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203A - 수술용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203A
KR20180053203A KR1020167036138A KR20167036138A KR20180053203A KR 20180053203 A KR20180053203 A KR 20180053203A KR 1020167036138 A KR1020167036138 A KR 1020167036138A KR 20167036138 A KR20167036138 A KR 20167036138A KR 20180053203 A KR20180053203 A KR 2018005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ody frame
arm
connecting memb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네타로 이토
히로시 가와히라
요시히로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지바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지바 다이가쿠 filed Critical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60Supports for surgeons, e.g. chairs or han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3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connected to the surgeon's body, e.g. by a bel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팔 자세 변화가 확보되고, 또한 사용자의 팔을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 자세로 고정하여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바디 프레임(1)과,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는 팔 지지부(4)와, 이들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를 가지고, 연결 부재(5)가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수술용 보조 기구{SURGICAL ASSIST SUIT}
본 발명은, 수술용 보조 기구(器具)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술 시의 시술자나 보조자 등의 팔을 지지하여 상기 팔 자세의 유지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술 시의 시술자나 보조자 등은, 장시간에 걸쳐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피로가 크다. 특히, 수술용 기구·기기를 손으로 유지하면서 조작하여 행하는 수술에서는, 수술용 기구·기기의 중량과 더불어 팔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장시간에 이르는 수술을 행할 때의 피로가 크고, 나아가서는 수술의 질에 대한 영향도 우려된다. 그러므로, 시술자나 보조자 등에 의한 수술용 기구·기기의 쾌적한(바꾸어 말하면, 부담이 적음) 조작성의 확보와 시술자나 보조자 등의 팔의 안정적인 지지 및 팔의 자세 유지에 의한 피로 감소가 요구된다.
시술자 등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자세 유지 기구로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위 체위의 사용자(110)의 장골(腸骨)(111)을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전(前)지지부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횡(橫)지지부를 포함하여 입위 체위의 사용자(110)의 좌우 장골(111)을 지지하는 장골 지지부(101)와, 상기 장골 지지부(101)의 위쪽에 설치되어 사용자(110)의 양 팔(11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암 레스트(102)를 가지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제2013-10685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자세 유지 기구에서는, 사용자의 팔, 특히 팔꿈치나 전박(前膊)을 암 레스트에 탑재할 수 있어도, 수술 중의 작업에 따라 팔꿈치의 상측 부분인 상완(上腕)과 하측 부분인 전완(前腕)을 어깨 및 팔꿈치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여러가지 위치 관계·자세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위치 관계·자세로 고정하여 유지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특히 팔의 여러가지 자세를 유지하면서 또한 피로를 경감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완전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시술자나 보조자 등(바꾸어 말하면, 사용자)의 상완과 전완의 자세 변화가 확보되고 또한 사용자의 팔을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자세로 고정하여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바디 프레임(body frame)과,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는 팔 지지부와, 이들 바디 프레임과 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고, 연결 부재가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술용 보조 기구에 의하면, 바디 프레임과 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가 전환될 수 있게 하고 있으므로, 연결 부재가 신축 가능한 상태일 때는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가 제약되지 않아 사용자의 상완과 전완의 자세 변화가 확보되는 한편, 연결 부재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도가 저감하여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가 제약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바디 프레임과 팔 지지부가 복수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때의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도가 한층 저감되고, 특히 3개 이상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바디 프레임과 팔 지지부의 상호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임의로 구성될 수 있게 되고, 예를 들면, 양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완전하게 또는 대략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연결 부재의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바디 프레임의 어깨부(肩部)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두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부가 조작되어 연결 부재의 신축 가능의 여부가 제어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몰의 정도가 변화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주에 감기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는 신축 기구(機構)를 연결 부재가 포함하고, 코일 스프링의 조임에 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면과 로드의 외주면의 마찰력으로 로드를 고정(lock)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데 충분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신축 기구가 비교적 소형의 구성으로서 실현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항상, 바디 프레임 측의 일단(一端)과 팔 지지부 측의 타단(他端)이 같은 높이, 또는, 바디 프레임 측의 일단보다도 팔 지지부 측의 타단 쪽이 낮게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팔 지지부가 바디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바디 프레임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흉골에 맞닿는 흉골 인접 기구가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흉골을 토대로서 바디 프레임이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상체에 대한 수술용 보조 기구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사용자의 팔 자세의 유지 안정성이 한층 양호하게 확보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바디 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한 단수 또는 복수의 패드 부재가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패드 부재를 바디 프레임로부터 분리하여 세정하거나, 패드 부재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복수의 패드 부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체형에 맞추어 패드 부재를 배치킴으로써 바디 프레임의 장착 시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신축 가능한 상태에서는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를 제약하지 않고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를 확보하고, 또한 연결 부재가 신축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도를 저감시켜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를 제약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가 제약되는 것만큼 상기 팔의 자세가 유지되게 되어 사용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사용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도를 한층 저감할 수 있고, 특히 3개 이상의 연결 부재가 사용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바디 프레임과 팔 지지부의 상호 위치 관계의 자유도를 임의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양자의 상호 위치 관계를 완전하게 또는 대략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여 상기 팔의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대폭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연결 부재의 신축 가능 여부의 전환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바디 프레임의 어깨부에 설치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두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부가 조작되어 연결 부재의 신축 가능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팔이 예를 들면 고정되어 있거나 기구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라도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로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코일 스프링의 내면과 로드의 외주면의 마찰력으로 로드를 고정하는 구성이 이용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충분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신축 기구를 비교적 소형의 구성으로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수술용 보조 기구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바디 프레임에 대하여 팔 지지부를 항상 매달음 태양으로 연결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팔 지지부를 바디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용 보조 기구를 장착하면서 시술 등의 작업을 쾌적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로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흉골 인접 기구가 포함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체에 대한 수술용 보조 기구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팔 자세의 유지 안정성을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술용 보조 기구를 장착하면서 시술 등의 작업을 쾌적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로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착탈 가능한 패드 부재가 장착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패드 부재를 세정하거나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위생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수술용 보조 기구로서 우량한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히 복수의 패드 부재가 장착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바디 프레임의 장착 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용 보조 기구의 장착 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팔 지지부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 중 좌측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바디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부(前部)의 내면을 본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바디 프레임의 전부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의 좌측 고정부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를 좌측 고정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좌측면도이다.
도 7c는, 도 7a를 좌측 고정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 중 우측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바디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부의 내면을 본 경우에 있어서의, 우측 바디 프레임의 전부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의 우측 고정부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를 우측 고정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우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를 우측 고정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 중 인접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바디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부의 내면을 본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고정부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의 인접부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를 인접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좌측면도이다.
도 9c는, 도 9a를 인접부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 중 좌측 고정부에 대한 인접부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b 및 도 9b와 동일한 시점에서 본 도면, 및 조절 나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바디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전부의 내면을 본 경우에 있어서의, 바디 프레임의 전부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의 흉골 인접 기구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을 흉골 인접 기구로서의 정면도로 했을 때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의 인접부를 좌측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바디 프레임과 연결 부재의 연결 태양(態樣)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바디 프레임과 연결 부재의 연결 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의 자세 유지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일례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위」 및 「아래」, 「전」 및 「후」, 및 「좌」 및 「우」를 정의한다(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볼 때 「위」 및 「아래」, 「전」 및 「후」, 및 「좌」 및 「우」를 의미함).
본 실시형태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바디 프레임(1)과,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는 팔 지지부(4)와, 이들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를 가지고, 연결 부재(5)가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바디 프레임(1)은,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걸치는(바꾸어 말하면, 상체의 우측 부분에 장착됨) 우측 바디 프레임(1A)과, 사용자의 왼쪽 어깨에 걸치는(바꾸어 말하면, 상체의 좌측 부분에 장착됨) 좌측 바디 프레임(1B)을, 좌우 한쌍의 것 로서 가진다.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재질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바디 프레임(1)으로서 형성되었을 때의 중량이나 필요로 하는 강도 등이 고려되어 적당한 재질이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은, 강체일 필요는 없고, 탄성체이어도 상관없다.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재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각각은, 일체인 것으로서 형성되도록(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됨) 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바디 프레임(1)의 장착 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내면의 전체면 또는 대략 전체면에 걸치거나 또는 내면의 일부에, 탄력성을 갖추는 패드(8)가 장착된다. 그러나,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에 패드(8)가 장착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패드(8)가 장착되지 않게 해도 상관없다.
패드(8)는, 일체인 것으로서 형성되도록(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됨) 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패드(8)의 구체적인 태양이나 소재는, 특정한 구성이나 종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장착 시의 쾌적성이나 위생상의 관점 등이 고려되어 적당한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패드(8)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감싸는 표피 재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쿠션재를 감싸는 표피재 중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내면과 대향하는 부분이 면 파스너(fastner)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내면에 상기 면 파스너와 걸어맞추는 면 파스너가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들 면 파스너끼리의 걸어맞춤과 상기 걸어맞춤의 해제에 의해, 패드(8)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패드(8)가 바디 프레임(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경우에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패드(8)를 바디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정하거나, 패드(8)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특히 위생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 프레임(1)의 내측에 장착되는 패드로서,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 1A, 1B)의 내면의 전체면 또는 대략 전체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체면 패드와, 상기 전체면 패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부분 패드(바꾸어 말하면, 블록 패드)의 조합이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부분 패드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10∼15cm 정도의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블록형 패드로서 형성된다.
전체면 패드와 부분 패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체면 패드의 표피재 중 사용자의 몸과 대향하는 부분이 면 파스너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부분 패드의 한쪽 면에 상기 면 파스너와 걸어맞추는 면 파스너가 장착되고, 이들 면 파스너끼리의 걸어맞춤과 상기 걸어맞춤의 해제에 의해, 부분 패드가 전체면 패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전체면 패드의 표피재 중 사용자의 몸과 대향하는 면의 전체면 또는 대략 전체면이 면 파스너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분 패드의 장착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분 패드를 가지는 구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체형에 맞추어 부분 패드를 배치시킴으로써 바디 프레임(1)의 장착 시의 피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사용자의 몸과 바디 프레임(1)이 압착하는 면적을 줄여 양자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쿠션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폼이 사용된다. 패드(8) 등의 쿠션재로서의 우레탄폼에 대하여, 특히 통기성 향상을 위해, 제막 처리되어 무막(無膜)으로 된 우레탄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쿠션재에 대하여, 사용자의 몸과 패드(8) 등이 압착하는 면적을 줄여 양자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쿠션재 중 적어도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파형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표피재 중 사용자와 대향하는 부분이 메쉬천에 의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메쉬천이 사용되는 것에 의해,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표피재로서 화지(和紙)가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화지는, 통기성이 있으면서 또한 흡수성이 있으므로 장착 시의 바디 프레임(1)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경량이므로 특히 연속 장착 시의 피로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항균력이나 악취 제거력이 우수하므로 위생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표피재에 대하여, 화지를 포함하고 또한 세탁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가공된 소재가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씨실이 화지이고, 또한 날실이 면인 천이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표피재로서 화지가 사용되는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에 의해 패드(8) 등이 바디 프레임(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수술용 보조 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패드(8) 등을 세정하거나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패드(8) 또는 전체면 패드나 부분 패드의 표피재로서 화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표피재로서의 화지에 감싸이는 쿠션재 중 적어도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표피재로서의 화지 자체가 예를 들면 파형의 요철형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화지 자체를 요철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를 뜨는 단계에서 성형하는 방법이나, 화지의 건조 전 또는 후에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은, 각각, 전부(1c), 어깨부(1d), 및 후부(1e)를 가지고, 전부(1c), 어깨부(1d), 후부(1e)의 순서로 연접하여 좌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상하 반대의 U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어깨부(1d) 부분이 사용자의 어깨에 탑재되어 전부(1c)가 사용자의 흉부·복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후부(1e)가 사용자의 배부(背部)의 후방에 위치하는 태양으로, 좌우 한 쌍의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은, 나아가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상체(구체적으로는, 대략 흉부로부터 어깨를 덮어 등의 상부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장착된다.
또한, 수술용 보조 기구의 장착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디 프레임(1)은, 우측 바디 프레임(1A)과 좌측 바디 프레임(1B) 각각의 전부(1c, 1c)가 좌우에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후부(1e, 1e)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1f)(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하 2개소)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힌지(1f, 1f)에 의해,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이 전부(1c, 1c) 측에서 쌍바라지와 같은 태양으로 좌우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힌지(1f)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어 후부(1e 1e) 측에서 좌우로 열리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외측에 있어서 이들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에 걸치도록 물림쇠(2)(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하 2개소)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물림쇠(2, 2)에 의해,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가 맞추어 닫힌 상태로 고정되고, 나아가서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가 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물림쇠(2)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를 서로 맞추어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맞추어 닫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정한 방법이나 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상태의 유지와 해제를 행할 수 있는 적당한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물림쇠(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면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우측 바디 프레임(1A)과 좌측 바디 프레임(1B)이 좌우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은, 전술한 힌지(1f) 및 물림쇠(2)가 사용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양 프레임(1A, 1B)을 개폐할 수 있는 적당한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우측 바디 프레임(1A)과 좌측 바디 프레임(1B)이 좌우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이 아니며, 예를 들면 바디 프레임(1)을 머리에서부터 쓰도록 하여 장착하는 태양으로 되는 경우 등에는, 바디 프레임(1)의 일부가 좌우로 열리도록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술용 보조 기구가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고정성·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와 후부(1e)에 걸쳐져 이들 전부(1c)와 후부(1e)를 서로 끌어당겨 사용자의 흉부 및 배부로 밀착시키는 사이드 벨트(3, 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벨트(3)는, 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사용자의 흉부나 요부 위치에 있어서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와 후부(1e)에[바꾸어 말하면, 바디 프레임(1)의 좌우의 측부에] 걸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바디 프레임(1)의 좌우의 측부 각각에 사이드 벨트(3)가 하나씩 구비되도록 하고 있지만, 복수 개의 사이드 벨트(3)가 좌우의 측부 각각에 구비되도록 해도 된다.
사이드 벨트(3)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端部)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또한 길이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중 다른 쪽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사이드 벨트(3)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전부(1c)와 후부(1e)를 서로 끌어당기는 정도가, 일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사이드 벨트(3)는, 구체적으로,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단부에 훅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훅이 거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어맞춤부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부속 장치(즉, 벨트 물림쇠)가 장착되어 벨트 길이가 가변하도록 되거나, 또는, 면 파스너가 사용되어 체결의 정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고려된다.
사이드 벨트(3)는, 예를 들면 천 부재나 피혁 부재 등의 비탄성 소재로 형성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기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팽창·수축 가능한 기체 주머니가 바디 프레임(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주머니가 팽창됨으로써 수술용 보조 기구가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고정성·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경우 등에는, 사이드 벨트(3)가 구비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수술용 보조 기구가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고정성·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바디 프레임(1)의 전부(1c)의 내측[즉, 전부(1c)의 사용자 측]에, 흉골 인접 기구가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흉골 인접 기구는 도시되지 않는다.
흉골 인접 기구는, 바디 프레임(1)에 대하여 장착되고, 또한 수술용 보조 기구의 사용자의 흉골에 맞닿는 부위를 가지고, 사용자의 흉골을 토대로서 바디 프레임(1)을 지지함으로써, 수술용 보조 기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상체에 대한 수술용 보조 기구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팔 자세의 유지 안정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인간의 흉골부에는 근육이 없거나 또는 거의 없기 때문에, 흉골부에 인접 기구가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접 기구를 뼈에 직접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흉골부에 인접 기구가 포함되는 것은, 수술용 보조 기구의 흔들림의 억제와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 바디 프레임(1)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흉골에 맞닿도록 하는 것에 의해, 대흉근을 비롯한 흉근을 압박하지 않고, 수술용 보조 기구의 장착 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수술용 보조 기구를 여성이 착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수술용 보조 기구에 의한 흉부의 압박이나, 수술용 보조 기구를 흉부에 의해 지지하는 것에 의한 불안정 상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흉골 인접 기구(10)는,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의 전부(1c)에 대하여 장착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에 대하여 연결되는 인접부(12)를 가진다.
고정부(11)는, 우측 바디 프레임(1A)의 전부(1c)에 대하여 장착되는 우측 고정부(11A)와, 좌측 바디 프레임(1B)의 전부(1c)에 대하여 장착되는 좌측 고정부(11B)를 가진다. 그리고, 도 7a, 도 8a, 및 도 9a는 모두, 바디 프레임(1)의 내측으로부터 전부(1c)의 내면을 본 경우에 있어서의, 바디 프레임(1)의 전부(1c)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의 자세의 흉골 인접 기구(10)의 각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측·좌측 고정부(11A, 11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외측에 장착되는 물림쇠(2, 2)와 같은 높이 위치의,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내측에 장착된다.
우측 고정부(11A)는, 판형의 장착부(11c)와, 상기 장착부(11c)와 연접하여 뒤쪽 방향으로, 즉, 사용자 측으로 돌출하는 끼워맞춤 돌출부(11d)를 가진다.
장착부(11c)에는, 상기 장착부(11c)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11e)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11c)가 우측 바디 프레임(1A)의 전부(1c)의 가장자리의 내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복수의 나사 구멍(11e)을 통하여 나사 고정됨으로써, 우측 고정부(11A)가 전부(1c)에 대하여 고정되어 장착된다.
우측 고정부(11A)의 끼워맞춤 돌출부(11d)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하 한쌍인 것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끼워맞춤 돌출부(11d)에는, 상기 끼워맞춤 돌출부(11d)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끼워맞춤 구멍(11f)이 형성된다.
좌측 고정부(11B)는, 판형 장착부(11g)와, 상기 장착부(11d)와 연접하는 기구부(11h)를 가진다.
장착부(11g)에는, 상기 장착부(11g)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11i)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11g)가 좌측 바디 프레임(1B)의 전부(1c)의 가장자리의 내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복수의 나사 구멍(11i)을 통하여 나사 고정됨으로써, 좌측 고정부(11B)가 전부(1c)에 대하여 고정되어 장착된다.
기구부(11h)에는, 상하 한쌍의 끼워맞춤 요부(11j, 11j), 끼워맞춤 돌기(11k, 11k), 긴 구멍(11m, 11m), 나사 구멍(11n, 11n), 및, 지지 구멍(11p)이 형성된다.
상하 한쌍의 끼워맞춤 요부(11j, 11j)는, 각각, 우측 고정부(11A)의 상하 한쌍의 끼워맞춤 돌출부(11d, 11d)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좌향 으로 오목하게 끼워맞춤 돌출부(11d, 11d)의 각각이 끼워넣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가 서로 맞추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우측 고정부(11A)의 끼워맞춤 돌출부(11d)와 좌측 고정부(11B)의 끼워맞춤 요부(11j)가 상하 각각에 있어서 끼워맞추어진다.
상하 한쌍의 끼워맞춤 돌기(11k, 11k)는, 각각, 상하 한쌍의 끼워맞춤 요부(11j, 11j)의 바닥부에 있어서, 우측 고정부(11A)의 끼워맞춤 구멍(11f, 11f)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들 끼워맞춤 구멍(11f, 11f)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이들 끼워맞춤 구멍(11f, 11f)의 각각에 끼워넣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가 서로 맞추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좌측 고정부(11B)의 끼워맞춤 돌기(11k)가 우측 고정부(11A)의 끼워맞춤 구멍(11f)으로 상하 각각에서 끼워넣어진다.
상하 한쌍의 긴 구멍(11m, 11m)은, 각각, 기구부(11h)의 상단 가까이의 위치와 하단 가까이의 위치에서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에 개구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뚫리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서 가늘고 긴 홈형의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상하 한쌍의 나사 구멍(11n, 11n)은, 각각, 기구부(11h)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개구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뚫린다. 이로써 나사 구멍(11n)의 천공 방향과 긴 구멍(11m)의 천공 방향은 직교하고, 또한, 나사 구멍(11n)과 긴 구멍(11m)이 교차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지지 구멍(11p)은, 기구부(11h)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서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에 개구되면서 또한 전후 방향으로 뚫리고, 또한, 개구의 직경보다도 바닥부의 직경이 작은 테이퍼형의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지지 구멍(11p)의 바닥부에, 지지 구멍(11p)과 연통하여 기구부(11h)를 관통하는 나사 구멍(11q)이 형성된다.
인접부(12)는, 좌측 고정부(11B)의 기구부(11h)에 장착된다. 인접부(12)는, 인접 부재(12a)와, 상기 인접 부재(12a)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치되는 상하 한쌍의 경사 돌기(12b, 12b) 및 요동 지주(支柱)(12c)를 가진다.
인접 부재(12a)는, 주요부가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수술용 보조 기구의 장착 상태에서 일면이 사용자와 대향하여 흉골에 대략 면으로서 맞닿도록 설치된다. 사용자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흉골에 맞닿는 쿠션재로서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의 인접 부재(12a)의,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각각이 전향(前向)으로 돌출하는 판형으로 형성된 상하 한쌍의 경사 돌기(12b, 12b)가 형성된다.
상측의 경사 돌기(12b)는, 상측의 변이 전후 수평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하측의 경사 돌기(12b)는, 하측의 변이 전후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판형의 인접 부재(12a)의,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형의 요동 지주(12c)가 더 설치된다. 요동 지주(12c)는, 상하 한쌍의 경사 돌기(12b, 12b) 사이에, 덧붙여 말하면 인접 부재(12a)의 판면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요동 지주(12c)는,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의 바닥부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의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 구멍(11p)의 내주면과 요동 지주(12c)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지지 구멍(11p)의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해 점차로 커진다. 이로써,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에 대하여 요동 지주(12c)가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인접부(12)에는, 또한, 나사 수용 구멍(12d)이 형성된다. 나사 수용 구멍(12d)은, 인접 부재(12a)의 사용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개구되면서 또한 인접 부재(12a)를 관통하여 요동 지주(12c)의 내부로 도달하는 천공으로서 형성된다.
나사 수용 구멍(12d)의 바닥부에, 나사 수용 구멍(12d)과 연통하여 요동 지주(12c)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e)이 형성된다.
그리고, 인접부(12)의 한쌍의 경사 돌기(12b, 12b)의 각각이 좌측 고정부(11B)의 한쌍의 긴 구멍(11m, 11m)으로 끼워넣어지고, 또한 인접부(12)의 요동 지주(12c)가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으로 끼워넣어진다.
또한, 인접부(12)의 요동 지주(12c)가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나사 수용 구멍(12d)의 인접 부재(12a)에 있어서의 개구로부터 나사(13)가 끼워넣어진다.
이 때, 인접부(12)의 요동 지주(12c)와 나사(13) 사이에 개재되도록, 나사(13)의 축부를 중심 공간에 관통시키고 또한 나사(13)의 두부에 맞닿게 하여 걸리는 코일 스프링(14)이 설치된다.
나사 수용 구멍(12d)으로 끼워넣어진 나사(13)는, 나사 수용 구멍(12d)의 바닥부의 관통 구멍(12e)으로부터 선단 부분이 돌출된다. 그리고, 나사(13)의 선단 부분이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의 바닥부의 나사 구멍(11q)에 비틀어 넣어진다. 이로써, 나사(13)가 나사 구멍(11q)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나사(13)와 요동 지주(12c)를 통하여, 또한, 코일 스프링(14)을 개재시켜,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인접부(12)가 장착된다. 여기서, 관통 구멍( 12e)은 나사(13)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나사(13)에 대하여 요동 지주(12c)가 가동(可動)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4)은, 요동 지주(12c)의 바닥부를 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누르도록 가압하고, 인접부(12)를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누르도록 작용을 한다.
또한, 좌측 고정부(11B)의 상하 한쌍의 나사 구멍(11n, 11n)의 각각에 조절 나사(15)가 비틀어 넣어진다. 이들 조절 나사(15)는, 나사 구멍(11n)에 걸어맞추면서, 또한 긴 구멍(11m)으로 끼워넣어진 경사 돌기(12b)의 경사 변과 맞닿는다.
나사 구멍(11n)에 걸어맞추고 있는 조절 나사(15)의 위치(바꾸어 말하면, 비틀어 넣음의 정도)가 변경되면, 긴 구멍(11m)에 끼워넣어져 있는 경사 돌기(12b)의 끼워넣음의 정도가 변경되고, 나아가서는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인접부(12)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한다. 이 때,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나사(13)는 고정되어 있는 한편, 나사(13)에 대하여 요동 지주(12c)는 가동이고, 또한 좌측 고정부(11B)의 지지 구멍(11p)에 대해서도 요동 지주(12c)는 요동 가능하므로,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인접부(12)의 위치나 자세는 변화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하의 조절 나사(15, 15)를 나사 구멍(11n)으로 같은 정도 비틀어 넣거나(바꾸어 말하면, 밀어넣거나) 나사 구멍(11n)으로부터 같은 정도 비틀어 되돌리거나(바꾸어 말하면, 되돌리거나) 함으로써, 인접부(12)를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인접부(12)를 바디 프레임(1)의 전부(1c)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어 인접부(12)를 사용자의 흉골에 적절히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하의 조절 나사(15, 15)의 나사 구멍(11n)으로의 비틀어 넣음의 정도를 상하로 변경함으로써, 인접부(12)를 좌측 고정부(11B)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인접부(12)를 바디 프레임(1)의 전부(1c)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인접부(12)를 사용자의 흉골에 정확하게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에 설치되는 메카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각각에 공통으로 설치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는 각 메카니즘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이하의 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각 메카니즘이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좌우의」, 「좌우 각각의」, 또는 「좌우 한쌍의」등으로 한정되지 않음).
팔 지지부(4)는, 팔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팔의 자세를 고정하여 유지할 때에 유지 도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팔 지지부(4)는, 지지 프레임(4a)과 지지 벨트(4b)(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2개)를 가지고, 이들 지지 프레임(4a)과 지지 벨트(4b)에 의해 사용자의 팔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4a)은, 사용자의 팔에 피팅되도록, 팔의 둘레 방향에서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4a)의 재질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지지 프레임(4a)으로서 형성되었을 때의 중량이나 필요로 하는 강도 등이 고려되어 적당한 재질이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4a)은 강체일 필요는 없고, 탄성체이어도 상관없다.
지지 프레임(4a)의 재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팔 지지부(4)의 장착 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 프레임(4a)의 내면의 전체면에 걸쳐, 탄력성을 갖추는 패드(9)가 장착된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 4a)에 패드(9)가 장착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패드(9)가 장착되지 않도록 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팔 지지부(4) 중, 지지 프레임(4a)이 사용자의 팔의 상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벨트(4b)가 사용자의 팔의 하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벨트(4b)는, 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지지 프레임(4a)과 함께 사용자의 팔을 둘러싸도록 상기 팔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된다.
지지 벨트(4b)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4a)의 둘레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길이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4a)의 둘레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지지 벨트(4b)는, 지지 프레임(4a)을 사용자의 팔에 밀착시키는 정도가, 일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 벨트(4b)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단부에 훅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훅이 거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어맞춤부가 지지 프레임(4a)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부속 장치(벨트 물림쇠)가 장착되어 벨트 길이가 가변하도록 되거나, 또한, 면 파스너가 사용되어 체결의 정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고려된다.
팔 지지부(4)는, 상기 팔 지지부(4)가 장착되는 부위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을, 상기 팔의 축 회전을 허용하지 않도록 체결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상기 팔의 축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정도로 체결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가 연결 부재(5)를 통하여 연결된다.
연결 부재(5)는,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의 상호의 위치 관계가 변경 가능한 상태와,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의 상호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변경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들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를 연결한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 부재(5)는, 사용자의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와, 사용자의 팔의 자세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상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면서,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를 연결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한쪽의 단부(5f)가 바디 프레임(1)의 어깨부(1d)의 상부[바꾸어 말하면, 정부(頂部)]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부(5g)가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의 상면[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4a)의, 좌우 방향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5A)와, 한쪽의 단부(5f)가 바디 프레임(1)의 어깨부(1d)의 전면(前面)[또는, 전부(1c)의 전면]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부(5g)가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의 전면[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4a)의, 앞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5B)와, 한쪽의 단부(5f)가 바디 프레임(1)의 후부(1e)의 후면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부(5g)가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의 후면[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4a)의, 후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5C)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5A, 5B, 5C) 중 어느 것인가를 특정할 필요가 없을 때나, 복수의 연결 부재(5A, 5B, 5C)를 하나의 집합으로서 취급할 때는, 단지 「연결 부재(5)」라고 표기한다.
또한, 연결 부재(5)에 대하여, 바디 프레임(1)의 정면에서 볼 때의, 바디 프레임(1)과의 연결 위치[즉, 전술한 설명에서의 한쪽의 단부(5f)]의 상하 방향 위치와 팔 지지부(4)와의 연결 위치[즉, 전술한 설명에서의 다른 쪽의 단부(5g)]의 상하 방향 위치가 동일(즉, 같은 높이)한 자세, 또는, 바디 프레임(1)과의 연결 위치[전술한 설명에서의 한쪽의 단부(5f)]의 상하 방향 위치보다 팔 지지부(4)와의 연결 위치[전술한 설명에서의 다른 쪽의 단부(5g)]의 상하 방향 위치가 낮은 자세인 것을 매달음(현수) 태양이라고 부른다.
연결 부재(5)에 대하여, 또한, 바디 프레임(1)의 정면에서 볼 때의, 바디 프레임(1)과의 연결 위치[전술한 설명에서의 한쪽의 단부(5f)]의 상하 방향 위치보다 팔 지지부(4)와의 연결 위치[전술한 설명에서의 다른 쪽의 단부(5g)]의 상하 방향 위치가 높은 자세인 것을 받침 태양이라고 부른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장착한 사용자가 팔을 내린 상태(도 1 내지 도 5)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5) 모두가 매달음 태양이며, 또한, 사용자가 팔을 수평으로 될 때까지 올린 상태(도 6)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5) 중 2개의 연결 부재(5A, 5B)가 매달음 태양이면서 또한 한 개의 연결 부재(5C)가 받침 태양이도록 각 연결 부재(5)가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즉, 팔 지지부(4)의 위치에 기인하지 않고,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의 팔이 어떠한 자세라도, 3개의 연결 부재(5) 중 2개는 항상 매달음 태양이며, 한편, 항상 받침 태양인 연결 부재(5)는 없다.
여기서, 팔 지지부(4)는, 사용자의 상완 부분에 장착되어 상완을 유지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사용자의 전완 부분에 장착되어 전완을 유지하도록(또한, 전완의 유지에 의해 상완을 유지함) 해도 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좌우 중 한쪽의 팔 지지부(4)가 사용자의 상완에 장착되어 상완을 유지하고, 다른 쪽의 팔 지지부(4)가 사용자의 전완에 장착되어 전완을 유지하도록(또한, 전완의 유지에 의해 상완을 유지함) 해도 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는, 팔 지지부(4)가 사용자의 상완에 장착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며, 이 경우에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연결 부재(5)를 포함하는 각 부분·각 부재의 대략의 치수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팔 지지부(4)가 사용자의 전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연결 부재(5)의 축 방향의 치수는 도면에 나타낸 예와 비교하여 크게(즉, 길게) 된다고 생각된다. 단, 만약을 위해 부가하면, 도면에 나타낸 수술용 보조 기구의 각 부분·각 부재의 치수는 엄밀한 것은 아니다.
연결 부재(5)는, 한쪽의 단부(5f)가 바디 프레임(1)에 구면(球面) 베어링[로드 엔드 (rod end) 베어링, 스페리컬 조인트(spherical joint), 또는 구면 관절이라고도 불림]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다른 쪽의 단부(5g)가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에 구면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연결 부재(5)의, 바디 프레임(1)의 어깨부(1d)의 상부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5f)와, 바디 프레임(1)의 후부(1e)의 후면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5f)에 있어서, 양 단부가 구체(球體)형으로 형성된 짧은 로드를 사용한 이련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련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5)와 바디 프레임(1)의 연결 위치가 조절되고 예를 들면 팔 지지부(4)의 가동 범위,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또는 팔 지지부(4)의 구속의 견확성 등이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연결 부재(5)의 다른 연결부[즉, 한쪽의 단부(5f), 다른 쪽의 단부(5g)]에 있어서도 이련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연결 부재(5)의 연결부[한쪽의 단부(5f), 다른 쪽의 단부(5g)]에 있어서 이련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되는 것은 필수의 구조는 아니고, 통상의(바꾸어 말하면, 단독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연결 부재(5)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몰의 정도가 변화하는 로드(5e)를 가지는 신축 기구(5d)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기구(5d)에 의해 신축 가능한(즉, 길이 가변) 것으로서 구성된다.
연결 부재(5)에 포함되는 신축 기구(5d)는, 연결 부재(5)의 한쪽의 단부(5f)와 다른 쪽의 단부(5g) 사이의 치수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맞추어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상태(「고정 해제 상태」라고 부름)와 외력이 작용해도 변화하지 않는 상태(「고정 상태」라고 부름)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면, 특정한 기구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치수가 변화하지 않게 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구속력이나 구성의 크기 등이 고려된 후에 적당한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로서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들면, 로드(5e)로서 축 직각 단면이 원형인 둥근 막대형의 것이 사용되고, 상기 로드(5e)와 코일 스프링의 마찰력을 이용한 고정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드(5e)의 외주에 감기고, 또한 로드(5e)의 외경보다도 내경이 약간 작고 또한 단부에 걸림부가 설치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 자체의 탄력에 의한 조임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면이 로드(5e)의 외주면에 밀접하여 마찰력에 의해 로드(5e)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고정 상태로 되고, 한편, 코일 스프링의 걸림부와 끼워맞추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조작편을 통하여 코일 스프링에 외력이 부여되어 감아 되돌리는 방향으로 비틀면 코일 스프링의 내경이 확대되어 로드(5e)에 대한 마찰력이 해방되어 로드(5e)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이 해제되어 고정 해제 상태로 되는 고정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의 참고로서,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표 평7-58085에 기재된 마찰 고정 기구를 들 수 있다.
신축 기구(5d)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둥근 막대형의 로드(5e)와 코일 스프링의 마찰력을 이용한 고정 기구가 사용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대로 로드(5e)의 출몰의 정도를 무단계로 조절한 후에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기구(5d)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신축 기구(5d)에, 코일 스프링은 1개 구비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복수 개 구비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가 고정 상태일 때는, 사용자의 팔에 의해 팔 지지부(4)에 걸리는 하중은, 연결 부재(5)를 통하여 바디 프레임(1) 및 패드(8)에 전달되고, 사이드 벨트(3, 3)(또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흉골 인접 기구)의 작용에도 의하고,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받쳐져 지지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팔의 자세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각각의 후부(1e, 1e)의, 커버(1g)에 의해 덮힌 공간에,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이나, 상기 상태의 전환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신축 기구(5d)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된다.
전술한 로드(5e)와 코일 스프링의 마찰력을 이용한 고정 기구의 경우에는, 전동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조작편이 소정의 움직임을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조임과 풀림이 제어되고, 이로써, 신축 기구(5d)에 있어서의 로드(5e)의 축 방향의 이동의 고정과 상기 고정의 해제가 제어되고, 나아가서는, 연결 부재(5)로서의 신축의 가능·불가능이 제어된다.
그리고, 전술한 로드(5e)와 코일 스프링의 마찰력을 이용한 고정 기구의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 자체의 탄력에 의한 조임에 의해 로드(5e)가 고정되므로, 수술용 보조 기구의 사용 중에 배터리의 소모 등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었다고 해도 신축 기구(5d)는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팔 지지부(4)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사용자의 팔이 뜻하지 않게 자유롭게 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팔의 자세는 유지된 채 이며, 이 점에서 수술용 보조 기구로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더 부가하면, 연결 부재(5)의 개수나 설치의 방법(바꾸어 말하면, 장착 위치)에 의해 팔 지지부(4)가 대략 고정되면서도 다소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자유도를 의도적으로 남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전술한 고정 기구의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사태로 되었다고 해도 팔 지지부(4)가 다소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팔 지지부(4)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팔을 다소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최저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6)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어깨부(1d)에 설치된다.
조작부(6)는, 수술용 보조 기구를 장착한 사용자의 아랫턱의 아래쪽의, 사용자가 두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구체적으로는, 눌러질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술용 보조 기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두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부(6)의 조작편이 눌릴 때마다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가 전환된다.
조작편을 포함하는 조작부(6)의 형태나 조작부(6)가 장착되는 위치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의 형태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두부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 가능한 형태나 위치가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우측 바디 프레임(1A)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6)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우측 바디 프레임(1A)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가 동시에 전환되고, 좌측 바디 프레임(1B)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6)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좌측 바디 프레임(1B)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가 동시에 전환된다.
또는, 우측 바디 프레임(1A)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6) 또는 좌측 바디 프레임(1B)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6)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우측 바디 프레임(1A)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와 좌측 바디 프레임(1B)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가 동시에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우측 바디 프레임(1A)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마다 조작부(6)이 설치되거나, 좌측 바디 프레임(1B)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 부재(5)의 신축 기구(5d)마다 조작부(6)가 설치되거나 함으로써, 각 연결 부재(5)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의 전환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신축 기구(5d)가 고정 상태인지 고정 해제 상태인지를 사용자에 알리기 위해, 조작부(6)가 발광부(6a)를 구비하고, 조작부(6)가 조작될 때마다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발광부(6a)가 점등하거나 소등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신축 기구(5d)의 작동이나 제어에 관련되는 배선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과 패드(8) 사이에 가능한 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술용 보조 기구에 의하면,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의 신축 가능한 고정 해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고정 상태가 전환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연결 부재(5)가 신축 가능한 고정 해제 상태일 때는 팔 지지부의 이동의 자유를 제약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완과 전완의 자유로운 자세 변화를 확보하면서, 또한 연결 부재(5)가 신축 불가능한 고정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팔 지지부(4)의 이동의 자유도를 저감시켜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를 제약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팔의 자세 변화가 제약되는 것만큼 상기 팔의 자세가 유지되게 되어 사용자의 피로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5)가 사용되어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의 상호 위치 관계의 자유도를 임의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양자의 상호 위치 관계를 완전하게 또는 대략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여 상기 팔의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대폭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은 여러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팔 지지부(4)가 좌우 한쌍인 것으로서 구비되도록 하고 있지만,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대상이 사용자의 좌우의 팔 중 한쪽뿐인 경우 등에는, 팔 지지부(4)가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이 사용자의 팔의 상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신체의 좌우로 내린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벨트(4b)가 사용자의 팔의 하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3개의 연결 부재(5) 중 2개는 항상 매달음 상태이면서 항상 받침 상태인 연결 부재(5)는 없게 하고 있지만, 팔 지지부(4)의 지지 태양[바꾸어 말하면, 연결 부재(5)의 설치 태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항상 매달음 상태인 연결 부재(5)는 한 개뿐이도록 해도 되고, 또한,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이 사용자의 팔의 하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벨트(4b)가 사용자의 팔의 상측 부분(바꾸어 말하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연결 부재(5)중 적어도 한 개가 항상 받침 태양이도록 설치[그리고, 팔 지지부(4) 측의 다른 쪽의 단부(5g)는 지지 프레임(4a)의 하면, 바꾸어 말하면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면에 연결됨]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가 3개의 연결 부재(5A, 5B, 5C)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있지만,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의 연결 태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 프레임(1)과 팔 지지부(4)가, 한 개 또는 2개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4개 이상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덧붙여 말하면, 예를 들면 우측의 팔 지지부(4)가 3개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좌측의 팔 지지부(4)가 2개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는 등, 연결 부재(5)의 개수가 좌우에서 상이하게 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팔 지지부(4)의 둘레 방향(바꾸어 말하면, 사용자의 팔 둘레)에 있어서 이격되어 적어도 3개의 연결 부재(5)가 장착되고, 또한 이들 연결 부재(5)의 신축이 제어됨으로써 바디 프레임(1)에 대한 팔 지지부(4)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호 위치 관계가 완전하게 또는 대략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정되지만, 팔의 특정한 움직임이 허용되는 쪽이 사용자에게 형편이 좋은(바꾸어 말하면, 편리성이 높은) 경우에는 허용되어야 하는 팔의 움직임이 실현될 수 있도록 개수나 설치의 방법(바꾸어 말하면, 장착 위치) 등이 조정되어 한 개 또는 2개의 연결 부재(5)가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의 모두가 신축 기구(5d)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하면서 또한 모든 연결 부재(5)의 양단(5f, 5g)이 구면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신축 기구(5d)가 고정 해제 상태일 때는 사용자의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바꾸어 말하면, 팔 지지부(4)의 모든 이동]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지만, 고정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팔 지지부(4)의 모든 이동]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 요건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의 팔의 특정한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나 특정한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좋은 경우에는, 팔의 특정한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의 연결 부재(5)로서 신축하지 않는 길이 고정인 것(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양단에 연결부를 구비하는 단순한 로드)이 사용되거나, 바디 프레임(1)이나 팔 지지부(4)와 연결 부재(5)의 연결 중 적어도 일부가 축 부재를 통하여 특정 방향만 요동 가능하도록 되거나 미리 정해진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길이 고정된 연결 부재(5)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격·체형이나 작업 내용 등에 따라서 적절한 것이 선택될 수 있도록,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 부재(5)가 준비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기구(5d)로서 둥근 막대형의 로드(5e)와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력을 이용한 고정 기구가 사용되도록 하고 있지만, 신축 기구(5d)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5e)의 출몰의 정도를 무단계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여러가지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로드(5e)의 주위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수축 가능한 인공 근육이 사용되어 상기 인공 근육과의 마찰력에 의해 로드(5e)가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이 해제되거나 하는 구성이나, 로드(5e)와 연계되는 볼 나사를 사용한 전동 액추에이터가 사용되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한 볼 나사의 제동에 의해 로드(5e)가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이 해제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6)가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의 어깨부(1d)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두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고 있지만, 조작부(6)의 장착 태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신축 기구(5d)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와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신호 송수의 구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풋 페달로서 조작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다리로 밟는 것에 의해 조작부인 풋 페달이 조작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6)의 조작편이 눌러져 조작되는 것에 의해 신축 기구(5d)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가 제어되도록 하고 있지만, 신축 기구(5d)의 제어 태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조작부(6)의 위치에 이를 대신하여 음성 검출부(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음성 검출부에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됨으로써 신축 기구(5d)가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신축 기구(5d)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음성 인식부와 기억부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음성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인식부에 입력되면서 또한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음성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일치하는 음성 패턴이 음성 인식부에 의해 검색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일치하는 음성 패턴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음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신축 기구(5d)에 입력되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바디 프레임(1)[구체적으로는,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이 전부(1c), 어깨부(1d), 및 후부(1e)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되도록 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몸통)에 장착되는 프레임이 전부(1c), 어깨부(1d), 및 후부(1e)의 모두를 가지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부(1c)와 후부(1e) 중 적어도 한쪽을 갖지 않도록 하여 몸통을 감는 벨트 등에 의해 장착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어깨부(1d)를 갖지 않도록 하여 어깨에 걸치는 벨트 등에 의해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몸통)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대체로 흉부로부터 어깨를 덮어 등의 상부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장착되는 태양 외에, 복부나 요부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상체」는, 흉부, 어깨, 및 등의 상부에 더하여, 복부, 등의 하부, 및 요부를 포함하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덧붙여 말하면,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형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형상이나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 및 형태이어도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좌우의 발광부(6a, 6a)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가기 쉽게, 우측·좌측 바디 프레임(1A, 1B) 각각의 전부(1c, 1c)로부터 전방 경사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막대 부재의 선단부(즉, 상단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팔 지지부(4)의 지지 프레임(4a)이 사용자의 팔을 둘레 방향으로 한바퀴 둘러싸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지지 벨트가 좌우 하나씩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결 부재(5) 중 바디 프레임(1)의 어깨부(1d)의 상부(바꾸어 말하면, 정부), 어깨부(1d)의 전면[또는, 전부(1c)의 전면], 또는 후부(1e)의 후면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5f)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예와 같이 신축 기구(5d)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 구체 부분이 바디 프레임(1) 측의 각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에 직접 연결되도록 해도 되고(도 16), 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 측의 각 부분과 신축 기구(5d) 사이에 설치된 양단부가 구체 형상으로 형성된 짧은 로드(5h)를 사용한 이련의 구면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련의 구면 베어링은, 오뚝이형의 베어링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련의 구면 베어링이 사용되는 것에 의해, 팔 지지부(4)의 가동 범위의 확대나,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및 팔 지지부(4)의 구속의 견확성 등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술용 보조 기구는, 예를 들면, 수술 시의 시술자나 보조자 등이 장시간에 걸쳐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특히 팔의 피로를 대폭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 등의 분야에서 이용 가치가 높다.
1 : 바디 프레임
1A : 우측 바디 프레임
1B : 좌측 바디 프레임
1c :전부
1d : 어깨부
1e : 후부
1f : 힌지
1g : 커버
2 : 물림쇠
3 : 사이드 벨트
4 : 팔 지지부
4a : 지지 프레임
4b : 지지 벨트
5 : 연결 부재
5A, 5B, 5C : 연결 부재
5d : 신축 기구
5e : 로드
5f : 연결 부재의 바디 프레임 측의 단부(한쪽의 단부)
5g : 연결 부재의 팔 지지부 측의 단부(다른 쪽의 단부)
6 : 조작부
6a : 발광부
8 : 바디 프레임(우측·좌측 바디 프레임)의 패드
9: 팔 지지부(지지 프레임)의 패드

Claims (7)

  1. 사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는 팔 지지부, 및 상기 바디 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고, 상기 연결 부재가 신축 가능한 상태와 신축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부가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신축 가능한 상태와 상기 신축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어깨부(肩部)에 설치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몰의 정도가 변화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주에 감기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는 신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조임에 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면과 상기 로드의 외주면의 마찰력으로 상기 로드를 고정(lock)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신축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항상, 상기 바디 프레임 측의 일단(一端)과 상기 팔 지지부 측의 타단(他端)이 같은 높이, 또는, 상기 바디 프레임 측의 일단보다도 상기 팔 지지부 측의 타단 쪽이 낮게 설치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흉골에 맞닿는 흉골 인접 기구가 포함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한 단수 또는 복수의 패드 부재가 장착되는, 수술용 보조 기구.
KR1020167036138A 2015-09-10 2016-09-08 수술용 보조 기구 KR20180053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8916 2015-09-10
JPJP-P-2015-178916 2015-09-10
PCT/JP2016/076479 WO2017043587A1 (ja) 2015-09-10 2016-09-08 手術用補助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03A true KR20180053203A (ko) 2018-05-21

Family

ID=5823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138A KR20180053203A (ko) 2015-09-10 2016-09-08 수술용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82947B2 (ko)
KR (1) KR20180053203A (ko)
CN (1) CN106999258A (ko)
WO (1) WO2017043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9877A1 (en) * 2017-09-29 2019-04-04 Airbus Operations Gmbh Exoskeleton System
CN108095836B (zh) * 2018-02-02 2020-06-05 吉林大学 手术用可穿戴铠甲
CN109431628A (zh) * 2018-12-25 2019-03-08 吉林大学 一种用于外科医生进行微创手术的支撑辅助装置
KR102142578B1 (ko) * 2019-04-04 2020-08-10 현대자동차(주) 착용식 장치의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085B2 (ja) * 1986-12-26 1995-06-21 日本発条株式会社 摩擦ロツク機構
JPH11253505A (ja) * 1998-03-12 1999-09-21 Sanyo Electric Co Ltd 身体補助装置
US7120954B2 (en) * 2000-12-19 2006-10-17 Laerdal Medical Corporation Head immobilizer
US7413554B2 (en) * 2003-03-28 2008-08-19 Hitachi Medical Corporation Wearable joint driving device
DE102008015040B4 (de) * 2008-03-14 2015-07-09 Karl-Heinz Wurst Vorrichtung zum Halten von zumindest einem Körperteil eines Anwenders
KR101740573B1 (ko) * 2012-08-08 2017-05-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자세 유지구
EP3395506B2 (en) * 2012-12-11 2023-04-26 Levitate Technologies, Inc.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JP2015136516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腕支持装置
JP3194865U (ja) * 2014-10-01 2014-12-11 株式会社 エリカ オプチカル 顔面ガード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43587A1 (ja) 2018-08-02
JP6782947B2 (ja) 2020-11-11
CN106999258A (zh) 2017-08-01
WO2017043587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203A (ko) 수술용 보조 기구
US7846080B2 (en) Machine and method for head, neck and, shoulder stretching
US20120316476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JP3220296U (ja) 人体ストレッチ装置
KR101574469B1 (ko)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구
JP6420737B2 (ja) 作業補助器具
JP2009291395A (ja) 歩行補助装置
WO2023153497A1 (ja) 姿勢矯正器具
CN211584049U (zh) 一种眼科用头部固定调节设备
CN210158714U (zh) 一种医生骑坐座椅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N213993865U (zh) 一种便携式脊柱辅助矫正器
CN215350306U (zh) 手术床
CN110916866A (zh) 姿势矫正装置
CN213722728U (zh) 一种骨科脊柱固定装置
JP6682211B2 (ja) 上肢サポート用クッション
CN216724910U (zh) 一种可调节式的护颈托
JP3174152U (ja) 上体支持用補助具
CN114795623B (zh) 一种肩关节脱位辅助复位装置
KR100972123B1 (ko) 조절식 척추 보조기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CN216456757U (zh) 一种医学康复用大腿内外收展装置
CN215192718U (zh) 髋关节置换术后早期功能锻炼防脱位固定支具
KR20190101225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CN215606622U (zh) 一种儿科站立康复治疗架的头部护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