 중의 작동 개시 시간에 따라 디스패칭 명령 중의 경로 및 속도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더 나아가,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고,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며,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한다.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통과 요청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여,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서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하 구체적인 활용 시나리오에 결부하여 상기 단계S501-S50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시스템에 로봇1, 로봇2 및 서버가 존재하고, 현장에 로봇 작업 구역이 존재하며, 그 중 A 포인트는 작업 구역과 화물 저장 구역 사이의 임의의 노드이고, 로봇 충전 구역 및 화물 저장 구역은C1, C2?CN이며, 복귀 경로 설정이 쉽도록, 서버는 전체 작업 구역을 노드로 분할시켜, 각 노드 (격자)에 좌표(x,y)를 배분하고, 정체 포인트의 중력치를 (0,0)으로 설정한 후 주변 노드로 발산하여, 거리가 1개 좌표 단위 증가되면, 중력치도 1개 단위 증가되며, 다시 말해서 중력치는 좌표 포인트에서 좌표 원점까지의 최소 거리이고, 여기서, 중력치 = X 좌표 + Y 좌표이다.
서버는 로봇1의 경로가 작업 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A-C1이고, 로봇2의 경로가 작업 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A-C2임을 파악하였다. 서버는 분석을 거쳐, 모든 로봇이 모두 A 포인트를 경유함을 확정하였고, A 포인트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기에, A를 정체 포인트로 확정하고, A의 인접한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취한다. 로봇은 정체 포인트 구역 진입 시, 서버에 통과 요청을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되게 설정된다.
로봇1 및 로봇2는 순차적으로 정체 포인트 구역에 진입한 후, 각각 서버에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의 위치를 전송한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1 및 로봇2의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의 위치도이고, 여기서, 로봇1의 위치 좌표는 (5,6)이고, 중력치는 11이며, 로봇2의 위치 좌표는 (5,0)이고, 중력치는 5이며, 로봇1과 로봇2는 서로 겹치지 않는 최소 경로가 존재하며, 그 중 로봇1의 경로는 S1이고, 로봇2의 경로는 S2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다시피, 로봇1이 먼저 서버에 통과 요청을 전송하였으나, 로봇2의 중력치가 더 작고, 정체 포인트까지의 위치가 더 가까우며,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1)이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2)보다 길 경우, 로봇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로봇1 및 로봇2는 최소 경로를 선택하여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고,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제하에 로봇2에 대해 로봇1과 동일한 작동 개시 시간을 포함하는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고, 디스패칭 명령 중의 로봇1의 경로(S1)은 로봇2의 경로(S2)와 겹치지 않으며 도 6 의 S1과 S2경로와 같이, 로봇2가 경로(S2)를 따라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을 줄이고, 나아가서 로봇1,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전체적인 속도를 향상시켰다.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1)이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2)보다 짧을 경우(각 로봇의 속도가 다르기에 로봇1의 속도가 로봇2의 속도보다 크면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로봇1 및 로봇2에 동일한 작동 개시 시간을 포함하는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로봇1이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한 후, 로봇2가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로봇1 및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전체적인 속도를 향상시켰다.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1)이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2)과 동일할 경우, 서버가 로봇의 통과 요청을 발송하는 시간 순서에 대해 요구가 있을 때, 로봇1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되는 작동 개시 시간은 로봇2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되는 작동 개시 시간보다 우선적일 수 있고, 또한 디스패칭 명령에서 로봇1의 경로(S1)는 로봇2의 경로(S2)와 겹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봇1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은 "10:00 S1경로를 따라 3km/h의 속도로 정체 포인트(A)를 통과"이고, 로봇2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은 "10:01 S2경로를 따라 3.5km/h의 속도로 정체 포인트(A)를 통과"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로봇1 및 로봇2의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의 위치도이고, 여기서, 로봇1의 위치 좌표는 (6,0)이고, 중력치는 6이며, 로봇2의 위치 좌표는 (5,0)이고, 중력치는 5이며, 로봇1의 경로는 S1이고, 로봇2의 경로는 S2이며, 로봇2는 로봇1의 최소 경로에 위치한다.
로봇1이 먼저 서버에 통과 요청을 전송하였으나, 로봇2가 정체 포인트(A)까지의 거리가 더 가깝고,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1)이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2)보다 길 경우, 로봇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로봇1 및 로봇2에 대해 동일한 작동 개시 시간을 포함하는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고, 여기서, 로봇1의 경로는 S1이고, 로봇2의 경로는 S2이며,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을 줄이고, 로봇1 및 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전체적인 속도를 향상시켰다.
로봇1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1)이 로봇2의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시간(T2)보다 짧을 경우(각 로봇의 속도가 다르기에, 로봇1의 속도가 로봇2의 속도보다 크면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로봇의 통과 요청을 전송하는 시간 순서에 따라, 로봇1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된 작동 개시 시간은 로봇2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되는 작동 개시 시간보다 우선적일 수 있고, 여기서, 로봇1의 경로는 S1'이고, 그 중S1'는 도 8에 나타낸 로봇2을 우회하여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는 경로S1'이다.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할 경우, 로봇2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되는 작동 개시 시간은 로봇1에 대해 설정한 디스패칭 명령에 포함되는 작동 개시 시간보다 우선적이며, 로봇1의 경로는 S1'이고, 로봇2의 경로는 S2이며, 로봇2는 로봇1이 정체 포인트(A)를 통과하기 전에 통과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체적인 활용 시나리오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 활용에 있어서, 로봇 클러스터는 두개의 로봇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는 방법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더 나아가,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고,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며,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한다.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통과 요청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여,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서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은 기존 기술 중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 활동 종료 후 질서있게 퇴장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점에 비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또한 로봇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고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률 및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률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하였고, 상기 장치는 상기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로봇 작업을 제어하는 서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제1 획득모듈(11), 제1 산출모듈(13), 제2 획득모듈(12) 및 제1 제어모듈(14)을 구비한다.
제1 획득모듈(11)은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한다.
제2 획득모듈(12)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한다.; 여기서,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며 또한 복수개의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된다.
제1 산출모듈(13)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한다.
제1 제어모듈(14)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는 기존 기술 중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 활동 종료 후 질서있게 퇴장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점에 비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설정되며,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에서 떠나도록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 대해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의 화물 저장 구역을 산출한 후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목표 목적지 좌표의 화물 저장 구역의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봇이 더 빨리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산출모듈(13)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유닛(131);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유닛(132);
산출된 복수개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유닛(133);
제1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유닛(134);
선택된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유닛(135)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복귀 경로의 확정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치를 통해 실현되고,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산출유닛(131)은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서브유닛(1311);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서브유닛(1312)을 더 구비한다.
유휴상태의 로봇이 전기량이 부족하여 당해 로봇이 다음번 적재에서 배송, 복귀까지의 과정을 완성할 수 없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또는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전체 작업 구역의 화물 배송 포인트에서 작업 구역 밖의 적재 포인트까지 가장 먼 복귀 경로를 완성하기에 부족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로봇의 전기량을 더 검출하여야 하고, 전기량이 부족한 경우에 로봇이 작업 구역 밖의 로봇 충전소에 가서 충전하도록 제어하여야 하며, 도 12를 참조하면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장치는 판단모듈(15), 제1 확정모듈(16), 제2 획득모듈(17), 제2 산출모듈(18) 및 제2 제어모듈(19)을 구비한다.
판단모듈(15)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확정모듈(16)은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한다.;
제2 획득모듈(17)은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한다. ;여기서,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또한 복수개개의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한다.
제2 산출모듈(18)은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한다.
제2 제어모듈(19)은 충전 대기 로봇이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한다.
로봇의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로봇 충전소(충전소 좌표를 포함)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설정되며,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서 로봇 충전소로 이동하도록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 대해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한 후 당해 유휴상태의 로봇이 목표 충전소 좌표의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봇이 더 빨리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산출모듈(18)은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3 산출유닛(181);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4 산출유닛(182);
산출된 복수개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유닛(183);
제2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유닛(184); 및
선택된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유닛(185)을 더 구비한다.
더 나아가, 도 14를 참조하면, 로봇 경로가 교차할 경우, 로봇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상기 장치는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모듈(51);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52);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전송모듈(53)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확정모듈(51)은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유닛;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를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확정유닛;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구역 확정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모듈(52)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작동 개시하는 시간,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더 나아가,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고,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며,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한다.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통과 요청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여,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서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기존 기술 중 대량의 고밀도 로봇 클러스터가 현장 내 활동 종료 후 질서있게 퇴장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점에 비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고, 로봇이 산출된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로봇이 화물 배송 완료 후 최대한 빨리 질서있게 작업 구역 현장을 떠나도록 확보하며, 현장 내 유휴로봇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로봇 경로가 교차되는 확율도 줄이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로봇 경로가 교차될 경우, 로봇에 대해 행렬 관리를 진행하여,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 및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설정하고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로봇이 정체 포인트를 통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로봇이 현장 내에서의 작업 효률 및 로봇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작업 효률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로봇 현장 복귀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포함되는 명령은 앞에서 설명한 방법 실시예중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며, 구체적인 것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의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한 몇개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다른 방식을 통해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일뿐 예를 들면 상기 유닛으로 구획되었지만, 이는 다만 로직 기능상 구획에 불과하며, 실제적에 있어서 실현할 때, 다른 구획방식으로 진행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개개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또는 집적될 수 있으며, 또는 일부특징을 무시할 수 있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검토하고 있는 서로간의 연결,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통신포드,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연결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고, 전기, 기계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닛으로 나타낸 구성요소는 물리 단위일 수 있고 아닐수도 있다. 즉 어느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복수개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적인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장치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으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할 때,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실질적인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당해 기술방안의 일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복수개개 명령을 포함하며, 컴퓨터 설비(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분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매체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런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20)

  1.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복수개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는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상기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복수개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이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작동 개시하는 시간,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11. 작업 구역 내의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목적지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목적지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상기 목표 목적지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를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이 질서있게 퇴장하도록 확보하기 위한 제1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목적지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 구역 밖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이 포함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목적지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화물 저장 구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모듈은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산출유닛;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목적지 좌표 사이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유닛;
    산출된 복수개의 제1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유닛;
    제1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유닛;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1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목적지 좌표를 상기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목적지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유닛은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서브유닛;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 및 기타 로봇의 현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목적지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서브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표준 전기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현재 유휴상태의 로봇의 전기량이 상기 표준 전기량보다 낮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상기 로봇을 충전 대기 로봇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모듈;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복귀를 대기하는 모든 충전소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모듈;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모든 충전소 좌표까지의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제2 산출모듈; 및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상기 목표 충전소 좌표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에 따라 작업 구역을 떠나도록 제어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이 질서있게 목표 충전소에 진입하여 충전하도록 확보하기 위한 제2 제어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전소 좌표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충전소 좌표는 모두 작업 구역 밖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출모듈은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각 상기 충전소 좌표까지의 복귀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제3 산출유닛;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되는 거리 및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와 각 상기 충전소 좌표 사이의 제2 매칭 코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4 산출유닛;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제2 매칭 코스트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유닛;
    제2 비교유닛에 의해 비교하여 획득한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유닛; 및
    선택된 상기 가장 작은 제2 매칭 코스트에 대응되는 복귀 경로 중의 충전소 좌표를 상기 충전 대기 로봇의 현재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목표 충전소 좌표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개의 로봇과 각각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모듈;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 및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각각 디스패칭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패칭 명령을 수신한 로봇 상기 디스패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전송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유닛;
    상기 복수개의 로봇의 경로에 근거하여 정체 포인트를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확정유닛; 및
    상기 정체 포인트의 인접 구역에서 정체 포인트 구역을 확정하기 위한 정체 포인트 구역 확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요청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로봇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모듈은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통과 요청의 시간 순서, 상기 통과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상기 각 로봇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 내의 각 로봇에 대해 디스패칭 명령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패칭 명령은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에서 작동 개시하는 시간,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정체 포인트 구역을 통과하는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장치.
KR1020187020566A 2016-01-04 2016-08-03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80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03129.7A CN105446342B (zh) 2016-01-04 2016-01-04 用于机器人终端场地回流的方法和装置
CN201610005062.0 2016-01-04
CN201610003129.7 2016-01-04
CN201610005062.0A CN105488892B (zh) 2016-01-04 2016-01-04 一种用于机器人排队管理的方法及服务器
PCT/CN2016/093123 WO2017118001A1 (zh) 2016-01-04 2016-08-03 用于机器人场地回流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703A true KR20180096703A (ko) 2018-08-29
KR102080424B1 KR102080424B1 (ko) 2020-02-21

Family

ID=5927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566A KR102080424B1 (ko) 2016-01-04 2016-08-03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21186B2 (ko)
EP (1) EP3401750B1 (ko)
JP (1) JP6671507B2 (ko)
KR (1) KR102080424B1 (ko)
AU (1) AU2016384096B2 (ko)
MY (1) MY200573A (ko)
SG (1) SG11201805378XA (ko)
WO (1) WO2017118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3943B (zh) * 2016-10-13 2019-05-0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机器人的调度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E102017206291B4 (de) * 2017-04-12 2024-05-23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ransportsystems sowie entsprechendes Transportsystem
CN110059900B (zh) * 2018-01-19 2024-03-0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用于控制仓库中运输车的方法和装置
US11969896B2 (en) * 2018-06-21 2024-04-30 Beijing Geekplus Technology Co., Ltd. Robot scheduling and robot path control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JP2020035385A (ja) * 2018-08-31 2020-03-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670224B (zh) * 2018-12-07 2023-11-21 天津理工大学 一种多机器人服务圆形区域搜索算法
CN109709983B (zh) * 2019-01-09 2022-08-02 南京邮电大学 一种物流无人机安全返航控制方法
CN109676611B (zh) * 2019-01-25 2021-05-25 北京猎户星空科技有限公司 多机器人协同服务方法、装置、控制设备及系统
US11745345B2 (en) * 2019-08-30 2023-09-05 Intrinsic Innovation Llc Planning by work volumes to avoid conflicts
CN111142513B (zh) * 2019-12-02 2024-01-26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初始化坐标的获取方法、调度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02979B (zh) * 2019-12-04 2024-04-19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人集合控制系统及方法
SE544293C2 (en) * 2019-12-04 2022-03-29 Husqvarna Ab Method of operating a robotic work tool based on a charge level and an estimated distance value for a plurality of work areas
CN112101602A (zh) * 2020-09-11 2020-12-18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机器人充电分配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2256024A (zh) * 2020-09-27 2021-01-2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控制机器人充电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2114587B (zh) * 2020-11-23 2021-02-05 炬星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分布式拥堵控制方法和机器人
US20240004401A1 (en) * 2020-12-09 2024-01-04 Sony Group Corporation Path planning device
CN112947414B (zh) * 2021-01-26 2024-01-19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机器人调度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050577B (zh) * 2021-03-29 2022-05-27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智能移动设备的调度方法及装置
CN114715591B (zh) * 2022-04-19 2024-02-23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仓储管理方法、装置、系统、设备和机器人
CN115156090B (zh) * 2022-05-31 2024-04-05 北京旷视机器人技术有限公司 料箱分配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042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로보테크 이동로봇의 파라미터 보정방법
JP2006106919A (ja) * 2004-10-01 2006-04-20 Honda Motor Co Ltd ロボット制御装置
KR20060043147A (ko) * 2004-03-27 2006-05-15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자율이동로봇의 항법시스템 및 위치 인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7552B1 (en) * 1999-01-20 2002-01-08 Sony Corporation Robot apparatus
US5570992A (en) * 1954-07-28 1996-11-05 Lemelson; Jerome H. Free-traveling manipulator with optical feedback control and methods
US6708385B1 (en) * 1954-07-28 2004-03-23 Lemelso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oundation, Lp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JP2679346B2 (ja) * 1990-03-28 1997-11-19 神鋼電機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における充電制御方式
JP2700710B2 (ja) * 1990-06-21 1998-01-2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警報装置
JP2953282B2 (ja) * 1993-12-10 1999-09-27 神鋼電機株式会社 運行管理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0618523B1 (en) * 1993-04-02 1998-12-09 Shinko Electric Co. Ltd. Transport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vehicle system
JP3031109B2 (ja) * 1993-04-02 2000-04-10 神鋼電機株式会社 最適経路決定装置
JP3364021B2 (ja) * 1993-12-10 2003-01-08 神鋼電機株式会社 運行管理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939986A (en) * 1996-10-18 1999-08-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obile machine hazardous working zone warning system
US6061617A (en) * 1997-10-21 2000-05-09 Case Corporation Adaptable controller for work vehicle attachments
WO2002082195A2 (de) * 2001-04-05 2002-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boterintelligenz in natürlichen umgebungen
US6687571B1 (en) * 2001-04-24 2004-02-03 Sandia Corporation Cooperating mobile robots
US6784800B2 (en) * 2001-06-19 2004-08-31 Signal Tech Industrial vehicle safety system
US6963278B2 (en) * 2002-02-13 2005-11-08 Frame Gary M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afety within a work zone
KR100812506B1 (ko) * 2002-05-31 2008-03-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원격 조작 로봇 및 로봇 자기 위치 추정 방법
US7310439B2 (en) * 2002-07-29 2007-1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bot having an imaging capability
KR100506533B1 (ko) * 2003-01-11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에 따른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21790A1 (en) * 2003-05-02 2004-11-11 Sinclair Kenneth H.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odometry
US7113848B2 (en) * 2003-06-09 2006-09-26 Hanson David F Human emulation robot system
US6845311B1 (en) * 2003-11-04 2005-01-18 Caterpillar Inc. Site profile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 implement
US20050107934A1 (en) * 2003-11-18 2005-05-19 Caterpillar Inc. Work sit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079931B2 (en) * 2003-12-10 2006-07-18 Caterpillar Inc. Positioning system for an excavating work machine
JP2005288646A (ja) * 2004-04-01 2005-10-20 Toshiba Corp ロボット
US7353089B1 (en) * 2004-04-13 2008-04-01 P.E.M.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signal guided motorized vehicle
US7400959B2 (en) * 2004-08-27 2008-07-15 Caterpillar Inc. System for customizing responsiveness of a work machine
US20100222925A1 (en) * 2004-12-03 2010-09-02 Takashi Anezaki Robot control apparatus
JP4135715B2 (ja) * 2005-01-17 2008-08-20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車システム
DE602006006821D1 (de) * 2005-05-27 2009-06-25 Charles Machine Works Bestimmung der position eines fernbedienungsanwenders
EP1728601A1 (en) * 2005-06-03 2006-12-06 Abb Ab An industrial robot system with a teaching portable unit and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n the TPU leaves the robot cell
US7062381B1 (en) * 2005-08-30 2006-06-13 Deere &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 of mobile vehicles
ATE524784T1 (de) * 2005-09-30 2011-09-15 Irobot Corp Begleitroboter für persönliche interaktion
CA2625885C (en) * 2005-10-14 2016-09-13 Aethon, Inc. 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system software and methods
KR100748245B1 (ko) * 2005-12-09 2007-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표식과 지역좌표계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환경지도 작성방법 및 이동 방법
US7620477B2 (en) * 2006-07-05 2009-11-17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Robotic intelligence kernel
US8115650B2 (en) * 2006-07-11 2012-02-14 PSST Mobile Equipment Ltd. - Richard Sherve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ased personnel safety system
US7683782B2 (en) * 2006-08-16 2010-03-23 Insight Holding Group, Inc. RFID entity locating system
US7728729B2 (en) * 2006-08-16 2010-06-01 Insight Holding Group, Inc. Methods for locating an entity within a structure using RFID
US9122276B2 (en) * 2006-09-14 2015-09-0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Wearabl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8970363B2 (en) * 2006-09-14 2015-03-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Wrist/arm/hand mounted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8180486B2 (en) * 2006-10-02 2012-05-15 Honda Motor Co., Ltd. Mobile robot and controller for same
US9041561B2 (en) * 2006-10-05 2015-05-26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a reporting device
JP4853277B2 (ja) * 2006-12-25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自律移動装置群制御システム
US8265793B2 (en) * 2007-03-20 2012-09-11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for telecommunication
WO2008152733A1 (ja) * 2007-06-15 2008-12-18 Fujitsu Limited ロボット
US7898419B2 (en) * 2007-07-27 2011-03-01 Lucom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lization and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RFID sensing
EP2020625B1 (de) * 2007-08-02 2012-06-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bindung eines Bediengeräts in einem sicherheitsrelevanten Umfeld
KR100902343B1 (ko) * 2007-11-08 2009-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 영상 시스템 및 검출 방법
KR101408657B1 (ko) * 2007-12-18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657324B1 (ko) * 2008-12-24 2016-09-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US8706297B2 (en) * 2009-06-18 2014-04-22 Michael Todd Letsky Method for establishing a desired area of confinement for an autonomous robot and autonomous robot implementing a control system for executing the same
US20110010024A1 (en) * 2009-07-01 2011-01-13 Curt Salisbury System and method for accompanying a user with an automated vehicle
JP2011129095A (ja) * 2009-12-18 2011-06-30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自律走行ロボットを利用した地図生成方法、これを利用した最適走行経路算出方法およびこれらを遂行するロボット制御装置
US20120326837A1 (en) * 2010-01-12 2012-12-27 Kemal Ajay Protective Compliance Systems
US8340820B2 (en) * 2010-02-26 2012-12-25 Agilent Technologies, Inc. Robot arm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arm to avoid collisions
CA2734873C (en) * 2010-03-19 2015-05-12 Marlex Engineering In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afety system
US9014848B2 (en) * 2010-05-20 2015-04-21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system
US9400503B2 (en) * 2010-05-20 2016-07-26 Irobot Corporation Mobile human interface robot
CN102971777B (zh) * 2010-05-21 2015-12-02 马克思-普朗克科学促进协会 运动模拟器及相应的方法
US8174358B2 (en) * 2010-05-24 2012-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held X-ray system interface with tracking feature
JP5503419B2 (ja) * 2010-06-03 2014-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人搬送車および走行制御方法
JP5572018B2 (ja) * 2010-07-08 2014-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AU2011305154B2 (en) * 2010-09-24 2015-02-05 Irobo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SLAM optimization
US9323250B2 (en) * 2011-01-28 2016-04-26 Intouch Technologies, Inc.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KR102068216B1 (ko) * 2011-01-28 2020-01-20 인터치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이동형 원격현전 로봇과의 인터페이싱
JP5754604B2 (ja) * 2011-07-07 2015-07-29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車システムと搬送車の制御方法
JP5208262B1 (ja) * 2011-12-19 2013-06-12 株式会社レクサー・リサーチ 経路計画立案システム
EP2791748B8 (en) * 2012-02-08 2020-10-28 Omron Robotics and Safety Technologies, Inc. Job management sytem for a fleet of autonomous mobile robots
US9463574B2 (en) * 2012-03-01 2016-10-11 Irobot Corporation Mobile inspection robot
WO2013176762A1 (en) * 2012-05-22 2013-11-28 Intouch Technologies, Inc. Social behavior rules for a medical telepresence robot
CA3155221A1 (en) * 2012-05-28 2013-11-28 Tulip.Io Inc. Order processing systems using picking robots
CN102830702B (zh) * 2012-09-07 2014-10-22 无锡普智联科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密集存储区域的移动机器人路径规划方法
CN102865877B (zh) * 2012-10-08 2014-12-17 无锡普智联科高新技术有限公司 基于密集存储区域的多移动机器人路径冲突解决方法
JP5549724B2 (ja) * 2012-11-12 2014-07-16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システム
US10110805B2 (en) * 2012-12-06 2018-10-23 Sandisk Technologies Llc Head mountable camera system
US9233472B2 (en) * 2013-01-18 2016-01-12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US8965561B2 (en) * 2013-03-15 2015-02-24 Cybernet Systems Corporation Automated warehousing using robotic forklifts
JP5846145B2 (ja) * 2013-03-18 2016-01-20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085424B2 (en) * 2013-05-03 2015-07-21 Siemens Industry, Inc. Extendible conveyor and parcel handling system
US8972045B1 (en) * 2013-09-23 2015-03-03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facility transport in inventory management and fulfillment systems
CN103645733B (zh) * 2013-12-02 2014-08-13 江苏建威电子科技有限公司 自寻充电机器人及其自寻充电系统和方法
US9446512B1 (en) * 2014-03-26 2016-09-20 Stc.Unm iAnt swarm robotic platform and evolutionary algorithms
US9256944B2 (en) * 2014-05-19 2016-02-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gration of optical area monitoring with industrial machine control
CN104199428A (zh) * 2014-09-17 2014-12-10 上海畔慧信息技术有限公司 群体机器人管理服务器及其方法
US9606544B2 (en) * 2014-10-31 2017-03-28 Clearpath Robotics, Inc. System,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unmanned vehicle fleet control
GB201419883D0 (en) * 2014-11-07 2014-12-24 F Robotics Acquisitions Ltd Domestic robotic system and method
US9733646B1 (en) * 2014-11-10 2017-08-15 X Development Llc Heterogeneous fleet of robots for collaborative object processing
US9420741B2 (en) * 2014-12-15 2016-08-23 Irobot Corporation Robot lawnmower mapping
JP6511806B2 (ja) * 2014-12-25 2019-05-15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多関節ロボット及び多関節ロボットの制御方法
US9649766B2 (en) * 2015-03-17 2017-05-16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human/robot interaction
US9588519B2 (en) * 2015-03-17 2017-03-07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human/robot interaction
US9665095B1 (en) * 2015-03-19 2017-05-30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debris from warehouse floors
US20170028549A1 (en) * 2015-07-28 2017-02-02 Comprehensive Engineering Solutions, Inc. Roboti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10195740B2 (en) * 2015-09-10 2019-02-05 X Development Llc Using object observations of mobile robots to generate a spatio-temporal object inventory, and using the inventory to determine monitoring parameters for the mobile robots
CN105488892B (zh) * 2016-01-04 2018-03-30 杭州亚美利嘉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人排队管理的方法及服务器
CN105446342B (zh) * 2016-01-04 2019-02-05 杭州亚美利嘉科技有限公司 用于机器人终端场地回流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147A (ko) * 2004-03-27 2006-05-15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자율이동로봇의 항법시스템 및 위치 인식방법
KR20050121042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로보테크 이동로봇의 파라미터 보정방법
JP2006106919A (ja) * 2004-10-01 2006-04-20 Honda Motor Co Ltd ロボット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5378XA (en) 2018-07-30
US20180333847A1 (en) 2018-11-22
EP3401750B1 (en) 2023-01-11
KR102080424B1 (ko) 2020-02-21
WO2017118001A1 (zh) 2017-07-13
JP6671507B2 (ja) 2020-03-25
MY200573A (en) 2024-01-03
AU2016384096A1 (en) 2018-07-12
US10421186B2 (en) 2019-09-24
EP3401750A4 (en) 2019-01-02
AU2016384096B2 (en) 2019-10-24
EP3401750A1 (en) 2018-11-14
JP2019503024A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6703A (ko)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397442B2 (en) Travel planning system, travel plann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446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riving route of sorting robot
WO2019154445A2 (zh) 用于货架阵列的出入库控制方法和搬运系统
CN110059926B (zh) 拣选调度方法、装置、仓储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5446342B (zh) 用于机器人终端场地回流的方法和装置
TWI797204B (zh) 電池組優化輸送規劃方法
JP7357768B2 (ja) 仕分け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531773A (zh) 机器人路径调度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30130011A1 (en) Collaborative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logistics devices
Won et al. Workload-based yard-planning system in container terminals
KR20210110651A (ko) Agv 이상 발생시 처리 방법, 장치, 전자설비 및 저장매체
KR101286815B1 (ko) 무인운반 하역차의 교통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Hu et al. Performance analysis on transfer platforms in frame bridge based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KR102599356B1 (ko) 주행 시스템, 이에 포함되는 자동 주행 장치 및 교차점 충돌 방지 방법
TWI701622B (zh) 用於機器人場地回流的方法和裝置
CN103064386B (zh) 一种堆场控制系统及堆场控制方法
CN108879970A (zh) 对移动机器人无线充电的方法及相关设备
WO2019114620A1 (zh) 移动装置导航方法及相关设备
US20210011486A1 (en) Charging management system
CN110930094A (zh) 基于5g通讯的物品的配送方法和装置
CN111435249A (zh) 无人驾驶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40123974A1 (en) Vehicle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5421474A (zh) 机器人的控制方法、装置和机器人
CN116402285A (zh) 移动设备调度系统及任务分配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