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313A -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313A
KR20180053313A KR1020187008095A KR20187008095A KR20180053313A KR 20180053313 A KR20180053313 A KR 20180053313A KR 1020187008095 A KR1020187008095 A KR 1020187008095A KR 20187008095 A KR20187008095 A KR 20187008095A KR 20180053313 A KR20180053313 A KR 2018005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ection
movement
handle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머 이난
카르스텐 훅스
우베 레드만
요하네스 떼오도르 멘케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5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 그립부(2), 그립부(2)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2), 그립부(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되, 그립부(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그립부(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일 수 있는 차량(8) 상의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1), 특히 차량(8)용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 특히 일측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 핸들 섹션, 핸들 구성품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차량들은 편의 기능들에 점점 더 많이 갖추어지고 있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슬라이딩 도어, 폐쇄 보조장치 및/또는 전기적인 래치(latch)들이 예컨대 이와 관련하여 언급될 수 있다. 전기적 래치들, 소위 e-래치들은 차량의 래칭 시스템(latching system) 또는 래치들에 래칭 시스템을 개방하기 위한 전기적인 장치들이 구비되었을 때에 사용된다. 래칭 시스템에서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예컨대 캐치(catch)와 폴(pawl)로부터 형성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이 전기적으로 잠김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도어 핸들과 래칭 시스템 사이에 어떠한 기계적인 연결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래칭 시스템은 래칭 시스템이 개방되어야만 하는지를 결과적으로 검출하는 전기 트랜스듀서를 구비한다. 도어 핸들로부터의 개방 명령이 래칭 시스템에 도달하면, 메커니즘은 대개 전기적으로 작동 상태로 설정되는데, 이는 래칭 시스템의 로킹 메커니즘의 잠김 해제를 유발한다. 도어, 플랩 또는 슬라이딩 도어는 따라서 매우 손쉽고 편리하게 개방될 수 있다.
전력 저하의 경우에도 도어 래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 장치에는 대개 도어 래치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전력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개방이 일어날 수 있는 기계적인 수단이 설치된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도어 래치를 개방하는 핸들 섹션이 예컨대 DE 196 42 698 C2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핸들 섹션이 차량의 섀시에 견고하게 연결된 해결책이 일례로서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핸들 섹션은 또한 도어 래치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스위치도 구비한다. 핸들 섹션은 통례적인 작동에서, 즉 배터리 전압이 활용 가능한 경우에 차량의 외측 판에 접하여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전력 저하가 일어나면, 전자석이 작동하며 이는 이어서 로킹 볼트를 이동시켜 피벗 레버(pivoting lever)가 해제되도록 하고, 이는 이어서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이 연결되어 있는 기어휠(gearwheel)을 해제한다. 기어휠에 연결된 보덴 케이블은 도어 래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기어휠의 움직임 도중에 보덴 케이블 상에 당김이 발생할 수 있다. 기어휠은 이어서 핸들 섹션에 부착된 기어 랙(gear rack)과 상호작용한다. 이제 전력 저하가 발생하면, 기어휠이 해제되며 조작자(operator)가 차량의 외측 판으로부터 피벗하는 것에 의해 핸들 섹션을 제거할 수 있고, 여기서 기어 랙은 기어휠로 맞물려 들어가며 보덴 케이블을 당긴다. 따라서 래치의 기계적인 작동이 비상시에 활용 가능하다.
전기적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다른 핸들 장치가 DE 10 2006 029 774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일측에서 움직일 수 있는 핸들 엘리먼트가 고정된 핸들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가 핸들 엘리먼트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데, 이로써 신호가 래치로 송신되어 개방 명령이 핸들 엘리먼트의 파지 도중에 래치로 송신될 수 있다. 핸들 엘리먼트는 전기적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움직여질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전력 저하의 경우, 래치의 기계적인 작동이 제공된다. 이동식으로 배치된 핸들 엘리먼트는 래치로 기계적 연결 엘리먼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극복될 필요가 있는 힘 로킹 유닛(force locking unit)과 상호작용한다. 힘 로킹 유닛은 예컨대 압력 스프링 또는 라쳇 연결(ratchet connection)일 수 있다.
최신 기술들로부터 알려져 있는 핸들 장치들의 단점은 한편으로는 핸들 섹션의 영구적인 움직임의 부족으로 인해 비상시 메커니즘이 수 년 간의 비작동 이후에 이것을 실제적으로 활성화시킬지, 다른 한편으로는 단지 힘 로킹 유닛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이것이 장시간의 작동에 걸쳐 완전한 기능을 유지할지 의문으로 남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비작동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움직임의 경우에 상위 신호(superordinate signal)들이 래치를 위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써 조작자가 도어 래치로 전기적, 기계적 신호들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향상된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최대의 안전성을 획득하고 래치의 안전한 개방이 전력 중단시에 보장될 수 있는 차량 상의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 특히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기적 래치들의 작동을 위한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특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한정적이지 않으며, 대신 발명의 설명 및 하위 청구항들에 묘사된 특성들의 잠정적인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지적된다.
특허 청구항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과제는, 일측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 핸들 섹션,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되는 차량 상의 도어 또는 플랩의 개방을 위한 장치, 특히 차량용 도어 핸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즉 핸들 장치의 형성은 최신 기술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향상된 핸들 장치를 제공할 가능성을 만들어낸다. 핸들 섹션은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채로 남아 있는 한편, 핸들 경로 제한이 특정될 수 있다. 핸들 섹션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핸들 섹션의 수 년 간의 고정에 이어 비상 상황에서 핸들 섹션이 움직일 수 없는 위험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핸들 섹션에 대한 확고한 멈춤이 가능하도록 핸들 섹션에 접하여 놓여 있다. 이것은 동시에 촉각적 장점(haptic advantage)을 만들어내는데, 여기서 조작자는 도어 래치가 적절히 작동되었다는 명확한 피드백을 경험한다. 도어 핸들에 대한 확고한 멈춤은 또한 동시에 조작자가 도어를 균일하고 힘차게 개방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핸들 섹션을 위한 스프링 수용부의 경우 촉각적 피드백이 조작자에게 가능하지 않다는 최신 기술의 단점이 또한 이로써 극복된다. 핸들 섹션은 핸들 수용부 내에서 피벗할 수 있다. 이 단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핸들 섹션에 대한 확고한 멈춤에 의해 극복된다.
핸들 섹션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핸들 섹션은 움직일 수 있는 채로 남아 있으며 핸들 섹션에 부착된 기계적인 연결 엘리먼트가 지속적으로 움직여진다. 래칫되는 것(ratcheting in), 즉 고정되는 것이 따라서 방지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언급된다면, 이것은 도어 핸들 또는 플랩 핸들 또는 슬라이딩 도어 핸들을 지배적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성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카브리올레 루프(cabrio roof)용의 커버들과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허 청구항에 따른 이 해결책은 전기적 래치(latch)들이 설치된 차량 구성품들을 위한 개방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전기적 개방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검출 수단에 의해 래치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핸들 섹션이 이용된다.
유리하게는 핸들 섹션은 일측에 피벗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것은 조작자가 래치로 개방 명령을 송신했다는 피벗 움직임에 의한 촉각적 피드백을 경험하므로 특히 유리하다.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센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정전 용량형 센서(capacitive sensor)일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인 스위칭 수단 및/또는 광학 센서들도 핸들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로 활용될 수 있다. 기계적인 멈춤쇠(mechanical stop)이 예컨대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경로 제한 수단으로서, 기계적인 멈춤쇠가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서, 경로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의 외부로 움직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핸들 섹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핸들 섹션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한다면 장점으로 귀결된다. 핸들 섹션으로의 경로 제한 수단의 직접적인 맞물림은 구조적으로 단순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직접적인 맞물림의 구조적으로 단순한 해결책은 작은 공차에서의 개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경로 제한 수단과 핸들 섹션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형태 맞춤(form fitt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협력하는 구조적 형태들이 핸들 섹션과 경로 제한 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면 유리한 구성이 도출된다. 장치를 위한 경로 제한 수단의 특히 단순한 구조적인 구성이, 후방 및 전방 움직임의 관점에서 핸들 섹션 안으로 접혀 들어가고 전력 중단의 경우에 핸들 섹션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경로 제한 수단에 의해 얻어진다. 전압이 적용될 때 경로 측정 수단은 핸들 섹션의 움직임 영역 내에 있고, 검출이 핸들 섹션의 움직임만을 기록하도록 제어될 수 있도록 핸들 섹션의 스트로크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경로 제한 수단은, 제어 신호가 검출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도록 핸들 섹션의 스트로크를 제한한다. 그러나 스트로크는 래칭 시스템의 기계적인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움직여 나오는 것 역시 용이하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움직임 제한 수단은 선형 움직임에 의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움직여질 수 있다. 선형 움직임은 예컨대 차량 섀시 내에 선형 쉬프트 방식으로 수용된 예컨대 슬라이딩 엘리먼트에 의해 핸들 섹션 안으로 접혀 들어갈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승강 실린더 및/또는 태핏(tappet)을 가진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선형 움직임을 얻기 위한 전기적 수단은 구조적인 관점에서 구성하기가 비용 효율적이고 단순하다. 단 2개의 단부 위치들만을 가진 드라이브가 특히 이행하기에 특별히 비용 효율적이다. 여기서 2개의 단부 위치들은 핸들 내로 접혀 들어간 경로 제한 수단의 한 위치와 핸들 섹션의 움직임 영역 밖으로 움직여진 경로 제한 수단의 다른 한 단부 위치를 의미한다.
움직임 제한 수단이 피벗 움직임에 의해 핸들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면 다른 예의 실시예로 귀결된다. 경로 제한 수단의 회전 또는 피벗 움직임은 또한 아주 약간의 피벗 움직임에 대해서도 핸들 섹션과 경로 제한 수단의 맞물림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피벗 움직임도 만들어 내기에 매우 손쉽다. 따라서 경로 제한 수단은 전기 모터의 축 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경로 제한 수단 상의 2개의 멈춤쇠들은 동시에 모터의 제어를 위한 끝단 멈춤쇠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경로 제한을 위한 극단적으로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이 따라서 성취될 수 있다. 경로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선형 및 피벗 형태로 수동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될 수 있다. 경로 제한 수단만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직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움직여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경로 제한 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많은 수의 해결책들이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핸들 섹션의 승강 움직임이 가능해지도록 경로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결정적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핸들 섹션은 기계적 연결 엘리먼트에 의해 래치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에서 핸들 섹션과 래치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핸들 섹션과 래치 사이에 기계적 연결 엘리먼트, 특히 보덴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덴 케이블은 한편으로는 예컨대 핸들 섹션 내에 매달릴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래치의 작동 레버 내에 매달릴 수 있다. 핸들 섹션이 움직이는 경우, 보덴 케이블에 의해 이 움직임이 래치로 전달될 수 있다. 전압이 적용되면, 핸들 섹션은 승강이 제한된다. 보덴 케이블은 핸들 섹션이 작동될 때 짧은 거리에 걸쳐 간략하게만 움직여진다. 래치는 보덴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지만 그리 멀리 작동되지 않아서 래치 내부의 로킹 메커니즘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이 개방은 핸들 섹션의 짧은 스트로크의 검출에 의해, 그리고 폴을 캐치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제거하는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일어난다.
유리하게는, 핸들 섹션의 움직임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면 래치는 핸들 섹션에 의해서만 움직여질 수 있다. 핸들 섹션과 래치 사이의 기계적 연결에 의해 핸들 섹션은 전압이 적용될 때 부분적으로만 움직여질 수 있다. 예컨대 사고 또는 배터리 전압 감소 동안에 전압 저하가 발생하면, 경로 제한 수단은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진다. 경로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지면, 핸들 섹션에 대한 경로 제한이 상승되며 핸들 섹션은 더 큰 스트로크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스트로크는 특히 로킹 메커니즘의 잠김 해제가 기계적 연결 수단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을 만큼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 섹션은 제한된 승강 움직임의 경우에 1~5mm, 바람직하게는 1~3mm의 스트로크를 가진다. 무제한 승강 움직임의 경우에, 핸들 섹션은 10~40mm, 바람직하게는 15~4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mm의 스트로크를 가진다. 전압이 적용되면, 짧은 스트로크만이 제공되며, 경로 제한 수단이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지는 전력 저하의 경우에 핸들에 대해 긴 스트로크가 제공된다. 두 경우 모두에서 핸들 섹션은 피벗 움직임으로서 움직인다.
유리하게는, 핸들 섹션의 움직임 제한 수단은 전압 저하 및/또는 사고 발생의 경우에 핸들 섹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래치의 안전한 기계적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경로 제한 수단은, 여전히 충분한 전력이 경로 제한 수단을 작동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전력에서의 저하의 경우에 문턱값에 따라 활성화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기초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유리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뿐이라는 원칙이 적용된다. 묘사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발명의 설명 및 특허 청구항 중의 다른 특징들과 조합되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경로 제한 수단의 기본적인 도시와 함께 차량을 통한 단면에서 도어 핸들의 형태로 된 차량 상의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로서, 도어 핸들이 전기적인 래치를 작동시키도록 움직여지고 경로 제한 수단에 대하여 멈춤쇠에 도달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도어 핸들로서, 도어 핸들의 위치가 래치의 기계적 작동 중에 도시되어 있고 경로 제한이 도어 핸들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움직여졌다.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가 도 1에서 단면도로 재현되어 있다. 이 장치(1)는 핸들 섹션(2), 경로 제한 수단(3), 구동 유닛(4), 센서 엘리먼트(5) 및 기계적 연결 수단(6)을 포괄한다. 핸들 섹션(2)은 섀시 구성품(8)에서 지지점(7) 둘레에 피벗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섀시 구성품(8)은 개구(9)를 가지고 있는데, 이 개구를 통해 연장부(10)가 핸들 섹션(2)까지 도달한다. 보덴 케이블(6)에 대한 부착 수단(12)이 섀시 구성품(8)으로 도달한 연장부(10)의 단부(11)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 섹션과 예컨대 보덴 케이블인 기계적 연결 수단(6)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이 존재한다. 기계적 연결 수단(6)은 래치가 기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래치의 작동 레버에 연결된다. 래치(13)로의 기계적인 연결은 도 3에서 개략적으로만 재현되어 있다.
핸들 섹션(2) 상의 연장부(10)는 멈춤면(14)이 생기도록 부착 수단(12)으로의 연결의 영역에서 확장되어 있다. 연장부(10)의 확장된 형성이 개방 장치의 체계적인 기능을 설명할 것인 한편, 자연적으로 경로 제한 수단(3)의 맞물림도 연장부(10)에 직접적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연장부(10)는 길이방향 구멍으로서 예컨대 경로 제한 수단(3)과 상호작용하는 구멍 또는 통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경로 제한 수단의 기능의 기본적인 제시는 경로 제한 수단(3)과 핸들 섹션(2) 상의 잠재적인 멈춤면(14) 사이의 상호작용을 명확히 보여준다. 센서 엘리먼트(5)와 구동 유닛(4)은 전기적 케이블들(15, 16)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서, 한편으로는 핸들 섹션의 움직임의 검출이 기록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경로 제한 수단(3)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따른 개방 장치(1)가 이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핸들 섹션(2)의 스트로크(H1)가 또한 점선(L1)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스트로크(H1) 정도로 핸들 섹션(2)이 움직이는 동안 연장부(10)도 경로(H1) 정도로 움직이며, 멈춤면(14)을 가진 경로 제한 수단(3)에 도달한다. 따라서 핸들 섹션(2)의 스트로크(H1)가 경로 제한 수단(3)에 의해 제한되어서 예컨대 2~3mm의 매우 작은 스트로크(H1)만이 가능해진다. 센서 엘리먼트(5)는 스트로크(H1)를 검출하고 전기적 케이블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전기적 래치(13)가 로킹 메커니즘을 개방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고가 발생한 결과, 차량에서 전력 저하가 발생하면, 제어 유닛은 전기적 케이블(15)에 의해 구동 유닛(4)에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로써 경로 제한 수단(3)이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경로 제한 수단은 화살표 방향으로 선형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구동 수단은 경로 제한 수단(3)의 인터로킹(interlocking)으로 직접 맞물리는 예컨대 기어휠을 가진 전기 드라이브일 수 있다.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의 경로 제한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핸들 섹션(2)은 이제 점선(L2)으로 도시된 지점으로 피벗될 수 있다. 핸들 섹션(2)은 예컨대 25~30mm의 더 큰 스트로크(H2)를 성취할 수 있다. 스트로크(H2)는 기계적 연결 수단(3)에 의해 래치(13)을 기계적으로 개방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장치(1)의 형성에 의해 안전한 기계적인 개방을 보장하기 위해 차량에서 언제든지 그리고 전력 강하의 경우에 피벗될 수 있는 핸들 섹션(2)을 배치할 가능성이 만들어진다.
1 개방 장치 2 핸들 섹션
3 경로 제한 수단 4 구동 유닛
5 센서 엘리먼트 6 기계적 연결 수단
7 지지점 8 섀시 구성품
9 개구 10 연장부
11 연장부의 단부 12 부착 수단
13 래치 14 멈춤면
15, 16 전기적 케이블들 L1, L2 점선
H1, H2 스트로크 P 화살표

Claims (10)

  1. 차량(8) 상의 도어 또는 플랩을 위한 개방 장치(1), 특히 차량(8)용 도어 핸들(2)로서, 일측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 핸들 섹션(2),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5) 및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을 구비하되,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핸들 섹션(2)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핸들 피스(piece)(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선형 움직임에 의해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피벗 움직임에 의해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은 기계적 연결 엘리먼트(6)에 의해 래치(13)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이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경우, 래치(13)는 핸들 섹션(2)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은 제한된 스트로크 움직임의 경우에 1mm에서 5mm, 바람직하게는 1에서 3mm의 스트로크(H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은 무제한 스트로크 움직임의 경우에 10mm에서 40mm, 바람직하게는 15에서 40mm의 스트로크(H1)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m에서 35mm의 스트로크(H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섹션(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3)은 전력에서의 저하의 경우 및/또는 사고 발생의 경우에 핸들 섹션(2)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KR1020187008095A 2015-09-10 2016-09-07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KR20180053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5221.5 2015-09-10
DE102015115221.5A DE102015115221A1 (de) 2015-09-10 2015-09-10 Handhabe eines Kraftfahrzeugtürgriffs
PCT/DE2016/100414 WO2017041790A1 (de) 2015-09-10 2016-09-07 Handhabe eines kraftfahrzeugtürgriff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313A true KR20180053313A (ko) 2018-05-21

Family

ID=5712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095A KR20180053313A (ko) 2015-09-10 2016-09-07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24422A1 (ko)
EP (1) EP3347553A1 (ko)
JP (1) JP6989208B2 (ko)
KR (1) KR20180053313A (ko)
CN (1) CN108026740B (ko)
DE (1) DE102015115221A1 (ko)
RU (1) RU2018107971A (ko)
WO (1) WO2017041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986A1 (de) * 2014-06-05 2015-1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03926A1 (de) 2016-03-04 2017-09-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Öffnen einer Tür oder 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DE102016103918A1 (de) 2016-03-04 2017-09-07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DE102016111251A1 (de) * 2016-06-20 2017-12-2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WO2019063040A1 (de) 2017-09-28 2019-04-04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FR3078990B1 (fr) 2018-03-16 2021-01-15 Mgi Coutier Espana Sl Commande d'ouverture a remontage mecanique
EP3540157A1 (fr) 2018-03-16 2019-09-18 Akwel Vigo Spain SL Commande d ouverture a actionneur lineair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79258B1 (fr) * 2018-03-21 2022-06-17 Mgi Coutier Espana Sl Commande d'ouverture a deverrouillage mecanique de secours
DE102018125172A1 (de) * 2018-10-11 2020-04-1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Öffnungsmechanik für das Öffnen eines Kraftfahrzeugschlosses
JP7218610B2 (ja) * 2019-02-26 2023-02-07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CN110541630B (zh) * 2019-08-28 2021-03-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安全把手及其控制方法
KR102122714B1 (ko) 2019-12-26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8268U (ko) * 1987-07-20 1989-01-30
DE19642698C2 (de) 1996-10-16 2000-11-09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9816603C1 (de) * 1998-04-15 1999-08-12 Bosch Gmbh Robert Schlüsselloses Zugangssystem für Fahrzeuge
DE19832646C2 (de) * 1998-07-10 2003-10-23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Türschlosses
EP1673514B1 (de) * 2003-10-15 2014-08-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ss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2004058874A1 (de) * 2004-12-06 2006-06-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49027A1 (de) * 2005-10-11 2007-04-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bei Fahrzeugen
DE102006005753A1 (de) * 2006-02-07 2007-08-0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system
DE102006029774A1 (de) 2006-06-27 2008-01-0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DE202008003845U1 (de) * 2008-03-19 2009-08-13 Kiekert Ag Türverschlus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5017734B2 (ja) * 2008-12-01 2012-09-0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輌用ドア開閉装置
FR2940341A1 (fr) * 2008-12-19 2010-06-25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securite pour commande d'ouverture d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JP4914478B2 (ja) * 2009-11-02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ストローク切替構造
ITMI20100723A1 (it) * 2010-04-27 2011-10-27 Valeo Spa Maniglia per sportello di veicol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di sicurezza
EP2644808B1 (en) * 2010-11-26 2016-10-12 Kabushiki Kaisha Honda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
DE102013016069A1 (de) * 2013-09-27 2015-04-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4422A1 (en) 2019-01-24
RU2018107971A (ru) 2019-09-05
CN108026740B (zh) 2020-10-23
RU2018107971A3 (ko) 2019-09-05
JP6989208B2 (ja) 2022-01-05
WO2017041790A1 (de) 2017-03-16
CN108026740A (zh) 2018-05-11
JP2018532912A (ja) 2018-11-08
DE102015115221A1 (de) 2017-03-16
EP3347553A1 (de)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313A (ko) 차량 도어 핸들의 취급
CN109072642B (zh) 用于打开机动车上的车门或舱盖的打开设备
US20190234122A1 (en) Handle device with a surface-flush handle
US10563437B2 (en) Flush comfort handle
CN108222713B (zh) 调平的开启控制装置
JP6255631B2 (ja) 自動車ドアの閉鎖装置
US6519986B2 (en) Locking device
US11479996B2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80038343A (ko) 차량 및 차량 도어용 도어잠금장치
US11441340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US1166176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087632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20210363793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CN104816610A (zh) 车辆的门装置
CN113574241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8151609B2 (en) Lock cylinder arrangement
JP7375267B2 (ja) 自動車ドア要素の為の開放装置
KR102503613B1 (ko) 차량 도어 래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A289162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160866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20220205286A1 (en) Door presen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element
US20220106818A1 (en) Vehicle door handle
KR20240033042A (ko) 자동차 잠금 장치
US11572716B2 (en) Lock actuation device having an emergency opening function
TWI509142B (zh) 車門鎖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