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446A -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446A
KR20180054446A KR1020170145642A KR20170145642A KR20180054446A KR 20180054446 A KR20180054446 A KR 20180054446A KR 1020170145642 A KR1020170145642 A KR 1020170145642A KR 20170145642 A KR20170145642 A KR 20170145642A KR 20180054446 A KR20180054446 A KR 20180054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me
display
image pick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823B1 (ko
Inventor
료스케 쇼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촬상부; 표시부; 및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의 처리(기능)로서, 촬상 처리와 촬상된 화상을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를,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알려져 있다. 반복 기록 처리는, "인터벌 촬영", "타임 랩스(time-lapse) 촬영" 등이라고 불린다. 반복 기록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이, 동화상의 1프레임으로서 기록된다.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은, "타입 랩스 동화상"등이라고 불린다.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하면, 예를 들면, 타입 랩스 동화상으로서, 구름, 풍경 등이 실시간보다 고속으로 변화되는 동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5-2918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2918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현재의 기록 처리로부터 다음의 기록 처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이하일 경우에, 다음의 기록 처리의 타이밍이 지연되지 않도록, 촬상 장치의 소비 전력을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감소 처리가 생략된다.
타입 랩스 동화상을 생성할 경우에 있어서, 반복 기록 기간(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은 길다. 그 때문에,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소비 전력이 작을수록 더 좋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2015-2918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재의 기록 처리로부터 다음의 기록 처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이하일 경우에 있어서 감소 처리가 생략된다. 이것은, 일본 특허공개 2015-2918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 촬상 장치의 소비 전력이 충분히 감소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기록 처리로부터 다음의 기록 처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이하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상기 감소 처리가 행해지면, 다음의 기록 처리의 타이밍이 원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지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소비 전력의 감소와, 원하는 타이밍에서의 기록 처리의 실행을 보다 적합하게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촬상부;
표시부; 및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의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소비 전력의 감소와, 원하는 타이밍에서의 기록 처리의 실행을, 보다 적합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 도이고,
도 3a 내지 3g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대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촬영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결되는 과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 및 5d는, 본 실시예의 효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처리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디지탈 카메라(100)의 외관도다. 도 1a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배면도다.
표시부(111)는, 촬상된 화상,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패널의 조합을, 표시부(111)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형의 표시 소자를 가지는 표시 패널을, 표시부(111)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 용어로, 유기EL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을, 표시부(111)로서 사용할 수 있다.
셔터 버튼(116), 모드 다이얼(117), 메뉴 버튼(124), 인포(Info)버튼(125), 및,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조작을 행하기 위해 유저가 사용하는 조작부다.
셔터 버튼(116)은, 셔터 버튼(116)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따라, 촬영의 준비를 위한 지시, 촬영의 실행을 위한 지시 등을 출력한다.
모드 다이얼(117)은, 모드 다이얼(117)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위한 지시를 출력한다. 동작 모드는,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기록 모드 등이다.
메뉴 버튼(124)은, 메뉴 버튼(124)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의 설정을 위한 지시를 출력한다. 인포 버튼(125)도, 인포 버튼(125)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의 설정을 위한 지시를 출력한다.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의 시작/종료를 위한 지시를 출력한다. 라이브 뷰 표시는, 라이브 화상을 표시부(111)가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처리다.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함으로써, 표시부(111)를 전자 뷰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동화상 촬영의 시작/종료를 위한 지시를 출력한다.
도 2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다.
배리어(103)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촬상계를 덮어, 촬상계의 오물과 파손을 방지한다. 촬상계는, 적어도 촬상 렌즈(104)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촬상계는, 촬상 렌즈(104), 셔터(105) 및 촬상부(106)를 구비한다. 촬상 렌즈(104)는,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5)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다.
촬상부(106)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소자등으로 구성된 촬상 소자(image sensor)다.
A/D변환기(107)는, 촬상부(106)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얻어진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처리부(102)는, A/D변환기(107)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 데이터, 메모리 제어부(10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등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소정의 화상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화소간에 보간 화소를 생성하는 보간처리, 화상을 축소 또는 확대하는 리사이즈 처리, 화상의 색을 변환하는 색 변환처리 등이 있다. 또한, 화상처리부(102)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결과(소정의 연산 처리의 결과)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화상처리부(102)로부터 출력된 그 연산 처리 결과에 근거해서 소정의 제어 처리를 행한다.
소정의 연산 처리로서, 예를 들면, 촬상부(106)에 대한 노광량을 산출하는 처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처리, 촬상 화상의 색조를 판단하는 처리 등이 있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이것들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루-더-렌즈(TTL)방식의 오토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사전 발광(EF)처리, TTL방식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등을 행한다. 이것들 제어 처리에서는, 렌즈(104)의 위치, 셔터(105)의 셔터 속도, 셔터(105)의 조리개, 촬상부(106)의 변환 특성, A/D변환기(107)의 변환 특성, 화상처리부(102)의 소정의 화상처리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등이 제어된다.
메모리 제어부(108)는, 메모리(109)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 메모리(109)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기록 매체(122)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 기록 매체(12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등을 행한다. 메모리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2)에 출력한다.
A/D변환기(107)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 데이터는, 화상처리부(102)와 메모리 제어부(108)를 통하여, 또는, 메모리 제어부(108)를 통하여, 메모리(109)에 기록된다. 메모리(109)는, 디지털 신호인 각종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촬상 화상 데이터, 표시부(111)에 표시된 그 밖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09)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 소정시간의 동화상, 소정시간의 음성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가진다. 또한, 메모리(109)는, 표시용 메모리(비디오 메모리)의 역할도 한다.
D/A변환기(110)는, 메모리(109)로부터, 메모리 제어부(108)를 통하여,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취득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111)에 공급한다. 그리고, 표시부(111)는, D/A변환기(110)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 표시부(111)는, 메모리(109)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표시한다.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촬상부(106)에 의해 소정의 촬상 레이트로 촬상되어, A/D변환기(107)가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한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109)에 기록된다. 그리고, D/A변환기(110)는, 메모리(109)로부터, 메모리 제어부(108)를 통하여, 촬상 화상의 디지털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취득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111)에 공급한다. 그리고, 표시부(111)는, D/A변환기(110)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화상(라이브 화상)을 표시한다. 이것들의 처리가 실시간으로 순차로 실행되는 것에 의해,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질 수 있다.
A/D변환기(107)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 데이터는, 화상처리부(102), 메모리 제어부(108) 및 기록 매체I/F(121)를 통하여, 또는, 메모리 제어부(108)와 기록 매체I/F(121)를 통하여, 기록 매체(122)에 기록된다. 기록 매체I/F(121)는, 기록 매체(122)(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를 디지탈 카메라(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122)로서,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14)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기억된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소거할 수 있는, 메모리다. 불휘발성 메모리(114)로서, 예를 들면,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14)에는, 시스템 제어부(101)의 동작용의 파라미터들, 시스템 제어부(101)의 동작용의 프로그램들 등이 기억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101)의 동작용의 프로그램들은, 후술하는 처리 플로우를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제어부(108)는,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기록 처리를 행하는 반복 기록 처리를 실행가능하다. 반복 기록 처리는, "인터벌 촬영", "타입 랩스 촬영" 등이라고 불린다. 반복 기록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1회의 촬상 단계에서 취득된 화상이, 동화상의 1프레임으로서 기록된다.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을 "타입 랩스 동화상"이라고 칭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14)는,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설정된 값)을 기록한다.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 값, 인터벌 시간의 설정 값, 및, 반복 기록 처리에서 행해진 기록 처리의 횟수의 설정 값이 있다. 더욱,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프레임마다 AE처리(제2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 값,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 표시부(111)의 소등(OFF)을 자동으로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 값 등이 있다. 설정 값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탈 카메라(100)의 상태, 디지탈 카메라(100)의 주위의 환경(촬상 환경) 등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정 값이 설정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그 설정 값이 설정된다.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은, 상기 복수의 설정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상기 복수의 설정 값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지 않아도 좋다. 이것은,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타입 랩스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의 설정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타입 랩스 동화상의 화상 해상도의 설정 값(기록 처리에 의해 기록된 촬상 화상의 화상 해상도의 설정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값으로서,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때의 기간의 길이(시간)의 설정 값, 표시부(111)을 자동으로 소등할 때까지의 시간의 설정 값, 자동노출 처리(AE처리)의 실행 빈도의 설정 값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제2처리는 상기 AE처리(노출 값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처리는, 노출 값 이외의 촬상 파라미터(포커스 값, 셔터 속도값, 조리개 값, ISO감도값 등)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처리이여도 좋거나, 복수의 촬상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처리이여도 좋다. 제2처리는, 현재까지 생성된 1개이상의 촬상 화상에 근거하는 처리이며, 다음 기록 처리의 대상인 촬상 화상의 생성에 관한 처리이여도 좋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각 기능부의 처리, 디지탈 카메라(100)의 각 기능부의 상태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메모리 제어부(108), D/A변환기(110), 표시부(111) 등을 제어하여서, 표시부(111)의 표시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불휘발성 메모리(114)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 함으로써,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113)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워크 메모리)이다. 시스템 메모리(113)로서, 예를 들면,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3)에는, 시스템 제어부(101)의 동작용의 파라미터(정수와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등이 전개된다.
시스템 타이머(112)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예를 들면, 반복 기록 처리를 위한 시간), 내장된 시계의 시간 등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메뉴 버튼(124)은, 메뉴 버튼(124)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의 설정을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인포 버튼(125)도, 인포 버튼(125)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의 설정을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모드 다이얼(117)은, 모드 다이얼(117)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모드 다이얼(117)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와 동화상 기록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바꾼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는, 예를 들면,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복수의 씬(촬상 환경)에 대응하는 복수의 씬 모드, 프로그램AE모드 및 커스텀 모드를 더 포함한다. 모드 다이얼(117)을 조작함으로써,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모드 다이얼(117)의 조작에 따라 그 정지 화상 기록 모드를 설정한 후, 다른 조작부를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된 상기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기록 모드에 복수의 동작 모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이제,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고, 또한,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지지 않고 있을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한 조작에 따라, 라이브 뷰 표시 시작 통지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라이브 뷰 표시 시작 통지에 따라, 라이브 뷰 표시를 시작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고, 또한,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라이브 뷰 표시 종료 통지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라이브 뷰 표시 종료 통지에 따라, 라이브 뷰 표시를 종료하는 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고, 또한, 동화상 촬영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동화상 촬영 시작 통지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동화상 촬영 시작 통지에 따라, 동화상 촬영을 시작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촬상 화상을 동화상의 일부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의 반복이 시작된다.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고, 또한, 동화상 촬영이 행해진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은,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동화상 촬영 종료 통지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동화상 촬영 종료 통지에 따라, 동화상 촬영을 종료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복이 종료되고, 이 반복 동안에 취득된 복수의 촬상 화상에 근거한 동화상이, 기록 매체(122)에 기록된다.
셔터 버튼(116)은, 셔터 버튼(116)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촬영의 준비를 위한 지시, 촬영의 실행을 위한 지시 등을,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셔터 버튼(116)은, 제1셔터 스위치(116a)와 제2셔터 스위치(116b)를 구비한다.
제1셔터 스위치(116a)는, 셔터 버튼(116)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제1의 조작에 따라,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촬영의 준비를 위한 지시)을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제1의 조작은, 셔터 버튼(116)을 반가압 하는 조작이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따라, 상기 AF처리, AE처리, AWB처리, EF처리 등을 행한다.
제2셔터 스위치(116b)는, 셔터 버튼(116)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제2의 조작에 따라,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촬영의 실행을 위한 지시)을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제2의 조작은, 셔터 버튼(116)의 상태를 완전가압 하는 조작이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따라, 촬영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다시 말해,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따라서 촬영이 행해진다.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따른 촬영은, 촬상된 화상을 정지 화상(정지 화상 파일)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이여도 좋거나, 촬상된 화상을 동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하는 처리이여도 좋다.
조작부(115)는 복수의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각 조작 부재는, 조작 부재을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른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11)에 표시된 각종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에 따라, 각 조작 부재에 기능이 할당되거나, 각 조작 부재에 할당된 기능이 변경된다. 조작 부재에 기능을 할당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조작 부재는, 그 할당된 기능을 갖는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으로서,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되돌림 버튼, 화상이송 버튼, 점프 버튼, 조리개 좁힘(narrowing) 버튼, 및 속성변경 버튼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124)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111)에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행한 조작에 따라, 셔터 속도값의 설정, 조리개 값의 설정, 및 노출 값의 설정의 각종 설정이 행해진다.
전원제어부(119)는, 필요한 전력(전압, 전류 등)을, 디지탈 카메라(100)의 각 기능부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제어부(119)는, 필요한 전력을 기록 매체(122)에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제어부(119)는, 전원검출 회로, DC-DC컨버터, 전력이 공급되는 기능부를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을 구비한다. 전원검출 회로는, 디지탈 카메라(100)에 대한 전원(120)의 장착의 유무, 디지탈 카메라(100)에 장착된 전원(120)의 종류, 디지탈 카메라(100)에 장착된 전원(120)인 배터리의 잔용량 등을 검출한다. 전원제어부(119)는, 검출 후, 시스템 제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컨버터를 제어 함에 의해, 필요한 기간에, 필요한 전압을, 기록 매체(122)를 포함하는 각 기능부에 공급한다.
디지탈 카메라(100)의 기능부와는 다른 기능부에 의해, 기록 매체(122)에 전력이 공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기억장치)(122)가, 자신의 전원을 구비하여도 좋다.
전원(120)은, 디지탈 카메라(100)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전원이다. 전원(120)으로서, 예를 들면, 일차전지, 이차전지 또는 AC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차전지는 알칼리 전지, 리튬 전지 등이고, 이차전지는 NiCd전지, NiMH전지, Li-ion전지 등이다.
전원 스위치(118)는, 전원 스위치(118)를 사용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100)의 상태의 전환을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탈 카메라(100)가 기동하지 않은 경우에, 전원 스위치(118)는, 전원 스위치(118)를 사용하여 행한 조작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100)의 기동을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디지탈 카메라(100)를 기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전력공급의 시작을 위한 지시를 전원제어부(1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19)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각 기능부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시작한다. 디지탈 카메라(100)가 기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118)는, 전원 스위치(118)를 사용하여 행한 조작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100)의 정지를 위한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디지탈 카메라(100)를 정지하는 처리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전력공급의 종료를 위한 지시를 전원제어부(1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19)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각 기능부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종료한다.
상술한 것 같이, 디지탈 카메라(100)는,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기록 처리를 행하는 반복 기록 처리를 실행가능하다. 도 3a 내지 3g를 참조하여,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3g는,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124), 조작부(115) 등으로부터 출력된 지시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01)가 메모리 제어부(108)의 처리를 제어 함에 의해, 도 3a 내지 3g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가 메뉴 버튼(124)을 누르면, 도 3a의 설정 화면(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도 3a의 설정 화면은, 1종류이상의 설정을 위한 항목(일반 항목)을 복수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AF처리의 방식을 설정하는 항목인 "AF방식", 반복 기록 처리를 설정하는 항목인 "타입 랩스 동화상(300)", 및 각종 촬상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항목인 "촬영 정보 표시 설정"이 포함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타입 랩스 동화상(300)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a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a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3b의 설정 화면은,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복수의 설정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입 랩스 촬영(301)", "촬영 간격(302)", "촬영 횟수(303)", "자동노출(304)", 및 "액정 표시 자동소등(305)"을 포함한다. 타입 랩스 촬영(301)은,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을 위한 항목이다. 촬영 간격(302)은, 인터벌 시간의 설정을 위한 항목이다. 촬영 횟수(303)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촬영(기록 처리)의 횟수의 설정을 위한 항목이다. 자동노출(304)은,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을 위한 항목이다. 액정 표시 자동소등(305)은,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을 위한 항목이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타입 랩스 촬영(301)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b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c의 설정 화면으로 변경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도 3c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306)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면, 이 조작에 따른 지시가 조작부(1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조작부(1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설정한다.
소정의 조건이 충족시켜졌을 경우에,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 되돌려진다. 예를 들면, 표시된 설정 화면에 상기 설정이 행해졌을 경우, 앞의 설정 화면에 표시를 되돌리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 되돌려진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촬영 간격(302)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b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d의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도 3d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307)에서 조작을 행하면, 해당 조작에 대응한 지시가 조작부(1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조작부(1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인터벌 시간을 설정한다. 인터벌 시간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초부터 99시간 59분 59초까지의 인터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촬영 횟수(303)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b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e의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도 3e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308)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면, 해당 조작에 대응한 지시가 조작부(1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조작부(1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촬영의 횟수(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의 횟수:반복 촬영 횟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반복 촬영 횟수의 촬영이 반복 기록 처리로 행해지면, 반복 기록 처리가 자동으로 종료한다. 반복 촬영 횟수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회부터 3600회까지의 반복 촬영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설정 화면(예를 들면, 도 3b의 설정 화면)에서는, 반복 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반복 촬영 시간)이, 촬영 시간 표시 영역(311)에 표시된다. 반복 촬영 시간은, 인터벌 시간의 설정 값과 반복 촬영 횟수의 설정 값에 따라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인터벌 시간을, 설정된 반복 촬영 횟수로부터 1을 감산하여서 구해진 수를 승산 함에 의해, 반복 촬영 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반복 촬영 시간은,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에 의해 산출된다. 설정 화면에 있어서, 인터벌 시간의 설정 값과 반복 촬영 횟수의 설정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갱신되면, 반복 촬영 시간의 표시도 갱신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자동노출(304)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b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f의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도 3f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309)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면, 해당 조작에 따른 지시가 조작부(1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조작부(1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설정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자동 소등(305)을 선택하는 조작을 도 3b의 설정 화면에 대하여 행하면, 표시된 설정 화면이, 도 3b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3g의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유저가,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도 3g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310)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면, 해당 조작에 따른 지시가 조작부(1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01)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조작부(1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11)를 자동으로 소등할 때까지 5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촬영(기록 처리)이 종료한 타이밍으로부터 5초가 경과한 타이밍에서, 표시부(111)가 자동으로 소등된다.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표시부(111)는 자동으로는 소등되지 않는다. 표시부(111)를 자동으로 소등할 때까지의 시간은 5초보다 길거나 짧아도 좋다.
도 4a를 참조하여, 반복 기록 처리의 실행을 위한 조작을 기다리는 상태로 표시되는 화면(대기 화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동화상 기록 모드로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도 4a의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동화상 기록 모드로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로, 설정 화면을 소거하기 위한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면, 그 설정 화면으로부터 도 4a의 대기 화면으로 표시를 전환한다. 도 4a의 대기 화면에서는, 모드 아이콘(401); 설정된 반복 촬영 횟수(402); 설정된 반복 촬영 시간(403); 설정된 인터벌 시간(404) 등이 표시된다. 모드 아이콘(401)은, 반복 기록 처리가 설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반복 기록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거쳐 동화상 촬영 시작 통지를 시스템 제어부(101)가 받으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각종 설정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114)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판독한 각종 설정 값(예를 들면, 인터벌 시간, 반복 촬영 횟수, 프레임마다 AE처리의 실행/비실행, 표시부(111)의 자동소등의 실행/비실행)에 근거하여 반복 기록 처리를 시작한다.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진 후,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스템 타이머(112)를 사용한 시간 측정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하여, 인터벌 시간마다 화상 촬영 통지를 발행하고, 촬영(기록 처리)을 실행한다. 다시 말해, 인터벌 시간마다 촬영이 행해진다. 각 촬영 단계에서는, 촬상부(106)에서의 노광, 촬상부(106)로부터의 촬상 화상 데이터(아날로그 신호)의 판독, 기록 매체(122)에의 촬상 화상(디지털 신호)의 기록 등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타입 랩스 동화상이 생성되도록, 촬상 화상이, 타입 랩스 동화상의 1프레임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된다.
반복 기록 처리에서의 각 촬영(각 프레임 화상의 촬상)에서는, 프레임마다의 AE처리의 실행/비실행의 설정에 따른 노출 값을 사용하여 촬영을 행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1회째의 촬영 단계에 있어서, AE처리에 의해 자동적으로 노출 값이 결정되고, 결정된 노출 값을 사용해서 촬영을 행한다. 그리고,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2회째이후의 촬영 단계에 있어서,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1회째의 촬영 단계에 있어서 사용된 노출 값을 사용해서 촬영을 행한다. 프레임마다의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1회째의 촬영 단계의 노출 값은, 소정의 노출 값이여도 좋다.
프레임마다의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각 촬영 단계에 있어서, AE처리에 의해 노출 값이 결정되어, 결정된 노출 값을 사용해서 촬영을 행한다. AE처리에서는, 라이브 화상에 대하여 측광을 행해(즉, 라이브 화상에 있어서의 측광범위의 밝기를 취득한다), 측광결과에 근거해서 조리개 값, 셔터 속도 등의 노출 값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각 촬영의 직전에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다. 그리고, 화상 촬영전 통지의 발행에 따라 AE처리가 행해진다. 화상 촬영전 통지는, 그 촬영(기록 처리)이 행해지지 않는 인터벌 기간에 발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촬영전 통지는,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된 타이밍으로부터, 다음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발행된다.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된 타이밍에서, AE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고, 노출 값이 결정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의도한 노출 값으로 촬상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촬영이 스킵된다. 다시 말해, 화상 촬영 통지에 대응한 촬영이 생략된다.
촬영 후에, 표시부(111)가 자동으로 소등되는지 아닌지의 설정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다.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촬영이 종료한 타이밍으로부터 5초가 경과한 타이밍에서, 표시부(111)를 소등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표시부(111)의 소등을 자동으로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표시부(111)를 자동으로 소등하는 상기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 기록 기간(1회의 촬영 시작 조작에 의해 행해진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최초의 촬영으로부터 최후의 촬영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인포 버튼(125)을 사용한 조작에 따라, 표시부(111)의 점등(ON) 상태와 소등(OFF) 상태가 전환된다. 점등 상태는, 표시부(111)가 점등하고 있는 상태이며, 소등 상태는, 표시부(111)가 소등하고 있는 상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등 상태에서 행해진 인포 버튼(125)에 의한 조작(제1조작)에 따라, 표시부(111)를 소등하는 소등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소등 상태에서 행해진 인포 버튼(125)에 의한 조작(제2조작)에 따라, 표시부(111)를 점등하는 점등 처리가 행해진다. 소등 처리는,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표시부(111)의 상태를 전환하는 처리"로서도 간주되고, 점등 처리는, "소등 상태로부터 점등 상태로 표시부(111)의 상태를 전환하는 처리"로서 간주된다. 제1조작은, 제2조작을 위한 조작부와는 다른 조작부에 의해 행해진 조작이여도 좋다.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이 조작되었을 경우, 또는, 반복 기록 처리에서 행해진 촬영의 횟수가 반복 촬영 횟수에 도달했을 경우에, 반복 기록 처리가 종료된다.
도 4b를 참조하여, 반복 기록 기간에 표시되는 화면(촬영 화면)의 일례를 설명한다. 반복 기록 처리가 시작되면, 도 4a의 대기 화면으로부터 도 4b의 촬영 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도 4b의 촬영 화면에서는, 라이브 화상에 포개고,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촬영(기록 처리)의 횟수(405)와, 통지 화상(텍스트)(406)이 표시된다. 통지 화상(406)은, 인포 버튼(125)을 사용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표시부(111)의 상태가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결되는 과제의 일례를 설명한다. 타입 랩스 동화상을 생성할 경우에, 예를 들면, 반복 기록 기간이 길거나, 반복 촬영 횟수가 많거나 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이 작을수록 더 좋다. 특히, 디지탈 카메라(100)가 전지로 구동될 경우에 있어서,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디지탈 카메라(100)가 전지로 구동될 경우에는,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에 의해, 실행가능한 촬영(기록 처리)의 횟수가 감소되거나, 디지탈 카메라(100)를 연속해서 구동할 수 있는 시간이 감소되거나 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에 의해, 반복 촬영 횟수의 상한, 반복 촬영 시간의 상한 등이 감소된다. 그 결과,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이 클 경우에, 원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루 동안에 구름의 흐름의 타입 랩스 동화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10시간보다 많은 긴 시간의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해야 한다. 그렇지만,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이 클 경우에는, 10시간을 초과하는 반복 기록 처리를 완료하기 전에 전지가 소모될 수도 있고, 그 반복 기록 처리의 완료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전력소비의 감소는 매우 중요하다.
표시부(111)가 소등된 경우에는, 라이브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보다 감소하기 위해서, 촬상부(106)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촬영을 행하기 위해서는, 촬상부(106)를 구동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촬상부(106)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는, 인터벌 시간마다 촬영을 행하기 위해, 화상 촬영 통지의 발행전에, 화상 촬영전 통지에 응답하여 촬상부(106)를 재기동해야 한다. 더욱, 프레임마다의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화상 촬영전 통지에 응답해서 AE처리를 행해야 하기 때문에, 촬상부(106)를 재기동하고 AE처리를 행하는 처리 시간이, 촬영전에 필요해진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벌 시간(인터벌 기간의 길이)이 충분히 길 경우에는, 인터벌 기간에, 촬상부(106)의 재기동과 AE처리와의 양쪽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제 없이 촬영을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벌 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촬영(화상 촬영 통지의 발행)이 시작하는 타이밍전에, 촬상부(106)의 재기동과 AE처리가 완료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촬영을 행할 수 없다. 도 5b는,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전에 촬상부(106)의 재기동이 완료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전에 촬상부(106)의 재기동이 완료하는 경우에도도,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전에 AE처리가 완료하지 않으면, 상기 과제는 생긴다. 그 때문에, 표시부(111)를 소등하는 경우에도, 촬상부(106)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촬상부(106)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는 것에 의해,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시간이 긴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되거나, 반복 촬영 횟수가 많은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기록 처리의 처리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6a 및 6b의 처리 플로우는, 불휘발성 메모리(114)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제어부(101)가 시스템 메모리(113)에 전개하고, 시스템 메모리(113)에 전개된 이 프로그램들을 시스템 제어부(101)가 실행 함으로써 실현된다. 반복 기록 처리에 관한 각종 설정이 행해진 후, 반복 기록 처리를 시작하기 위한 조작에 따라, 도 6a 및 6b의 처리 플로우가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 기록 처리를 시작하기 위한 조작은,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사용한 조작이다. 이하에서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 기록 매체(122)에 촬상 화상이 기록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메모리(109)에 촬상 화상이 기록되어도 좋다.
우선, S600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1회째의 촬영(기록 처리)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101)는, 현재 촬상하고 있는 라이브 화상(이하, LV화상)에 근거하는 AE처리를 행하고, 노출 값(노출 파라미터)을 결정한다. 노출 값은, 셔터 속도(노광 시간), 조리개 및 ISO감도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101)는, 결정한 노출 값으로, 셔터(105)와 촬상부(106)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 처리를 행하고, 정지 화상을 촬상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1)는, 기록 매체(122)내에 동화상 파일(프레임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동화상 데이터)을 생성하고, 촬상된 정지 화상을, 그 생성한 동화상 파일의 1번째의 프레임 화상으로서 기록한다. 2회째이후의 촬영에서는, 촬상된 화상이, 이 동화상 파일의 2번째이후의 프레임 화상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된다. 이렇게, 촬상 화상이 동화상 파일에 순차로 추가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1)는, 결정한 노출 값을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록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1)는, 결정한 노출 값을, S600의 처리에서 기록되는 동화상 파일의 1프레임째의 속성정보로서, 기록 매체(122)의 동화상 파일에 기록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101)는, 2회째이후의 촬영에 있어서, S600의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노출 값을, 시스템 메모리(113)로부터 판독하여 사용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록된 노출 값을, 순차로 갱신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1)는, 후술하는 S613∼S618의 처리와 같은 처리를 사용하여,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의 설정, 화상 촬영 통지의 타이머의 설정, 화상 촬영전 통지의 타이머의 설정 등을 행한다. 그 후, S601에 처리가 진행된다.
S601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라이브 뷰 표시/동화상 촬영 버튼(123)을 눌러서 동화상 촬영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동화상 촬영 종료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S602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03에 처리가 진행된다.
S602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반복 기록 처리를 종료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촬상부(106)로부터의 촬상 화상의 판독을 정지하는 처리, 동화상 파일의 생성을 완료하는 처리(동화상 파일의 클로즈 처리) 등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처리 플로우가 종료된다.
S603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화상 촬영전 통지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다음의 촬영의 직전에 발행되는 커맨드다. 전회의 촬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시스템 타이머(112)를 사용해서 계측하고, 경과 시간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후술한 (D-Tl) 또는 (D-Ts))에 도달하면, 시스템 제어부(101)가 화상 촬영전 통지를 발행한다.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 경우(즉, 전회촬영으로부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D-Tl) 또는 (D-Ts)이 경과했을 경우)는 S604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10에 처리가 진행된다.
S604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AE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AE처리를 행한다고 판단되어, S605에 처리가 진행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AE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S606에 처리가 진행된다.
S605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억된 노출 값을 클리어(소거)하고, S6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S606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S607에 처리가 진행된다.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S608에 처리가 진행된다.
S607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를 기동하는 기동 처리(제1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시작하는 지시를, 전원제어부(1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19)는, 시스템 제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촬상부(10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촬상부(106)가 기동되고, 촬상부(106)가 구동되어 LV화상의 촬상이 시작된다. 그 후, S608에 처리가 진행된다. 기동 처리는, "촬상부(106)이 구동되지 않고 있는 상태로부터 촬상부(106)가 구동되어 있는 상태로 촬상부(106)의 상태를 전환하는 처리"로서 간주된다.
S608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AE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AE처리를 행한다고 판단되어, S609에 처리가 진행된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AE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S601에 처리가 되돌려진다.
S609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된 LV화상에 근거하는 AE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현재의 촬상 화상(LV화상)에 근거하는 노출 값이 결정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결정한 노출 값을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서,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록된 노출 값이 갱신된다. 그 후, S601에 처리가 되돌려진다. S609의 처리에 있어서, AE처리에 사용된 촬상 화상은, S609의 처리가 시작한 타이밍에서 생성된 촬상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609의 처리가 시작한 타이밍 후의 소정시간인 타이밍에서 생성된 촬상 화상, 또는 S609의 처리가 시작한 타이밍전의 소정시간인 타이밍에서 생성된 촬상 화상, AE처리에 사용되어도 좋다.
상술한 것 같이, 화상 촬영전 통지는 인터벌 기간에 발행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벌 기간에 있어서, 촬상부(106)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101)는, 기동 처리, 또는, 기동 처리와 AE처리의 조합인 제1준비 처리를 실행한다. 인터벌 기간에 있어서, 촬상부(106)가 구동되어 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101)는, AE처리인 제2준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1준비 처리와 제2준비 처리의 각각은, 기동 처리 및 AE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포함해도 좋다. 제2준비 처리는, 기동 처리를 포함하지 않는 준비처리이면 좋다. 촬상부(106)가 구동되어 있을 경우에,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AE처리를 포함하지 않는 제2준비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S610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화상 촬영 통지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다음의 촬영의 직전에 발행되도록, 시스템 타이머(112)에 의해 계측된 전회의 촬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상기 설정된 인터벌 시간D에 도달하면, 시스템 제어부(101)가 발행하는 커맨드다.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되는 경우(즉, 전회촬영으로부터 인터벌 시간D가 경과했을 경우)는 S611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0에 처리가 진행된다.
S611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스템 메모리(113)가 노출 값을 기억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시스템 메모리(113)가 노출 값을 기억하는 경우에는, S612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15에 처리가 진행된다. 시스템 메모리(113)가 노출 값을 기억하지 않은 경우에는, S613에 처리가 진행되어도 좋다.
S612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촬영(기록 처리)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스템 메모리(113)에 기억된 노출 값을 사용하여, 셔터(105)와 촬상부(106)를 제어해서 촬영 처리를 행하고, 정지 화상을 촬상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된 정지 화상을, S600에서 생성한 기존의 동화상 파일에 계속 기록되는 2번째이후의 프레임으로서, 기록 매체(122)에 추가 기록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1)는, S612의 처리에 사용한 노출 값을, S612의 처리에 의해 기록된 동화상 파일의 프레임의 속성정보로서, 기록 매체(122)의 동화상 파일에 기록한다. 그 후, S613에 처리가 진행된다.
S613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표시부(111)의 자동소등의 실행/비실행의 설정 값에 근거하여, 표시부(111)의 자동소등을 위한 처리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표시부(111)의 자동소등을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S614에 처리가 진행되고, 표시부(111)의 자동소등을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S615에 처리가 진행된다.
S614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다음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를 설정하고, 계측을 시작한다(타이머를 스타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5초"가 자동소등 통지의 시간으로서 설정된다. 이 때문에, 촬영(S612의 처리)이 종료한 타이밍으로부터 5초가 경과할 때, 자동소등 통지가 발행된다. 그리고, S615에 처리가 진행된다. 이미 전회 이전의 촬영에서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있었을 경우, 이 처리는 행하지 않고, 전회 이전에 스타트한 타이머의 카운트를 계속한다. 다시 말해, 5초미만의 인터벌 시간일 경우에도, 촬영마다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가 갱신되지 않는다. 표시부(111)가 점등 상태에서의 최초의 촬영으로부터 5초후에 소등되도록 타이머가 카운트된다. 한편, 점등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어떠한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그 시점에서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를 리셋트하고, 다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갱신한다). 다시 말해, 표시부(111)가 점등 상태에 있을 때 N회째의 촬영후에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의 카운트(5초)를 시작하고, 5초의 카운트 도중에 다음 (N+1)회째의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N회째의 촬영 후에 무조작의 상태로 5초가 경과하면 표시부(111)가 소등된다. 표시부(111)가 점등 상태에 있을 때 N회째의 촬영후에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의 카운트(5초)를 시작하고, 5초의 카운트 도중에 조작부(115)를 사용하여 어떠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이 조작 후에 무조작의 상태로 5초가 경과하면 표시부(111)가 소등된다. 이 경우에, N회째의 촬영으로부터 5초를 초과한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표시부(111)가 소등된다. 다시 말해,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 혹은 기록 처리를 위한 촬상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자동소등 통지가 발행되어, 표시부(111)가 소등한다. 혹은, 최후 조작 후 무조작의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자동소등 통지가 발행되어, 표시부(111)가 소등한다.
S615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인터벌 시간D의 설정 값에 근거하여, 다음 화상 촬영 통지의 타이머를 설정하고 계측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화상 촬영 통지의 타이머로서 설정된다. 이에 따라서, 촬영(S612의 처리)의 타이밍으로부터 인터벌 시간D가 경과한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 통지가 발행된다. 그리고, S616에 처리가 진행된다.
S616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에는, S617에 처리가 진행된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S618에 처리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치Tth는 4000msec(4초)이다. 그 역치Tth는 4000msec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역치Tth는, 촬상 기동 시간(기동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추정된 최대 AE시간(AE처리에 필요로 하는 최대시간으로서 추정된 시간)과의 합이상이며, 또한, 후술하는 시간Tl이상이다. 역치Tth는 시간Tl과 같아도 좋다. 추정된 최대 AE시간은, 예를 들면,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 휘도차이가 상한에 있을 경우의 AE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서 추정된 시간이다. 역치Tth는, 소정의 고정된 시간이여도 좋거나,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 디지탈 카메라(100)의 상태 등에 따른 시간이여도 좋다.
S617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간(D-Tl)을, 다음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될 때까지 상기 타이머에 대해 설정하고, 계측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촬영(S612의 처리)의 타이밍으로부터 시간(D-Tl)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다. 바꾸어 말하면, 다음 촬영 시작 타이밍이 시간Tl만큼 이전인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다. 그리고, S619에 처리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Tl은 3000msec이다. 시간Tl은 3000msec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시간Tl은, 촬상 기동 시간과 추정된 최대 AE시간과의 합이상이며, 또한, 역치Tth이하이면 좋다. 시간Tl은, 소정의 고정 시간이여도 좋거나,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 디지탈 카메라(100)의 상태 등에 따른 시간이여도 좋다.
S618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시간(D-Ts)을, 다음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될 때까지의 타이머로서, 설정하고, 계측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촬영(S612의 처리)의 타이밍으로부터 시간(D-Ts)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다. 바꾸어 말하면, 다음 촬영 시작 시간이 시간Ts만큼 이전인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된다. 그리고, S619에 처리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Ts는, 추정된 통상 AE시간이상이며, 또한, 시간Tl미만이다. 구체적으로는, 시간Ts는 600msec이다. 시간Ts는 600msec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시간Ts는, 소정의 고정 시간이여도 좋거나,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 디지탈 카메라(100)의 상태 등에 따른 시간이여도 좋다. 추정된 통상 AE시간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AE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상기 추정된 통상 AE시간이하가 되도록 정해진 시간이다. 추정된 통상 AE시간은, "발생 확률이 역치이상인 AE처리에 필요로 하는 최대시간으로서 추정된 시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벌 시간D가 길 경우에, 인터벌 시간D가 짧을 경우와 비교하여, 준비 처리가 시작하는 타이밍으로부터 다음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도록, 화상 촬영전 통지의 타이머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미만(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준비 처리가 시작하는 타이밍으로부터 다음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까지의 시간으로서 600msec가 설정된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이상(역치Tth이상)일 경우에는, 준비 처리가 시작하는 타이밍으로부터 다음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까지의 시간으로서 4000msec가 설정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준비 처리가 가능한 많이 행해질 수 있도록, 인터벌 시간D에 따라, 화상 촬영전 통지의 타이머가 제어된다. 준비 처리는, 제1준비 처리 또는 제2준비 처리다.
S619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반복 촬영 횟수의 설정 값에 근거하여, 반복 기록 처리에서 행해진 촬영의 횟수가 반복 촬영 횟수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반복 기록 처리에서 행해진 촬영의 횟수가 반복 촬영 횟수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S602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01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0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자동소등 통지가 발행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자동소등 통지는, 시스템 타이머(112)로 계측되어 있는 S614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5초)에 도달하면 시스템 제어부(101)가 발행하는 커맨드다. 자동소등 통지가 발행되었을 경우(즉, 전회 촬영으로부터 자동소등 통지의 타이머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는 S623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1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1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인포 버튼(125)이 눌렸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인포 버튼(125)이 눌렸다면, S622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01에 처리가 되돌려진다.
S622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표시부(111)가 점등했는가 아닌가(표시부(111)가 점등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표시부(111)가 점등했을 경우에는 S623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표시부(111)가 소등했을 경우)에는 S627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3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S624에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26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4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4000msec, 특정한 시간)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S625에 처리가 진행된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S626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5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의 구동을 정지하는 처리(정지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는 지시를, 전원제어부(1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19)는, 시스템 제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촬상부(10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서, 촬상부(106)의 구동이 정지되고, 촬상부(106)가 그 이상 구동되지 않고, 라이브 화상이 더 이상 촬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촬상부(106)의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양만큼,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그 후, S626에 처리가 진행된다. 정지 처리는, "촬상부(106)가 구동중일 때의 상태로부터 촬상부(106)가 구동되지 않을 때의 상태로 촬상부(106)의 상태를 전환하는 처리"로서 간주된다.
S626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표시부(111)를 소등하는 소등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S601에 처리가 되돌려진다. S626의 처리에 의해, 표시부(111)에 표시된 라이브 뷰 표시가 비표시된다. 이 처리에 의해, 표시부(111)의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양만큼,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렇게, 유저에 의한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는 조작(소등 조작)이 행해진 타이밍에서도 표시부(111)는 소등한다. S626의 처리는, 표시부(111)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여서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한(전력 절약상태)은 임의의 처리일 수 있고, 표시부(111)를 소등하는 대신에 표시 휘도(백라이트 휘도)가 감소(휘도감소)되어도 좋다. 자동소등 통지의 발행에 응답하여 S626의 처리가 행해질 경우, S626의 처리의 타이밍에서 표시부(111)가 이미 소등 상태(전력 절약상태)에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S626의 처리는 생략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에, 촬상부(106)의 구동정지 처리와 표시부(111)의 소등 처리(전력 절약상태에의 이행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서,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더욱,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도, 표시부(111)의 소등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서, 표시부(111)의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양만큼,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 또는 역치Tth미만일 경우에,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촬상부(106)의 구동의 정지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현재의 타이밍이 인터벌 기간일 경우에도 촬상부(106)의 구동이 계속된다. 그 때문에,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인터벌 기간에 있어서의 기동 처리(S607의 기동 처리)는 생략된다. 이에 따라서, 다음 촬영 때문에 AE처리를 행할 경우에, 화상 촬영전 통지의 발행후에, 기동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AE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준비 처리(S609의 AE처리)가 다음 촬영까지 완료되지 않을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촬영의 타이밍에서 촬상부(106)가 기동되지 않을 가능성도 없어진다. 설정되어 있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에는,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되고나서 다음 촬영까지의 시간이 충분히 긴 시간Tl이다. 그 때문에, 준비 처리(S607의 기동 처리 및/또는 S609의 AE처리)가 다음 촬영까지 완료되지 않을 가능성은 낮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기동 시간(촬상부(106)를 기동하는 기동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500msec이라고 하고, 상기 추정된 최대 AE시간이 1800msec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기동 시간 500msec와 추정된 최대 AE시간 1800msec과의 합인 2300msec이상인 시간을, 시간Tl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촬상 기동 시간은 500msec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추정된 최대 AE시간은 1800msec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촬상 기동 시간과 시간Ts와의 합이상인 시간을, 시간Tl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촬상 기동 시간과 시간Ts와의 합이상이며, 촬상 기동 시간과 추정된 최대 AE시간과의 합미만인 시간을, 시간Tl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촬상 기동 시간과 시간Ts와의 합미만이며, 촬상 기동 시간과 추정된 최대 AE시간과의 합이상인 시간을, 시간Tl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시간Tl이 짧을수록, 촬상부(106)의 구동이 정지되는 기간은 길다. 다시 말해, 시간Tl이 짧을수록, 촬상부(106)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기간은 길다. 그 때문에, 시간Tl이, 촬상 기동 시간과 추정된 최대 AE시간과의 합 또는 촬상 기동 시간과 시간Ts와의 합이상이면, 시간Tl은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S627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가 기동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촬상부(106)가 기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S628에 처리가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629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8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촬상부(106)를 기동하는 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서, 라이브 화상의 촬상이 시작된다. 그리고, S629에 처리가 진행된다.
S629에서, 시스템 제어부(101)는, 표시부(111)를 점등하는 점등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서, 라이브 뷰 표시가 시작(재개)된다. 이렇게, 표시부(111)가 소등 상태이었을 경우에 인포 버튼(125)이 눌리면(표시 지시 조작), 표시부(111)가 점등한다. 또한, 표시부(111)가 소등되지 않지만 전력을 절약하는 휘도 저감 상태이었을 경우에 인포 버튼(125)이 눌리면(표시 지시 조작), 표시부(111)의 휘도는 풀(full)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11)가 점등하고 있는 기간에,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진다. 라이브 뷰 표시를 시작해야 할 타이밍에서 촬상부(106)가 기동하지 않은 경우에, S628의 처리에 의해, 촬상부(106)가 기동된다. 그 때문에,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지는 라이브 뷰 기간에 있어서, 현재의 타이밍이 인터벌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촬상부(106)가 구동된다. 그 결과, 라이브 뷰 기간에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620∼S629의 처리는, 인터벌 기간에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촬상(기록 처리)이 완료한 타이밍으로부터, 다음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S620∼S629의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효과의 일례를 도 5c 및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c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d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1)의 소등함에 따라, 촬상부(106)의 구동도 정지된다. 그 때문에,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기동 처리와 AE처리를 위한 시간으로서, 충분히 긴 시간을 취할 수 있도록, 시간Tl만큼 다음 촬영전인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를 발행한다. 그 결과, 인터벌 기간내에 기동 처리와 AE처리를 (고확률로) 완료할 수 있고, 원하는 타이밍에서의 촬영을 (고확률로) 행할 수 있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도,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1)가 소등된다. 그 때문에,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표시부(111)가 소등되는 경우도, 촬상부(106)의 구동은 정지되지 않는다. 이것은, 인터벌 기간에 기동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촬상부(106)의 기동 처리를 제외한 AE처리를 위해 충분한 시간이 취할 수 있도록, 시간Ts(시간Tl보다 짧다)만큼 다음 촬영 전인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를 발행한다. 그 결과, 인터벌 기간내에 AE처리를 (고확률로) 완료할 수 있고, 원하는 타이밍에서 촬영을 (고확률로) 행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것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인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질 경우에,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어, 인터벌 기간에 촬상부(106)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인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질 경우에,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어, 현재의 타이밍이 인터벌 기간에 포함되는 것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촬상부(106)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서, 반복 기록 기간에 있어서,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의 감소와, 원하는 타이밍에서의 촬영(기록 처리)의 실행의 양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Ts는, 추정된 최대 AE시간 1800msec보다도 짧은 600msec이다. 그 때문에, 시간Ts보다도 긴 시간이 AE처리에 필요하게 되어, 다음의 촬영까지 AE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인터벌 시간D가 Tth미만으로 짧을 경우는, 인터벌 시간D가 길 경우와 비교하여 피사체의 밝기의 변화가 적은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인터벌 시간D가 12시간으로 길면, N회째의 촬영이 낮이고, 다음의 N+1회째의 촬영이 밤이며 어둡고, 휘도차이가 크기 때문에 AE처리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인터벌 시간D가 Tth(본 실시예에서는 4초)미만일 경우에는, 낮과 밤 사이의 차이와 같은 휘도차이가 큰 피사체를 촬영할 가능성이 낮다. 다시 말해, 인터벌 시간D가 Tth미만일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AE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시간Ts이하이므로, AE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시간Ts보다 길어진 상황이 드물게 생긴다. 더욱, 시간Ts가 사용될 경우에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이므로, 촬상부(106)의 구동은 정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AE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시간Ts보다 길어진 상황이 생기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 촬영 후의 촬영까지 AE처리가 완료한다. 이것은, 많은 프레임에 대해 촬영이 스킵되는 것이 매우 드물고, AE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시간Ts보다도 긴 상황이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미치게 하는 영향은 경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623의 처리와 S624의 처리와의 사이에, 시스템 제어부(101)가,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해도 좋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S624에 처리가 진행되고,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S624의 처리를 건너뛰고 S625에 처리가 진행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AE처리(제2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인터벌 기간에 촬상부(106)의 구동의 정지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이에 따라서,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할 수 있다. AE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준비 처리(기동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짧기 때문에,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인터벌 기간내에 준비 처리를 고확률로 완료할 수 있고, 원하는 타이밍에서의 촬영을 고확률로 행할 수 있다.
S615의 처리와 S616의 처리의 사이에, 시스템 제어부(101)가,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해도 좋다.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S616에 처리가 진행되고,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S616∼S618의 처리 대신에 다른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마다 AE처리를 행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101)가,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이상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시간(D-Tx)을, 다음 화상 촬영전 통지의 시간으로서 설정해도 좋다. 그 후, 시간Tx만큼 다음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 전인 타이밍에서, 화상 촬영전 통지가 발행되고, 필요한 경우 준비 처리가 시작된다. 시간Tx로서는, 시간Tl보다도 짧은 시간이 사용된다. 시간Tx는 시간Ts와 같거나 달라도 좋다. 이에 따라서, S609의 AE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 AE처리를 위한 이른 타이밍(시간Tl만큼 촬영이 시작하는 타이밍 전인 타이밍)에서 S607의 기동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기동 처리의 조기 실행으로 인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막을 수 있다.
시간Tl과 시간Ts의 적어도 한쪽이, 인터벌 시간D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터벌 시간D가 길 경우에, 인터벌 시간D가 짧을 경우보다 긴 시간이, 시간Ts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벌 시간D가 역치Tth미만일 경우에는, 될 수 있는 한 일찍 AE처리가 시작함으로써, 다음 촬영까지 AE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상태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S618에 있어서, 시간Ts=D-d가 사용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S618에 있어서, 시간d가, 다음 화상 촬영전 통지의 타이머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시간d는, 0msec이상이고, 예를 들면 약 50msec이다. 시간d는, 예를 들면, 다음 AE처리를 시작하는데 요하는 시간이다. 시간d는, 0msec이여도 좋다. 시간d가 0msec일 경우에는, 시스템 타이머(112)는, 화상 촬영전 통지의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이 설정된 직후, 카운트(시간의 계측)를 행하지 않고, 화상 촬영전 통지를 발행한다. 그리고, S604에 처리가 진행되고, 이른 타이밍에서 AE처리가 시작된다. 이것은 시간Tl에 대해서도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 기록 처리에 의해 타입 랩스 동화상이 기록 매체(122)에 기록될 때의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단계(기록 처리)의 각각에 있어서, 촬상 화상이 정지 화상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단계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상 화상이, 복수의 정지 화상(복수의 정지 화상 파일, 혹은 복수의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단일의 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122)에 기록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이 행해진 타이밍과, 촬영이 종료한 타이밍으로부터 5초가 경과한 타이밍에, S625의 정지 처리, S626의 소등 처리 등이 행해지는 예를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소등 통지의 발행에 대응한 타이밍과, 인포 버튼 통지의 발행에 대응한 타이밍에, S625의 정지 처리, S626의 소등 처리 등이 행해지는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S625의 정지 처리, S626의 소등 처리 등이 행해지는 타이밍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S625의 정지 처리, S626의 소등 처리 등이 행해지는 타이밍은, 자동소등 통지의 발행에 대응한 타이밍과, 인포 버튼 통지의 발행에 대응한 타이밍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S625의 정지 처리, S626의 소등 처리 등이 행해지는 타이밍은, 다른 소정의 타이밍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S625의 정지 처리는, S626의 소등 처리를 위한 통지와는 다른 통지에 응답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벌 기간과는 다른 기간에 소등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기록 처리)이 행해질 때마다, 촬영이 종료한 타이밍에서 정지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이에 따라서, 디지탈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한층 더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이 표시부(111)를 소등하여서 감소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은, 표시부(111)의 휘도(표시 휘도)를 감소하여서 감소되어도 좋다. 발광부와 변조 패널과의 조합이 표시부(111)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발광부의 발광 휘도를 감소하여서 표시 휘도를 감소할 수 있다. 발광형의 표시 소자를 갖는 표시 패널이 표시부(111)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표시 소자의 발광 휘도를 감소하여서 표시 휘도를 감소할 수 있다. 표시부(111)의 소비 전력은, 표시부(111)에 의해 표시된 화상(표시 화상)의 색수, 휘도 값, 콘트라스트, 계조 등을 감소하여서 감소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제어는, 시스템 제어부(101)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가정되지만, 1개의 하드웨어 유닛에 의해 행해져도 되거나, 복수의 하드웨어 유닛에 의해 분담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질의 범위내에서의 여러 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탈 카메라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촬상부와 표시부를 갖는 촬상 장치이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전화단말(스마트 폰을 포함)등에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또한,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형의 화상 뷰어, 프린터 장치, 디지탈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타블렛 단말, 투영 장치, 가전장치, 차재장치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촬상부;
    표시부; 및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의 특정한 타이밍에서,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타이밍은,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 혹은 해당 기록을 위한 촬상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타이밍은, 유저가 상기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하도록 조작하는 타이밍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타이밍은, 최후의 조작 후 무조작의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기록 처리를 행하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상의 라이브 뷰 표시가 비표시의 상태로 유저에 의해 표시 지시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을 위한 각 촬상이 행해지면, 상기 촬상부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는 특정한 준비 처리를 행하고나서 촬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는 노출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자동노출 처리인, 촬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는, 상기 촬상부로 촬상된 라이브 화상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촬상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보다도,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를,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을 위한 각 촬상에 가까운 타이밍에서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시간은, 상기 촬상부가 구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되는데 요하는 시간과,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추정된 최대시간과의 합이상인, 촬상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가 각 촬상시에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가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를 각 촬상시에 행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을 위한 각 촬상이 행해질 때, 상기 촬상부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를 행하고나서 촬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특정한 준비 처리를 각 촬상시에 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도,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기록 처리에 있어서의 기록을 위한 촬상이 행해질 때 상기 촬상부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시작하고나서 촬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소등 또는 그 휘도를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6.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단계; 및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단계; 및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은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8. 촬상부;
    표시부; 및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의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
  19.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단계; 및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촬상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설정된 인터벌 시간마다 상기 촬상부로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반복 기록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이 특정한 시간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1의 제어 단계; 및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특정한 시간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상에 라이브 뷰 표시를 비표시로 하지만 상기 촬상부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70145642A 2016-11-14 2017-11-03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4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1251A JP6957143B2 (ja) 2016-11-14 2016-11-14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6-221251 2016-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46A true KR20180054446A (ko) 2018-05-24
KR102214823B1 KR102214823B1 (ko) 2021-02-10

Family

ID=6038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642A KR102214823B1 (ko) 2016-11-14 2017-11-03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25470B2 (ko)
EP (1) EP3322176B1 (ko)
JP (1) JP6957143B2 (ko)
KR (1) KR102214823B1 (ko)
CN (1) CN108076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020B (zh) * 2021-05-10 2024-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532A (ko) * 2006-02-15 2007-08-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표시장치에 대한표시제어방법
JP2015029188A (ja) * 2013-07-30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1908A (ja) * 2013-08-22 2015-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3867A (ja) * 2004-09-21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N101739116B (zh) * 2008-11-21 2012-09-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控制方法及其应用
JP5857416B2 (ja) * 2011-02-28 2016-02-10 株式会社ニコン 撮影装置
KR101782997B1 (ko) * 2011-05-17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JP2014150476A (ja) * 2013-02-04 2014-08-21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88614B2 (ja) * 2013-03-21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映像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1555B2 (ja) * 2014-01-28 2016-10-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35944B2 (ja) * 2014-03-19 2017-11-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3071B2 (ja) * 2015-03-27 2020-02-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532A (ko) * 2006-02-15 2007-08-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표시장치에 대한표시제어방법
JP2015029188A (ja) * 2013-07-30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1908A (ja) * 2013-08-22 2015-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6283A (zh) 2018-05-25
JP6957143B2 (ja) 2021-11-02
CN108076283B (zh) 2020-06-26
EP3322176B1 (en) 2020-03-25
US10225470B2 (en) 2019-03-05
US20180139387A1 (en) 2018-05-17
EP3322176A2 (en) 2018-05-16
EP3322176A3 (en) 2018-06-06
JP2018082228A (ja) 2018-05-24
KR102214823B1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012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85064A1 (en) Image-pickup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for image-pickup apparatus
JP200702821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59992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JP6198600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5413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542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2214823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28933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595995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4695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1441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1441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6189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127755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performs focus bracket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44979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カラーバランス制御方法
JP575503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4838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6309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notifying of a change in processing if an operation amount changes from one range to another range
JP2017034473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8219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3943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060322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093459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8226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