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560A -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560A
KR20180052560A KR1020177035813A KR20177035813A KR20180052560A KR 20180052560 A KR20180052560 A KR 20180052560A KR 1020177035813 A KR1020177035813 A KR 1020177035813A KR 20177035813 A KR20177035813 A KR 20177035813A KR 20180052560 A KR20180052560 A KR 20180052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layer
substrate
phosphor
powder
phospho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303B1 (ko
Inventor
다다히토 후루야마
?스케 후지타
šœ스케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582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47412A1/ja
Publication of KR2018005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03B21/204LED or laser light sources using secondary light emission, e.g. luminescence or fluoresc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6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6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 C03B19/063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by hot-pressing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4/00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 C03C14/0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the non-glass component be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luminescent glass; for fluorescen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7/00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37/04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with articles made from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7/00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37/04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with articles made from glass
    • C04B37/042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with articles made from glass in a direct man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2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vitre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06Alumi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4/00Nature of the non-vitreous component
    • C03C2214/04Particles;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4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uous phase
    • C03C2217/45Inorganic continuous phases
    • C03C2217/45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6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 C03C2217/48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having a specific function
    • C03C2217/485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7Luminescent or fluor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30Composition of layers of ceramic laminates or of ceramic or metallic articles to be joined by heating, e.g. Si substrates
    • C04B2237/32Ceramic
    • C04B2237/34Oxidic
    • C04B2237/343Alumina or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50Processing 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the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70Forming laminates or joined articles comprising layers of a specific, unusual thickness

Abstract

형광체층과 기판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을 저감시키고, 사용시에 잘 파손되지 않는 파장 변환 부재를 제공한다. 기판 (10) 과, 유리 매트릭스 (21)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층 (20) 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 부재 (1). 30 ℃ ∼ 형광체층 (20) 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 (10) 의 열팽창 계수를 α1, 형광체층 (20) 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고착점 = Tf - (Tf - Tg)/3 (Tg:유리 전이점, Tf:굴복점)

Description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프로젝터용 형광 휠 등으로서 바람직한 파장 변환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발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로젝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과, 형광체층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를 사용한 발광 디바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의 광을 형광체층에서 파장 변환하여, 얻어진 형광을, 파장 변환 부재에 인접하여 형성된 반사 기판에 의해 광원의 입사측에 반사시켜 외부로 취출하는, 이른바 반사형의 형광 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반사형의 형광 휠은 외부로의 형광 취출 효율이 높고, 프로젝터를 고휘도화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형광체층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조사에 의해 발열을 수반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내열성이 높은 유리 매트릭스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층을 갖는 파장 변환 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형광체층과 반사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에서 기인하여, 양자의 계면에 응력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반사 기판으로서 금속 기판을 사용한 경우, 형광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차가 크기 때문에, 응력 변형이 커진다. 그 결과, 사용 중에 받는 진동 등에 의해, 형광체층에 크랙이 생기거나 형광체층이 반사 기판으로부터 박리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반사 기판과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차를 작게 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선행 문헌 2 에는, 반사 기판을 세라믹 기판과 금속 반사층의 2 층 구조로 하고, 세라믹 기판측의 표면에 형광체층을 형성한 파장 변환 부재 (프로젝터용 형광 휠) 가 개시되어 있다. 세라믹 기판은 금속 재료와 비교하여 열팽창 계수가 낮기 때문에, 형광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709호 국제 공개 제2015/068562호
반사 기판과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차를 작게 해도, 양자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이 충분히 작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과 형광체층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을 저감시키고, 사용시에 잘 파손되지 않는 파장 변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는, 기판과, 유리 매트릭스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층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 부재로서, 30 ℃ ∼ 상기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의 열팽창 계수를 α1,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착점은 Tf - (Tf - Tg)/3 (Tg:유리 전이점, Tf:굴복점) 으로 나타내는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 등이 검토한 결과,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기판과 형광체층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은, 그 제조 공정에서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설명된다.
기판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 부재는, 예를 들어 유리 분말 및 무기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는 그린 시트를 기판 상에 첩부하고, 소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린 시트를 소성하면, 유리 분말 및 무기 형광체 분말의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형광체층은 그 고착점에서 기판에 고착되고, 그 후 상온 부근까지 냉각시킴으로써, 기판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 부재가 얻어진다. 여기서, 30 ℃ ∼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의 차가 크면, 형광체층이 기판에 고착된 후, 강온 과정에 있어서 양자의 계면에 잔류 응력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30 ℃ ∼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의 열팽창 계수와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의 차를 상기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기판이 산화물 세라믹스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산화물 세라믹스가 다결정 알루미나 또는 단결정 사파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형광체층이, 기판에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내열성이 낮은 수지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형광체층과 기판을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한 파장 변환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접착제는 여기광의 조사열에 의해 열화되어 흑화되기 때문에, 발광 강도가 시간 경과적으로 저하되기 쉽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그러한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수지 접착제는 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형광체층과 기판을 수지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에는, 형광체층에서 발생한 열이 기판측으로 잘 방열되지 않는다. 한편, 형광체층이, 기판에 융착되어 있으면, 형광체층에서 발생한 열이 기판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되기 쉽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형광체층의 두께가 3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무기 형광체 분말이, 질화물 형광체, 산질화물 형광체, 산화물 형광체, 황화물 형광체, 산황화물 형광체, 할로겐화물 형광체 및 알루민산염 형광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 형광체층에 있어서의 무기 형광체 분말의 함유량이 30 ∼ 80 체적%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는, 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회전에 의한 방열이 용이해져, 형광체층의 승온에 수반하는 파손이나 온도 소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고휘도의 프로젝터 광원용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의 파장 변환 부재와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형광체층에 여기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광 디바이스는, 프로젝터 광원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은, 유리 분말과 무기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는 그린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그린 시트를 기판 상에 첩부하고, 소성함으로써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30 ℃ ∼ 상기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의 열팽창 계수를 α1,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착점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Tf - (Tf - Tg)/3 (Tg:유리 전이점, Tf:굴복점) 으로 나타내는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광체층과 기판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을 저감시키고, 사용시에 잘 파손되지 않는 파장 변환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장 변환 부재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장 변환 부재를 사용한 발광 디바이스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파장 변환 부재 (1))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파장 변환 부재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장 변환 부재 (1) 는, 기판 (10) 과, 그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형광체층 (20) 을 구비하고 있다. 형광체층 (20) 은, 유리 매트릭스 (21)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이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형광체층 (20) 은 기판 (10) 에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접합층으로는 유리층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매트릭스 (21) 과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층을 들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 (1) 의 형상 치수는, 파장 변환 부재 (1) 가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형상 치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 (1) 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사각판상, 원반상, 휠 형상을 들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용 광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 (10) 의 표면 (적어도 일방의 주면) 의 전체에 형광체층 (20)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판 (10) 의 표면의 일부에만 형광체층 (10)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판 (10))
기판 (10) 으로는, 산화물 세라믹스나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산화물 세라믹스로는, 다결정 알루미나, 단결정 사파이어 등을 들 수 있다. 다결정 알루미나는 다공질체여도 된다. 다결정 알루미나는 반사 기판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단결정 사파이어는 광 투과성이기 때문에, 투과형의 파장 변환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형광체층 (20))
형광체층 (20) 은, 유리 매트릭스 (21) 와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형광체층 (20) 은, 유리 분말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매트릭스 (21)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이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매트릭스 (21)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이 균일하게 분산된 형광체층 (20) 을 얻기 쉬워진다.
유리 매트릭스 (21) 의 조성으로는, 예를 들어, SiO2, B2O3 중 어느 1 종 이상을 60 ∼ 9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O2-B2O3-RO (R 은 Mg, Ca, Sr 또는 Ba) 계 유리, SiO2-B2O3-R'2O (R' 는 Li, Na 또는 Ka) 계 유리, SiO2-B2O3-RO-R'2O 계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0 ℃ ∼ 형광체층 (20) 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기판 (10) 의 열팽창 계수를 α1, 형광체층 (20) 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한다. α1 - α2 가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 서술한 이유로부터, 기판 (10) 과 형광체층 (20) 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 (기판 (10) 으로부터 형광체 (20) 에 대한 인장 응력) 이 커져, 사용시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α1 - α2 가 지나치게 큰 경우도, 기판 (10) 과 형광체층 (20) 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 (기판 (10) 으로부터 형광체 (20) 에 대한 압축 응력) 이 커져, 형광체층 (20) 이 기판 (10) 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 α1 - α2 는 -8 × 10-7 이상, 특히 -6 × 10-7 이상 (/℃) 이 바람직하고, 8 × 10-7 이하, 특히 6 × 10-7 이하 (/℃) 가 바람직하다.
무기 형광체 분말 (22) 로는,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질화물 형광체 분말,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 산화물 형광체 분말 (YAG 형광체 분말 등의 가넷계 형광체 분말을 포함한다), 황화물 형광체 분말, 산황화물 형광체 분말, 할로겐화물 형광체 분말 (할로인산염화물 분말 등) 및 알루민산염 형광체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화물 형광체 분말,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 및 산화물 형광체 분말은 내열성이 높고, 소성시에 비교적 잘 열화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질화물 형광체 분말 및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은, 근자외 ∼ 청색의 여기광을 녹색 ∼ 적색이라는 폭넓은 파장 영역으로 변환하고, 게다가 발광 강도도 비교적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질화물 형광체 분말 및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은, 특히 백색 LED 소자용 파장 변환 부재에 사용되는 무기 형광체 분말 (22) 로서 유효하다.
무기 형광체 분말 (22) 로는, 파장 300 ∼ 500 ㎚ 에 여기대를 갖고, 파장 380 ∼ 780 ㎚ 에 발광 피크를 갖는 것, 특히 청색 (파장 440 ∼ 480 ㎚), 녹색 (파장 500 ∼ 540 ㎚), 황색 (파장 540 ∼ 595 ㎚) 또는 적색 (파장 600 ∼ 700 ㎚) 으로 발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청색의 발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Sr,Ba)MgAl10O17:Eu2+, (Sr,Ba)3MgSi2O8: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녹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SrAl2O4:Eu2+, SrBaSiO4:Eu2+, Y3(Al,Gd)5O12:Ce2+, SrSiOn:Eu2+, BaMgAl10O17:Eu2+, Mn2+, Ba2MgSi2O7:Eu2+, Ba2SiO4:Eu2+, Ba2Li2Si2O7:Eu2+, BaAl2O4: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녹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SrAl2O4:Eu2+, SrBaSiO4:Eu2+, Y3(Al,Gd)5O12:Ce3+, SrSiOn:Eu2+, β-SiAlON: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황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La3Si6N11:Ce3+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황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Y3(Al,Gd)5O12:Ce3+, Sr2SiO4:Eu2+ 를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적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CaGa2S4:Mn2+, MgSr3Si2O8:Eu2+, Mn2+, Ca2MgSi2O7:Eu2+, Mn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적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로는, CaAlSiN3:Eu2+, CaSiN3:Eu2+, (Ca,Sr)2Si5N8:Eu2+, α-SiAlON:Eu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광이나 발광의 파장역에 맞춰, 복수의 무기 형광체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자외역의 여기광을 조사하여 백색광을 얻는 경우에는, 청색, 녹색, 황색, 적색의 형광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형광체층 (20) 에 있어서의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소결성이 저하되어 형광체층 (20) 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원하는 발광 강도를 얻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형광체층 (20) 에 있어서의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함유량은, 체적% 로, 20 ∼ 90 %, 30 ∼ 80 %, 특히 40 ∼ 7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평균 입자경이 지나치게 크면, 발광색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평균 입자경은 50 ㎛ 이하, 특히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평균 입자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발광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의 평균 입자경은 1 ㎛ 이상, 특히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체층 (20) 의 두께는 30 ∼ 300 ㎛, 특히 5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체층 (20) 의 두께가 지나치게 작으면, 원하는 발광 강도를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형광체층 (20) 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 형광체층 (20) 으로부터의 광의 취출 효율이 떨어져, 발광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형광체층 (20) 의 두께가 클수록 형광체층 (20) 과 기판 (10) 의 계면 응력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하기 쉬워진다.
(파장 변환 부재 (1) 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파장 변환 부재 (1) 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리 매트릭스 (21) 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 분말과, 무기 형광체 분말 (22) 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 그린 시트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혼합 분말에 대하여, 유기 용제나 수지 바인더 등을 적당량 첨가하여 혼련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은 후,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 필름 상에 시트 성형함으로써 그린 시트를 제조한다.
유리 분말의 입자경은, 최대 입자경 (Dmax) 이 200 ㎛ 이하 (특히 150 ㎛ 이하, 나아가서는 105 ㎛ 이하), 또한, 평균 입자경 (D50) 이 0.1 ㎛ 이상 (특히 1 ㎛ 이상, 나아가서는 2 ㎛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분말의 최대 입자경이 지나치게 크면, 형광체층 (20) 에 있어서 여기광이 산란되기 어려워져 발광 효율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 평균 입자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형광체층 (20) 에 있어서, 여기광이 과잉으로 산란되어 오히려 발광 효율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최대 입자경 및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그린 시트와 기판 (10) 을 적층하고, 필요에 따라 프레스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한다. 적층체를 소성함으로써 파장 변환 부재 (1) 를 얻는다. 또한, 기판 (10) 과 유리 분말은, 각각의 열팽창 계수가 상기 서술한 관계가 되는 재료를 선택한다. 소성 온도는, 치밀한 소결체를 얻기 위하여, 유리 분말의 연화점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성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무기 형광체 분말이 유리 분말 중에 용출되어 발광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소성 온도는, 유리 분말의 연화점 + 150 ℃ 이하, 특히 유리 분말의 연화점 +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디바이스 (2))
도 2 는, 파장 변환 부재 (1) 를 사용한 발광 디바이스 (2) 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발광 디바이스 (2) 는, 파장 변환 부재 (1) 와 광원 (30) 을 갖는다. 광원 (30) 은, 파장 변환 부재 (1) 에 대해 여기광 (L1) 을 조사한다. 여기광 (L1) 이 파장 변환 부재 (1) 에 있어서의 형광체층 (20) 에 입사되면, 형광 (L2) 으로 파장 변환된다. 형광 (L2) 은, 반사 기판인 기판 (10) 에 의해 반사되어 광원 (30) 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형광 (L2) 은, 광원 (30) 과 파장 변환 부재 (1) 사이에 배치된 빔 스플리터 (40) 에 의해 분리되어, 외부로 취출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1 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2 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표 1 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원료를 조합하고, 용융 급랭법에 의해 필름상으로 유리를 성형하였다. 얻어진 유리 필름을, 볼밀을 사용하여 습식 분쇄하여, 평균 입자경이 2 ㎛ 인 유리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유리 분말과, YAG 형광체 분말 (Yttrium Aluminum Garnet:Y3Al5O12, 평균 입자경 15 ㎛) 을, 체적비로, 유리 분말:형광체 분말 = 30:70 이 되도록 진동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 분말 50 g 에 결합제, 가소제, 용제 등을 적당량 첨가하고, 24 시간 혼련함으로써 슬러리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 (블레이드 갭 200 ㎛) 을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그린 시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그린 시트의 두께는 120 ㎛ 였다.
다결정 알루미나 기판 (MARUWA 제조 HA-96-2, 180 ㎜ × 15 ㎜, 두께 0.25 ㎜) 의 표면에, 동사이즈로 절단한 상기의 그린 시트를 첩부하고, 열 압착기를 사용하여 100 ℃ 에서 10 ㎪ 의 압력을 3 분 인가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적층체를 대기 중에서 600 ℃ 에서 1 시간 탈지 처리한 후, 표 1 에 기재된 소성 온도에서 30 분간 소성함으로써, 파장 변환 부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형광체층의 두께는 100 ㎛ 였다.
형광체층의 고착점 및 30 ℃ ∼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유리 분말과 YAG 형광체 분말의 혼합 분말을, 금형을 사용하여 50 ㎫ 로 프레스함으로써 압분체를 제조하였다. 압분체를 전기로로 표 1 에 기재된 소성 온도에서 60 분간 소성함으로써 치밀한 소결체를 얻었다. 얻어진 소결체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고, TMA (열기계 분석) 장치 (리가쿠 제조 Thermo Plus TMA8310) 를 사용하여 얻어진 열팽창 곡선으로부터 유리 전이점 Tg 및 굴복점 Tf 를 구하고, 고착점 = Tf - (Tf - Tg)/3 의 식으로부터 고착점을 산출하였다. 열팽창 곡선은 승온 과정에서 급격한 구배를 갖는 직선으로 변화한다. 이 굴곡점을 유리 전이점 Tg 로 하였다. 더욱 승온을 실시하면, 소결체는 연화에 의해 외관상, 신장이 정지되고 수축이 검출된다. 이 변곡점을 굴복점 Tf 로 하였다. 또 열팽창 곡선으로부터, 30 ℃ ∼ 상기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를 산출하였다. 다결정 알루미나 기판에 대해서도, TMA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열팽창 곡선으로부터, 30 ℃ ∼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를 산출하였다.
(2) 특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파장 변환 부재에 대하여, 기판과 형광체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잔존 응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판 및 형광체층은 모두 불투명체이고, 편광 현미경 등에 의한 광학적 변형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파장 변환 부재의 휨량을 측정하여 잔존 응력의 지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변환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정반 상에 가압하였을 때, 반대측의 단부와 정반의 거리를 측정하여, 휨량으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표에는 형광체층측이 오목해지도록 휘는 경우를 정 (正), 기판측이 오목해지도록 휘는 경우를 부 (負) 로서 기재하였다.
표 1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 의 파장 변환 부재는, 비교예 1, 2 의 파장 변환 부재와 비교하여, 휨량의 절대값이 작고, 기판과 형광체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잔존 응력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1 : 파장 변환 부재
2 : 발광 디바이스
10 : 기판
20 : 형광체층
21 : 유리 매트릭스
22 : 무기 형광체 분말
30 : 광원
40 : 빔 스플리터

Claims (11)

  1. 기판과, 유리 매트릭스 중에 무기 형광체 분말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층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 부재로서,
    30 ℃ ∼ 상기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열팽창 계수를 α1, 상기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단, 고착점 = Tf - (Tf - Tg)/3 (Tg:유리 전이점, Tf:굴복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산화물 세라믹스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세라믹스가 다결정 알루미나 또는 단결정 사파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이, 상기 기판에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의 두께가 30 ∼ 3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형광체 분말이, 질화물 형광체 분말,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 산화물 형광체 분말, 황화물 형광체 분말, 산황화물 형광체 분말, 할로겐화물 형광체 분말 및 알루민산염 형광체 분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에 있어서의 상기 무기 형광체 분말의 함유량이 30 ∼ 80 체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장 변환 부재와, 상기 파장 변환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형광체층에 여기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프로젝터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디바이스.
  11. 유리 분말과 무기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는 그린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그린 시트를 기판 상에 첩부하고, 소성함으로써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30 ℃ ∼ 상기 형광체층의 고착점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열팽창 계수를 α1, 상기 형광체층의 열팽창 계수를 α2 로 한 경우, -10 × 10-7 ≤ α1 - α2 ≤ 10 × 10-7 (/℃)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
    단, 고착점 = Tf - (Tf - Tg)/3 (Tg:유리 전이점, Tf:굴복점)

KR1020177035813A 2015-09-15 2016-09-02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KR102576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709 2015-09-15
JP2015181709 2015-09-15
JPJP-P-2016-005767 2016-01-15
JP2016005767A JP6740616B2 (ja) 2015-09-15 2016-01-15 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PCT/JP2016/075828 WO2017047412A1 (ja) 2015-09-15 2016-09-02 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60A true KR20180052560A (ko) 2018-05-18
KR102576303B1 KR102576303B1 (ko) 2023-09-07

Family

ID=5839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813A KR102576303B1 (ko) 2015-09-15 2016-09-02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80975A1 (ko)
JP (1) JP6740616B2 (ko)
KR (1) KR102576303B1 (ko)
CN (1) CN108026442B (ko)
TW (1) TWI726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3710B2 (ja) * 2013-12-27 2019-04-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用蛍光ホイ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ー用発光デバイス
JP6992247B2 (ja) * 2016-09-28 2022-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波長変換素子、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TWI615574B (zh) * 2017-08-18 2018-02-21 發光二極體照明燈具之燈絲載體及其製造方法
JP7022367B2 (ja) * 2017-09-27 2022-0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TWI657064B (zh) * 2017-10-05 2019-04-21 中原大學 螢光玻璃陶瓷材料、其製造方法及包括其的發光裝置
JP2020045255A (ja) * 2018-09-18 2020-03-2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波長変換部材用原料粉末
TWI712848B (zh) * 2018-09-21 2020-12-1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固定式波長轉換裝置及應用其之投影機
JP7117517B2 (ja) 2018-12-18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波長変換部材、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6922939B2 (ja) 2019-03-18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波長変換素子、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波長変換素子の製造方法
JP7279436B2 (ja) 2019-03-18 2023-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波長変換素子、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波長変換素子の製造方法
CN112178591A (zh) * 2020-09-18 2021-01-05 广州光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用波长转换装置的制备方法及波长转换装置
CN115437202A (zh) * 2021-06-04 2022-12-0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波长转换模块与投影装置
WO2023153241A1 (ja) * 2022-02-09 2023-08-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波長変換モジュール、発光装置および、波長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8308A (ja) * 2002-03-06 2003-09-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発光色変換部材
US20130163225A1 (en) * 2011-12-27 2013-06-27 Nichia Corporation Wavelength conver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3143436A (ja) * 2012-01-10 2013-07-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波長変換部材、発光デバイス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JP2015001709A (ja) 2013-06-18 2015-01-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20150116671A1 (en) * 2013-10-31 2015-04-30 Seiko Epson Corporation Fluorescence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or
WO2015068562A1 (ja) 2013-11-08 2015-05-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用蛍光ホイール及びプロジェクター用発光デバイス
US20150308637A1 (en) * 2014-04-25 2015-10-29 Delta Electronics, Inc. Illumination system and wavelength-converting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8235B2 (ja) * 2008-08-08 2015-01-0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Led装置
WO2012066881A1 (ja) * 2010-11-18 2012-05-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波長変換素子及びそれを備える光源
JP5830398B2 (ja) * 2012-02-01 2015-12-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モジュール
CN103367611B (zh) * 2012-03-28 2017-08-08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波长变换用无机成型体及其制造方法以及发光装置
JP6398351B2 (ja) * 2013-07-25 2018-10-0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蛍光体分散ガラス
CN104566229B (zh) * 2013-10-15 2016-06-08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波长转换装置的制造方法
CN104953014B (zh) * 2014-03-28 2019-01-29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结构玻璃荧光粉片及其制备方法及发光装置
US10114210B2 (en) * 2015-10-14 2018-10-30 Hisense Co., Ltd. Fluorescent wheel, double-color laser source and laser projec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8308A (ja) * 2002-03-06 2003-09-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発光色変換部材
US20130163225A1 (en) * 2011-12-27 2013-06-27 Nichia Corporation Wavelength conver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3143436A (ja) * 2012-01-10 2013-07-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波長変換部材、発光デバイス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JP2015001709A (ja) 2013-06-18 2015-01-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20150116671A1 (en) * 2013-10-31 2015-04-30 Seiko Epson Corporation Fluorescence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or
WO2015068562A1 (ja) 2013-11-08 2015-05-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用蛍光ホイール及びプロジェクター用発光デバイス
US20150308637A1 (en) * 2014-04-25 2015-10-29 Delta Electronics, Inc. Illumination system and wavelength-converting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8654A (ja) 2017-03-23
JP6740616B2 (ja) 2020-08-19
KR102576303B1 (ko) 2023-09-07
TWI726910B (zh) 2021-05-11
CN108026442A (zh) 2018-05-11
US20180180975A1 (en) 2018-06-28
TW201714016A (zh) 2017-04-16
CN108026442B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303B1 (ko)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US10557614B2 (en) Projector light source including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having porous ceramic substrate
TWI405738B (zh) 螢光體複合玻璃、螢光體複合玻璃原片,以及螢光體複合玻璃之製造方法
CN108291987B (zh) 波长转换部件和波长转换元件以及使用它们的发光装置
JP6742684B2 (ja) 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019842B2 (ja) 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WO2017047412A1 (ja) 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JP6273799B2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JP2007048864A (ja) 蛍光体複合材料
JP2017198983A (ja) 波長変換部材および投光器
CN111213075B (zh) 波长变换部件和发光装置
JP5854367B2 (ja) 蛍光体複合部材の製造方法
TW201842154A (zh) 波長轉換構件及波長轉換元件、以及使用其等之發光裝置
JP7376022B2 (ja) 蛍光体粒子分散ガラスおよび発光装置
TW201808844A (zh) 波長轉換構件
JP7019496B2 (ja) 波長変換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19011A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JP4513541B2 (ja) 光変換用セラミック複合体を用いた発光装置
TWI757521B (zh) 波長轉換構件及發光裝置
JP7022367B2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CN110494776B (zh) 波长变换部件和发光装置
JP7480472B2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
JP6656580B2 (ja) 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JP2013105647A (ja) 光源装置、発光色度調整方法、光源装置の製造方法
JP2022063277A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