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550A - 수직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550A
KR20180087550A KR1020170011665A KR20170011665A KR20180087550A KR 20180087550 A KR20180087550 A KR 20180087550A KR 1020170011665 A KR1020170011665 A KR 1020170011665A KR 20170011665 A KR20170011665 A KR 20170011665A KR 20180087550 A KR20180087550 A KR 2018008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bar
coupled
transfer device
screw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959B1 (ko
Inventor
이형석
김종진
윤은식
이종화
김성신
채장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to KR102017001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바(12)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바(12)와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바(23)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스크류 모듈(24)과;
상기 제2 가이드바(23)와 가이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모듈(24)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모듈(24)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파지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하는 수직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이송장치{Vertical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을 수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수직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이송장치는 스크류와 가이드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물건을 상부로 최대로 들어 올리면, 전체 길이는 수직이송장치의 수직길이와 물건의 길이가 된다.
아울러, 종래의 수직이송장치는 스크류 방식만으로 이루어져서, 정밀한 제어가 힘들다. 예를 들어, 수직이송장치의 수직방향 길이가 10M가 된다면, 스크류의 길이도 10M 가까이 되어야 한다. 스크류의 길이가 길어지면 수직방향으로 정밀하게 물건의 이동을 제어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정밀제어가 가능하면서도 물건과 수직이송장치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직이송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 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0781802호(수직이송장치)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며, 파지한 물건을 수직이송장치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바(12)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바(12)와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바(23)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스크류 모듈(24)과;
상기 제2 가이드바(23)와 가이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모듈(24)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모듈(24)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파지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하는 수직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바(12)의 상부에 결합된 제4 플레이트(41)와;
상기 제4 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를 상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모듈(50)을 포함하는 수직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며, 파지한 물건을 수직이송장치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의 사시도(베이스부가 절개된 형태)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의 작동 예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의 사시도(베이스부가 절개된 형태)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수직이송장치(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바(12)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바(12)와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바(23)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스크류 모듈(24)과;
상기 제2 가이드바(23)와 가이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모듈(24)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모듈(24)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파지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수직이송장치(100)는 수직으로 들어 올린 물건을 베이스부(11)의 내부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물건을 들어 올리더라도 물건과 수직이송장치(100)의 길이가 수직이송장치(100)의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게 된다. 협소한 공간에서 물건을 이송할 때 적합한 장치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수직이송장치(100)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부에서는 정밀하게 물건을 들어올리고 내리도록 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부는 하단부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내림으로써, 하단부에서만 정밀하게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부(11)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도 2와 같이, 베이스부(11)의 하단부는 지면(110)에 닿게 된다. 지면(110)의 하부에는 작업공간(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공간(120)에는 물건이 위치한다. 베이스부(11)는 원통형일 수도 있으며,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부(11)의 측면은 일부분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의 상부에는 제1 가이드바(12)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가이드바(12)의 상부에는 제4 플레이트(41)가 결합되어 있다. 제4 플레이트(41)는 제1 플레이트(21)를 상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1 가이드바(12)와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베이스부(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제2 가이드바(23)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한다.
제1 플레이트(21), 제2 가이드바(23) 및 제2 플레이트(22)는 하나의 구조물로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는 제2 가이드부(23)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21)가 제1 가이드바(12)를 따라서 이동하면, 제2 플레이트(22)가 베이스부(11)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플레이트(21)의 상하이동은 크레인모듈(50)을 통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모듈(50)은 와이어(51)에 의해서 제1 플레이트(21)와 연결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크레인모듈(50)에서 와이어(51)가 풀리면, 중력에 의해서 제1 플레이트(21)가 제1 가이드바(12)에 가이드되어 아래로 내려온다. 그 결과 제2 플레이트(22)도 베이스부(11)의 내부공간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온다.
또한, 크레인모듈(50)이 아닌 외부의 기중기가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21)와 연결되어 들어올릴 수 있다.
스크류 모듈(24)은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한다. 스크류 모듈(24)은 볼스크류와, 볼스크류를 작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는 제1 플레이트(2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31)는 제2 가이드바(23)와 가이드 결합된다. 또한, 제3 플레이트(31)는 스크류모듈(24)에 결합되어 스크류모듈(24)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파지부(32)는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2)는 물건을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재(33)는 제2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제3 플레이트(31)와 파지부(32)를 연결한다.
스크류모듈(24)이 작동하여, 제3 플레이트(31)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파지부(32)도 이동하게 된다. 스크류모듈(24)은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파지부(32)의 상하 이동도 정밀하게 제어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실시예의 수직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크레인모듈(50)에서, 와이어(51)를 풀면, 와이어(51)에 결합된 제1 플레이트(21)가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내려온다. 제1 플레이트(21)는 베이스부(11)의 상부까지 내려온다.
제1 플레이트(21)가 하부로 내려오면, 제2 가이드바(23)에 결합된 제2 플레이트(22)도 도 2와 같이 하부로 내려간다.
이후, 도 3과 같이, 스크류모듈(24)이 작동하여 제3 플레이트(31)를 정밀하게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류모듈(24)의 볼스크류가 회전하면 제3 플레이트(31)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며, 제3 플레이트(31)는 제2 가이드바(23)에 가이드 된다. 제2 가이드바(23)는 복수일 수 있다.
제3 플레이트(31)가 하부로 이동하면, 연결부재(33)와 연결된 파지부(32)가 아래로 이동한다. 파지부(32)에는 물건이 파지될 수 있다. 작업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진 뒤, 다시 물건은 도 4-> 도3-> 도 2의 순서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물건은 베이스부(11)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물건을 들어 올리더라도 물건의 길이만큼 전체 수직이송장치(100)의 길이가 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금만 수직이송장치(100)를 들어 올리면, 수평으로 수직이송장치(10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서 수직이송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구간에서 스크류모듈(24)을 작동시켜, 파지부(32)의 상하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수직이송장치(100) 베이스부(11)
제1 가이드바(12) 제1 플레이트(21)
제2 플레이트(22) 제2 가이드바(23)
스크류 모듈(24) 제3 플레이트(31)와;
파지부(32) 연결부재(33)
제4 플레이트(41) 크레인모듈(50)

Claims (2)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바(12)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바(12)와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22)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바(23)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스크류 모듈(24)과;
    상기 제2 가이드바(23)와 가이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모듈(24)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모듈(24)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31)와 상기 파지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하는 수직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바(12)의 상부에 결합된 제4 플레이트(41)와;
    상기 제4 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를 상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모듈(50)을 포함하는 수직이송장치.



KR1020170011665A 2017-01-25 2017-01-25 수직이송장치 KR10205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665A KR102058959B1 (ko) 2017-01-25 2017-01-25 수직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665A KR102058959B1 (ko) 2017-01-25 2017-01-25 수직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550A true KR20180087550A (ko) 2018-08-02
KR102058959B1 KR102058959B1 (ko) 2019-12-24

Family

ID=6325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665A KR102058959B1 (ko) 2017-01-25 2017-01-25 수직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9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24A (ko) * 2003-08-08 2005-02-23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로 내부 검사장치
US20120153091A1 (en) * 2010-12-16 2012-06-21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for cable management synchronized with telescopic mo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24A (ko) * 2003-08-08 2005-02-23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로 내부 검사장치
US20120153091A1 (en) * 2010-12-16 2012-06-21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for cable management synchronized with telescopic mo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959B1 (ko)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6688A (zh) 一种led基板的全自动光学检测机
US9992918B2 (en)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0424966Y1 (ko) Cnc 선반의 오토로더
KR102062109B1 (ko) 판재 자동 절곡장치
KR20180087550A (ko) 수직이송장치
CN107098135B (zh) 手机彩盒上料机构
JP2008265907A (ja) 作業装置
KR101653542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스태커
JP4922870B2 (ja) 基板リフト装置
JP2007070022A (ja) 搬送装置
KR100760466B1 (ko) 형강재의 이송 정렬장치
JP6190557B1 (ja) 部品組付装置
KR100534065B1 (ko) 키패드 마킹장치
KR102108761B1 (ko)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JP2770084B2 (ja) ナットリフトアップ装置
JP2001259765A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
CN208555763U (zh) 片材多工序冲床冲压自动传输装置
CN107244549A (zh) 一种具有自动夹持式抓取机器手臂的搬运机构
CN210285840U (zh) 多尺寸料框升降输送装置
CN207046457U (zh) 料盘转运平台
JP5479948B2 (ja) 搬送機構
CN111168375A (zh) 一种马达底壳部件的装配机构
KR100681953B1 (ko) 이송장치의 헤드 위치조절장치
CN105584229B (zh) 打标装置
KR200157293Y1 (ko) 블랭킹 라인의 파일러 적재대 자동 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0

Effective date: 20191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