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367A -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367A
KR20180079367A KR1020187014810A KR20187014810A KR20180079367A KR 20180079367 A KR20180079367 A KR 20180079367A KR 1020187014810 A KR1020187014810 A KR 1020187014810A KR 20187014810 A KR20187014810 A KR 20187014810A KR 20180079367 A KR20180079367 A KR 2018007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rrosion
resin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간자키
가즈오 기지마
아쓰키 고미
겐지 기하라
도시오 구니마쓰
유야 데라사와
도모노부 세키구치
가즈노리 야마다
히로유키 니시카와
히로시 오에
고이치 스기모토
마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by thermal or cryogenic treatment, excluding heating to facilitate mechanical wor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non-powered tools, e.g. 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4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for heating or drying foundation, paving, or materials thereon, e.g. pai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기반층 위에 아스팔트층이 포장된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있어서, 기반층과 아스팔트층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전자유도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아스팔트층을 박리시키도록 구성된 도로구조체를 제공한다. 도로구조체는, 비열가소성의 전기 불량도체인 기반층과, 기반층의 상방에 배치된 아스팔트층을 구비한다.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기반층를 접착하는 제1접착층과,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아스팔트층과를 접착하는 제2접착층을 갖는다. 적어도 제1접착층은,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발열에 의하여 연화되는 열가소성 접착층이다.

Description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ROAD STRUCTURE, CORROSION-RESISTANT CONDUCTIVE SHEET USED FOR SAID ROAD STRUCTURE, AND METHOD FOR SEPARATING ASPHALT LAYER}
본 발명은, 고주파(高周波)의 전자유도 코일(電磁誘導 coil)에 의하여 도로구조체(道路構造體)로서의 아스팔트층(asphalt層)을 박리(剝離)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데 적합한 도로구조체 및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耐腐蝕性 導電sheet)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개수공사 등을 할 때에, 전기 불량도체(電氣 不良導體)인 콘크리트 상판(concrete 床板) 등의 기반(基盤) 위로 포장된 아스팔트층을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보통의 경우에 있어서 절삭기에 의하여 아스팔트층을 콘크리트 상판으로부터 벗겨내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절삭대상이 아닌 콘크리트 상판이 절삭기에 의하여 절삭되어, 개수공사에 있어서의 아스팔트층의 벗겨내기 공사가 실행될 때마다 콘크리트 상판이 얇게 된다. 또한 절삭된 콘크리트 상판에는 절삭기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이 나고, 이 마이크로 크랙으로 빗물 등의 물의 침입에 기인하는 콘크리트 상판 중의 철근의 부식, 염해, 동결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상판이 열화된다. 또한 공사할 때에 큰 진동이나 소음의 문제가 발생하고, 작업효율도 아주 낮기 때문에 소규모의 시공에 한정된다.
교량 등의 강상판 덱플레이트(剛床板 deck plate) 위로 포장된 아스팔트층을 박리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특허문헌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철거방법 및 철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되는 기술은, 강상판을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加熱)함으로써, 아스팔트층의 일부를 연화(軟化)시켜, 그 연화층(軟化層)을 강상판으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아스팔트층을 박리하는 것이다. 이 기술에 의하면, 강상판을 손상시키는 것도, 큰 소음이나 진동을 일으키는 것도 없이, 아스팔트층을 강상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콘크리트 상판 위에 포장된 아스팔트층에 있어서도, 특허문헌1과 같이 콘크리트 상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음 및 진동도 발생시키지 않는 아스팔트층의 박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2에는, 전자유도에 의한 가열을 이용한 블록포장(block鋪裝)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는, 기반층(基盤層) 위에 부설(敷設)되는 베드 모르타르(bed mortar) 중에 또는 그 표면에, 열가소성 재료(熱可塑性 材料) 및 금속재료(金屬材料)가 배합 또는 부설되어 있고, 베드 모르타르 위에 포장용 블록(鋪裝用 block)을 깔아 배열한 후에, 포장용 블록의 상방으로부터 전자유도를 실시함으로써 금속재료를 가열하여 열가소성 재료를 연화시켜, 포장용 블록을 베드 모르타르에 확실하게 압착시킴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연화된 열가소성 재료가 상온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경화함으로써, 베드 모르타르와 포장용 블록이 일체화된다.
특허문헌2의 기술은, 어디까지나 포장용 블록을 부설할 때에 이용되는 기술이며, 포장용 블록을 제거할 때에 전자유도가열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상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베드 모르타르에 배합 또는 그 표면에 부설하는 금속재료의 따른 경년부식(經年腐蝕)에 대한 내부식성에 대해서는, 특허문헌2에서 언급되어 있지 않다. 금속재료에 내부식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부설로부터 장기간 경과 후에 빗물 등의 침투가 피할 수 없는 결과로서, 금속재료는 확실하게 부식에 의한 손상 및 결손이 발생되어 있다고 추찰(推察)된다. 그러면 전자유도에 의하여 금속재료를 가열하려고 하더라도, 부식 및 결손에 의하여 금속재료를 적절하게 가열할 수 없고, 결과로서 베드 모르타르를 연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박리하는 데에 있어서 기반층을 손상시키거나 큰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포장용 블록을 박리할 수 없다. 해안 근방을 지나는 도로에 있어서의 해수의 침수 또한 산성비에 의한 침투수 등에 의한 경년부식을 회피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는, 전자유도에 의한 금속재료의 열에 의하여 베드 모르타르를 연화시켜, 그 상태에서 포장용 블록의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베드 모르타르와 포장용 블록을 접착시킨다. 그 때, 베드 모르타르를 연화시킨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포장용 블록 아래의 베드 모르타르를 측방으로 유동시켜, 포장용 블록간의 이음매의 틈에, 필요한 위치까지 충전시킨다. 따라서 베드 모르타르는, 포장용 블록간의 이음매를 충전하는데에 필요한 양에 대응하는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부설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서 부설된 포장용 블록에, 장기에 걸쳐 하중이 걸리면, 개개의 포장용 블록이 별개로 침하하고, 그것에 따라 포장용 블록 아래의 베드 모르타르가 측방으로 유동하여 포장용 블록의 하방으로의 침하량이 더 증대된다. 포장용 블록에 비하여 베드 모르타르는 변형 저항력이 작기 때문에, 금속재료가 시트모양이나 망상의 경우에는, 하방으로 침하한 포장용 블록에 의한 펀칭 전단력(punching 剪斷力)에 의하여 금속재료에 전단파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베드 모르타르 중의 금속재료가 파단되었을 경우에는, 전자유도에 의한 유도전류가 금속재료에 발생되지 않을 경우이거나, 국부적으로만 발생될 경우가 있고, 이러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베드 모르타르가 연화되지 않거나 또는 충분하게 연화되지 않아, 포장용 블록의 제거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아주 곤란하게 된다.
특허문헌3에는, 피착체(被着體)로부터의 박리를 쉽게 하는 접착시트(接着sheet) 및 접착시트의 박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 접착시트는, 천연 또는 석유 아스팔트를 사용한 열성 접착제층(熱性 接着劑層)과, 그 위에 적층된 발열층(發熱層)과, 또한 그 위에 적층된 기재층(基材層)으로 구성된다. 접착시트를 박리하는 경우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층을 발열시키고, 그 열에 의하여 열성 접착제층을 용융 또는 연화시킴으로써, 접착시트를 포장도로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특허문헌3은, 예를 들면 포장도로의 표지나 마킹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접착시트 및 그 시트 자체를 박리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며, 도전체층(導電體層) 위에 형성된 아스팔트층을 대상으로 해서 열성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장기간 경과 후에 박리하는 본 출원에 관한 발명과는, 기술분야 및 구조적인 개념이 전혀 다른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3에는, 내부식성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기술수단에 대해서 개시도 시사도 없다.
: 일본국 특허 제4330639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42252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179828호 공보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는 콘크리트의 기반층 위로 아스팔트층이 포장된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있어서 아스팔트층의 포장으로부터 장기간을 경과한 후이더라도 기반층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큰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않고,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통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부설해 두고, 아스팔트층의 박리 시에 전자유도에 의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가열하여 접착층을 연화시키고, 연화된 접착층으로부터 상층과 하층을 분리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전자유도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아스팔트층을 박리시키도록 구성된 도로구조체를 제공한다.
도로구조체는, 비열가소성의 전기 불량도체인 기반층과,
기반층의 상방에 배치된 아스팔트층을
구비한다.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기반층을 접착하도록 기능을 하는 제1접착층과,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아스팔트층을 접착하도록 기능을 하는 제2접착층을
갖는다.
적어도 제1접착층은,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발열에 의하여 연화되는 열가소성 접착층이다.
내부식성 도전시트는,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금속층, 내부식성의 금속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섬유층, 내부식성의 섬유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수지층, 내부식성의 수지층,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것에 내부식성 피막을 실시한 층 또는 내부식성의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층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태양에 있어서, 전자유도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아스팔트층을 박리시키도록 구성된 도로구조체에 사용되고, 당해 도로구조체의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제공한다. 내부식성 도전시트는, 도로구조체의 기반층 위에 적층되는 제1접착층과, 아스팔트층 밑에 적층되는 제2접착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도전체층을 갖는다. 도전체층의 양면에는, 내부식성 피막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체층은, 금속층, 섬유층, 수지층 또는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층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전체층에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아연, 구리 및 티탄 그리고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체층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은, 전기 비저항값이 6.0μΩ·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피막은, 글라스계 피막, 불소계 피막, 아크릴계 피막, 스티렌계 피막, 폴리카보네이트계 피막, 폴리에스테르계 피막, 폴리우레탄계 피막, 에폭시계 피막, 테플론(등록상표) 피막, 주석도금, 아연도금, 아연합금 클래드, 산화피막, 인산처리 피막, 인산염처리 피막, 크롬산처리 피막, 크롬산염처리 피막, 불산처리 피막, 불산염처리 피막, 나트륨염처리 피막 또는 양극산화법, 졸겔법, 알콕시드법, CVD법 또는 PVD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오브, 티탄, 탄탈, 규소 또는 지르코늄 금속의 부동태 산화물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태양에 관계되는 도로구조체에 있어서 아스팔트층을 기반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도로구조체의 아스팔트층측에서 도로구조체의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함으로써, 도로구조체의 제1접착층을 연화시키는 공정과, 연화된 제1접착층을 기반층으로부터 박리시켜, 기반층과 아스팔트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도로구조체의 아스팔트층측에서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함으로써, 도로구조체의 제2접착층을 연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분리하는 공정은, 연화된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 중에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 당해 위치보다 위에 배치된 층과 당해 위치보다 아래에 배치된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의 연화점은, 제2접착층의 연화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은, 합성고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아크릴계 라디칼 경화성 액상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우레탄 수지 및 역청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물질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층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S)계 수지, 클로로프렌(Cr)계 수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S)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및 역청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도로구조체로서, (a)는 방수층을 포함하지 않는 도로구조체를 나타내고, (b)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도로구조체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내부식성 도전시트가 롤체로서 제공될 경우의 사시도이고, (b)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평면도로에의 부설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c)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경사도로에의 부설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도로구조체에 있어서 아스팔트층을 박리하기 위한 장치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4는, 도3에 나타내지는 장치에 탑재되는 전자유도 코일유닛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5는,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가열에 의한 아스팔트층의 상태확인을 위한 실험에 사용한 시험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로구조체(1)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도로구조체(道路構造體)를 나타낸다. 도1에 나타내지는 도로구조체(1)는, 전형적으로 콘크리트 상판(concrete 床板)으로 할 수 있는 기반층(基盤層)(10)의 상방(上方)에 아스팔트층(asphalt層)(18)이 적층되어 있다. 기반층(10)의 위에는 제1접착층(第1接着層)(12)이 적층되고, 제1접착층(12)의 위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耐腐蝕性 導電sheet)(14)가 적층되고,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위에는 제2접착층(第2接着層)(16)이 적층되고, 제2접착층(16)의 위에는 아스팔트층(18)이 적층된다. 제1접착층(12)은,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접착하고, 제2접착층(16)은,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을 접착하고 있다. 이 도로구조체(1)는,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도로, 콘크리트 교량, 컬벗(culvert), 콘크리트건축 옥상방수공사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로구조체(1)의 기반층(10)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슬래브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precast concrete版) 등으로 할 수 있다. 도로구조체(1)의 아스팔트층(18)은, 일반적인 아스팔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도전성이 아니거나 또한 자계를 차단하지 않는 재료인 것이 필요하다. 아스팔트층(18)의 두께는, 2∼3cm 이상이고 약 20cm 이하이며, 8c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외부로부터의 전자유도(電磁誘導)에 의하여 발생하는 와전류(渦電流)에 의하여 발열(發熱)하고, 부설 후에 장기간에 걸쳐 아스팔트층(18)과 기반층(10)의 사이에 매설되어 있어도 상태(예를 들면 형상, 성능 등)가 변화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전체가 금속층, 적어도 일부에 금속을 함유하는 층, 섬유층, 또는 수지층으로 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발열시킴으로써, 제1접착층(12) 또는 제1접착층(12) 및 제2접착층(16)을 연화(軟化)시킬 수 있다. 층(14)을 내부식성 도전시트로 함으로써, 도로구조체(1)가 부설된 후에, 장기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서도, 전자유도에 의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가열할 수 있어, 기반층(10)을 손상시키는 것도, 큰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도 없이, 아스팔트층(18)을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아스팔트층(18)의 박리 후에 원칙적으로 폐기되는 것이므로, 저렴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두께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제1접착층(12) 또는 제2접착층(16)을 연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열이 발생하는 데에 필요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두께이다. 또한 두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 위에 아스팔트층(18)을 시공할 때에 작용하는 보통의 외력에 대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파단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두께이다. 두께는 중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두께는, 운반, 부설 등의 시공 시에 지장이 없는 두께 및 중량의 관점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도전체층(導電體層)(142)의 양면을 내부식성 피막(耐腐蝕性 被膜)(144, 146)으로 피복하거나, 또는 층(14)을 구성하는 재료자체를 내부식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예를 들면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금속층(金屬層), 내부식성의 금속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섬유층(纖維層), 내부식성의 섬유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수지층(樹脂層), 내부식성의 수지층,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것에 내부식성 피막을 실시한 층 또는 내부식성의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층의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예를 들면 평판 또는 구멍이 있는 시트모양, 또는 망모양(網狀)의 도전체층(142)을 내부식성 피막(144, 146)으로 피복한 것, 내부식성의 도전재료를 예를 들면 평판 또는 구멍이 있는 시트모양, 또는 망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1에 있어서는, 평판시트모양의 도전체층(142)의 양면에 내부식성의 피막(144, 146)을 적층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예시되어 있다. 도전체층(142)을, 예를 들면 도전체층(142)이 폭방향, 직선모양으로 나열된 구멍의 열을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이 있는 것으로 하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전체층(142)은, 퍼포레이션(perforation)에 의한 커트라인이 들어 간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멍이 있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나 퍼포레이션이 들어 간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사용함으로써, 후술된 바와 같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기반층(10)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이 구멍이 있는 장소에서 절단되어, 보다 쉽게 박리공정(剝離工程)을 실행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된 층 또는 적어도 일부에 금속을 함유하는 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으로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아연, 구리 및 티탄, 그리고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알루미늄 합금박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며, 내부식성의 피막이 양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박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사용되는 금속이 알루미늄 합금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적어도 일부에 알루미늄 합금박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박의 전기 비저항값(실온 15℃)이 6.0μΩ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10μΩcm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5∼10μΩcm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전기 비저항값이 6.0μΩ·cm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한 저항값을 얻기 위해서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두께를 얇게 하여야 하므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전기 비저항값의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0μΩcm 정도이다. 전기 비저항값이 10μΩcm을 넘으면, 내식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사용하는 금속으로서 스테인레스박을 채용하는 경우는, 그 전기 비저항값(실온 15℃)은 50∼90μΩcm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5μΩc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도전체층(142)으로서 알루미늄 합금박(142)을 사용하는 경우에 알루미늄 합금박은, 공지의 방법을 따라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의 조성을 갖는 용탕(溶湯)을 조제한 후, 10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10mm 이하의 두께로 주조(鑄造)한 알루미늄 합금에 냉간압연(冷間壓延)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소정의 조성을 갖는 용탕을 조제하고, 이를 주조하여 얻어진 알루미늄 합금의 주괴(鑄塊)를, 450∼660℃, 바람직하게는 450∼550℃로 균질화 처리를 한 후에, 열간압연(熱間壓延) 및 냉간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얻어도 좋다. 냉간압연의 도중에, 150∼450℃로 어닐링(annealing)을 하더라도 좋다. 얻어진 알루미늄 합금박은, 필요에 따라 200∼600℃로 최종어닐링(最終annealing)을 하여도 좋다. 어닐링 시간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300℃ 이상으로 유지하는 시간을 10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300℃ 이상에서의 유지시간은, 1분 이내이다.
알루미늄 합금박(142)은, 시공 상의 요청으로부터 가능한 한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강성(剛性)에 관해서는 하부의 기반층으로의 추종성(追從性)이 요구되는 것 등으로부터 변형성능(變形性能)이 높은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두께는 50∼20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께가 50μm 미만의 경우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로서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0μm를 넘는 경우에는 시공성이나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박(142)의 평균결정입경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3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20μm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5∼10μm로 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평균결정입경이 30μm를 넘으면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평균결정입경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보통은 1μm 정도이다.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박(142)은, 10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10mm 이하의 두께로 주조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결정입경이란, 냉간압연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결정립(結晶粒)의 최대폭을 말한다.
알루미늄 합금박(142)의 소재인 알루미늄 합금은, 0.5≤Mn≤3.0 질량%의 Mn과, 0.0001≤Cr<0.20 질량%의 Cr과, 0.2≤Mg≤1.8 질량%의 Mg과, 0.0001≤Ti≤0.6 질량%의 Ti와, 0<Cu≤0.005 질량%의 Cu와, 0<Si≤0.1 질량%의 Si와, 0<Fe≤0.2질량%의 F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합금원소를 제외한 알루미늄 합금의 잔부(殘部)는, Al(알루미늄)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불가피한 불순물원소의 각각의 함유량은, 100 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각 합금원소, 전기 비저항값의 순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루미늄 합금에 0.5≤Mn≤3.0 질량% 함유되는 Mn은, 전기 비저항 기여율이 크고, 내부식성을 손상하지 않는 원소이다. 또한 Cr과 공존함으로써 전기 비저항을 더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Mn의 함유율이 0.5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필요한 전기 비저항값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3.0 질량%를 넘으면 강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Mn의 함유율은, 1.0≤Mn≤2.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6≤Mn≤2.2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8<Mn≤2.2질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에 0.0001≤Cr<0.20 질량% 함유되는 Cr은, 전기 비저항 기여율이 크고, 내부식성을 손상하지 않는 원소이다. 또한 Mn과 공존함으로써 전기 비저항을 더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r의 함유율이 0.0001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필요한 전기 비저항값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0.20 질량% 이상으로 하면 Al-Cr-Mn계의 딱딱하고 거친 금속간 화합물이 정출(晶出)되기 때문에, 핀홀(pinhole) 등의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Cr의 함유율은, 0.0001≤Cr≤0.18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에 0.2≤Mg≤1.8 질량% 함유되는 Mg는, 특히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전기 비저항 기여율도 큰 원소이다. Mg의 함유율이 0.2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시공에 필요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1.8 질량%를 넘으면, 강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알루미늄 합금에 0.0001≤Ti≤0.6 질량% 함유되는 Ti는, 전기 비저항 기여율이 크고, 내부식성을 손상하지 않고,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을 미세화해서 그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Ti의 함유율이 0.0001 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필요한 전기 비저항값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알루미늄 합금박의 평균결정입경이 크게 되어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함유율이 0.6 질량%를 넘으면 강도가 지나치게 크게 되어, 가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Ti의 함유율은, 0.002≤Ti≤0.25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에 0<Cu≤0.005 질량% 함유되는 Cu는, 내부식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Cu의 함유율이 0.005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박에 부식구멍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Cu함유율의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05 질량% 정도이다. Cu의 함유율은, 0<Cu≤0.003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에 0<Si≤0.1 질량% 함유되는 Si는, 다른 원소의 석출을 촉진하기 때문에 전기 비저항을 감소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약산에 대한 내부식성을 특히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Si의 함유율이 0.1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박에 부식구멍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Si함유율의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05 질량% 정도이다. Si의 함유율은, 0<Si≤0.04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에 0<Fe≤0.2 질량% 함유되는 Fe는, 특히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지만, 내부식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Fe의 함유율이 0.2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박에 부식구멍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Fe함유율의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05 질량% 정도이다. Fe의 함유율은 0<Fe≤0.08 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의 주된 조성(組成)인 Al은, 전열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저렴하며, 가공이 쉽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의 제련, 정제, 용제 과정으로 Fe, Si, Cu, Ti, V, Ga 등의 원소가 불순물원소로서 혼입되지만, 다양한 품질(품위)의 알루미늄을 조합시켜 배합함으로써 그들 원소의 함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은, 불순물원소를 조정한 후에, 유의원소로서 어느 종류의 원소를 첨가, 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박(142)은, 전기 비저항값(실온 15℃)이 6.0μΩc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10μΩcm, 더 바람직하게는 6.5∼10μΩcm이 되는 범위에서 상기의 각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전기 비저항값이 6.0μΩcm 미만이면, 필요한 저항값을 얻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박의 두께를 얇게 하여야 함으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알루미늄 합금의 전기 비저항값의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0μΩcm 정도이다. 전기 비저항값이 10μΩcm을 넘으면, 내식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거나, 가공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내부식성의 피막(144, 146)의 재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도전체층(142)을 부식으로부터 방호(防護)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내부식성의 피막(144, 146)으로서, 예를 들면 글라스계 피막, 불소계 피막, 아크릴계 피막, 스티렌계 피막, 폴리카보네이트계 피막, 폴리에스테르계 피막, 폴리우레탄계 피막, 에폭시계 피막, 테플론(등록상표) 피막, 주석도금, 아연도금, 아연합금 클래드, 산화피막, 인산처리 피막, 인산염처리 피막, 크롬산처리 피막, 크롬산염처리 피막, 불산처리 피막, 불산염처리 피막, 나트륨염처리 피막, 또는 양극산화법(陽極酸化法), 졸겔법(sol-gel法), 알콕시드법(alkoxide法), CVD법 또는 PVD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오븀(Nb), 티탄(Ti), 탄탈럼(Ta), 규소(Si) 또는 지르코늄(Zr) 금속의 부동태 산화물 피막(不動態 酸化物 被膜)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식성의 피막(144, 146)은, 글라스계 피막 또는 에폭시계 피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피막(144, 146)은, 제1접착층(12) 및 제2접착층(16)과 접착성이 좋고, 내미끄럼성, 내전단강도, 내벗겨짐성 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12)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부설 시에는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견고하게 접착하고, 아스팔트층(18)의 박리 시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발열에 의하여 연화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熱可塑性 材料)이다. 제1접착층(12)은, 박리 시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열에 의하여 연화되어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제1접착층(12)에 있어서 이보다 아래의 층과 이보다 위의 층을 분리할 수 있다.
제1접착층(12)은, 아스팔트의 성상시험(性狀試驗)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화점 시험방법(軟化點 試驗方法)에서 요구되는 연화점 T1이 약 50℃∼약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되는 제2접착층(16)의 연화점 T2보다 10∼15℃ 이상 낮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연화점이란, 아스팔트 등의 열가소성 재료의 고체물질이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변형하여 연화되고, 연화의 정도가 소정의 상태가 되었을 때의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면 아스팔트의 연화점은, 환구(環球) 위의 형틀에 용융한 액체 아스팔트를 부어서 냉각고화시킨 아스팔트 위에 쇠구슬을 올려 놓고, 일정한 온도구배로 온도를 올려서, 아스팔트가 규정의 거리까지 늘어질 때의 온도를 말한다. 제2접착층(16)보다 연화점이 낮은 재료를 제1접착층(12)의 재료로서 사용하고, 전자유도에 의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발열온도를, 제1접착층(12)은 연화되지만 제2접착층(16)은 연화되지 않는 온도로 제어하면, 제1접착층(12)에 있어서 그 위의 층과 그 아래의 층을 분리하는 것이 쉽게 된다.
제1접착층(12) 및 제2접착층(16)의 연화점의 차이와, 도로구조체(1)를 2개의 층으로 분리시키는 위치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제1접착층(12) 및 제2접착층(16)에 사용되는 재료의 온도(Tem)와 점도(η)의 관계는, 접착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온도(Tem)-점도(η) 특성도 상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거의 직선에 근사한 곡선으로서 나타낸다. 이 온도-점도 특성도는, 일반적으로 온도의 대수(log(Tem))를 횡축으로 하고 점도의 대수의 대수(log(logη))를 종축으로 하는 「log(logη)-log(Tem)」도로서 표현된다. 혹은 이 온도-점도 특성도는, 온도(Tem)을 횡축으로 하고 점도의 대수(logη)을 종축으로 하는 특성도, 즉 「logη-Tem」도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이 특성도 상에 있어서는, 제2접착층(16)을 나타내는 직선은, 연화점이 낮은 제1접착층(12)을 나타내는 직선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플롯(plot)된다. 제1접착층(12)과 제2접착층(16)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열에 의하여 동시에 따뜻하게 되어, 제1접착층(12)이 연화되는 온도에 도달했을 때에는, 제2접착층(16)은, 상기한 간격을 둔 점의 점도, 즉 아직 연화가 시작되지 않은 점도이다. 여기에서 종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수의 대수로서 나타내기 때문에 제1접착층(12)의 연화점과 제2접착층(16)의 연화점의 차이가 10도∼15도로 대응되는 점도의 차이는 크다. 따라서 제1접착층(12)과 제2접착층(16)을, 각각 연화점의 차이가 10∼15℃ 이상의 재료로 함으로써, 전자유도에 의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켜서 도로구조체(1)를 구성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가열하였을 경우에는, 제2접착층(16)이 아니고, 점도가 더 낮은 제1접착층(12)에 있어서, 그 위의 층과 그 아래의 층을 분리시키는 것이 더 쉽게 된다.
제1접착층(12)은, 장기간에 걸쳐 아스팔트층(18)과 기반층(10)의 사이에 매설된 상황이 계속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상태(내부식성, 기반층(10) 및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부착성 등)가 변화되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12)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는, 예를 들면 합성고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아크릴계 라디칼 경화성 액상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우레탄 수지 및 역청재료(瀝靑材料)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로 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착층(12)의 두께는,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두께이면 좋다. 또한 기반층(10)에 울퉁불퉁함이 있는 경우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부설할 때에 그 울퉁불퉁함을 흡수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기반층(10)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두께이면 좋다. 다만 두께는, 시공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층(16)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아스팔트층(18)의 부설 시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을 견고하게 접착하고, 아스팔트층(18)의 박리 시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발열에 의하여 연화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제2접착층(16)은, 아스팔트층(18)의 박리 시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열에 의하여 연화되어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의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제2접착층(16)에 있어서 이보다 아래의 층과 이보다 위의 층을 분리할 수 있다.
제2접착층(16)은, 연화점 T2가 약 60℃∼약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접착층(12)의 설명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제1접착층(12)의 연화점 T1보다 10℃∼15℃ 이상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12)보다 연화점이 높은 재료를 제2접착층(16)의 재료로서 사용하여, 전자유도에 의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발열온도를, 제1접착층(12)은 연화되지만 제2접착층(16)은 연화되지 않는 온도로 제어하면, 제1접착층(12)에 있어서 그 위의 층과 그 아래의 층을 분리하는 것이 쉽게 된다.
제2접착층(16)은, 장기간에 걸쳐 아스팔트층(18)과 기반층(10)의 사이에 매설된 상황이 계속된 경우이더라도 상태(내부식성, 내부식성 도전시트(14) 및 아스팔트층(18)의 부착성 등)가 변화하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층(16)의 두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두께이면 좋지만, 시공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층(16)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는, 예를 들면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S)계 수지, 클로로프렌(CR)계 수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S)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및 역청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물질의 혼합물로 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
도1에 나타내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예를 들면 띠모양 시트로 미리 가공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형태로 시공현장에 반입할 수 있다. 도2(a)는, 일례로서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감은 롤(roll)(22)을 나타낸다. 이러한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사용함으로써, 도로구조체(1)는, 기반층(10) 위에 제1접착층(12)을 부설하고, 그 위에 예를 들면 롤(22)으로부터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인출(引出)해서 깔고, 제1접착층(12)을 사이에 두고 기반층(10)과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접착시키며, 내부식성 도전시트(14) 위에 제2접착층(16)을 부설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층(18)을 깔고, 제2접착층(16)을 사이에 두고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아스팔트층(18)을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도로구조체(1)를 부설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도2(a)에서는 띠모양 시트를 롤(22)으로 감은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복수 개의 사각형 시트로서 준비해 두고, 이들의 사각형 시트를, 제1접착층(12) 위에 깔아 배열하여도 좋다.
[도로구조체(1a)의 구성]
도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도로구조체를 나타낸다.
도1(b)에 나타내는 도로구조체(1a)는, 기반층(10)과 제1접착층(12)의 사이에 방수층(26)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와 서로 다르다.
방수층(26)은,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반층(10)과 제1접착층(12)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로구조체(1a) 내로 들어온 수분이 기반층(1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방수층(26)은, 장기간에 걸쳐 아스팔트층(18)과 기반층(10)의 사이에 매설되어 있어도, 방수성능이 변화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층(26)은, 기반층(10) 및 제1접착층(12)과 접착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26)으로서, 도포막계 방수층, 시트계 방수층, 모르타르+시트계 방수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막계 방수층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합성고무계 방수층, 고인성FRC 재료(高靭性FRC 材料)와 수지계 재료의 조합, 아크릴 수지와 아스팔트계 접착층의 조합, 에폭시 수지와 아스팔트계 접착층의 조합, 아크릴산과 메타 아크릴산의 혼합 중합수지, 아크릴계 라디칼 경화성 액상수지와 아스팔트계 방수제의 조합, 폴리우레탄 수지와 우레탄계 접착제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의 조합, 우레탄계 방수층과 우레탄계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트계 방수층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흘림접착형 시트, 가열밀착 시트, 상온시공 자착형 시트, 상온시공 압착형 시트, 아스팔트의 사이에 섬유시트를 협지한 방수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르타르+시트계 방수층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시멘트계 모르타르 및 에멀션에 의하여 기반층을 보수한 후에 아스팔트계 방수시트를 실시한 방수층, 수지 모르타르의 사이에 섬유시트를 협지한 보강층과 시트계 방수와 아스팔트고무계 접착제의 조합에 의한 방수층, 수경성 시멘트 및 합성수지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연신형 재료에 부직포를 협지한 방수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장치(剝離裝置)]
도로구조체(1, 1a)에 있어서 아스팔트층(18)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는, 도로구조체(1, 1a)에 포함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할 수 있는 전자유도코일(電磁誘導coil)과, 전자유도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고주파전력 발생장치(高周波電力 發生裝置) 및 전원과, 가열되어 연화된 접착층에 쐐기형상의 선단부를 삽입해서 기반층(10)과 아스팔트층(18)을 분리할 수 있는 박리부재(剝離部材)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박리장치는, 저소음 및 저진동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무소음 및 무진동의 장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박리장치는, 아스팔트층을 박리하는 데에 필요한 정도까지 접착층이 연화되도록 도전시트를 가열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로 전자유도코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자주식(自走式)의 장치, 예를 들면 자주차량이 전자유도코일을 견인하는 방식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유도코일로부터의 자속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자속차폐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장치는, 노면의 상황에 따라 전자유도코일을 아스팔트층 상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마음대로 위치제어할 수 있는 전자유도코일 이동기구(電磁誘導coil 移動機構)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로구조체(1) 또는 (1a)에 있어서 아스팔트층(18)을 박리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반층(10)의 위에, 제1접착층(12), 내부식성 도전시트(14) 및 제2접착층(16)과, 아스팔트층(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아스팔트층(18)의 위에는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이 올라가 있다. 이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의 전진방향(20)이 아스팔트층(18)의 박리방향이다. 또한 도3에 있어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1접착층(12), 내부식성 도전시트(14) 및 제2접착층(16)의 두께는, 실제보다 두껍게 도면에 나타나 있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도로구조체(1)에 있어서 아스팔트층(18)을 박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지만, 도로구조체(1a)에 있어서도 동일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의 후방의 아스팔트층(18) 상면에는, 전자유도 코일유닛(42)이 실려 있다. 도4에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방법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코일유닛의 일례를 나타낸다. 코일유닛(42)은, 도4(b)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20)로 나타내는 방향을 진행방향(박리방향)으로 하면, 예를 들면 FRP제의 프레임 부재(44) 내의 후방에 3개의 전자유도코일(46)이 동일한 간격으로, 진행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인 가로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전방에는 2개의 전자유도코일(46)이, 후방의 전자유도코일(46)의 배치에 대하여 대략 코일의 반 정도의 거리를 비켜 놓여져, 가로방향으로 배열된다. 전자유도코일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이렇게 배열함으로써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균일하게 전자유도에 의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더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코일유닛(42)에 있어서의 전자유도코일(46)의 배치는, 도4에 나타내는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아스팔트층(18)을 포함하는 도로구조체(1)의 상태나,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형태에 따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는, 도4(b)에 있어서 진행방향(20)의 전방에 배열되는 2개의 전자유도코일(46)의 중심부분을 가로 지르는 횡단면도이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유도코일(46)은, 프레임 부재(44)에 고정되어, 전자유도코일(46)의 상면에는, 페라이트(ferrite)(48)가 전자유도코일(46)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놓여져 있다. 프레임 부재(44)의 연직방향의 중간층에는, 페라이트(48)와 거의 같은 두께의 판재(47)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4)의 천장부(44B)는, 떼어낼 수 있는 커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자유도코일(46)이 고온상태일 때, 프레임 부재(44)의 외부로의 방열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천장부(44B)를 떼어내면, 전자유도코일(46)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44)의 네 모서리부근에는, 차륜(4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유닛(42)은, 가로방향으로 복수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자유도코일(46)에 의한 가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자유도코일(46)의 하면을 가능한 한 아스팔트층(18)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코일(46)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의 짐받이에는, 전기케이블(58)로부터 전자유도코일(46)로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는 고주파전력 발생장치(56)와, 고주파전력 발생장치(56)의 전원이 되는 발전기(57)가 탑재되어 있다.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의 짐받이 후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주(59)가 고정되어 있고, 지주(59)과 코일유닛(42)이, 장치적재 견인트럭(50)과 일체화되거나 또는 일체로 접속된 치구 또는 견인와이어(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코일유닛(42)의 후방의 기반층(10) 상에는, 박리부재가 되는 리퍼(ripper)(70)가 아암(72)의 선단에 부착된 소선회형(小旋回型)의 백호(backhoe)(74)가 놓여 있다.
[박리방법]
다음에 도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로구조체(1)에 있어서의 아스팔트층(18) 박리방법의 시공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박리작업의 시작 시에는, 백호(74) 및 리퍼(70)를 기반층(10) 상에 배치되는 부분에 있어서 리퍼(70)가 발붙일 부분으로서 미리 기반층(10)을 노출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평판시트모양의 금속인 경우에는, 시공을 하기 쉬운 관점에서, 박리작업의 시작 전에, 도로구조체(1)의 아스팔트 포장체(18)에, 진행방향(20)과 대략 평행한 복수의 홈을 커팅 블레이드(cutting blade)(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등에 의하여 만들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개의 홈을 만들어 두는 경우에 아스팔트 포장체(18)는, 진행방향(2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레인(lane)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도로구조체(1)의 아스팔트 포장체(18)에, 진행방향(20)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커팅 블레이드 등에 의하여 만들어 두어도 좋다. 이렇게 홈을 만들어 두는 것에 의하여 아스팔트층(18)을 기반층(10) 위로부터 박리해서 꺼내는 것이 더 쉽게 된다.
다음에 아스팔트 포장체(18) 상의, 예를 들면 3개의 레인 중 가장 끝의 레인에 있어서의 박리위치에, 코일유닛(42)을 싣는다. 또 아스팔트 포장체(18)를 복수의 레인으로 분할하였을 경우에, 레인의 각각에 1대씩의 코일유닛(42)을 싣고, 전 레인에 있어서 동시에 아스팔트층(18)을 박리하여도 좋다. 코일유닛(42)의 전자유도코일(46)에 고주파전력 발생장치(56)로부터 전기케이블(58)을 통하여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면, 코일유닛(42) 하방에 위치하는 도로구조체(1)의 내부식성 도전시트(14)에 전자유도에 의한 와전류가 발생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자체의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발열하면, 내부식성 도전시트(14)와 접촉하는 제1접착층(12)이 연화된다.
계속하여 가열시작과 함께, 장치적재 견인트럭(50)을 전진하여 코일유닛(42)을 견인하여, 박리방향(20)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코일유닛(42)의 이동속도는, 코일유닛(42)의 가열능력이나 박리작업의 시공스피드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전방의 2개의 전자유도코일(46)이 후방의 전자유도코일(46)의 배치에 대하여, 대략 코일의 반 정도의 거리를 비켜 놓고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전체에 틈이 없게 와전류를 흘릴 수 있다.
다음에 연화된 제1접착층(12)에 리퍼(70)를 삽입함으로써, 기반층(10)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18)를 박리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리퍼(70)의 선단은, 기반층(10)과 제1접착층(12)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12)의 연화점이 제2접착층(16)의 연화점보다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도로구조체(1)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로구조체(1)를 구성하는 각 층의 안에서 제1접착층(12)이 가장 연화되고, 제1접착층(12)보다 상방의 층은 모두 견고하게 고착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박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제1접착층(12)의 부분에서 박리가 발생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 제2접착층(16) 및 아스팔트층(18)이 일체로 기반층(1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실제의 도로구조체에 있어서는, 제1접착층(12), 내부식성 도전시트(14) 및 제2접착층(16)의 두께는, 합하여 몇 mm ∼ 몇십 mm 정도인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퍼(70) 선단의 두께는 몇십 mm(예를 들면 약 30mm)이다. 따라서 리퍼(70)의 선단은, 제1접착층(12), 내부식성 도전시트(14) 및 제2접착층(16) 중에 어느 하나의 특정한 층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의 층 전체를 걸어서 들어 올릴 때에 가장 점착력이 낮아진 층으로부터 박리가 발생한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로서, 복수의 구멍 또는 퍼포레이션 등의 인장파단에 대한 약점이, 도전체층(142)이 벗겨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면 띠모양 시트의 경우에는 시트의 폭방향으로 직선모양으로 배열된 약점의 열을,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된 약점이 있는 시트가 사용된 경우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포함하는 층을 리퍼(70)로 박리해서 들어 올렸을 때에, 박리된 부분과 박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이 약점의 장소에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게 박리공정을 할 수 있다.
리퍼(70)에 의하여 기반층(10)으로부터 박리된, 제1접착층(12)으로부터 아스팔트층(18)까지의 층(24)(또는, 적어도 아스팔트층(18)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24))의 박리 후의 처리에 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아스팔트층(18)을 포함하는 박리를 끝낸 층(24)을, 진행방향(20)에 대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또는 미리 설치된 홈의 부분에서 절단된 후에, 리퍼(70)에 의하여 들어 올리고, 백호(74)의 아암(72)을 선회시켜서 도로구조체(1)의 옆에 두고 갈 수 있다. 옆에 두어진 박리를 끝낸 층(24)은, 뒤의 공정에서 반출 된다. 또는 아스팔트층(18)을 포함하는 박리층(24)을 그대로 기반층(10) 위에 남기면서, 박리장치를 진행방향(20)으로 연속적으로 진행시키고, 기반층(10) 위에 남은 박리층(24)을 나중에 제거하여도 좋다. 이 방법의 경우에는, 노출한 기반층(10)을 박리층(24)의 파쇄편(破碎片)으로 보호할 수 있다.
[부설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도로구조체(1)의 부설방법을 설명한다. 도로구조체(1)의 구성은 도1(a)에 나타나 있다.
우선,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하여 또는 미리 구축된 콘크리트 판 등을 부설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기반층(10)을 부설한다. 다음에 기반층(10)의 위에, 제1접착층(12)을 부설한다. 제1접착층(12)은, 예를 들면 적절한 용융온도(溶融溫度)까지 가열된 재료를 기반층(10) 위에 분사하거나 도포하거나 함으로써 부설된다. 제1접착층(12)은, 기반층(10)의 표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primer)를 겸하는 것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1접착층(12)을 부설하기 전에, 기반층(10)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별도로 도포하는 것도 있다.
도1(b)에 나타내는 도로구조체(1a)는, 제1접착층(12)을 부설하기 전에, 기반층(10) 위에 방수층(26)이 부설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방수층(26)은, 사용되는 방수층(26)의 재료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도포, 분사, 흘림접착, 가열용착, 상온점착 등이라는 일반적인 공법에 의하여 기반층(10) 위에 부설된다. 방수층(26)이 부설되면, 그 위에 상기와 같이 제1접착층(12)이 부설된다.
도로구조체(1) 및 (1a)의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1접착층(12)의 위에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부설된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띠모양 시트의 형태로 미리 가공한 내부식성 도전시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롤(22)으로서 준비되는 경우에는, 제1접착층(12)의 상방에 롤(22)을 설치하고, 롤(22)으로부터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인출하고, 인출한 시트(14)를 제1접착층(12) 위의 예정위치에 배치함과 아울러 부설예정구간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가는 것에 의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부설할 수 있다. 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가, 소정의 사이즈, 예를 들면 50cm∼180cm 정도 사방의 크기로 분할된 사각형 시트로서 준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사각형 시트(14)를 제1접착층(12) 위에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부설할 수 있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부설하는 경우에는,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인접하는 시트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단부 상호간을 포개서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인접하는 시트의 끝면 상호간을 확실하게 맞대서 부설하더라도 좋다. 단부 상호간을 포개서 부설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우선 내부식성 도전시트(14a)를 도2(b)의 상방에 나타내지는 위치, 즉 화살표(20)로 나타내지는 부설방향으로 부설한다. 계속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b)를, 그 진행방향 우측의 단부가 내부식성 도전시트(14a)의 좌측의 단부 위에 겹치고, 또한 그 선단부분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a)의 선단부분보다 진행방향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에 동일하게, 내부식성 도전시트(14c∼14f)를 부설한다.
계속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14g)를 동일하게 부설한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g)는, 그 진행방향 우측의 단부가 내부식성 도전시트(14a)의 우측의 단부와 일치하고, 그 후단부가 내부식성 도전시트(14a)의 선단부 위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내부식성 도전시트(14h)는, 그 우측 단부가 내부식성 도전시트(14g)의 좌측 단부에 겹치고, 후단부가 내부식성 도전시트(14b)의 선단부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 후에 동일하게, 내부식성 도전시트(14i∼14l)를 부설한다. 이와 같이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단부끼리 겹치도록 부설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방수층(26)이 부설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 도전시트(14)는, 단부 상호간을 포개는 것은 아니고, 맞대어서 부설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경사도로에 부설하는 경우에는,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 상방에 부설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경사면 하방의 단부 밑에, 경사면 하방으로 부설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경사면 상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내부식성 도전시트(14m∼14r)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면 하방으로 배치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상단부를, 경사면 상방에 배치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하단부의 아래에 배치하면서 내부식성 도전시트(14)를 부설함으로써, 경사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르는 물에 대한 방수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계속하여 이렇게 부설된 내부식성 도전시트(14)의 위에, 제2접착층(16)이 부설된다. 제2접착층(16)은, 예를 들면 적절한 용융온도까지 가열된 재료를 내부식성 도전시트(14) 위에 분사하거나 도포함으로써 부설된다. 최후에, 제2접착층(16)의 위에 아스팔트층(18)이 부설된다. 아스팔트층(18)은, 가열되어 연화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예를 들면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 등에 의하여 제2접착층(16) 위에 고르게 깔고, 전압기계(轉壓機械) 등에 의하여 전압(轉壓)함으로써 부설된다.
[실시예]
(1)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가열에 의한 아스팔트층의 상태확인시험
본 발명에 의한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사용한 시험체를 가열하여 아스팔트층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도5는, 시험에 사용한 시험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체에 있어서는, 기반층이 되는 콘크리트(300mm×300mm×60mm)의 상면에, 프라이머(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 석유수지 + 톨루엔) 0.2리터/m2을 도포하고 또한 그 상면에 가열 아스팔트(아스팔트 + 석유계 탄화수소 + 석유수지 +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1.2kg/m2을 도포하였다. 가열 아스팔트의 상면에 도전체층을, 그 상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시트를, 각각 부설하였다. 도전체층으로서, 내부식성 도전시트(도5에 있어서는 IH알루미늄으로 표기), 알루미늄시트(도5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으로 표기), FRP시트, 스테인레스시트의 4종류를 사용하였다. 아스팔트계 방수시트의 상방으로부터 지름이 28.5cm인 전자유도코일을 사용해서 시험체를 가열하여 아스팔트층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이하와 같다.
(a)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전자유도가열에 의하여 내부식성 도전시트가 60℃ 이상이 되면, 가열 아스팔트가 녹기 시작하였다. 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녹는 상태까지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부드러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b) 알루미늄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전자유도가열에 의하여 알루미늄시트가 60℃ 이상이 되면, 가열 아스팔트가 녹기 시작하였다. 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녹는 상태까지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부드러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 FRP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FRP시트가 가열되는 일이 없고, 가열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방수시트도 녹는 적이 없다.
(d) 스테인레스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전자유도가열에 의하여 스테인레스시트가 60도이상이 되면, 가열 아스팔트가 녹기 시작하였다. 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녹는 상태까지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부드러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단부를 포갰을 때의 가열시험
A4용지 사이즈(210mm×297mm)의 도전체층 2매를 준비하고, 이것들의 도전체층의 단부 상호간을 100mm 포개여 시험체를 작성하고, 지름 28.6cm의 전자유도코일을 사용해서 가열시험을 실시하였다. 도전체층으로서, 내부식성 도전시트, 알루미늄시트, FRP시트, 스테인레스시트의 4종류를 사용하였다. 이들 시트의 상세한 것은, 상기(1)에 있어서의 시험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시험의 결과는 이하와 같다.
(a)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시트 전체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었다.
(b) 알루미늄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시트 전체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없고, 포갠 단부가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발화되었다.
(c) FRP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시트가 가열되는 적이 없었다.
(d) 스테인레스시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는, 시트 전체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었다.
(3)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내부식성 시험 및 전기 비저항값의 측정
본 발명에 의한 내부식성 도전시트에 대해서, 내부식성 시험을 하고 부식의 발생상태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전기 비저항값의 측정 및 전자유도 가열성의 시험도 하였다. 표1에는, 실시예1∼실시예6 및 비교예1∼비교예2에 대해서, 시험체의 구성, 내부식성 시험에 사용한 약품종류를 나타낸다.
시험체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1 및 실시예2]
두께 80μm, 성분 Mn=1.76, Mg=0.85, Fe=0.06, Ti=0.02, 기타 각 0.01 이하(중량%), Al = 잔부인 알루미늄박(표1에서는 IH박으로 표시)의 양면에, 에폭시계 수지를 고형분 기준으로 편면당 3g/m2를 코팅한 적층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3 및 실시예4]
두께 80μm, 성분 Mn=1.76, Mg=0.85, Fe=0.06, Ti=0.02, 기타 각 0.01 이하(중량%), Al = 잔부인 알루미늄박(표1에서는 IH박으로 표시)의 양면에 실리카계 글라스를 고형분 기준으로 편면당 3g/m2를 코팅한 적층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5 및 실시예6]
두께 80μm의 스테인레스박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비교예1 및 비교예2]
두께 80μm, 합금번호 1N30의 알루미늄박(표1에서는 일반박으로 표시)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내부식성 시험은, 각 시험체(100mm×100mm)를 Ca(OH)2 0.17 WL%수용액(포화 수산화칼슘 용액)(표1에서는 약품종류 A로 표시) 또는 NaCl 3 wt%수용액(3% 식염수)(표1에서는 약품종류 B로 표시)에 침지시키고, 15일후에 표면상태를 눈으로 관찰하였다. 표1에 있어서 O표시는, 시험체에 변색도 부식도 없었던 것을 나타내고, X표시는, 시험체가 부식되고 관통구멍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전기 비저항값(μΩcm)은, 각 시험체에 대해서, 직류 4단자법에 의하여 실온(15℃)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IH성 시험은, 각 시험체에 사용한 금속박(두께는 80μm)을 시판되는 IH가열조리기(출력1400W)를 사용하여 실온으로부터 10초 이내로 90℃로 도달할 것인가 아닌가를 조사함으로써 실행하였다. 또한 적외선 카메라로 균일하게 가열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였다. 표1에 있어서 O표시는, 시험체의 온도가 10초 이내에 90℃에 도달함과 아울러 시험체가 거의 균일하게 가열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X표시는, 시험체의 온도가 오르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 1a 도로구조체
10 기반층
12 제1접착층
14 내부식성 도전시트
142 도전체층
144, 146 내부식성 피막
16 제2접착층
18 아스팔트층
22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롤

Claims (20)

  1. 전자유도(電磁誘導)에 의한 가열(加熱)에 의하여 아스팔트층(asphalt層)을 박리(剝離)시키도록 구성된 도로구조체(道路構造體)로서,
    비열가소성(非熱可塑性)의 전기 불량도체(電氣 不良導體)인 기반층(基盤層)과,
    상기 기반층의 상방(上方)에 배치된 아스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반층과 상기 아스팔트층의 사이에,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發熱)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耐腐蝕性 導電sheet)와,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상기 기반층을 접착하도록 기능을 하는 제1접착층(第1接着層)과,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와 상기 아스팔트층을 접착하도록 기능을 하는 제2접착층(第2接着層)을
    갖고,
    적어도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의 발열에 의하여 연화(軟化)되는 열가소성 접착층(熱可塑性 接着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는, 내부식성 피막(耐腐蝕性 被膜)을 갖는 금속층(金屬層), 내부식성의 금속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섬유층(纖維層), 내부식성의 섬유층, 내부식성 피막을 갖는 수지층(樹脂層), 내부식성의 수지층, 수지에 도전체(導電體)를 혼합한 것에 내부식성 피막을 실시한 층 또는 내부식성의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층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에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아연, 구리 및 티탄 그리고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은, 전기 비저항값이 6.0μΩ·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식성 피막은, 글라스계 피막, 불소계 피막, 아크릴계 피막, 스티렌계 피막, 폴리카보네이트계 피막, 폴리에스테르계 피막, 폴리우레탄계 피막, 에폭시계 피막, 테플론 피막, 주석도금, 아연도금, 아연합금 클래드, 산화피막, 인산처리 피막, 인산염처리 피막, 크롬산처리 피막, 크롬산염처리 피막, 불산처리 피막, 불산염처리 피막, 나트륨염처리 피막 또는 양극산화법, 졸겔법, 알콕시드법, CVD법 또는 PVD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오브(Nb), 티탄(Ti), 탄탈(Ta), 규소(Si) 또는 지르코늄(Zr) 금속의 부동태 산화물 피막(不動態 酸化物 被膜)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합성고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아크릴계 라디칼 경화성 액상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우레탄 수지 및 역청재료(瀝靑材料)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S)계 수지, 클로로프렌(Cr)계 수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S)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및 역청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의 연화점(軟化點)이 상기 제2접착층의 연화점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과 상기 기반층의 사이에 방수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체.
  10. 전자유도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아스팔트층을 박리시키도록 구성된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도로구조체의 기반층 위에 적층되는 제1접착층과, 아스팔트층 아래에에 적층되는 제2접착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유도에 의하여 발열하는 도전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의 양면에 내부식성 피막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은, 금속층, 섬유층, 수지층, 또는 수지에 도전체를 혼합한 층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에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아연, 구리 및 티탄 및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은, 전기 비저항값이 6.0μΩ·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식성 피막은, 글라스계 피막, 불소계 피막, 아크릴계 피막, 스티렌계 피막, 폴리카보네이트계 피막, 폴리에스테르계 피막, 폴리우레탄계 피막, 에폭시계 피막, 테플론 피막, 주석도금, 아연도금, 아연합금 클래드, 산화피막, 인산처리 피막, 인산염처리 피막, 크롬산처리 피막, 크롬산염처리 피막, 불산처리 피막, 불산염처리 피막, 나트륨염처리 피막 또는 양극산화법, 졸겔법, 알콕시드법, CVD법 또는 PVD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오브, 티탄, 탄탈, 규소 또는 지르코늄 금속의 부동태 산화물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도로구조체에 있어서 아스팔트층을 기반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도로구조체의 상기 아스팔트층측에서 상기 도로구조체의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로구조체의 제1접착층을 연화시키는 공정과,
    연화된 상기 제1접착층을 상기 기반층으로부터 박리시켜, 상기 기반층과 상기 아스팔트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구조체의 상기 아스팔트층측에서 상기 내부식성 도전시트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로구조체의 제2접착층을 연화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하는 공정은, 연화된 상기 제1접착층 및 상기 제2접착층 중에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다 위에 배치된 층과 상기 위치보다 아래에 배치된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합성고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아크릴계 라디칼 경화성 액상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우레탄 수지 및 역청재료(瀝靑材料)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은,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S)계 수지, 클로로프렌(Cr)계 수지,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S)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및 역청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의 연화점이 상기 제2접착층의 연화점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14810A 2015-11-04 2016-11-04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 KR20180079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6619 2015-11-04
JP2015216619A JP6208199B2 (ja) 2015-11-04 2015-11-04 道路構造体、該道路構造体に用いられる耐腐食性導電シート、及びアスファルト層剥離方法
PCT/JP2016/082775 WO2017078130A1 (ja) 2015-11-04 2016-11-04 道路構造体、該道路構造体に用いられる耐腐食性導電シート、及びアスファルト層剥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367A true KR20180079367A (ko) 2018-07-10

Family

ID=5866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10A KR20180079367A (ko) 2015-11-04 2016-11-04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94777B2 (ko)
EP (1) EP3378990B1 (ko)
JP (1) JP6208199B2 (ko)
KR (1) KR20180079367A (ko)
AU (1) AU2016350494A1 (ko)
CA (1) CA3003680A1 (ko)
TW (1) TW201730408A (ko)
WO (1) WO2017078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6914B2 (ja) * 2017-09-29 2021-11-17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構造物用シート
JP6655660B2 (ja) 2018-06-15 2020-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車翼保護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7112923B2 (ja) * 2018-09-21 2022-08-04 フジモリ産業株式会社 トンネル防水施工方法及びウォーターバリア並びに電磁誘導ヘッド
CN110983901B (zh) * 2019-11-19 2021-05-25 中铁四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试车场不规则波形路面的施工方法
CN112458818B (zh) * 2020-12-08 2022-03-08 长沙理工大学 高舒适性装配式水泥混凝土路面修复结构、施工方法及路面结构翻转装置
CN113515153B (zh) * 2021-07-23 2023-03-14 山东交通学院 就地热再生施工中加热功率和行驶速度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4022A (en) * 1984-05-23 1986-06-10 Mp Materials Corporation Paving method and pavement construction for concentrating microwave heating within pavement material
WO1988003303A1 (en) * 1986-10-31 1988-05-05 Gemmer Hans Juergen Process for the provision of induction loops on railway track surfaces, heat or humidity detecting layers and control tracks for unmanned vehicles
JPH07179828A (ja) 1993-12-24 1995-07-18 Nichiban Co Ltd 接着シート及び接着シートの剥離方法
JP2001143862A (ja) * 1999-11-17 2001-05-25 Tokyo Denshi Kk 誘電加熱装置
JP4647176B2 (ja) * 2001-09-21 2011-03-09 三井ホーム株式会社 シート材張着構造及びシート材張着方法
JP2007146459A (ja) * 2005-11-28 2007-06-14 Taisei Rotec Corp 橋面アスファルト舗装誘導加熱装置
EP1835692B1 (en) * 2006-03-13 2018-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ervice messages from clients to service applications
JP4330639B2 (ja) * 2006-03-29 2009-09-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方法、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システム、電磁誘導コイルユニット、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装置、及び剥離方法
JP5926563B2 (ja) 2012-01-11 2016-05-25 大林道路株式会社 ブロック舗装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08199B2 (ja) 2017-10-04
JP2017089120A (ja) 2017-05-25
EP3378990A4 (en) 2019-07-03
EP3378990B1 (en) 2020-09-09
CA3003680A1 (en) 2017-05-11
US10494777B2 (en) 2019-12-03
EP3378990A1 (en) 2018-09-26
TW201730408A (zh) 2017-09-01
WO2017078130A1 (ja) 2017-05-11
US20180282953A1 (en) 2018-10-04
AU2016350494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367A (ko) 도로구조체, 상기 도로구조체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도전시트 및 아스팔트층 박리방법
JP4330639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方法、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システム、電磁誘導コイルユニット、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装置、及び剥離方法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68714B1 (ko) 다층필름을 이용한 점접착식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2011106176A (ja) コンクリート床版上面の防水工法、防水構造および繊維プレート
JP2005091167A (ja) 亀裂検出テープ及び亀裂検出システム
JP2009185492A (ja) ひび割れを抑止した複合鋼床版
JP4975464B2 (ja) 鋼床版舗装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01743444A (zh) 加热设备
JP3058326B2 (ja) 舗装補強兼防水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舗装方法
WO2017116653A1 (en) Waterproof sheet for asphalt-paved road, waterp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terproof structure
CN105977170A (zh) 布线保护膜层的贴附方法及布线结构、显示面板
JP2016160676A (ja) 床版防水用シート、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及び床版防水構造
CN114525084A (zh) 一种双胎基预铺增强型防水卷材及其施工方法
JP2012031668A (ja) 路面用防護シート及び舗装方法
JPH0346879B2 (ko)
KR101590846B1 (ko) 배수로의 덧씌우기 보수방법
JP380801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電気防食併用補修・補強に用いられる電気絶縁補修・補強材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電気防食併用補修・補強方法
WO2012082901A2 (en) Structured interfaces in electrical feedthroughs
JP3185723U (ja) 道路橋の床版構造
JPH09224313A (ja) 電磁誘導ゴルフカートのための誘導ケーブル敷設方法
CN103894704A (zh) 一种高强度桥梁钢Q500qE厚板气保对接焊接方法
JPH11166202A (ja) 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用面状発熱体
JP2002180414A (ja) ヒーティングケーブルの敷設方法
Fontana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ncrete Overlay Installed in Pulaski, Virgi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