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682A -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682A
KR20180046682A KR1020160142156A KR20160142156A KR20180046682A KR 20180046682 A KR20180046682 A KR 20180046682A KR 1020160142156 A KR1020160142156 A KR 1020160142156A KR 20160142156 A KR20160142156 A KR 20160142156A KR 20180046682 A KR20180046682 A KR 2018004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core
methacrylic acid
acid copolymer
enteri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350B1 (ko
Inventor
권택관
장승훈
임호택
김용일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4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350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9008402A priority patent/BR112019008402A2/pt
Priority to EP17866143.5A priority patent/EP3513784A4/en
Priority to CN201780067122.4A priority patent/CN109890372B/zh
Priority to AU2017349091A priority patent/AU2017349091A1/en
Priority to JP2019519729A priority patent/JP2019532960A/ja
Priority to EA201990704A priority patent/EA201990704A1/ru
Priority to MX2019004938A priority patent/MX2019004938A/es
Priority to PCT/KR2017/011571 priority patent/WO2018080104A1/ko
Priority to US16/345,456 priority patent/US11052048B2/en
Publication of KR2018004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50B1/ko
Priority to PH12019500919A priority patent/PH12019500919A1/en
Priority to ZA2019/02867A priority patent/ZA201902867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0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psule or the structure of the filling; Capsules containing small tablets; Capsules with outer layer for immediate drug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91Coated capsules; Multilayered drug free capsul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용출부; 및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용출부를 포함하는 복합 캡슐제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Combined capsules containing esomeprazol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용성을 나타내어 위에서 활성성분이 용출되지 않고, 장에서 이중 방출 특성을 나타내어 연장된 시간동안 활성성분의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약효가 지속될 수 있는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S)-5-메톡시-2-[(4-메톡시-3,5-디메틸피리딘-2-일)메틸설피닐]-3H-벤조이미다졸)은 오메프라졸(Omeprazole)의 2개의 광학이성질체 중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S)-광학이성질체로서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 Proton Pump Inhibitor)의 일종이다.
에스오메프라졸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로서 산 분비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위산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에스오메프라졸을 포함한 프로톤 펌프 억제제는 산성 조건에서 분해되거나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장용성 코팅층의 도입에 의해 위에서 위산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여 약물의 분해를 방지하고, 장에서 용출되어 흡수되기 위한 장용성 제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왔다.
또한, 종래 에스오메프라졸 제제는 복용한 후, 지속시간이 짧아 12시간 이상 경과하면 위산이 분비되어 위장 내 pH가 떨어져 속쓰림과 같은 증상이 관찰되는 등의 문제가 발견되곤 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의약의 투여빈도를 늘릴 수 있으나, 의약의 투여빈도를 늘릴 경우 환자의 복약 순응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산성을 가지면서 보다 지속적으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경구 제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산성을 가져 위장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에서 이중방출 특성을 나타내어 지속적인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용출부; 및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용출부를 포함하는 복합 캡슐제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약제학적 첨가제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에 내피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1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별도로,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2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를 함께 캡슐제에 충전하여 복합 캡슐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는, 내산성을 가져 위액에 노출되어 분해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장 내에 도달 시 속방출이 가능한 제1용출부 및 지연방출이 가능한 제2용출부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장시간 지속적인 약효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는 1일 1회 투여 시에도 투약 12시간 이후에 속쓰림이 나타나는 부작용 없이 지속적인 약효발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제1용출부의 코어(적색) 및 제2용출부의 코어(청색)는 모두 미니정제인 복합 캡슐제의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실시예 1-3및 비교예 1-2의 제1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실시예 4-7 및 비교예 3-8의 제2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시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8-9 및 비교예 9의 복합 캡슐제의 용출시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 양상에 있어서,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용출부; 및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용출부를 포함하는 복합 캡슐제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를 제공한다.
상기 에스오메프라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예를 들어 마그네슘(Mg)염, 스트론튬(Sr)염,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 염 등의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에스오메프라졸의 마그네슘염 또는 스트론튬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무수물 또는 수화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는 캡슐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고형 제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펠렛, 미니정제, 정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어는 미니정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형에 가까운 미니정제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용출부 및/또는 제2용출부는 다중 투여 단위 정제(Multi-Unit Spheroidal Tablets, MUST)로서 상기 복합 캡슐제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용출부의 코어 및 제2용출부의 코어는 모두 미니정제의 형태를 가져, 모두 MUST로서 상기 복합 캡슐 내에 충진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
상기 미니정제는 지름이 1 mm 내지 4 m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mm 내지 3 mm일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는 캡슐 내부 공간에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로서 각각 최소 4개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 내지 40개의 독립층으로 구분되는 미니정제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활성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함께, 당해 기술분야에서 코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약제학적 첨가제가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는 희석제(diluents),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윤활제(lubricants),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nti-oxidants), 방부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희석제로는 만니톨, 미결정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2염기성 또는 3염기성 인산칼슘, 에리트리톨,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프리젤라틴화(pregelatinized) 전분, 소르비톨, 자일리톨,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만니톨 및/또는 미결정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코포비돈(비닐피롤리돈의 기타 비닐유도체와의 공중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프리젤라틴화 전분,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옥수수 전분,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프리젤라틴화 전분,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로는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폴리에틸렌글리콜, 베헨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은, 상기 코어와 장용성 코팅층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상기 복합 캡슐제의 투여 후 장용성 코팅층의 붕괴 시 코어 내의 활성성분의 방출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친수성 고분자를 코팅 기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내피 코팅층의 코팅기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L), 전분(Starch), 젤라틴(gelatin), 에틸셀룰로오스(E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기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내피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를 내피 코팅 코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내피 코팅층의 함량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 구체예에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약 3-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가 모두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므로, 강산성의 위 내에서 내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위를 거쳐 장에 도달 시에는 활성성분이 제1용출부로부터 1차 방출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지연된 시간 이후에 순차적으로 제 2 용출부로부터 2차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위에서 약물의 분해를 회피하고, 장에 도달 시 신속한 약물의 용출이 이루어져 빠른 약효를 나타낼 수 있고, 약물의 이중 방출에 의해 장시간 약효가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출부에 포함되는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함유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에틸아크릴레이트 (ethyl-acrylate)가 약 1:1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공중합체(anionic copolymer)로서, 용액상태로 존재하며, 상품명 유드라짓 L30 D-55 (Eudragit L30 D-55)으로 시판중인 물질이다.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ethyl acrylate) 1:1이다.
상기 제 2 용출부에 포함되는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보다 구체적으로는 2:1 내지 3:1(w/w)의 비율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가 약 1:2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성 공중합체(anionic copolymers)로, 상품명 유드라짓 S-100(Eudragit S-100)으로 시판 중인 물질이며,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methyl methacrylate) 1:2 이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가 약 1:1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성 공중합체(anionic copolymers)로, 상품명 유드라짓 L-100(Eudragit L-100)으로 시판 중인 물질이다.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methyl methacrylate) 1:1 이다.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의 코팅 기제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는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 내지 50% (w/w), 보다 구체적으로는 8 내지 30% (w/w)로 함유될 수 있다.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 (w/w) 미만일 경우, 빠른 용출율을 나타낼 수 있지만, 0.1N HCl수용액에서 내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경구 투여 시 위장 내의 산성 환경에서PPI 계열 특성상 활성성분의 분해가 이루어져 약효를 나타내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0% (w/w) 초과로 코팅될 경우, 0.1N HCl 수용액에서 충분한 내산성을 가질 수 있지만, 위를 통과한 후 장에서 활성성분의 용출이 과도하게 느려져 생체 내에서 약물흡수가 지연되어 약효가 늦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의 코팅 기제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비는 1.5:1 내지 3.5:1(w/w), 보다 구체적으로는 2:1 내지 3:1(w/w)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pH에 용해되는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위를 거쳐 장에 도달 시에 신속한 방출이 이루어져, 이중방출 특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보다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불용성 성분인 메타트릴산 코폴리머 S의 비율이 증가하여, 약물 방출이 과도하게 지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약물의 완전한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배설되어 생체이용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혼합물은 고형분으로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15 내지 40 %(w/w),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5 %(w/w)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에 미달될 경우, 제2용출부가 목적으로 하는 용출 지연이 확보되지 않고 장에 도달 시 빠른 용출이 이루어져 이중방출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을 초과할 경우, 장용성 코팅층이 두꺼워져 2차 용출부의 약물 방출이 과도하여 지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약물의 완전한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배설되어 생체이용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활성성분을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 내에 적절한 비율 범위로 분리하여 함유할 수 있으며, 원하는 용출 특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상기 제1방출부 및 제2방출부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리염기로서 각각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를 구성하는 캡슐은 경질 캡슐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경질 캡슐일 수 있다. 상기 경질캡슐의 기제는 예를 들어, 젤라틴, 히프로멜로오스, 풀루란(NP caps TM등, Capsugel사),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질 캡슐은 당해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사이즈의 캡슐일 수 있다. 캡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호수의 캡슐 사이즈가 상용되고 있는데, 00호 캡슐 (캡슐 캡 지름 8.5mm, 캡슐 길이 23.3mm)과 같이 큰 사이즈의 캡슐은 노인들이나 어린아이들과 같이 체구가 작은 환자들이 복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부피의 증가에 따른 휴대편의성 역시 나빠질 수 있다. 일 구체에에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캡슐 안에 충전되는 정제 또는 과립의 질량한계(mass limit)를 고려하여 0호, 1호, 2호, 3호 또는 4호 캡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호, 2호, 또는 3호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강산성 환경인 위에서는 활성성분의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장에 도달 시 pH 5.5 이하 범위의 장내에서 제1용출부로부터 활성성분의 1차 방출이 신속히 진행되고, pH 6.5 내지 7.0 범위의 장내에서 2차 용출부로부터 활성성분의 2차 방출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용출시험 시, 0.1N HCl수용액 중에서 2시간 방치하고, pH 6.7 내지 6.9 인공장액으로 이동하여 용출시험할 경우, 처음 2 시간 동안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인공장액에서 용출이 개시되어 용출시험 개시 후 150분에 1차 용출부의 활성성분의90%(w/w) 이상이 방출되는 제1용출부로부터의1차 용출, 용출시험 개시 후 180분의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2차 용출부로부터 활성성분의 용출이 개시되어 360분에 용출이 완료되는(99% 이상) 2차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80분의 지연시간 동안에는, 2차 용출부의 활성성분의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용출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미국약전(USP) 제2법 패들법에 따라 회전수 100 rpm, 37±0.5 ℃에서 0.1N HCl 수용액 중에서 120분 동안 용출시험 후, 연속적으로 pH 6.7-6.9인 인공장액으로 이동(transfer)하여 240분동안 용출시험 시,
0.1N HCl에서 120분 동안 내산성을 가지면서,
인공장액 중에서 60분동안 55% 이하의 활성성분이 용출되며, 240분 동안 95% 이상의 활성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시험예 4 참조).
따라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위에서 활성성분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고, 장에서의 이중방출이 이루어져, 충분한 생체 이용율 및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투여 빈도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므로 그 활성성분이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미래에 새롭게 밝혀질 수 있는 임의의 적응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으로 구성된 군에선 선택된 위산 과다분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1일 1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약제학적 첨가제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에 내피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1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별도로,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2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를 함께 캡슐제에 충전하여 복합 캡슐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양상에 따른 경구용 고형제제의 제조방법의 상세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경구용 고형제제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상세는 통상의 기술자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제조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의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의 코어가 미니정제(MUST) 또는 정제일 경우, 직접 압축법 또는 간접 압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간접 압축법은 건식과립 또는 습식과립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어의 제조방법은
(a)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희석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에 붕해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 의 혼합물을 건식 과립화한 후, 타정하여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상기 내피 코팅층, 제1장용성 코팅층, 및 제2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코팅하는 임의의 코팅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 함유 코어 및 내피 코팅층의 형성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과 만니톨을 혼합한 후 30 메쉬 원형체로 체과하였다. 그 혼합물을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과 함께 빈 블렌더에 넣어 15 분간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혼합물을 롤러 컴팩터(Roller compactor)에 투입하여 건식 과립화하여 얻어진 과립을 20 메쉬 원형체로 체과하였다.
그런 다음, 지름이 2.0 mm인 MUST 펀치로 경도 약 1 내지 2 kp이며 1정당 중량이 7.5 mg인 미니정제 10 정을 타정하여 MUST를 형성하였다.
[표 1]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 코어의 조성
Figure pat00001
상기 제조된 미니정제를 유동층 코팅기에서 하기 표 2의 조성의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1 정당 중량이 7.88 mg인 내피 코팅 미니정제를 획득하였다.
[표 2] 내피 코팅층의 조성
Figure pat00002
제조예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제 1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제조
유동층 과립기에서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상기 내피 코팅 미니정제를 코팅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제 1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제1장용성 코팅기제인 유드라짓 L30 D-55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5 내지 50%(w/w)로 코팅하였으며, 비교예 1 및 2는 각각 4% (w/w) 및 51%(w/w)로 코팅하였다.
[표 3] 제1장용성 코팅층의 조성
Figure pat00003
제조예 3: 실시예 4-7 및 비교예 3-8
제 2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제조
유동층 과립기에서 하기 표 4 및 5의 조성에 따라 상기 제조예 1의 내피 코팅 미니정제를 코팅하여 실시예 4-7 및 비교예 3-8의 제 2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및 5는 유드라짓 S-100 및 L-100의 2:1 혼합물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25-35%(w/w)로 코팅하였으며, 실시예 6 및 7는 유드라짓 S-100 및 L-100의 3:1 혼합물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20-30%(w/w)로 코팅하였다.
[표 4] 실시예 4-7의 제2 장용성 코팅층의 조성
Figure pat00004
비교예 3 및 4는 유드라짓 S-100 및 L-100의 2:1 혼합물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각각 10.15 및 40.61%(w/w)로 코팅하였고, 비교예 5 및 6은 유드라짓 S-100 및 L-100이 3:1 혼합물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각각 10.15 및 40.61%(w/w) 코팅하였으며, 비교예 7 및 8 은 유드라짓 S-100 및 L-100의 6:1 혼합물을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각각 10.15 및 20.30%(w/w) 함량으로 코팅하였다.
[표 5] 비교예 3-8의 제2 장용성 코팅층의 조성
Figure pat00005
제조예 4: 실시예 8-9 및 비교예 9
제 1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 및 제 2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포함하는 복합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 1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 10정과 실시예 4의 제 2 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 10정을 함께, 주기제가 젤라틴인 젤라틴 경질 캡슐 2호에 충전하여 실시예 8의 복합 캡슐제(에스오메프라졸로서 40 mg 함유) 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7의 미니정제를 충전하여 실시예 9의 복합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미니정제를 충전하여 비교예 9의 복합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캡슐 종류에 따른 복합 캡슐제의 제조
경질캡슐의 주 기제가 히프로멜로오스인 히프로멜로오스 캡슐에 충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경질캡슐의 주 기제가 플루란인 플루란 캡슐에 충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제1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율 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제1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 하에서 시간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 용출조건
용출액 : 0.01N HCl 300mL(2시간) → 인공장액 1,000 mL(pH 6.8)
장치 : USP 패들법, 100 rpm
온도 : 37℃
용출율 측정시간 : 60, 120, 125, 130, 135, 150, 165, 180분
- 분석조건
사용기기 : HPLC(Hitachi 5000 series, 일본)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 302 nm)
컬럼 : 안지름 약 4.0 mm, 길이 약 10 cm인 스테인레스강관에 입경
5 μ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이 충전된 컬럼
이동상 -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3) : 아세토니트릴 : 정제수
= 50 : 35 : 15
유속 : 1.0 mL/분
컬럼 온도 : 30℃
실시예 1-3의 용출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6
상기 표 6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미니정제는 0.1N HCl 에서 2시간 동안 내산성을 가지며, 그 후 인공장액 (pH 6.8)에서 30분(용출시험 개시 후 150분)에 90% 이상의 용출율을 나타내어 속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2의 용출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장용성 코팅층으로서 유드라짓 L30 D-55를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4%(w/w) 코팅한 비교예 1은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비 낮은 코팅비율로 인해, 충분한 내산성을 가지기 어려웠으며 0.1N HCl 중에서 120분 시점에 10% 방출이 진행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의 미니정제는 산성 환경에서 분해가 일어나는 에스오메프라졸 약물 특성으로 인해 최종 용출률이 100%가 나오지 않았다.
또한, 제1장용성 코팅층으로서 유드라짓 L30 D-55를 내피 코팅 미니정제에 대해 51%(w/w) 코팅한 비교예 2는 충분한 내산성을 확보하였으나, 150분에 85%의 용출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스오메프라졸의 흡수가 느려져 약효발현 시간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시험예 2: 제1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내산성 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제1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이용하여, 하기 기재된 내산성 조건 하에서 2 시간 동안 방치 후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함량으로서 내산성을 측정하였다. 10개의 미니정제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 내산성조건
시험액 : 0.01N HCl
장치 : USP 패들법, 100 rpm
온도 : 37℃
시간 : 2시간 방치
- 분석조건
사용기기 : HPLC(Hitachi 5000 series, 일본)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 302 nm)
컬럼 : 안지름 약 4.0 mm, 길이 약 10 cm인 스테인레스강관에 입경
5 μ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이 충전된 컬럼
이동상 -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3) : 아세토니트릴 : 정제수
= 50 : 35 : 15
유속 : 1.0 mL/분
컬럼 온도 : 30℃
[표 8] 내산성 시험 결과
Figure pat00008
상기 표 8에 나타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0.1N HCl에서의 내산성 시험 결과, 코팅층의 비율이 낮은 비교예 1은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 함량에 있어서 약 10.0%의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예 1을 제외한 나머지 샘플에서는 내산성 시험 후 원래의 활성성분 함량과 유사한 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제2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율 시험
실시예 4-7 및 비교예 3-8의 제2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를 이용하여, 하기 기재된 조건 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 용출조건
용출액 : 0.1N HCl 300mL → 인공장액 1,000 mL(pH 6.8)
장치 : USP 패들법, 100 rpm
온도 : 37℃
용출시간 : 60, 120, 150, 180, 210, 240, 300, 360분
- 분석조건
사용기기 : HPLC(Hitachi 5000 series, 일본)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 302 nm)
컬럼 : 안지름 약 4.0 mm, 길이 약 10 cm인 스테인레스강관에 입경
5 μ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이 충전된 컬럼
이동상 -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3) : 아세토니트릴 : 정제수
= 50 : 35 : 15
유속 : 1.0 mL/분
컬럼 온도 : 30℃
실시예 4-7의 제2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률 측정 결과를 표 9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pat00009
상기 표 9 및 도 4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7은 0.1N HCl에서 2시간 동안 용출이 이루지지 않아 내산성이 확보되었으며, 그 후 인공장액 (pH 6.8)에서 60분 이상의 약물의 방출지연이 이루어졌으며, 일단 약물의 방출이 시작되고 난 후에는 신속한 방출이 나타났다.
유드라짓 S 및 유드라짓 L 비율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0.1N HCl에서 120분 동안 내산성 확보 후, 인공장액에서 60분 동안은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이 거의 방출되지 않다가 인공장액에서 60분이 경과한 시점부터 급속하게 방출이 시작되어, 360분 경과시점에는 99% 이상의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이 방출되는 매우 우수한 방출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의 특성상 360분 시점에서 90% 이상의 용출률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약물의 용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배설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4-7은 충분한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3-8의 제2장용성 코팅층-형성 미니정제의 용출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10]
Figure pat00010
상기 표 10 및 도 5의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 3, 5, 7의 미니정제의 경우, 낮은 중량비율의 제2장용성 코팅층으로 인해 0.1N HCl에서 2시간 동안 내산성 확보가 어려웠다. 비교예 4, 6, 8의 미니정제의 경우, 높은 중량비율의 제2장용성 코팅층으로 인해 내산성이 확보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공 장액 중에서도 약물의 방출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미니정제는 6 시간 경과 시에도 약물의 방출이 90%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약물의 방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배설될 우려가 있다.
시험예 4: 복합 캡슐제의 용출율 시험
실시예 8-9 및 비교예 9의 복합 캡슐제를 이용하여, 하기 기재된 조건 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 용출조건
용출액 : 0.1N HCl 300mL → 인공장액 1,000 mL(pH 6.8)
장치 : USP 패들법, 100 rpm
온도 : 37℃
용출시간 : 60, 120, 125, 130, 135, 150, 165, 180, 210, 240, 300, 360분
- 분석조건
사용기기 : HPLC(Hitachi 5000 series, 일본)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 302 nm)
컬럼 : 안지름 약 4.0 mm, 길이 약 10 cm인 스테인레스강관에 입경
5 μm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이 충전된 컬럼
이동상 -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3) : 아세토니트릴 : 정제수
= 50 : 35 : 15
유속 : 1.0 mL/분
컬럼 온도 : 30℃
상기 용출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표 11]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의 용출률
Figure pat00011
상기 표 11 및 도 6의 결과에 따르면, 제1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미니정제 및 제2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미니정제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복합 캡슐제인 실시예 8-9는 0.1N HCl에서 2시간 동안 내산성이 확보된 다음 인공장액에서 1차 방출 이후, 2차 방출시작 전에 약 45분 이상 방출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6의 그래프에 따르면 이러한 이중 방출 특성이 명확히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8-9의 복합 캡슐제는 인공 장액에서의 이중 방출 특성에 의해 용출시험 개시 후 6시간 까지 약물의 방출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9의 미니정제는, 0.1N HCl에서 2시간 동안 내산성이 확보되기는 하였으나 1차 방출 후 2차 방출시작 전에 방출지연 현상 없이, 약물의 방출이 바로 이루어져 용출시험 3시간 경과 시 대부분의 약물(98% 이상)의 방출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용출부; 및
    활성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용출부를 포함하는 복합 캡슐제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2:1 내지 3: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20 내지 35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 코팅층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L), 전분(Starch), 젤라틴(gelatin), 에틸셀룰로오스(E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기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 코팅층은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 중에 3 내지 5 %(w/w)로 함유되는 것인 복합 캡슐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부 및 제2방출부는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리염기로서 각각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의 코어는 각각 독립적으로 펠렛,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의 코어는 모두 미니정제인 것인 복합 캡슐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희석제(diluents),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윤활제(lubricants),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nti-oxidants), 방부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미국약전(USP) 제2법 패들법에 따라 회전수 100 rpm, 37±0.5 ℃에서 0.1N HCl 수용액 중에서 120분 동안 용출시험 후, 연속적으로 pH 6.7-6.9인 인공장액에서 240분동안 용출시험 시,
    0.1N HCl에서 120분 동안 내산성을 가지면서,
    인공장액 중에서 60분동안 55% 이하의 활성성분이 용출되며, 240분 동안 95% 이상의 활성성분이 용출되는 것인 복합 캡슐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스오메프라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 또는 에스오메프라졸 스트론튬염인 것인 복합 캡슐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캡슐제의 캡슐 기제는 젤라틴, 히프로멜로오스, 풀루란, 폴리비닐알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복합 캡슐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으로 구성된 군에선 선택된 위산 과다분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인 복합 캡슐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1일 1회 1개의 단위제형을 투여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
  14.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약제학적 첨가제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에 내피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1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1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별도로,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제 2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여 제2용출부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제1용출부 및 제2용출부를 함께 캡슐제에 충전하여 복합 캡슐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 %(w/w)로 포함하고,
    상기 제2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5 내지 40 %(w/w)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캡슐제의 제조방법.
KR1020160142156A 2016-10-28 2016-10-28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56A KR101877350B1 (ko) 2016-10-28 2016-10-28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11571 WO2018080104A1 (ko) 2016-10-28 2017-10-19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CN201780067122.4A CN109890372B (zh) 2016-10-28 2017-10-19 含埃索美拉唑的复合胶囊及其制备方法
AU2017349091A AU2017349091A1 (en) 2016-10-28 2017-10-19 Esomeprazole-containing complex caps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19519729A JP2019532960A (ja) 2016-10-28 2017-10-19 エソメプラゾール含有複合カプセル剤及びその製造方法
EA201990704A EA201990704A1 (ru) 2016-10-28 2017-10-19 Составная капсула, содержащая эзомепразол,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BR112019008402A BR112019008402A2 (pt) 2016-10-28 2017-10-19 cápsula compósita e método para preparar a cápsula compósita
EP17866143.5A EP3513784A4 (en) 2016-10-28 2017-10-19 COMPLEX CAPSULE CONTAINING ESOMEPRAZO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6/345,456 US11052048B2 (en) 2016-10-28 2017-10-19 Esomeprazole-containing complex caps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MX2019004938A MX2019004938A (es) 2016-10-28 2017-10-19 Cápsula compleja que contiene esomeprazol y método de preparación de esta.
PH12019500919A PH12019500919A1 (en) 2016-10-28 2019-04-24 Esomeprazole~containing complex caps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ZA2019/02867A ZA201902867B (en) 2016-10-28 2019-05-07 Esomeprazole-containing complex caps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56A KR101877350B1 (ko) 2016-10-28 2016-10-28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82A true KR20180046682A (ko) 2018-05-09
KR101877350B1 KR101877350B1 (ko) 2018-08-09

Family

ID=6202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156A KR101877350B1 (ko) 2016-10-28 2016-10-28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52048B2 (ko)
EP (1) EP3513784A4 (ko)
JP (1) JP2019532960A (ko)
KR (1) KR101877350B1 (ko)
CN (1) CN109890372B (ko)
AU (1) AU2017349091A1 (ko)
BR (1) BR112019008402A2 (ko)
EA (1) EA201990704A1 (ko)
MX (1) MX2019004938A (ko)
PH (1) PH12019500919A1 (ko)
WO (1) WO2018080104A1 (ko)
ZA (1) ZA20190286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09A1 (ko) * 2019-04-02 2020-10-08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WO2021157883A1 (ko) * 2020-02-04 2021-08-1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장용성의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서방성의 모사프리드 제제를 포함하는 경질캡슐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2090166A1 (ru) * 2017-09-28 2020-06-29 Ханми Фарм. Ко., Лтд.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ую таблетку сфероидной формы, содержащую эзомепразол 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ую соль,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1705A2 (en) * 2010-06-29 2012-01-05 Cadila Healthcare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lansoprazo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41946C2 (uk) 1994-07-08 2001-10-15 Астра Актієболаг Оральн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складова одинична дозована форма у вигляді таблетки, спосіб її одержання, упаковка у вигляді блістера та спосіб інгібування секреції шлункової кислоти і/або лікування шлунково-кишкових запаль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MY148805A (en) * 2002-10-16 2013-05-31 Takeda Pharmaceutical Controlled release preparation
BRPI0412697A (pt) 2003-07-17 2006-10-03 Reddys Lab Inc Dr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que apresentam um revestimento expansìvel
CA2547398A1 (en) * 2003-11-28 2005-06-09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Oral benzimidazole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tive core, an optional separating layer and an enteric coating
AR052225A1 (es) * 2004-11-04 2007-03-07 Astrazeneca Ab Formulaciones de tabletas de liberacion modificada par inhibidores de la bomba de protones
EP2319504A1 (en) * 2009-11-07 2011-05-11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Pharmaceutical solid dosage form
CN102100671B (zh) * 2011-01-14 2013-04-24 寿光富康制药有限公司 一种埃索美拉唑镁肠溶微丸的制备方法
CN102670521B (zh) 2012-05-18 2014-05-21 珠海润都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埃索美拉唑镁肠溶微丸及其制备方法
CN102940611B (zh) * 2012-11-26 2017-02-22 康普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埃索美拉唑镁的肠溶片剂
CN103040774B (zh) * 2012-11-30 2015-03-04 上海信谊万象药业股份有限公司 埃索美拉唑镁肠溶片中埃索美拉唑镁的制粒包衣工艺
CN104940170A (zh) * 2015-07-23 2015-09-30 浙江亚太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埃索美拉唑镁肠溶胶囊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1705A2 (en) * 2010-06-29 2012-01-05 Cadila Healthcare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lansoprazo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09A1 (ko) * 2019-04-02 2020-10-08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20200116867A (ko) * 2019-04-02 2020-10-13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WO2021157883A1 (ko) * 2020-02-04 2021-08-1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장용성의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서방성의 모사프리드 제제를 포함하는 경질캡슐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104A1 (ko) 2018-05-03
EA201990704A1 (ru) 2019-09-30
CN109890372A (zh) 2019-06-14
ZA201902867B (en) 2020-08-26
EP3513784A4 (en) 2020-06-03
CN109890372B (zh) 2022-06-24
MX2019004938A (es) 2019-10-09
PH12019500919A1 (en) 2019-08-19
KR101877350B1 (ko) 2018-08-09
US11052048B2 (en) 2021-07-06
AU2017349091A1 (en) 2019-05-16
JP2019532960A (ja) 2019-11-14
US20190247316A1 (en) 2019-08-15
EP3513784A1 (en) 2019-07-24
BR112019008402A2 (pt)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973B1 (ko) 구형에 가까운 형태의 다중 투여 단위 정제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복합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526213A (ja) 経口医薬パルス放出剤形
KR20080070841A (ko) 아세틸 살리실산과 함께 프로톤 펌프 억제제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투약형
US20210154180A1 (en) Formulation having improved ph-dependent drug-release characteristics containing esomeprazol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JP2023026623A (ja) エソメプラゾール及び炭酸水素ナトリウムを含む、優れた溶解特性を備えた薬学的製剤
WO2011140446A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KR20160124368A (ko) 프로피온산 계열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 및 프로톤 펌프 저해제(ppi)를 함유하는 생체이용률이 증진된 약제학적 조성물
KR101877350B1 (ko)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7091648A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系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及びh2受容体拮抗剤含有医薬組成物
JP2007091648A6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系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及びh2受容体拮抗剤含有医薬組成物
CN109152772B (zh) 烟酰胺的口服药物组合物
JP2020535113A (ja) エソメプラゾール、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を含むマルチユニット球状錠剤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60021095A (ko) 탐술로신 또는 이의 염의 약학 조성물
KR20210045945A (ko) 프로톤 펌프 저해제 및 제산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60076928A (ko) 푸마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미니-정제 형태의 약제학적 제제
JP2020023505A (ja) モサプリドとラベプラゾールの複合製剤
KR102612984B1 (ko)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JP5826456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ていない分離したユニットおよび延長放出マトリクスを含む制御放出配合物
US20090280175A1 (en) Multilayer Proton Pump Inhibitor Tablets
RU2807610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ингибитор протонного насоса и анта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EA044361B1 (ru) Составная капсула, содержащая эзомепразол,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EA042314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ую таблетку сфероидной формы, содержащую эзомепразол 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ую соль,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KR20240050841A (ko) 클로피도그렐 및 일라프라졸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KR20200077911A (ko) 잘토프로펜 함유 서방성 의약 조성물
KR20180002437A (ko) 독실아민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복합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