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304A -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304A
KR20180061304A KR1020187012026A KR20187012026A KR20180061304A KR 20180061304 A KR20180061304 A KR 20180061304A KR 1020187012026 A KR1020187012026 A KR 1020187012026A KR 20187012026 A KR20187012026 A KR 20187012026A KR 20180061304 A KR20180061304 A KR 2018006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ance sound
extracted
elevator
imag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88B1 (ko
Inventor
마사유키 이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홀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승강장 조작 기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상당하는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에 따라서,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 피사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음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까지, 원활하고 확실하게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을 원하는 장소로 유도하는 시스템으로서,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는 휴대 장치로부터 입력한 안내 요구의 정보를 무선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안내 요구 정보에 대한 응답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휴대 장치 상에 응답 결과를 표시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점내 등에서, 시각 장애인을 적절한 장소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스템으로서, 사람이 보행하는 발밑 부분에 미약 전파 발신선을 매설하여, 미약 전파를 수신하는 지팡이를 가진 맹인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맹인이, 거리를 타인에게 의지하는 일 없이, 혼자서 자유롭게 희망하는 장소로 걸어갈 수 있어, 약자에게 다정한 도시 만들기를 목표로 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추가로 다른 시스템으로서,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고 있는 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제어 장치에 전달되어, 시각 장애인을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음파 등에 의해 유도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구부러진 도로가 있어도, 시각 장애인이 타인의 힘을 빌리는 일 없이, 자기 자신 단독으로 용이하게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도착할 수 있다.
일본 특개평 7-93669호 공보 일본 특개평 8-280733호 공보 일본 특개 2001-139238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현재, 배리어 프리의 관점에서, 시각 장애인이나 휠체어 이용자를,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까지,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 3은 신체 장애인이 특별한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제약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미약 전파 발신선을 매설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제약이 있다.
여기서, 시각 장애인 및 정상인을 원하는 장소까지 확실하게 안내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조작 기기로부터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24시간, 유도음을 같은 음량(특히, 큰 음량)으로 알리면, 소비 전력이나, 소음에 의한 건물 분위기에 대한 영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스케줄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야간 등, 사용 빈도가 낮다고 생각되는 시간대에서는, 알림을 멈추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알림을 멈춰 버렸을 경우에는, 신체 장애인이 그 시간대에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를 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또한, 현재, 승강장 조작 기기의 표시 디바이스는, 승강장 조작 기기를 조작한 것을 기점으로 점등과 소등이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승강장 조작 기기의 최종 조작으로부터 일정기간 경과하면 소등하고, 다시, 조작을 한 타이밍에서 점등한다.
이 때문에, 승강장 조작 기기가 소등 상태인 경우에는,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 기기의 근처에 와서 조작할 때까지, 그 승강장 조작 기기가 사용 가능한지 고장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량에 관해서는, 승강장 조작 기기의 사용자가 멀리서도 유도음의 발생 장소를 알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음량으로 유도음을 알릴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항상 큰 음량으로 유도음을 발생시키면, 승강장 조작 기기의 근처에 이용자가 도달한 후에도, 큰 음량이 계속되기 때문에, 승강장 조작 기기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까지,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홀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 기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상당하는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에 따라서,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 피사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음을 발생시키고,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홀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 기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으로서, 컨트롤러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상당하는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스텝과, 제1 스텝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제2 스텝과, 제1 스텝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3 스텝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홀 입구로부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이용자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유도음을 울리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까지,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외형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있지 않을 때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또한, 이용자가 멀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또한, 이용자가 근처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외형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고, 카메라(10), 컨트롤러(20),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 및 표시 디바이스(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10)는 엘리베이터 홀의 입구를 촬영한다. 컨트롤러(20)는,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의 이용자인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에 따라서,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의 알림 제어 및 표시 디바이스(40)의 점등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20)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 알림 온 오프 제어 회로(22), 표시 온 오프 제어 회로(23), 이동 피사체 사이즈 검지 회로(24), 음량 제어 회로(25), 및 알림 간격 제어 회로(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0)는, 이들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1) 이용자를 추출한 것에 따른 알림 제어 및 점등 제어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는,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이동하는 피사체를, 승강장 조작 기기(1)의 이용자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알림 온 오프 제어 회로(22)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에 의해서 이용자가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의 알림을 개시시키도록 알림 제어를 행한다. 또한, 표시 온 오프 제어 회로(23)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에 의해서 이용자가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표시 디바이스(40)를 점등시키도록 점등 제어를 행한다.
한편, 알림 온 오프 제어 회로(22)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에 의해서 이용자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의 알림을 중지시키도록 알림 제어를 행한다. 또한, 표시 온 오프 제어 회로(23)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에 의해서 이용자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디바이스(40)를 소등시키도록 점등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알림 온 오프 제어 회로(22)는, 알림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알림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갑자기 알림을 중지하는 대신에, 서서히 알림음을 줄여가서, 소음(消音)하도록 음량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2) 추출한 이용자의 사이즈에 따른 알림 음량의 제어
이동 피사체 사이즈 검지 회로(24)는, 이동 피사체 검지 회로(21)에 의해서 이용자가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그리고, 음량 제어 회로(25)는, 이동 피사체 사이즈 검지 회로(24)에 의해서 검출된 이용자의 사이즈에 따라서,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의 음량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음량 제어 회로(25)는, 이용자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소(小)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이용자가 멀리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을, 기준 음량보다도 큰 음량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먼 곳에 있어도, 유도음을 확실하게 알아들을 수 있다.
한편, 음량 제어 회로(25)는, 이용자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대(大)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용자가 근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을, 기준 음량보다도 작은 음량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조작 기기의 근처에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3) 추출한 이용자의 사이즈에 따른 알림 간격의 제어
알림 간격 제어 회로(26)는, 이동 피사체 사이즈 검지 회로(24)에 의해서 검출된 이용자의 사이즈에 따라서,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의 알림 간격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알림 간격 제어 회로(26)는, 이용자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소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이용자가 멀리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을, 기준 간격보다도 긴 알림 간격이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알림 간격 제어 회로(26)는, 이용자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대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용자가 근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로부터 발생시키는 유도음을, 기준 간격보다도 짧은 알림 간격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의 거리를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 1 ~ 제어 3을 실행한 상태에 대해서, 도 3a ~ 도 3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있지 않을 때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컨트롤러(20)는, 제어 1을 실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홀의 입구에 있어서,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0)는, 이용자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에 의한 알림을 중지시키고, 표시 디바이스(40)를 소등시킨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또한, 이용자가 멀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컨트롤러(20)는, 제어 1 ~ 제어 3을 실행함으로써, 멀리 있는 이용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로부터 먼 곳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유도음을 크고, 긴 간격으로 발생시키도록,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에 의한 알림 제어를 행한다. 도 3b에 있어서는, 긴 간격으로 알림하는 상태를 「폰-」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에 있어서, 이용자가 추출되고, 또한, 이용자가 근처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컨트롤러(20)는, 제어 1 ~ 제어 3을 실행함으로써, 근처에 있는 이용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의 근처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유도음을 작고, 짧은 간격으로 발생시키도록,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30)에 의한 알림 제어를 행한다. 도 3c에 있어서는, 긴 간격으로 알림하는 상태를 「폰」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1)는, 도 1의 구성에 의해, 제어 1 ~ 제어 3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효과 1)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는, 엘리베이터 홀 입구로부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의 이용자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유도음을 발생시키고, 이용자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유도음을 울리지 않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결과, 승강장 소음에 의한 건물 분위기에 대한 영향이나 다른 건물 이용자에게의 불쾌감, 및 쓸데없는 전력 소비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효과 2)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는, 이용자를 추출한 사이즈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 거리에 따라서, 최적인 음량과 간격으로 유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이용자는 승강장 조작 기기로부터 먼 장소에 있었을 경우에도 확실하게 유도음을 알아들을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유도음의 간격을 알아들음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의 거리를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는, 일반 이용자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이나 휠체어 이용자를, 승강장 조작 기기의 장소까지, 종래와 비교해서, 보다 원활하고,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온 오프 제어 회로(23)에 의한 표시 디바이스(40)의 점등/소등 제어는,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는, 점등/소등 제어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홀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 기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상당하는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도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했을 때에,
    추출한 상기 이동 피사체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대(大)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기준 음량보다도 작은 음량으로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고,
    추출한 상기 이동 피사체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소(小)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기준 음량보다도 큰 음량으로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했을 때에,
    추출한 상기 이동 피사체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대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기준 간격보다도 짧은 알림 간격으로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고,
    추출한 상기 이동 피사체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소사이즈 판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간격보다도 긴 알림 간격으로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점등/소등의 전환이 가능한 입력 조작 키를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를 점등시키고,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를 소등시키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5.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홀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 기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 기기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의 알림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으로서,
    상기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상당하는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제2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동 피사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유도음 알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유도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3 스텝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KR1020187012026A 2015-11-13 2015-11-13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KR102044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1950 WO2017081807A1 (ja) 2015-11-13 2015-11-13 エレベータ乗場操作機器、およびエレベータ乗場操作機器による利用者誘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304A true KR20180061304A (ko) 2018-06-07
KR102044488B1 KR102044488B1 (ko) 2019-11-13

Family

ID=5869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026A KR102044488B1 (ko) 2015-11-13 2015-11-13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24636B2 (ko)
KR (1) KR102044488B1 (ko)
CN (1) CN108349689B (ko)
DE (1) DE112015007118B4 (ko)
WO (1) WO2017081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4884A1 (de) * 2019-09-27 2021-04-0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Aufzugbedienterminal, Aufzuganlage mit Aufzugbedientermina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bedientermin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669A (ja) 1993-09-22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覚障害者用案内システム
JPH08280733A (ja) 1995-04-17 1996-10-29 Toshifumi Kadokawa 盲人誘導微弱電波発信システム
JP2001139238A (ja) 1999-11-18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への視覚障害者誘導装置
JP2012171762A (ja) * 2011-02-23 2012-09-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2B2 (ja) * 1978-11-28 1985-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3703601B2 (ja) * 1997-03-24 2005-10-05 池野通建株式会社 誘導システム
JPWO2006006204A1 (ja) * 2004-07-08 2008-04-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自動放送装置
JP4731154B2 (ja) * 2004-11-12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利用者誘導システム
JP2006347686A (ja) * 2005-06-15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8087949A (ja) * 2006-10-04 2008-04-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音声案内装置
WO2011114489A1 (ja) * 2010-03-18 2011-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2012116574A (ja) * 2010-11-29 2012-06-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車椅子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669A (ja) 1993-09-22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覚障害者用案内システム
JPH08280733A (ja) 1995-04-17 1996-10-29 Toshifumi Kadokawa 盲人誘導微弱電波発信システム
JP2001139238A (ja) 1999-11-18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への視覚障害者誘導装置
JP2012171762A (ja) * 2011-02-23 2012-09-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49689A (zh) 2018-07-31
CN108349689B (zh) 2020-04-21
DE112015007118T5 (de) 2018-08-02
WO2017081807A1 (ja) 2017-05-18
JP6324636B2 (ja) 2018-05-16
KR102044488B1 (ko) 2019-11-13
DE112015007118B4 (de) 2020-11-19
JPWO2017081807A1 (ja)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2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KR101481378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MX2011011121A (es) Metodo para manejo de personas en un edificio dependiendo de su ubicacion.
JP5844418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5023459A (ja) 投影システム
JP2017098180A (ja) 照明装置
JP555033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1448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200003303A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JP2004010303A (ja) エレベータの利用客検出装置
KR102044488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조작 기기에 의한 이용자 유도 방법
KR20090109436A (ko) 안경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안내시스템
KR102066065B1 (ko)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EP2562118A1 (en)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elevator
KR20110062844A (ko) 시각장애인용 건물 내 안내 지팡이
KR20150088056A (ko) 안내견용 하네스
KR101221975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KR2016002615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시설물 안내정보 제공 장치
KR20110080918A (ko) 소변위치 유도장치
KR10163216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길안내 시스템
JP2015117082A (ja) エレベータのアナウンス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アナウンス音量決定方法
JP2018197149A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方法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JP5869993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20105391A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