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174A -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174A
KR20180063174A KR1020187011748A KR20187011748A KR20180063174A KR 20180063174 A KR20180063174 A KR 20180063174A KR 1020187011748 A KR1020187011748 A KR 1020187011748A KR 20187011748 A KR20187011748 A KR 20187011748A KR 20180063174 A KR20180063174 A KR 20180063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transparent layer
projection structure
haz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코 다치바나
유키히로 다오
겐타 세키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 G02B5/0858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a single metallic layer with one or more dielectric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시야각이 넓어, 투영된 영상의 시인성이 높은 영상 투영 구조체를 제공한다. 영상 투영 구조체(100)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1 투명층(21)과,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이 형성된 면에 형성된 반사막(30)과, 반사막 위에 형성된 제2 투명층(22)을 갖고, 가시광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 내지 95%이고,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이 0.1 이상 1 이하이고, 요철이 형성된 면의 ISO 25178로 규정되는 코어부의 레벨차 Sk가 0.1㎛ 이상이고,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이 1.2 이상 190 이하이다.

Description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본 발명은, 배경의 상도 시인 가능한 영상 투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사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스크린은, 영사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관찰자가 보았을 때 스크린의 반대측(배면측)의 상을 관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투과형의 스크린에서는 배면측으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자측(정면측)으로 투과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배면측으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투과형의 스크린은, 광을 투과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배면측의 모습을 관찰할 수는 없다.
배면의 상을 관찰 가능한 반사형의 스크린으로서, 투명 기재의 표면에 주기성이 있는 요철이 형성되고, 형성된 요철 위에 얇은 금속막이 성막되고, 또한 금속막 위에 요철을 매립하도록 투명한 재료가 충전된 구조의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특허문헌 2에, 요철을 갖고 두께가 균일한 중심층이 2개의 외층 사이에 끼워지고, 2개의 외층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중심층의 굴절률은 외층의 굴절률과 상이하게 형성된 층상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표 제2010-539525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제2014-50996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의 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표시시켜야 할 영상광의 표시나 배면측의 모습을 관찰할 때 영상의 밝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영상의 시인성은 높지 않다.
창의 활용으로서, 실내 등에 설치된 창에 영상 등을 투영하는 용도가 요구되고 있다. 즉, 영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을 때는, 투명한 창으로서 기능하여, 실내에서 밖의 경치를 볼 수 있고, 실내의 투영 장치가 영상을 투영하고 있을 때는, 창이 스크린으로서 기능하여, 비추어진 영상을 실내에 있어서 볼 수 있는 영상 투영창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어떻게 하면, 반사형의 스크린에 있어서, 영상의 시인성과 배경의 시인성의 양립이 도모될 것인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29 내지 도 32는, 영상 투영 구조체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29 내지 도 32에 있어서, 한사람의 관찰자(200)가 예시되어 있지만, 관찰자(200)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200)가, 투사기(110)로부터 투사된 광의 영상 투영 구조체(101)의 반사에 의한 정반사광의 위치에 존재할 때는, 투영면(화면)의 시인성이 높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투영 구조체(101)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광에 대해서는, 정반사광에 의한 상을 시인할 수 있는 관찰자(200)는 적다. 즉, 화면의 단부의 시인성은, 많은 관찰자(200)에 있어서 낮다. 또한, 통상 투사기(110)는 영상 투영 구조체(101)에 대하여 단부에 설치되므로, 화면이 커질수록 영상 투영 구조체(101)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반사 각도가 작아져서, 정반사광에 의한 상의 시인성이 낮아지는 관찰자(200)가 보다 많아진다.
또한, 투사기(110)가 단초점 프로젝터인 경우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기(110)의 설치 위치와 영상 투영 구조체(101) 사이의 거리가 짧으므로, 화면의 시인성이 낮아지는 관찰자(200)가 보다 많아진다.
상기와 같은 영상 투영 구조체(101)에 대한 관찰자(200)의 위치에 따라서 화면의 시인성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꾸어 말하면, 많은 관찰자(20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이상의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넓은 시야각의 영상 투영 구조체가 요망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층상 부재는, 배면측의 모습이 시인 가능하며 정면측으로부터의 광에 대하여 높은 확산 반사율을 나타내므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HUD 등의 용도에서는, 큰 시야각은 요구되지 않고,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시야각이 큰 층상 부재를 얻는 것에 관한 개시나 시사는 없다.
본 발명은, 시야각이 넓어, 투영된 영상의 시인성이 높은 영상 투영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투영 구조체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1 투명층과,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이 형성된 면에 형성된 반사막과, 반사막 위에 형성된 제2 투명층을 갖고, 가시광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 내지 95%이고,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이 0.1 이상 1 이하이고, 요철이 형성된 면의 ISO 25178로 규정되는 코어부의 레벨차 Sk가 0.1㎛ 이상이고,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이 1.2 이상 1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투영 방법은, 상기의 영상 투영 구조체에, 투영기로부터의 영상을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이 넓어, 투영면 전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형태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영상 투영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2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3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5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6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7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8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9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0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1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12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13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비교예 4의 제1 투명층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 및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과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5는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과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6은 코어부의 레벨차 Sk와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4 내지 10의 경우의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과,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 및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8은 제1 투명층의 표면 형상에 있어서의 요철의 변곡점의 개수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9는 영상 투영 구조체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0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1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2는 영상 투영 구조체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하의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요철 구조」란, 복수의 볼록부 및 또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을 의미한다.
「가시광 투과율」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한쪽 면으로부터 입사각 0°로 입사한 입사광에 대한, 반대의 면측으로 투과한 전체 투과광의 비율(백분율)을 의미한다. 즉, JIS K 7361:1997(ISO 13468-1:199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통상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다.
「헤이즈」란, 영상 투영 구조체의 한쪽 면으로부터 입사하고, 반대의 면으로 투과한 투과광 중, 전방 산란에 의해, 입사광으로부터 0.044rad(2.5°) 이상 벗어난 투과광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즉, JIS K7136:2000(ISO 14782:199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통상의 헤이즈이다.
「확산 반사율」은, 입사한 광에 대하여, 후방 방향으로 반사, 산란되는 광의 합계의 광량의 비를 백분율로 한 값이다. 확산 반사율은 영상 투영 구조체의 한쪽 면으로부터 입사각 0°로 입사한 입사광에 대한, 반대의 면측으로 반사한 정반사광으로부터 0.044rad(2.5°) 이상 벗어난 반사광의 비율(백분율)을 의미한다. 확산 반사율을 측정할 때는, 측정 대상의 면측과는 반대측 면측으로부터 영상 투영 구조체로 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반대측 면에 암막을 씌운다. 또한, 입사광의 직경과 동일 정도의 애퍼쳐를 측정 대상에 밀착시켜서 세트한다. JIS K5602에 기초하여 파장 300 내지 1280㎚에 있어서의 분광 확산 반사율을 측정하고, JIS R3106에 준거하여, JIS Z8720에 규정되는 CIE 표준의 광 D65에 대한, CIE 명순응의 비시감도에 의한 가시광 반사율을 구한다.
요철의 자기 상관 길이 Sal, 코어부의 레벨차 Sk, 커토시스(첨도) Sku, 돌출 산부 높이 Spk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5178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한 변이 130㎛인 사각형의 영역을 측정하고, 3차원 표면 조도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되었을 때의 값이다.
가시광 투과율, 헤이즈, 확산 반사율은, 광원으로서 ISO/CIE 10526(또는 JIS Z8720(2012))에 규정하는 CIE 표준의 D65 광원을 사용해서 실온에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이하, 바람직한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형상을 설명할 때 전술한 것 이외에도 ISO 25178로 규정되는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주된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3차원 표면 조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Sp, Sv, Sz, Sa, Sq, Sal은, 2차원 표면 조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Rp, Rv, Rz, Ra, Rq, RSm을 3차원으로 확장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는, 영상 투영 구조체의 일단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투영 구조체(100)는, 투명 기재(10)와, 투명 기재(10) 위에 형성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투명층(21)과,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이 형성된 면에 형성된 반사막(30)과, 반사막(30) 위에 형성된 제2 투명층(22)을 갖는다. 제2 투명층(22)은, 요철을 매립하도록, 반사막(30) 위에 형성되어 있다.
투명 기재(10)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투명 수지이다. 투명 기재(10)로서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다석회 유리,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화학 강화, 하드 코팅 등이 행해진 것이어도 된다. 투명 기재(10)로서 투명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10)는, 복굴절이 없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10)로서, 기재로서의 내구성이 유지되는 두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투명 기재(10)의 두께는,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투명층(21)은, 투명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는 광경화 수지, 열경화 수지,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등에 설치된 창에 영상 투영 구조체(100)가 형성되는 경우, 창으로서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투명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투명 수지의 옐로우 인덱스가 1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투명층(21)의 투과율은, 5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투명층(22)은, 투명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는, 제1 투명층(21)에 있어서의 투명 수지와 마찬가지의 것이어도 된다. 제2 투명층(22)은, 제1 투명층(2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투명층(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투명층(22)의 투과율은, 5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투명층(21)과 제2 투명층(22)에 있어서, 요철 부분 이외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이상 50㎛ 이하이다.
반사막(30)은, 금속막 혹은 유전체의 단층 혹은 다층막,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막(30)에 입사한 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다른 일부는 반사한다. 반사막(30)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막(30)은, 알루미늄(Al)이나 은(Ag)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반사막(30)은, 금속 박막 또는 산화물막, 금속 박막 및 산화물막의 순으로 적층된 다층막이다. 상기 산화물막은 금속 및 반도체의 산화물의 막을 의미한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1 내지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 내지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이면, 제1 투명층(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한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반사막으로서의 바람직한 기능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투명층(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작용을 설명한다.
평활한 면(투영면)에 입사하는 광은 거의 확산되지 않고, 정반사율이 커서, 정반사 각도로부터 어긋나면 반사광 강도는 급격하게 감쇠한다. 영상 투영 구조체(100) 내의 장소 및 관찰자의 위치 각도에 상관없이 반사광 강도를 강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반사층(30)이 형성되는 제1 투명층(21)의 요철 표면의, 투명 기재(10)의 표면에 대한 각도가 다양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 기재(10)의 표면과의 각도가, 매끄러운 사인 곡선과 같은 형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가 매끄럽게 변화되지 않아도, 요철을 구성하는 각각의 면의 기재(10)의 표면에 대한 각도가 360° 중의 다양한 각도로 되어 있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면의 각도의 집합이 실질적으로 360° 중의 모든 각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확산 반사광의 각도가 모든 각도를 포함한다. 단, 실제로는, 360° 중의 모든 각도는, 이산적인 각도(예를 들어, 2° 간격의 각도)이다.
그러나, 요철이 크다는 등의 이유로, 요철면에서의 다중 반사의 정도가 커지면, 헤이즈가 증대해서 반사광이 감쇠한다. 그 결과, 투영면에서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요철면은, 단순히 여러 각도를 나타내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중 반사가 억제되도록 제어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배면의 상을 관찰 가능한 반사형의 스크린으로서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에 요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은, 배경의 존재가 시인 가능한 5% 이상이고, 또한 투영 영상이 시인 가능한 95% 이하이다. 또한, 투과 배경의 시인성이 보다 높고, 또한 높은 영상 시인성을 얻기 위해서, 또한 더 높은 영상 시인성을 얻기 위해서, 가시광의 투과율은, 20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배경이 투과하는 창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고, 또한 더 높은 영상 시인성을 얻기 위해서, 가시광의 투과율은, 4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시광의 투과율은, 반사막(30)의 재료를 바꾸거나, 반사막(30)의 막 두께를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높은 영상 시인성을 얻기 위해서, 확산 반사율은 보다 높고, 동시에 헤이즈는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한 관점에서,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이하, 헤이즈/Rv라고도 기재한다)이 0.1 이상 1 이하이고,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배경과, 투영상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레벨차 Sk(이하, Sk라고도 기재한다)는, 0.1㎛ 이상이다. Sk는 요철 코어부의 레벨차를 나타내고, 기재 수직 방향의 진폭에 관계된 파라미터이다. Sk가 작을수록, 기재 수직 방향으로, 보다 미세한 요철인 것을 나타내고, Sk가 클수록, 진폭이 큰 거친 형상인 것을 나타낸다. 요철이 없는 평활면은, Sk가 무한소이고(0에 가깝고), 시야각은 좁아진다. 가시광의 파장이 0.38㎛ 내지 0.78㎛인 것을 고려하면, Sk는 0.1㎛ 이상이 필요해진다. Sk값이 커짐에 따라, 시야각이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Sk의 상한은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의 관계에서 정하면 되지만, 헤이즈가 너무 크지 않는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의 요철이 ISO 25178로 규정되는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이하, Sal이라고도 기재한다)을 Sk로 제산한 값(이하, Sal/Sk라고도 기재한다)은 1.2 이상 190 이하이다. Sal/Sk의 하한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Sal/Sk의 상한은 95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Sal/Sk의 범위로서는, 1.5 이상 19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상 9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 1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은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를 나타내고, 기재면 내 방향의 주기에 관계된 파라미터이다. Sal의 값이 작을수록, 기재면 내 방향으로, 보다 미세한 요철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이 때문에 다중 산란이 많아져서 헤이즈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Sal의 값이 클수록, 기재면 내 방향에 의해 장주기의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다중 산란은 감소하여 헤이즈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Sk는 거칠기(2차원) 파라미터의 플라토 구조 표면의 윤활성 평가 파라미터 Rk를 3차원으로 확장한 파라미터이고, 요철의 코어부의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차를 나타낸다.
Sal/Sk는, 요철 단면 형상의 애스펙트비에 관계된 값이며 상기 범위이면, 저헤이즈이면서 넓은 시야각으로 할 수 있다.
제1 투명층(21)의 표면 형상의 요철을 평가한 경우, 구체적으로는,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변곡점의 수를 계수한 경우, 10㎛당의 변곡점의 개수는, 0.1개 이상이고, 또한 28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1개 이상이고 20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헤이즈가 적당한 범위에 조절할 수 있어, 투영상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첨도 Sku(이하 Sku라고도 기재한다)는 거칠기(2차원) 파라미터의 거칠기 곡선의 첨도 Rku를 3차원으로 확장한 파라미터이고, 높이 분포의 뾰족함(예리함)을 나타낸다. Sku=3이면 표면 요철은 정규 분포를 나타내고, Sku<3이면 표면 요철의 높이 분포가 흐트러져 있는 형상이 되고, Sku>3이면 높이 분포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투명층(21)의 표면 요철은, 이들 요철이 복합된 형상이어도 된다.
Sku가 3.5 이하인 요철인 경우, 코어부의 레벨차 Sk가 0.1㎛ 이상이고, Sal/Sk는 1.2 이상 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19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저헤이즈이면서, 특히 시야각이 넓은 영상 투영 구조체로 하기 쉽다.
요철의 첨도 Sku가 3.5를 초과하고 있는 요철의 경우, 높이 분포는 정규 분포보다 뾰족하게 되어, 뾰족해진 요철 형상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Sku가 3.5를 초과하고 있는 요철인 경우, 코어부의 레벨차 Sk가 0.1㎛ 이상이고, Spk가 0.01㎛ 이상 3㎛ 이하이고, Sal/Sk는 3 이상 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저헤이즈이면서, 시야각이 넓은 영상 투영 구조체로 하기 쉽다.
돌출 산부 높이 Spk는 거칠기(2차원) 파라미터의 플라토 구조 표면의 윤활성 평가 파라미터 Rpk를 3차원으로 확장한 파라미터이고, 코어부 위에 있는 돌출 산부의 평균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거칠기(2차원) 파라미터의 플라토 구조 표면의 윤활성 평가 파라미터 Rvk를 3차원으로 확장한 파라미터인, 코어부 아래에 있는 돌출 골부의 평균 깊이의 지표 Svk와의 관계에 있어서, Spk, Sk 및 Svk의 합을 취하면, 요철 구조의 골부로부터 산부까지의 높이가 된다.
요철의 첨도 Sku가 3.5를 초과하고 있는 요철인 경우,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의 절댓값을 보다 저감하는 조건과, 더 낮은 헤이즈를 얻는 조건은, 트레이드오프의 경향을 나타낸다. Sal/Sk가 보다 큰 값의 경우, 즉 기판 수직 방향의 진폭에 관계된 파라미터인 Sk값에 대한, 기판면 내 방향의 주기에 관계된 파라미터인 Sal값의 비가 보다 큰 값의 경우, 헤이즈의 상승은 억제되지만,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의 절댓값은 보다 큰 값이 된다. Sk값에 대한 Sal값의 비가 보다 작은 값의 경우, 즉 기판면 내 방향의 주기에 대하여 기판 수직 방향의 진폭이 커짐에 따라,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의 절댓값은 보다 저감되고 시야각은 확대되지만, 헤이즈는 상승한다(도 27의 (A), (B), 도 24). 이 때문에, Sku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Sal/Sk는 3 이상 또한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저헤이즈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Sal/Sk비는 8 이상 또한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넓은 시야각을 중시하는 경우는 Sal/Sk비는 3 이상 또한 5 이하가 바람직하고,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의 양 특성을 중시하는 경우는 Sal/Sk비는 5 이상 또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ku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Sq, Sa의 증가와 함께, 램프 반사광 강도의 감쇠율의 절댓값이 감소하는 즉 시야각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지만, 헤이즈/Rv의 값은 상승하는 경향으로, 트레이드오프의 경향이 된다.
높이에 관한 산술 평균 Sa는, 0.1㎛ 이상이고,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보다 헤이즈를 낮고 또한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높이에 관한 제곱 평균 평방근 Sq는, 0.1㎛ 이상이고,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보다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Sq, Sa의 증가와 함께, 램프 반사광 강도의 감쇠율 절댓값이 감소하는 즉 시야각이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은, 시야각이 넓어지도록 개선하기 위해서, -20㏈(절댓값으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pk는, 돌출 산부의 높이, 즉 코어부 위에 있는 돌출 산부의 평균 높이이다. Sku가 3.5를 초과하는 뾰족해진 요철이 많은 표면 형상의 경우, Spk의 증가는 다중 산란의 증가를 초래하여, 헤이즈를 상승시킨다. 저헤이즈를 얻는 관점에서, Sku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Spk값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피크(정상) 높이 Sp값은 Spk값과 대략 상관이 인정된다고 생각된다.
Svk값은, 돌출 골부의 깊이, 즉 코어부 아래에 있는 돌출 골부의 평균 깊이이다.
돌출 산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 SMr1, 돌출 골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 SMr2, Spk, Sk, Svk의 관계를, 전체 측정점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확률 밀도에 관련된 부하 곡선(최정상부를 0%, 최골부를 100%로 한다)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체 측정점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확률 밀도에 관련된 부하 곡선에 있어서(최정상부를 0%, 최골부를 100%로 한다), 돌출 산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 SMr1은 돌출 산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이고, 돌출 골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 SMr2는 돌출 골부와 코어부를 분리하는 부하 면적률이다. 즉, SMr1의 값이 큰 것은, 돌출 산부의 비율이 많은 것, SMr2의 값이 큰 것은 돌출 골부의 비율이 적은 것을 나타낸다. Sku가 동일 정도의 값이 되는 형상이 비슷한 요철에 있어서는, Spk값과 SMr1값은 대략 마찬가지 거동(Spk 증가인 경우는 SMr1 증가)을 나타내고, Svk값과 SMr2 값은 역의 거동을 나타낸다(Svk 증가인 경우는 SMr2가 감소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40) 위에 제1 투명층(21), 반사막(30), 제2 투명층(22)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필름(40)측에 투명 기재(10)를 맞붙이고, 제2 투명층(22)측에 투명 기재(11)를 맞붙인 구조의 것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투명 기재(10) 위에 제1 투명층(21)을 직접 형성하지 않고, 투명 필름(40) 위에 제1 투명층(21), 반사막(30), 제2 투명층(22)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롤 투 롤 등의 저비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영상 투영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투명 필름(40)과 투명 기재(10)를 편의상 다른 것으로서 표시하고 있지만, 투명 필름(40)은 투명 기재(10)의 일 형태로서 취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필름(40)은 투명 기재(10)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소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층(21), 반사층(30) 및 제2 투명층(22)만으로 구성된 구조체이다. 투명 기재(10) 및 투명 기재(1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투명층(2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표면 형상이 하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예시되는 특성을 갖고, 제1 투명층(21), 반사층(30) 및 제2 투명층(22)으로 구성되어 영상 투영 구조체(100)가,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예시되는 광학 특성을 가질 때는, 시야각이 넓어, 투영면 전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투영 구조체의 구조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필름(40) 위에 제1 투명층(21), 반사막(30), 제2 투명층(22)이 형성되고, 제2 투명층(22) 위에 제2의 투명 필름(41)을 접합하고, 제1 투명 필름(40)측에 제1 투명 기재(10), 제2 투명 필름(41)측에 제2 투명 기재(11)가 접합한 구조의 것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제1 투명 필름(40), 제1 투명층(21), 반사막(30), 제2 투명층(22), 제2 투명 필름(41)으로 이루어지는 층상 부재는,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제2 투명층(22)을 광경화하기 전에 제2 투명 필름을 제2 투명층(22) 위에 접합하면, 제2 투명층(22)의 경화가 촉진되기 쉽다.
(영상 투영 구조체의 제조 방법)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90a)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 형(90)을 준비한다. 성형 형(90)은,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수지 필름이지만, 백색이나 흑색의 필름에서 표면이 무광택이 된 것, 광택이 있는 것, 이형 필름이어도 되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이어도 된다.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은, 접착 용이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 또는 필름은, 예를 들어 요철이 형성되는 재료의 표면이 절삭된 것, 건식 에칭, 습식 에칭, 샌드블라스트, 압출 성형에 의한 표면 성형이 이루어진 것, 미립자 등의 혼합 부재를 성형했을 때 발생하는 표면 구조가 이용된 것, 또는 자기 조직화 재료의 도포 등에 의해 요철을 형성한 것이다. 금형의 소재는, 예를 들어 Ni계 재료, 스테인리스, Cu계 재료, 석영, 유리 등이다. 형성된 요철의 표면에는, 이형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성형 형(90)의 요철면(90a)의 표면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에 있어서, 적절히 바람직한 성형 형(90)을 선택함으로써, 제1 투명층(21)의 표면 형상 Sal, Sk, Spk, Sa, Sal/Sk, Sq를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재(10)를 준비하고, 투명 기재(10) 위에 제1 투명층(21)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인 UV 경화성 수지(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다이 코트, 스핀 코트, 잉크젯 도포, 스프레이 코트 등으로 도포한다. 계속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10) 위에 도포되어 있는 UV 경화성 수지 위에 성형 형(90)을 적재한다. 성형 형(90)은, 성형 형(90)의 요철(90a)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UV 경화성 수지 위가 되도록 적재된다. 그 후, UV 경화성 수지에 200 내지 10000mJ의 UV광(자외광)을 조사함으로써 UV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서, 제1 투명층(21)을 형성한다. 또한, 제1 투명층(21)을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 위에 성형 형(90)을 적재한 후, 가열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킨다. 또한, 제1 투명층(21)을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해서 성형 형(90)을 적재한 후, 냉각해서 열가소성 수지를 고화시킨다.
이어서, 성형 형(90)을 제1 투명층(21)으로부터 떼어낸다. 그 결과, 제1 투명층(2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표면이 노출된다.
계속해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층(21)에 있어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반사막(30)을 형성한다. 반사막(30)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진공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일례로서 Al막을 성막함으로써 형성된다.
반사막(30)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반사율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반사막(30)은, 반사율이 색에 의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RGB 각각의 대표적인 광의 파장을 630㎚, 530㎚, 465㎚로 했을 때, 각각의 반사율의 Log(상용 대수)의 값의 비가, 0.5 내지 2의 범위 내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막(30) 위에 제2 투명층(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사막(30) 위에 제2 투명층(22)을 형성하기 위한 UV 경화성 수지(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한다. 그 후, UV 경화성 수지에 UV광(자외광)을 조사함으로써, UV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서, 제2 투명층(22)을 형성한다. 또한, 제2 투명층(22)을,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제1 투명층(21) 및 제2 투명층(22)에 있어서, 요철 부분 이외의 두께는, 0.5㎛ 이상이면 되지만, 롤 투 롤 프로세스로 제작할 것을 고려하면 5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의 Ra(산술 평균 조도)의 2배 이하이면, 수지의 양을 삭감해서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성형 시의 수축 변형 등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두께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투명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0.1㎜ 두께), 광경화 수지로서 UV 경화 수지의 오그솔(등록상표) EA-F5003(오사까 가스 케미컬(주)사 제조)을 사용했다.
요철면의 표면 형상(구체적으로는,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레이저 현미경 LEXT OLS4000)을 사용해서 계측하고, 컷오프값은 80㎛로 하였다.
또한, 제작된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광학 특성(가시광 투과율, 헤이즈, 가시광 반사율 등)을, D65 광원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제작된 영상 투영창의 반사 시야각의 넓이를 비교하는 방법으로서, 고휘도 광원(초고압 수은 램프 등)의 광을 영상 투영창에 조사하고, 검출 각도를 바꾸면서 분광 방사 휘도계(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 제조 CS-1000 등)를 사용해서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즉, 영상 투영창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동일 창에서 반사하여 후방 산란한 광 강도를, 검출 각도 5° 내지 70°까지 바꾸어 측정한다(영상 투영창의 법선 방향을 0°, 동일 창에 평행한 방향을 90°로 한다). 백색 교정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검출 각도를 바꾸어서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고, 각 검출 각도에 있어서, 백색 교정판에 의한 반사광 강도를 1로 한 경우의 영상 투영창에 의한 반사광 강도 상대값을 구하였다. 또한, 검출 각도 70° 및 5°에서의 반사광 강도 상대값으로부터 구한 감쇠율(10log10(검출 각도 70°에서의 반사광 강도 상대값/검출 각도 5°에서의 반사광 강도 상대값)을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 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영상 투영 구조체(100)로서, 실내 등에 설치된 창에 있어서 사용되는 구조체를 상정하고, 영상 투영 구조체(100)를, 영상 투영창으로 표현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는, 영상 투영창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위에 UV 경화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하고, 이 위에 성형 형(90)을 적재했다. 성형 형(90)은 요철(90a)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UV 경화 수지 위가 되도록 두고, 성형 형(90)의 측으로부터 1000mJ의 UV광을 조사해서 UV 경화 수지를 경화했다. 성형 형(90)을 박리하고, 요철면의 표면 형상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요철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Ag막을 12㎚ 제막했다. Ag막 위에 UV 경화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하고, UV 경화 수지의 측으로부터 1000mJ의 UV광을 조사해서 UV 경화 수지를 경화했다.
도 7은 실시예 1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7의 (A)에는,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이 나타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전사면을 제작 가능한 요철을 갖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2 및 표 3에는, 계측된 한 변이 130㎛ 사각형인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가 나타나 있다. 표 2에는, 측정된 광학 특성(가시광의 투과율, 헤이즈,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Rv))도 나타나 있다. 표 2에는,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도 나타나 있다.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 2에는, 2차원 단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10㎛당의 변곡점의 개수가 나타나 있다. 표 2에는, 10㎛당의 변곡점의 개수와 함께, 헤이즈 및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도 나타나 있다. 또한, 표 2 및 표 3에서는, 비교예 3의 경우를 제외하고, 소수점 이하 2자리째의 값은 반올림되어 있다.
또한, 표 2 및 표 3에는,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 및 광학 특성 등도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9.0%, 헤이즈는 5.0%였다. 또한, 제작된 영상 투영창의 반사 강도의 시야각을 조사하기 위해서, 영상 투영창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영상 투영창에서 반사하여 후방 산란한 광강도를, 검출 각도를 바꾸어서 측정했다. 영상 투영창의 법선 방향을 0°, 영상 투영창에 평행한 방향을 90°로 하고, 검출 각도 70° 및 5°에서의 반사 강도로부터 구한 감쇠율(10log10(검출 각도 70°에서의 반사 강도/검출 각도 5°에서의 반사 강도):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4.9㏈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0㏈에 가까운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2]
도 8은 실시예 2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2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전사면을 제작 가능한 요철을 갖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4.9%, 헤이즈는 6.1%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4.1㏈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0㏈에 가까운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의 부하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51.2%, 헤이즈는 1.7%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2.1㏈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0㏈에 가까운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비교예 1]
도 10은 비교예 1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교예 1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전사면을 제작 가능한 요철을 갖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2 및 표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 10의 (A), (B)에서 알 수 있듯이, Spk 및 Svk의 값이 크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5.5%, 헤이즈는 19.3%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10.2㏈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헤이즈가 크고,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얻지 못하였다.
[비교예 2]
도 11은 비교예 2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교예 2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전사면을 제작 가능한 요철을 갖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2 및 표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 11의 (A), (B)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Spk 및 Svk의 값이 크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0.5%, 헤이즈는 17.7%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4.3㏈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의 정도는 그다지 변함은 없지만, 헤이즈가 커서,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얻지 못하였다.
[비교예 3]
도 12는 비교예 3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2개의 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교예 3에서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전사면을 제작 가능한 요철을 갖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2 및 표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 12의 (A), (B)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 형상은 거의 평탄하지만, 커토시스(첨도) Sku의 값이 크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51.1%, 헤이즈는 2.8%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25.1㏈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헤이즈는 작지만,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이 커서,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얻지 못하였다.
[실시예 4]
도 13은 실시예 4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4에서는, 전사면이 도 13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 및 표 5에는, 계측된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가 나타나 있다. 표 4에는, 측정된 광학 특성(가시광의 투과율, 헤이즈,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 (Rv))도 나타나 있다. 표 4에는,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도 나타나 있다. 표 4에는, 10㎛당의 변곡점의 개수가 나타나 있다. 표 4에는, 변곡점의 개수와 함께, 헤이즈 및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도 나타나 있다.
또한, 표 4 및 표 5에는, 실시예 5 내지 10의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 및 광학 특성 등도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50.1%, 헤이즈는 5.0%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16.9㏈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크지 않은 값(0㏈에 가까운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비교적 넓은 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5]
도 14는 실시예 5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5에서는, 전사면이 도 14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8.6%, 헤이즈는 6.5%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15.5㏈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크지 않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비교적 넓은 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6]
도 15는 실시예 6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6에서는, 전사면이 도 15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7.5%, 헤이즈는 8.2%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14.0㏈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크지 않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비교적 넓은 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7]
도 16은 실시예 7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7에서는, 전사면이 도 16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5.9%, 헤이즈는 8.2%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9.6㏈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8]
도 17은 실시예 8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8에서는, 전사면이 도 17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4.9%, 헤이즈는 11.5%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8.0㏈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비교적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9]
도 18은 실시예 9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9에서는, 전사면이 도 18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39.7%, 헤이즈는 11.9%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6.0㏈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비교적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10]
도 19는 실시예 10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0에서는, 전사면이 도 19의 (A)에 나타나는 요철이 되는 성형 형(90)을 사용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65 광원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40.3%, 헤이즈는 13.0%였다.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은, -4.4㏈이었다.
즉, 헤이즈로서 비교적 작은 값이 얻어지고, 또한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로서 작은 값이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저헤이즈와 광시야각이 양립되어, 영상 투영창으로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실시예 1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위에 아크릴 미립자(평균 입자 직경3㎛)를 분산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표면에 요철(90a)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 형(90)을 제작했다. 이어서, 별도로 준비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위에, UV 경화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하고, 이 위에 성형 형(90)을 적재했다. 성형 형(90)은 요철(90a)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UV 경화 수지 위가 되도록 두고, 성형 형(90)의 측으로부터 1000mJ의 UV광을 조사해서 UV 경화 수지를 경화했다. 성형 형(90)을 박리하고, 요철면의 표면 형상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요철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Ag막을 12㎚ 제막했다. Ag막 위에 UV 경화 수지를 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하고, UV 경화 수지의 측으로부터 1000mJ의 UV광을 조사해서 UV 경화 수지를 경화했다.
도 20은 실시예 11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사용한 아크릴 미립자와는 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아크릴 미립자(평균 입자 직경 1㎛)를 분산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성형 형(90)을 제작했다.
도 21은, 실시예 12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사용한 아크릴 미립자와는 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아크릴 미립자(평균 입자 직경 0.8㎛)를 분산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성형 형(90)을 제작했다.
도 22는, 실시예 13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교예 4]
실시예 11에 사용한 아크릴 미립자와는 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아크릴 미립자(평균 입자 직경 5㎛)를 분산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성형 형(90)을 제작했다.
도 23은, 비교예 4의 영상 투영창의 일부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요철면의 3차원 형상 (A) 및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형상(2차원 단면 프로파일) (B) 및 부하 곡선 (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1 내지 13, 비교예 4에 있어서의, 표 4 및 표 5와 마찬가지의 3차원 표면 형상 파라미터 및 광학 특성 등이 표 6 및 표 7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또한, 배경이 투과하는 창으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얻기 위해서 헤이즈가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 1 내지 13의 영상 투영창의 헤이즈는, 모두 17% 이하로 되어 있다. 배경의 시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헤이즈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 1 내지 7의 영상 투영창의 헤이즈가 10% 이하로 되어 있다. 헤이즈가 7% 이하이면, 배경의 시인성을 또한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지만, 실시예 1 내지 5의 영상 투영창의 헤이즈가 7% 이하로 되어 있다.
표 2, 표 4 및 표 6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3의 영상 투영창의 가시광 투과율은, 모두,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 있다.
도 24에는,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해서, 시야각에 관계된 지표인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과, 헤이즈에 관계된 지표인 헤이즈/가시광 확산 반사율의 비가 플롯되어 있다. 양 특성이 트레이드오프가 되는 실시예 4 내지 13의 라인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3은 그 내측의 영역, 즉 램프 반사광 강도 감쇠율·헤이즈 모두 낮은 영역에 플롯되어, 이들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4는, 실시예 4 내지 13의 라인 외측 영역에 플롯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예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25는, 실시예 1, 2, 4 내지 10의 영상 투영창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표면 형상에 관한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과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6은, 코어부의 레벨차 Sk와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은, 0.1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0.08 및 1.06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표 2 참조),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이 바람직한 값은, 거의 0.1 이상 1.0 이하라고 할 수 있다.
배경의 시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은,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다(실시예 1 내지 7이 해당). 또한, 배경의 시인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은, 0.1 이상 0.3 이하가 바람직하다(실시예 1 내지 5가 해당).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값이 작은(절댓값으로)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24 및 도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에는, -18㏈보다 작다(절댓값으로).
또한,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을 착안하면,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시야각이 넓어지도록 개선하기 위해서, 그 값은, -20㏈ 이하(절댓값으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넓은 시야각을 얻기 위해서는,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은, -10㏈ 이하(절댓값으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실시예 1 내지 3, 7 내지 10이 해당). 또한 넓은 시야각을 얻기 위해서,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은, -5㏈ 이하(절댓값으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실시예 1 내지 3이 해당).
도 27은, 첨도 Sku가 4 이상인(표 4 참조) 실시예 4 내지 10의 경우의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Sal/Sk)과,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의 관계 (A) 및 램프 반사 강도 감쇠율의 관계 (B)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제1 투명층(21)의 표면 형상의 요철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면 분해능 0.12㎛ 및 높이 분해능 0.01㎛로 측정된 한 변이 130㎛ 사각형인 영역의 3차원 표면 형상 프로파일을,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1024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2차원 단면 프로파일(측정 길이 130㎛×1024개)에 있어서의, 변곡점의 수를 계수했다. 기재(10)의 표면과 직교하는 일단면에 있어서의 2차원 단면 프로파일(구체적으로는, 제1 투명층(21)의 법선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곡선)에 있어서의 변곡점의 수를 계수했다. 도 28은, 측정 길이 10㎛당의 변곡점의 개수와,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의 관계가 나타난 설명도이다.
도 28에 있어서, 변곡점의 수가 0.1개/10㎛ 이상, 28개/10㎛ 이하는 시인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3에 있어서의 2차원 표면 조도 파라미터가 표 8에 나타난다.
실시예 1 내지 13의 2차원 표면 조도 파라미터에 있어서,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는 Rsm은, 3차원 표면 조도 파라미터에 있어서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인 Sal과, 대략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표 2, 4, 6, 8 참조). 또한, Rq와 Sq 및 Ra와 Sa는, 각각, 대략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13에 있어서, Rku는, 대략 Sku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13에 있어서, RΔq는 거칠기 곡선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Sal/Sq와 대략 부의 상관이 보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3에 있어서, 헤이즈/Rv와 정의 상관이 있고, RΔq의 값이 작은 경우에, 헤이즈/Rv의 값이 작은 것이 얻어졌다.
Figure pct00008
또한 Rp, Rz, Rt, Ra, Rq에 대해서도, 헤이즈/Rv와 대략 정의 상관이 보여진다(실시예 2, 4 내지 13). 또한, Rp, Rz, Rt, Ra, Rq의 값이 클수록, 램프 반사광 강도의 감쇠율이 대략 작아지는, 즉 시야각이 넓어지는 경향이 보인다(실시예 1 내지 13).
이어서, 상기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의 영상 투영 구조체(100)의 용도를 설명한다.
건물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의 구조체의 사용 방법으로서, 이하의 용도를 들 수 있다.
·쇼케이스, 전시 케이스, 쇼룸, 도어·파티션·벽 등의 인테리어 등에 사용하여, 영상을 투영해서 전시품의 정보나 교육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시킨다
·건물 등의 외벽에 사용하여, 영상을 투영해서 CM 등의 각종 정보나 프로젝션 맵핑을 표시시킨다.
테이블톱, 케이싱 등에 있어서의 용도로서, 이하의 용도를 들 수 있다.
·테이블톱, 카운터, 책상(데스크톱), 키친 카운터, 자동 판매기의 창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의 배후에 다른 표시 장치를 배치하면, 깊이가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거나, 다른 움직임을 하는 영상을 겹쳐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있어서의 용도로서, 이하의 용도를 들 수 있다.
철도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석의 배면의 창 유리, 철도용측 창 유리, 광고 천장걸이
자동차 등에 있어서는,
·앞유리의 셰이드 부분, 자동차용 앞유리 자동차용 사이드 유리 자동차용 선바이저, 차내 파티션, 미터 주위
반사광의 확산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방현 유리, 방현 미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특수 용도로서, 신호기 커버 유리(여러 신호 표시의 통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전철 등에 있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투명 스크린의 양쪽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015년 9월 3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5-192576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0, 11 : 투명 기재
21 : 제1 투명층
22 : 제2 투명층
30 : 반사층
40 : 제1 투명 필름(투명 필름)
41 : 제2 투명 필름
90 : 성형 형
100 : 영상 투영 구조체
200 : 관찰자

Claims (10)

  1.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1 투명층과,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이 형성된 면에 형성된 반사막과,
    상기 반사막 위에 형성된 제2 투명층을 갖는 영상 투영 구조체이며,
    상기 영상 투영 구조체의 가시광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 내지 95%이고,
    헤이즈를 가시광의 확산 반사율로 제산한 값이 0.1 이상 1 이하이고,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의 ISO 25178로 규정되는 코어부의 레벨차 Sk가 0.1㎛ 이상이고,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이 1.2 이상 1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투영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형상을 나타내는 2차원 단면 프로파일에 있어서, 10㎛당 0.1 이상 28개 이하의 변곡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이 95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커토시스(첨도) Sku가 3.5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커토시스(첨도) Sku가 3.5보다 크고,
    돌출 산부 높이 Spk가 0.01㎛ 이상 3㎛ 이하이고,
    최단의 자기 상관 길이 Sal을 코어부의 레벨차 Sk로 제산한 값이 3 이상인, 영상 투영 구조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Sal/Sk가 12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산술 평균 Sa가 0.1㎛ 이상 20㎛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층에 있어서의 요철의 제곱 평균 평방근 Sq가 0.1㎛ 이상 10㎛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영상 투영 구조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의 법선 방향을 0°,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90°로 하고, 검출 각도 70° 및 5°에서의 반사 강도로부터 구한 감쇠율의 절댓값이 20㏈ 이하인, 영상 투영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상 투영 구조체에, 투영기로부터의 영상을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투영 방법.
KR1020187011748A 2015-09-30 2016-09-29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KR20180063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2576 2015-09-30
JPJP-P-2015-192576 2015-09-30
PCT/JP2016/078803 WO2017057564A1 (ja) 2015-09-30 2016-09-29 映像投影構造体および映像投影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174A true KR20180063174A (ko) 2018-06-11

Family

ID=5842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748A KR20180063174A (ko) 2015-09-30 2016-09-29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32329B2 (ko)
EP (1) EP3358404B1 (ko)
JP (1) JP6424966B2 (ko)
KR (1) KR20180063174A (ko)
CN (1) CN108139660B (ko)
WO (1) WO20170575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14A (ko) * 2019-07-23 2021-02-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WO2021054639A1 (ko) * 2019-09-19 2021-03-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3674B (zh) 2015-06-04 2021-07-2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聚合物薄膜及使用其之顯示器用光擴散薄膜
WO2018052044A1 (ja) * 2016-09-16 2018-03-22 ソマール株式会社 光学装置用遮光部材
CN106772720A (zh) * 2016-12-06 2017-05-31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视角限制片及其制造方法
DE112018002490T5 (de) * 2017-05-15 2020-02-2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Durchsichtiger Gegenst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durchsichtigen Gegenstands
FR3067476B1 (fr) * 2017-06-07 2019-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Ecran de projection de couleur foncee ou noir
CN209417512U (zh) * 2017-06-30 2019-09-20 Agc株式会社 反射型屏幕
JP6570581B2 (ja) 2017-07-13 2019-09-04 株式会社不二製作所 セラミックスの表面処理方法及びセラミックス成品
JP7293662B2 (ja) * 2018-01-25 2023-06-2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表示装置のカバー部材
JP7119417B2 (ja) * 2018-02-22 2022-08-17 Agc株式会社 透光性構造体
CN112219163B (zh) * 2018-05-25 2022-09-13 Agc株式会社 影像投影结构体及其制造方法、以及影像显示系统
CN108845478A (zh) * 2018-06-05 2018-11-20 张家港宝视特影视器材有限公司 投影幕布及其制备方法
TW202022278A (zh) * 2018-07-13 2020-06-16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投射裝置、投射系統、及附投射系統的建造物
JP6824939B2 (ja) * 2018-09-13 2021-02-03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EP3628758A1 (en) * 2018-09-27 2020-04-01 Apple Inc. Textured surface for titanium parts
CN111138090A (zh) * 2019-11-27 2020-05-12 深圳市裕展精密科技有限公司 玻璃制品,玻璃制品的制备方法及制备玻璃制品的设备
DE102021107593A1 (de) * 2020-03-30 2021-09-30 Schott Ag Blendfreie Glasartik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lendfreien Glasartikeln
EP4050062A1 (en) * 2021-02-25 2022-08-31 Covestro Deutschland AG Plastic articl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WO2023210621A1 (ja) * 2022-04-27 2023-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CN118318190A (zh) * 2022-04-27 2024-07-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图像显示面板以及图像显示装置
TWI827113B (zh) * 2022-06-28 2023-12-21 長春石油化學股份有限公司 聚合物膜及其應用
US12053956B2 (en) * 2022-06-28 2024-08-06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Polymer film and uses of the same
WO2024004707A1 (ja) * 2022-06-30 2024-01-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膜付き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343024B1 (ja) 2022-09-30 2023-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並びに、前記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表面板、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前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並びに、指紋拭き取り性の評価方法
JP7343023B1 (ja) 2022-09-30 2023-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並びに、前記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表面板、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前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CN118033795B (zh) * 2022-09-30 2024-09-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及使用所述光学膜的偏光板、表面板、图像显示面板和图像显示装置、所述光学膜的制造方法及选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525A (ja) 2007-09-10 2010-12-16 マイクロビジョン,インク. 透過性の特性を備えている、埋設された開口数拡大器
JP2014509963A (ja) 2011-01-31 2014-04-24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拡散反射を備えた透明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433B2 (en) * 2002-04-08 2007-07-17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diffusing sheet, optical element and image viewing display
CN1813204A (zh) * 2003-07-17 2006-08-02 日东电工株式会社 液晶投影系统
US7234817B2 (en) * 2003-07-17 2007-06-26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 crystal projection system
US8354162B2 (en) * 2007-03-29 2013-01-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layer, and anti-glare film
US7777960B2 (en) 2007-09-10 2010-08-17 Microvision, Inc. Wide field of view head-up display system
WO2010016369A1 (ja) * 2008-08-05 2010-02-1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513921B2 (ja) * 2008-12-09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ブラインド、ロールカーテン、ならびに障子
JP2010231080A (ja) * 2009-03-27 2010-10-14 Mitsui Chemicals Inc スクリーン
JP6036112B2 (ja) * 2012-09-28 2016-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4197163A (ja) * 2013-01-17 2014-10-16 株式会社ダイセル 半透明拡散型偏光積層体及びその用途
FR3012363B1 (fr) * 2013-10-30 2015-10-23 Saint Gobain Element en couches transparent
US9720155B2 (en) * 2014-05-02 2017-08-01 Sabic Global Technologies Multilayered articles with low optical retardation
JP6414212B2 (ja) * 2014-06-02 2018-10-31 Agc株式会社 映像投影構造体、映像投影構造体の製造方法、映像投影方法及び自動車用窓
CN106574990B (zh) * 2014-08-04 2019-07-05 Agc株式会社 透光性结构体、其制造方法及物品
JP6489816B2 (ja) * 2014-12-09 2019-03-27 アキレス株式会社 反射型プロジェクター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525A (ja) 2007-09-10 2010-12-16 マイクロビジョン,インク. 透過性の特性を備えている、埋設された開口数拡大器
JP2014509963A (ja) 2011-01-31 2014-04-24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拡散反射を備えた透明部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14A (ko) * 2019-07-23 2021-02-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WO2021015428A3 (ko) * 2019-07-23 2021-03-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US11597182B2 (en) 2019-07-23 2023-03-07 Skc Co., Ltd. Laminating film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including same
WO2021054639A1 (ko) * 2019-09-19 2021-03-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20210033741A (ko) * 2019-09-19 2021-03-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9660A (zh) 2018-06-08
US10732329B2 (en) 2020-08-04
CN108139660B (zh) 2020-09-11
JPWO2017057564A1 (ja) 2018-07-19
JP6424966B2 (ja) 2018-11-21
EP3358404A4 (en) 2019-04-10
EP3358404B1 (en) 2022-03-16
EP3358404A1 (en) 2018-08-08
US20180239066A1 (en) 2018-08-23
WO2017057564A1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3174A (ko) 영상 투영 구조체 및 영상 투영 방법
JP6575657B2 (ja) 映像投影構造体、映像投影構造体の製造方法、映像投影方法及び自動車用窓
JP6725029B2 (ja)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EP3151063B1 (en) Video projection structure, video projection method, and video projection window
JP6529728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6569673B2 (ja)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101918334B1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6959479B (zh) 一种光学膜
JP2017156452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US11774841B2 (en) Image projection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18109687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21177252A (ja) スクリーン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6988070B2 (ja) 映像表示装置
CN110856441B (zh) 具有漫反射的透明元件
JP6957891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09098635A (ja) 反射スクリーン
JP7036247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20134677A (ja) 反射スクリーン、光学部材、映像表示装置
JP2016033617A (ja) 反射防止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