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435A -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435A
KR20180048435A KR1020177002053A KR20177002053A KR20180048435A KR 20180048435 A KR20180048435 A KR 20180048435A KR 1020177002053 A KR1020177002053 A KR 1020177002053A KR 20177002053 A KR20177002053 A KR 20177002053A KR 20180048435 A KR20180048435 A KR 2018004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ire
connection structure
strand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21F15/08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making use of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08Methods for making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61M2025/09141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made of shape memory alloys which take a particular shape at a certain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91Guide wires made of twisted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금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조에 있어서, 접속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키고, 특히, 2개의 금속이 이종(異種) 금속의 경우라도, 적절히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접속 구조(1)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봉재(3)와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봉재(5)와의 사이에,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다(多)줄 코일(4)을 배치하며,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봉재(3)는, 다줄 코일(4)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접속되고,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봉재(5)는, 다줄 코일(4)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과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CONNECTION STRUCTURE AND GUIDE WIRE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2개의 금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2개의 금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조, 특히, 접속된 접속부를 유연하게 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축부(軸部)(8)와 커플링(10)을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휨부(9)에 의해서 접속한 플렉시블 샤프트(접속 구조)가 기재되어 있고, 그 코일 스프링은, 다(多)줄 코일 스프링인 점이 기재되어 있다(도 1 등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렉시블 샤프트에 의하면, 축부와 커플링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접속되고, 그 접속부가 코일 스프링이기 때문에, 접속부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렉시블 샤프트는, 축부 및 커플링을 코일 스프링의 원주(圓周) 전체에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축부와 커플링을 파지하여 만곡시킨 경우에,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약간 플렉시블 샤프트를 만곡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 축부와 커플링이 이종(異種) 금속의 경우에는, 그 점도 고려하여,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도 필요했다.
또, 이러한 접속 구조는, 복잡하게 사행(蛇行, 구불구불함)하는 혈관 내에서 사용하는 의료 기구, 특히, 가이드 와이어에서 이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0-1456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2개의 금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조에 있어서, 접속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키고, 특히, 2개의 금속이 이종 금속의 경우라도, 적절히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제1 금속과 제2 금속과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선(素線)과 상기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소선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다(多)줄 코일을 배치하며, 상기 제1 금속은, 상기 다줄 코일의 상기 제1 소선과 접속되고,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다줄 코일의 상기 제2 소선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줄 코일은,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며, 상기 제1 소선은, 상기 제2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금속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소선은, 상기 제1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금속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1 형태의 발명 또는 제2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제1 금속은 스테인리스 합금이고, 제2 금속은 니켈-티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1 형태의 발명 내지 제3 형태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접속 구조를 가지는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을 덮으며, 상기 제1 금속 또는 상기 제2 금속에 접속된 코일체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제1 금속과 제2 금속과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1 금속과 제2 금속과의 사이에,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선과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소선을 권회하여 형성된 다줄 코일을 배치하며, 제1 금속은, 다줄 코일의 제1 소선과 접속되고, 제2 금속은, 다줄 코일의 제2 소선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형태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1 형태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다줄 코일은, 제1 소선과 제2 소선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며, 제1 소선은, 제2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1 금속에 접속되고, 제2 소선은, 제1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2 금속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의 형상의 찌그러짐을 극력(極力) 방지하여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3 형태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1 형태의 접속 구조 또는 제2 형태의 접속 구조에 잇어서, 제1 금속은 스테인리스 합금이고, 제2 금속은 니켈-티탄 합금이므로, 직접 접속하는 것이 곤란한 이종 금속의 경우라도,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제4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면, 제1 형태의 접속 구조 내지 제 3 형태의 접속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접속 구조를 가지는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을 덮으며, 제1 금속 또는 제2 금속에 접속된 코일체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이므로, 코어 샤프트의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 자체를 사행하는 혈관에 추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이하, 위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제1 봉재(棒材)(3) 및 제1 금속 소선(素線)(9) 재질이 동일하고, 후술하는 제2 봉재(5) 및 제2 금속 소선(7)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제2 봉재(5) 및 제2 금속 소선(7)의 부분에만 그물 모양의 해칭(hatching)을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2개의 금속봉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1)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봉재(3)와,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봉재(5)를 접속하는 것이며, 제1 봉재(3)와 제2 봉재(5)와의 사이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다(多)줄 코일(4)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4)은, 6개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9a, 9b, 9c, 9d, 9e, 9f))와 6개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7a, 7b, 7c, 7d, 7e, 7f))을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4)은, 제1 금속 소선(9)과 제2 금속 소선(7)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봉재(3)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9a, 9b, 9c, 9d, 9e, 9f))에 용접되고,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7a, 7b, 7c, 7d, 7e, 7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도 3에서, 제1 봉재(3)와 다줄 코일(4)과의 접속부에서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9a, 9b, 9c, 9d, 9e, 9f))은,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7a, 7b, 7c, 7d, 7e, 7f))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1 봉재(3)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봉재(5)는,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7a, 7b, 7c, 7d, 7e, 7f))에 용접되고,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9a, 9b, 9c, 9d, 9e, 9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도 4에서, 제2 봉재(5)와 다줄 코일(4)과의 접속부에서는,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7a, 7b, 7c, 7d, 7e, 7f))은,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9a, 9b, 9c, 9d, 9e, 9f))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2 봉재(5)에 용접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4)은, 6개의 제1 금속 소선(9)과 6개의 제2 금속 소선(7)과의 합 12개의 금속 소선을 권회하여 형성했지만, 제1 금속 소선(9)과 제2 금속 소선(7)의 갯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금속 소선(9)과 제2 금속 소선(7)과의 합계 갯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
단, 제1 금속 소선(9) 및 제2 금속 소선(7)은, 제1 봉재(3) 및 제2 봉재(5)의 단면 원주(圓周) 전체를 덮도록, 단면 원주에 대해서 균등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1)에서는, 제1 봉재(3)를 스테인리스 합금, 제2 봉재(5)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4)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봉재(3)를 코발트 크롬 합금, 제2 봉재(5)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4)을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고, 제1 봉재(3)를 스테인리스 합금, 제2 봉재(5)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하며, 다줄 코일(4)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1)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봉재(3)와 니켈-티탄 합금 등의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봉재(5)와의 사이에,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금속 소선(9)과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 소선(7)을 권회하여 형성된 다줄 코일을 배치하며, 제1 봉재(3)는, 다줄 코일(4)의 제2 금속 소선(7)에 접속되지 않고, 다줄 코일(4)의 제1 금속 소선(9)에 접속되고, 제2 봉재(5)는, 다줄 코일(4)의 제1 금속 소선(9)에 접속되지 않고, 다줄 코일(4)의 제2 금속 소선(7)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4)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1)에 의하면, 다줄 코일(4)은, 제1 금속 소선(9)과 제2 금속 소선(7)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며, 제1 소선은, 제2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1 금속에 접속되고, 제2 소선은, 제1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2 금속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4)의 형상의 찌그러짐을 극력(極力) 방지하여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1)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과 니켈-티탄 합금과 같이 직접 접속하는 것이 곤란한 이종 금속의 경우라도,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도, 후술하는 제3 봉재(23) 및 제3 금속 소선(29)의 재질이 동일하고, 후술하는 제4 봉재(25) 및 제4 금속 소선(27)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제4 봉재(25) 및 제4 금속 소선(27)의 부분에만 그물 모양의 해칭을 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2개의 금속봉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21)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봉재(23)와,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봉재(25)를 접속하는 것이며, 제3 봉재(23)와 제4 봉재(25)와의 사이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을 권회하여 형성된 다줄 코일(24)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24)은, 6개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과 6개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을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24)은,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제3 금속 소선(29)과 제4 금속 소선(27)이 2개씩 인접하여 권회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봉재(23)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에 용접되고,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제3 봉재(23)와 다줄 코일(24)과의 접속부에서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은,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 2개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3 봉재(23)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봉재(25)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에 용접되고,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제4 봉재(25)와 다줄 코일(24)과의 접속부에서는,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은,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 2개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4 봉재(25)에 용접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24)은,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 중 2개를 1조(組)로 하고,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 중 2개를 1조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금속 소선(29(29a, 29b, 29c, 29d, 29e, 29f)) 중 3개를 1조로 하고, 제4 금속 소선(27(27a, 27b, 27c, 27d, 27e, 27f)) 중 3개를 1조로 해도 좋다.
단, 제3 금속 소선(29) 및 제4 금속 소선(27)은, 전금속(全金屬) 소선으로 제3 봉재(23) 및 제4 봉재(25)의 단면 원주 전체를 덮도록, 단면 원주에 대해서 균등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21)에서는, 제3 봉재(23)를 스테인리스 합금, 제4 봉재(5)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24)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3 봉재(23)를 코발트 크롬 합금, 제4 봉재(25)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24)을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고, 제3 봉재(23)를 스테인리스 합금, 제2 봉재(25)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24)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21)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3 봉재(23)와 니켈-티탄 합금 등의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4 봉재(25)와의 사이에,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금속 소선(29)과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4 금속 소선(27)을 권회하여 형성된 다줄 코일을 배치하며, 제3 봉재(23)는, 다줄 코일(24)의 제3 금속 소선(29)과 접속되고, 제4 봉재(25)는, 다줄 코일(24)의 제4 금속 소선(27)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24)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21)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과 니켈-티탄 합금과 같이 직접 접속하는 것이 곤란한 이종 금속의 경우라도,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도, 후술하는 코어 샤프트(33)의 제1 원통부(33a), 제1 테이퍼부(33b), 제2 원통부(33c), 제2 테이퍼부(33d), 제3 원통부(33e) 및 제5 금속 소선(39)의 재질이 동일하고, 후술하는 코어 샤프트(33)의 제4 원통부(33g) 및 제6 금속 소선(37)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코어 샤프트(33)의 제4 원통부(33g) 및 제6 금속 소선(37)의 부분에만 그물 모양의 해칭을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가이드 와이어(40)는, 코어 샤프트(33)와 코어 샤프트(33)의 선단을 덮는 코일체(48)를 구비한다.
코일체(48)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單)줄의 코일체이고,
코어 샤프트(33)는, 선단으로부터, 제1 원통부(33a), 제1 테이퍼부(33b), 제2 원통부(33c), 제2 테이퍼부(33d), 제3 원통부(33e) 및 제4 원통부(33g)와, 제3 원통부(33e)와 제4 원통부(33g)와의 사이에 배치된 다줄 코일체(33f)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원통부(33a), 제1 테이퍼부(33b), 제2 원통부(33c), 제2 테이퍼부(33d) 및 제3 원통부(33e)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단면이 환형(丸形)인 금속봉체이며, 제4 원통부(33g)는,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단면이 환형인 금속봉체이다.
또, 다줄 코일(33f)은, 6개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과 6개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을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48)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줄의 코일체이며, 그 선단부는, 코어 샤프트(33)의 제1 원통부(33a)의 선단에 납땜되어 선단 납땜부(42)를 구성하고 있다.
또, 코일체(48)의 기단부는, 코어 샤프트(33)의 제2 원통부(33c)에 납땜되어 기단 납땜부(46)를 구성하며, 코일체(48)의 중간부는, 코어 샤프트(33)의 제1 테이퍼부(33b)에 납땜되어 중간 납땜부(44)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33f)은, 6개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과 6개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을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33f)은, 제5 금속 소선(39)과 제6 금속 소선(37)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3 원통부(33e)는, 다줄 코일(33f)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에 용접되고, 다줄 코일(33f)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제3 원통부(33e)와 다줄 코일(33f)과의 접속부에서는,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은,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3 원통부(33e)에 용접되어 있다.
한편,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4 원통부(33g)는, 다줄 코일(33f)의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에 용접되고, 다줄 코일(33f)의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에는 용접되어 있지 않다.
또, 제4 원통부(33g)와 다줄 코일(33f)과의 접속부에서는, 제6 금속 소선(37(37a, 37b, 37c, 37d, 37e, 37f))은, 제5 금속 소선(39(39a, 39b, 39c, 39d, 39e, 39f))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4 원통부(33g)에 용접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줄 코일(33f)은, 6개의 제5 금속 소선(39)과 6개의 제6 금속 소선(37)과의 합 12개의 금속 소선을 권회하여 형성했지만, 제5 금속 소선(39)과 제6 금속 소선(37)의 갯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5 금속 소선(39)과 제6 금속 소선(37)과의 합계 갯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
단, 제5 금속 소선(39) 및 제6 금속 소선(37)은,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 및 제4 원통부(33g)의 단면 원주 전체를 덮도록, 단면 원주에 대해서 균등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를 스테인리스 합금, 코어 샤프트(33)의 제4 원통부(33g)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33f)를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를 코발트 크롬 합금, 코어 샤프트(33)의 제4 원통부를 니켈-티탄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33f)을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과 니켈-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고,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를 스테인리스 합금, 코어 샤프트(33)의 제4 원통부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하고, 다줄 코일(33f)를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과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을 권회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40)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와 니켈-티탄 합금 등의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4 원통부(33g)와의 사이에,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5 금속 소선(39)과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6 금속 소선(37)을 권회하여 형성된 다줄 코일(33f)을 배치하며,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는, 다줄 코일(33f)의 제5 금속 소선(39)과 접속되고, 제4 원통부(33g)는, 다줄 코일(33f)의 제6 금속 소선(37)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33f)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행하는 혈관에 적절히 추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40)에 의하면, 다줄 코일(33f)은, 제5 금속 소선(39)과 제6 금속 소선(37)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며, 제5 금속 소선(39)은, 제6 금속 소선(37)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코어 샤프트(33)의 제3 원통부(33e)에 접속되고, 제6 금속 소선(37)은, 제5 금속 소선(39)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제4 원통부(33g)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줄 코일(33f)의 형상의 찌그러짐을 극력 방지하여 접속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를 가이드 와이어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를 가이드 와이어에 적용할 수도 있고, 그 때에는,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줄 코일의 금속 소선은, 봉재 또는 코어 샤프트에 용접되는 것으로 했지만, 용접 이외의 접속 방법이라도 좋다. 단, 금속의 접속의 용이성에서 보면, 용접이 바람직하다.
1, 21 - 접속 구조 3, 5, 23, 25 - 봉재
4, 24, 33f - 다줄 코일 7, 9, 27, 29, 37, 39 - 금속 소선
33 - 코어 샤프트 40 - 가이드 와이어
48 - 코일체

Claims (4)

  1. 제1 금속과 제2 금속과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선(素線)과 상기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소선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다(多)줄 코일을 배치하며,
    상기 제1 금속은, 상기 다줄 코일의 상기 제1 소선과 접속되고,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다줄 코일의 상기 제2 소선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줄 코일은,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이 1개씩 인접하여 권회되며,
    상기 제1 소선은, 상기 제2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금속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소선은, 상기 제1 소선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금속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금속은 스테인리스 합금이고, 제2 금속은 니켈-티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속 구조를 가지는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을 덮으며, 상기 제1 금속 또는 상기 제2 금속에 접속된 코일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KR1020177002053A 2016-09-14 2016-09-14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 KR20180048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7176 WO2018051440A1 (ja) 2016-09-14 2016-09-14 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構造を備えたガイドワイ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435A true KR20180048435A (ko) 2018-05-10

Family

ID=6155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53A KR20180048435A (ko) 2016-09-14 2016-09-14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76253B2 (ko)
EP (1) EP3514402B8 (ko)
JP (1) JP6304846B1 (ko)
KR (1) KR20180048435A (ko)
CN (2) CN111265759A (ko)
WO (1) WO2018051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4402B8 (en) * 2016-09-14 2023-09-06 Asahi Intecc Co., Ltd. Connection structure, and guide wire provided with connection structure
JP7089994B2 (ja) * 2018-09-05 2022-06-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管状体
CN111891826B (zh) * 2020-08-05 2021-11-19 中北大学 一种多股并绕的导丝及其制备装置和制备方法
DE102022117162A1 (de) * 2022-07-11 2024-01-11 Phenox Gmbh Führungsdrah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6783A (en) * 1954-04-08 1956-07-31 United States Steel Corp Wire-tying machine
JPS6216504A (ja) * 1986-07-25 1987-01-24 Fujitsu Ltd 整列巻回コイルの製造方法
JPH0623543A (ja) 1992-01-16 1994-02-01 Nippon Steel Corp 二重管の管端シール溶接方法
JP2589666Y2 (ja) * 1992-08-26 1999-02-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医療用のガイドワイヤ
US5503375A (en) * 1994-11-09 1996-04-02 Bal Seal Engineering Company, Inc. Coil spring with ends adapted for coupling without welding
US5980471A (en) * 1997-10-10 1999-11-0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 Inc. Guidewire with tubular connector
JP2000145660A (ja) 1998-11-04 2000-05-26 Shin Nippon Machinery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US20040127820A1 (en) * 2001-09-05 2004-07-01 Clayman Ralph V. Guidewire
US6918882B2 (en) * 2001-10-05 2005-07-19 Scimed Life Systems, Inc. Guidewire with stiffness blending connection
JP3762290B2 (ja) * 2001-12-03 2006-04-0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4203358B2 (ja) * 2002-08-08 2008-12-24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7153277B2 (en) * 2002-12-03 2006-12-26 Scimed Life Systems, Inc. Composite medical device with markers
US20040193073A1 (en) 2003-03-31 2004-09-30 Demello Richard M. Composite guidewire with a linear elastic distal portion
US7758520B2 (en) * 2003-05-27 2010-07-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having segmented construction
JP3694312B1 (ja) * 2005-01-26 2005-09-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CA2636266A1 (en) * 2006-01-12 2007-07-19 Minnesota Medical Development, Inc. Titanium molybdenum alloy guidewires
US20080051676A1 (en) * 2006-08-24 2008-02-28 Melsheimer Jeffry S Extendable Wire Guide system
JP2008161491A (ja) * 2006-12-28 2008-07-17 Asahi Intecc Co Ltd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20090177119A1 (en) * 2008-01-03 2009-07-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rticulating intracorporeal medical device
JP2010084932A (ja) * 2008-10-02 2010-04-15 Hajime Akagi ばね圧調整式コイルばねおよびばね圧調整方法
WO2010068804A1 (en) * 2008-12-10 2010-06-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of forming a joint between a titanium alloy member and a steel alloy member and medical device comprising said joint
JP4993632B2 (ja) * 2009-06-16 2012-08-0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4963326B2 (ja) * 2010-06-03 2012-06-2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120283700A1 (en) * 2011-05-04 2012-11-08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ulti-metal guide wire coil
JP5392792B2 (ja) * 2011-06-06 2014-01-2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626801B2 (ja) * 2011-06-10 2014-11-1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3094343A (ja) * 2011-10-31 2013-05-20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US9968762B2 (en) * 2012-08-08 2018-05-1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Wire guide with multiple tips
JP5862801B2 (ja) * 2012-12-11 2016-02-16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EP3514402B8 (en) * 2016-09-14 2023-09-06 Asahi Intecc Co., Ltd. Connection structure, and guide wire provided with connection structure
WO2019109063A2 (en) * 2017-12-03 2019-06-06 Paul Ram H Jr Mri compatible interventional wire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1440A1 (ja) 2018-03-22
JP6304846B1 (ja) 2018-04-04
EP3514402B1 (en) 2023-08-02
EP3514402A4 (en) 2020-05-27
CN111265759A (zh) 2020-06-12
CN108603552A (zh) 2018-09-28
US20180071495A1 (en) 2018-03-15
US20200179658A1 (en) 2020-06-11
EP3514402A1 (en) 2019-07-24
US10576253B2 (en) 2020-03-03
US11654265B2 (en) 2023-05-23
CN108603552B (zh) 2020-03-17
JPWO2018051440A1 (ja) 2018-09-13
EP3514402B8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8435A (ko)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구조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
CN105983168B (zh) 导管
JP5278432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5550150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13094343A (ja) ガイドワイヤ
EP2415497A1 (en) Guidewire
CN104857613A (zh) 导丝
EP2921195A1 (en) Guide wire
JP6624600B2 (ja) カテーテル
JP6482766B2 (ja) ガイドワイヤ
JP2015036090A (ja) コイル体及びそのコイル体を用いたガイドワイヤ
JP6148587B2 (ja) ガイドワイヤ
JP5626801B2 (ja) ガイドワイヤ
JP2012182000A (ja) 電線
JP6515012B2 (ja) ガイドワイヤ
JP6153503B2 (ja) ガイドワイヤ
JP6685088B2 (ja) ガイドワイヤ
KR20200108039A (ko) 카테터
JP7323395B2 (ja) 電磁波遮蔽体
JP7366598B2 (ja) ガイドワイヤ
JP2023108341A (ja) コイル体
JP2010069518A (ja) クラッド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84957A (ja) ガイド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