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841A -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841A
KR20180055841A KR1020187009531A KR20187009531A KR20180055841A KR 20180055841 A KR20180055841 A KR 20180055841A KR 1020187009531 A KR1020187009531 A KR 1020187009531A KR 20187009531 A KR20187009531 A KR 20187009531A KR 20180055841 A KR20180055841 A KR 20180055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dhesive layer
joint tap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 로젠탈
파멜라 엘. 할그루브
조셉 애드코크
로버트 네그리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5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4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separate application of adhesive ingredients to the different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2Water-activated adhesive, e.g. for gummed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E04F13/042Joint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C09J2201/28
    • C09J2201/36
    • C09J2201/606
    • C09J2201/61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water-activa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1/00Presence of cellulose
    • C09J2401/006Presence of cellulos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벽판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가 제공되며, 대향 면들을 갖는 베이스 기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면들 중 하나의 면에 도포되고, 제2 접착제 층은 상기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제2 접착제 층과 상이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착제는 물에 의해 활성화된다. 특정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접착제는 단일 접착제 층으로 사용된다. 사용시, 상기 조인트 테이프는 상기 제1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또는 코너 위에 위치되고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조인트 테이프가 제 위치에 놓인 후에 조인트 화합물이 상기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되고, 상기 조인트 테이프 내의 물이 상기 조인트 화합물을 활성화시켜 상기 벽판 패널과 확실한 결합을 형성하게 한다.

Description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본 발명은 벽판(wallboard)용 조인트 테이프(joint tap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에 테이프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고, 조인트 화합물(joint compound)이 상기 테이프에 도포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강화되는 상기 벽판 패널들과의 결합(bond)을 형성할 수 있는 접착제 백킹(adhesive backing)을 갖는 벽판용 조인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들은 설치 후에 조인트들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최종 벽들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통 조인트 화합물로 덮인다. 조인트 화합물은, 미리 혼합되어 표면에 즉시 도포될 수 있는 이미-혼합된 형태(ready-mixed form), 및 도포 전에 물과 혼합되어야 하는 분말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어느 경우이든 조인트 화합물은 초기에 조인트에 도포된 다음, 접착제 백킹이 없는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가 조인트 위에 배치된다. 이후 페이퍼 테이프는 페이퍼를 덮기 위해 다른 조인트 화합물 층으로 마무리된다. 따라서 2개의 조인트 화합물 층들 사이에 끼워진 페이퍼 테이프는, 조인트를 보강하여 구조물의 안정 또는 미세 이동 동안 조인트 화합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퍼 테이프에는 어떤 유형의 접착제도 갖지 않기 때문에 조인트 화합물이 테이프를 조인트에 고정시킨다. 도포 후, 조인트 화합물은 즉시 건조 또는 경화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조인트 테이프를 조인트 위에 적절히 위치시키려면 조인트 테이프를 조인트의 조인트 화합물에 가능한 한 빨리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인트 테이프를 조인트에 도포하는 데 충분히 숙련된 기술이 없다면 이 과정은 상당한 재료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를 마무리하는 또 다른 옵션은 접착제 백킹을 포함하는 유리 섬유로 직조된 조인트 테이프이다. 유리 섬유 조인트 테이프는 조인트 테이프의 일부가 인접한 벽판 패널들 각각의 일부 위로 연장되도록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위에 배치된다. 조인트 테이프가 벽판 패널들 상으로 가압되어 접착제가 벽판 패널들을 결합시켜 조인트 테이프를 패널들에 고정하게 한다. 조인트 테이프가 조인트 위에 고정된 후 하나 이상의 조인트 화합물 층이 조인트 테이프 위에 도포되어 테이프를 덮어서 조인트를 마무리한다. 유리 섬유 테이프는 올이 성긴 직조구조(open weave)를 갖기 때문에, 조인트 화합물의 층이 벽판 표면과 접촉하고 나서 건조될 때 이 벽판 표면과 결합하여 유리 섬유 메쉬(mesh)를 둘러싼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라 습도가 변하고 기초가 안정되면서 축조(framing)에 작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인해 유리 섬유 테이프를 덮는 조인트 화합물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유리 섬유 조인트 테이프 섬유들이 벽판 패널들에 대해 배향되어 있지 않아서 시간 경과에 따라 패널들이 변위하고 움직이는 것에 의해 발생된 힘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경우에 이러한 균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벽판 조인트들에 쉽고 확실히 도포되고 벽판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마무리된 벽판 조인트의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키는 벽판용 조인트 테이프가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실시예는 하나의 접착제 층에서 함께 혼합되거나 2개의 분리된 접착제 층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접착제를 갖는 베이스 기재(base substrate)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들은 상기 조인트 테이프가 초기에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또는 코너 위에 위치되고 유지되고 나서, 활성화 후 상기 벽판 패널들에 확실히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놀랍게도, 페이퍼가 다공성이고 흡수성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인해, 상기 테이프의 상부 표면에 도포된 이미-혼합된 조인트 화합물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테이프로 스며들어 상기 테이프의 바닥 면에 있는 물로-활성화되는 접착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조인트 화합물이 건조되면 상기 테이프가 상기 벽판 표면에 극히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벽판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가 제공되며, 대향 면들을 갖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 면들 중 하나의 면에 도포된 단일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층은 적어도 2개의 접착제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접착제 층은 처음에는 점착성이 있고, 이후 물에 의해 더 활성화되어 상기 조인트 테이프를 벽판에 보다 확실히 접착시키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벽판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가 제공되며, 대향 면들을 갖는 베이스 기재를 포함한다.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면들 중 하나의 면에 도포되고, 제2 접착제 층은 상기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층의 접착제는 상기 제2 층의 접착제와는 상이하다. 사용시, 상기 조인트 테이프는 상기 제1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또는 코너 위에 위치되고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조인트 테이프가 제 위치에 놓인 후에 조인트 화합물이 상기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되고, 상기 조인트 화합물의 물이 상기 조인트 테이프로 침투하여 상기 제2 접착제를 활성화시켜 상기 벽판 패널들과 확실한 결합을 형성하게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벽판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가 제공되며,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갖는 페이퍼 기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후방 면에 제1 접착제 층이 도포되고, 불연속인 제2 접착제 층이 상기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층의 접착제는 상기 제2 층의 접착제와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착제 층은 상기 벽판 패널들과 비교적 약한 결합을 형성하여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 또는 코너 위에 상기 조인트 테이프가 적절히 위치되고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된 상기 조인트 화합물의 물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벽판 패널들과 확실한 결합을 형성하게 한다.
도 1a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위에 고정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일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b는 조인트 테이프가 조인트 화합물에 의해 덮여 있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위에 고정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일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조인트 테이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질적으로 라인 3-3을 따라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취해진 도 2의 조인트 테이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접착제 층이 복수의 원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 접착제 층이 조인트 테이프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질적으로 라인 7-7을 따라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취해진 도 6의 조인트 테이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및
도 9는 실질적으로 라인 9-9를 따라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취해진 도 8의 조인트 테이프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는, 테이프를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위에 용이하게 도포하고 고정할 수 있고, 조인트 테이프 상에 조인트 화합물을 도포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는 벽판 패널들과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접착제 층들을 포함한다.
이제 도 1a, 도 1b 및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20)로 지시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실시예는 지정된 길이 및 폭을 갖는 세장형 스트립으로 형성된 목재 기반 또는 셀룰로오스 재료로 제조된 베이스 기재(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22)는 페이퍼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 테이프의 폭은 1.75 인치 내지 2.5 인치이고, 조인트 테이프의 두께는 0.007 인치 내지 0.012 인치이다. 조인트 테이프(20) 및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재(22)는 임의의 적합한 폭일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베이스 기재(22)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조인트들을 덮기 위해 다양한 길이 및 폭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는 합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베이스 기재(22)는 직포 또는 부직포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기재(22)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베이스 기재(22)에 사용되는 재료는 건조한 상태에서는 신장(stretching) 저항이 있어야 하고, 습윤 상태에서는 팽윤(swelling) 저항이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22)는, 미국 재료 테스트 학회 C474(ASTM C474)에 의해 물에 노출해서 테스트했을 때, 1.3% 미만의 교차 방향 퍼센트 연신율(elongation), 및 0.2% 미만의 길이 방향 퍼센트 연신율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22)는 제1 면 또는 전방 면(24), 및 대향하는 제2 면 또는 후방 면(26)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면과 제2 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재(22)의 제1 면(24)은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조인트 테이프(20)가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 또는 조인트들에 도포될 때 바깥쪽을 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봉투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와 유사한, 제1 습윤성 접착제 층(28), 즉 봉투 접착제가 베이스 기재(22)의 제2 면(26)에 직접 도포된다. 접착제는 뉴저지주 브리지워터(Bridgewater)에 소재하는 헨켈 어드히시브(Henkel Adhesives)사에 의해 제조된 아쿠언스(Aquence) 2018이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습윤성 접착제 층(28)은 베이스 기재(22)의 제2 면(26)의 전체 표면에 도포된다. 습윤성 접착제 층(28)은 표면의 일부 또는 일부들에 도포되거나 또는 베이스 기재(22)의 제2 면(26)의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용시, 기재에 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접착제에 직접 물을 도포하는 것으로부터, 또는 기재에 부착된 후에 조인트 테이프 상에 도포된 조인트 화합물 또는 유사한 마무리 코팅에 있는 물을 수용함으로써 접착제가 수분 또는 물을 수용할 때 습윤성 접착제 층(28)이 활성화된다.
습윤성 접착제 층(28)이 제조 과정 동안 베이스 기재(22)의 제2 면(26) 상에 코팅되거나 도포된 후에, 제2 접착제 층(30)이 특정 실시예에서 습윤성 접착제 층(28)에 도포된다. 제2 접착제 층(30)을 형성하는 제2 접착제는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소재하는 헨켈 어드히시브사에 의해 제조된 수성 아크릴계 압력 감응 접착제인 아쿠언스 840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접착제는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소재하는 헨켈 어드히시브사에 의해 제조된 테크노멜트(Technomelt) PS 9625일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 또는 접착제들의 조합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접착제 층(30)은 습윤성 접착제 층(28)의 전체 표면을 덮지 않는다. 대신에, 제2 접착제 층(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격된 원(32)과 같은 패턴으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면(26)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의 수평 라인(34)으로 제1 접착제 층(28) 상에 코팅되거나 도포된다. 제2 접착제 층(30)은 임의의 적절한 패턴 또는 패턴들로 제1 접착제 층(28)에 도포될 수 있고, 이 제2 접착제 층은 또한 제1 접착제 층(28)의 일부를 덮거나 또는 전체 제1 접착제 층(28)을 덮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제1 접착제 층(28) 및 제2 접착제 층(30)은, 제2 접착제 층이 제1 접착제 층에 비해 감소된 접착력을 갖는 한,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 또는 접착제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착제 층(28)은 제2 접착제 층(30)의 접착제와 벽판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결합보다 더 강한, 벽판 패널들과 더 강한 결합을 형성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사용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20)는 인접한 벽판 패널(38a, 38b)들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 또는 코너(36)(도 1a)에 도포되며, 여기서 조인트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각각 상으로 연장된다. 초기에, 제2 접착제 층(30)은 벽판 패널들과 비교적 약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벽판 패널(38a, 38b)들 상에 조인트 테이프(20)를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제2 접착제 층(30)과 벽판 패널(38a, 38b)들 사이의 더 약한 결합은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20)가 벽판 패널들 상에서 쉽게 제거되고 재 위치될 수 있게 하여 조인트 테이프를 짧은 시간에 조인트 또는 코너(36) 상에 올바르게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접착제 층(30)의 결합이 약한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20)는 테이프 자체에 강하게 들러붙지 않고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어서, 테이프를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이후 직업 현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인트 테이프(20)가 제2 접착제 층(30)을 사용하여 인접한 벽판 패널(38a, 38b)들에 고정된 후, 물이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되어 제1 접착제 층(28)을 적셔 활성화시키게 한다. 조인트 테이프(20)의 외부 표면에 물이 직접 도포될 수 있고, 이 물은 테이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며들어 제2 접착제 층(28)을 적시거나 또는 습윤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무리 과정 동안 조인트 화합물(40)(도 1b)이 조인트 테이프(20)의 전방 면(24) 상의 외부 표면에 도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인트 화합물(40) 내의 물은 조인트 테이프(20)를 적시거나 또는 습윤시켜, 물이 베이스 기재(22)로 스며들어 제1 접착제 층(28)을 적셔 활성화시키게 한다. 베이스 기재(22)는 바람직하게는 페이퍼가 물 또는 조인트 화합물에 의해 습윤될 때 팽윤하지 않고 벽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비-팽윤성 페이퍼로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기재(22)의 표면의 대다수는 벽판과 접촉을 유지하여 조인트 테이프와 벽판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제1 접착제 층(28)이 물에 의해 활성화된 후에, 조인트 화합물(40)이 건조 또는 경화됨에 따라 제1 접착제 층(28)과 그 인접한 벽판 패널(38a, 38b)들 사이의 결합이 강화된다. 따라서, 제2 접착제 층(30)의 더 약한 결합은 조인트 테이프(20)를 조인트 또는 코너(36) 위에 쉽고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이후 제1 접착제 층(28)은 조인트 테이프(20)를 벽판 패널(38a, 38b)들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제2 접착제 층(30)이 건조 또는 경화되기 전에 조인트 테이프(20)가 벽판 패널(38a, 38b)들 상의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는 조인트 테이프(20)가 벽판 패널들의 잘못된 위치에 있게 초래할 수도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재료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42)는 베이스 기재(48) 상의 제1 접착제 층(46)에 도포되어 조인트 테이프와 벽판 패널들 사이의 결합을 더 향상시키는 복수의 제2 접착제 층(4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조인트 테이프(20)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 접착제 층(46)은 제2 접착제 층(44)들 각각의 접착제와는 상이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제2 접착제 층(44)은 동일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착제 층(44)은 상이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 접착제 층(44)은, 접착제에 직접 도포되는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조인트 테이프를 벽판 패널들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조인트 화합물 내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다시 적셔질 수 있거나 습윤성인 접착제를 포함한다. 습윤성 접착제는 수분 및/또는 물과 접촉하는 것을 통해 활성화되는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테이프(20)와 유사하게, 제2 접착제 층(44)들 중 하나 이상은 제1 접착제 층(46)에 지정된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 패턴은 복수의 이격된 원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베이스 기재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패턴은 임의의 적합한 패턴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인트 테이프(50)가 (전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기재(52) 및 이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도포된 단일의 혼합된 접착제 층(54)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 층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2 접착제 층과 유사한 점착성 또는 들러붙는 성질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접착제 층과 유사한 물로-활성화되는 접착제의 조합을 갖도록 두 개의 상용성 접착제를 혼합함으로써 접착제 층(54)이 형성된다. 접착제 층(54)은 접착제가 1:1의 부피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 2종 이상의 상용성 접착제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혼합된 접착제 층(5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는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인접한 벽판 패널들의 조인트들 및 코너들에 조인트 테이프를 도포한 후에 조인트 테이프의 결합 강도 및 내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조인트 테이프(20)의 두 개의 상이한 샘플을 테스트하였다.
조인트 테이프의 제1 샘플은 영국, 블랙번(Blackburn)에 소재하는 그레이엄앤브라운(Graham and Brown)사에 의해 제조된 그레이엄앤브라운 GB3 페이퍼로 제조된 베이스 기재(22), 및 아쿠언스 8403 (압력 감응 접착제) 및 아쿠언스 2018 (습윤성 접착제)을 1:1의 비(부피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단일 접착제 층을 포함하였다. 조인트 테이프는 아쿠언스 8403 대 아쿠언스 2018의 비를 0.5:1 내지 6:1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비는 조인트 테이프 상의 접착제가 터치시 점착성이 있게 하고, 또한 수분이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된 후 벽판 패널들에 강하게 접착되게 한다. 나아가, 이들 비는 롤 형태로 있을 때, 조인트 테이프를 봉쇄하지 않는데, 즉 조인트 테이프를 전개하지 못할 만큼 조인트 테이프 페이퍼가 너무 강하게 들러붙지 않게 한다. 조인트 테이프를 벽판 패널들에 부착하기 전에 조인트 테이프 상의 접착제에 물을 도포함으로써 또는 (벽판 패널들에 부착된 후에) 조인트 테이프를 습윤 조인트 화합물로 덮음으로써 수분이 조인트 테이프에 도포될 수 있고, 이에 조인트 화합물 내의 물이 조인트 테이프로 스며들어 조인트 테이프 내의 접착제를 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3성분 아쿠언스 8403 대 1성분 아쿠언스 2018로 구성되고, 0.0010 내지 0.0015 인치(20g 내지 25g/1000 평방 인치)의 습윤 두께로 도포된다. 이 실시예에서, 건조할 때의 접착제의 두께는 젖었을 때의 접착제의 두께의 약 75%이다. 접착제는 접착제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임의의 적절한 비 및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조인트 테이프(20)의 제2 샘플은 조지아주, 알파레타(Alpharetta)에 소재하는 아흘스트롬 노쓰 어메리카사(Ahlstrom North America, LLC)에 의해 제조된 아흘스트롬 BR7199 페이퍼(비-팽윤화, 아마(flax) 섬유/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페이퍼)로 제조된 베이스 기재(22), 아쿠언스 2018을 포함하는 제1 접착제 층(28), 및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소재하는 헨켈 어드히시브사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hot melt) 적용된 압력 감응 접착제인 테크노멜트 9625를 포함하는 제2 접착제 층(30)을 포함하였다.
두 개의 조인트 테이프 샘플을 벽판 패널의 표면에 (수평이고 접착 면을 아래로 하고) 도포하고 약 1/8 인치(1/8")의 조인트 화합물로 덮었다. 이어서 샘플들을 15분 동안 방치하여 조인트 화합물로부터 수분이 조인트 테이프 샘플들로 스며들게 하여 이들 샘플 상의 제2 접착제 층을 활성화시켰다. 이후 4 인치(4")의 건식 벽 나이프를 사용하여 조인트 테이프 샘플들을 벽판 표면으로 가압했다. 다음으로, 각각의 조인트 테이프 샘플의 상부 표면을 볼 수 있는 지점까지 각각의 샘플의 표면으로부터 조인트 화합물의 두꺼운 층을 제거하였다.
조인트 화합물이 주위 조건 하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되거나 경화된 후, 테이프의 일단을 벽판 표면에 대해 90° 각도로 잡아 당겨서 박리 저항을 측정하는 스프링 게이지를 사용하여 각 벽판 표면으로부터 조인트 테이프 샘플을 박리시켰다. 제2 샘플은 1.5kg 내지 2.0kg의 박리력으로 일부 영역에서 건식 벽의 페이퍼 면을 찢을 만큼 강하게 접착된 아흘스트롬 페이퍼를 포함하였다. 그에 비해, 그레이엄앤브라운 페이퍼 및 접착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샘플은 2.0kg을 초과하는 박리력으로 벽판 표면으로부터 벗겨질 때 더 많은 퍼센트의 건식 벽 페이퍼 면을 찢는 훨씬 더 강한 결합을 가졌다. 이들 박리력 값은 통상의 페이퍼 테이프의 통상의 박리력(1.2kg 내지 1.5㎏)과 비교될 수 있다. 조인트 화합물에 조인트 테이프의 결합력이 1.2kg 내지 1.5kg의 박리력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면, 종래의 조인트 테이프 페이퍼가 박리되고 조인트 화합물에 페이퍼 섬유가 결합된 채 유지되어 결합이 우수한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샘플들은 모두 벽판 표면과 우수한 결합을 나타냈다. 그에 비해, 생고벵(Saint Gobain) 파바테이프 유리 섬유 건식 벽 테이프(FibaTape Fiberglass Drywall Tape)와 같은 기존의 유리 섬유 메쉬 건식 벽 테이프의 박리력은 0.8kg 내지 1.2kg이다.
나아가, 3 인치 x 8 인치의 벽판 패널(3/8 인치 두께)을 톱으로 절단하여 모듈을 준비하고, 벽판 패널들의 긴 치수들을 오프셋시켜 함께 합치는 것에 의해, 즉 4 인치만큼 벽판 패널들을 오버랩시키는 것에 의해 조인트를 생성하고서 전단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조인트 테이프를 벽판 패널들의 표면들에 직접 부착하고 나서, 0.025 인치의 총 두께로 조인트 화합물 층으로 덮었다. 제1 층을 건조시키고 나서, 0.040 인치의 두께로 조인트 화합물 층으로 덮었다. 준비된 샘플을 테스트 고정구에 장착하였는데 여기서 테스트 고정구 상의 막대(bar)들을 오프셋된 샘플의 자유 단부들에 놓았다. 테스트 고정구를 ATS 테스트 유닛 상에 장착하고 0.04 in/min의 속도로 20 파운드까지 예비 장력 단계로 압축했다. 이 테스트는 두 개의 벽판 패널을 조인트와 평행한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모드로 조인트를 놓는다. 기존의 유리 섬유 메쉬 테이프와 본 발명에서 청구된 조인트 테이프(습식 및 건식 도포)의 전단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는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15 파운드 미만의 결과는 샘플 조인트가 너무 약해서 샘플 고정구에 파손 없이 장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인트 테이프 유형 전단 강도 (lbs)
도포된 아쿠언스 8403 (PSA)만을 갖는 GB3 페이퍼 테이프 15 미만
기존의 유리 섬유 메쉬 테이프 40
본 발명에서 청구된 조인트 테이프 (건조 도포) 48
본 발명에서 청구된 조인트 테이프 (습식 도포) 62
조인트 화합물의 층들 사이에 정규 페이퍼 조인트 테이프 95
이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청구된 조인트 테이프는 두 가지 방식으로, 즉 (1) 벽판 패널의 표면에 조인트 테이프를 도포하기 전에 조인트 테이프의 접착제에 물을 도포하는 "습식 도포 방식", 및 (2) 조인트 테이프를 압력 감응 접착제로 벽면 패널의 표면에 접착시킨 다음, 습식 조인트 화합물을 조인트 테이프의 상부에 도포하고 나서, 포화된 조인트 테이프를 건식 벽 나이프로 벽판 패널의 표면 상으로 또는 이 표면으로 강하게 가압하는 "건조 도포 방식"으로 벽판 패널에 접착되었다. 각 경우에 조인트 테이프가 습식 도포인지 또는 건식 도포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벽판 패널 상의 조인트 테이프의 전단 강도는 40 파운드에 비해 48 파운드 내지 62 파운드로 보다 기존의 유리 섬유 메쉬 조인트 테이프의 전단 강도를 초과하였다.
상기 테스트에서는, 조인트 테이프 샘플들과 벽판 표면들 사이에 조인트 화합물이 도포되지 않아서, 결합이 조인트 테이프 샘플들의 베이스 기재들 상에 있는 접착제 층에 완전히 기인한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사용시, 접착제 층(54)의 점착성이 벽판의 표면들 상에 조인트 테이프를 유지하여 조인트 테이프를 조인트 또는 코너에 적절히 위치할 수 있도록 조인트 테이프(50)는 인접한 벽판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 또는 코너에 도포된다. 이후, 적절한 조인트 화합물이 조인트 테이프(50)에 도포된다. 도포된 조인트 화합물 내의 수분 또는 물은 조인트 테이프(50)의 베이스 기재(5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며들거나 침투하여 접착제 층(54)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 층 내 물로-활성화되는 접착제를 활성화시킨다. 이것은 조인트 테이프(50)가 벽판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조인트 테이프를 벽판에 고정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조인트 화합물을 조인트 또는 코너에 도포하여 조인트 또는 코너를 마무리할 수 있게 한다.
접착제 백킹을 갖는 본 발명의 조인트 테이프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제시된 더 넓은 양태의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이 본 설명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벽판(wallboard)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joint tape)로서,
    대향 면들을 갖는 베이스 기재(base substrate);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면들 중 하나의 면에 도포된 단일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층은 적어도 2개의 접착제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 기재가 상기 벽판에서 제거 가능하고 재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판과 약한 결합을 형성하는 접착제, 및 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다른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인트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층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면들 중 하나의 면 전체에 도포되는, 조인트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셀룰로오스 재료를 포함하는, 조인트 테이프.
  5. 벽판에 도포되기 위한 조인트 테이프로서,
    대향 면들을 갖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기 면들 중 하나의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된 제2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제2 접착제 층과는 상이한, 조인트 테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베이스 기재가 상기 벽판에서 제거 가능하고 재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판과 약한 결합을 형성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인트 테이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층은 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인트 테이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층과 상기 벽판 사이에 형성된 결합은 상기 제2 접착제 층과 상기 벽판 사이에 형성된 결합보다 더 약한, 조인트 테이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층은 상기 제1 접착제 층의 일부에 도포되는, 조인트 테이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에 도포된 복수의 제2 접착제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착제 층 각각과는 상이한, 조인트 테이프.
KR1020187009531A 2015-09-21 2016-09-21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KR20180055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21282P 2015-09-21 2015-09-21
US62/221,282 2015-09-21
US15/270,123 US11066576B2 (en) 2015-09-21 2016-09-20 Drywall joint tape with dual purpose adhesive backing
US15/270,123 2016-09-20
PCT/US2016/052784 WO2017053364A1 (en) 2015-09-21 2016-09-21 Drywall joint tape with dual purpose adhesive b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841A true KR20180055841A (ko) 2018-05-25

Family

ID=5827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531A KR20180055841A (ko) 2015-09-21 2016-09-21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66576B2 (ko)
EP (1) EP3353255A1 (ko)
JP (2) JP2018532826A (ko)
KR (1) KR20180055841A (ko)
CN (1) CN108026414A (ko)
AU (1) AU2016326372B2 (ko)
BR (1) BR112018003506A2 (ko)
CA (1) CA2998662A1 (ko)
MX (1) MX2018002774A (ko)
MY (1) MY192518A (ko)
SG (1) SG10201913718PA (ko)
WO (1) WO2017053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408B2 (en) * 2013-10-02 2020-02-1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Drywall joint tape and method
CA3003461A1 (en) * 2015-11-13 2017-05-18 Badger Innovative Technologies, LLC Drywall tape,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3062171A1 (en) * 2017-05-03 2018-11-08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Mesh seam connection element
US10519349B2 (en) 2017-09-18 2019-12-31 Bemis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using an adhesive tape
CA3160444A1 (en) 2019-11-08 2021-05-14 Certainteed Gypsum, In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oint support
WO2021133912A1 (en) * 2019-12-27 2021-07-01 Certain Teed Gypsum, Inc. Corner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9797A (en) * 1928-03-05 1931-04-07 Mid States Gummed Paper Co Adhesive
JPS61284252A (ja) * 1985-06-12 1986-12-15 三協化学工業株式会社 透気性接着テ−プの製造法
JPS63186784A (ja) * 1987-01-20 1988-08-02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 ― コネチカット 水活性化高粘着性高はがし力接着剤
AU611162B2 (en) 1987-06-29 1991-06-06 H.B. Fuller Licensing And Financing Inc. Hot melt adhesive comprising an n-substituted polyalkyleneimine and acid functional component
JPH0960239A (ja) * 1995-08-23 1997-03-04 Daiken Trade & Ind Co Ltd 建築用外壁材の目地構造及び目地処理方法
US7141284B2 (en) 2002-03-20 2006-11-28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Canada, Ltd. Drywall tape and joint
US7132144B2 (en) 2003-02-28 2006-11-07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tapes
CA2427514A1 (en) * 2003-05-06 2004-11-01 Mark Joseph Newton Drywall tape and joint
US20060254170A1 (en) 2005-05-16 2006-11-16 Lee Goldman Wallboard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80128070A1 (en) 2005-05-16 2008-06-05 Dura-Tape International Fire-Resistant Drywall Tape, Method Of Using And Manufacture of the Same
US20100092725A1 (en) 2005-05-16 2010-04-15 Lee Goldman Wallboard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76824B2 (en) * 2006-12-12 2016-06-2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Nonwoven joint tape having low moisture expansion propertie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388582B1 (en) 2007-03-28 2016-07-12 Certainteed Gypsum And Ceiling Manufacturing, Inc Drywall corner trim material with adhesive
US8286681B2 (en) 2007-08-14 2012-10-16 Dura-Tape International Drywall tape applica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297098B2 (en) 2007-12-19 2016-03-29 Saint-Gobain Adfors Canada, Ltd. Foldable reinforcing web
US9377160B1 (en) 2008-09-02 2016-06-28 Certainteed Gypsum And Ceiling Manufacturing, Inc Drywall finishing material with twin-hinge construction
US9227373B2 (en) 2009-12-14 2016-01-05 Packsiz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manufacturer's joint and closing a box
US9163165B2 (en) * 2012-03-09 2015-10-20 Rohm And Haas Company Primerless removable adhesive systems
FR2991358B1 (fr) * 2012-06-04 2014-06-13 Saint Gobain Adfors Toile de verre autoadhesive et activable par l’eau
EP2937394B1 (en) 2012-12-18 2020-02-05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nformation-carrying sheet coat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31710A (ja) 2022-02-22
US11066576B2 (en) 2021-07-20
SG10201913718PA (en) 2020-03-30
CN108026414A (zh) 2018-05-11
US20170081562A1 (en) 2017-03-23
EP3353255A1 (en) 2018-08-01
AU2016326372A1 (en) 2018-05-10
MY192518A (en) 2022-08-25
AU2016326372B2 (en) 2020-12-24
WO2017053364A1 (en) 2017-03-30
JP2018532826A (ja) 2018-11-08
CA2998662A1 (en) 2017-03-30
BR112018003506A2 (pt) 2018-09-18
MX2018002774A (es)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841A (ko) 이중 목적의 접착제 백킹을 갖는 건식 벽용 조인트 테이프
JP6979549B1 (ja) 改良された性能を伴う断熱ボード
RU2439224C2 (ru) Нетканая лента для заделки швов, обладающая свойством низкого набухания при увлажнении,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TWI234600B (en) Adhesive-edge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ES2908402T3 (es) Composición adhesiva y uso de la misma para proporcionar sistemas de techado adheridos autoregenerables
US20080176469A1 (en) Drywall Tape and Drywall Joint
WO2009023170A2 (en) Structural laminates made with novel facing sheets
US20230109509A1 (en) Attachment configuration of and method for applying decorative laminates
JP2007516366A (ja) ドライウォールテープとジョイント
JP7076312B2 (ja) 型枠用テープ、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及びコンクリート製建築物の製造方法
US20040203307A1 (en) Wallcovering for use on irregular surfaces
US20190270915A1 (en) Double-sided self-adhesive vapor barrier
JPH1017831A (ja) 加圧接着型粘着剤層付き防音板
JPH01223261A (ja) 複合コルク板及びコルク板を使用する床施工法
JPH0825483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系多孔質樹脂材の接着方法
JP5395339B2 (ja) 表装材及び表面仕上げ方法
JPH077297Y2 (ja) 目地仕上げ用貼付材
JP2021123953A (ja) 内装仕上化粧板の施工方法
JPH07256851A (ja) 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JP3482430B2 (ja) ボード類の突き合わせ部分の施工方法、及び補強テープ
JP4804288B2 (ja) タイル貼り付け等に用いて有効な不織布
JP2022071268A (ja) 化粧板
JP2000282660A (ja) 化粧ボードの固定方法
JPH10219204A (ja) 加圧接着型両面粘着テープ
JPS6126684A (ja) 接着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