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911A - 면 패스너 및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면 패스너 및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911A
KR20180093911A KR1020187015920A KR20187015920A KR20180093911A KR 20180093911 A KR20180093911 A KR 20180093911A KR 1020187015920 A KR1020187015920 A KR 1020187015920A KR 20187015920 A KR20187015920 A KR 20187015920A KR 20180093911 A KR20180093911 A KR 2018009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rface fastener
fastener according
fiber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1Female or loop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9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36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06N3/008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directly applying the res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2Acrylic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0Pyjamas; Night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3/00Macromolecular materials of the coating layers
    • D06N2203/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2203/041Polyacr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D10B2501/0632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과제는,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면 패스너, 및 해당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해결 수단은 수지층을 갖는 포백 A와, 입모부와 지조직부를 포함하며 수지층을 갖는 입모 포백 B로 면 패스너를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면 패스너 및 섬유 제품
본 발명은 암재와 웅재로 구성되는 면 패스너이며,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면 패스너, 및 해당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면 패스너는, 통상 루프상 또는 아치상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암재와, 열쇠상 또는 버섯상의 훅부를 갖는 웅재로 구성된다. 면 패스너는 면 패스너를 설치한 제품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이며, 설치나 착탈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의류, 구두, 가방, 장갑 등의 고정구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면 패스너는 이와 같이 걸림 결합 기능을 구비하는 반면, 면 패스너의 암재와 웅재로 분리할 때에 큰 박리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면 패스너의 베이스 직물부나 훅부가 단단하기 때문에, 의료 등으로의 꿰매기가 곤란하거나 피부에 상처를 입히거나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들 문제점의 개량으로서, 초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을 암재로 하고, 입모 포백을 웅재로 하여,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의 박리음을 억제하며, 유연한 면 패스너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아직 문제의 충분한 해소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며, 반복 탈착이나 세탁 등에 의한 걸림 결합성의 내구성에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381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542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124호 공보 일본 특허 제569295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은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면 패스너, 및 해당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암재와 웅재로 구성되는 면 패스너에 있어서, 암재 및 웅재의 배면(양자의 접합면과는 반대측면)에 수지층을 적층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접합력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더욱 예의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포백 A와, 입모부와 지조직부(地組織部)를 포함하는 입모 포백 B로 구성되는 면 패스너이며, 상기 포백 A 및 상기 입모 포백 B가 모두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가 제공된다.
그 때, 상기 수지층이 수지 코팅층 또는 라미네이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가 편물 조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단섬유경이 1000nm 이하인 필라멘트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라멘트사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필라멘트수가 1000개 이상인 멀티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사가 루프 형상을 가지고 포백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두께가 0.3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warp direction) 또는 위사 방향(weft direction)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입모부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또한 단섬유 섬도가 2.5dtex 이상인 입모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입모부의 입모 길이가 0.1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B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에 정의하는 인장 전단 강력이 50cN/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백 A 및 입모 포백 B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 12cm, 폭 3cm로 커트한 2개의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5cm,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폭 전체를 중첩한 후, 접압용 롤러로 9.8N/cm2(1kg/cm2)의 하중을 가하면서 2회 왕복시켜 2개의 시료를 접착시킨 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 첫회 하중 19.6cN(0.2kg)으로 시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인장하고, 2개의 시료가 분리될 때까지의 사이의 최대 인장 전단 강력을 측정한 후, 이하의 식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인장 전단 강력을 구하여, n수 5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F1=S/(L×W)
단, F1은 인장 전단 강력(cN/cm2), S는 최대 인장 전단 하중(cN), L은 중첩 길이(cm), W는 시료의 폭(cm)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간호용 의료, 의료용 의료, 스포츠 웨어, 아웃 웨어, 이너 웨어, 파자마, 신사 의료, 부인 의료, 욕의, 작업복, 방호복, 전투복, 수렵용 의료, 신발, 가방, 모자, 장갑, 양말, 구두, 침구, 지지체, 접합 부재, 붕대, 안전대, 바닥재, 커버, 쿠션, 베이스 직물, 서포터, 복대, 앞치마, 보디 커버, 케이프, 스킨케어 용구, 화장 용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섬유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면 패스너, 및 해당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입모사의 입모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면 패스너는, 포백 A(암재)와, 입모부와 지조직부를 포함하는 입모 포백 B(웅재)로 구성되는 면 패스너이며, 상기 포백 A 및 상기 입모 포백 B가 모두 배면(즉 양자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수지층을 갖는다. 이러한 수지층은 백 코팅이라고도 불린다.
여기서, 수지층으로서는, 수지 코팅층,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층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수지, 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가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이면 접착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결합제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 및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를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이하게 해도 된다.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어도 되고, 나이프 코터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지 코팅하거나,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후, 적절히 가열 처리나 건조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그 때, 이러한 수지의 점도로서는 500 내지 1500cp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부착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 10 내지 100g/m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은 포백 전체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트상, 격자상, 나뭇결 모양, 모랫결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로고, 추상 모양 등의 패턴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포백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직물 또는 편물 또는 부직포이면 된다. 그 중에서도 직물 또는 편물이 바람직하고,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편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편물의 경우, 편물의 루프에 의해 웅재의 입모사를 견고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편물의 니들면을, 웅재와 걸림 결합하는 면(접합면)으로서 사용하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상기 포백 A에 단섬유경이 1000nm 이하인 필라멘트사가 포함되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라멘트사(이하, 「나노파이버」라 부르기도 함)에 있어서, 그의 단섬유경(단섬유의 직경)이 100 내지 900nm(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900nm)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섬유경 1000nm를 단섬유 섬도로 환산하면 0.01dtex에 상당한다. 해당 단섬유경이 1000nm보다도 큰 경우에는, 충분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 단섬유의 단면 형상이 환단면 이외의 이형 단면인 경우에는, 외접원의 직경을 단섬유경으로 한다. 또한, 단섬유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섬유의 횡단면을 촬영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단섬유 섬도의 변동이 -20%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사에 있어서 필라멘트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얻는 데 있어서 1000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라멘트사의 총 섬도(단섬유 섬도와 필라멘트수의 곱)로서는, 5 내지 150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사의 섬유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섬유(멀티 필라멘트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환, 삼각, 편평, 중공 등 공지된 단면 형상이면 된다. 또한, 통상의 공기 가공, 가연 권축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상기 필라멘트사를 형성하는 중합체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스테레오컴플렉스 폴리락트산, 제3성분을 공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나아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009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2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타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해당 중합체 중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미세 구멍 형성제, 양이온 염료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안정제, 형광 증백제, 소광제, 착색제, 흡습제, 무기 미립자가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면 패스너에 있어서, 암재가 되는 포백 A는 상기한 필라멘트사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사조가 1종류 또는 복수 종류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 다른 사조의 중량 비율은 포백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사조로서는, 단섬유경이 1000nm보다 큰 폴리에스테르 사조나 탄성 섬유사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사조는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탄성 섬유사로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 섬유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비흡수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 섬유사,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 합성 고무계 탄성 섬유사, 천연 고무계 탄성 섬유사 등이 적합하게 예시된다.
상기 탄성 섬유사의 총 섬도로서는, 5 내지 100dtex(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 패스너에 있어서, 암재가 되는 포백 A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바다 성분과, 그의 직경이 1000nm 이하인 섬 성분으로 형성되는 해도형 복합 섬유(나노파이버용 섬유)를 준비한다. 이러한 해도형 복합 섬유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64호 공보에 개시된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섬수 100 내지 1500)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바다 성분 중합체로서는, 섬유 형성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알칼리 수용액 용해 용이성 중합체로서는, 폴리락트산, 초고분자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축합계 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과 5-나트륨술폰산이소프탈산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6 내지 12몰%와 분자량 4000 내지 12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3 내지 10중량% 공중합시킨 고유 점도가 0.4 내지 0.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한편, 섬 성분 중합체는, 섬유 형성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제3성분을 공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해당 중합체 중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미세 구멍 형성제, 양이온 염료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안정제, 형광 증백제, 소광제, 착색제, 흡습제, 무기 미립자가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바다 성분 중합체와 섬 성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는, 용융 방사시에 있어서의 바다 성분의 용융 점도가 섬 성분 중합체의 용융 점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 성분의 직경은, 10 내지 1000n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해당 직경이 진원이 아닌 경우에는 외접원의 직경을 구한다. 상기한 해도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그의 해도 복합 중량 비율(바다:섬)은 40:60 내지 5:9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30:70 내지 10:9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다 성분 중합체와 섬 성분 중합체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한다. 용융 방사에 사용되는 방사 구금으로서는, 섬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 핀군이나 미세 구멍군을 갖는 것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토출된 해도형 단면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는 냉각풍에 의해 고화되며,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0m/분으로 용융 방사된 후에 권취된다. 얻어진 미연신사는, 별도 연신 공정을 통과시켜 원하는 강도·신도·열수축 특성을 갖는 복합 섬유로 하거나, 혹은 일단 권취하지 않고 일정 속도로 롤러에 인취하고, 이어서 연신 공정을 통과시킨 후에 권취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이러한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에 있어서, 단사 섬유 섬도, 필라멘트수, 총 섬도로서는 각각 단사 섬유 섬도 0.5 내지 10.0dtex, 필라멘트수 5 내지 75개, 총 섬도 30 내지 170dtex(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러한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경이 1000nm보다 큰 다른 사조(예를 들어, 탄성 섬유사 등)와 함께 사용하여, 포백 A를 제편 또는 제직한다. 그 때, 포백 A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직물 또는 편물 또는 부직포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직물 또는 편물이 바람직하고, 편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편물의 경우, 편물의 루프에 의해 웅재의 입모사를 견고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편물의 니들면을 웅재와 걸림 결합하는 면으로서 사용하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물의 직조직은, 평직, 사문직, 주자직 등의 삼원 조직, 변화 조직, 변화 사문직 등의 변화 조직, 경이중직, 위이중직 등의 편이중 조직, 경빌로드, 타월, 벨루어 등의 경파일직, 벨베틴, 위빌로드, 벨벳, 코르덴 등의 위파일직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직조직을 갖는 직물은, 레피어 직기나 에어 제트 직기 등 통상의 직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직할 수 있다. 층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직물이어도 된다.
편물의 종류는, 위편물이어도 되고 경편물이어도 된다. 위편 조직으로서는, 천축, 고무편, 양면편, 펄(purl)편, 턱(tuck)편, 부편(浮編), 편반편, 레이스편, 첨모편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천축의 편조직에서 2종의 사조로 복합 루프를 형성한 플레이팅 천축, 그 때, 한쪽의 사조를 탄성 섬유 사조로 한 베어 천축 등이 적합하게 예시된다. 경편 조직으로서는, 싱글 덴비편, 싱글 아틀라스편, 더블 코드편, 하프편, 이모편(裏毛編), 자카드편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제편은 환편기, 횡편기, 트리콧편기, 라셀편기 등 통상의 편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편할 수 있다. 층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편물이어도 된다.
이어서, 해당 포백에 알칼리 수용액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의 바다 성분을 알칼리 수용액으로 용해 제거함으로써,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를 단섬유경이 10 내지 1000nm인 필라멘트사(나노파이버)로 한다. 그 때, 알칼리 수용액 처리의 조건으로서는, 농도 1 내지 4%의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55 내지 70℃의 온도에서 처리하면 된다.
또한, 통상의 방법의 염색 가공, 기모 가공, 발수 가공, 흡수 가공, 버핑 가공, 나아가 자외선 차폐 혹은 제전제, 항균제, 탈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반사제,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을 부가 적용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포백 A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포백 A는 접합면과는 반대측면에 수지층을 갖기 때문에, 강성이 높고, 접합력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초극세 섬유인 상기 필라멘트사 A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면 패스너의 암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상기 필라멘트사(나노파이버)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및 이면의 어느 쪽에도 상기 필라멘트사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웅재의 입모사를 걸림 결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두께가 0.3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백의 단위 면적당 중량으로서는 30 내지 500g/m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재는 상기 포백 A를 적절히 재단하여 상기 포백 A만으로 구성해도 되고, 포백 A의 주위가 풀리지 않도록 장식하여 꿰매도 되고, 적절히 장식품 등을 부가해도 상관 없다. 상기 포백 A를 재단할 때, 상기 포백 A는 수지층을 가져 강성이 높기 때문에, 재단된 개소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면 패스너는 웅재가 되는 입모 포백 B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모 포백 B는,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지조직부와, 상기 지조직부에 넣어 뜨거나 또는 넣어 짜며, 상기 지조직부로부터 그의 적어도 일면측에 신장되어 나와 있는 복수의 입모사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입모사로서는 루프 파일이어도 되지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을 얻는 데에 커트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모사는, 그의 단섬유 섬도가 0.5dtex 이상(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단섬유 섬도가 0.5dtex보다도 작으면, 입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입모 포백 B를 웅재로서 사용하여 암재와 걸림 결합시킬 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입모사의 입모 길이로서는, 0.1 내지 1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입모 길이가 0.1mm보다도 작으면, 입모 길이가 지나치게 작아 입모 포백 B를 웅재로서 사용하여 암재와 걸림 결합시킬 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해당 입모 길이가 10mm보다도 크면 입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입모 포백 B를 웅재로서 사용하여 암재와 걸림 결합시킬 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입모 길이는 도 1에 도시한 L의 높이이다.
이러한 입모사로 형성되는 입모부의 입모사 밀도로서는, 3000dtex/cm2 이상(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dtex/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입모사 밀도가 3000dtex/cm2보다 작으면 입모사가 털이 쓰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입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입모 포백 B를 웅재로서 사용하여 암재와 걸림 결합시킬 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입모사 밀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키엔스(주)제 현미경(형식: VHX-900)을 사용하여, 입모 포백의 표면을 촬영(배율 200배)하고, 면적 1cm2(1cm×1cm)당의 입모사 개수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입모사 밀도(dtex/cm2)= 단섬유 섬도(dtex)×입모사 개수(개/cm2)
상기 입모사를 형성하는 섬유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면, 양모, 마, 비스코스레이온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통상의 섬유이면 된다. 그 중에서도, 리사이클성이나 강직성의 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섬유를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 소광제(이산화티타늄), 미세 구멍 형성제(유기 술폰산 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안정제, 난연제(삼산화아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대전 방지제(술폰산 금속염), 흡습제(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 입자 중 1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입모사의 형상으로서는 비권축 입모사여도 되고, 가연 권축 가공법이나 기계 권축 가공법, 나아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잠재 권축성 복합 섬유를 열 처리하여 얻어진 권축 입모사여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견고한 걸림 결합성을 얻는 데 있어서 비권축 입모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모사의 단섬유 횡단면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원형 단면 이외에 삼각, 편평, 잘록부가 있는 편평, 십자형, 육모양 혹은 중공형의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지조직부는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며 편직 조직을 갖는다. 이러한 유기 섬유 사조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상기한 입모사용으로서 예시한 섬유와 마찬가지인 것이어도 된다. 특히, 리사이클성의 면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지조직부를 구성하는 유기 섬유 사조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섬유(멀티필라멘트 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유기 섬유 사조의 단섬유 섬도 및 총 섬도는, 포백의 감촉을 손상시키지 않는 데 있어서, 단섬유 섬도 0.5 내지 5.0dtex, 총 섬도 30 내지 30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섬유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원형 단면 이외에 삼각, 편평, 잘록부가 있는 편평, 십자형, 육모양 혹은 중공형의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유기 섬유 사조는, 가연 권축 가공사나 2종 이상의 구성 사조를 공기 혼섬 가공이나 복합 가연 가공시킨 복합사, 나아가 코어부에 탄성사, 시스부에 비탄성사가 위치하는 커버링사여도 된다.
상기 입모 포백 B는, 예를 들어 하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우선, 입모사용 사조로서 단섬유 섬도가 0.5dtex 이상(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dtex)의 상술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와, 지조직부용 유기 섬유 사조로서 상기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를 사용하여 통상의 입모 포백(루프 파일 포백)을 제편직한 후, 필요에 따라 루프 파일의 선단부를 커트하여 커트 파일로 하면 된다.
여기서, 지조직부가 편조직을 갖는 입모 포백을 얻는 경우에는, 지조직을 제편하고, 그 위에 신장되어 나오는 싱커 파일, 폴 트리콧 파일, 더블러셀 파일 등의 루프 파일 조직을 형성하여, 이 루프 파일을 셔링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폴 트리콧 파일은, 트리콧 편조직의 파일 편성 부분을 기모기를 사용하여 루프 파일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지조직부가 직물 조직을 갖는 입모 포백 B를 얻는 경우에는, 경파일 직물 또는 위파일 직물을 제직하고, 그의 루프 파일을 커트하거나, 혹은 피켓 직물을 제직하여, 그의 파일사를 센터 커트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입모 포백 B에는, 통상의 방법의 염색 가공, 발수 가공, 흡수 가공, 버핑 가공, 나아가 자외선 차폐 혹은 제전제, 항균제, 탈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반사제,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을 부가 적용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입모 포백 B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웅재는 상기 입모 포백 B를 적절히 재단하여, 상기 입모 포백 B만으로 구성해도 되고, 입모 포백 B의 주위가 풀리지 않도록 장식하여 꿰매도 되고, 적절히 장식품 등을 부가해도 상관 없다. 상기 포백 B를 재단할 때, 상기 포백 B는 수지층을 갖고 강성이 높기 때문에, 재단된 개소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입모부의 입모 길이가 0.1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세로 혹은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 B에 있어서, 세로 혹은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 패스너는 상기 포백 A를 포함하는 암재와, 상기 입모 포백 B를 포함하는 웅재로 구성되며, 포백 A와 입모 포백 B의 입모부가 결합하도록 사용되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갖는다. 그 때, 하기에 정의하는 인장 전단 강력이 50cN/cm2 이상(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cN/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백 A 및 입모 포백 B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 12cm, 폭 3cm로 커트한 2개의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5cm,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폭 전체를 중첩한 후, 접압용 롤러로 9.8N/cm2(1kg/cm2)의 하중을 가하면서 2회 왕복시켜 2개의 시료를 접착시킨 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 첫회 하중 19.6cN(0.2kg)으로 시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인장하고, 2개의 시료가 분리될 때까지의 사이의 최대 인장 전단 강력을 측정한 후, 이하의 식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인장 전단 강력을 구하여, n수 5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F1=S/(L×W)
단, F1은 인장 전단 강력(cN/cm2), S는 최대 인장 전단 하중(cN), L은 중첩 길이(cm), W는 시료의 폭(cm)이다.
본 발명의 면 패스너는 상기 포백 A와 입모 포백 B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도 우수하다. 또한, 접합력의 내구성도 우수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은, 상기한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스포츠 웨어, 아웃 웨어, 이너 웨어, 신사 의료, 부인 의료, 의료용 의료, 간호용 의료, 욕의, 작업복, 방호복, 신발, 가방, 모자, 장갑, 양말, 침구, 지지대, 베이스 직물, 카시트, 서포터, 닦아내는 용구, 스킨케어 용구, 화장 용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섬유 제품이다. 이러한 섬유 제품은 상기한 면 패스너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도 우수하다. 또한, 접합력의 내구성도 우수하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측정 항목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용융 점도>
건조 처리 후의 중합체를 방사시의 루더 용융 온도로 설정한 오리피스에 세팅하여 5분간 용융 상태로 유지한 후, 몇 수준의 하중을 가하여 압출하고, 그때의 전단 속도와 용융 점도를 플롯한다. 그 플롯을 완만하게 연결하여, 전단 속도-용융 점도 곡선을 작성하고, 전단 속도가 1000초-1일 때의 용융 점도를 관찰하였다.
<용해 속도>
바다·섬 성분의 각각 0.3φ-0.6L×24H의 구금으로 1000 내지 2000m/분의 방사 속도로 실을 권취하고, 이어서 잔류 신도가 30 내지 60%의 범위가 되도록 연신하여, 총 섬도 84dtex/24fil의 멀티필라멘트를 제작하였다. 이것을 각 용제로 용해하고자 하는 온도에서 욕비 100으로 용해 시간과 용해량으로부터 감량 속도를 산출하였다.
<단섬유경>
생지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으로 사진 촬영한 후, n수 5로 단섬유경을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신도>
JIS L 1096 8.12에 따라 측정하였다.
<두께>
JIS L 1096 8.5에 따라 측정하였다.
<강연도>
JIS L 1096 8.21.1 A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인장 전단 강력>
포백 A 및 입모 포백 B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 12cm, 폭 3cm로 커트한 2개의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5cm,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폭 전체를 중첩한 후, 접압용 롤러로 9.8N/cm2(1kg/cm2)의 하중을 가하면서 2회 왕복시켜 2개의 시료를 접착시킨 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 첫회 하중19.6cN(0.2kg)으로 시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인장하고, 2개의 시료가 분리될 때까지의 사이의 최대 인장 전단 강력을 측정한 후, 이하의 식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인장 전단 강력을 구하여, n수 5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F1=S/(L×W)
단, F1은 인장 전단 강력(cN/cm2), S는 최대 인장 전단 하중(cN), L은 중첩 길이(cm), W는 시료의 폭(cm)이다.
<입모사의 입모 길이(파일 높이)>
키엔스(주)제 현미경(형식: VH-6300)을 사용하여, 입모 포백의 단면을 촬영(배율 50배)하고, 전체 두께 및 지조직부의 두께를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입모사의 입모 길이를 산출하였다. 또한, 전체 두께는 지조직부의 최저부로부터 입모사의 최고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n수는 5로 그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파일 높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L=전체 두께(mm)-지조직부 두께(mm)
[실시예 1]
섬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280℃에서의 용융 점도가 1200포이즈, 소광제의 함유량: 0중량%), 바다 성분으로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6몰%와 수 평균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6중량%를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280℃에서의 용융 점도가 1750포이즈)를 사용하여(용해 속도비(바다/섬)=230), 바다:섬=30:70, 섬수=836의 해도형 복합 미연신 섬유를 방사 온도 280℃, 방사 속도 1500m/분으로 용융 방사하여 일단 권취하였다. 얻어진 미연신사를 연신 온도 80℃, 연신 배율 2.5배로 롤러 연신하고, 이어서 150℃에서 열 세팅하여 권취하였다. 얻어진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나노파이버용 섬유, 연신사)는 총 섬도 56dtex/10fil이며,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에 의한 섬유 횡단면을 관찰한 바, 섬의 형상은 환 형상이며 또한 섬의 직경은 700nm였다.
이어서, 해당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나노파이버용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가연 권축 가공사(데이진(주)제, 56dtex/72fil)를 파일사용 사조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가연 권축 가공사(데이진(주)제, 167dtex/48fil)를 지조직용 사조로 하여, 24G, 가마 직경 26인치의 환편기(후쿠하라 세이키 세이사쿠쇼(주)제)를 사용하여 싱커 파일 조직의 환편 생지(포백 A용 생지)를 제편하였다. 그 후, 얻어진 환편 생지의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의 바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편지를3.5% NaOH 수용액으로 70℃에서 8.3% 알칼리 감량하였다. 그 후,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고,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한 후, 이면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수지(점도: 1000cps)를 고형분으로 25g/m2의 부착량이 되도록 나이프 코터로 백 코팅한 후, 건조하여, 편지(포백 A)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포백 A)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으로 생지 표면 및 단면을 관찰한 바, 해당 편지는 표면의 파일부에 평균 단섬유경이 700nm인 필라멘트사가 루프 형상으로 포함되며, 균일하게 개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편지(포백 A)의 두께는 0.85mm, 경사 방향의 신장률은 4.5%, 경사 방향의 강연도는 50mm였다.
한편, 지조직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데이진(주)제, 33dtex/12fil)와, 입모사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데이진(주)제, 84dtex/24fil)를 사용하여, 36G의 경편기(컬 메이어(주)제)를 사용하여 파일 조직(프론트: 10/56, 미들: 10/12, 백: 23/10)의 경편 생지(입모 포백 B용 생지)를 제편하였다. 얻어진 경편 생지를 프리 세트로서 160℃에서 건열 세팅을 행하고,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였다. 그 후, 셔링 가공을 실시하고,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한 후, 이면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수지(점도: 1000cps)를 고형분으로 75g/m2의 부착량이 되도록 나이프 코터로 백 코팅한 후, 건조하여,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얻었다.
얻어진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및 현미경으로 생지 표면 및 단면을 관찰한 바, 커트 파일로 이루어지는 입모부와 지조직부로 구성되며, 입모사의 단섬유 섬도는 3.5dtex, 입모 길이는 1.2mm, 경사 방향의 신장률은 2.5%, 경사 방향의 강연도는 48mm였다.
상기 편지(포백 A)와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포백 A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128cN/cm2로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암재(포백 A)와 웅재(입모 포백 B)를 분리할 때에 박리음이 전혀 나지 않고, 감촉도 부드러웠다. 또한, 상기 편지(포백 A)와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면 패스너로서 파자마에 봉제한 바, 봉제 작업도 양호하였다. 또한, 세탁을 하여도 걸림 결합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 56dtex/10fil(나노파이버용 섬유)만을 사용하여, 28G의 경편기(컬 메이어(주)제)를 사용하여 하프 조직(프론트: 10/23, 미들: 23/10, 백: 10/12)의 경편 생지(포백 A용 생지)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경편 생지의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의 바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편지를 3.5% NaOH 수용액으로 70℃에서 31% 알칼리 감량하였다. 그 후,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고,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한 후, 이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릴 수지를 코팅하고, 이어서 건조하여, 편지(포백 A)을 얻었다. 해당 편지(포백 A)의 두께는 0.40mm, 경사 방향의 신장률은 3.0%, 경사 방향의 강연도는 39mm였다.
이어서, 해당 편지(포백 A)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포백 A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97cN/cm2로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암재(포백 A)와 웅재(입모 포백 B)를 분리할 때에 박리음이 전혀 나지 않고, 감촉도 부드러웠다. 또한, 상기 편지(포백 A)와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면 패스너로서 파자마에 봉제한 바, 봉제 작업도 양호하였다. 또한, 세탁을 하여도 걸림 결합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 56dtex/10fil(나노파이버용 섬유)를 얻었다. 이어서, 해당 연신사 2개와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멀티 필라멘트(33dtex/12fil)와 인터레이스 가공으로 혼섬사를 얻었다. 해당 혼섬사를 300회/m(S 방향)으로 연사하고, 경사에 전량 배치하고, 한편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멀티 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56dtex/144fil)를 2개 정렬시켜 300회/m(S 방향)으로 합연한 후, 위사에 전량 배치하여, 경밀도 171개/2.54cm, 위밀도 67개/2.54cm의 직밀도로, 통상의 편직 방법에 의해 5매 새틴 조직의 직물 생지(포백 A용 생지)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직물 생지의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의 바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3.5% NaOH 수용액으로 70℃에서 21% 알칼리 감량하였다. 그 후,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고,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한 후, 이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릴 수지를 코팅, 건조하여, 포백 A로 하였다. 해당 직물(포백 A)의 두께는0.33mm, 경사 방향의 신장률은 1.8%, 경사 방향의 강연도는 32mm였다.
이어서, 해당 직물(포백 A)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포백 A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55cN/cm2로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암재(포백 A)와 웅재(입모 포백 B)를 분리할 때에 박리음이 전혀 나지 않고, 감촉도 부드러웠다. 또한, 상기 직물(포백 A)과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면 패스너로서 파자마에 봉제한 바, 봉제 작업도 양호하였다. 또한, 세탁을 하여도 걸림 결합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지(포백 A)를 얻었다.
한편, 지조직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권축 가공사(데이진(주)제, 44dtex/48fil)를 지조직의 경사에 배치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권축 가공사(데이진(주)제, 56dtex/24fil)를 지조직의 위사에 배치하고, 입모사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데이진(주)제, 84dtex/24fil)를 사용하여, 경밀도165개/2.54cm, 위밀도 200개/2.54cm의 직밀도로, 벨벳 직기에 의해 파일 조직의 직물 생지(입모 포백 B용 생지)를 얻었다. 얻어진 직물 생지를 프리 세트로서 160℃에서 건열 세팅을 행하고,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였다. 그 후, 셔링 가공을 실시하고, 170℃의 건열 세트를 행한 후, 이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릴 수지를 코팅, 건조하여, 입모 직물(입모 포백 B)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편지(포백 A)와, 해당 입모 직물(입모 포백 B)을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포백 A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118cN/cm2로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암재(포백 A)와 웅재(입모 포백 B)를 분리할 때에 박리음이 전혀 나지 않고, 감촉도 부드러웠다. 또한, 상기 편지(포백 A)와 입모 직물(입모 포백 B)을 면 패스너로서 파자마에 봉제한 바, 봉제 작업도 양호하였다. 또한, 세탁을 하여도 걸림 결합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해도형 복합 섬유 멀티 필라멘트 56dtex/10fil(나노파이버용 섬유)을 얻은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싱커 파일 조직의 환편 생지(포백 A용 생지)를 제편하였다. 그 후, 얻어진 환편 생지의 해도형 복합 섬유의 바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편지를 3.5% NaOH 수용액에서 70℃에서 8.3% 알칼리 감량하였다. 그 후,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고, 최종 세트로서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하여, 포백 A(백 코팅 없음)로 하였다. 해당 편지(포백 A)의 두께는 0.83mm, 경사 방향/위사 방향의 신장률은 21.5%/62%, 경사 방향/위사 방향의 강연도는 22mm/18mm였다.
이어서, 해당 편지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상기 편지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32cN/cm2로 걸림 결합성은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지(포백 A)를 얻었다.
한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경편 생지(입모 포백 B용 생지)를 제편하였다. 그 후, 얻어진 경편 생지를 프리 세트로서 160℃에서 건열 세팅을 행하고, 130℃에서 고압 염색을 행하였다. 그 후, 셔링 가공을 실시하고, 최종 세트로서 170℃의 건열 세팅을 행하여, 입모 포백 B(백 코팅 없음)로 하였다. 해당 입모 편지(입모 포백 B)의 경사 방향/위사 방향의 신장률은 6.4%/4.0%, 경사 방향/위사 방향의 강연도는 20mm/21mm였다.
이어서, 상기 편지(포백 A)와, 해당 입모 편지(입모 포백 B)를 입모 포백 B의 입모부 표면이 포백 A와 접촉하도록 양자를 걸림 결합하고, 인장 전단 강력 F1을 측정한 바, 인장 전단 강력 F1=44cN/cm2로 걸림 결합성은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걸림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하며, 암재와 웅재를 분리할 때에 그다지 박리음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포백 등에 대한 봉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면 패스너, 및 해당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섬유 제품이 제공되며, 그의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1: 지조직부
2: 입모사
3: 입모부

Claims (15)

  1. 포백 A와, 입모부와 지조직부(地組織部)를 포함하는 입모 포백 B로 구성되는 면 패스너이며, 상기 포백 A 및 상기 입모 포백 B가 모두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패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수지 코팅층 또는 라미네이트층인, 면 패스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가 편물 조직을 갖는, 면 패스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에 단섬유경이 1000nm 이하인 필라멘트사가 포함되는, 면 패스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사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필라멘트수가 1000개 이상의 멀티 필라멘트인, 면 패스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사가 루프 형상을 가지고 포백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면 패스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두께가 0.3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면 패스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warp direction) 또는 위사 방향(weft direction)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면 패스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A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인, 면 패스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입모부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또한 단섬유 섬도가 2.5dtex 이상인 입모사로 이루어지는, 면 패스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입모부의 입모 길이가 0.1 내지 3.0mm의 범위 내인, 면 패스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모 포백 B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면 패스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백 B에 있어서,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강연도가 25mm 이상인, 면 패스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에 정의하는 인장 전단 강력이 50cN/cm2 이상인, 면 패스너.
    포백 A 및 입모 포백 B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 12cm, 폭 3cm로 커트한 2개의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5cm,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폭 전체를 중첩한 후, 접압용 롤러로 9.8N/cm2(1kg/cm2)의 하중을 가하면서 2회 왕복시켜 2개의 시료를 접착시킨 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 첫회 하중 19.6cN(0.2kg)으로 시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인장하고, 2개의 시료가 분리될 때까지의 사이의 최대 인장 전단 강력을 측정한 후, 이하의 식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인장 전단 강력을 구하여, n수 5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함
    F1=S/(L×W)
    (단, F1은 인장 전단 강력(cN/cm2), S는 최대 인장 전단 하중(cN), L은 중첩 길이(cm), W는 시료의 폭(cm)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 패스너를 포함하는, 간호용 의료, 의료용 의료, 스포츠 웨어, 아웃 웨어, 이너 웨어, 파자마, 신사 의료, 부인 의료, 욕의, 작업복, 방호복, 전투복, 수렵용 의료, 신발, 가방, 모자, 장갑, 양말, 구두, 침구, 지지체, 접합 부재, 붕대, 안전대, 바닥재, 커버, 쿠션, 베이스 직물, 서포터, 복대, 앞치마, 보디 커버, 케이프, 스킨케어 용구, 화장 용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섬유 제품.
KR1020187015920A 2015-12-14 2016-11-16 면 패스너 및 섬유 제품 KR20180093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3254 2015-12-14
JP2015243254 2015-12-14
PCT/JP2016/083893 WO2017104338A1 (ja) 2015-12-14 2016-11-16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11A true KR20180093911A (ko) 2018-08-22

Family

ID=5905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920A KR20180093911A (ko) 2015-12-14 2016-11-16 면 패스너 및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360169A1 (ko)
EP (1) EP3391768A4 (ko)
JP (1) JP6775526B2 (ko)
KR (1) KR20180093911A (ko)
CN (1) CN108697207A (ko)
AU (1) AU2016370986A1 (ko)
CA (1) CA3008209A1 (ko)
TW (1) TWI731000B (ko)
WO (1) WO2017104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5778A (zh) * 2016-09-14 2018-03-20 周朝木 自体黏扣织物(二)
US11458711B2 (en) 2017-11-22 2022-10-04 Teijin Frontier Co., Ltd. Fabric having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iber product
CN109989164A (zh) * 2017-12-29 2019-07-09 上海嘉麟杰纺织品股份有限公司 可生物降解纸尿裤用前腰贴的制备工艺
JP2019187601A (ja) * 2018-04-20 2019-10-31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および血圧測定用カフ
EP3943294A4 (en) * 2019-03-18 2022-12-07 Sekisui Chemical Co., Ltd. COMPOSITE STRUCTURE AND DOUBLE-SIDED ADHESIVE TAPE
CN115443354B (zh) * 2020-04-21 2024-05-28 帝人富瑞特株式会社 防水性布帛和纤维制品
CN111793890A (zh) * 2020-07-20 2020-10-20 江苏百优达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外科手术用线带及其生产方法
JP7420697B2 (ja) * 2020-11-13 2024-01-23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内装材向けスエード調表皮材
US20220183400A1 (en) * 2020-12-15 2022-06-16 Shefit, Inc. Brassier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958A (en) 1979-12-27 1981-07-28 Idemitsu Kosan Co Ltd Asphalt composition
JP2004173819A (ja) 2002-11-26 2004-06-24 Ykk Corp 剥離時の不快音を低減した繊維製面ファスナーとその取付製品
JP2007007124A (ja) 2005-06-30 2007-01-18 Kuraray Fastening Co Ltd 減剥離音面ファスナー
JP4354232B2 (ja) 2003-08-29 2009-10-28 Ykk株式会社 静音面ファスナー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7433A (en) * 1970-11-17 1973-04-17 Int Knitloc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warp knitting hook and loop fasteners
JPS4964106U (ko) * 1972-09-12 1974-06-05
JPS5333887B2 (ko) * 1972-09-26 1978-09-18
JPH0250208U (ko) * 1988-09-30 1990-04-09
JPH03215204A (ja) * 1990-01-22 1991-09-20 Zenji Inomata 面フアスナー及び面フアスナーの製造方法
US5231738A (en) * 1991-12-12 1993-08-03 Kuraray Co., Ltd. Mixed hook/loop separable fasten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H0739516U (ja) * 1993-12-28 1995-07-18 正 山田 止め具付き伸縮自在ベルト
JPH09224719A (ja) * 1996-02-21 1997-09-02 Haiberuto Kk 布地の留め具
US6099932A (en) * 1997-12-31 2000-08-08 Gehring Textiles, Inc. Loop fabric for hook and-loop typ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270097A (ja) 2003-03-11 2004-09-30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4211268A (ja) 2003-01-09 2004-07-29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5160967A (ja) * 2003-12-05 2005-06-23 Ykk Corp 繊維製面ファスナー
DE202006002210U1 (de) * 2006-02-11 2007-06-21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Auf sich selbst wickelbares Klebeband mit textilem Träger
CN201008391Y (zh) * 2007-03-07 2008-01-23 余成明 粘扣带毛面
JP5692958B2 (ja) 2008-05-29 2015-04-01 帝人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JP5336132B2 (ja) * 2008-09-05 2013-11-06 帝人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用立毛布帛および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WO2013161314A1 (ja) * 2012-04-28 2013-10-31 Tbカワシマ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機能性布帛、雌状布帛、雌雄一対面ファスナー布帛、及び繊維製品
JP6030868B2 (ja) * 2012-06-26 2016-11-24 モリト株式会社 静音面ファスナー
GB2512388A (en) * 2013-03-28 2014-10-01 James Gair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958A (en) 1979-12-27 1981-07-28 Idemitsu Kosan Co Ltd Asphalt composition
JP2004173819A (ja) 2002-11-26 2004-06-24 Ykk Corp 剥離時の不快音を低減した繊維製面ファスナーとその取付製品
JP4354232B2 (ja) 2003-08-29 2009-10-28 Ykk株式会社 静音面ファスナー材
JP2007007124A (ja) 2005-06-30 2007-01-18 Kuraray Fastening Co Ltd 減剥離音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207A (zh) 2018-10-23
WO2017104338A1 (ja) 2017-06-22
EP3391768A4 (en) 2020-07-15
JP6775526B2 (ja) 2020-10-28
CA3008209A1 (en) 2017-06-22
TWI731000B (zh) 2021-06-21
TW201731412A (zh) 2017-09-16
US20180360169A1 (en) 2018-12-20
EP3391768A1 (en) 2018-10-24
JPWO2017104338A1 (ja) 2018-09-27
AU2016370986A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5526B2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US20080254263A1 (en) Composite Fabric Material Exhibi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al Change Upon Water Absorption, and Textile Products
JP5395088B2 (ja) ブラジャー
JP5692958B2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KR20100039341A (ko) 속옷
JP5994036B1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CN101128313A (zh) 通过吸水立体地进行结构变化的复合布帛材料及纤维制品
CN1867279B (zh) 座席用片材
JP2009024272A (ja) 冷感に優れた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5485565B2 (ja) 立毛布帛およびサポーターおよび繊維製品
JP2006207052A (ja) 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5336132B2 (ja) 面ファスナー用立毛布帛および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JP2009167565A (ja) ストレッチ性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5216970B2 (ja) ポリエステル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2009074187A (ja)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6829150B2 (ja) 装飾物品
JP2019180838A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WO2005042818A1 (ja) 立体構造経編地
JP2005009008A (ja) 高級感のある複合繊維構造体
JP2019187601A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血圧測定用カフ
JP6715679B2 (ja) 紡績糸および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101772435B1 (ko) 경편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CN209003418U (zh) 被褥罩
JP2018193043A (ja) 車両用座席
JP7267820B2 (ja) 滑り止め布帛を用いてなるシューズ用インソ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