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64A -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64A
KR20180068064A KR1020160169648A KR20160169648A KR20180068064A KR 20180068064 A KR20180068064 A KR 20180068064A KR 1020160169648 A KR1020160169648 A KR 1020160169648A KR 20160169648 A KR20160169648 A KR 20160169648A KR 20180068064 A KR20180068064 A KR 2018006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valve seal
cooling system
press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851B1 (ko
Inventor
차용웅
윤중수
조완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51B1/ko
Priority to JP2017227173A priority patent/JP7062417B2/ja
Priority to US15/824,296 priority patent/US10619555B2/en
Priority to CN201711266052.3A priority patent/CN108223104B/zh
Priority to DE102017129045.1A priority patent/DE102017129045A1/de
Publication of KR2018006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14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38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Expansio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16K17/196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14Mounting
    • F01P2011/0228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14Mounting
    • F01P2011/0233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38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 F01P2011/0242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setting the pressur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성능의 저하없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은, 차량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각수가 저장되는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면에 공기 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연통구(11a)가 형성되는 리저버 주입구(11)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상단을 폐쇄하는 아우터캡(14)과, 상기 리저버 주입부(1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 주입부(1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압력밸브(15)와, 상기 압력밸브(15)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변형되면서, 상기 냉각시스템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씰(16)과, 상기 압력밸브(15)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력밸브(15)를 탄성지지하는 정압스프링(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PRESSURE CAP FOR COOLING SYSTEM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수가 저장되는 가압식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유동하면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에 장착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성능의 저하없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엔진의 작동을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라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과 상기 라디에이터를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시스템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냉각시스템에는 상기 냉각시스템의 압력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캡이 장착된다.
상기 압력캡(110)은 도 1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 또는 상기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리저버에 장착된다. 상기 압력캡(110)은 상기 라디에이터 또는 상기 리저버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내부의 압력이 해소되도록 하고, 그 반대로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보다 낮아지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적정수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캡(110)이 냉각수 리저버에 장착되는 예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리저버의 상단에 결합되는 리저버 주입구(111)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1)의 상부를 커버하는 아우터캡(112)과, 상기 리저버 주입구(111)의 내부에 장착되어 냉각수 또는 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정압밸브(113) 및 부압밸브(114)와, 상기 정압밸브(113)를 탄성지지하는 정압스프링(115)과, 상기 부압밸브(114)를 탄성지지하는 부압스프링(116)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시스템, 예컨대 냉각수 리저버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범위를 초과한다면, 상기 정압밸브(113)가 상승하면서, 내부에서 가압된 냉각수 또는 공기가 연통구(111a)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범위보다 낮다면, 상기 부압밸브(114)가 하강하면서, 상기 연통구(111a)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110)에 따르면, 상기 정압밸브(113)와 상기 부압밸브(114)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압스프링(115)과 상기 부압스프링(116)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정압밸브(113)와 상기 부압밸브(114)가 작동하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정압스프링(115)과 상기 부압스프링(116)의 탄성력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부압스프링(116)의 탄성력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용 나사식 체결캡'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 1996-019847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은, 차량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각수가 저장되는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면에 공기 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리저버 주입구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상단을 폐쇄하는 아우터캡과,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 주입부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압력밸브와, 상기 압력밸브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변형되면서, 상기 냉각시스템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씰과, 상기 압력밸브가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력밸브를 탄성지지하는 정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밸브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바디와, 상기 정압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씰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밸브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바디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바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압력밸브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은, 상기 압력밸브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는 밸브씰 몸체와, 상기 밸브씰 몸체에는 상기 밸브씰 몸체의 상부면와 하부면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가 밸브씰 몸체에는, 상기 압력밸브를 관통하도록 상기 밸브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밸브씰 헤드와, 상기 밸브씰 헤드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압력밸브의 일측면에 지지하고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공은 상기 밸브씰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은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높으면, 상기 압력밸브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리저버 주입부로부터 상기 연통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은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밸브씰 몸체가 상기 압력밸브의 저면과 이격되게 변형되면서 상기 연통구부터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 헤드는 상부의 직경이 상기 압력밸브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은 러버 또는 실리콘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씰의 밸브씰 몸체 내부에는 상기 밸브씰 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인서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 따르면, 부압스프링의 삭제됨으로써,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부품이 갖는 불량가능성을 낮춰,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품질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아울러, 압력조절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숫자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서 밸브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서 밸브씰을 도시한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A선에 따른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서 내부의 압력이 해소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서 내부의 압력이 보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10)은, 차량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각수가 저장되는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면에 공기 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연통구(11a)가 형성되는 리저버 주입구(11)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상단을 폐쇄하는 아우터캡(14)과,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 주입부(1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압력밸브(15)와, 상기 압력밸브(15)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변형되면서, 상기 냉각시스템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씰(16)과, 상기 압력밸브(15)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력밸브(15)를 탄성지지하는 정압스프링(17)을 포함한다.
리저버 주입구(11)는 냉각시스템에서 냉각수가 저장되는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냉각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리저버 주입구(11)를 통하여,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로 냉각수를 보충할 수 있고,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외부로 가압된 냉각수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가 되고,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으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냉각시스템이 적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리저버 주입구(1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갖고,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측방향으로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중앙부분과 연통되는 연통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구(11a)를 통하여 과압된 냉각수 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압력이 매우 낮다면, 상기 연통구(11a)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로 유입된다.
압력캡(10)의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압력캡(10)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한다. 한편, 상기 압력캡(10)을 상기 리저버 주입구(1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상단으로 통하여 냉각수를 주입시킨다.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상부바디(13)와 하부바디(12)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바디(13)와 상기 하부바디(14)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바디(12)는 냉각수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심부분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디(12)의 측면은 과압된 냉각수 또는 공기가 배출되거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측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통구(11a)와 연통된다.
압력밸브(15)는 상기 하부바디(12)의 내부 저면에 안착된다. 상기 압력밸브(15)는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적정범위 이내일 때에는 상기 하부바디(12)의 내부 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그 압력에 의해서 상기 하부바디(12)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해소되도록 한다.
상기 압력밸브(15)는 상기 상부바디(1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정압스프링(17)에 의해 상기 압력밸브(15)가 하강하는 방향, 즉 상기 압력밸브(15)가 상기 하부바디(12)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정압스프링(17)에 의해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정압스프링(17)의 탄성력보다 커지기 전까지는 상기 압력밸브(15)는 개방되지 않는다.
밸브씰(16)은 상기 압력밸브(15)의 저면과 상기 하부바디(12)으 내부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적정압력이면, 상기 압력밸브(15)와 상기 하부바디(12)를 서로 기밀되게 하고,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낮아지면 변형되면서, 기밀이 해제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정해진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씰(16)은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으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밸브씰(16)은 러버 또는 실리콘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밸브씰(16)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가 적정 압력, 즉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는 상기 압력밸브(15)와 상기 하부바디(12) 사이를 씰링한다. 또한,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밸브씰(16)은 디스크 형태의 밸브씰 몸체(16a)와, 상기 밸브씰(16)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16b)과, 상기 밸브씰 몸체(16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밸브씰 헤드(16c)와, 상기 밸브씰 헤드(16c)의 둘레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지지돌기(16d)를 포함한다.
밸브씰 몸체(16a)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밸브(15)의 저면과 상기 하부바디(1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밸브씰 몸체(16a)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압력밸브(15)과 상기 하부바디(12)를 씰링한다.
연통공(16b)은 상기 밸브씰 몸체(16a)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6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씰(16)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씰 헤드(16c)는 상기 밸브씰 몸체(16a)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밸브(15)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력밸브(15)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게 밸브씰 헤드(16c)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씰 헤드(16c)의 상부는 중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밸브씰(16)이 상기 압력밸브(15)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씰 헤드(16c)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밸브(15)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씰 헤드(16c)에서 상기 압력밸브(15)를 관통하는 부분은 상기 압력밸브(15)의 관통공의 내측면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을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도록 한다.
지지돌기(16d)는 상기 밸브씰 헤드(16c)의 둘레로부터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6d)는 상기 하단이 상기 압력밸브(15)의 상부면에 지지됨으로써, 기밀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돌기(16d)는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6d)는 인접한 다른 지지돌기(16d)와 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을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8, 19는 기밀을 위한 오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일 때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밸브(15)가 상기 하부바디(12)에 기밀되어 있어서,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내부와 외부가 씰링되어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적정압력을 유지한다.
도 4a는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높을 때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상기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정압스프링(17)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압력밸브(15)를 상승시킨다.
상기 압력밸브(15)가 상승되면, 상기 압력밸브(15)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11)의 하부, 상기 하부바디(12)의 하단, 상기 하부바디(12)의 측면과 상기 연통구(11a)로 서로 연통되어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한 냉각수 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해소되어 적정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b에는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밸브씰(16)의 중간부분이 아래로 오목하게 변형된다. 상기 밸브씰(16)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밸브(15)를 지지하고 있는 하부바디(12)의 지경이 상기 압력밸브(15)에 형성된 관통공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상기 하부바디(12)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로 오목하게 변형된다.
상기 밸브씰(16)이 아래로 오목하게 변형되면, 상기 압력밸브(15)의 저면과 상기 하부바디(12) 사이의 기밀이 해제된다. 상기 밸브씰(16)에 의한 기밀이 해제되면, 상기 연통구(11a)로부터 상기 하부바디(12)의 측면, 상기 압력밸브(15)의 관통공, 상기 밸브씰(16)의 연통공(16b) 및 상기 하부바디(12)의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적정 범위로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시스템용 압력캡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씰(16)의 내부에 경질의 인서트(16e)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밸브씰(16)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인서트(16e)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재질로 하여, 상기 밸브씰(16)에서 밸브씰 몸체(16a)의 중간부분에 인서트(16e)됨으로써, 상기 밸브씰(16)의 강도가 향상된다.
10 : 압력캡 11 : 리저버 주입구
11a : 연통구 12 : 하부바디
13 : 상부바디 14 : 아우터캡
15 : 압력밸브 16 : 밸브씰
17 : 정압스프링 18 : 오링
19 : 오링 110 : 압력캡
111 : 리저버 주입구 111a : 연통구
112 : 아우터캡 113 : 정압밸브
114 : 부압밸브 115 : 정압스프링
116 : 부압스프링

Claims (12)

  1. 차량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각수가 저장되는 리저버 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면에 공기 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리저버 주입구와,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상단을 폐쇄하는 아우터캡과,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 주입부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압력밸브와,
    상기 압력밸브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시스템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변형되면서, 상기 냉각시스템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씰과,
    상기 압력밸브가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력밸브를 탄성지지하는 정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밸브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바디와, 상기 정압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씰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밸브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바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압력밸브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은,
    상기 압력밸브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는 밸브씰 몸체와,
    상기 밸브씰 몸체에는 상기 밸브씰 몸체의 상부면와 하부면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가 밸브씰 몸체에는,
    상기 압력밸브를 관통하도록 상기 밸브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밸브씰 헤드와,
    상기 밸브씰 헤드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압력밸브의 일측면에 지지하고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상기 밸브씰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은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높으면, 상기 압력밸브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리저버 주입부로부터 상기 연통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은 상기 냉각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밸브씰 몸체가 상기 압력밸브의 저면과 이격되게 변형되면서 상기 연통구부터 상기 리저버 주입구의 내부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 헤드는 상부의 직경이 상기 압력밸브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은 러버 또는 실리콘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씰의 밸브씰 몸체 내부에는 상기 밸브씰 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인서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KR1020160169648A 2016-12-13 2016-12-13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KR10248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8A KR102484851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JP2017227173A JP7062417B2 (ja) 2016-12-13 2017-11-27 車両の冷却システム用圧力キャップ
US15/824,296 US10619555B2 (en) 2016-12-13 2017-11-28 Pressure cap for cooling system of vehicle
CN201711266052.3A CN108223104B (zh) 2016-12-13 2017-12-05 用于车辆冷却系统的压力盖
DE102017129045.1A DE102017129045A1 (de) 2016-12-13 2017-12-06 Druckverschluss für ein Kühlsystem eines 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8A KR102484851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4A true KR20180068064A (ko) 2018-06-21
KR102484851B1 KR102484851B1 (ko) 2023-01-05

Family

ID=6220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8A KR102484851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9555B2 (ko)
JP (1) JP7062417B2 (ko)
KR (1) KR102484851B1 (ko)
CN (1) CN108223104B (ko)
DE (1) DE102017129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08B1 (ko) * 2016-10-31 2018-04-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08517B1 (ko) * 2019-05-27 2020-05-07 잘만테크 주식회사 수냉식 전자부품 냉각장치용 압력 조절 시스템
CN110640047A (zh) * 2019-08-23 2020-01-03 南通福乐华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水箱螺纹加水口的生产工艺
KR20210076445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합 리저버
DE202020105036U1 (de) * 2020-09-01 2021-12-02 Neoperl Gmbh Rückschlagventil mit integriertem Überdruckventil
CN114352399B (zh) * 2021-12-01 2023-09-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蓄水瓶总成及汽车
CN114856795B (zh) * 2022-04-25 2023-06-27 浙江鑫凯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密封性好的汽车蓄水瓶压力盖
CN116625602B (zh) * 2023-07-20 2023-10-27 宁波市中博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盖气密自动检测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47B2 (ja) 1991-03-08 1996-02-28 ブラウ・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ファブリーク・フュア・クラフトファーツォイクタイレ 容器用、特に自動車ラジエータ用ねじ込キャップ
JP2000179340A (ja) * 1998-12-17 2000-06-27 Toyo Radiator Co Ltd ラジエ―タキャップ
JP2013185445A (ja) * 2012-03-06 2013-09-19 Nippa Corp 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2014199019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ニッパ 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2014199018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ニッパ ラジエータ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52087A1 (ru) * 1976-08-16 1980-07-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695 Двойной клапан
JPS59168358U (ja) * 1983-04-27 1984-11-1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キヤツプ
US4498599A (en) * 1983-08-15 1985-02-12 Avrea Walter C Closure and valving apparatus
JPH0240930U (ko) * 1988-09-12 1990-03-20
US5169015A (en) * 1992-02-20 1992-12-08 Stant Corporation Vehicle radiator cap with auxiliary vacuum seal
US5248052A (en) * 1992-07-31 1993-09-28 Mellinger Larry 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super-atmospheric pressure of an engine cooling system in response to turning off the engine and preventing the buildup of pressure while the engine is off
DE10034761A1 (de) * 2000-03-31 2002-01-31 Heinrich Reutter Verschlussdeckel
DE20201082U1 (de) * 2002-01-24 2003-06-05 Reutter Heinrich Verschlussdeckel für Kraftfahrzeugkühler
DE20211232U1 (de) * 2002-07-18 2003-11-20 Reutter Heinrich Verschlussdeckel
GB2474073A (en) * 2009-10-05 2011-04-06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Valve
US9639984B2 (en) 2013-06-03 2017-05-02 Daqri, Llc Data manipulation based on real world object manipulation
EP3140210A4 (en) * 2014-05-05 2018-01-10 Sundram Fasteners Limited Pressure-release sealing cap
JP6496565B2 (ja) 2014-11-26 2019-04-03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ラジエータ圧力制御用安全キャップ装置及びその圧力制御方法
KR101836695B1 (ko) * 2016-09-12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방압력 조정이 가능한 냉각시스템의 압력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47B2 (ja) 1991-03-08 1996-02-28 ブラウ・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ファブリーク・フュア・クラフトファーツォイクタイレ 容器用、特に自動車ラジエータ用ねじ込キャップ
JP2000179340A (ja) * 1998-12-17 2000-06-27 Toyo Radiator Co Ltd ラジエ―タキャップ
JP2013185445A (ja) * 2012-03-06 2013-09-19 Nippa Corp 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2014199019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ニッパ 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2014199018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ニッパ ラジエータ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3610A1 (en) 2018-06-14
CN108223104A (zh) 2018-06-29
JP2018096370A (ja) 2018-06-21
CN108223104B (zh) 2021-12-28
KR102484851B1 (ko) 2023-01-05
JP7062417B2 (ja) 2022-05-06
US10619555B2 (en) 2020-04-14
DE102017129045A1 (de)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064A (ko) 차량의 냉각시스템용 압력캡
JP2006266265A (ja) 逆向きに流通させる性能を備えた、低めの輪郭のオーバフィル制限装置
US8857468B2 (en) Expansion reservoir for a coolant circuit
CN112709849A (zh) 用于容器的压力平衡和/或紧急排气的阀和具有阀的容器
KR100480759B1 (ko) 다이어프램밸브
US20090178719A1 (en) Float valve device
ES2228395T3 (es) Dispositivo antivibratorio que incluye un fluido.
EP2620678A2 (en) Flow control device
KR101721471B1 (ko)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330989B1 (ko) 라디에이터 캡
WO2015170619A1 (ja) 弁装置
KR101341992B1 (ko) 이중압력 조절식 무부하 라디에이터 밸브
JP2006290085A (ja) フロートバルブのシール構造
KR101158737B1 (ko) 누출량 선형제어를 위한 미압조절밸브
JP2006318339A (ja) 減圧弁
KR20210042831A (ko)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US11845332B2 (en) Valve device
KR20100025398A (ko) 라디에이터 캡
KR20200089114A (ko) 라디에이터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CN114829761B (zh) 阀装置
KR20090079132A (ko) 라디에이터 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9804A (ko) 라디에이터 캡
US20150345650A1 (en) Safety valve
JP2020183734A (ja) 気液分離タンクのキャップ
JP4641955B2 (ja) ガスガバ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